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60120B1 - 방진부재 - Google Patents

방진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60120B1
KR100860120B1 KR1020070011587A KR20070011587A KR100860120B1 KR 100860120 B1 KR100860120 B1 KR 100860120B1 KR 1020070011587 A KR1020070011587 A KR 1020070011587A KR 20070011587 A KR20070011587 A KR 20070011587A KR 100860120 B1 KR100860120 B1 KR 100860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red
diameter
coil spring
vibration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73062A (ko
Inventor
권혁윤
주영길
변용태
Original Assignee
케미코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미코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케미코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1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0120B1/ko
Publication of KR20080073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73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0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0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Abstract

본 발명은 탄성재질인 한 쌍의 고무부재(10, 10)와 이들에 양단이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0)을 포함하고 있는 방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한 쌍의 고무부재(10, 10) 각각은,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대직경부(20a)가 외접되게 되는 제 1부분(11); 상기 제 1부분(11)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1부분(11)에 대하여 축소되어서 제 1단차부(d1)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부인 소직경부(20b)가 외접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부를 고정하게 되는 제 2부분(12); 상기 제 2부분(12)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단차부인 제 2부분(12)에 대하여 확대되어 제 2단차부(d2)를 형성하는 테이퍼부(13);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13)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테이퍼진 일부 테이퍼부(14)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하여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테이퍼부, 코일스프링, 단차부, 원통형부, 고무부재

Description

방진부재{member for reducing vibration}
도 1은 본 실시예의 방진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방진부재가 적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방진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전제품에 내장된 진동발생기와 가전제품의 외형틀 사이에 개재되는 방진부재에 관한 것이다.
가전제품은 선풍기, 냉장고, 산소발생기 등이 있다. 이러한 가전제품은 통상적으로 압축기, 전동모터 등을 내장하고 있다. 상기 압축기나 전동모터는 자체적으로 진동을 유발하여 이들을 내장하고 있는 가전제품의 프레임틀에 진동을 전달시켜 상기 가전제품이 전체적으로 떨리게 하여서 소음을 유발한다.
이러한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방진부재가 일예로서 한국실용신안공개공보 제1999-002716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된 방진부재는 압축기 측의 브래킷과 압축기 지지 베이스 측 브래킷을 고무 및 스프링을 개재시켜 이들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게 하면서 이들을 볼트와 너트에 의해 서로 결속시키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의 방진부재는 협소한 공간에서 그 상기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 지지 베이스 사이에 개재될 수 없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상기 고무의 중앙부과 스프링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볼트에 의해 압축기 측에서 발생하는 진동을 압축기 지지 베이스 측에 전달한다고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진동유발장치와 이 진동유발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될 수 있음과 동시에 진동유발장치의 진동을 확실하게 상기 진동유발장치의 지지 프레임에 전달되지 않게 하는 구조를 가진 방진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탄성재질인 한 쌍의 고무부재와 이들에 양단이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고 있는 방진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고무부재 각각은, 상기 코일스프링의 대직경부가 외접되게 되는 제 1부분; 상기 제 1부분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1부분에 대하여 축소되어서 제 1단차부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인 소직경부가 외접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단부를 고정하게 되는 제 2부분; 상기 제 2부분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단차부인 제 2부분에 대하여 확대되어 제 2단차부를 형성하는 테이퍼부;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테이퍼진 일부 테이퍼부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하여 일체로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방진부재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의 방진부재는 도 1에 부호 100으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방진부재(100)는 탄성재질인 한 쌍의 고무부재(10, 10)와 이들에 양단이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고무부재(10, 10) 각각은,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대직경부(20a)가 외접되게 되는 제 1부분(11); 상기 제 1부분(11)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1부분(11)에 대하여 축소되어서 제 1단차부(d1)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부인 소직경부(20b)가 외접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부를 고정하게 되는 제 2부분(12); 상기 제 2부분(12)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단차부인 제 2부분(12)에 대하여 확대되어 제 2단차부(d2)를 형성하는 테이퍼부(13);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13)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테이퍼진 일부 테이퍼부(14)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하여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부분(11)은 절두부(11a)가 스프링 측을 향하고 있는 제 1절두원추형부이고, 상기 제 2부분(12)은 상기 제 1부분(11)의 절두부(11a)의 반대측에 있는 대직경부(11b)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1원통형부이고, 상기 테이퍼부(13)는 절두부(13a)가 스프링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 2절두원추형부로서, 대직경부(13b)가 상기 제 1부분(11)의 대직경부(11b) 보다 작고 상기 제 2부분(12)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일부 테이퍼부(14)는 상기 절두부(13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제 1원통형부(14a)와 선단으로 갈 수로 축경되어 있는 제 2테이퍼부(14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 일부 테이퍼부(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유발장치(60)의 브래킷(30)과 이 진동유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4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P1, P2)을 관통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퍼부(13)는 상기 관통구멍(P1, P2)을 관통할 수 없는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관통구멍(P1, P2)을 관통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는 방진부재는 한 쌍의 고무부재(10, 10)의 제 1부분 및 제 2부분에 코일스프링(20)이 외접된 상태에서 한 쌍의 고무부재(10, 10)의 제 1단차부(d1)에 코일스프링의 양단을 감아서 코일스프링(20)과 한 쌍의 고무부재(10, 10)를 서로에 고정시킨 다음,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을 상기 진동유발장치의 브래킷(30)에 형성된 관통구멍(P1)을 통하여 밀어 넣으면, 테이퍼부(13)가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관통구멍(P1)을 관통하였다가 압축회복되어 상기 관통구멍(P1)이 상기 제 2부분에 외접되게 되어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이 상기 진동유발장치(60)의 브래킷(30)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게 되고, 그 다음 상기 방진부재의 다른 일단을 상기 진동유발장치(60)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40)에 형성된 관통구멍(P2) 을 통하여 밀어 넣으면, 테이퍼부(13)가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관통구멍(P2)을 관통하였다가 압축회복되어 상기 관통구멍(P2)이 상기 제 2부분에 외접되게 되어 상기 방진부재의 다른 일단이 상기 베이스(40)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1부분(11)의 외주부에는 별도의 실시예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방향으로 서로에 균등한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리브(L)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L)의 역할은 상기 제1부분(11)과 상기 코일스프링(20)과의 마찰에 의해 상기 제1부분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1부분(11)과 상기 코일스프링(20)과의 확실한 결합에 조력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방진부재에 의하면, 협소한 공간에서도 용이하게 진동유발장치와 이 진동유발장치를 지지하는 베이스 사이에 개재되게 장착될 수 있고, 진동유발장치의 진동을 오로지 코일스프링과 고무부재에 의해서만 방진하고 있기 때문에 확실하게 상기 진동유발장치의 지지 프레임에 전달되지 않게 할 수 있다.

