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6382B1 -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6382B1
KR101906382B1 KR1020160137284A KR20160137284A KR101906382B1 KR 101906382 B1 KR101906382 B1 KR 101906382B1 KR 1020160137284 A KR1020160137284 A KR 1020160137284A KR 20160137284 A KR20160137284 A KR 20160137284A KR 101906382 B1 KR101906382 B1 KR 101906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underground cable
connector
undergroun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7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905A (ko
Inventor
김동혁
이한표
박상호
이상록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60137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6382B1/ko
Publication of KR20180043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9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6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6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6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underground tubes or conduits; Tubes or condui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2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laid directly in or on the ground, river-bed or sea-bottom; Coverings therefor, e.g. tile
    • H02G9/025Coverings therefor, e.g. t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는 일 측에 배치된 지중케이블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결합부; 타 측에 배치된 지중케이블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중케이블용 연결구{Connector for Underground Cable}
본 발명은 2개의 분리된 케이블을 연결하는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중케이블의 교체작업이 용이하도록 교체대상 지중케이블과 신 지중케이블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전력케이블은 감전사고 등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상당한 높이를 갖는 지주나 소정의 깊이의 땅속에 설치된다. 여기서, 전자는 전력케이블의 설치가 용이하나 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이에 반해 후자(이하 간력히 지중케이블이라고 함)는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고 감전사고의 위험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중케이블은 소정의 크기를 갖는 보호관 내부에 매입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따라서, 지중케이블은 보호관에 의해 물이나 기타 오염물질 등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다.
한편, 장기간 사용된 지중케이블은 자연적인 노후 현상으로 인해 교체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지중케이블의 교체작업은 새 보호관을 땅에 매립한 후 새 지중케이블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지중케이블의 교체방법은 새 보호관의 매립에 따른 시간이 상당히 많이 소요되므로, 지중케이블의 교체비용을 증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보호관에 새 지중케이블을 매입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으나, 기존 보호관은 부분적으로 파손된 경우가 많아 새 지중케이블을 새롭게 매입하기 어렵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점들을 모두 해소할 수 있는 새로운 장치 및 방법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된다.
참고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선행기술로는 특허문헌 1이 있다.
KR 10-0718915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중케이블의 용이한 교체작업을 가능케 할 수 있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는 일 측에 배치된 지중케이블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결합부; 타 측에 배치된 지중케이블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에서 상기 제1결합부는, 내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분리된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조임 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임 부재를 상기 제1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는 상기 제1조임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에서 상기 제2결합부는, 내부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분리된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조임 부재;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임 부재를 상기 제2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는 상기 제2조임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에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연결 부재; 상기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를 관통하는 제2연결 부재; 상기 제1연결 부재와 상기 제2연결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제1연결 부재를 관통한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존 지중케이블과 새 지중케이블을 견고하게 연결하므로, 기존 지중케이블의 철거작업과 새 지중케이블의 설치작업의 동시 수행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새 보호관을 지중에 매설하지 않고도 지중케이블의 교체작업이 가능하므로, 지중케이블의 교체작업시간과 교체작업비용을 현저하게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조임 부재의 작동 원리를 나타낸 동작 상태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사용 상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교체방법을 나타낸 시공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각각의 구성요소들의 기능을 고려하여 명명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아울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 함은 이들 구성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를 설명한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복수의 구성요소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 연결구(100)는 제1결합부(110), 제2결합부(120), 연결부(130)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지중케이블 연결구(100)가 전술된 3개의 구성요소로만 구성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 연결구(100)는 결합부(110, 120)의 조작에 필요한 손잡이 부재(140, 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손잡이 부재(140, 142)는 조임 부재(114, 124)의 체결공(1142, 1242)에 결합한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복수의 지중케이블을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제1결합부(110) 및 제2결합부(120)에는 각각 지중케이블이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연결된 지중케이블의 꼬임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를 연결하는 연결부(130)는 제1결합부(110)에 대한 제2결합부(120)의 상대적인 회전운동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소정의 장력을 견딜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주요 구성요소들은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각각의 결합부(110, 120)에 작용하는 장력에도 변형되거나 파손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재질이 금속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요소는 허용 장력을 견딜 수 있는 범위에서 강화플라스틱 등의 다른 재질로 변경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내식성 및 내산성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습도가 높은 지중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를 장기간 동안 지중에서 사용할 경우, 수분이나 지중의 유독 가스 등에 의해 부식되거나 산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표면을 내식성 및 내산성을 갖는 물질로 코팅할 수 있다.
