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68644B1 -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 Google Patents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68644B1
KR100768644B1 KR1020060128485A KR20060128485A KR100768644B1 KR 100768644 B1 KR100768644 B1 KR 100768644B1 KR 1020060128485 A KR1020060128485 A KR 1020060128485A KR 20060128485 A KR20060128485 A KR 20060128485A KR 100768644 B1 KR100768644 B1 KR 100768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rake drum
brake
high speed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영
Original Assignee
김덕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덕영 filed Critical 김덕영
Priority to KR1020060128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8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8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8644B1/ko
Priority to US11/986,387 priority patent/US7441633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46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 F16D51/48Self-tightening brakes with pivoted brake shoes, i.e. the braked member increases the braking action with two linked or directly-interacting brake sho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9/00Self-acting brakes, e.g. coming into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sp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00Appliances for aid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to walk about
    • A61H3/04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H2003/046Wheeled walking aids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brak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73Means for preventing injuries
    • A61H2201/018By limiting the applied torque or fo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20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 F16D2125/22Mechanical mechanisms converting rotation to linear movement or vice versa acting transversely to the axis of rotation
    • F16D2125/28Cams; Levers with cams
    • F16D2125/30Cams; Levers with cams acting on two or more cam followers, e.g. S-ca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리막길에서 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조작핸들부(1)와 몸체(2) 및 앞,뒷바퀴(3)(4)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W)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양측 하부에 부착되어 뒷바퀴(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원판(10); 상기 뒷바퀴(4)의 내면에 동심원상으로 부착되는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 상기 고정원판(1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드럼(4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중앙에 축설되는 제1기어(5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일측에 후진이 방지되도록 일방향클러치(C)로 축설되어 제1기어(50)와 치합되는 제2기어(60); 상기 고정원판(10)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제2기어(50)(60)를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조절놉(7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에 스프링(S1)의 텐션을 받도록 내장되어 제1기어(50)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동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행보조기, 자동 브레이크장치, 뒷바퀴, 고속, 중립, 저속

Description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apparatus for automatic break of walking support machine}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보행보조기 사시도.
도 2a,2b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보인 뒷바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고속기어와 저속기어의 분해사시도.
도 6a,6b,6c는 본 발명에 따른 내,제2기어의 작동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브레이크드럼의 결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사시도.
도 9a,9b는 본 발명에 따른 제동판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W : 보행보조기 1 : 조작핸들부
2 : 몸체 3 : 앞바퀴
4 : 뒷바퀴 10 : 고정원판
11 : 단속공 12 : 안내장공
20 : 고속기어 30 : 저속기어
40 : 브레이크드럼 41 : 안내봉
50 : 제1기어 60 : 제2기어
70 : 조절놉 71 : 캠홈
72 : 단속볼 80 : 제동판
90 : 아이들기어
본 발명은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등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보행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내리막길에서 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행보조기는 주지된 바와 같이 환자나 노약자 그리고 다리나 몸이 불편한 장애인 등이 보행할 때 보조기구로 사용하는 것으로, 이러한 보행보조기는 가벼운 걷기 운동이나 다른 곳으로 이동할 때 몸을 지탱하여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다양한 형태가 있었으나 통상 손으로 파지하여 밀거나 당기면서 운행할 수 있는 조작핸들부와, 상기 조작핸들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통상 스틸 파이프를 절곡하여 틀을 이룬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는 앞바퀴와 뒷바퀴로 구성되는 것이었다.
