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308B1 -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 Google Patents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308B1
KR100967308B1 KR1020090117765A KR20090117765A KR100967308B1 KR 100967308 B1 KR100967308 B1 KR 100967308B1 KR 1020090117765 A KR1020090117765 A KR 1020090117765A KR 20090117765 A KR20090117765 A KR 20090117765A KR 100967308 B1 KR100967308 B1 KR 1009673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hole
carrying case
carry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7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태희
Original Assignee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77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308B1/ko
Priority to PCT/KR2010/003660 priority patent/WO2011068292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3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08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 H02G1/081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through tubing or conduit, e.g. rod or draw wire for pushing or pulling using pulling means at cable ends, e.g. pulling eyes or anch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 H02G1/1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laying cables, e.g. laying apparatus on vehicle in or under wat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매설할 때 전력 케이블과 같이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은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도달구(3)로부터 시작구(2)로 케이블(9)을 케이싱(8)내에 매설시키는 케이블 캐리 단계시 케이블(9)이 상기 압입장비(1)에 접속되는 케이블 캐리 장치(10)를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9)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별도로 구성되는 케이블 캐리 장치를 사용하여 압입 장비의 당김력이 케이블 캐리 장치에 작용되도록 하므로, 인장 응력이 케이블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켜 매설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시킬 수 있어, 해저관로의 시공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CABLE CARRING MATHOD FOR SUBMARINE CONDUIT LINE}
본 발명은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매설할 때 전력 케이블과 같이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저를 횡단하는 관로의 매설공법에는 개착식 공법, 시트파일 공법이 주로 적용되고 있고 있는데, 이와 같은 공법은 뻘층 및 해저바닥을 훼손하여 이루어지므로, 생태계를 파괴하여 심각한 환경문제를 유발시키게 되고, 해당 지역에 대한 어업권 보상, 각종 환경단체들의 반발 등 여러 가지 민원문제에 봉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는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6626호 "피엠지공법 및 그를 위한 시공장치"을 통해 타 공법에 비해 사회적 비용절감, 안전성 확보에 우수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는 비개착식 굴착공법인 지향성압입공법(H.D.D공법; Horizontal Directional Drilling method)을 더욱 발전시킨 피엠지공법{P.M.G공법; ProMole Grouting method}을 제안한 바 있고,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71468호 "친환경적인 비개착 해저관로 매설공법 및 시스템"을 통해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벤토나이트 오니를 효과적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안한 바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지향성압입공법의 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지향성압입공법은, 도 1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입장비(1)를 이용하여 중공의 로드(4; Rod)를 연속적으로 연결해가면서 지하로 압입하되, 선단 로드의 앞쪽에는 소구경의 드릴헤드(5; bit)을 연결하여 추진시킴과 동시에 로드(4)내의 중공을 통하여 물과 벤토나이트 혼합액을 고압으로 공급·분사하면서 작업구간의 시작지점(2; 시작구)에서 도달지점(3; 도달구)까지 관통하는 선단 굴착공(6; Pilot borehole)을 형성한다. 그리고,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단 굴착공(6)을 형성 후, 선단 로드(4)에 연결된 드릴헤드를 직경이 점점 커지는 확공기(5')로 교체해가면서 도달구(3)로부터 시작구(2)의 방향으로 당겨서 확장 굴착공(6')이 원하는 구경에 도달될 때까지 벤토나이트 혼합액(물, 벤토나이트, 첨가제 등의 혼합액)을 공급·분사하면서 원하는 구경의 굴착공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굴착공의 형성이 완료되면, 도 1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최종 확공기(5')의 당김시 그 뒷 부분에 풀링 아이(7)를 개재시켜 케이싱(8)을 당김시켜 케이싱(8)을 설치하고, 그 내부로 전력 케이블, 상하수도관 등의 매설 목적관을 설치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지향성압입공법은 매설 목적관 특히, 전선 케이블의 매설시 개선할 필요성을 갖고 있다. 