다음에서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세분화된 구성요소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결합부(110)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110)는 제1하우징(112), 제1조임 부재(114, 115), 제1탄성 부재(11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결합부(11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하우징(112)은 제1조임 부재(114, 115) 및 제1탄성 부재(11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전술된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112)은 분리된 제1조임 부재(114, 115)가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2)의 일 측 내부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원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1하우징(112)의 내부 형상은 분리된 제1조임 부재(114, 115)의 합체 또는 분리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제1하우징(112)은 외측에서 제1조임 부재(114, 11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하우징(112)에는 내부에 배치된 제1조임 부재(114, 11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공(1122)이 형성된다. 참고로, 장공(1122)은 제1조임 부재(114, 115)와 제1손잡이 부재(140)의 결합을 가능케 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제1조임 부재(114, 115)는 지중케이블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제1조임 부재(114, 115) 사이에는 지중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조임 부재(114, 115)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 공간의 단면 크기는 지중케이블의 단면 형상과 대체로 유사하거나 또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1조임 부재(114, 115)는 제1하우징(112)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조임 부재(114, 115)는 제1하우징(11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탄성 부재(116)는 제1조임 부재(114, 115)가 제1하우징(112)의 일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탄성 부재(116)는 분리된 제1조임 부재(114, 115)가 제1하우징(112)의 원추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제1조임 부재(114, 11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제2결합부(120)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결합부(120)는 제2하우징(122), 제2조임 부재(124, 125), 제2탄성 부재(126)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결합부(120)의 구성이 전술된 부재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하우징(122)은 제2조임 부재(124, 125) 및 제2탄성 부재(126)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122)의 내부에는 전술된 부재들을 수용할 수 있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하우징(122)은 분리된 제2조임 부재(124, 125)가 합쳐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122)의 일 측 내부는 일 측에서 타 측으로 갈수록 점차 좁아지는 원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2하우징(122)의 내부 형상은 분리된 제2조임 부재(124, 125)의 합체 또는 분리를 가능케 할 수 있다.
제2하우징(122)은 외측에서 제2조임 부재(124, 12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하우징(122)에는 내부에 배치된 제2조임 부재(124, 125)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는 장공(1222)이 형성된다. 참고로, 장공(1222)은 제2조임 부재(124, 125)와 제2손잡이 부재(142)의 결합을 가능케 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제2조임 부재(124, 125)는 지중케이블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2개의 제2조임 부재(124, 125) 사이에는 지중케이블이 배치될 수 있는 원통형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조임 부재(114, 115) 사이에 형성되는 원통형 공간의 단면 크기는 지중케이블의 단면 형상과 대체로 유사하거나 또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제2조임 부재(124, 125)는 제2하우징(122)의 내부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조임 부재(124, 125)는 제2하우징(1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2탄성 부재(126)는 제2조임 부재(124, 125)가 제2하우징(122)의 일 측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탄성 부재(126)는 분리된 제2조임 부재(124, 125)가 제2하우징(122)의 원추 공간으로 이동되도록 제2조임 부재(124, 125)에 힘을 가할 수 있다.