또한 기존의 보행보조기는 상기 조작핸들부에 레버를 설치하고, 상기 뒷바퀴를 제동할 수 있는 브레이크장치를 상기 레버와 연결하여 사용자는 조작핸들부에 설치된 레버의 조작으로 보행보조기를 제동할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보행보조기에 있어서는 평탄한 지형에서의 활동은 별다른 문제가 없으나, 경사가 있는 내리막길의 보행 시 돌발적인 상황이나 사용자의 체중이 보행보조기에 실려 급속도로 보행보조기의 속도가 증가할 경우,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들 대부분이 조작핸들부의 레버로 제동을 걸기 어려워 안전사고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보행보조기에 있어서는 구조적으로 후진을 방지하는 기능이 결여되어, 특히 경사가 있는 오르막길에서의 보행 시 보행보조기가 경사로를 따라 내려오게 되어 안전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보행보조기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노약자 또는 장애인이기 때문에, 이러한 보행보조기는 단순히 보행의 보조역할을 수행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사용자의 건강을 위해 근력을 키우는 기능을 부여함이 바람직하지만, 종래의 보행보조기는 단순히 보행의 보조기구로서만 사용될 뿐 다른 운동은 전혀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서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 환자상태에 따라 저속 또는 고속에서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하여 내리막길에서 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보행보조기의 후진을 방지하여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환자상태에 따라 일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수적으로 운동효과를 부여하여 사용자의 팔과 다리 근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한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보행보조기 몸체의 후방 양측 하부에 뒷바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원판을 각각 부착하고, 상기 뒷바퀴의 내면에 고속기어와 저속기어를 동심원상으로 각각 부착하며, 상기 고정원판의 외면에 브레이크드럼을 회동가능하게 설치하고,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중앙에 제1기어를 축설하며, 상기 브레이크드럼의 일측에 제1기어와 치합되는 제2기어를 후진이 방지되도록 일방향클러치로 축설하고, 상기 고정원판의 내면에 내,제2기어를 고속기어와 저속기어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조절놉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상기 브레이크드럼에 스프링의 텐션을 받으면서 제1기어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동판을 내장하여, 내리막길에서 일정속도 이상으로 증속되면 원심력에 의해 한쌍의 제동판이 자동적으로 브레이크드럼의 내벽에 접촉되면서 제동이 걸리도록 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는 도 1 내지 도 9b에 도시 되는 바와 같이, 조작핸들부(1)와 몸체(2) 및 앞,뒷바퀴(3)(4)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W)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양측 하부에 각각 부착되어 뒷바퀴(4)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고정원판(10); 상기 뒷바퀴(4)의 내면에 동심원상으로 부착되는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 상기 고정원판(1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드럼(4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중앙에 축설되는 제1기어(5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일측에 후진이 방지되도록 일방향클러치(C)로 축설되어 제1기어(50)와 치합되는 제2기어(60); 상기 고정원판(10)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제2기어(50)(60)를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조절놉(7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에 스프링(S1)의 텐션을 받도록 내장되어 제1기어(50)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동판(8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기본적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보행보조기(W)는 도 1에서와 같이 크게 사용자의 손에 파지되어 브레이크를 조작할 수 있는 장치로 이루어진 조작핸들부(1)와, 보행보조기(W)의 기본 골격인 주된 틀을 이루는 몸체(2)와, 상기 몸체(W)의 하부에 연결되어 보행보조기(W)를 이동가능하도록 하는 앞바퀴(3)와 뒷바퀴(4)로 이루어진다.
상기 보행보조기(W)의 조작핸들부(1)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보행 시 뒷바퀴(4)를 제동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레버(1a)가 구비된다.
상기 보행보조기(W)의 몸체(2)에는 도 1에서와 같이 보관 시 몸체(2)를 용이하게 접을 수 있도록 절첩부재(2a)가 구비되고, 또한 몸체(2)에는 보행 시 링겔을 휴대할 수 있도록 링겔고정봉(2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몸체(2)에는 사용자가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의자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또한 몸체(2)에는 사용자가 휴대용품 등을 넣어 보관할 수 있도록 가방이 구비될 수도 있는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
상기 앞바퀴(3)는 도 1에서와 같이 몸체(2)의 전방 중앙 하부에 1개가 설치되고, 상기 뒷바퀴(4)는 도 1에서와 같이 몸체(2)의 후방 양측 하부에 각각 2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뒷바퀴(4)에는 조작핸들부(1)의 브레이크레버(1a)와 연결되는 브레이크부재(4a)가 설치된다.
