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1974B1 -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1974B1
KR100861974B1 KR1020060083342A KR20060083342A KR100861974B1 KR 100861974 B1 KR100861974 B1 KR 100861974B1 KR 1020060083342 A KR1020060083342 A KR 1020060083342A KR 20060083342 A KR20060083342 A KR 20060083342A KR 100861974 B1 KR100861974 B1 KR 100861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module cover
airbag module
tier lin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9056A (ko
Inventor
다다노리 호리우치
다케시 구로에
사토시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1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1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1Packaging straps or envelopes for inflatabl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1/216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a tear line for defining a deploymen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13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specially adapted for side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7/00Safety equipment
    • B62J27/20Airbags specially adapted for motorcyc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65Type of vehicles
    • B60R2021/0088Cycles, e.g. motorcycles

Abstract

본 발명은 터프니스(toughness)성 등을 높임으로써, 자동 이륜차에의 사용에 적합한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취약부로서의 티어 라인을 비나 먼지 등의 외적 요인의 영향을 받기 쉬운 모듈 커버(22)의 표면이 아니라, 대략 직방체의 에어백 모듈(20)의 4개의 측면 중 차량 전방측의 측면을 제외한 3개 측면의 상부에 설치한다. 이 티어 라인은 차폭 방향의 양 측면에 도면에서의 B부의 제1 티어 라인(26)을 형성하는 동시에, 에어백의 지지 벨트를 통과시키는 슬릿(24)으로서의 도면에서의 D부를 제외한 도면에서의 C부에 제2 티어 라인(27)을 형성하여 총 3개가 되기 때문에, 모듈 커버(22)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케이싱(23)의 차량 전방측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덮개가 개방하도록 전개한다. 또한, 상기 차량 전방측의 한 변에는 모듈 커버(22)가 소정의 각도 이상으로 잘 개방되지 않게 하는 스토퍼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AIR-BAG MODULE COVER STRUCTUR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개요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일부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의 사시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를 적용한 에어백 모듈의 정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에어백 모듈
21R: 우측 지지 스테이
21L: 좌측 지지 스테이
22: 모듈 커버
23: 케이싱
23a: 하측 케이싱
24: 슬릿
26: 제1 티어 라인
27: 제2 티어 라인
28: 클립
본 발명은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 이륜차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구속하는 에어백을, 자동 이륜차에 적용하기 위한 여러 가지 고안이 검토되고 있다. 통상, 접힌 에어백 및 이 에어백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인플레이터(inflator) 등을 일체적으로 수납하는 대략 상자형 에어백 모듈은, 소정의 전개면으로서의 에어백 모듈 커버의 표면에 취약부로서의 티어 라인(tear line)을 형성해 두고,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는 인플레이터가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높아지는 에어백의 압력에 의해, 상기 티어 라인이 파단되어 에어백이 전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티어 라인에는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 적절히 파단되는 취약성을 갖는 동시에, 탑승자 등이 접촉한 정도로서는 변형이나 파단을 일으키지 않는 적절한 강도도 요구된다.
특허 문헌 1에는, 4륜차용의 조수석용 에어백 장치에 적용되는 에어백 모듈 커버에서, 전개면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는 티어 라인을, 단일의 호를 그리는 형상 으로 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에어백 모듈 커버에 의하면 티어 라인 및 그 주변부가 탑승자 등에 압박된 경우에도, 그 압박력이 호형의 주연부에 분산되기 때문에, 강성이 높아져 잘 움푹하게 되지 않는다. 또한, 호를 그리는 형상으로 된 제1 티어 라인의 양단부가 직선형의 제2 티어 라인과 직교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에어백의 팽창 전개시에는 티어 라인에 부가되는 힘이 균등하게 전해져 원활한 전개가 실현된다.
