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12445A - 보호관 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보호관 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12445A
KR20160112445A KR1020150038204A KR20150038204A KR20160112445A KR 20160112445 A KR20160112445 A KR 20160112445A KR 1020150038204 A KR1020150038204 A KR 1020150038204A KR 20150038204 A KR20150038204 A KR 20150038204A KR 20160112445 A KR20160112445 A KR 20160112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rotective pipe
pipe
edge
edge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8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태
Original Assignee
김경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태 filed Critical 김경태
Priority to KR1020150038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112445A/ko
Publication of KR2016011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124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5/00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 F16L25/06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 F16L25/065Constructive types of pipe joi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L13/00 - F16L23/00 ; Details of pipe joi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ally conducting or insulating means comprising radial locking means the locking means being actuated by radial scre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호관의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호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밀봉이음관(102)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과;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과;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가장자리수용홈(110)(112)과; 상기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가장자리수용홈(114)(116) 등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보호관 이음장치{JOINTING DEVICE FOR A CONDUIT}
본 발명은 보호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호관의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호관 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심 등에서는 미관을 고려하여 전선(케이블) 등을 지상에 설치하지 않고 지하에 매설하고 있다.
그리고, 지하에 매설되는 전선은 외부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도록 보호관(예를 들어, "파형관" 또는 "이음관" 또는 "이형관" 또는 "관" 이라고도 함)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보호관은 지중전선관(E.L.P)이나 PE 전선관, PVC HI 전선관을 사용하게 되는데, 지중전선관은 자유자재로 구부러지고 장애물의 우회시공이 가능하며, 편형강도가 크므로 지중에 매설하였을 때 웬만한 하중에도 찌그러지지 않고, 전선과의 마찰계수가 적어 전선의 포설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보호관의 연결부위는 접착테이프로 여러 번 감아서 붙인 다음 강화퍼티를 이음부 표면에 도포하여 수분유입을 차단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보호관의 연결(이음) 구조는 강도가 취약하여 지반침하시 토압을 견디지 못하고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음부에 바른 퍼티가 경시변화에 의해 탈거되면서 이음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7년 01월 26일자 출원번호 제10-2007-0008348호(발명의 명칭 :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가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좌우측의 전선보호관(20)(24)에 형성된 골부(22)(26)의 상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삼각단면 형태로 된 상측내부반원링(30)(40)과 하측내부반원링(32)(42)의 분할면에 위치결정돌기(34)(44)와 위치결정구멍(36)(46)을 형성하고, 상측내부반원링(30)(40)과 하측내부반원링(32)(42)의 내주면에 전선보호관(20)(24)의 골부(22)(26)에 밀착되는 연질고무층(50)(52)(54)(56)을 형성하며, 상측내부반원링(30)(40)과 하측내부반원링(32)(42)의 외주면에 위치결정용브이홈(37)(38)(47)(48)과 외측고무링결합홈(60)(62)(64)(66)을 형성하고, 좌우측에 위치한 상측내부반원링(30)(40)과 하측내부반원링(32)(42)에 형성된 외측고무링결합홈(60)(62)(64)(66)에 내측이 결합되는 환형결합부(72)(74)를 고무링(70)의 좌우 양단에 형성하며, 상측내부반원링(30)(40)과 하측내부반원링(32)(42)의 외측을 덮는 상측외부반원링(80)(90)과 하측외부반원링(82)(92)의 내주면에 상측내부반원링(30)(40)과 하측내부반원링(32)(42)에 형성된 위치결정용브이홈(37)(38)(47)(48)에 결합되는 사다리꼴 단면형태의 환형리브(83)(84)(93)(94)를 형성하고, 고무링(70)에 형성된 환형결합부(72)(74)의 외측부에 결합되는 내측고무링결합홈(85)(86)(95)(96)을 상측외부반원링(80)(90)과 하측외부반원링(82)(92)의 내주면에 형성하며, 볼트(100)(102)와 너트(104)(106)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는 플랜지(87)(88)(97)(98)를 상측외부반원링(80)(90)과 하측외부반원링(82)(92)의 외주연에 각각 형성하고, 좌우측에 위치한 플랜지(87)(88)(97)(98)의 상하단에 사다리꼴 형태로 된 복수의 테이퍼홈(87a)(98a)과 테이퍼돌기(88a)(97a)를 형성하며, 상측외부반원링(80)(90)과 하측외부반원링(82)(92)의 외주면에 결속밴드(200)(202)를 감기 위한 밴드결합홈(80g)(82g)(90g)(92g)을 형성하고, 고무링(70)의 중간에 상·하측외부반원링(80)(90)(82)(92)과 상·하측내부반원링(30)(40)(32)(42)의 단면에 밀착하는 플렉시블 한 환형립(76)(77)(78)(79)을 형성하며, 고무링(70)의 중간에 축방향으로의 신축이 자유로운 잘록한 허리부(71)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음부를 통해 보호관의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의 내부에 설치된 전선이 빠르게 상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보호관의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보호관 이음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는,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밀봉이음관(102)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과;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과;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을 포함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보호관의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이음부의 뒤틀림이나 꺽임현상이 방지되므로, 보호관의 연결 및 분리에 따른 작업하중 및 작업공수가 절감됨은 물론 보호관 및 내장부품들의 유지보수에 따른 부대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에 보호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분해도,
