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74551A -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74551A
KR20200074551A KR1020180163074A KR20180163074A KR20200074551A KR 20200074551 A KR20200074551 A KR 20200074551A KR 1020180163074 A KR1020180163074 A KR 1020180163074A KR 20180163074 A KR20180163074 A KR 20180163074A KR 20200074551 A KR20200074551 A KR 2020007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wheelchair
passenger
unit
present
wheel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3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권태
Original Assignee
장권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권태 filed Critical 장권태
Priority to KR1020180163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74551A/ko
Publication of KR2020007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1Arrangements f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16Touchp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노약자가 앉을 수 있는 프레임부 후면 하단에 동승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동승자가 전동 휠체어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동승자가 전동 휠체어에 직접 탑승하여 조작함으로써 동승자가 힘들게 휠체어를 밀지 않아도 되고, 휠체어 조작에 능숙하지 못한 노약자의 조작에 의해 발생하는 사고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ELECTRIC WHEELCHAIR ON WHICH ASSISTANT CAN BOARD AND DRIVE}
본 발명은 몸이 불편한 환자 또는 노약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하체가 불편한 장애인이나 노약자를 위한 이동수단으로 휠체어가 오랜 시간 이용되어 왔다. 휠체어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의자에 앉아 팔로 바퀴를 굴려 이동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바퀴를 굴리기 위해서는 어느정도 상체의 힘이 필요하므로 상체의 힘이 약한 노약자는 이동을 위해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만 한다.
전동 휠체어는 이런 노약자들을 위해 개발되었다. 팔로 바퀴를 굴리는 대신 모터로 바퀴를 굴리고, 의자의 팔걸이 부분에 설치된 조작장치를 조작하면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팔 힘을 쓰지 않고도 이동이 가능한 것이다.
그런데 노약자들은 근력이 떨어질 뿐 아니라 시력과 청력도 점점 감소하고 반응속도도 느려지기 때문에 전동 휠체어 조작 실수로 사고가 발생할 수 있고 자칫 목숨을 잃을 수도 있는 위험에 놓이게 된다.
종래기술 중 하나인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010226호 발명은 휠체어 자율 주행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시하여 휠체어가 DGPS와 연동하여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시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자율주행 시스템들은 고가의 센서와 장비들을 장착해야 하고, 아직까지는 주행 안정성을 보장할 수 없는 기술 수준이다.
결국 전동 휠체어 조작에 미숙한 노약자들은 보호자들이 동반하여 휠체어를 밀어줘야 할 수밖에 없는데 평지가 아닌 언덕에서는 정상인들에게도 휠체어를 밀어서 이동하는 것은 쉽지 않은 문제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휠체어, 특히 전동 휠체어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노력해 왔고, 동승자가 함께 탑승하여 운전을 함으로써 노약자들이 조작에 대한 부담 없이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전동 휠체어를 조작하기 힘든 노약자 대신 동승자가 전동 휠체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약자가 보다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보호자가 함께 탑승하여 이동함으로써 경사로와 같이 휠체어를 밀기 어려운 곳에서 보다 쉽게 이동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 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본 발명은 동승자가 탑승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상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프레임의 팔걸이에 위치하는 제1 조작부, 프레임의 후방 하단에 위치하여 동승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지지부, 동승자가 전동 휠체어를 잡고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에 올라서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의 등받이 상단에 위치하여 동승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2 조작부 및 상기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탑승자 또는 동승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동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을 무시하여 상기 제2 조작부에 의해서만 전동 휠체어가 조작되도록 한다.
상기 제2 조작부는 터치스크린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동 휠체어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동승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조작을 입력 받아 전동 휠체어를 조작하는 것이 좋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수단에 의해서 본 발명은 보호자가 함께 동승하여 조작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를 제공함으로써 전동 휠체어를 조작하기 힘든 노약자도 안전하고 빠른 이동수단을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노약자의 보호자는 무거운 휠체어를 밀거나 끌지 않고 전동 휠체어에 동승하여 휠체어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휠체어를 밀어서 가기 힘든 곳으로도 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한편, 여기에서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효과라 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에 의해 기대되는 이하의 명세서에서 기재된 효과 및 그 잠정적인 효과는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것과 같이 취급됨을 첨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동휠체어의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개략적인 내부 구조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프레임의 구조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구조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지지부가 접힌 상태의 구조도이다.