즉, 본 발명자는 선출원을 통해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 사이와 같이 비교적 장거리에 효과적으로 지향성압입공법을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안하였지만, 현재까지 전력 케이블과 같이 케이싱내로 매설할 때 당김력에 의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는 시공거리에 제한(현재까지 700m 정도)이 따르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해저관로의 매설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환경보존과 환경처리비용의 절감, 시공의 효율성 및 경제성 증대에 목적을 두고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매설할 때 전력 케이블과 같이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기술{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6626호 "피엠지공법 및 그를 위한 시공장치" 및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71468호 "친환경적인 비개착 해저관로 매설공법 및 시스템"}의 장점{해저관로의 매설시 뻘층 및 하천바닥을 훼손을 최소화시키므로써 생태계를 파괴에 의한 환경문제의 유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굴착공의 형성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오니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며, 해저관로의 매설 후 건설폐기물로 처리되는 벤토나이트 오니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친환경적으로 해저관로를 매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전력 케이블과 같이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새로운 형태의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시작구(2)와 도달구(3)가 해저지하로 굴착되는 굴착공을 통해 연통되도록 한 후, 압입장비(1)를 사용해 상기 굴착공에 매설되는 케이싱(8)내로 케이블(9)을 매설하기 위한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작구(2)에 상기 압입장비(1)를 설치하여 상기 시작구(2)로부터 도달구(3)로 선단 굴착공(6)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도달구(3)로부터 상기 시작구(2)로 확장 굴착공(6')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상기 도달구(3)로부터 상기 시작구(2)로 케이싱(8)을 매설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상기 도달구(3)로부터 상기 시작구(2)로 케이블(9)을 상기 케이싱(8)내에 매설시키는 케이블 캐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캐리 단계는 내측에 상기 케이블(9)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후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공(41)이 형성되는 제 1 캐링 케이스(40)를 상기 케이블(9)의 선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캐링 케이스(40)의 선단에 상기 압입장비(1)에 접속되어 당김되는 캐링 아이(20)를 결합시키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9)이 위치되도록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는 중공(61)이 형성되는 제 2 캐링 케이스(60)를 상기 제 1 캐링 케이스(40)의 후측에서 상기 케이블(9)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케이블(9)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의한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 및 방법에 따르면,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을 별도로 구성되는 케이블 캐리 장치를 사용하여 압입 장비의 당김력이 케이블 캐리 장치에 작용되도록 하므로, 인장 응력이 케이블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켜 매설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시킬 수 있어, 해저관로의 시공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기술{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836626호 "피엠지공법 및 그를 위한 시공장치" 및 특허출원 출원번호 제10-2009-0071468호 "친환경적인 비개착 해저관로 매설공법 및 시스템"}과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으므로, 해저관로의 매설시 뻘층 및 하천바닥을 훼손을 최소화시키므로써 생태계를 파괴에 의한 환경문제의 유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굴착공의 형성시 사용되는 벤토나이트 오니에 의한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키며, 해저관로의 매설 후 건설폐기물로 처리되는 벤토나이트 오니의 양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종래기술에 비해 보다 친환경적으로 해저관로를 매설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를 설명하 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는 당김으로 인해 손상이 발생될 수 있는 전력 케이블과 같은 케이블(9)을 해저관로에 매설시킬 때 압입장비의 당김력에 의한 인장 응력의 분산을 통해 인장 응력이 케이블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켜 매설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는 캐링 아이(20), 제 1 캐링 케이스(40) 및 제 2 캐링 케이스(60)를 구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작구(2)와 도달구(3)가 해저지하로 굴착되는 굴착공을 통해 연통되도록 하고, 압입장비(1)를 사용해 굴착공에 매설되는 케이싱(8)내로 케이블(9)을 매설하도록 한다.
