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713B1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713B1
KR100852713B1 KR1020070014205A KR20070014205A KR100852713B1 KR 100852713 B1 KR100852713 B1 KR 100852713B1 KR 1020070014205 A KR1020070014205 A KR 1020070014205A KR 20070014205 A KR20070014205 A KR 20070014205A KR 100852713 B1 KR100852713 B1 KR 1008527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receptacle
connector
plu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0765A (ko
Inventor
도모야 사사키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7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은 끼워맞춤 보유력을 유지하면서, 저배화를 실현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리셉터클 컨택트는, 컨택트 접촉부와, 컨택트 접촉부의 끝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나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또는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면서 컨택트 접촉부에 가까워지도록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가 형성된 내벽접촉부를 구비하고, 플러그 컨택트는, 제1 접촉면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부를 컨택트 접촉부에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빼며, 적어도 굴곡부는 리셉터클 본체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빼낼 때, 리셉터클 본체의 내벽에 맞닿는다.
커넥터, 휴대용 단말기, 리셉터클, 플러그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Connector And Hand-held Terminal including the Conn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컨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컨택트의 구성을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을 개시했을 때의 상태를, 도 5의 (b)는 리셉터클 커넥터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를 각각 나타내는 종단면도(삽입방향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빼낼 때의 상태를 나타내는 종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의 설명**
1: 리셉터클 커넥터 2: 플러그 커넥터
3: 리셉터클 본체 4: 리셉터클 컨택트
5: 플러그 본체 7: 플러그 컨택트
31: 삽입홈 40: 보유부
41: 바깥측편 42: 수평연결편
43: 중앙편 43a: 보유볼록부
50: 연결부 51: 수평연결부
52: 제1 휨편 55: 컨택트 접촉부
56: 제2 휨편 58: 접촉볼록부
58a: 굴곡볼록부 59: 수평편
60: 내벽접촉부 61: 경사부
62: 굴곡부 63: 선단부
71: 제1 접촉면부 71d: 볼록부
72: 제2 접촉면부 72b: 돌기부
73: 연결면부
본 발명은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를 구비하고, 리셉터클 커넥터에 설치된 삽 입홈에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이들을 도통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이것을 탑재하는 휴대용 단말기 및 그 밖의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저배화에 대한 요청이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저배화에 따라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보유하는 보유력(끼워맞춤 보유력)이 떨어지기 쉬워, 이에 의해 쉽게 빠져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하여, 리셉터클 커넥터(리셉터클형 전기커넥터)의 리셉터클 컨택트(터미널)에 잠금조각을 설치하고, 플러그 커넥터(플러그형 전기커넥터)의 플러그 본체(절연 하우징)에 잠금조각에 대응하는 걸어맞춤 돌출부를 형성한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 평9-259979호 공보). 이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끼워맞춤시에 잠금조각과 걸어맞춤 돌출부를 서로 걸어맞춤으로써, 끼워맞춤 보유력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한편, 저배화의 실현과 함께, 리셉터클 커넥터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빼낼 때,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 끝부분이 걷어져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리셉터클 커넥터의 인슐레이터 중앙에 설치한 지지기둥의 위쪽 양측에 이동억제부를 대칭으로 설치한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 2001-338711호 공보).
