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8121B1 -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8121B1
KR100668121B1 KR1020050046331A KR20050046331A KR100668121B1 KR 100668121 B1 KR100668121 B1 KR 100668121B1 KR 1020050046331 A KR1020050046331 A KR 1020050046331A KR 20050046331 A KR20050046331 A KR 20050046331A KR 100668121 B1 KR100668121 B1 KR 1006681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drilling
construction
fluid
perfo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6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4413A (ko
Inventor
정재경
Original Assignee
정재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경 filed Critical 정재경
Priority to KR1020050046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8121B1/ko
Publication of KR20060124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44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8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8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7/00Special methods or apparatus for drilling
    • E21B7/18Drilling by liquid or gas jets, with or without entrained pelle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1/00Percussion drilling
    • E21B1/02Surface drives for drop hammers or percussion drilling, e.g. with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5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material of the contacting members
    • H01R4/66Connections with the terrestrial mass, e.g. earth plate, earth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시설물의 접지를 위하여 지면 아래에 접지용 금속봉을 시공하기 위한 타공 작업에 이용되며, 특히 접지용 금속봉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는, 타공용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해 지면 아래쪽으로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타공하는 장치로서,
펌프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타공용 유체를 공급받는 관로를 가지며 이 관로 구간이 위아래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체와, 상기 관로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체의 아래쪽을 향하여 타공용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홀들과, 상기 하우징체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타공 작업 중에 지면 아래쪽의 타공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한다.
배전반, 접지 시공, 접지용 금속봉, 타공용 유체, 작업 공정 및 시간 단축

Description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drive a earth-rod into the groun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하우징체 내부의 관로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의 다른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방법의 바람직한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배수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5의 가이드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5의 매립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접지봉을 고정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상(路上)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시설물의 접지를 위하여 지면 아래에 접지용 금속봉을 시공하기 위한 타공 작업에 이용되며, 특히 접지용 금속봉을 시공하기 위한 작업 공정이 간단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노상에 설치되는 가로등이나 배전반과 같은 각종 전기시설물에는 낙뢰(落雷)나 써지(surge)로부터 전기적 안정성을 확보하고 누전(漏電)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접지용 봉이 함께 시공된다.
이 접지용 봉은 동(銅) 계열의 금속봉이 사용되며, 이 접지용 금속봉은 상기 시설물과 어스선 등으로 접지가 가능하게 연결된 상태로 지면 아래쪽에 매립 시공된다.
이와 같이 접지용 금속봉을 설치하는 작업은, 여러명의 작업자가 상기 시설물들의 설치 지점으로부터 이격된 임의의 지점에서 삽과 같은 각종 수작업용 도구를 이용하여 지면 아래쪽으로 직접 땅을 일정한 깊이로 파서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고, 이 확보된 공간에 접지용 금속봉을 끼워지서 매립 설치하는 방법에 의해 접지 시공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지봉 시공 방법은, 수작업에 의해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지면에서부터 대략 1.5m 이상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작 업이 어렵고 과다한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모든 공정들이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작업 규모에 비하여 과다한 인건비가 지출된다.
이러한 시공 상의 문제들을 해소하기 위하여 지면 아래쪽을 향하여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회전하는 스크류에 의해 자동으로 타공하는 설비가 사용되기도 하지만 이 설비는 지면 아래에 매립된 각종 전기 및 통신용 케이블들의 파손을 유발하는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지용 금속봉의 시공을 위한 공정 및 작업이 간단하고 특히 타공용 유체를 이용하여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용이하게 타공할 수 있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타공용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해 지면 아래쪽으로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타공하는 장치로서,
펌프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타공용 유체를 공급받는 관로를 가지며 이 관로 구간이 위아래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체;
상기 관로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체의 아래쪽을 향하여 타공용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홀들;
상기 하우징체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타공 작업 중에 지면 아래쪽의 타공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카 메라를 포함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지점에서 타공용 유체의 배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
배수 공간의 바닥면 아래쪽을 향하여 타공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
가이드 통로를 통하여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매립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
매립 통로 내부에 접지용 금속봉을 고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의 전체 구조 및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2는 하우징체를 지칭한다.