이때, 캐링 아이(20)는 압입장비(1)에 접속되어 당김된다. 제 1 캐링 케이스(40)는 선단이 캐링 아이(20)에 결합되고, 내측에 케이블(9)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후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공(41)이 형성된다. 제 2 캐링 케이스(60)는 선단이 제 1 캐링 케이스(40)에 접속되고, 내측에 케이블(9)이 위치되도록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는 중공(61)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는 케이블(9)의 매설시 케이블(9)의 선단이 제 1 캐링 케이스(40)에 지지되도록 하고, 제 2 캐링 케이스(60)를 연속적으로 결합시켜 케이블(9)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는 단순히 케이블(9)의 외측을 보호하는 커버의 기능과 전혀 다르게, 인장 응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는 압입장비(1)로부터 부여되는 당김력이 케이블(9)에 직접적으로 작용되지 않도록 하므로써, 인장 응력이 케이블(9)에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도록 한다. 따라서, 현재 전력 케이블과 같이 당김시 손상이 발생되는 케이블의 최장 매설거리는 700m정도에 불과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를 적용하는 경우 5km 정도까지도 가능한 것으로 예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은 케이싱의 매설이 이루어진 후, 케이블(9)이 압입장비(1)에 접속되는 케이블 캐리 장치(10)를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9)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케이블(9)의 매설공정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은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피엠지공법 및 친환경적인 비개착 해저관로 매설공법과 같이, 현장조사 및 설계단계, 시작구 및 도달구 형성단계, 선단 굴착공 형성단계, 확공단계 및 케이싱 풀링단계를 그대로 진행한 후, 본 발명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를 사용한 케이블 캐리 단계를 진행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도 7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며, 도 1 내지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병기한다. 한편, 각 도면에서 일반적인 지향성압입공법 및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기술의 구성 및 작용으로부터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적용하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의 도시에 있어서 요소들 사이의 크기 비가 다소 상이하게 표현되거나 서로 결합되는 부품들 사이의 크기가 상이하게 표현된 부분도 있으나, 이와 같은 도면의 표현 차이는 이 분야의 종사자들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들이므로 별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 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를 사용해 케이블을 캐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는 기본적으로 캐링 아이(20), 제 1 캐링 케이스(40) 및 제 2 캐링 케이스(60)를 구비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작구(2)와 도달구(3)가 해저지하로 굴착되는 굴착공을 통해 연통되도록 하고, 압입장비(1)를 사용해 굴착공에 매설되는 케이싱(8)내로 케이블(9)을 매설하도록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보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에서 제 1 캐링 케이스(40)와 제 2 캐링 케이스(60)는 당김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개되는 절개라인(43, 63)에 의해 절개되어 상측(42a, 62a)과 하측(42b, 62b)의 2개로 분할되는 몸체(42, 62)로 이루어지므로써, 케이블(9)의 측방에서 결합분리되도록 하므로써, 조립 및 분해의 편의를 높이도록 한다. 물론, 이와 같은 제 1 캐링 케이스(40)와 제 2 캐링 케이스(60)의 분할구조는 2개로 분할시키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더욱 많은 수의 분할구조를 갖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캐링 아이(20)는 압입장비(1)에 접속되어 당김되도록 구성되는데, 본 실시예에서 캐링 아이(20)는 후단으로 개구되도록 나사부(26)가 형성되고, 선단에 아이 볼트(24)가 결합된다. 