도 5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에 보호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단면도이며, 도 3 내지 도 4는 도 1의 분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요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는,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밀봉이음관(102)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중앙에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과;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과;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가장자리수용홈(110)(112)과;
상기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가장자리수용홈(114)(116)과;
상기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 또는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에 선택적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의 오목부와 상기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의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고무링(118)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밀봉이음관(102)을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밀봉이음관(102)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되, 고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의 제조과정 및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의 제조(예를 들어, 성형)과정은 제조자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밀봉이음관(102)을 만든 후,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중앙에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을 만든 후,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을 만든다.
그리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제1 및 제2가장자리수용홈(110)(112)을 만든 후, 상기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제3 및 제4가장자리수용홈(114)(116)을 만든다.
그리고, 고무링(118)을 위치시킨 후, 상기 고무링(118)을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 또는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에 선택적으로 끼운다.
이때, 상기 고무링(118)은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 또는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밀봉이음관(102)을 밀착시켜주는 밀착부(120)를 만든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호관 이음장치의 제조가 완료되면,
밀봉이음관(102)을 위치시킨다.
그리고, 고무링(118)을 위치시킨 후, 상기 고무링(118)을 밀봉이음관(102)의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무링(118)은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다른 고무링(118)을 위치시킨 후, 상기 고무링(118)을 밀봉이음관(102)의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고무링(118)은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으로부터 돌출된다.
그리고,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보호관(200)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1보호관(200)을 밀봉이음관(102) 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제1보호관(200)의 일측면이 밀봉이음관(102)의 제1끼움홈(106) 속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상기 밀봉이음관(102)은 제1보호관(20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상기 제1끼움홈(106)의 전방에는 압착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압착돌기(105)는 제1보호관(200)의 일측면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압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1보호관(200)을 밀봉이음관(102) 속으로 밀어 넣으면,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돌출된 고무링(118)이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의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제1보호관(200)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제2보호관(202)을 위치시킨 후, 상기 제2보호관(202)을 밀봉이음관(102) 속으로 밀어 넣는다. 이때, 상기 제2보호관(202)의 일측면이 밀봉이음관(102)의 제2끼움홈(108) 속으로 들어간다.
여기서, 상기 밀봉이음관(102)은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주고, 상기 제2끼움홈(108)의 전방에는 압착돌기(105)가 형성되어 있는바, 상기 압착돌기(105)는 제2보호관(202)의 일측면이 이탈하지 못하도록 압착한다.
그리고, 상기 제2보호관(202)을 밀봉이음관(102) 속으로 밀어 넣으면,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으로부터 돌출된 고무링(118)이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의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그리고, 밀착부(120)를 위치시킨다.
그리고, 상기 밀착부(120)로 밀봉이음관(102)의 둘레면을 감싼 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밀착부(120)를 고정한다.
