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4945B1 - 전지 전극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지 전극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4945B1
KR100854945B1 KR1020067015413A KR20067015413A KR100854945B1 KR 100854945 B1 KR100854945 B1 KR 100854945B1 KR 1020067015413 A KR1020067015413 A KR 1020067015413A KR 20067015413 A KR20067015413 A KR 20067015413A KR 100854945 B1 KR100854945 B1 KR 10085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active
active material
core material
metal foil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54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9349A (ko
Inventor
노부히로 타즈오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아이에이치아이
Publication of KR2006012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3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compressing or compaction
    • H01M4/0435Rolling or calende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56/00Adhesive bonding and miscellaneous chemical manufacture
    • Y10T156/10Methods of surface bonding and/or assembly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3Electric condenser mak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08Electric battery cell making
    • Y10T29/49112Electric battery cell making including laminating of indefinite length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한 전지 전극판을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도, 프레스 롤의 표면의 마모량이 커지지 않도록 하여, 프레스 롤의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하고, 따라서, 프레스 롤 감삭의 회수 및 감삭량을 감소시켜 롤 보수비용을 삭감하는 동시에, 생산능률을 향상시킨다.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2)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3)이며, 인접하는 전극 활물질(2)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폭방향 단부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한다.
전지 전극판, 프레스 롤, 전극 활물질, 코어재

Description

전지 전극판 및 그 제조방법{Cell electrode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리튬전지 정극재와 같은 전지 전극은 종래, 알루미늄 호일 등의 금속 박 집전체인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상에 전극합제인 정극 활물질(LiCoO2)을 도포하여 건조시킨 후, 프레스 롤을 구비한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 상기 정극 활물질의 부피밀도를 높이는 것이 행하여지고 있다.
그리고, 금속 박으로로 만든 코어재에 정극 활물질과 같은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형성한 전지 전극판은 도 1,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 중, 1은 알루미늄 호일 등의 금속 박 집전체인 동일 폭의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2는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상하면에 면 형상으로 도포되어 건조된 정극 활물질 등의 전극 활물질이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및 전극 활물질(2)에 의해 전지 전극판(3)이 형성되어 있다. 전극 활물질(2)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치수로 불연속으로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은 W, 전극 활물질(2)의 폭은 Wo이다. 또,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 단부와 각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와의 사이의 치수 (W-Wo)/2는 동일 로트(lot)에서는 모두 같게 형성되어 있고,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는 전지 전극판(3)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고 있다.
도 1, 도 2에 도시하는 전지 전극판(3)을 롤 프레스장치의 프레스 롤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는 상태는 도 3, 도 4에 도시되어 있고, 도면 중, 4는 상하한 쌍의 프레스 롤(5, 6)을 구비한 롤 프레스장치이다. 전지 전극판(3)은 프레스 롤(5, 6) 사이를 통과할 때에 프레스 성형되고, 전극 활물질(2)은 압축되어 그 부피밀도가 향상된다.
또,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상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는 선행기술로서는 특허문헌1이 있고, 롤 프레스장치의 프레스 롤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 전극 활물질의 부피밀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선행기술로서는 특허문헌2가 있다.
특허문헌1: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9-274909호
특허문헌2:일본 공개특허공보 제(평)11-3701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도포된 전극 활물질(2)의 폭(Wo)은 동일 로트에서는 모두 동일 치수이며 또한 폭 단부의 위치는 전지 전극판(3)의 길이방향을 향하여 동일 직선형으로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롤 프레스장치(4)에 의한 프레스 성형시에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가 접촉하는 프레스 롤(5, 6)에 대한 위치도 프레스 롤(5, 6)의 폭 단부 위치와 가까운 동일 위치가 된다.