또한, 특허 문헌 2에는 4륜차용 에어백 장치의 에어백 모듈 커버에 형성되는 티어 라인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티어 라인 구조로서는, 레이저 가공에 의해 에어백 모듈 커버의 이면측으로부터 소정의 깊이를 갖는 구멍을 파선형으로 단속적으로 형성할 때에, 발포 수지층의 발포 수지가 전개부로부터 에어백측으로 유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누설 방지 부재를 상기 티어 라인상의 부분만 제거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누설 방지 부재에 의한 파단의 고르지 못함이 없어져 원활한 전개가 실현된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162033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3-212075호 공보
통상,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 모듈 커버와 탑승자 사이에 차폐물이 없는 상태에서 차량에 설치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을 자동 이륜차에 설치할 때는 필연적으로 티어 라인이 형성된 에어백 모듈 커버의 표면이 4륜차와 같은 실내 환경과는 크게 다른 옥외의 환경하에 놓여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티어 라인에는 직사광선이나 비바람의 영향 외에 탑승자가 승하차시에 손을 부딪히거나, 장난 등의 외적 요인으로 압박되는 등의 가능성이 높아지게 된다. 이러한 요인으로 만일 상기 티어 라인이 파손되면 에어백의 팽창 전개 동작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특허 문헌 1 및 2의 기술은 모두 4륜차에서의 실내 환경하에서 적용되는 것이 전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 이륜차에 적용할 때의 과제에 관해서는, 아무런 시사 및 배려도 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자동 이륜차에의 사용에 적합한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략 직방체의 에어백 모듈에 적용되는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4개의 측면 중 차량 전방측의 측면을 제외한 3개의 측면의 상부에 티어 라인을 형성하도록 한 점에 제1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 커버는, 상기 티어 라인의 파단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 전개되고, 이 에어백 모듈 커버의 차량 전방측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도록 한 점에 제2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 모듈의 차량 후방 측면에 에어백과 차체를 연결하는 지지 벨트가 통과하는 슬릿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티어 라인은, 이 슬릿부를 제외한 차량 후방측 측면과 차폭 방향의 양 측면의 3개소에 마련되도록 한 점에 제3 특징 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1)의 개요 설명도이다. 자동 이륜차(1)의 프레임(2)은 주로 헤드 파이프(3)로부터 차체 후방으로 경사지게 아래쪽을 향해 신장하는 좌우 한 쌍의 상부 튜브[2L, 2R(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상부 튜브(2L, 2R)의 헤드 파이프(3) 근방으로부터는 하부 튜브(4)가 아래쪽으로 신장되고, 그 선단에 구동원으로서의 엔진(15)이 고정적으로 매달려 있다. 상기 헤드 파이프(3)에는 핸들(4)에 의해 조향 가능한 좌우 한 쌍의 프론트 포크(7)가 하부 브래킷(6)을 통해 피봇 부착되어 있고, 이 프론트 포크(7)의 하단부에는 전륜(WF)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2)의 차체 후방에는 메인 시트(10)나 리어 시트(11) 등을 지지하는 시트 프레임(5)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2)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윙 아암(도시 생략)의 후단부에는 구동륜으로서의 후륜(WR)이 회전 가능하게 피봇 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1)에는 차체에 소정치 이상의 충격이 가해졌을 때에 메인 시트(10)의 위쪽으로부터 미터 케이스(meter case)(36)에 접하고, 상부 카울(cowl)(8)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윈드 스크린(9)의 근방에까지 도달하는 크기의 대략 구체(球體)로 팽창 전개하는 에어백(5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백(50) 및 에어백(50)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시키는 인플레이터(도시 생략)를 일체적으로 수납하는 에어백 모듈(20)은 탑승자의 안착 위치보다 차체 전방 위치에서, 지지 스테이(21)로 상기 상부 튜브(2L, 2R)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에어백(50)의 후방에 연결되는 지지 벨트(51)는 탑승자를 구속할 때에 에어백(50)을 적절한 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이륜차(1)의 일부 확대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에어백 모듈(20)(도 1 참조)은 상자형 케이싱(23)에 상기 인플레이터 및 접힌 에어백(50)을 수납하고, 그 상부에 모듈 커버(22)로 덮은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그 설치 지점은 핸들(4)과 상기 프론트 포크(7)를 연결하는 톱 브릿지(도시 생략)의 위쪽을 덮는 이그니션 커버(12)와, 연료 탱크(도시 생략)의 위쪽에 위치하는 급유구 리드(13) 사이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는 인플레이터에 의한 가스가 상기 케이싱(23) 내의 에어백(50)에 순간적으로 공급되고, 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모듈 커버(22)가 차량 전방측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개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는, 이 모듈 커버(22)와 케이싱(23) 사이에 설치되는 취약부로서의 티어 라인에 적용되어 있다.