상기 고정원판(10)은 몸체(2)의 후방 양측 하부에 각각 부착되어 양측 뒷바퀴(4)를 회전가능하게 각각 지지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원판(10)의 일측에는 도 3,4에서와 같이 고속,중립,저속상태를 각각 단속하는 3개의 단속공(11)이 적정간격을 두고 각각 형성되고, 또한 고정원판(10)의 일측에는 브레이크드럼(40)의 회동을 안내하는 안내장공(12)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원판(10)의 외측 중앙부에는 뒷바퀴(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13)이 구비되고, 상기 뒷바퀴(4)는 축(13)에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원판(10)을 감싸기 때문에 고속기어(20),저속기어(30),브레이크드럼(40),제1기어(50),제2기어(60)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상기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는 도 3,5에서와 같이 뒷바퀴(4)의 내면 중앙부 및 가장자리에 동심원상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고속기어(20)는 제1기어(50)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증속시키고, 저속기어(30)는 제2기어(60)의 회전속도를 선택적으로 증속시킨다. 이때,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는 내,제2기어(50)(60)보다 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고속기 어(20)와 저속기어(30)의 직경이 내,제2기어(50)(60)보다 클수록 회전속도는 더 증속된다.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은 도 3,4에서와 같이 고정원판(1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브레이크드럼(40)에는 고정원판(10)의 안내장공(12)으로 끼워지는 안내봉(41)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일단은 도 3,4에서와 같이 고정원판(10)에 스프링의 탄력을 받도록 축(42)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브레이크드럼(40)의 타단에는 안내장공(12)에 끼워지는 안내봉(41)이 고정된다.
상기 제1기어(50)는 도 3,4,8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중앙부에 회전가능하게 축설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1기어(50)는 고속기어(2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제동판(80)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킨다. 이때, 상기 제1기어(50)에는 도 8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에 내장되어 한쌍의 제동판(80)을 지지하는 회전판(51)이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회전판(51)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아이들기어(90)를 지지하는 지지축(52)이 일체로 구비된다.
상기 제2기어(60)는 도 3,4,8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일측에 후진이 방지되도록 일방향클러치(C)로 축설되어 제1기어(50)와 치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제2기어(60)는 저속기어(30)에 선택적으로 치합되어 제동판(80)의 회전속도를 증속시킨다.
한편, 상기 일방향클러치(C)는 역회전을 방지하는 공지된 것으로, 이러한 일방향클러치(C)는 뒷바퀴(4)가 전진하는 한쪽 방향으로만 제2기어(60)를 회전시킨 다. 따라서, 상기 제2기어(60)는 일방향클러치(C)에 의해 뒷바퀴(4)가 후진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내,제2기어(50)(60)가 고속,저속기어(20)(30)에 선택적으로 각각 치합된 상태에서는 뒷바퀴(4)의 후진이 방지된다.
상기 조절놉(70)은 고정원판(10)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제2기어(50)(60)를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조절놉(70)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안내봉(41)을 고속,중립,저속위치로 이동시키는 캠홈(71)이 구비되고, 또한 조절놉(70)에는 스프링(S2)의 탄력을 받으면서 고속,중립,저속상태를 각각 단속하는 3개의 단속공(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단속볼(7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조절놉(70)은 그 중앙부가 고정원판(10)에 볼트체결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조립된다.
상기 조절놉(70)은 도 2a에서와 같이 원형으로 형성되어 그 외주면에는 고속,중립,저속을 나타내는 문구가 표시되고, 상기 고정원판(10)의 내면 적소에는 도 2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조절놉(70)의 고속,중립,저속위치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화살표가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조절놉(70)을 회전시켜 고속이 표시된 곳을 고정원판(10)에 표시된 화살표와 서로 일치시키면 도 6b에서와 같이 제1기어(50)는 고속기어(20)에 치합되고, 이때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는 단속볼(72)은 해당 단속공(11)으로 '딸깍'거리면서 끼워진다. 한편, 상기 조절놉(70)을 회전시켜 중립이 표시된 곳을 고정원판(10)에 표시된 화살표와 서로 일치시키면 도 6a에서와 같이 내,제2기 어(50)(60)와 고속,저속기어(20)(30)는 서로 이격되고, 그리고 상기 조절놉(70)을 회전시켜 저속이 표시된 곳을 고정원판(10)에 표시된 화살표와 서로 일치시키면 도 6c와 같이 제2기어(60)는 저속기어(30)에 치합된다.
상기 한쌍의 제동판(80)은 도 7,8,9a,9b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에 스프링(S1)의 텐션을 받도록 내장되어 제1기어(50)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한쌍의 제동판(80)은 대략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일단이 제1기어(50)의 회전판(51)에 회전가능하게 볼트(81)체결을 통해 편심된 상태로 각각 연결되고, 제동판(80)의 외면에는 마찰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과 미세한 거리를 두고 이격되는 브레이크패드(82)가 부착된다.
