KR100807300B1 -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 Google Patents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7300B1
KR100807300B1 KR1020070008140A KR20070008140A KR100807300B1 KR 100807300 B1 KR100807300 B1 KR 100807300B1 KR 1020070008140 A KR1020070008140 A KR 1020070008140A KR 20070008140 A KR20070008140 A KR 20070008140A KR 100807300 B1 KR100807300 B1 KR 100807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ce
strength
handle
motor
handl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8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치연
이경돈
Original Assignee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to KR1020070008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7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7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7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1Forc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61H2201/5074Pressure sensors using electric pressure transducers with proportional outpu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핸들로 방향을 전환함과 아울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보행보조기기에 있어서, 핸들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바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핸들에서 핸들바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가 핸들바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세기를 각각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며, 전방 및 후방 힘센서의 신호를 각각 수신받는 제어부가 핸들바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과 주행하는 곳의 경사도나 장애물 등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기반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동시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이동속도를 유지하도록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평지 등과 같이 모터의 구동력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모터의 공전(idle)을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소모량을 줄여서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주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과 불편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Figure R1020070008140
보행보조기기, 모터, 힘센서, 제어부, 핸들바

Description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AUXILIARY APPARATUS FOR WALKING CAPABLE OF CONTROLLING SPEED ACCORDING FOR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의 핸들바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의 아이들상태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본체 111,112 : 휠
120 : 핸들 121 : 핸들바
122 : 가이드부재 130 : 모터
141 : 전방 힘센서 142 : 후방 힘센서
150 : 제어부 151 : 드라이버
본 발명은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힘을 측정하여 보행보조기기의 전진 및 후진 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도모하는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국민들의 경제력과 생활 수준은 급속도로 향상되고 있으나, 이로 인해 현대인들은 오히려 바쁜 일상생활에 의해서 운동량이 부족하여 여러 가지 질병에 시달리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대인의 운동부족으로 인한 질병의 예로 디스크나 척추만곡현상에 의한 요통 등이 직장인은 물론 일반 주부들에게도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스크나 요통 등을 치료한 후라 하더라도 완전하게 회복될 때까지는 상당한 기간을 요하게 되므로 이러한 질병의 환자들은 스스로 보행이 불편하게 됨으로써 양손으로 핸들을 파지한 채 설 수 있도록 지지함과 아울러 환자와 함께 이동하도록 휠이 마련되는 보행보조기기를 사용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보행보조기기는 디스크나 요통 등에 의한 질병뿐만 아니라 다른 질병에 의한 치료, 수술 등으로 인해 보행이 불편한 환자들에게도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나아가서 거동이 불편한 장애자, 노인들에게도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행보조기기는 사용자의 보행 동작에 의해 동력의 공급없이 함께 이동하면서 사용자를 지지하는 수동방식이 있으나, 이는 사용자에게 이동 에 따른 힘의 부담을 주게 됨으로써 사용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심지어는 거동이 어려운 사용자는 사용조차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이러한 수동방식의 보행보조기기에 대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함으로써 전기 휠체어나 전기 스쿠터 등과 같은 탑승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가 아닌 환자, 노약자 또는 장애자의 보행을 도와주는 모터 구동방식의 보행보조기기의 사용이 점차 늘어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방식의 보행보조기기는 평지와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에서 기기를 이동시키는 힘에 큰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느끼는데 필요한 이동속도를 가지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즉, 종래의 모터 구동방식의 보행보조기기는 주행하는 지역의 경사 등 환경에 따른 자연스러운 느낌을 가지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이 쉽지 않았다.
또한, 종래의 기술에 따른 모터 구동방식의 보행보조기기는 전진, 후진, 정지 등의 상태에 상관없이 항상 모터를 제어하는 방식으로 인해 전력소모량이 많아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가 잦아짐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과 불편을 초래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과 주행하는 곳의 경사도나 장애물 등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기반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동시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이동속도를 유지하도록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 으며, 평지 등과 같이 모터의 구동력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모터의 공전(idle)을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소모량을 줄여서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주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과 불편을 경감시키는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핸들로 방향을 전환함과 아울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보행보조기기에 있어서, 핸들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바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핸들에서 핸들바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가 핸들바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세기를 각각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며, 전방 및 후방 힘센서의 신호를 각각 수신받는 제어부가 핸들바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100)는 휠(111,112)이 마련되는 본체(110)와, 본체(110)상에 마련됨과 아울러 핸들바(121)가 설치되는 핸들(120)과, 본체(110)의 휠(112)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30)와, 핸들(120)에 설치되어 핸들바(121)로부터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세기를 감지하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와,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받아 모터(130)를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전후로 각각 한 쌍의 휠(111,112)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후방에 위치하는 휠(112)에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130)가 각각 설치된다.
