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42332A - 운전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운전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42332A
KR20220142332A KR1020220017416A KR20220017416A KR20220142332A KR 20220142332 A KR20220142332 A KR 20220142332A KR 1020220017416 A KR1020220017416 A KR 1020220017416A KR 20220017416 A KR20220017416 A KR 20220017416A KR 20220142332 A KR20220142332 A KR 20220142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bar
stopping
stop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7204B1 (ko
Inventor
박영일
Original Assignee
박영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일 filed Critical 박영일
Publication of KR20220142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2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9/00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 G05G9/02Manually-actuated control mechanisms provided with one single controlling member co-operating with two or more controlled members, e.g. selectively, simultaneously the controlling member being movable in different independent ways, movement in each individual way actuating one controlled member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10Disposition of hand control
    • B60T7/102Disposition of hand control by means of a tilting leve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4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pivoting movement, e.g. lev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54Controlling members specially adapted for actuation by auxiliary operating members or extensions; Operating members or extensions therefor (pedal extens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12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for holding members in an indefinite number of positions, e.g. by a toothed quadr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60K2026/028Acceleration input members mounted on steering wheel or column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도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킨 상태를 손을 떼더라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와, 상기 회전부재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운전 보조 장치{an apparatus for assisting driving}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도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킨 상태를 손을 떼더라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는 양발 및 양손의 장애가 없는 정상적인 사람들만이 운전할 수 있도록 되어있었으나, 근자에 들면서는 일부신체의 장애를 가진 장애인들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장애자차량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장애자차량에서 왼발장애의 경우에는 자동변속기 차량을 이용하면 정상인과 다름없는 운전이 가능하게 되나, 양발이 없거나 사용이 불가능한 신체장애일 경우에는 별도의 운전보조장치를 구비하여야 한다.
이러한 운전보조장치의 일 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9호(2014.09.23.등록)에 기재된 기술이 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차량의 스티어링컬럼(50)에 클램프(26)와 고정된 고정브라켓(28); 상기 고정브라켓(2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축(25)과 연결되고, 일측 면에 클립형태의 레버홀더(2)가 형성된 회전판(1); 상기 회전판(1)의 레버홀더(2)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지지축(25)을 중심으로 임의의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조작레버(7); 상기 조작레버(7)의 소정위치에 고정되는 고정클립(5)과 상기 고정클립(5)의 일단에 연결된 한개의 연결바(10); 상기 조작레버(7)을 밀고 당기는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를 동작하게 하는 브레이크 조작부재(a)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브라켓(28)은 좌우간격조절이 가능하게 양면에 2개의 가이드공(29a)과 전후간격조절이 가능한 1개의 가이드공(29b)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9호(2014.09.23.등록)에 기재된 기술은 조작레버(7)를 사용하여 브레이크와 엑셀레이터를 동작시킬 수 있어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는 장애자라도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이 있으나, 제동 및 가속시에 조작레버(7)를 작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여야 하므로 팔 및 손에 상당한 무리가 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오른손으로 스티어링휠 및 기어를 제어하여야 하므로 왼손으로 제동 및 가속을 제어하여야 하는데, 완전히 멈춘 상태로 신호를 대기하거나 일정한 속도로 주행을 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왼팔 및 왼손에 상당한 부하가 가해지며 그에 따라 상당한 피로감을 주게 된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474609호(2014.09.23.등록)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석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 연결바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바를 가압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어 장애인이라도 손을 사용하여 운전할 수 있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를 설정된 위치에 멈추기 위한 멈춤부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중 또는 정차중에 운전자가 손으로 작동레버를 작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 가속 또는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와, 상기 회전부재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를 현재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멈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멈춤부재와,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레버와, 상기 멈춤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멈춤홈과, 상기 멈춤레버의 단부에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멈춤레버는 바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와 멈춤레버 사이에는 멈춤레버가 작동레버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기 위한 중심바와, 상기 중심바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설치 브라켓의 양측에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피복 고정부와, 상기 설치 브라켓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양측에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설치 브라켓의 단부에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멈춤 부재는 상기 설치 브라켓과 상기 보조 