그런데, 건조한 전극 활물질(2)은 딱딱하기 때문에, 롤 프레스장치(4)에 의해 전지 전극판(3)의 프레스 성형을 하면,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 위치가 접촉하는 위치 X(도 4, 도 5 참조)에 있어서의 프레스 롤(5, 6)의 표면의 마모량이 커져(도 5에서는 프레스 롤(5)측만 도시), 전지 전극판(3)의 원활한 프레스 성형을 할 수 없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는 프레스 롤 감삭의 회수가 증대하여 롤 보수비용의 증대나 생산능률의 저하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사정은 특허문헌1에 개시하는 장치에 의해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고, 특허문헌2의 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도 동일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실정을 감안하여,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전지 전극판을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도, 프레스 롤의 축선방향 단부 근방 소정 위치에 있어서의 표면의 마모량이 커지지 않도록 하여, 프레스 롤의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하고, 따라서, 프레스 롤 감삭의 회수나 감삭량을 감소시켜 롤 보수비용을 삭감하는 동시에, 생산능률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의 일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II-II 방향에서 본 도면.
도 3은 전지 전극판을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는 상태를 도시하 는 측면도.
도 4는 도 3의 IV-IV 방향에서 본 도면.
도 5는 도 3, 도 4에 도시하는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였을 때의 프레스 롤의 마모상태를 도시하는 모식도.
도 6은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의 1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의 VII-VII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의 별도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의 더욱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2 : 전극 활물질(전극 활물질면)
3 : 전지 전극판
W1, W2, W3, W4, W5 : 폭
과제를 해결하기 위할 수단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이며,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 중 적어도 1개소의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른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와는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이며, 인접하는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 단부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은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다르게 할 수 있으며, 전극 활물질면 중 소정의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동일하게 하고, 다른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이며, 소정의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길이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이며, 상하의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은 상하면에 설치한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동일하게 할 수 있고, 상하면에 설치한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다르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이며,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 중 적어도 1개소의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른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와는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이며, 인접하는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 단부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적어도 상하 어느 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이며, 소정의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길이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은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상하면에,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이 설치된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이며, 상하의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설치한 전지 전극판을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도, 각 전극 활물질면의 폭 단부의 프레스 롤에 대한 접촉 위치가 여러가지가 되기 때문에, 전극 활물질면의 폭 단부에 의한 프레스 롤의 표면의 마모량이 커지지 않고, 따라서, 프레스 롤의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고, 따라서, 프레스 롤 감삭의 회수 및 감삭량이 감소함으로써, 롤 보수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능률이 향상된다고 하는 우수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 도 7은 본 발명의 1실시예이다. 도면 중, 도 1, 도 2와 동일한 부호를 붙인 부분은 동일물을 도시하고 있고,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의 것과 동일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특징으로 하는 바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2)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각기 다르게 하도록 하고 있는 점이다.
도 6에 있어서는 띠형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은 W이며, 또,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도포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2)의 폭은 상하면의 어디에 있어서나, 모두 Wo와 동일하다. 그러나, 각 전극 활물질(2)의 한쪽의 폭 단부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한쪽의 폭 단부간의 치수(A1, B1, C1, D1)는 각기 다르며, 또, 전극 활물질(2)의 다른쪽의 폭 단부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다른쪽의 폭 단부간의 치수(A2, B2, C2, D2)도 각기 다르다. 또, 전극 활물질(2)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상하 어느 면에만 도포하도록 하여도 좋다.
도 6에 있어서는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한쪽의 폭 단부와 전극 활물질(2)의 한쪽의 폭 단부와의 사이의 치수는 A1>B1, B1<C1, C1>D1로 형성되어 있고,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다른쪽의 폭 단부와 전극 활물질(2)의 다른쪽의 폭 단부와의 사이의 치수는 A2<B2, B2>C2, C2<D2로 형성되어 있다. 치수(A1, B1, C1, D1 및 A2, B2, C2, D2)는 전지 전극판(3)의 프레스 성형 후에 행하여지는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좌우 양측에서의 트리밍(trimming) 치수의 범위 내의 크기이며, 트리밍을 한 경우는 치수(A1, B1, C1, D1 및 A2, B2, C2, D2)는 영이 된다. 즉, 트리밍 후는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에는 전체 폭에 걸쳐 전극 활물질(2)이 도포된 상태가 되고, 전지 전극판(3)의 폭방향에서,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만의 부분이 없는 상태가 된다.