핸들(120)은 본체(110)의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핸들(120)의 회전방향에 따라 본체(110)의 전방에 위치하는 휠(111)의 정렬 방향을 전환시킴으로써 좌회전 및 우회전이 가능하고, 핸들(120)의 양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바(121)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며, 핸들바(121)의 파지를 용이하게 함과 아울러 핸들바(121)의 슬라이딩이 전방 및 후방으로의 방향성을 가지기 위하여 양단이 후방으로 일정 각도로 꺾이도록 형성된다.
모터(130)는 본체(110)의 후방 휠(112)측에 각각 설치되어 후방 휠(112)에 회전력을 제공함으로써 본체(110)가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후방 휠(112) 각각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한하지 않고 단일로 이루어져서 후방 휠(112) 각각에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는 핸들(120)에서 핸들바(121)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며, 핸들바(121)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세기를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각각 출력한다.
한편,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는 핸들(120)에서 핸들바(121)가 일측에 만 마련되는 경우 단일의 핸들바(121) 전.후측에 설치되며, 본 실시예에서처럼 핸들바(121)가 핸들(120)의 양단에 각각 마련되는 경우 핸들바(121)마다 전.후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120)의 끝단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122)에 의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함됨으로써 가이드되는 핸들바(121)의 전.후측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어 핸들바(121)가 전.후방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슬라이딩시 가압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에 의해 제어부(150)로 출력되는 전압을 변화시킴으로써 제어부(150)가 핸들바(121)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세기를 인식하도록 한다.
제어부(150)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의 신호를 각각 수신받아서 핸들바(121)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보행보조기기(100), 즉 본체(110)가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보행보조기기(100), 즉 본체(110)의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모터(130)를 제어한다.
제어부(150)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로부터 핸들바(121)에 의해 가압되는 힘이 일정 크기 이하이면 모터(130)가 아이들(idle) 상태로 공전하도록 전원 공급을 차단시킨다. 즉, 제어부(150)는 일예로 사용자가 평지에서 핸들바(121)를 잡고서 본체(110)를 밀거나 당기는 힘에 의해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에 감지되는 힘의 크기 이하일 때 모터(130)가 아이들(idle) 상태로 공전하도록 함으로써 평지 주행과 같이 사용자의 힘이 적게 드는 환경에서는 모터(130)의 구동없이 사용자의 힘에 의해서만 보행보조기기(100)가 움 직이도록 하여 전원의 소모량을 절감시킨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의 동작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핸들바(121)를 파지한 채 본체(110)를 밀어서 이동시 핸들바(121)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이 전방 힘센서(141)에 의해 감지되어 이를 전기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50)로 출력하면, 제어부(150)는 이 전기신호를 해석하여 적절한 드라이버 제어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드라이버(151)를 제어하여 보행보조기기(100)가 전진하는데 필요한 구동력을 얻기 위하여 모터(130)의 상태를 제어한다.
이 때, 제어부(150)는 전방 힘센서(141)의 크기에 비례하여 모터(130)를 제어하는 제어식을 구성하여 사용자가 핸들바(121)에 가하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여 모터(130)의 속도를 제어하게 되며, 사용자가 후진하기 위하여 핸들바(121)를 당김으로써 후방 힘센서(14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를 수신받게 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핸들바(121)에 의해 가해지는 힘의 크기에 비례하여 모터(130)의 속도를 제어한다. 따라서, 제어부(150)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 즉 핸들바(121)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힘의 방향 및 세기에 따라 보행보조기기(100)의 이동방향 및 전.후진 속도를 조절하도록 모터(130)를 제어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에 의해 측정되는 사용자의 힘의 세기가 특정 값 이상으로 판단될 때 모터(13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경사면을 오르거나 내리거나 장애물을 넘으려고 하는 경우 사용자가 평지 이외의 지역을 이동할 때 핸들바(121)에 가해지는 힘보다 큰 힘이 감지시 모터(130)를 구동시킴과 아울러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모터(130)의 속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사용자는 적은 힘으로도 대부분의 환경에서 보행보조기기(100)를 자유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평지에서 보행보조기기(100)를 밀거나 끄는데 필요한 힘은 매우 작기 때문에, 즉 휠(111,112)의 구름 마찰계수와 보행보조기기(100)의 중량을 가정하여 구름 마찰력을 계산하는 경우 대략 수 뉴우턴 이하의 힘으로 충분하기 때문에 평지에서 보행을 보조하는 경우 모터(130)의 구동력을 이용하지 않고 사용자의 힘만으로도 보행보조기기(100)가 움직이도록 제어부(150)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141,142)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핸들바(121)에 가해지는 힘이 일정 크기, 즉 평지에서 보행보조기기(100)를 밀거나 끄는데 필요한 힘 이하일 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와 모터(130)를 분리하여 모터(130)가 아이들(idle) 상태의 공전을 하도록 한다.