하지만, 리셉터클 컨택트에 잠금조각을 설치한 상술한 커넥터(일본 공개특허 평9-259979호 공보)에서는, 플러그 커넥터를 끼우고 빼는 것을 반복하는 중에, 걸어맞춤 돌출부가 형성된 플러그 본체가 잠금조각에 의해 깎이기 쉽다. 이에 의해, 플러그 본체로부터 먼지가 나오는 동시에, 걸어맞춤 돌출부의 형상이 변하여 끼워 맞춤 보유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이동억제부를 설치한 커넥터(일본 공개특허 2001-338711호 공보)에서는, 커넥터를 더욱 저배화하려면 이동억제부를 얇게 해야 한다. 하지만, 이동억제부의 두께를 줄이면 이동억제부의 강도가 약해지기 때문에, 컨택트가 걷어져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케이스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더구나, 걷어져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고 해도, 이동억제부에 걸린 컨택트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을 우려가 있으며, 컨택트가 본래의 위치로 되돌아가지 않는 커넥터는 그 기능을 발휘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가 저배화되어도 높은 끼워맞춤 보유력을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커넥터를 뺄 때의 자세에 상관없이 컨택트 끝부분이 걷어져 올라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소성 변형을 방지하도록 하여 커넥터의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가진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이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1개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리셉터클 본체 및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1개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며, 리셉터클 컨택트는, 리셉터클 본체에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 접촉부와, 컨택트 접촉부의 끝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또는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면서 컨택트 접촉부에 가까워지도록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가 형성된 내벽접촉부를 구비하고, 플러그 컨택트는, 삽입방향으로 뻗은 제1 접촉면부를 구비하고, 제1 접촉면부를 컨택트 접촉부에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빼며, 적어도 굴곡부는 리셉터클 본체로부터 플러그 커넥터를 빼낼 때, 리셉터클 본체의 내벽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커넥터에 있어서, 내벽접촉부는 컨택트 접촉부의 끝부분으로부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면서 내벽측으로 뻗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경사부의 끝부분에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는, 리셉터클 본체에 리셉터클 컨택트를 보유하는 보유부와, 보유부와 컨택트 접촉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이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플러그 컨택트는, 제1 접촉면부와 마주보고 있는 제2 접촉면부와, 제1 접촉면부의 한 쪽 끝부분과 이것과 마주보는 제2 접촉면부의 한 쪽 끝부분을 연결하며 소정 간격에 대응한 길이를 구비한 연결면부를 구비하며, 제1 접촉면부 및 제2 접촉면부를 컨택트 접촉부 및 보유부에 각각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뺐다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유부는,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으로 뻗는 바깥측편과, 이 바깥측 편과 마주보는 중앙편과, 바깥측편 및 중앙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바깥측편의 한 쪽 끝부분과 이것과 마주보는 중앙편의 한 쪽 끝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편을 구비하고, 연결부는, 중앙편의 다른 쪽 끝부분으로부터 수평연결편이 뻗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는 수평연결부와, 수평연결부의 끝부분으로부터 뻗는 제1 휨편을 구비하며, 컨택트 접촉부는, 제1 휨편의 끝부분으로부터 중앙편측으로 꺾이어 돌아와 보유부측으로 뻗는 제2 휨편과, 이 제2 휨편의 끝부분으로부터 중앙편으로 접근하면서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뻗으며, 다시 중앙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볼록부를 구비하는 접촉볼록부와, 이 접촉볼록부로부터 수평연결편이 뻗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는 수평편을 구비하고, 중앙편과 제2 접촉면부, 및 접촉볼록부와 제1 접촉면부를 각각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뺐다 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촉면부에는 제2 접촉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볼록부가 접촉볼록부를 타고 넘도록 플러그 컨택트를 리셉터클 본체 안에 삽입할 수 있다.