연결부(130)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연결부(130)는 제1연결 부재(132), 제2연결 부재(134), 베어링(13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연결 부재(132)는 제1결합부(11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 부재(132)의 일 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제1하우징(112)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제1연결 부재(132)와 제1하우징(112)이 나사 체결에 의해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제2연결 부재(134)는 제2결합부(120)와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2연결 부재(134)의 일 단에는 숫나사가 형성되고, 제2하우징(122)의 내부에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제2연결 부재(134)와 제2하우징(122)이 나사 체결에 의해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제2연결 부재(134)는 제1연결 부재(132)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 부재(134)의 연장 돌기(1342)는 제1연결 부재(132)의 관통 구멍(1322)에 끼워질 수 있다. 제2연결 부재(134)는 제1연결 부재(132)에 대해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연결 부재(134)는 제1연결 부재(132)의 관통 구멍(1322)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연결 부재(132)와 제2연결 부재(134)의 사이에는 복수의 베어링(136)이 배치될 수 있다.
제2연결 부재(134)는 제1연결 부재(132)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연결 부재(132)의 관통 구멍(1322)을 관통한 제2연결 부재(134)의 연장 돌기(1342)에는 체결 부재(138)가 결합하여, 제1연결 부재(132)와 제2연결 부재(134) 간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연결부(130)는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를 연결하면서, 제1결합부(110)에 대한 제2결합부(120)의 상대적인 회전 운동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는 제1결합부(110)와 제2결합부(120)를 통해 복수의 지중케이블(200, 21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1결합부(110)에는 제1지중케이블(210)이 고정되고, 제2결합부(120)에는 제2지중케이블(200)이 고정될 수 있다.
지중케이블(200, 210)은 하우징(112, 122)의 끝으로 이동할수록 틈새 공간이 작아지도록 구성된 조임 부재(114, 115, 124, 125)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임 부재(114, 115)는 하우징(112)의 안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나(도 4의 (a) 참조), 하우징(112)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간격이 좁아지므로(도 4의 (b) 참조), 지중케이블(210)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다. 특히, 지중케이블(210)에 인장력이 가해지면 가해질수록, 조임 부재(114, 115)가 하우징(112)의 바깥쪽으로 이동하려는 경향이 더욱 커지므로, 조임 부재(114, 115)와 지중케이블(210) 간의 결합력은 더욱 커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하나의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를 통해서도 2개의 지중케이블(200, 210)을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한편, 지중케이블(200, 210)의 분리는 조임 부재(114, 115, 124, 125)와 결합한 손잡이 부재(140, 142)를 연결부(130) 쪽으로 이동시켜, 조임 부재(114, 124)와 조임 부재(115, 125) 간의 틈새 간격을 넓힘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를 이용한 지중케이블 교체방법을 설명한다.
지중케이블의 교체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설치, 교체대상 지중케이블과 교체용 지중케이블의 연결, 교체용 지중케이블의 설치, 및 교체대상 지중케이블의 제거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1) 지중케이블용 연결구의 설치
본 단계는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의 일단에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를 설치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는 파형관(300)에 매입된 복수의 케이블 중 노후한 지중케이블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 및 선별하고, 선별된 지중케이블(200)의 일단에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를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설치는 전술된 바와 같이 조임 부재(114, 115, 124, 125)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가능할 수 있다.
2) 교체대상 지중케이블과 교체용 지중케이블의 연결
본 단계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타 단에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을 연결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일 단에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의 연결이 완료되면,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타 단에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을 연결할 수 있다.
3) 교체용 지중케이블의 설치
본 단계는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을 파형관(300)에 매입하는 일련의 과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단계는 파형관(300)의 타 측에서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의 타 단을 끌어당겨, 파형관(300)으로부터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을 완전히 꺼내는 과정도 포함한다. 한편, 파형관(300)의 타 측에서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을 끌어당기면,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에 의해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와 연결된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이 함께 끌어 당겨지므로,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의 제거와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의 설치가 동시에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 따른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를 이용하면, 신구 지중케이블(200, 210)의 교체 작업 속도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을 위한 새 파형관을 매립할 필요도 없다.
