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994B1 -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 Google Patents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994B1
KR100852994B1 KR1020080021611A KR20080021611A KR100852994B1 KR 100852994 B1 KR100852994 B1 KR 100852994B1 KR 1020080021611 A KR1020080021611 A KR 1020080021611A KR 20080021611 A KR20080021611 A KR 20080021611A KR 100852994 B1 KR100852994 B1 KR 1008529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line casing
casing polyethylene
spac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희
김일진
Original Assignee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경인특수굴착(주)
호남지하개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경인특수굴착(주), 호남지하개발(주) filed Critical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1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9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9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99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H02G9/065Longitudinally split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2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 F16L1/038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in the ground the pipes being made in situ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00Laying or reclaiming pipes; Repairing or joining pipes on or under water
    • F16L1/024Laying or reclaiming pipes on land, e.g. above the ground
    • F16L1/06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 F16L1/065Accessories therefor, e.g. anchors fixed on or to vehic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력선을 지중에 매설하기 위한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은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2)과, 전력선(7)이 통과하도록 상기 관벽(2)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3) 및, 관벽(2)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 통로(3)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선(7)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4)로 구성되어 관벽(2)으로부터 전력선(7)이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내부 통로(3)를 통과하도록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은 현장조사 및 설계단계, 시작구 및 도달구 형성단계, 선단굴착공 형성단계, 확공단계,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를 포함하여,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 매설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설치하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2)과, 전력선(7)이 통과하도록 관벽(2)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3) 및, 관벽(2)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 통로(3)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력선(7)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4)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내부 통로(3)를 통과하는 각각의 전력선(7)이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에 형성된 간격재(4)에 의해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전력선(7)의 열화와 전력손실이 방지되도록 한다.

Description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A polyethylene pipe for power cable casing thereof and pipe pressing method of non-excavation type thereof}
본 발명은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내부에 관벽과 일체를 이루는 간격재가 형성되어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통과하는 전력선이 관벽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내부 통로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이 통과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매설하더라도 전력선의 열화와 전력손실이 방지되도록 하고, 별도의 관이격용 간격재나 블록의 사용없이 전력선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으로 압입하여 매설할 수 있게 되는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은 지면을 소정 깊이까지 굴착하여 공간을 확보한 후 지하구조물을 축조하여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매설한 후 지하구조물의 상부공간을 메워 원상복구하는 개착식 공법, 반발력을 지지하고 유압을 가하여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지중으로 압입하여 추진시키는 압입 공법 등에 의해 지중에 매설되게 된다.
이와 같은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과, 관벽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로 이루어져, 내부 통로로 전력선이 통과하게 된다.
여기서,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산업자원부 공고 2006-213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따르게 되는데, 특히,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다수개를 지중에 매설할 시에는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내부 통로를 통과하는 전력선의 열화와 전력손실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과 같이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 사이에 별도의 간격재(4')를 설치하여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이 서로 정해진 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도록 하였다.
즉, 종래에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86831호 "연결이 가능한 간격제"와 같은 관이격용 간격재를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사이에 설치하거나,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29604호 "지중케이블 보호블록"과 같은 관이격용 블록에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삽입하여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사이에 일정거리의 간격이 생기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관이격용 간격재와 블록을 사용할 경우 도 2와 같이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은 개착식 공법으로만 지중에 매설할 수 있어 비개착식 압입공법을 비롯한 다양한 공법의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 압입공법으로 지중에 매설하는 경우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이 지중으로 풀링되는 과정에서 높은 토압을 받게 되는데,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사이에 간격재를 설치하게 되면 간격재가 상기와 같은 높은 토압을 견디지 못하고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으로부터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간격재를 포함한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 압입공법으로 매설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내부에 관벽과 일체를 이루는 간격재가 형성되어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통과하는 전력선이 관벽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내부 통로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전력선이 통과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매설하더라도 전력선 간의 전력손실이 방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은 별도의 관이격용 간격재나 블록의 사용없이 전력선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으로 압입하여 매설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중에 설치되어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에 있어서,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2)과; 상기 전력선(7)이 통과하도록 상기 