물론, 이와 같은 캐링 아이(20)는 이 분야에서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는 풀링 아이(Pulling eye) 또는 스위블(swivel) 등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적용하여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1 캐링 케이스(40)는 선단이 캐링 아이(20)에 결합되고, 내측에 케이블(9)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후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공(4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캐링 케이스(40)는 절개라인(43)에 의해 분할되는 몸체(42)의 중심에 중공(41)이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고, 몸체(42)의 선단의 외측 둘레에 캐링 아이(20)의 나사부(26)에 결합되는 앞측 나사부(44)가 형성되며, 몸체(42)의 후단으로 개구되도록 후측 나사부(46)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캐링 케이스(60)는 선단이 제 1 캐링 케이스(40)에 접속되고, 내측에 케이블(9)이 위치되도록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는 중공(61)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2 캐링 케이스(60)는 절개라인(63)에 의해 분할되는 몸체(62)의 선단의 외측 둘레에 제 1 캐링 케이스(40)의 후측 나사부(46)에 결합되는 앞측 나사부(64)가 형성되고, 몸체(62)의 후단으로 개구되도록 후측 나사부(66)가 형성되며, 몸체(62)가 정해진 길이로 형성되도록 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캐링 케이스(40)의 뒷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결합되면서 케이블(9)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캐링 아이(20), 제 1 캐링 케이스(40) 및 제 2 캐링 케이스(60)에 서로의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나사부(26, 44, 46, 64, 66)는 필요에 따라 암수의 형태를 서로 다르게 배치시키는 형태로 본 발명의 기술 사상 아래 있다 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 1 캐링 케이스(40)와 제 2 캐링 케이스(60)는 절개 라인(43, 63)을 기준으로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클램핑부(50)에 의해 서로 분할되는 상측(42a, 62a)과 하측(42b, 62b)이 각각 고정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클램핑부(50)는 제 1 캐링 케이스(40)와 제 2 캐링 케이스(60)의 각 상측(42a, 62a)과 하측(42b, 62b)에 형성되는 홈(52a, 52b)으로 이루어지는 재치홈(52)에서 결합되는 볼트(54)와 너트(56)로 이루어진다. 물론, 이와 같은 클램핑부(50)는 이 분야에서 체결을 위해 사용되는 다양한 체결구조를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10)의 제 1 캐링 케이스(40)와 제 2 캐링 케이스(60)는 서로 분할되는 상측(42a, 62a)과 하측(42b, 62b)을 케이블(9)의 측방에서 케이블(9)에 맞댄 후, 재치홈(52)에 형성되는 홀(도시 않음)을 통해 볼트(54)를 넣어 너트(56)로 고정시키므로써, 이루어진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인지한 상태에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 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은 시작구(2)에 압입장비(1)를 설치하여 시작구(2)로부터 도달구(3)로 선단 굴착공(6, 도 1a 참조)이 형성되도록 한 후, 도달구(3)로부터 시작구(2)로 확장 굴착공(6', 도 1b)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리고,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도달구(3)로부터 시작구(2)로 케이싱(8)을 매설시킨 후,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도달구(3)로부터 시작구(2)로 케이블(9)을 케이싱(8)내에 매설시키는 케이블 캐리 단계를 진행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은 케이블 캐리 단계에서 케이블(9)이 압입장비(1)에 접속되는 케이블 캐리 장치(10)를 결합되도록 하여 케이블(9)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 선단 굴착공(6)과 확장 굴착공(6')을 형성하고, 케이싱(8)을 매설하는 단계는 본 발명자가 선출원을 통해 제안한 친환경적인 비개착 해저관로 매설공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의 케이블 캐리 단계에서 케이블(9)이 압입장비(1)에 접속되는 케이블 캐리 장치(10)를 결합시키는 방법은 먼저, 매설시킬 전력 케이블(9)의 선단에 제 1 캐링 케이스(40)를 결합시키고, 제 1 캐링 케이스(40)의 선단에 캐링 아이(20)를 결합시키게 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압입장비(1)에 의해 당김되는 로드(4)의 끝단에 캐링 아 이(20)를 접속시키게 된다. 