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2681B1 -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2681B1
KR101352681B1 KR1020120039507A KR20120039507A KR101352681B1 KR 101352681 B1 KR101352681 B1 KR 101352681B1 KR 1020120039507 A KR1020120039507 A KR 1020120039507A KR 20120039507 A KR20120039507 A KR 20120039507A KR 101352681 B1 KR101352681 B1 KR 1013526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lking aid
speed
walk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95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7367A (ko
Inventor
이일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Priority to KR1020120039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268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7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7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61G5/045Rear wheel dr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5/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acoustic waves, e.g. sonar systems
    • G01S15/88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5/93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G01S15/931Son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of lan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3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a driv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23Interfaces to the user
    • A61H2201/5043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9Velocity sensors

Landscapes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휠체어 겸용 보행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전동식 보행 보조기에 기울기센서와 속도감지센서를 적용한 것이며, 이에따라 오르막이나 내릭막과 같은 도로 현황에 따라 보행 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하여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 보조기를 통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안정성과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Walking supporter}
본 발명은 보행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보행 보조기에 기울기 센서와 속도감지 센서를 적용하여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 보행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 보조기는 고령자나 하체가 불편한 신체 장애인 등이 이용하는 것으로서, 보행이 어려운 사용자가 의지할 수 있도록 일정 지지 프레임을 이루도록 구성되고 있으며, 보행을 돕기 위하여 보조기의 하부에 구름바퀴를 설치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같은 종래의 보행 보조기는 순수 사람의 힘으로 이동함은 물론, 방향전환이 기계식이기 때문에, 보행의 의지가 있으나 근육이 약화된 사용자가 쉽게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더욱이, 보행을 돕기 위하여 보조기의 하부에 구름바퀴를 설치한 보행 보조기의 경우, 적은 힘으로도 이동 가능하기는 하지만 내리막이나 오르막 등 도로 상태에 따라 그 속도를 제어할 수 없어 안전에 커다란 위협으로 작용하는 경우를 쉽게 경험하게 되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862058호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0807300호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124072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0-288031호 일본 특허공개 제2008-25959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보행 보조기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식 보행 보조기에 기울기센서와 속도감지센서를 적용함으로써, 오르막이나 내릭막과 같은 도로 현황에 따라 보행 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하고, 이를 통해 내리막이나 오르막에서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 보조기를 통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는, 캐스터와, 상기 캐스터의 구름동작을 제어하는 수동브레이크가 마련되는 복수의 핸들부 및, 접힘시에는 선반(보행모드시 휴식의자)으로 펼침시에는 의자로 활용되도록 좌석부와 회전형의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보행프레임;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 마련되고, 상기 보행 보조기의 사용모드를 전동자동모드와 전동수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선택함은 물론, 상기 보행 보조기의 사용에 따른 속도를 가변시키는 조작부; 후방측의 캐스터에 일체형으로 마련되고, 상기 조작부로부터 발생되는 사용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모터; 및, 후방측 캐스터에 마련되고, 보행 보조기의 사용모드에 따른 주행시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보행 보조기의 중앙에 마련되고, 상기 보행 보조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속도감지부 및 기울기 감지부로부터 출력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평지 또는 오르막이나 내리막과 같은 도로 현황을 파악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온 구동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속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동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 보행보조기의 속도 제어시, 상기 보행보조기의 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기의 캐스터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상기 조작부는, 전동자동모드와 전동수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도록 복수의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모드선택 입력부;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와,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 마련되고,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설정하는 압력 조절부; 보행 보조기가 휠체어 기능으로 전환시 방향 전환 제어를 위한 조이스틱 입력부; 및,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와 압력조절부 및 조이스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메인제어부에 출력하는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는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의 제동 동작시 이를 표시하는 제동 표시부 및, 상기 제동 표시부의 제동 표시가 이루어질 때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가 구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보행프레임의 전방측에는 보행 보조기의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전동식 보행 보조기에 기울기센서와 속도감지센서를 적용한 것으로, 이를 통해 오르막이나 내릭막과 같은 도로 현황에 따라 보행 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하여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 이용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보행 보조기를 통해 보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그 안정성과 편리성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의자가 접힘된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의자가 펼침된 보행 보조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행 보조기의 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의자가 접힘된 보행 보조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의자가 펼침된 보행 보조기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보행 보조기의 구조를 보인 배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는 보행프레임(10), 조작부(20), 구동모터(30), 속도감지부(40), 기울기감지부(50), 메인제어부(60), 모터구동부(70), 전자식 브레이크(80), 장애물 감지부(90), 그리고 제동표시부(91)와 경보음발생부(92)를 포함한다.