관벽(2)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3) 및; 상기 관벽(2)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내부 통로(3)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선(7)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4)를 포함하여, 상기 관벽(2)으로부터 상기 전력선(7)이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통로(3)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에서 상기 간격재(4)는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벽(2)과의 사이에 공간부(5)를 형성하며 상기 관벽(2)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에서 상기 간격재(4)는 상기 관벽(2)의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되, 내부 통로(3)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6)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은 지질분석, 작업현장의 지장물 매설위치와 작업수행에 필요한 제반 조건의 점검, 작업구간의 거리, 시작 지점과 도달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조사 및 설계 단계와; 작업설계를 기초로 시작지점과 도달지점에 터파기를 수행하여 정해진 크기의 시작구(18)와 도달구(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압입장비(10)를 이용하여 다수의 중공형 로드(16)를 연속적으로 연결해가면서 지하로 압입하되, 선단 로드의 앞쪽 끝에는 드릴비트(22)를 연결하여 추진시킴과 동시에 로드(16)내의 중공을 통하여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고압으로 공급·분사하면서 시작구(18)와 도달구(20) 사이의 지하를 관통하는 선단 굴착공(Pilot borehole)을 형성하는 단계와; 선단 굴착공 시공 후 선단 로드에 연결된 드릴비트(22)를 크기가 다른 확공기로 교체해가면서 토굴내부가 원하는 관경에 도달될 때까지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공급·분사하면서 반복적으로 확공하는 확공단계와; 반복된 확공작업에 의하여 토굴내부가 원하는 관경에 도달하면, 도달구(20)쪽에서 최종 확공기의 뒤에 설치된 당김고리부(24)와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한 쪽 끝부분에 설치된 연결고리부(32)를 와이어로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시작구(18)쪽으로 당겨 토굴내부로 인입시키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Pulling)단계를 포함하여, 전력선, 통신선과 같이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 매설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설치하되,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2)과, 상기 전력선(7)이 통과하도록 상기 관벽(2)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3) 및, 상기 관벽(2)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내부 통로(3)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선(7)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4)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개의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내부 통로(3)를 통과하는 각각의 전력선(7)이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에 형성된 상기 간격재(4)에 의해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전력선(7)의 열화와 전력손실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 의하면,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통과하는 전력선이 관벽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내부 통로를 통과함으로써 전력선이 통과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매설하더라도 전력선의 열화와 전력손실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별도의 간격재나 블록의 사용없이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으로 압입하여 매설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사이에 간격재가 설치되는 것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2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이 간격재를 매개로 서로 이격되어 개착식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사진;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단면도;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엠지공법(P.M.G공법)에서 드릴비트를 이용하여 선단 굴착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엠지공법(P.M.G공법)에서 드릴비트 대신 확공기를 장착하여 선단 굴착공을 확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피엠지공법(P.M.G공법)에서 확공기의 후단에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연결하여 풀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2 : 관벽
3 : 내부 통로 4, 4' : 간격재
5 : 공간부 6 : 곡면
7 : 전력선
10 : 압입장비 12 : 추진구동부
14 : 드라이브척 16 : 로드
18 : 시작구 20 : 도달구
22 : 드릴비트 24 : 당김고리부
26 : 확공기 26a : 분사공
28 : 연결축 32 : 연결고리부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6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도면과 상세한 설명에서 일반적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도시 및 언급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였다. 특히 도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 않는 요소의 구체적인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는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기술적 구성만을 간략하게 도시하거나 설명하였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이 지중에 매설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서 드릴비트를 이용하여 선단 굴착공을 형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서 드릴비트 대신 확공기를 장착하여 선단 굴착공을 확공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며, 도 6의 (c)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서 확공기의 후단에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연결하여 풀링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은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매설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력선의 매설과 같이 전기와 관련된 기술은 현재 산업자원부 공고 2006-213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따르게 되는데, 상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제141조의 규정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 사이에 간격을 두는 종래와 달리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내부에 간격재(4)가 형성되도록 하는데, 이에 따라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서로 이격시키는 번거로운 과정없이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밀착시켜 지중에 매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일반적으로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2)과, 관벽(2)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3)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전력선(7)이 내부 통로(3)를 통과하는 것으로, 전력선(7)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4)가 관벽(2)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격재(4)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내부 통로(3)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력선(7)이 관벽(2)으로부터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내부 통로(3)를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도 3의 (a)와 (b)와 같이 간격재(4)가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관벽(2)과의 사이에 공간부(5)를 형성하며 관벽(2)과 일체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간격재(4)는 내부 통로(3)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6)을 가진 형상으로 관벽(2)의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도록 하여 내부 통로(3)를 통과하는 전력선(7)이 간격재(4)에 접촉할 시 전력선(7)의 손상이 방지되면서 안정되게 접촉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간격재(4)의 볼록하게 돌출된 곡면(6)을 따라 원통형의 얇은 내피가 형성되도록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제조할 수도 있다.