상기 하우징체(2)는 위아래로 연장된 내부 공간을 가지며 도면에서와 같이 원통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충격이나 각종 진동 등에 의해 휨이 발생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고강도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체(2)의 위쪽에는 작업자가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타공 작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핸들(4)이 설치될 수 있다. 이 핸들(4)은 원활한 타공 작업을 위하여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하우징체(2)의 내부 공간에는 타공용 유체(W)의 분사를 위한 유로 구간을 갖는 유체 관로(6)가 형성된다.
상기 관로(6)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체(2)에서 위아래 방향으로 연장되고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체(2)의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이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체 관로(6)의 배출 구간측에는 타공용 유체(W)가 분사되기 위한 제1 노즐홀(N1)들과 제2노즐홀(N2)들이 형성되며, 상기 제1노즐홀(N1)들은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유체 관로(6)의 아래쪽에 적어도 2개 이상이 이격되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제2노즐홀(N2)들은 상기 제1노즐홀(N1)들의 위쪽에 위치된다.
상기 제2노즐홀(N2)들은 상기 하우징체(2)의 측벽을 관통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아래쪽을 향하여 경사지게 관통 형성되어 도 1에서와 같이 각종 전기시설물(B)의 접지를 위하여 접지용 금속봉(R)이 설치되기 위한 타공 공간(G)을 형성하는 작업을 할 때에 상기 하우징체(2)의 원주방향 외측을 향하여 퍼지는 상태로 분사된다.
상기 유체 관로(6)는 펌프(P)와 연결되어 이 펌프(P)의 구동에 의한 펌핑 압력으로 타공용 유체(W)를 공급받는다. 상기 펌프(P)는 이미 잘 알려진 유체 펌프가 사용되며, 상기 타공용 유체(W)는 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체(2)에는 상기 유체 관로(6)의 배출측에 대응하여 타공 상태의 식별이 가능하도록 도 2에서와 같이 카메라(8)가 설치된다. 이 카메라(8)는 상기 하우징체(2) 내부 공간에서 상기 유체 관로(6)의 배출측 전방을 향하여 도면에서와 같은 자세로 고정된다.
상기 카메라(8)는 방수 기능을 갖는 마이크로 카메라가 사용되며 모니터(M)와 연결되어 이 모니터(M)를 통하여 이미지 신호가 이미 잘 알려진 방법으로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타공 작업 중에 타공 방향의 전방측이 상기 모니터(M)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되므로 예를들어, 타공 지점의 아래에 설치된 각종 전기 및 통신용 케이블들의 매립 상태 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는 상기 하우징체(2)를 타공 작업이 가능한 자세로 지지하기 위한 거치대(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거치대(12)는,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하우징체(2) 외주면 일측을 감싸는 상태로 지지 가능한 홀더(14)와, 이 홀더(14)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한 지지구(16)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홀더(14)는 이미 잘 알려진 볼 조인트 형태로 상기 지지구(16)들과 연결되어 상기 홀더(14)에 지지되는 상기 하우징체(2)의 타공 자세를 용이하게 전환 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는, 도 4에서와 같이 타공용 유체(W)의 분사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노즐캡(18)을 더 포함한다.
상기 노즐캡(18)은 상기 하우징체(2)의 아래쪽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며 상기 제1노즐홀(N1)들을 통하여 분사되는 타공용 유체(W)를 측방향으로 분사하기 위한 가이드 구간을 가지는 가이드홀(N3)들이 도면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상기 노즐캡(18)은 접지용 금속봉(R)이 설치되기 위한 적어도 2개 이상의 타공 공간(G)이 도 4에서와 같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들 공간(G)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H)를 타공하는 작업에 사용된다. 이 통로(H)는 상기 각각의 공간(G)들에 설치되는 접지용 금속봉(R)들을 접지 상태로 연결하기 위한 어스선이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전체 공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이러한 공정은,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지점에서 타공용 유체의 배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S1), 배수 공간의 바닥면 아래쪽을 향하여 타공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S2), 가이드 통로를 통하여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매립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S3), 매립 통로 내부에 접지용 금속봉을 고정하는 공정(S4)을 포함한다.
먼저, 상기 배수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S1)은, 도 6에서와 같이 배전반과 같 은 전기시설물(B)과 인접한 임의의 타공 지점에 타설된 아스팔트나 시멘트 포장층(L1)을 타공하여 일정한 크기의 배수 공간(G1)을 도면에서와 같이 확보한다.