또,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 단부와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의 사이의 치수는 1로트에 있어서의 모든 전극 활물질(2)에 있어서 다르게 하도록 하여도 좋고, 혹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 단부와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와의 사이의 치수가 다른 복수의 전극 활물질(2)을 하나의 그룹으로 하고, 이 전극 활물질(2)의 그룹을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길이방향으로 반복하여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각 전극 활물질(2)의 폭(Wo)을 다르게 함으로써,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 단부와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의 사이의 치수를 다르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에 전극 활물질(2)을 도포한 전지 전극판(3)을 롤 프레스장치에 의해 프레스 성형하여도, 각 전극 활물질(2)에 있어서의 폭 단부의 프레스 롤 축선방향에 대한 접촉 위치가 여러가지가 된다. 이 때문에,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에 의한 프레스 롤의 표면의 마모량이 커지지 않고, 따라서, 프레스 롤의 수명의 장기화를 도모할 수 있으며, 따라서, 프레스 롤 감삭의 회수 및 감삭량이 감소함으로써, 롤 보수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능률이 향상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2) 중 소정의 전극 활물질(2)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길이방향 일단측에서의 폭을 W1,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길이방향 타단측에서의 폭을 W2로 하고, 다른 전극 활물질(2)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길이방향 일단측에서의 폭을 W3,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길이방향 중간부에서의 폭을 W4,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 길이방향 타단측에서의 폭을 W5로 하고, 각 폭(W1-W5)에 있어서,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 단부와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의 사이의 치수를 다르게 한 예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W1>W2, W3<W4<W5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전극 활물질(2)은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상하 양면에 도포하여도 좋고, 혹은 상하 어느 면에 도포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더욱 다른 실시예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상하 양면에 도포하는 전극 활물질(2)의 폭 단부 위치를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1)의 폭방향으로 엇갈리게 한 예이다. 이 경우에도, 상하면의 전극 활물질(2) 자체의 폭은 동일하여도 좋고, 혹은 다르게 하여도 좋으며, 또, 전지 전극판(3)의 길이방향의 어떤 위치에서, 상하면의 전극 활물질(2)의 폭을 동일하게 하고, 전지 전극판(3)의 길이방향의 다른 위치에서, 상하면의 전극 활물질(2)의 폭을 다르게 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는 도 6이나 도 8에 도시하는 실시예와 조합하면 좋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은 전지 정극(正極)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혹은 전지 부극(負極)에 적용하도록 하여도 실시 가능한 것, 그 외,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경을 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은 롤 보수비용을 삭감할 수 있는 동시에, 생산능률이 향상되도록, 전지 전극판을 제조할 때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3)

  1. 금속 박(metal foil)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 중 적어도 1개소의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른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와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
  2. 금속 박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 단부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동일하게 한, 전지 전극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다르게 한, 전지 전극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극 활물질면 중 소정의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동일하게 하고 다른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다르게 한, 전지 전극판.
  6. 금속 박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에 있어서,
    소정의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길이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
  7. 금속 박(metal foil)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에 있어서,
    상하의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르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하면에 설치한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동일하게 한 전지 전극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하면에 설치한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다르게 한, 전지 전극판.
  10. 금속 박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 중 적어도 1개소의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른 전극 활물질면에서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와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
  11. 금속 박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인접하는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 단부 위치를 서로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
  12. 금속 박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전극 활물질면의 폭을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의 길이방향 일단측과 타단측에서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
  13. 금속 박으로 만든 띠형의 코어재 및 코어재의 적어도 하나의 상하 면들의 길이방향으로 불연속으로 설치된 복수의 전극 활물질면들을 포함하는 전지 전극판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하의 전극 활물질면의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 폭방향에서의 폭 단부 위치를 다르게 하여 상기 금속 박으로 만든 코어재에 전극 활물질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전극판의 제조방법.