상기와 달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도 3과 같이 간격재(4)와 관벽(2) 사이에 공간부(5)가 형성되지 않도록 간격재(4)를 블록의 형태로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압출, 사출 등에 의한 방법으로 성형되는데, 간격재(4)와 관벽(2)에 해당되는 부분이 일체를 이루도록 다이(die)나 금형(mold)을 형성하여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간격재(4)와 관벽(2)이 일체로 성형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간격재(4)에 의해 관벽(2)으로부터 전력선(7)이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내부 통로(3)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도 5와 같이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매설하게 되더라도 각각의 전력선(7) 간의 전력손실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은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비개착식으로 압입하여 지중에 매설하는 공법에 적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은 현장조사 및 설계 단계, 시작구 및 도달구 형성단계, 선단 굴착공 형성단계, 확공단계,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현장조사 및 설계 단계는 작업현장의 지장물 매설위치, 지질분석 등 작업수행에 필요한 제반 조건을 점검하고 작업구간의 거리, 시작 지점과 도달지점의 위치정보 등 각종 데이터를 수집하는 단계이다.
시작구 및 도달구 형성단계는 작업설계를 기초로 시작지점과 도달지점에 터파기를 수행하여 정해진 크기의 시작구(18)와 도달구(20)를 형성하는 단계이다.
선단 굴착공 형성단계는 도 6의 (a)와 같이 압입장비(10)를 이용하여 다수의 중공형 로드(16)를 연속적으로 연결해가면서 지하로 압입하되, 선단 로드의 앞쪽 끝에는 드릴비트(22)를 연결하여 추진시킴과 동시에 로드(16)내의 중공을 통하여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고압으로 공급·분사하면서 시작구(18)와 도달구(20) 사이의 지하를 관통하는 선단 굴착공(Pilot borehole)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확공단계는 도 6의 (b)와 같이 선단 굴착공 시공 후 선단 로드에 연결된 드릴비트(22)를 크기가 다른 확공기로 교체해가면서 토굴내부가 원하는 관경에 도달될 때까지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공급·분사하면서 반복적으로 확공하는 단계이다.
전력선 케이블 폴리에틸렌 풀링(Pulling)단계는 도 6의 (c)와 같이 반복된 확공작업에 의하여 토굴내부가 원하는 관경에 도달하면, 도달구(20)쪽에서 최종 확공기의 뒤에 설치된 당김고리부(24)와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한 쪽 끝부분에 설치된 연결고리부(32)를 와이어로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시작구(18)쪽으로 당겨 토굴내부로 인입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은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에서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설치하게 되는데, 지중에 설치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2)과, 전도체()가 통과하도록 관벽(2)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3) 및, 상기 관벽(2)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내부 통로(3)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력선(7)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4)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사용함으로써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의 내부 통로(3)를 통과하는 각각의 전력선(7)이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에 형성된 간격재(4)에 의해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게 되어 각각의 전력선(7)의 열화와 전력손실이 방지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에서는 종래와 달리 별도의 관이격용 간격재나 블록의 사용없이 전력선(7)이 통과하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비개착식으로 압입하여 매설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은 비개착식 압입공법의 하나인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7-0101282호 "피엠지공법 및 그를 위한 시공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피엠지공법(P.M.G공법)은 전력관, 통신관, 가스관, 상하수도관 등의 매설목적관을 시공장소에 비개착으로 매설하는 시공방법으로서 다수개의 매설목적관에 대한 매설작업의 효율을 높이고, 매설작업시 발생되는 벤토나이트 오니를 재활용하여 벤토나이트 오니의 처리비용을 절감하는 동시에 환경상의 문제점을 해결하며, 매설목적관이 매설된 후 발생되는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현장조사 및 설계 단계, 시작구 및 도달구 형성단계, 선단 굴착공 형성단계, 확공단계, 벤토나이트 재활용단계, 매설목적관 풀링단계, 벤토나이트 재처리단계, 고화제 분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벤토나이트 재활용단계는 상기 확공단계에서 시작구(18)와 도달구(20)에 채워지는 벤토나이트 오니를 벤토나이트 오니 재활용 기계를 사용하여 외부로 펌핑한 후 재처리하여 재활용하는 단계이고, 고화제 분사단계는 압입장비(10)의 추진구동부(10)에 드라이브척(14) 대신 고화제 분사용 드라이브척을 장착하고, 선단 로드에 고화제 전용 분사관을 연결한 후 외부의 고화제 믹싱탱크로부터 펌핑된 고화제를 토굴내부로 공급분사하는 단계이다.