Claims (5)

  1. 탄성재질인 한 쌍의 고무부재(10, 10)와 이들에 양단이 고정되어 이들 사이에 개재되는 코일스프링(20)을 포함하고 있는 방진부재로서,
    상기 한 쌍의 고무부재(10, 10) 각각은,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대직경부(20a)가 외접되게 되는 제 1부분(11); 상기 제 1부분(11)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제 1부분(11)에 대하여 축소되어서 제 1단차부(d1)를 형성하며,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부인 소직경부(20b)가 외접되어 상기 코일스프링(20)의 단부를 고정하게 되는 제 2부분(12); 상기 제 2부분(12)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제 1단차부인 제 2부분(12)에 대하여 확대되어 제 2단차부(d2)를 형성하는 테이퍼부(13); 그리고 상기 테이퍼부(13)의 선단에 기단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선단이 테이퍼진 일부 테이퍼부(14)를 동일한 축선 상에 배치하여 일체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 1부분(11)은 절두부(11a)가 스프링 측을 향하고 있는 제 1절두원추형부이고, 상기 제 2부분(12)은 상기 제 1부분(11)의 절두부(11a)의 반대측에 있는 대직경부(11b)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을 가진 제 1원통형부이고, 상기 테이퍼부(13)는 절두부(13a)가 스프링에 대하여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고 있는 제 2절두원추형부로서, 대직경부(13b)가 상기 제 1부분(11)의 대직경부(11b) 보다 작고 상기 제 2부분(12)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으며, 그리고 상기 일부 테이퍼부(14)는 상기 절두부(13a)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을 가진 제 1원통형부(14a)와 선단으로 갈 수로 축경되어 있는 제 2테이퍼부(14b)를 일체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일부 테이퍼부(14)는, 진동유발장치(60)의 브래킷(30)과 이 진동유발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베이스(40)에 각각 형성된 관통구멍(P1, P2)을 관통할 수 있는 크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테이퍼부(13)는 상기 관통구멍(P1, P2)을 관통할 수 없는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관통구멍(P1, P2)을 관통할 수 있으며,
    상기 관통구멍(P1)이 상기 제 2부분(12)에 외접되게 되어 상기 방진부재의 일단이 상기 진동유발장치(60)의 브래킷(30)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게 되고, 그리고 상기 관통구멍(P2)이 상기 제 2부분(12)에 외접되게 되어 상기 방진부재의 다른 일단이 상기 베이스(40)에 탄성적으로 고정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부재.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부분(11)의 외주부에는 둘레방향으로 서로에 균등한 거리를 두고 복수개의 리브(L)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진부재.
  5. 삭제
KR1020070011587A 2007-02-05 2007-02-05 방진부재 KR100860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587A KR100860120B1 (ko) 2007-02-05 2007-02-05 방진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1587A KR100860120B1 (ko) 2007-02-05 2007-02-05 방진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062A KR20080073062A (ko) 2008-08-08
KR100860120B1 true KR100860120B1 (ko) 2008-09-25