상기 보행프레임(10)은 4개의 캐스터(11)와, 상기 캐스터(11)의 구름동작을 제어하는 수동브레이크(12)가 마련되는 복수의 핸들부(13a)(13b), 그리고 접힘시에는 선반(보행모드시 휴식의자)으로 펼침시에는 의자로 활용되도록 좌석부(14a)와 회전형의 등받이부(14b)가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20)는 상기 복수의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보행 보조기의 사용모드를 전동자동모드와 전동수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선택함은 물론, 상기 보행 보조기의 사용에 따른 속도를 가변시키는 것이며, 이를 위해 모드선택 입력부(21), 압력감지부(22), 압력조절부(23)와 조이스틱 입력부(24) 및 변환부(A/D컨버터)(25)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21)는 복수의 핸들부(13a)(13b)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것으로, 상기 보행 보조기의 사용모드를 전동자동모드와 전동수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감지부(22)는 복수의 핸들부(13a)(13b)에 각각 마련되어 핸들부(13a)(13b) 각각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압력(악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압력조절부(23)는 상기 복수의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회전타입의 조작스위치로서, 상기 핸들부(13a)(13b)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압력세기(악력)를 임의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조이스틱 입력부(24)는 보행 보조기가 휠체어 기능으로 전환시, 방향전환을 위한 신호를 상기 메인제어부(6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변환부(25)는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21)와 압력조절부(23) 및 조이스틱 입력부(24)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메인제어부(6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모터(30)는 후방측의 캐스터(11)에 일체형으로 구성된 것이며, 상기 조작부(20)로부터 발생되는 사용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온/오프 구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속도감지부(40)는 후방측 캐스터(11)에 마련된 것으로서 보행 보조기의 사용모드에 따른 주행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따른 속도를 감지한 후 이를 메인제어부(60)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 감지부(50)는 보행 보조기의 중앙에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보행 보조기가 평지 또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의 도로를 주행시 그 도로 현황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기울기를 감지한 후 이를 상기 메인제어부(60)에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메인제어부(60)는 상기 조작부(20)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속도감지부(40) 및 기울기감지부(50)로부터 출력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40)의 온 구동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모터구동부(70)는 상기 메인제어부(60)로부터 출력되는 속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동하는 것이다.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80)는 상기 메인제어부(60)에 의해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 보행보조기의 속도 제어시, 상기 보행보조기의 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상기 메인제어부(60)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기의 캐스터(11)에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장애물 감지부(90)는 상기 보행프레임(10)의 전방측에 마련되는 것으로, 보행 보조기의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동표시부(91)는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80)의 제동 동작시 이를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하도록 표시하게 되며, 상기 경보음발생부(92)는 상기 제동 표시부(91)의 제동 표시가 이루어질 때 사용자가 청각적으로 인지하는 경보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우선 보행 보조기의 사용자가 보행프레임(10)의 핸들부(13a)(13b)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된 조작부(20)의 모드선택 입력부(21)를 통해 수동모드를 선택하게 되면, 보행 보조기는 전동방식의 구동은 모두 오프되면서 핸들부(13a)(13b)를 잡은 사용자에 의해 전진과 방향전환이 이루어지는 보행 보조의 역할을 수행하고, 사용자는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수동브레이크(12)를 통해 보행 보조기를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0)의 모드선택 입력부(21)를 통해 전동수동모드를 선택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조작부(20)의 압력감지부(22)는 상기 핸들부(13a)(13b)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게 되며, 상기 압력감지부(22)를 통해 감지되는 압력에 따라 사용자는 압력조절부(23)를 통해 사용자의 압력세기(악력)을 임의 설정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전동수동모드의 선택신호는 메인제어부(60)에 입력되고, 상기 메인제어부(60)는 구동모터(30)를 제어하게 되며, 이에따라 보행 보조기는 사용자를 이끌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동수동모드를 통해 보행 보조기가 사용자를 보행 보조하면서 일정방향으로 이끌고 있는 상태에서, 보행프레임(10)의 전방에 형성된 장애물 감지부(90)를 통해 전방 장애물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장애물 신호에 따라 상기 메인제어부(60)는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을 오프시켜, 장애물에 의한 사용자의 신체 손상을 방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20)의 모드선택 입력부(21)를 통해 전동자동모드를 선택하는 한편, 상기 복수의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조작부(20)의 압력조절부(23)를 통해 사용자의 압력세기(악력)을 임의 설정하여 둔다.