이와 같은 피엠지공법에서도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에서 본 발명에 따른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1)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4)

  1. 지중에 설치되어 전력선이 통과하게 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에 있어서,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과;
    상기 전력선이 통과하도록 상기 관벽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 및;
    상기 관벽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내부 통로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선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를 포함하여,
    상기 관벽으로부터 상기 전력선이 정해진 거리만큼 내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내부 통로를 통과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볼록한 호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관벽과의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상기 관벽과 일체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재는 상기 관벽의 내면 둘레를 따라 다수개가 형성되되, 내부 통로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곡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4. 지질분석, 작업현장의 지장물 매설위치와 작업수행에 필요한 제반 조건의 점검, 작업구간의 거리, 시작 지점과 도달지점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를 수집하는 현장조사 및 설계 단계와;
    작업설계를 기초로 시작지점과 도달지점에 터파기를 수행하여 정해진 크기의 시작구(18)와 도달구(20)를 형성하는 단계와;
    압입장비(10)를 이용하여 다수의 중공형 로드(16)를 연속적으로 연결해가면서 지하로 압입하되, 선단 로드의 앞쪽 끝에는 드릴비트(22)를 연결하여 추진시킴과 동시에 로드(16)내의 중공을 통하여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고압으로 공급·분사하면서 시작구(18)와 도달구(20) 사이의 지하를 관통하는 선단 굴착공(Pilot borehole)을 형성하는 단계와;
    선단 굴착공 시공 후 선단 로드에 연결된 드릴비트(22)를 크기가 다른 확공기로 교체해가면서 토굴내부가 원하는 관경에 도달될 때까지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공급·분사하면서 반복적으로 확공하는 확공단계와;
    반복된 확공작업에 의하여 토굴내부가 원하는 관경에 도달하면, 도달구(20)쪽에서 최종 확공기의 뒤에 설치된 당김고리부(24)와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한 쪽 끝부분에 설치된 연결고리부(32)를 와이어로 서로 연결한 상태에서 시작구(18)쪽으로 당겨 토굴내부로 인입시키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Pulling)단계를 포함하여,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비개착식 매설하기 위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풀링단계는 다수개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을 서로 밀착시켜 지중에 설치하되,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은 정해진 두께를 가지는 관벽과, 상기 전도체가 통과하도록 상기 관벽 내측 공간에 형성되는 내부 통로 및, 상기 관벽의 내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내부 통로로 돌출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전력선이 접촉하게 되는 간격재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수개의 상기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내부 통로를 통과하는 각각의 전력선이 각각의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에 형성된 상기 간격재에 의해 정해진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의 전력선의 열화와 전력손실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KR1020080021611A 2008-03-07 2008-03-07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KR1008529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611A KR100852994B1 (ko) 2008-03-07 2008-03-07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611A KR100852994B1 (ko) 2008-03-07 2008-03-07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994B1 true KR100852994B1 (ko) 2008-08-19

Family

ID=3987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611A KR100852994B1 (ko) 2008-03-07 2008-03-07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99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483A (ja) * 1999-09-14 2001-03-27 Osaka Gas Co Ltd 冷熱発生機能付き液化ガス気化設備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81483A (ja) * 1999-09-14 2001-03-27 Osaka Gas Co Ltd 冷熱発生機能付き液化ガス気化設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실용신안공보20-018148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67203B (zh) 用于将地下电缆或地下管线近表面地敷设在地下的系统和方法
KR100967308B1 (ko)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BRPI0711069A2 (pt) processo e dispositivo para instalação sem valas de tubulações
US8277147B2 (en) Method for replacing pipes, and apparatus therefor
CN105673935A (zh) 裂插法地下管线更换方法
US20220263306A1 (en) System and method for new cable provisioning utilizing buried cable
KR100790547B1 (ko) 강관 추진 공법을 위한 추진기지 구축방법
KR100628432B1 (ko) 비개착 중구경 관로 건설공법
KR100852994B1 (ko)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JP2005097843A (ja) 既存構造物の被圧水下の基礎補強方法
CN210106788U (zh) 一种圆形沉井的顶管结构
KR101186482B1 (ko) 지하 매설관 비굴착 교체방법
KR101583366B1 (ko) 파이프 지중 압입 시공용 구조물
JP3425117B2 (ja) 管埋設推進工法
KR101193086B1 (ko) 풀링폴리셔를 이용한 해저관로 매설공법
JP5865991B1 (ja) 管きょ更生における取付管穿孔方法
EP1803892B1 (en) Fast laying method for pipes/infrastructures/cables for underground services
CN210034629U (zh) 一种非开挖施工顶管
CN215859994U (zh) 一种凿岩钻机钻头多管引导装置
KR100585430B1 (ko) 관추진 막장 흙막이공법
KR100668121B1 (ko)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KR101178447B1 (ko) 간격유지재를 이용한 케이블 이격 매립공법
KR100413395B1 (ko) 마찰 감쇠용 장치
US20120063264A1 (en) Method for the Emplacement of a Sensor in Soil for Sensing Seismic Activity
JP2760754B2 (ja) ケーブル用地下管路内からアース棒を突出設置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に使用するアース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