KR1020067015413A 2004-01-28 2005-01-25 전지 전극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549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19415 2004-01-28
JP2004019415A JP4784043B2 (ja) 2004-01-28 2004-01-28 電池電極板及び電池電極板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349A KR20060129349A (ko) 2006-12-15
KR100854945B1 true KR100854945B1 (ko) 2008-08-29

Family

ID=34823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5413A KR100854945B1 (ko) 2004-01-28 2005-01-25 전지 전극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3) US8007939B2 (ko)
EP (1) EP1722426B1 (ko)
JP (1) JP4784043B2 (ko)
KR (1) KR100854945B1 (ko)
CN (1) CN100461505C (ko)
DE (1) DE602005024113D1 (ko)
WO (1) WO20050740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40429B2 (en) 2010-07-16 2015-01-27 Apple Inc. Construction of non-rectangular batteries
US8592065B2 (en) * 2010-11-02 2013-11-26 Apple Inc. Rechargeable battery with a jelly roll having multiple thicknesses
JP5711031B2 (ja) * 2011-03-31 2015-04-30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塗布装置および塗布膜形成システム
JP5652385B2 (ja) * 2011-12-12 2015-01-1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電極体、二次電池、及び車両
US11319411B2 (en) 2012-04-11 2022-05-03 Ionic Materials, Inc. Solid ionically conducting polymer material
US11152657B2 (en) 2012-04-11 2021-10-19 Ionic Materials, Inc. Alkaline metal-air battery cathode
US9819053B1 (en) 2012-04-11 2017-11-14 Ionic Materials, Inc. Solid electrolyte high energy battery
US10559827B2 (en) 2013-12-03 2020-02-11 Ionic Materials, Inc. Electrochemical cell having solid ionically conducting polymer material
US11251455B2 (en) 2012-04-11 2022-02-15 Ionic Materials, Inc. Solid ionically conducting polymer material
EP3078069B9 (en) 2013-12-03 2021-05-19 Ionic Materials, Inc. Solid, ionically conducting polymer material, and applications
JP7109879B2 (ja) 2014-04-01 2022-08-01 イオニツク・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高容量高分子の陰極および該陰極を含む高エネルギー密度の再充電可能な電池
KR102608943B1 (ko) 2015-06-04 2023-11-30 아이오닉 머터리얼스, 인코퍼레이션 고체 상태 바이폴라 배터리
JP6944380B2 (ja) 2015-06-04 2021-10-06 イオニツク・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固体ポリマー電解質を含むリチウム金属バッテリー
US11342559B2 (en) 2015-06-08 2022-05-24 Ionic Materials, Inc. Battery with polyvalent metal anode
EP3304634B1 (en) 2015-06-08 2022-08-03 Ionic Materials, Inc. Battery having aluminum anode and solid polymer electrolyte
US20190013511A1 (en) * 2015-07-28 2019-01-10 Nec Energy Devices, Ltd. Electrode sheet manufacturing method
US9929393B2 (en) 2015-09-30 2018-03-27 Apple Inc. Wound battery cells with notches accommodating electrode connections
US10868290B2 (en) 2016-02-26 2020-12-15 Apple Inc. Lithium-metal batteries having improved dimensional stability and methods of manufacture
KR101998194B1 (ko) * 2016-06-13 2019-07-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 제조 장치 및 방법
JP7198762B2 (ja) 2017-01-26 2023-01-04 イオニツク・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ーテツド 固体高分子の電解質を含むアルカリ電池のカソード
EP3699982A4 (en) 2017-10-19 2021-07-28 NEC Energy Devices, Ltd. METHOD OF MANUFACTURING A COLLECTOR ELECTRODE SHEET, COLLECTOR ELECTRODE SHEET AND BATTERY
WO2019082575A1 (ja) * 2017-10-25 2019-05-02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集電体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圧縮ローラ、集電体電極シート、および電池
CN110329074B (zh) * 2019-07-09 2020-12-04 昆山宝创新能源科技有限公司 提高新能源汽车电池包安全性的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737A (ja) 1997-12-03 1999-07-09 Nec Moli Energy Canada Ltd カレンダー処理した両面セグメント被覆連続ウエブ