따라서, 평상 시 평지에서 보행보조기(W)가 서행중이거나 작은 가속도로 이동할 경우에는 스프링(S1)의 텐션에 의해 제동판(80)의 브레이크패드(82)는 도 9a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동이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경사가 있는 내리막길에서 한쌍의 제동판(80)이 일정속도 이상의 큰 가속도로 회전할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해 한쌍의 제동판(80)이 도 9b에서와 같이 볼트(81)를 축으로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브레이크패드(82)가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에 밀착하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는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도 7,8,9a,9b에서와 같이 상기 한쌍의 제동판(80) 사이 중앙에는 아이들기어(90)가 치합된 상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제동판(80)의 일단 내측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기 어(90)와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된다.
상기 아이들기어(90)는 제1기어(50)의 지지축(52)에 축설되어 제1기어(50)와 일체로 회전하는 것으로, 이러한 아이들기어(90)는 한쌍의 제동판(80)과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 사이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고, 또한 아이들기어(90)는 원심력발생 시 한쌍의 제동판(80)이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전체적인 작동관계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절놉(70)을 회전시켜 중립이 표시된 곳을 고정원판(10)에 표시된 화살표와 서로 일치시키면 도 6a에서와 같이 내,제2기어(50)(60)와 고속,저속기어(20)(30)는 서로 이격되고, 이 상태에서는 뒷바퀴(4)가 고정원판(10)의 축(13)을 중심으로 단순히 전진방향과 후진방향으로 자유자재로 공회전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조절놉(70)의 중립위치에서는 종래와 같이 사용자가 보행보조기(W)를 전후로 밀고 당기면서 보행할 수 있다. 이때, 도 6a에서와 같이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는 단속볼(72)은 중앙에 배치된 단속공(11)으로 끼워져 걸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조절놉(70)의 중립상태에서 조절놉(70)을 회전시켜 고속이 표시된 곳을 고정원판(10)에 표시된 화살표와 서로 일치시키면, 도 6b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안내봉(41)은 회전하는 조절놉(70)의 캠홈(7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는 단속볼(72)은 도 6b에서와 같이 좌측에 배치된 단속공(11)으로 '딸깍'거리면서 끼워지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브레이크드럼(40)에 축설된 제1기어(5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기어(2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b에서와 같이 조절놉(70)의 고속상태에서는 제1기어(50)가 고속기어(20)에 치합되고, 또한 제1기어(5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뒷바퀴(4)의 후진을 방지하는 일방향클러치(C)로 축설된 제2기어(60)가 치합되기 때문에, 이러한 고속상태에서 뒷바퀴(4)는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후진하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조절놉(70)의 고속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보조기(W)를 앞으로 전진시키면 앞바퀴(3)와 뒷바퀴(4)는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뒷바퀴(4)에 부착된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며, 이때 고속기어(20)에 치합된 제1기어(50)가 동시에 반대방향으로 고속기어(20)보다 큰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1기어(50)에 연결된 한쌍의 제동판(80)은 증속된 큰 회전수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놉(70)의 고속상태에서 사용자가 평지에서 보행보조기(W)를 앞으로 서서히 밀거나 작은 속도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S1)의 텐션을 받는 제동판(80)의 브레이크패드(82)가 도 9a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일정속도 이하에서는 제동이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조절놉(70)의 고속상태에서 경사가 있는 내리막길의 보행 시 돌발적인 상황이나 사용자의 체중이 보행보조기(W)에 실려 급속도로 뒷바퀴(4)의 속도가 증가하면 한쌍의 제동판(80)도 동시에 일정속도 이상의 큰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한쌍의 제동판(80)이 일정속도 이상의 큰 가속도로 회전할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해 한쌍의 제동판(80)이 도 9b에서와 같이 볼트(81)를 축으로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브레이크패드(82)가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에 