그러면, 상기 전동자동모드의 선택신호는 메인제어부(60)에 입력되는 것이며, 상기 메인제어부(60)는 상기 압력조절부(23)를 통해 설정된 압력세기를 참고하면서 복수의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압력감지부(32)에 가해지는 사용자의 압력세기를 측정한 후 그 측정된 압력세기에 따라 구동모터(30)의 구동 회전수를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핸들부(13a)(13b)에 가해지는 압력세기가 클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한 보행 보조기의 주행속도를 높게 유지시키고, 상기 압력세기가 작을 경우에는 상기 구동모터(30)에 의한 보행 보조기의 주행속도를 낮게 유지시키면서, 사용자에게 안전한 보행을 유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보행보조기가 평지 또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과 같은 도로를 주행시,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따른 회전수는 속도감지부(40)에 의해 감지되는 한편, 기울기 감지부(50)에 의해 도로 현황이 감지된 후 메인제어부(60)에 제공되는 바, 상기 메인제어부(60)는 상기 속도감지부(40)와 기울기 감지부(5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보행 보조기의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를 모터구동부(70) 및/또는 전자식 브레이크(80)에 출력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모터구동부(70)는 상기 구동모터(30)의 구동에 따른 회전수(RPM)을 도로 현황 즉, 평지 또는 오르막 또는 내리막 도로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30)의 회전수를 제어하여, 보행보조기가 평지 주행시에는 그 회전수를 보통수준으로 제어하지만, 보행보조기가 오르막을 주행시에는 회전수를 높이고, 내리막을 주행시에는 회전수를 낮추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80)는 보행보조기가 오르막 또는 내리막 도로를 주행시 상기 메인제어부(60)의 제어를 받아 제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을 하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보행 보조기가 오르막 또는 내리막과 같은 경사로에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오르막 또는 내리막과 같은 경사로에서 보행보조기를 통해 이동하는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80)의 제동력이 이루어질 때, 상기 복수의 핸들부(13a)(13b)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제동표시부(91)는 점등동작이 이루어져 현재 전자식 브레이크(80)의 동작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고, 이와 동시에 경보음 발생부(92)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되는 바, 이는 사용자가 오르막 또는 내리막과 같은 경사로에서 주행하는 보행보조기의 제동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음을 알려주도록 한 것이고, 이는 전자식 브레이크(80)의 동작 불량시 사용자가 인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사용자가 보행 보조기의 핸들부(13a)(13b)에 마련된 조이스틱 입력부(24)를 통해 속도 가변 및 방향전환의 신호를 출력시, 상기 보행 보조기를 휠체어로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그 움직임에 따른 안전 또한 속도감지부(40)와 기울기 감지부(50) 및 장애물 감지부(90)로부터 감지되는 신호에 따라 보호될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보행 보조기를 휠체어로서 사용할 경우, 상기 속도감지부(40)와 기울기 감지부(50) 및 장애물 감지부(90)로부터 감지된 신호에 따라 메인제어부(60)가 구동모터(30)의 온 구동에 따른 속도 제어와 방향전환을 제어하면서 휠체어 기능을 하는 보행 보조기의 장거리 주행에 따른 안전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휠체어 겸용 보행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보행프레임 11; 캐스터
12; 수동브레이크 13a,13b; 핸들부
14a; 좌석부 14b; 등받이부
20; 조작부 21; 모드선택 입력부
22; 압력감지부 23; 압력조절부
24; 조이스틱 입력부 30; 구동모터
40; 속도감지부 50; 기울기 감지부
60; 메인제어부 70; 모터구동부
80; 전자식 브레이크 90; 장애물 감지부
91; 제동표시부 92; 경보음발생부

Claims (4)

  1. 캐스터와, 복수의 핸들부 및 좌석부와 회전형 등받이부를 포함하는 보행프레임; 보행보조기의 사용모드를 선택하는 조작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발생되는 사용모드 선택신호에 따라 온/오프 구동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휠체어 겸용 보행보조기를 구성하되,