또한, 통상시에 벨트 커버(14L, 14R) 하부의 수납 스페이스(65)에 접혀 수납되어 있는 지지 벨트(51)는, 상기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에 따라 벨트 커버(14L, 14R)를 좌우 양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개방하면서 도면에서 파선으로 나타낸 위치까지 전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핸들(4)이 좌측 방향으로 조향되어 있지만,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는 핸들(4)이 중립 상태에서의 좌측 스위치부(74L) 근방의 I부, 우측 스위치부(74R) 근방의 J부의 2개소, 그리고, 미터 케이스(36)에 의해 도면에 서의 H부 및 모듈 커버(22)에 의해 도면에서의 K부의 2개소를 추가한 총 4개소에 의해 에어백(50)의 전방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지지 벨트(51)의 하단부는 톱 셸터(top shelter)(71R)의 위쪽에 위치하는 메인 시트(10)의 아래쪽에서 차체측 부재와 강고히 체결되어 있다.
도 3은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서의 자동 이륜차(1)의 사시 설명도이다. 상기 에어백(50)은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감싸기 위해 팽창 전개시에서 탑승자측의 면이 대략 V자 형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에어백(50)은 상기 지지 벨트(51)뿐만 아니라, 상기 핸들(4)이나 이그니션 커버(12), 미터 케이스(36) 등, 에어백(50)의 전방 하부에 위치하는 각 부재 전체에 의해서도 지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백(50)의 상부 좌우 양면에는 탑승자를 구속하면서 적절한 속도로 상기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벤트홀(56)(예컨대, φ 45)이 마련되어 있다.
도 4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부착 구조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케이싱(23)의 하부에는 좌측 지지 스테이(21L) 및 우측 지지 스테이(21R)가 용착되어 있고, 각각 소정의 볼트에 의해 상기 상부 튜브(2L, 2R)에 용착된 지지 부재[30(도시 생략), 31 ,3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23)의 차량 전방측의 측면에 설치되는 커넥터(25)는 케이싱(23)에 수납되는 상기 인플레이터에 점화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엔진(15)에 도입되는 외기를 여과하는 에어클리너 박스(44) 및 그 상부 커버(41)는, 상기 상부 튜브(2L, 2R) 사이에 끼워지도록 설치되고, 그 위쪽에는 대략 직방체의 오디오 유닛(40)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싱(23)과 상부 튜부(2L) 사이에 설치되는 제3 지지 스테이(33)에는 연료 분사 제어(FI) 유닛을 고정하기 위한 FI 유닛 지지 스테이(34)와, 차체 전방으로부터 상기 에어클리너 박스(44)로 외기를 유도하는 좌측 에어 덕트(42L)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커버(41)의 측면에는 에어클리너 박스(44) 내에 배치된 흡기 온도 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출력하는 커넥터(4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싱(23)의 탑승자측의 측면에는, 상기 지지 벨트(51)를 통과시키는 간극으로서의 슬릿(24)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백 모듈(20)의 부착 구조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20)을 최적의 배치로 하기 위해 생성된 에어백 모듈(20) 아래쪽의 스페이스가 다른 부품의 설치 스페이스로서 유효하게 이용되기 때문에, 에어백 모듈(20)의 설치 스페이스의 소용량화가 실현된다. 또한, 이 도면의 부착 상태로부터, 상기 FI 유닛 지지 스테이(34) 및 제3 지지 스테이(33)를 제거함으로써, 에어백 모듈(20)을 이동 및 제거하지 않고, 오디오 유닛(40) 및 상부 커버(41)를 차체 좌전방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에어클리너 박스(44) 내의 에어 필터(도시 생략)의 교환 등의 유지 보수 작업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의(a) 및 (b)는, 상기 에어백 모듈(20)의 측면도(a) 및 탑승자측으로부터 본 정면도(b)이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는 취약부로서의 티어 라인(tear line)을 모듈 커버(22)의 표면이 아니라, 에어백 모둘(20)의 상부 측면에 형성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차폭 방향의 양측면에 도면에서의 B부의 제1 티어 라인(26)이 형성되는 동시에, 탑승자로부터 본 정면(차량 뒤쪽 방향)에 상기 슬릿(24)으로서의 도면에서의 D부를 제외하고 도면에서의 C부에 제2 티어 라인(27)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는, 상기 케이싱(23)에 대하여 대략 직방형의 모듈 커버(22)가 차량 전방측의 한 변을 축으로 하여 덮개를 개방하도록 전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듈 커버(22)와 케이싱(23)은 합성 수지에 의한 일체 성형 부품으로 되어 있고, 상기 인플레이터 등을 수납하기 위한 금속제의 하측 케이싱(23a)과 상기 케이싱(23)은 복수의 클립(28)으로 체결되어 있다.