밀착하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의 보행 시 고속에서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한편, 조절놉(70)의 중립상태에서 조절놉(70)을 회전시켜 저속이 표시된 곳을 고정원판(10)에 표시된 화살표와 서로 일치시키면, 도 6c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안내봉(41)은 회전하는 조절놉(70)의 캠홈(71)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스프링(S2)의 탄력을 받는 단속볼(72)은 도 6c에서와 같이 우측에 배치된 단속공(11)으로 '딸깍'거리면서 끼워지게 되고, 또한 이와 동시에 제1기어(50)에 치합된 제2기어(60)는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속기어(30)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6c에서와 같이 조절놉(70)의 저속상태에서는 제2기어(60)가 저속기어(30)에 치합되고, 또한 제2기어(6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뒷바퀴(4)의 후진을 방지하는 일방향클러치(C)로 축설되어 제1기어(50)에 치합되기 때문에, 이러한 저속상태에서 뒷바퀴(4)는 전진하는 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고 후진하는 역방향으로의 회전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조절놉(70)의 저속상태에서 사용자가 보행보조기(W)를 앞으로 전진시키면 앞바퀴(3)와 뒷바퀴(4)는 전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뒷바퀴(4)에 부착된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가 동시에 구동하게 되며, 이때 저속기어(30)에 치합된 제2기어(60)가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저속기어(30)보다 큰 회전수로 회전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제2기어(60)에 치합된 제1기어(5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와 동시에 제1기어(30)에 연결된 한쌍의 제동판(80)이 증속된 큰 회전수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조절놉(70)의 저속상태에서 사용자가 평지에서 보행보조기(W)를 앞으로 서서히 밀거나 작은 속도로 이동시킬 경우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스프링(S1)의 텐션을 받는 제동판(80)의 브레이크패드(82)가 도 9a에서와 같이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일정속도 이하에서는 제동이 걸리지 않는다.
그러나, 조절놉(70)의 저속상태에서 경사가 있는 내리막길의 보행 시 돌발적인 상황이나 사용자의 체중이 보행보조기(W)에 실려 급속도로 뒷바퀴(4)의 속도가 증가하면 한쌍의 제동판(80)도 동시에 일정속도 이상의 큰 회전수로 회전하게 되고, 이와 같이 한쌍의 제동판(80)이 일정속도 이상의 큰 가속도로 회전할 경우에는 원심력에 의해 한쌍의 제동판(80)이 도 9b에서와 같이 볼트(81)를 축으로 동시에 외측으로 벌어지고, 이에 의해 결과적으로 브레이크패드(82)가 브레이크드럼(40)의 내벽에 밀착하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의 보행 시 저속에서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게 된다.
참고로,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놉(70)을 조절하여 고속 및 저속에서 각각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구분한 이유는 환자의 건강상태에 따라 내리막길에 서 보행보조기(W)를 한층 더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어 중증환자의 경우에는 경사도가 작은 완만한 내리막길에서의 보행 시 저속에서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함이 바람직하고, 경증환자의 경우에는 비교적 경사도가 큰 내리막길에서의 보행 시 고속에서 브레이크가 자동적으로 걸리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놉(70)의 고속 또는 저속상태에서 뒷바퀴(4)가 일정속도 이상으로 가속되면 원심력에 의해 한쌍의 제동판(80)이 도 9b에서와 같이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브레이크를 걸기 때문에, 특히 경사도가 있는 내리막길에서 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놉(70)의 고속 또는 저속상태에서는 제2기어(60)를 뒷바퀴(4)가 전진하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키는 일방향클러치(C)에 보행보조기(W)의 후진이 방지되기 때문에, 특히 경사도가 있는 오르막길에서의 주행 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상술한 바와 같이 보행보조기(W)의 사용 시 일정속도 이상에서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작동되므로 센 힘을 주어 밀어도 보행보조기(W)의 속도는 증가하지 않으면서 상당한 근력이 요구됨에 따라 사용자가 운동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부수적으로 사용자의 팔과 다리 근력을 키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는 일정속도 이상에서 자동적으로 브레이크가 걸리기 때문에 내리막길에서 가속으로 인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조절놉의 고속 및 저속상태에서는 보행보조기의 후진이 방지되므로 오르막길에서 사용자의 안전을 보호할 수 있으며, 그리고 일정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동시에 부수적으로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팔과 다리 근력을 키울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3)