※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참조로서 예시된 것임을 밝히며, 그것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는 아니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가 안내하는 본 발명의 구성과 그 구성으로부터 비롯되는 효과에 대해 살펴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어느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구조도이다.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10)는 프레임부(110), 팔걸이(120), 제1 조작부(130), 지지부(140), 손잡이(150) 및 제2 조작부(16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110)는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와 마찬가지로 의자 형태로 이루어져 노약자 등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다.
프레임부(110)에는 탑승자가 앉았을 때 팔을 올려둘 수 있는 팔걸이(120)가 양쪽으로 설치되고, 팔걸이(120) 중 한쪽에는 탑승자가 전동휠체어를 조작할 수 있는 제1 조작부(130)가 설치된다. 종래 일반적인 전동 휠체어처럼 탑승자는 제1 조작부(130)를 조작하여 전동 휠체어(10)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하지만 노약자들은 신체능력 저하와 함께 판단력이나 반응속도 또한 떨어지기 때문에 직접 조작에 의해 전동 휠체어를 움직이는 경우 주변의 갑작스런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해 사고로 이어지는 안타까운 경우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10)는 이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지지부(140)와 제2 조작부(160)를 추가로 설치하였다.
지지부(140)는 프레임(110)의 후면 하단에 설치하여 보호자가 밟고 올라서서 동승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동승자는 지지부(140)를 밟고 올라서서 손잡이(150)를 잡고 몸을 지탱할 수 있다. 탑승자는 프레임(110)에 앉아있고 동승자는 지지부(140)를 밟고 서있기 때문에 시야 확보가 용이하다.
동승자는 제2 조작부(160)를 조작하여 탑승자 대신 전동 휠체어(10)를 조작할 수 있다. 동승자는 탑승자에 비해 시야를 잘 확보할 수 있고 탑승자에 비해서는 건강한 신체조건을 가지고 있을 것이기 때문에 전동 휠체어(10)를 조작하여 보다 안전하게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다.
도 5는 전동 휠체어(10)의 지지부(140)가 접혀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호자가 전동 휠체어(10)에 동승하지 않고 손잡이(150)만 잡고 동력 없이 밀고 갈 때 지지부(140)가 필요 없으므로 지지부(140)를 접거나 혹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집어넣을 수 있다.
보호자가 전동 휠체어(10)의 지지부(140)를 접은 후 손잡이(150)를 잡고 무동력으로 밀고 가거나, 전동 휠체어(10)의 동력을 보조 동력으로 하여 밀면서 걸어갈 수 있도록 한 것이다.도 2는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1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다.
전동 휠체어(10)는 제1 조작부(130)와 제2 조작부(160)의 조작을 입력받아 구동부(180)를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포함된다.
제어부(17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부(170)는 제1 조작부(130) 또는 제2 조작부(160)의 조작에 따라 구동부(180)를 제어하여 전동 휠체어(10)를 탑승자 또는 동승자가 조작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어부(170)는 제2 조작부(160)의 조작이 감지되면 제1 조작부(130)의 조작이 제어부(170)에 입력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조작부(130)와 제2 조작부(140)가 동시에 조작되는 경우 엉뚱한 방향으로 전동 휠체어가 움직일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제2 조작부(160)에는 제1 조작부(13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스위치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제1 조작부(130)를 비활성화 하면 동승자의 조작만으로 전동 휠체어가 움직이므로 탑승자인 노약자의 잘못된 조작에 의한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동 휠체어의 프레임(110)을 자세히 본 모습이다.
의자 형태의 프레임(110)에는 팔걸이(120)와 발 받침이 연결되어 있고, 의자 뒷부분에는 동승자가 올라설 수 있는 지지부(140)가 설치되어 있다. 탑승자와 달리 동승자는 서서 이동하게 되므로 안정적인 이동을 위해 손잡이(150)를 설치하여 동승자가 지지부(140)를 밟고 올라섰을 때 잡을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한 전동 휠체어(20)의 구조도이다.
전동 휠체어(20)는 지지부(240)와 제2 조작부(260)를 더 포함한다.