그러므로, 평지의 경우 사용자 힘만으로 수동적으로 반응하여 보행보조기기(100)가 이동하게 됨으로써 모터(130)가 전력을 사용하지 않게 되며, 이로 인해 보행보조기기(100) 운용에 필요한 배터리 소모량도 획기적으로 줄어들게 되며, 충전 내지 배터리의 교체없이 보행보조기기(100)의 사용시간도 최대한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는 이동하고자 하는 방향과 주행하는 곳의 경사도나 장애물 등에 따라 사 용자가 핸들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세기에 기반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이동시 편안함과 자연스러움을 느낄 수 있는 이동속도를 유지하도록 간편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평지 등과 같이 모터의 구동력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서 모터의 공전(idle)을 가능하도록 하여 전력소모량을 줄여서 배터리의 충전 또는 교체주기를 증대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경제적 부담과 불편을 경감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4)

  1. 핸들로 방향을 전환함과 아울러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이동하는 보행보조기기에 있어서,
    상기 핸들에 사용자가 파지하는 핸들바가 전.후방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에서 상기 핸들바의 전.후측에 각각 설치되는 전방 및 후방 힘센서가 상기 핸들바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세기를 각각 측정하여 감지신호로 출력하며,
    상기 전방 및 후방 힘센서의 신호를 각각 수신받는 제어부가 상기 핸들바에 의해 힘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함과 아울러 힘의 세기에 비례하여 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의 양단에 상기 핸들바가 전.후방으로 각각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핸들바 각각의 전.후측에 전방 및 후방 힘센서가 각각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바는 상기 핸들의 끝단에 마련되는 가이드부재에 의해 슬라이딩되도록 가이드되고,
    상기 핸들바의 전.후측에 각각 접하도록 설치되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힘센서가 상기 핸들바에 의해 가압되는 힘의 크기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에 의해 출력되는 전압이 변화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방 및 후방 힘센서로부터 수신되는 감지신호로부터 상기 핸들바에 의해 가압되는 힘이 일정 크기 이하이면 상기 모터가 공전(idle)하도록 전원 공급을 차단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KR1020070008140A 2007-01-26 2007-01-26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KR100807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140A KR100807300B1 (ko) 2007-01-26 2007-01-26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8140A KR100807300B1 (ko) 2007-01-26 2007-01-26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7300B1 true KR100807300B1 (ko) 2008-03-03

Family

ID=3939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8140A KR100807300B1 (ko) 2007-01-26 2007-01-26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7300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58B1 (ko) 2008-03-17 2008-10-09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전동식 보행보조차
KR100949955B1 (ko) 2008-05-22 2010-03-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102845B1 (ko) * 2009-10-12 2012-01-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101110410B1 (ko) 2009-12-10 2012-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124072B1 (ko)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125415B1 (ko) * 2010-06-30 2012-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의도 측정 장치
KR101242460B1 (ko) 2011-05-09 2013-03-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경사로/장애물 구간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진행을 유도하는 보행 보조기
KR20130071175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KR101644106B1 (ko) * 2015-04-20 2016-08-11 대한민국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
EP3075369A1 (en) * 2015-03-30 2016-10-05 Nabtesco Corporation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KR20190126574A (ko) * 2018-05-02 2019-11-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및 조향 제어장치
WO2019236627A1 (en) * 2018-06-04 2019-12-12 John Mark Norton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102078923B1 (ko) 2018-09-10 2020-02-18 강명균 능동형 보행 보조 장치
US20200129366A1 (en) * 2018-10-29 2020-04-30 Wistron Corporation Walker capable of determining use int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186A (ja) * 1992-06-02 1993-12-14 Hitachi Ltd 歩行介助装置
JP2000024061A (ja) 1998-07-10 2000-01-25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置
JP2003047635A (ja) 2001-08-06 2003-02-18 Kochi Univ Of Technology 歩行訓練機