  1. 조작핸들부(1)와 몸체(2) 및 앞,뒷바퀴(3)(4)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W)에 있어서, 상기 몸체(2)의 양측 하부에 부착되어 뒷바퀴(4)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고정원판(10); 상기 뒷바퀴(4)의 내면에 동심원상으로 부착되는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 상기 고정원판(10)의 외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브레이크드럼(4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중앙에 축설되는 제1기어(5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의 일측에 후진이 방지되도록 일방향클러치(C)로 축설되어 제1기어(50)와 치합되는 제2기어(60); 상기 고정원판(10)의 내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내,제2기어(50)(60)를 고속기어(20)와 저속기어(30)에 선택적으로 치합시키는 조절놉(70); 상기 브레이크드럼(40)에 스프링(S1)의 텐션을 받도록 내장되어 제1기어(50)와 일체로 회전하는 한쌍의 제동판(80)을 포함하는 보행보조기의 자동브레이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원판(10)에는 고속,중립,저속상태를 각각 단속하는 단속공(11) 및 브레이크드럼(40)의 회동을 안내하는 안내장공(1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드럼(40)에는 안내장공(12)으로 끼워지는 안내봉(41)이 구비되며, 상기 조절놉(70)에는 안내봉(41)을 고속,중립,저속위치로 이동시키는 캠홈(71) 및 스프링(S2)의 탄력을 받으면서 단속공(11)에 선택적으로 끼워지는 단속볼(72)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제동판(80) 사이 중앙에는 아이들기어(90)가 치합된 상태로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KR1020060128485A 2006-12-15 2006-12-15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KR100768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85A KR100768644B1 (ko) 2006-12-15 2006-12-15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US11/986,387 US7441633B2 (en) 2006-12-15 2007-11-21 Apparatus for automatic brake of walking support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485A KR100768644B1 (ko) 2006-12-15 2006-12-15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8644B1 true KR100768644B1 (ko) 2007-10-18

Family

ID=38815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485A KR100768644B1 (ko) 2006-12-15 2006-12-15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441633B2 (ko)
KR (1) KR1007686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52B1 (ko) 2007-12-11 2009-06-11 김덕영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0447261Y1 (ko) * 2008-03-14 2010-01-12 조원일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
KR101100712B1 (ko) * 2009-09-22 2011-12-30 김성윤 전자식 가속억제 및 충전 회로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
TWI482679B (zh) * 2008-03-31 2015-05-01 Bosch Gmbh Robert 具有剎車系統的工具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29010B1 (ko) * 2010-12-29 2011-04-14 홍성빈 도로 경사면 변화에 따라 바퀴의 감속 또는 제동이 가능한 바퀴제어장치
WO2013047222A1 (ja) * 2011-09-27 2013-04-04 ナブテスコ株式会社 車両の速度抑制装置及び速度抑制装置を備えた車両
WO2014165135A1 (en) * 2013-03-12 2014-10-09 Colin Touhey Personal mobility device
CN109662871B (zh) * 2018-12-24 2021-03-19 嘉兴信益医疗器材有限公司 一种老年人代步助行车
CN110001397B (zh) * 2019-04-26 2022-02-01 河南警察学院 一种汽车加速踏板防误踩安全装置及其操作方法
DE102019114030B3 (de) * 2019-05-24 2020-10-01 Betterguards Technology Gmbh Vorrichtung zum Bremsen einer Rotationsbewegung eines Rotationselementes und Rollvorrichtung
CN113235992B (zh) * 2021-03-31 2023-05-12 安徽鸿杰威尔停车设备有限公司 一种基于agv快速泊车的重列式pcs型车库
CN114415159B (zh) * 2022-01-24 2023-06-30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浅地层剖面仪计量校准方法及装置
GB202203130D0 (en) * 2022-03-07 2022-04-20 Volumatic Ltd Brak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872A (ja) * 1995-11-16 1997-05-27 Etsuzo Fukuda 歩行補助車用の速度自動制御装置