레버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부재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레버의 일측에는 멈춤 레버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멈춤 레버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는 멈춤돌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무게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과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당기도록 제어하는 보조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의 하부에 구비되는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 연결바가 연결되고, 상기 연결바를 가압하기 위한 작동레버가 구비되어 운전자가 손으로 상기 작동레버를 회전시켜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어 장애인이라도 손을 사용하여 운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브레이크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를 설정된 위치에 멈추기 위한 멈춤부를 구비함으로써, 운전중 또는 정차중에 운전자가 손으로 작동레버를 작동시킨 상태를 유지하지 않더라도 가속 또는 정지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운전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운전 보조 장치의 브레이크의 작동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브레이크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브레이크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를 작동한 상태의 상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멈춤부의 작동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운전 보조 장치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브레이크 페달(110) 및 엑셀레이터 페달(120)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260)와 상기 연결바(260)를 작동시키는 작동부(200)와 상기 작동부(200)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2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200)는 스티어링 휠이 설치되는 스티어링 컬럼을 보호하기 위한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210)과 상기 지지축(21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220)와 상기 회전부재(22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260)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23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50)를 회전시켜 상기 작동부(200)를 구성하는 회전부재(220)와 작동바(230)를 통하여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와 연결되는 연결바(260)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을 작동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운전 보조 장치를 통하여 다리를 사용하지 못하더라도 팔과 손을 이용하여 안정적으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는 연결부(240)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부(240)에는 상기 연결바(260)의 상부가 연결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및 엑셀레이터 페달(120)에는 상기 연결바(230)의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40)는 상기 작동바(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도 있고, 측부에 형성되는 힌지부(244)를 통하여 좌우로 회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및 엑셀레이터 페달(120)에는 연결 브라켓(270)이 설치되는데, 상기 연결 브라켓(270)에는 4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는 구조나 유니버셜 조인트가 구비되어 상기 연결바(230)가 각 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50)를 회전시켜 회전부재(220)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작동바(230)가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연결부(240)의 힌지부(244)에 의해 절곡되어 연결바(230)와 적절한 각도를 유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바(260)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연결바(260)의 하단이 후방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됨으로써, 상기 연결부(240)가 상기 작동바(230)의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연결바(260)가 휘어지지 않도록 하여 연결바(260)에 가해지는 부하를 줄여주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240)에는 상하 관통되도록 관통공(242)이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242)에는 상기 연결바(2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62)가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부(262)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지지턱(264)이 형성되는데, 상기 지지턱(264)는 상기 연결부(240)의 하부를 지지하게 된다.
그래서, 운전자가 상기 작동레버(250)를 회전시켜 회전부재(220)를 회전시키게 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부재(220)의 일측에 위치하는 작동바(230)는 하방으로 회전하게 되어 연결부(240)가 지지턱(264)를 통하여 연결바(260)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220)의 타측에 위치하는 작동바(230)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부(240)에 형성되는 관통공(242)이 연결바(260)의 상부에 형성되는 슬라이딩부(262)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연결바(260)는 상하 이동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작동레버(250)를 회전시키는 방향에 따라 한 쌍의 연결바(260) 중에서 일측만이 하방으로 이동하도록 하여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 중 어느 하나만 작동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는 멈춤부(300)가 설치되는데, 상기 멈춤부(300)는 운전자가 제동 또는 가속을 위하여 작동레버(250)를 작동시킨 후, 현재 위치를 고정하도록 하여 보다 편안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멈춤부(300)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는 멈춤부재(330)와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레버(31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멈춤부재(330)는 바 형상 또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별도의 설치 브라켓(미도시)을 통하여 스티어링 컬럼 커버(미도시)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250)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멈춤부재(330)의 가장자리에는 일정 간격으로 멈춤홈(332)이 형성되고, 상기 멈춤레버(310)의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332)에 삽입되도록 멈춤돌부(3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멈춤레버(310)는 바 형상의 손잡이부(312)와 상기 손잡이부(312)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측에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절곡부(314)와 상기 절곡부(314)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316)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운전자가 가속 또는 감속을 위하여 작동레버(250)를 회전시킨 후, 상기 멈춤레버(310)를 작동레버(250) 쪽으로 당기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멈춤레버(310)가 절곡부(314)의 힌지결합부를 기준으로 회전하고, 그에 따라 