상기 배수 공간(G1)은 도면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코어 드릴(core drill)과 같이 별도의 타공용 장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수 공간(G1)에는 도 6에서와 같이 타공용 유체(W)가 담겨지기 위한 드레인 케이스(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케이스(20)는 도면에서와 같이 상측이 개구된 일정한 크기의 저장 공간을 가지며 위쪽 테두리에는 플랜지 형태의 걸림부(22)가 형성되고, 바닥면에는 상기 하우징체(2)가 관통할 수 있는 홀(24)이 형성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드레인 케이스(20)는 접지용 금속봉(R)의 시공을 위한 타공 작업시에 지면 위로 역류되는 타공용 유체(W)가 그대로 담겨지므로 이 타공용 유체(W)가 상기 배수 공간(G1)에 스며들면서 타공 지점의 지반이 약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S2)은, 상기 드레인 케이스(20)의 홀(24)에 상기 하우징체(2)를 삽입시킨 상태에서 펌프(P)의 구동에 의해 분사되는 타공용 유체(W)를 이용하여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배수 공간(G1)의 바닥면 아래쪽으로 가이드 통로(G2)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가이드 통로(G2)에는 상기 하우징체(2)의 진행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관(26)을 도면에서와 같이 설치한다.
상기 가이드 통로(G2)는 상기 드레인 케이스(20)의 바닥면 아래쪽으로 대략 40 내지 50㎝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26)은 상기 하우징체(2)에 대응하여 외주 전체 둘레를 감쌀 수 있는 크기로 관통된 내부 공간을 갖는 원통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관(26)은 내구성 및 내마모성 등이 우수한 금속재질의 관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하우징체(2)의 전체 길이에 대응하여 일부 구간의 가이드가 가능한 길이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관(26)은 상기 하우징체(2)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 하우징체(2)의 타공 방향을 가이드함과 아울러 타공용 유체(W)의 분사 압력이나 역류 현상 등에 의해 타공되는 공간의 측벽면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매립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S3)은 상기와 같이 가이드 통로(G2)측에 상기 가이드관(26)이 설치된 상태에서 진행된다.
즉, 상기 가이드관(26) 내부에 상기 하우징체(2)가 도 8에서와 같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체(2)의 아래쪽의 제노즐홀(N1)들과 제2노즐홀(N2)들을 통하여 타공용 유체(W) 분사되면서 상기 가이드 통로(G2)의 아래쪽으로 매립 통로(G3)가 도 9에서와 같이 형성된다. 이 매립 통로(G3)는 지면에서 대략 70 내지 80㎝ 범위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타공 작업시에 상기 하우징체(2)의 아래쪽 단부에는 카메라(8)가 설치되므로 예를들어, 상기 가이드 통로(G2)나 매립 통로(G3)를 타공할 때에 지중에 배선된 각종 케이블의 매립 상태는 물론이거니와 암반(巖盤) 등의 유무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타공 작업들은 상기 하우징체(2) 내부의 관로(6)를 거치면서 제1 및 제2노즐홀(N1, N2)들을 통하여 분사되는 타공용(W)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해 도 9에서와 같이 접지용 금속봉(R)이 설치되기 위한 타공 공간(G)이 형성되므로 작업이 간단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상기 접지봉을 매립 고정하는 공정(S4)은, 상기 타공 공간(G) 내부에 접지봉(R)을 도 9에서와 같이 셋팅한 상태에서 상기 공간(G)의 틈새를 되메우는 작업에 의해 접지봉(R)을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각각의 과정을 거쳐서 배전반과 같은 각종 전기시설물(B)의 인접 지점의 바닥면에 도 1에서와 같이 접지용 금속봉(R)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며, 이 접지용 금속봉(R)은 상기 전기시설물(B)과 접지가 가능하도록 어스선 등으로 연결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은, 타공용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해 노상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시설물의 접지를 위한 접지용 금속봉이 시공되기 위한 타공 공간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타공 작업시에 작업자가 각종 케이블과 같은 지하매설물의 매립 여부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접지용 금속봉을 시공하기 위한 공정 및 작업이 간단하고 이에 소요되는 시간 등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7)

  1. 타공용 유체의 분사 압력에 의해 지면 아래쪽으로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타공하는 장치로서,
    펌프와 같은 구동원으로부터 타공용 유체를 공급받는 관로를 가지며 이 관로 구간이 위아래로 연장 형성된 하우징체;
    상기 관로의 배출측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체의 아래쪽을 향하여 타공용 유체를 분사하기 위한 다수개의 노즐홀들;