이때, 필요에 따라 로드(4)와 캐링 아이(20) 사이에 풀링 아이 또는 스위블(7)을 개재시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케이블 권취기(100)에서 풀리는 전력 케이블(9)의 외주면에 제 2 캐링 케이스(60)를 결합시키면서 제 1 캐링 케이스(60)에 결합시키고, 연이어 제 2 캐링 케이스(60)를 결합시키면서 케이블(9)을 당기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압입 장비의 당김력이 케이블 캐리 장치에 작용되도록 하므로, 인장 응력이 케이블이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시켜 매설시 발생되는 케이블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굴착 거리가 비교적 장거리인 육지와 섬 또는 섬과 섬을 연결하는 해저관로 시공시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매설시킬 수 있고, 해저관로의 시공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 및 방법을 상기한 설명 및 도면에 따라 도시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는 일반적인 지향성압입공법의 시공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의 주요부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를 사용해 케이블을 캐리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압입장비 2 : 시작구
3 : 도달구 4 : 로드
6 : 선단 굴착공 6' : 확장 굴착공
8 : 케이싱 7 : 풀링 아이
9 : (전력) 케이블 10 :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
20 : 캐링 아이 22 : (캐링 아이) 몸체
24 : 결착구(아이 볼트) 26 : (캐링 아이) 나사부
40 : 제 1 캐링 케이스 41 : (제 1 캐링 케이스) 중공
42 : (제 1 캐링 케이스) 몸체
43 : 절개 라인 44 : (제 1 캐링 케이스) 앞측 나사부
46 : (제 1 캐링 케이스) 후측 나사부
60 : 제 2 캐링 케이스 61 : (제 2 캐링 케이스) 중공
62 : (제 2 캐링 케이스) 몸체
63 : 절개 라인 64 : (제 2 캐링 케이스) 앞측 나사부
66 : (제 2 캐링 케이스) 후측 나사부

Claims (4)

  1. 시작구(2)와 도달구(3)가 해저지하로 굴착되는 굴착공을 통해 연통되도록 한 후, 압입장비(1)를 사용해 상기 굴착공에 매설되는 케이싱(8)내로 케이블(9)을 매설하기 위한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시작구(2)에 상기 압입장비(1)를 설치하여 상기 시작구(2)로부터 도달구(3)로 선단 굴착공(6)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도달구(3)로부터 상기 시작구(2)로 확장 굴착공(6')이 형성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상기 도달구(3)로부터 상기 시작구(2)로 케이싱(8)을 매설시키는 단계 및;
    상기 압입장비(1)의 당김에 의해 상기 도달구(3)로부터 상기 시작구(2)로 케이블(9)을 상기 케이싱(8)내에 매설시키는 케이블 캐리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케이블 캐리 단계는 내측에 상기 케이블(9)의 선단이 삽입되도록 후단 방향으로 개구되는 중공(41)이 형성되는 제 1 캐링 케이스(40)를 상기 케이블(9)의 선단에 결합시키고,
    상기 제 1 캐링 케이스(40)의 선단에 상기 압입장비(1)에 접속되어 당김되는 캐링 아이(20)를 결합시키며,
    내측에 상기 케이블(9)이 위치되도록 선단과 후단으로 개구되는 중공(61)이 형성되는 제 2 캐링 케이스(60)를 상기 제 1 캐링 케이스(40)의 후측에서 상기 케이블(9)의 외주면에 연속적으로 결합시키면서 상기 케이블(9)의 당김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캐리 단계는 상기 제 1 캐링 케이스(40)와 제 2 캐링 케이스(60)가 당김 방향으로 평행하게 절개되는 절개라인(43, 63)에 의해 절개되어 적어도 2개로 분할되는 몸체(42, 62)로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써, 상기 케이블(9)에 결합시킬 때, 상기 케이블(9)의 측방에서 결합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3. 삭제
  4. 삭제
KR1020090117765A 2009-12-01 2009-12-01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KR10096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65A KR100967308B1 (ko) 2009-12-01 2009-12-01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PCT/KR2010/003660 WO2011068292A1 (ko) 2009-12-01 2010-06-08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7765A KR100967308B1 (ko) 2009-12-01 2009-12-01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7308B1 true KR100967308B1 (ko) 2010-07-01

Family

ID=42645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7765A KR100967308B1 (ko) 2009-12-01 2009-12-01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7308B1 (ko)
WO (1) WO201106829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62B1 (ko) 2011-02-21 2011-10-10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장거리 케이블 포설 공법
KR101705694B1 (ko) * 2016-09-06 2017-02-10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케이싱 수평 추진형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CN106442176A (zh) * 2016-10-25 2017-02-22 国网浙江省电力公司舟山供电公司 海底电缆锚砸试验系统