절곡부의 단부에 형성된 멈춤돌부(316)가 상기 멈춤부재(330)에 형성되는 멈춤홈(332)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작동레버(250)와 멈춤레버(310) 사이에는 고정부재(320)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고정부재(320)는 상기 멈춤레버(310)가 작동레버(250)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3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레버(25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팝업 수용부(321)와 상기 멈춤레버(3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팝업 삽입부(324)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멈춤레버(310)를 작동레버(250)에 인접하도록 하여 상기 팝업 삽입부(324)가 팝업 수용부(321)에 삽입되면 팝업 삽입부(324)가 고정되어 상기 멈춤레버(310)가 작동레버(250)에 인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따라서, 상기 멈춤부재(330)에 형성되는 멈춤홈(332)에 상기 멈춤돌부(316)가 삽입됨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의 복귀하려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작동레버(250)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여 운전자가 보다 편안한 상태로 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다시 한번 상기 멈춤레버(310)를 작동레버(250) 방향으로 가압하게 되면 상기 팝업 수용부(321)에서 팝업 삽입부(324)가 인출되어 작동 레버(250)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고정부재(320)의 구성은 이미 공지된 구성이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작동레버(250)의 일측에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는 회전방지부재(350)가 측방으로 돌출 되도록 형성되는데, 상기 회전방지부재(350)의 단부에는 상기 멈춤레버(310)의 회전반경을 제한하는 걸림턱(352)이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멈춤레버(310)가 일정 거리 이상 작동레버(250)로부터 이격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상기 멈춤레버(310)를 용이하게 작동레버(250)와 접하도록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00)와 이격되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작동바(230)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작동부(400)는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432)와 상기 와이어(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434)과 상기 작동바(230)와 인접한 상기 피복(434)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40)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위한 중심바(410)와 상기 중심바(4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복(434)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레버 브라켓(422)과 상기 레버 브라켓(422)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432)의 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레버(42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운전자가 왼손의 근처에 설치된 상기 중심바(41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중심바(410)의 양측에 설치되는 보조 레버(420)중 어느 일측을 회전시켜 중심바(410)와 인접하게 하면 작동바(230)를 하방으로 회전시켜 상기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엑셀레이터 페달(120)을 작동시키게 됨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동부(200)와 이격되고 운전자가 용이하게 작동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부(200)의 작동바(230)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작동부(400')는 상기 작동바(230)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432)와 상기 와이어(432)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434)과 상기 작동바(230)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440)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470)과 상기 설치 브라켓(470)의 양측에 상기 피복(434)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피복 고정부(464)와 상기 설치 브라켓(470)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432)의 단부가 양측에 각각 연결되는 보조 레버(42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상기 보조 레버(420')를 좌우로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432)를 당겨줌으로써, 브레이크 페달(110) 또는 엘셀레이터 페달(120)을 각각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멈춤 부재(460)는 상기 설치 브라켓(470)의 양단부에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데, 상기 멈춤 부재(460)는 상기 설치 브라켓(470)과 상기 보조 레버(420')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부재(460)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멈춤홈(462)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 레버(420')의 일측에는 상기 멈춤 부재(46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멈춤 레버(450)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멈춤 레버(450)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462)에 삽입되는 멈춤돌부(456)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무게추(452)가 형성된다.
그래서, 상기 멈춤 레버(450)는 상기 무게추(452)에 의해 자중에 의해 일측 단부가 하방으로 이동하고 그에 따라 타측 단부에 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456)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멈춤홈(462)에 자연스럽게 삽입되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보조 레버(420')를 작동시킨 후 상기 멈춤돌부(456)이 멈춤홈(462)에 삽입되어 작동한 상태를 고정하게 되며, 운전자가 상기 무게추(452)를 회전시켜 멈춤돌부(456)을 멈춤홈(462)에서 이격시킨 후 다시 보조 레버(420')를 이동시켜 작동상태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보조 작동부(400')의 구성은 동일하고, 상기 와이어(432)의 단부가 브레이크 페달(110)과 엘셀레이터 페달(120)에 각각 연결되어 작동부(200)가 없이 보조 작동부(400') 만으로 제동 및 가속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조 작동부(400')를 구성하는 보조 레버(420')의 양측에 와이어(432)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보조 작동부(400')에 브레이크 페달(110)과 엘셀레이터 페달(120) 중 어느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432)만이 연결되도록 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를 사용할 수 없는 사람도 손을 이용하여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킬 수 있으며, 브레이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을 작동시킨 상태를 손을 떼더라도 설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여 장애인이 보다 용이하게 운전을 할 수 있게 하는 운전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110 : 브레이크 페달 120 : 엑셀레이터 페달
200 : 작동부 210 : 지지축
220 : 회전부재 230 : 작동바
240 : 연결부 250 : 작동레버
260 : 연결바 270 : 연결브라켓
300 : 멈춤부 310 : 멈춤레버
320 : 고정부재 330 : 멈춤부재
400,400' : 보조 작동부 410 : 중심바
420,420' : 보조 레버

Claims (11)