도 6은, 도 5의 (b)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로서 도 6의 (a)는 통상시의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의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와 동일한 부호는 상기와 동일 또는 동등 부분을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a)에서, 상기 하측 케이싱(23a)의 바닥부 근방에는 에어백(50)을 팽창 전개시키기 위한 가스를 발생하는 인플레이터(29)가 수납되어 있다. 제2 티어 라인(27)은 모듈 커버(22)와 케이싱(23)의 경계부를 두께가 얇게 성형함으로써 취약성이 부여된 것이다. 또한, 에어백 모듈(20)의 차량 전방면의 상부에는 차폭 방향의 전폭에 걸쳐 돌기형의 스토퍼(22a, 22b)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의 (b)에 도시하는 에어백(50)의 팽창 전개시에는 접혀서 수납되어 있는 에어백(50)에 인플레이터(29)에 의해 가스가 순간적으로 공급되고, 이 가스의 압력에 의해 모듈 커버(22)가 내측으로부터 밀어 올려진다. 그리고 그 압박력에 의해 상기 제2 티어 라인(27)이 파단면(27a, 27b)을 형성하면서 파단됨으로써, 에어백(50)이 위쪽으로 팽창 전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도면에서의 E부에서 상기 스토퍼(22a 및 22b)가 접촉함으로써, 모듈 커버(22)가 그 이상 잘 개방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모듈 커버(22)를 소정의 각도로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취약부로서의 티어 라인을 에어백 모듈의 상부 측면에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모듈 커버 표면의 외적 요인에 대한 터프니스(toughness)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예컨대 만일, 모듈 커버의 표면에 첨부물이나 흠집이 생긴 경우라도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는 영향을 끼치지 않고, 자동 이륜차에의 적용에 적합한 에어백 모듈 커버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 커버 표면에 티어 라인을 형성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모듈 커버 표면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티어 라인의 형상이나 구조, 설치 개수 등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가 자동 이륜차 이외의 차량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듈 커버 표면의 외적 요인에 대한 터프니스성을 각별히 향상시킬 수 있고, 자동 이륜차에의 적용에 적합한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모듈 커버의 표면에 첨부물이나 흠집이 생긴 경우라도 에어백의 팽창 전개에 영향을 끼치지 않고, 또한 모듈 커버 표면의 디자인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에어백 모듈 커버를 소정의 각도로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와 에어백을 연결하는 지지 벨트를 갖는 에어백 모듈에서도, 모듈 커버 표면의 터프니스성 등을 높인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삭제
삭제

Claims (3)

  1. 대략 직방체의 에어백 모듈에 적용되는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모듈의 4개 측면 중 차량 전방측의 측면을 제외한 3개 측면의 상부에 티어 라인(tear line)을 형성하며,
    상기 에어백 모듈 커버는, 상기 티어 라인의 파단에 의해 차량 전방측으로 전개되고, 상기 에어백 모듈 커버의 차량 전방측에는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에어백 모듈의 차량 후방측의 측면에 에어백과 차체를 연결하는 지지 벨트가 통과하는 슬릿부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티어 라인은, 상기 슬릿부를 제외한 차량 후방측 측면과, 차폭 방향의 양 측면의 3개소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
  2. 삭제
  3. 삭제
KR1020060083342A 2005-09-08 2006-08-31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 KR100861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0083A JP2007069792A (ja) 2005-09-08 2005-09-08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カバー構造
JPJP-P-2005-00260083 2005-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056A KR20070029056A (ko) 2007-03-13
KR100861974B1 true KR100861974B1 (ko) 2008-10-07

Family

ID=36954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342A KR100861974B1 (ko) 2005-09-08 2006-08-31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762440B1 (ko)
JP (1) JP2007069792A (ko)
KR (1) KR100861974B1 (ko)
CN (1) CN100462259C (ko)
AU (1) AU2006203451B2 (ko)
BR (1) BRPI0603689B1 (ko)
CA (1) CA2556978C (ko)
DE (1) DE602006000644T2 (ko)
ES (1) ES230228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2842B2 (ja) 2006-02-14 2011-06-1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