    후방측 캐스터에 마련되고, 보행 보조기의 사용모드에 따른 주행시의 속도를 감지하는 속도감지부; 보행 보조기의 중앙에 마련되고, 상기 보행 보조기의 기울기를 감지하는 기울기 감지부; 상기 조작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와, 상기 속도감지부 및 기울기 감지부로부터 출력하는 감지신호에 따라 평지 또는 오르막이나 내리막과 같은 도로 현황을 파악하여 상기 구동모터의 온 구동에 따른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메인제어부; 상기 메인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속도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동하는 모터구동부; 및, 상기 메인제어부에 의해 오르막 또는 내리막에서 보행보조기의 속도제어시, 보행보조기의 밀림현상을 방지하도록 메인제어부로부터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보행보조기의 캐스터에 제동력을 제공하는 전자식 브레이크; 를 포함하고,
    상기 조작부는, 전동자동모드와 전동수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도록 복수의 핸들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모드선택 입력부;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 마련되고, 상기 핸들부에 가해지는 압력의 세기를 설정하는 압력 조절부; 보행 보조기가 휠체어 기능으로 전환시 방향 전환 제어를 위한 조이스틱 입력부; 및, 상기 모드선택 입력부와 압력조절부 및 조이스틱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신호를 변환한 후 이를 상기 메인제어부에 출력하는 변환부; 로 구성하며,
    상기 복수의 핸들부에는 상기 전자식 브레이크의 제동 동작시 이를 표시하는 제동 표시부 및, 상기 제동 표시부의 제동 표시가 이루어질 때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음발생부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보행프레임의 전방측에는 보행 보조기의 전방 장애물을 감지하는 장애물 감지부; 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039507A 2012-04-17 2012-04-17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KR1013526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507A KR101352681B1 (ko) 2012-04-17 2012-04-17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9507A KR101352681B1 (ko) 2012-04-17 2012-04-17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67A KR20130117367A (ko) 2013-10-28
KR101352681B1 true KR101352681B1 (ko) 2014-01-17

Family

ID=49636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9507A KR101352681B1 (ko) 2012-04-17 2012-04-17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52681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2013B1 (ko) * 2015-10-28 2016-10-05 주식회사이지무브 전동 보행 보조장치
KR20160119589A (ko) 2015-04-06 2016-10-14 (주)스트라텍 전동 휠체어 및 주행 제어방법
KR102008009B1 (ko) 2019-01-29 2019-08-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102033167B1 (ko) 2018-11-22 2019-10-16 박정희 수동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20210009044A (ko) 2019-07-16 2021-01-26 문현덕 주행 속도와 연동되어 차체를 제어하는 전동식 휠체어
KR102526807B1 (ko) 2022-12-05 2023-04-28 심혜인 휠체어 속도 제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840B1 (ko) * 2014-01-16 2020-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동 보행 보조 장치
KR101515086B1 (ko) * 2014-07-15 2015-04-24 (주) 한호기술 전동식 보행 보조 장치
KR101595517B1 (ko) * 2014-10-24 2016-02-1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스마트 보행 보조장치
KR101583158B1 (ko) * 2014-10-27 2016-01-06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전동 휠체어 겸용 보행 보조기의 구동장치
CN105496667B (zh) * 2015-12-11 2018-05-18 深圳市迈康信医用机器人有限公司 电动轮椅刹车控制系统及电动轮椅
JP6697768B2 (ja) * 2016-06-29 2020-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歩行支援ロボット及び歩行支援方法
KR102013353B1 (ko) * 2017-03-21 2019-08-22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보행 보조기의 위험 상황 판단 방법 및 장치
KR101945622B1 (ko) * 2017-06-29 2019-04-17 동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율보행보조기 동작방법