보호자는 지지부(240)를 밟고 서서 전동 휠체어(20)에 동승하기 때문에 이동 시 몸을 고정시켜 줄 안전벨트(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동승자가 한 손으로만 손잡이(25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제2 조작부(260)를 조작하기 때문에 이동 중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2 조작부(260)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작부(260)에는 주변 지도를 표시하여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할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에 의해 전동 휠체어(20)의 이동을 조작할 수 있다.
전동 휠체어(20)는 통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는 동승자의 스마트폰 등의 기기와 연결되어 스마트폰으로부터 조작을 입력받아 전동 휠체어(2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전동 휠체어(20)의 이동 시작, 종료시에 비밀번호를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전동 휠체어(20)의 도난을 막는 효과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동승자가 함께 탑승하여 노약자 대신 전동 휠체어를 조작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노약자를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이상에서 명시적으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와 표현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자명한 변경이나 치환으로 말미암아 본 발명이 보호범위가 제한될 수도 없음을 다시 한 번 첨언한다.

Claims (4)

  1. 탑승자가 앉을 수 있는 의자 형상을 포함하는 프레임부와, 바퀴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부, 프레임의 팔걸이에 위치하는 제1 조작부, 프레임의 후방 하단에 위치하여 동승자가 밟고 올라설 수 있는 지지부, 동승자가 전동 휠체어를 잡고 이동시키거나 상기 지지부에 올라서서 잡을 수 있는 손잡이부, 상기 프레임부의 등받이 상단에 위치하여 동승자가 조작할 수 있는 제2 조작부 및 상기 제1 조작부 또는 제2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탑승자 또는 동승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전동 휠체어를 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자가 탑승하여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조작부의 조작이 감지되면 상기 제1 조작부의 조작을 무시하여 상기 제2 조작부에 의해서만 전동 휠체어가 조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자가 탑승하여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조작부는 터치스크린 조작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자가 탑승하여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4. 제1항에 있어서,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하여 동승자의 스마트폰으로부터 조작을 입력 받아 전동 휠체어를 조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승자가 탑승하여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1020180163074A 2018-12-17 2018-12-17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KR20200074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74A KR20200074551A (ko) 2018-12-17 2018-12-17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3074A KR20200074551A (ko) 2018-12-17 2018-12-17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551A true KR20200074551A (ko) 2020-06-25

Family

ID=71400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3074A KR20200074551A (ko) 2018-12-17 2018-12-17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745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944A (ko) * 2022-10-25 2024-05-03 (주)로보라이프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57944A (ko) * 2022-10-25 2024-05-03 (주)로보라이프 수동 휠체어의 전동화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3552B2 (en) Electric walking assistant device
KR101352681B1 (ko) 휠체어 겸용 전동식 보행 보조기의 속도제어장치
EP3000456A1 (en)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program for controlling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electric walking assistance device
KR101356520B1 (ko) 보행 보조 시스템
WO2015045010A1 (ja) 介助ロボット
KR101124072B1 (ko) 휠체어 겸용의 전동식 보행 보조기
JP6709684B2 (ja) 電動車いす
KR20150085726A (ko) 전동 보행 보조 장치
KR20130006902A (ko) 이동 보조 시스템
KR20200037610A (ko) 수평 유지 기능을 갖는 휠체어
JP2012210237A (ja) 室内移動用自助具及びキャスター用安全装置
KR101439955B1 (ko) 보행기 및 의자로도 사용되는 트랜스포머 지팡이
KR101122677B1 (ko) 보행 보조장치
RU2761365C2 (ru) Инвалидная коляска со встроенным пересадоч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20200074551A (ko) 동승자 탑승 및 운전이 가능한 전동 휠체어
JP7100928B2 (ja) 電動車椅子、車椅子制御装置、電動車椅子制御方法及び電動車椅子制御プログラム
KR101592321B1 (ko) 지능형 보행 보조차의 제어방법
JP2017131501A (ja) 移動体を用いた避難システム
KR102395512B1 (ko) 자체 안전제동 전동기 구동 노약자 보행보조장치
KR101216028B1 (ko) 밸런싱 2륜 주행 로봇기능을 응용한 휠체어
KR101241754B1 (ko) 다기능 전동 휠체어
KR20220071991A (ko) 신체 약자용 이송 로봇
JPH09285496A (ja) 歩行支援機の機体移動機構
JP6709989B2 (ja) 電動車いす
KR20230138579A (ko) 낙상 위험 감지 보행보조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