  1.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바와,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는 지지축과,
    상기 지지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바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는 작동바와,
    상기 회전부재에 측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는 작동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바의 상부가 연결되는 연결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에는 상기 연결바의 하부가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하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바의 상부에는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슬라이딩부가 형성되고,
    상기 슬라이딩부의 하단에는 상기 연결부의 하부가 지지되는 지지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를 현재 위치에서 고정하기 위한 멈춤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부는 상기 스티어링 컬럼 커버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작동레버의 회전반경에 대응되도록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멈춤부재와,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멈춤레버와,
    상기 멈춤부재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멈춤홈과,
    상기 멈춤레버의 단부에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6.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멈춤레버는 바 형상의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일측에 교차하여 회전하도록 연결되는 절곡부와,
    상기 절곡부의 단부에 돌출형성되는 상기 멈춤돌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와 멈춤레버 사이에는 멈춤레버가 작동레버에 접한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고정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중심바와,
    상기 중심바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레버 브라켓과,
    상기 레버 브라켓에 힌지 결합으로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작동바를 회전시키는 보조 작동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보조 작동부는 상기 작동바의 단부에 각각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작동바와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설치 브라켓의 양측에 상기 피복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는 피복 고정부와,
    상기 설치 브라켓에 단부가 힌지 결합되되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양측에 연결되는 보조 레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 브라켓의 단부에 멈춤부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멈춤 부재는 상기 설치 브라켓과 상기 보조 레버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멈춤 부재의 일측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멈춤홈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 레버의 일측에는 멈춤 레버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며,
    상기 멈춤 레버의 일측 단부에는 상기 멈춤홈에 삽입되는 멈춤돌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무게추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11.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의 일측에 단부가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의 외측에 형성되는 피복과,
    상기 브레이크 페달 및 엑셀레이터 페달과 인접한 상기 피복의 일측 단부를 고정하는 고정 브라켓과,
    임의의 장소에 설치하여 상기 와이어를 당기도록 제어하는 보조 작동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전 보조 장치.
KR1020220017416A 2021-04-13 2022-02-10 운전 보조 장치 KR1026272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7618 2021-04-13
KR1020210047618 2021-04-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2332A true KR20220142332A (ko) 2022-10-21
KR102627204B1 KR102627204B1 (ko) 2024-01-24

Family

ID=8380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416A KR102627204B1 (ko) 2021-04-13 2022-02-10 운전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5930B1 (en) * 2023-03-22 2023-1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actuating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by hand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96A (ko) * 1989-08-07 1991-03-29 허인희 석고보드용 원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31147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장애자용 차량의 핸드 콘트롤러
KR100321522B1 (ko) * 1998-12-16 2002-06-20 탁 본 구 장애인용차량의정지페달및가속페달조작장치
KR200474609Y1 (ko) 2013-08-16 2014-10-07 최태윤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896A (ko) * 1989-08-07 1991-03-29 허인희 석고보드용 원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9990031147U (ko) * 1997-12-30 1999-07-26 정몽규 장애자용 차량의 핸드 콘트롤러
KR100321522B1 (ko) * 1998-12-16 2002-06-20 탁 본 구 장애인용차량의정지페달및가속페달조작장치
KR200474609Y1 (ko) 2013-08-16 2014-10-07 최태윤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15930B1 (en) * 2023-03-22 2023-11-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for actuating vehicle brake and accelerator pedals by h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27204B1 (ko) 2024-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5056A (en) Handicapped-driven sidecar
US4987978A (en) Wheelchair safety brakes
KR101742247B1 (ko) 휠체어용 보조 구동장치
KR20220142332A (ko) 운전 보조 장치
US10308114B2 (en) Hand control throttle system
JP3072479B2 (ja) 車椅子
JP2022108715A (ja) 運転補助装置
US5813944A (en) Hand-operated speed control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motor vehicle
KR200474609Y1 (ko) 장애인용 자동차 운전보조장치
KR101642768B1 (ko) 장애인을 위한 자동차용 가속 페달 조절 장치
JP3878202B2 (ja) 自動車の補助ブレーキ装置におけるブレーキ作動機構
US5282522A (en) Multi-purpose speed control apparatus
JPH09328062A (ja) 車椅子のブレーキ装置
JP3506715B2 (ja) 自動車の単ペダルシステムおよびその単ペダルシステム形成方法
KR200312912Y1 (ko) 장애자용 자동차 운전연습기
US5765442A (en) Portable pedal control device
JP3000205U (ja) 車椅子
KR101616832B1 (ko)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JPS5936518Y2 (ja) 身体障害者用自動車運転装置
JPH1083225A (ja) 運転補助装置
JP2981611B1 (ja) 電動車椅子の走行機構
KR20160074039A (ko) 장애인 자동차용 핸드 컨트롤 장치
KR100361814B1 (ko) 파킹브레이크를 이용한 소형차량용 차동제한장치
JP3605814B2 (ja) 歩行型電動走行車の操縦装置
JP2001247021A (ja) 駐車ブレーキ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