상기 중앙편은 수평연결편측의 끝부분에 있어서, 바깥측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유볼록부를 구비하고, 제2 접촉면부는 제1 접촉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돌기부가 보유볼록부를 타고 넘도록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본체 안으로 삽입하면 좋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한 쪽은 표시장치 유니트 위에 배치되고, 다른 쪽은 기판 위에 배치되며, 삽입홈에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함 으로써 표시장치 유니트와 기판이 도통할 수 있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한 쪽은 촬상소자 유니트 위에 배치되고, 다른 쪽은 기판 위에 배치되며, 삽입홈에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함으로써 촬상소자 유니트와 기판이 도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 커넥터(1)(도 1)와 플러그 커넥터(2)(도 3)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의 한 쪽을 LCD(액정 디스플레이)(표시장치) 유니트나 CCD(전하결합소자)(촬상소자) 유니트측에 배치하고, 다른 쪽을 이 유니트들과 도통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측에 배치하며, 리셉터클 커넥터(1)와 플러그 커넥터(2)를 결합함으로써 유니트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1)는 휴대용 단말기(예를 들어, 휴대용 전화기, 휴대가능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안에서의 접속이나, 휴대용 단말기와 외부기기의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는 LCD 유니트 외에 표시장치로서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니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니트,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디스플레이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CD 유니트 외에, 촬상소자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유니트에도 리셉터클 커넥 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커넥터(1)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2)를 끼웠다 뺐다 하는 삽입홈(31)이 형성된 리셉터클 본체(3)와, 삽입홈(3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개의 리셉터클 컨택트(4)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3)는 예를 들어, 나일론 9T(상표),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부재이다.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 컨택트(4)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보유부(40)와, 연결부(50)와, 컨택트 접촉부(55)와, 내벽접촉부(60)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출 때 플러그 커넥터(2)가 배치되는 측(도 2에서 위쪽)을 위쪽, 리셉터클 커넥터(1)가 배치되는 측(도 2에서 아래쪽)을 아래쪽이라고 칭한다.
보유부(40)는 아래쪽이 개구된 U자형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며, 삽입홈(31)의 가장자리부(31a)(도 5)를 사이에 끼우는 형태로 리셉터클 본체(3)에 보유된다. 연결부(50)는 보유부(40)에서의 삽입홈(31)의 안쪽에 위치하는 한 쪽 끝으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1)의 폭방향으로 뻗는다. 컨택트 접촉부(55)는 연결부(50)의 끝부분으로부터 위쪽으로 꺾이어 중앙편(43)을 향하여 약 S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유부(40)는 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방향(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로 삽입하는 방향 및 리셉터클 커넥터(1)로부터 빼내는 방향)으로 뻗는 바깥측편(41), 이 바깥측편(41)과 마주보도록 뻗은 중앙편(43), 및 바깥측편(41) 및 중앙편(4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으며, 바깥측편의 한 쪽 끝부분과 이와 마주보 는 중앙편(43)의 한 쪽 끝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편(42)으로 구성된다. 보유부(40)의 양끝 부분 중, 삽입홈(31)의 바깥쪽에 위치하는 바깥측편(41)의 끝부분으로부터는, 리셉터클 본체(3)의 길이방향의 측면으로부터 외부로 뻗어 나가는 단자부(44)가 연속하여 일체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 단자부(44)는 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 고정된다.
바깥측편(41) 및/또는 중앙편(43)에는, 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방향 대략 중앙에, 폭방향 양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부(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걸어맞춤부는 리셉터클 컨택트(4)를 리셉터클 본체(3)에 장착했을 때 리셉터클 본체(3)에 설치된 피걸어맞춤부(도시하지 않음)와 걸어맞추어지고,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컨택트(4)는 리셉터클 본체(3)에 대하여 확실하게 고정된다.
중앙편(43)에는 수평연결편(42) 측의 끝부분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방향 대략 중앙에 걸쳐, 바깥측편(4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보유볼록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보유볼록부(43a)는 단자부(44), 바깥측편(41), 수평연결편(42)과 같은 두께의 중앙편(43)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방향 대략 중앙으로부터 아랫쪽을 압착시켜 판두께를 얇게 함으로써 형성한다. 또한, 보유볼록부(43a)는 그 이면(바깥측편(41) 측의 면)으로부터 금형을 사용하여 두드림으로써, 그 볼록부의 치수 및 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방향에서의 배치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압착에 의해 얇아진 부분의 판두께는, 연결부(50) 및 컨택트 접촉부(55)와 같은 판두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판두께 분포로 하면, 보유부(40) 및 단자부(44)의 리셉터클 본체(3)로의 고정이 강고해지는 동시에, 플러그 커넥터(2) 를 끼우고 뺄 때의 리셉터클 컨택트(4)의 변위에 의해 전달되는 응력을 효과적으로 분산시켜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본체(3)에 리셉터클 컨택트(4)를 장착할 때의 바깥측편(41) 및 수평연결편(42)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단자부(44)로 응력이 전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리셉터클 본체(3)에 대한 단자부(44)의 고정에 있어서, 또한 커넥터와 기판의 접합에 있어서, 리셉터클 본체(3)나 접합에 사용하는 땜납 등에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4)가 매우 얇은 경우(예를 들어, 0.1mm 이하)에는 모두 균일한 판두께로 하여도 좋다.