KR102188361B1 (ko) * 2018-05-24 2020-12-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인휠 타입 구동장치를 사용하는 보행보조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KR102433031B1 (ko) * 2020-06-18 2022-08-17 주식회사 씨티엔에스 전동휠체어 제어장치
KR102517827B1 (ko) * 2020-12-22 2023-04-04 광주과학기술원 동행로봇을 이용한 보행훈련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2546089B1 (ko) * 2021-05-17 2023-06-22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 주행을 위한 안전 휠체어 및 운전 방법
CN113712788B (zh) 2021-08-13 2022-06-28 浙江益恒悦医疗科技有限公司 智能助行器的防摔控制方法、智能助行器、控制器
CN116849937B (zh) * 2023-05-18 2024-05-24 国家康复辅具研究中心 轮椅助行器一体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418A (ja) * 1996-05-15 1997-11-25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JP2002263151A (ja) 2001-03-12 2002-09-17 Yaskawa Electric Corp 全方向移動型歩行介助装置
KR20110028051A (ko) * 2009-09-11 2011-03-17 대진기술정보 (주) 보행 보조장치
KR101124072B1 (ko) *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99418A (ja) * 1996-05-15 1997-11-25 Hitachi Chem Co Ltd 自立歩行支援機
JP2002263151A (ja) 2001-03-12 2002-09-17 Yaskawa Electric Corp 全方向移動型歩行介助装置
KR20110028051A (ko) * 2009-09-11 2011-03-17 대진기술정보 (주) 보행 보조장치
KR101124072B1 (ko) * 2010-10-14 2012-03-20 주식회사 청우메디칼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9589A (ko) 2015-04-06 2016-10-14 (주)스트라텍 전동 휠체어 및 주행 제어방법
KR101662013B1 (ko) * 2015-10-28 2016-10-05 주식회사이지무브 전동 보행 보조장치
KR102033167B1 (ko) 2018-11-22 2019-10-16 박정희 수동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
KR102008009B1 (ko) 2019-01-29 2019-08-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보행보조기
KR20210009044A (ko) 2019-07-16 2021-01-26 문현덕 주행 속도와 연동되어 차체를 제어하는 전동식 휠체어
KR102526807B1 (ko) 2022-12-05 2023-04-28 심혜인 휠체어 속도 제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7367A (ko) 2013-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2681B1 (ko)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JP6199380B2 (ja) 電動歩行補助装置、電動歩行補助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電動歩行補助装置の制御方法
CN105916761B (zh) 机动化的滑板车
KR101124072B1 (ko)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JP6076490B2 (ja) 歩行補助装置
US11793706B2 (en) Power-assist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intelligent rollator, intelligent rollator, and controller
KR100807300B1 (ko) 힘의 세기에 의해 속도가 조절되는 보행보조기기
JP6812189B2 (ja) 電動車両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09199802B (zh) 辅助行走车及其控制方法
KR101677075B1 (ko) 전동 휠체어 및 주행 제어방법
WO2023272772A1 (zh) 智能助行器的控制方法及装置、智能助行器、控制器
CN108904229A (zh) 智能轮式助行器
JP5802415B2 (ja) 室内移動用具及びキャスター用安全装置
KR20130006902A (ko) 이동 보조 시스템
WO2022036327A1 (en) Robotic rollator walker with automated power drive
US11793705B2 (en) Fall-resistant method of intelligent rollator, intelligent rollator and controller thereof
KR101122677B1 (ko) 보행 보조장치
JP6308611B2 (ja) 蹴りだし検出による歩行補助車両
KR20200120995A (ko) 탄소 프레임 기반의 다기능 보행보조 장치
KR101198841B1 (ko) 보행 보조장치
JP5905553B1 (ja) 歩行補助車
KR102395512B1 (ko) 자체 안전제동 전동기 구동 노약자 보행보조장치
JP4636662B2 (ja) 電動車椅子
KR20200074551A (ko)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N212235002U (zh) 一种具有助力装置的轮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