KR100717397B1 (ko) 2006-07-19 2007-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노약자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보행의지파악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9186A (ja) * 1992-06-02 1993-12-14 Hitachi Ltd 歩行介助装置
JP2000024061A (ja) 1998-07-10 2000-01-25 Technol Res Assoc Of Medical & Welfare Apparatus 歩行補助装置
JP2003047635A (ja) 2001-08-06 2003-02-18 Kochi Univ Of Technology 歩行訓練機
KR100717397B1 (ko) 2006-07-19 2007-05-11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로드셀을 이용한 노약자의 보행보조로봇에 장착되는보행의지파악 시스템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058B1 (ko) 2008-03-17 2008-10-09 다빈치메디텍주식회사 전동식 보행보조차
KR100949955B1 (ko) 2008-05-22 2010-03-29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능동형 보행 보조기 및 그 구동 방법
KR101102845B1 (ko) * 2009-10-12 2012-01-05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노약자용 전동 간이 이동 장치
KR101110410B1 (ko) 2009-12-10 2012-02-15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125415B1 (ko) * 2010-06-30 2012-03-2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 의도 측정 장치
KR101124072B1 (ko)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1242460B1 (ko) 2011-05-09 2013-03-18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경사로/장애물 구간에서 편리하고 안전한 진행을 유도하는 보행 보조기
KR101892004B1 (ko) * 2011-12-20 2018-08-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KR20130071175A (ko) * 2011-12-20 2013-06-28 엘지전자 주식회사 홀센서를 적용한 동작의도 파악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이동보조장치
EP3075369A1 (en) * 2015-03-30 2016-10-05 Nabtesco Corporation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644106B1 (ko) * 2015-04-20 2016-08-11 대한민국 편마비 장애인이 한 손으로 이용 가능한 실내 전동형 보행보조기구
KR20190126574A (ko) * 2018-05-02 2019-11-1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및 조향 제어장치
KR102069092B1 (ko) * 2018-05-02 2020-01-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의 구동 및 조향 제어장치
WO2019236627A1 (en) * 2018-06-04 2019-12-12 John Mark Norton Mobility assistance device
KR102078923B1 (ko) 2018-09-10 2020-02-18 강명균 능동형 보행 보조 장치
US20200129366A1 (en) * 2018-10-29 2020-04-30 Wistron Corporation Walker capable of determining use intent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111096878A (zh) * 2018-10-29 2020-05-05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具有判断使用意图的助行器及其操作方法
JP2020069376A (ja) * 2018-10-29 2020-05-07 緯創資通股▲ふん▼有限公司Wistron Corporation 使用意図を判定可能な歩行器及びその操作方法
TWI719353B (zh) * 2018-10-29 2021-02-2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具判斷使用意圖的助行器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7300B1 (ko)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US9597242B2 (en) Joint movement detection device and system for coordinating motor output with manual wheelchair propulsion
ES2901153T3 (es) Sistema de asistencia de accionamiento energético basado en el movimiento para sillas de ruedas
US9227647B2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US10123932B2 (en) Motion assist device and motion assist method
KR101352681B1 (ko)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EP3153147A1 (e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453482B1 (ko) 압력 피드백이 적용된 하니스 및 이를 이용한 보행 재활훈련장치
US20140345956A1 (en) Manually propelled vehicle
CN110037865B (zh) 新型电动护理轮椅及其控制方法
JP6250420B2 (ja) 負荷支持装置、該負荷支持装置の制御方法、及び、該制御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KR101148503B1 (ko) 보행 의지력에 따라 구동되는 전동 보행 보조기
US20180177665A1 (en) Devices enabling the disabled to stand, walk and activate one&#39;s body
TW201529063A (zh) 智慧型行動輔具
KR101361362B1 (ko) 사용자의 보행주기에 따라 능동적으로 이동 속도를 결정하는 보행보조로봇
KR101122677B1 (ko) 보행 보조장치
JP2014068866A (ja) 歩行支援装置、及び歩行支援プログラム
TWI511715B (zh) 意向偵測與步態調整裝置及方法
KR101814732B1 (ko) 기립보조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209662014U (zh) 一种全地形智能机器人轮椅车
KR20120044830A (ko) 보행 보조장치
Hwang et al. Power-assisted wheelchair with gravity compensation
TWM530282U (zh) 智慧型曲柄及包含其之具有輔助動力之人力驅動裝置
KR20220010641A (ko) 자체 안전제동 전동기 구동 노약자 보행보조장치
KR102045459B1 (ko) 센서 제어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이동 보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3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