연결부(50)는, 중앙편(43)의 끝부분으로부터 수평연결편(42)이 뻗은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뻗어 설치된 수평연결부(51)와, 수평연결부(51)의 끝부분으로부터 수평연결부(51)가 뻗은 방향으로부터 서서히 위쪽으로 멀어지도록 뻗은 제1 휨편(52)으로 구성된다. 또한, 수평연결부(51)와 제1 휨편(52)은 예를 들어, 수평연결부(51)가 뻗은 방향으로부터 서서히 위쪽으로 멀어지는 곡면으로 일체로 형성하여도 좋다.
컨택트 접촉부(55)는, 제1 휨편(52)의 끝부분으로부터 중앙편(43) 측으로 꺾이어 돌아와, 수평연결부(51) 측으로 뻗은 제2 휨편(56), 제2 휨편(56)의 끝부분으로부터 중앙편(43)으로 접근하면서 연결부(50)로부터 멀어지도록 뻗으며, 중앙편(4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대략 U자형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볼록부(58a)를 구비하는 접촉볼록부(58), 및 이 접촉볼록부(58)로부터 수평연결부(51)가 뻗는 방향과 평행하게 뻗은 수평편(59)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대략 S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휨편(52)과 제2 휨편(56)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며, 일정한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률원상에 있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컨택트 접촉부(55)를 복수개의 곡면을 구비하는 대략 S자형상으로 함으로써 곡률반경이 큰 곡면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컨택트 접촉부(55) 자신의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컨택트 접촉부(55)를 제1 휨편(52)과 접속함으로써, 컨택트 접촉부(55)가 연결부(50)에 의한 탄성을 동반하면서 더욱 움직일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저배화를 위하여 공간이 제한된 경우라도, 뛰어난 탄성을 발휘할 수 있다.
내벽접촉부(60)는 컨택트 접촉부(55)의 수평연결부(59)의 끝부분으로부터 보유부(40)로부터 멀어지도록 뻗어 나가 있다. 이 내벽접촉부(60)는 리셉터클 본체(3)에 보유되었을 때, 리셉터클 본체(3)의 바닥면부(32)(도 5) 측을 향하면서, 내벽(35) 측으로 뻗은 경사부(61)와, 이 경사부(61)의 끝부분에 형성된 굴곡부(62)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3)의 내벽(35)과 대략 평행하게(플러그 커넥터(2)의 삽입방향에 따라), 내벽(35)과 마주보도록 형성된 선단부(63)를 구비한다. 여기서, 선단부(63)는 내벽(35)과 평행하지 않아도 되며, 굴곡부(62)로부터 리셉터클 본체(3)의 바닥면부(32) 측을 향하면서, 컨택트 접촉부(55)에 접근하도록 뻗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4)는 기재(예를 들어,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인청구리, 코르손(니켈-실리콘)계 구리합금) 위에 하지 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에,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금 도금)을 하여 제작한다. 리셉터클 컨택트(4)의 판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하고,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어, 커넥터의 피치가 0.3~0.5mm인 경우, 보유부(40), 단자부(44), 및 보유볼록부(43a)는 0.08~0.15mm, 중앙편(43)의 보유볼록부(43a) 이외의 부분, 연결부(50), 컨택트 접촉부(55), 및 내벽접촉부(60)는 0.05~0.08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하지 도금의 두께는, 예를 들어 니켈인 경우에는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 미만이면 하지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4㎛를 넘으면 플러그 커넥터(2)와의 슬라이딩 접속시의 변형에 의해 크랙이 쉽게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또한, 마무리 도금의 두께는 예를 들어, 금인 경우, 보유부(40), 연결부(50), 컨택트 접촉부(55), 및 내벽접촉부(60)는 0.03~0.5㎛인 것이 바람직하고, 단자부(44)는 0.03㎛~0.2㎛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단자부(44)의 마무리 도금의 두께가 0.2㎛를 넘으면 기판에 실장할 때 사용하는 땜납(예를 들어, 주석-납, 주석-구리, 주석-구리-은)에 금이 확산되기 쉬워져, 이에 의해 접합강도가 떨어지고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리셉터클 컨택트(4)는 위쪽으로부터 리셉터클 본체(3)에 삽입되며, 상술한 걸어맞춤부를 리셉터클 본체(3)의 피걸어맞춤부 안에 밀어넣음으로써 리셉터클 본체(3)에 보유된다. 