JP2000134971A (ja) 1998-10-20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車椅子の制御方法
JP2001070376A (ja) 1999-08-31 2001-03-21 Mitsuba Corp 移動補助具
JP2005014870A (ja) 2003-06-24 2005-01-20 Yoshiro Hyodo 福祉器材の改良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66037A (en) * 1992-11-23 1994-11-22 Invacare Corporation Powered wheelchair having drive motors integrated into driven wheels
JP3703524B2 (ja) * 1995-06-20 2005-10-05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手動式電動車椅子
JP3306309B2 (ja) * 1996-08-28 2002-07-24 三洋電機株式会社 アシスト式電動車
US6017046A (en) * 1998-01-21 2000-01-25 Markovic; Vladimir Wheelchair apparatus
JP2003517808A (ja) * 1999-08-31 2003-05-27 デルタグライド、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動力補助車両
US6755430B1 (en) * 2001-06-13 2004-06-29 Brian M. Watwood Wheelchair drive assembly
GB2379198B (en) * 2001-08-31 2005-02-09 Robert Michael Fowles A drive system for a wheelchair
US6805371B2 (en) * 2001-09-14 2004-10-19 Magic Wheels, Inc Two-speed wheel assembly for manual wheelchairs, with a quick-release mounting capability
US7001313B1 (en) * 2003-05-23 2006-02-21 Crnkovich Gary M Exercise assistance device
US20070164528A1 (en) * 2003-12-19 2007-07-19 Frank Morath Wheeled walking fram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35872A (ja) * 1995-11-16 1997-05-27 Etsuzo Fukuda 歩行補助車用の速度自動制御装置
JP2000134971A (ja) 1998-10-20 2000-05-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動車椅子の制御方法
JP2001070376A (ja) 1999-08-31 2001-03-21 Mitsuba Corp 移動補助具
JP2005014870A (ja) 2003-06-24 2005-01-20 Yoshiro Hyodo 福祉器材の改良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252B1 (ko) 2007-12-11 2009-06-11 김덕영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KR200447261Y1 (ko) * 2008-03-14 2010-01-12 조원일 의료용 보조 지지장치
TWI482679B (zh) * 2008-03-31 2015-05-01 Bosch Gmbh Robert 具有剎車系統的工具機
TWI482680B (zh) * 2008-03-31 2015-05-01 Bosch Gmbh Robert 工具機用的可逆緊急剎車系統
TWI488707B (zh) * 2008-03-31 2015-06-21 Bosch Gmbh Robert 工具機的緊急剎車系統
KR101100712B1 (ko) * 2009-09-22 2011-12-30 김성윤 전자식 가속억제 및 충전 회로를 구비하는 보행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2315A1 (en) 2008-06-19
US7441633B2 (en) 2008-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644B1 (ko) 보행보조기의 자동 브레이크장치
US7311160B2 (en) Wheelchair with forced driven front caterpillar wheels
KR200456241Y1 (ko) 보행보조기의 브레이크장치
ES2288323A1 (es) Bicicleta estatica.
JP4616865B2 (ja) 駆動力自動解除式一方向回転駆動装置
US20140251709A1 (en) Vehicle having a pedal drive and a reverse gear mechanism
JPH09505012A (ja) 車椅子駆動機および制動装置
JP2005502410A (ja) 迅速脱着可能な、手動車椅子のための2段速ホイール・アセンブリー
US20030073543A1 (en) Running machine
JP3313558B2 (ja) 歩行補助車用の速度自動制御装置
KR20090028176A (ko) 동력 저장용 헬스 자전거
US6746034B2 (en) Wheelchair
KR101744386B1 (ko) 자전거용 증속 동력변환장치
JP2010057605A (ja) 歩行補助器の自動ブレーキ装置
KR100932682B1 (ko) 풋 바이크
KR100743461B1 (ko) 출력변환기능을 갖는 동력전달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휠체어
KR101261318B1 (ko) 오르막길을 뒤로 밀림 없이 손쉽게 올라갈 수 있는 휠체어
JP2010246828A (ja) 足踏み駆動式車椅子
JPH11313855A (ja) 車椅子の後退防止装置
JP2007014647A (ja) ブレーキ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歩行器
WO2002020102A1 (fr) Chaussure a roulettes
KR101787641B1 (ko) 경사로 감지 및 감속 기능이 구비된 제동 장치
JPH11512684A (ja) 自転車のペダル内の回転ブロックをキャンセルする装置
GB2433968A (en) Brake device for a stroller
JP2004181161A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