Family

ID=39882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587A KR100860120B1 (ko) 2007-02-05 2007-02-05 방진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60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136B1 (ko) * 2014-10-24 2016-06-08 주식회사 디지털플레이 멀티비전고정프레임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6272A (en) * 1976-12-17 1978-07-06 Hitachi Ltd Mount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dehydrator tank
JPS61188049A (ja) 1985-02-14 1986-08-21 Citizen Watch Co Ltd 背面加工装置付nc旋盤の制御方法
KR19990002716U (ko) * 1997-06-28 1999-01-25 윤종용 압축기의 방진부재
KR19990005910U (ko) * 1997-07-22 1999-02-18 윤종용 압축기의 방진부재
KR20050117395A (ko)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6272A (en) * 1976-12-17 1978-07-06 Hitachi Ltd Mounting position adjusting device of dehydrator tank
JPS61188049A (ja) 1985-02-14 1986-08-21 Citizen Watch Co Ltd 背面加工装置付nc旋盤の制御方法
KR19990002716U (ko) * 1997-06-28 1999-01-25 윤종용 압축기의 방진부재
KR19990005910U (ko) * 1997-07-22 1999-02-18 윤종용 압축기의 방진부재
KR20050117395A (ko) * 2004-06-10 2005-1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압축기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73062A (ko) 200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6092B2 (en) Motor mounting assembly with tunable vibration and noise reduction capabilities
CN107850066B (zh) 制冷剂压缩机
EP1548246A3 (en) Vibration damping mount and metal heat shield
JP6282916B2 (ja) 冷却ファンの取付構造
KR101519285B1 (ko) 차량용 토크로드
JP2009144888A (ja) 筒型防振マウント
KR100860120B1 (ko) 방진부재
JPWO2010137585A1 (ja) 防振装置
JP2007292187A (ja) 防振装置及び筒状防振部材
JP2010091014A (ja) 防振装置
CN206845424U (zh) 新能源车电动压缩机减震降噪结构
JP2015124712A (ja) 送風機
US20150323353A1 (en) Fiber optic sensing apparatus with an improved fiber-affixing device
JP2005147226A (ja) 減衰機能付き締結部材およびその締結部材を用いた防振装置
CN209767302U (zh) 电机组件
WO2004081406A3 (en) Coil spring and reciprocating compressor having the same
JP2010255799A (ja) 防振装置の支持構造
JP4417647B2 (ja) モータ取付構造
KR100538148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조명장치
CN207634228U (zh) 一种汽车起动机
KR20040100480A (ko) 발전기용 진동방지 밴드
KR100525717B1 (ko) 스타터 모터의 브러시홀더 어셈블리
JP5230520B2 (ja) 防振装置
JP6062253B2 (ja) 防振ブッシュ
KR100756206B1 (ko) 상이한 전위를 가지며 진동 부하를 받는 부품 연결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