4) 교체대상 지중케이블의 제거
본 단계는 교체용 지중케이블(210)로부터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 및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을 제거하는 일련의 과정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일단에 연결된 교체대상 지중케이블(200)을 분리 및 제거하고, 지중케이블용 연결구(100)의 타단에 연결된 교체용 지중케이블(210)을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전술된 실시형태에 기재된 다양한 특징사항은 그와 반대되는 설명이 명시적으로 기재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형태에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100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110 제1결합부
112 제1하우징
114, 115 제1조임 부재
116 제1탄성 부재
120 제2결합부
122 제2하우징
124, 125 제2조임 부재
126 제2탄성 부재
130 연결부
132 제1연결 부재
134 제2연결 부재
136 베어링
138 체결 부재
140 제1손잡이 부재
142 제2손잡이 부재
200 교체대상 지중케이블
210 교체용 지중케이블

Claims (6)

  1. 일 측에 배치된 지중케이블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1결합부;
    타 측에 배치된 지중케이블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제2결합부;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상기 제2결합부를 연결하고, 상기 제1결합부에 대한 상기 제2결합부의 상대적인 회전을 가능케 하도록 구성되는 연결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는,
    내부에 제1경사면이 형성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분리된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1조임 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조임 부재를 상기 제1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탄성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2결합부는,
    내부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는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며 분리된 간격이 좁아지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제2조임 부재; 및
    상기 제2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조임 부재를 상기 제2하우징의 바깥쪽으로 미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탄성 부재;
    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임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조임 부재와 결합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손잡이 부재를 더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하우징과 결합하는 제1연결 부재;
    상기 제2하우징과 결합하고, 상기 제1연결 부재를 관통하는 제2연결 부재;
    상기 제1연결 부재와 상기 제2연결 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부재; 및
    상기 제1연결 부재를 관통한 상기 제2연결 부재의 일 부분에 결합하는 체결 부재;
    를 포함하는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KR1020160137284A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KR101906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284A KR101906382B1 (ko)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7284A KR101906382B1 (ko)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05A KR20180043905A (ko) 2018-05-02
KR101906382B1 true KR101906382B1 (ko) 2018-10-11

Family

ID=62183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7284A KR101906382B1 (ko) 2016-10-21 2016-10-21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638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73B1 (ko) * 2021-02-04 2023-03-17 (주)디피엔지니어링 지중케이블 풀링용 연결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08B1 (ko) * 2009-12-01 2010-07-01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308B1 (ko) * 2009-12-01 2010-07-01 프로몰엔지니어링주식회사 해저관로의 케이블 캐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905A (ko) 2018-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61452B2 (en) Cable glands
US8070509B2 (en) Splice restraint and mating indicator
EP3353868B1 (en) Cable gland assembly
US6250955B1 (en) Pigtailed scotchcast assembly
US10547164B2 (en) Connector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US10082230B2 (en) Corrugated tube for protecting a cable, fastener for coupling a housing on the corrugated tube and seal element for sealing the corrugated tube against the housing
US9905942B2 (en) Assemblies and methods for electrical splice connections of cables
US8602658B2 (en) Spoolable signal conduction and connection line and method
US9831649B1 (en) Rain tight fitting for electrical metal tubing
JP2015534016A (ja) パイプ継手
CN105322479A (zh) 导管容纳器
KR101906382B1 (ko) 지중케이블용 연결구
US20170130883A1 (en) Modular pipe systems and components
KR100850305B1 (ko) 지중전력 케이블 관로의 연결구
JP5607976B2 (ja) 棒状部材の連結継手
US11939822B2 (en) Control line protector assembly
US20200044382A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suitable for providing cathodic protection underwater
DE202012000063U1 (de) Kabelfixiervorrichtung zum Fixieren zumindest eines Kabels sowie Klemmeinrichtung für eine solche
US20160195206A1 (en) Conduit end with demarcation
KR100686183B1 (ko) 원터치체결용 파이프연결모듈제조방법 및 그 이용방법
KR200486952Y1 (ko) 케이블 벤딩 장치
KR20160112445A (ko) 보호관 이음장치
WO2020122761A1 (ru) Трубчатый кабелепровод
US201901347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necting a Compression-Type Coupling to a Coated Conduit
KR20160002705U (ko) 결합식 전선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