여기서, 볼트와 너트로 밀착부(120)를 고정하면, 상기 밀봉이음관(102)이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에 밀착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2 : 밀봉이음관
104 : 격벽
106 : 제1끼움홈
108 : 제2끼움홈
110, 112, 114, 116 : 가장자리수용홈
118 : 고무링
120 : 밀착부
200 : 제1보호관
202 : 제2보호관

Claims (3)

  1.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밀봉이음관(102)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과;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과;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 이음장치.
  2.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밀봉이음관(102)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과;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과;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가장자리수용홈(110)(112)과;
    상기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가장자리수용홈(114)(116)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 이음장치.
  3.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을 감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1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밀봉이음관(102)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중앙 내면 일측을 따라 형성되되, 중앙에 관통공을 구비하고 있는 격벽(104)과;
    상기 격벽(104)의 일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1끼움홈(106)과;
    상기 제1끼움홈(106)에 대응되게 상기 격벽(104)의 타 측면을 따라 형성되되, 전방에 압착돌기(105)를 구비하고 있는 제2끼움홈(108)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1 및 제2가장자리수용홈(110)(112)과;
    상기 제2가장자리수용홈(112)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가장자리 내면 일측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된 제3 및 제4가장자리수용홈(114)(116)과;
    상기 제1가장자리수용홈(110) 또는 제2가장자리수용홈(112) 또는 제3가장자리수용홈(114) 또는 제4가장자리수용홈(116)에 선택적으로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의 오목부와 상기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의 오목부에 끼워져 상기 제1보호관(200)과 제2보호관(202)의 내부로 빗물이 유입되는 것을 2차적으로 방지해 주는 고무링(118)과;
    상기 밀봉이음관(102)의 둘레면을 감싸 보호함과 아울러 상기 밀봉이음관(102)을 제1보호관(200)의 둘레면과 제2보호관(202)의 둘레면에 밀착시켜주는 밀착부(120)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관 이음장치.
KR1020150038204A 2015-03-19 2015-03-19 보호관 이음장치 KR2016011244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04A KR20160112445A (ko) 2015-03-19 2015-03-19 보호관 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8204A KR20160112445A (ko) 2015-03-19 2015-03-19 보호관 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12445A true KR20160112445A (ko) 2016-09-28

Family

ID=57101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8204A KR20160112445A (ko) 2015-03-19 2015-03-19 보호관 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11244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90B1 (ko) * 2018-11-07 2020-04-13 한국전력공사 절연전선의 선로 보호용 난연 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0090B1 (ko) * 2018-11-07 2020-04-13 한국전력공사 절연전선의 선로 보호용 난연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3243B1 (ko) 공동주택용 전선보호관 이음장치
CA2653173A1 (en) Pvc seismic coupling and method of installation
KR101290291B1 (ko) 현장 여건에 따른 신축 이음이 조절되는 배수관 이음 구조
KR102028180B1 (ko) 파이프 구조체
KR101007070B1 (ko) 공동주택 전기 배선용 전선이음장치
KR101491010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연결 컨넥터
KR100822219B1 (ko) 관 커플러
KR10149733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보호관
KR20120038745A (ko)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20160112445A (ko) 보호관 이음장치
CA2458710C (en) Improved pipe clamp inner seal
KR200203499Y1 (ko) 케이블용 관 이음장치
KR102121356B1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커플러
KR101580154B1 (ko) 탄성 클램프가 구비된 배관 보수용 커플링
KR20120102946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521050B1 (ko) 관로구 방수장치
JP4530935B2 (ja) マンホールの防水管補修工法及びマンホールの防水工法
KR20130052272A (ko) 복합 배관 및 그 조립 방법
KR101294759B1 (ko) 나선관의 연결 조립구조
KR20200079619A (ko) 광케이블용 다중관 컨넥터
KR20110000252U (ko) 조립식 지중 전력관로 이음장치
JPH0914570A (ja) ライフライン管路の耐震強化装置
KR102146593B1 (ko) 밀봉 요소 및 장치
KR101503819B1 (ko) 조립식 이경 관로구 어댑터
KR101111722B1 (ko) 관 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