    상기 하우징체 내부에 배치되며 외부의 디스플레이장치와 연결되어 이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하여 타공 작업 중에 지면 아래쪽의 타공 상태를 식별하기 위한 카메라를 포함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노즐홀들은, 상기 관로의 배출측에서 타공용 유체가 상기 하우징체의 아래쪽을 향하여 직선 또는 경사지게 분사될 수 있는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는, 상기 관로의 배출측에서 분사되는 타공용 유체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노즐캡을 더 포함하며,
    상기 노즐캡은, 접지용 금속봉의 시공을 위한 타공 공간 내부에서 이 공간을 가로지르는 수평 방향으로 타공용 유체의 분사가 가능하도록 노즐홀들이 형성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는, 상기 하우징체의 타공 자세를 가이드하기 위한 거치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는, 상기 하우징체의 외주 일측을 감싸는 홀더와, 이 홀더를 지면에서 자세 전환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구를 포함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5.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지점에서 타공용 유체의 배수를 위한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
    배수 공간의 바닥면 아래쪽을 향하여 타공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
    가이드 통로를 통하여 접지용 금속봉이 설치되기 위한 매립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
    매립 통로 내부에 접지용 금속봉을 고정하는 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배수 공간을 확보하는 공정은, 배수 공간 내부에 타공용 유체가 담겨지기 위한 드레인 케이스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방법.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통로를 타공하는 공정은, 가이드 통로 내측에 상기 하우징체의 타공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관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방법.
KR1020050046331A 2005-05-31 2005-05-31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KR1006681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31A KR100668121B1 (ko) 2005-05-31 2005-05-31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6331A KR100668121B1 (ko) 2005-05-31 2005-05-31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13A KR20060124413A (ko) 2006-12-05
KR100668121B1 true KR100668121B1 (ko) 2007-01-11

Family

ID=377291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6331A KR100668121B1 (ko) 2005-05-31 2005-05-31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681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536B1 (ko) 2008-04-18 2010-05-18 이수규 접지봉 매립 및 접지저감제 투입을 위한 천공용 스크류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8536B1 (ko) 2008-04-18 2010-05-18 이수규 접지봉 매립 및 접지저감제 투입을 위한 천공용 스크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4413A (ko) 2006-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9962B1 (ko) 파일을 이용한 지중벽체 시공방법
US6698976B1 (en) Grouting pipe equipment and method of grouting using the same for an underground water well
JP2001115458A (ja) 土留め壁を用いた深井戸構築工法
KR100668121B1 (ko) 접지봉 시공을 위한 타공장치 및 방법
JP6617531B2 (ja) 注入管および既設矢板の引抜き方法
KR101507142B1 (ko) 시추공 보호용 스프링형 탄성 스트레이너 키트 장치
KR102631023B1 (ko) 전주용 접지봉과 그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2005120622A (ja) 地下構造物の施工法
KR19980087592A (ko) 지하수 심정용 그라우팅 파이프 장치 및 그라우팅 방법
KR101515229B1 (ko) 시추공 보호용 스트레이너 키트장치
KR102234635B1 (ko) 접지극 삽입공법
US7235961B1 (en) Method for managing corrosion of an underground structure
CN116348655A (zh) 材料和设备的地下部署方法和系统
KR100828710B1 (ko) 연약지반천공장치
KR101760087B1 (ko) 지중 매설물 표시장치
JP4256761B2 (ja) アース装置及びその施工方法
JP3755472B2 (ja) 地盤改良方法
US629892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a small-scale groundwater sampling well
EP2166391A1 (en) Splice box and marking device
KR20020045935A (ko) 지하수 심정용 고심도 그라우팅 파이프 장치 및 그라우팅방법
JP7461903B2 (ja) 管ユニット
KR200212998Y1 (ko) 지하수 굴착공 막음장치
KR20170114147A (ko) 지반굴착교반장치
KR101952273B1 (ko) 환경 오폐수 배출위치 및 동공 탐색장치
JP3717228B2 (ja) 防護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