KR101776916B1 (ko) * 2016-12-14 2017-09-08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케이싱 수평 추진형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KR101906382B1 (ko) * 2016-10-2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0351A2 (en) * 2013-01-10 2014-07-17 Matcor, Inc. Break-resistant anode assemblies for cathodic protection systems and methods of installing the same
CN107302195A (zh) * 2017-08-23 2017-10-27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一种电缆敷设方法
CN110601087A (zh) * 2019-08-26 2019-12-20 中交一航局安装工程有限公司 一种便于保护电缆且敷设快捷的电缆敷设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00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00836626B1 (ko) * 2007-10-09 2008-06-10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피엠지공법 및 그를 위한 시공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535A (ja) * 2000-03-17 2001-09-26 Sekishin Sangyo Kk 埋設管の更生方法および更生用テーパ管
KR20030035729A (ko) * 2001-12-22 2003-05-09 강춘수 통신관로의 내관 견인기구
JP2004293142A (ja) * 2003-03-26 2004-10-21 Komatsu Ltd 管埋設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7100A (ko) * 1998-12-31 2000-07-25 강병호 풀링아이 및 그 사용방법
KR100836626B1 (ko) * 2007-10-09 2008-06-10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피엠지공법 및 그를 위한 시공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562B1 (ko) 2011-02-21 2011-10-10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장거리 케이블 포설 공법
KR101705694B1 (ko) * 2016-09-06 2017-02-10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케이싱 수평 추진형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KR101906382B1 (ko) * 2016-10-21 2018-10-11 한국전력공사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CN106442176A (zh) * 2016-10-25 2017-02-22 国网浙江省电力公司舟山供电公司 海底电缆锚砸试验系统
CN106442176B (zh) * 2016-10-25 2024-02-20 国网浙江省电力公司舟山供电公司 海底电缆锚砸试验系统
KR101776916B1 (ko) * 2016-12-14 2017-09-08 주식회사 도화엔지니어링 케이싱 수평 추진형 지중 전선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68292A1 (ko) 2011-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7308B1 (ko)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US20130313825A1 (en) Coupler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ing pipe with a protective cover into borehole
CN102889427B (zh) 一种非开挖气动裂管修复地下管道的装置、系统和方法
MX2023007558A (es) Conexion de tuberia submarina.
CN101752820A (zh) 地埋线缆保护套
CN105673934A (zh) 一种电缆缚设排管非开挖方法
CN107366781A (zh) 一种非开挖地下承压管道的更换装置及方法
US20110206462A1 (en) High pressure water spray plastic pipe replacement apparatus and method
JP5425545B2 (ja) ケーブルの埋設方法
KR101310715B1 (ko) 친환경 해저관로 매설공법
KR101157427B1 (ko) 해저관로의 시공 방법 및 그를 위한 센서 라인 보호 지지 기구
EP2594000B1 (en) Watertight cable connections
KR101186482B1 (ko) 지하 매설관 비굴착 교체방법
CN105224803A (zh) 一种管土相互作用分析方法
US791862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ipe replacement
JP2009121036A (ja) 導水ジョイント
US11095101B2 (en) Repurposing pipeline for electrical cable
KR101193086B1 (ko) 풀링폴리셔를 이용한 해저관로 매설공법
KR100852994B1 (ko) 간격재가 형성된 전력선 케이싱 폴리에틸렌관 및 전력선케이싱 폴리에틸렌관의 비개착식 압입공법
KR101071562B1 (ko) 장거리 케이블 포설 공법
US761787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downhole tool string components
JP5787814B2 (ja) 保護部材およびダクトスリーブ
CN202580334U (zh) Hdpe非开挖管
JP3168698U (ja) ハンドホールのケーブル支持構造
JP2007215284A (ja) 管路内布設ケーブル引抜き前処理治具及び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