JP5032354B2 (ja) 2008-01-31 2012-09-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5604353B2 (ja) * 2011-03-31 2014-10-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及びエアバッグカバー
US11279429B2 (en) * 2018-04-27 2022-03-22 Honda Motor Co., Ltd. Airbag device for riding type vehic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090A (en) * 1996-07-25 1999-12-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device for a motorcycl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73251U (ko) * 1989-11-22 1991-07-24
JPH06344842A (ja) * 1993-06-02 1994-12-20 Mazda Motor Corp 車両のエアバッグ構造
JPH07291072A (ja) * 1994-04-26 1995-11-07 Toyoda Gosei Co Ltd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H08164814A (ja) * 1994-10-13 1996-06-25 Sensor Technol Kk バッグカバー
JP3685872B2 (ja) * 1996-06-11 2005-08-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におけるエアバッグの圧力調整装置
JP2003212075A (ja) 2002-01-24 2003-07-30 Mitsuboshi Belting Ltd エアバッグドアのティアライン構造
JP4129136B2 (ja) * 2002-03-01 2008-08-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
US7104566B2 (en) * 2002-04-25 2006-09-12 Delphi Technologies, Inc. Airbag module and cover arrangement
JP2004314811A (ja) * 2003-04-16 2004-11-11 Takata Corp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付オートバイ
JP4282065B2 (ja) * 2003-05-19 2009-06-17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US20040256843A1 (en) * 2003-06-23 2004-12-23 Toyoda Gosei Co., Ltd. Head-protecting airbag device
JP4368186B2 (ja) 2003-12-03 2009-11-18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リッド
JP4822777B2 (ja) * 2005-09-07 2011-11-2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付オートバ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7090A (en) * 1996-07-25 1999-12-28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ag device for a motorcy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2440A1 (en) 2007-03-14
CN100462259C (zh) 2009-02-18
KR20070029056A (ko) 2007-03-13
CA2556978A1 (en) 2007-03-08
CA2556978C (en) 2009-05-19
CN1927626A (zh) 2007-03-14
AU2006203451A1 (en) 2007-03-22
BRPI0603689A (pt) 2007-05-02
BRPI0603689B1 (pt) 2017-03-07
AU2006203451B2 (en) 2011-12-08
ES2302282T3 (es) 2008-07-01
JP2007069792A (ja) 2007-03-22
EP1762440B1 (en) 2008-03-05
DE602006000644T2 (de) 2009-03-26
DE602006000644D1 (de) 2008-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09941B2 (ja) 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取付構造
US11518467B2 (en) Air bag device for saddled vehicle
KR100795642B1 (ko) 에어백 지지 벨트 커버 구조
KR100888535B1 (ko) 차량용 에어백 모듈
CN110709315B (zh) 鞍乘型车辆的气囊装置
JP4129136B2 (ja) 自動二輪車
KR100861974B1 (ko) 에어백 모듈 커버 구조
US7934744B2 (en) Saddle-ride type vehicle
CN110678382B (zh) 鞍乘型车辆的气囊装置
JP2003285787A (ja) エアバッグ装置
US7744116B2 (en) Airbag system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orporating same
KR100808530B1 (ko) 에어백 지지 벨트 수납 구조
CN110691732B (zh) 鞍乘型车辆的气囊装置
JP2004314835A (ja) エアバッグ装置、エアバッグ装置付オートバイ
WO2019207780A1 (ja) 鞍乗り型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JP4052850B2 (ja) 小型車両におけるエアバッグ装置
US7789416B2 (en) Air bag module cover structure
EP3828065B1 (en) Saddle riding type vehicle comprising an airbag device
JP3739309B2 (ja) 自動二輪車用エアバッグ装置
EP3828066A1 (en) Airbag device for saddle-type vehicle
JP2006347501A (ja) エアバッグ装置
JPWO2019038986A1 (ja) 鞍乗り型車両のエアバッ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