JP2000208134A (ja) 1998-11-12 2000-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62999A (ja) 2001-11-27 2003-06-06 Nec Corp 真空成膜装置および真空成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83910A (ja) * 1983-04-01 1984-10-19 Sumitomo Metal Ind Ltd インラインロ−ルの摩耗防止法
US5448901A (en) * 1994-05-03 1995-09-12 The University Of Toledo Method for controlling axial shifting of rolls
JPH08287953A (ja) 1995-04-17 1996-11-01 Toray Ind Inc 電 池
JPH09274909A (ja) 1996-04-03 1997-10-21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3614984B2 (ja) 1996-06-19 2005-01-26 株式会社東芝 シート状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これを用いた非水電解質電池
CA2207801C (en) * 1996-06-19 2004-03-30 Hideki Kaido Nonaqueous electrolyte battery
JPH1050300A (ja) * 1996-07-30 1998-02-20 Yamauchi Corp 薄層電極製造用プレスロール、該ロールを用いた薄層電極製造用プレス装置および同薄層電極の製造方法
JP4003268B2 (ja) * 1996-12-11 2007-11-07 宇部興産株式会社 電極シート及び電池
US6027835A (en) * 1996-12-11 2000-02-22 Fuji Film Celltec Co., Ltd. Cell electrode sheet with displaced electrode depolarizing mixes
JPH113701A (ja) 1997-06-09 1999-01-06 Asahi Chem Ind Co Ltd 電池電極の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JP3555387B2 (ja) 1997-06-25 2004-08-18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アキュムレータ
JPH11176424A (ja) 1997-12-10 1999-07-02 Mitsubishi Cable Ind Ltd 電池の極板テープの製造方法
US6423446B1 (en) * 1998-11-12 2002-07-23 Dai Nippon Printing Co., Ltd. Electrode plate for secondary battery with nonaqueous electrolyt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JP4043956B2 (ja) 2003-01-08 2008-02-0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池用電極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5737A (ja) 1997-12-03 1999-07-09 Nec Moli Energy Canada Ltd カレンダー処理した両面セグメント被覆連続ウエブ
JP2000208134A (ja) 1998-11-12 2000-07-28 Dainippon Printing Co Ltd 非水電解液二次電池用電極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162999A (ja) 2001-11-27 2003-06-06 Nec Corp 真空成膜装置および真空成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2005024113D1 (de) 2010-11-25
KR20060129349A (ko) 2006-12-15
US8007939B2 (en) 2011-08-30
EP1722426A1 (en) 2006-11-15
WO2005074057A1 (ja) 2005-08-11
EP1722426B1 (en) 2010-10-13
US20090148768A1 (en) 2009-06-11
JP4784043B2 (ja) 2011-09-28
US20110277287A1 (en) 2011-11-17
CN1914750A (zh) 2007-02-14
CN100461505C (zh) 2009-02-11
JP2005216577A (ja) 2005-08-11
US8377588B2 (en) 2013-02-19
US20110281158A1 (en) 2011-11-17
US8372538B2 (en) 2013-02-12
EP1722426A4 (en) 2007-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4945B1 (ko) 전지 전극판 및 그 제조방법
KR100810465B1 (ko) 전지 전극판 및 전지 전극판의 제조 방법
EP1879246B1 (en) Electrode mixture paste applying method and applicator
KR101255975B1 (ko) 전지용 전극박의 프레스 방법
JP5057726B2 (ja) リチウム二次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MX2014005145A (es) Rejilla de bateria con resistencia a la corrosion variada.
US20140242459A1 (en) Electrode for battery, battery, and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electrode for battery
US8883353B2 (en) Rolled electrode for a storage battery
EP1493201A2 (en) Battery separator with mud rest protectors
CN112004765A (zh) 膜褶皱去除滚转机
WO2017018347A1 (ja) 電極シートの製造方法
CN116666567A (zh) 极片、锂离子电池及其制备方法
JP7205724B2 (ja) 電極積層体の製造方法
KR101095345B1 (ko) 고에너지 밀도의 이차전지
CN206921942U (zh) 一种弧形锂离子电池的弯曲治具
JP2012146480A (ja) 電極の製造方法、電池用電極および電池
JP2002124252A (ja) 蓄電池用極板の製造方法
CN115020629B (zh) 辊压装置以及压实完毕带状电极板的制造方法
JP3743706B2 (ja) 電池電極切断装置
KR20240047611A (ko) 전극 압연 장치
JP2014017054A (ja) 電極の製造方法、電極及び蓄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