이는 내벽접촉부(60)를 설치함으로써 높은 끼워맞춤 보유력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본체(3)의 아래쪽으로부터 삽입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장면인 리셉터클 본체(3)의 바닥면부(32)에 리셉터클 컨택트(4)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구멍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일본 공개특허 2001-338711호 공보에 기재된 커넥터에서는, 이동억제부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에 의한 제약상,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부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버리는데,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이동억제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관통구멍을 형성하지 않고 리셉터클 본체를 성형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 본체(3)의 바닥면부(32)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실장 기판의 패턴배선 금지영역을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플럭스(flux) 및 그 밖의 이물질이 기판으로부터 리셉터클 본체(3) 안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리셉터클 컨택트(4)를 리셉터클 본체(3)에 장착했을 때, 수평연결부(51) 및 제1 휨편(52)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바닥면부(32)(도 5)는, 플러그 커넥터(2)가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워맞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수평연결부(51)와의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구비하고 있다. 이 간격은 0.01~0.05mm가 바람직하다. 0.01mm 미만으로 하면 제조상의 편차에 의해 수평연결부(51)와 접촉하는 것과 접촉하지 않는 것이 발생하고, 0.05mm를 넘으면 리셉터클 컨택트(4)의 스프링으로서의 거동이 안정되지 않기 때문에, 소정의 접촉 압력이나 접점 위치를 얻을 수 없는 경향이 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배치된 리셉터클 컨택트(4)에 대하여 플러그 컨택트(7)를 끼워맞추면, 수평연결부(51)와 제1 휨편(52) 중 적어도 수평연결부(51)가 바닥면부(32)에 맞닿는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 컨택트(4)의 거동이 안정된다. 즉, 리셉터클 컨택트(4)의 형상 변화가 바닥면부(32)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4)의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 컨택트(4)의 아래쪽에 절연성 바닥면부(32)가 배치되게 되기 때문에, 리셉터클 커넥터(1)의 아래쪽에도 배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2)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5)와, 각각 띠형상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5)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쪽에 각각 리셉터클 커넥터(1)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4)와 대응하여 같은 피치로 설치된 복수개의 플러그 컨택트(7)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5)는 예를 들어, 나일론 9T(상표),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컨택트(7)와 함께 일체로 성형(인서트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도 4에 나타내는 플러그 컨택트(7)는, 스탬핑 성형에 의해 형성된 띠형상의 금속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으로 뻗은 제1 접촉면부(71)와, 제1 접촉면부(71)와 마주보며 뻗은 제2 접촉면부(72)와, 제1 접촉면부(71) 및 제2 접촉면부(72)와 직교하는 방향을 뻗으며, 제1 접촉면부(71)의 한 쪽 끝부분(71a)과 이것과 마주보는 상기 제2 접촉면부(72)의 한 쪽 끝부분(72a)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면부(73)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제1 접촉면부(71)의 다른 쪽 끝부분(71b)으로부터는, 플러그 본체(5)를 관통하여 연결면부(73)와 대략 평행하게 뻗은 단자부(74)가 연속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단자부(74)는 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패턴에 땜납 고정된다. 한편, 플러그 컨택트(7)는 리셉터클 컨택트(4)와 같은 재료, 구성으로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접촉면부(71)에는 연결면부(73) 측의 끝부분(71a)에 제2 접촉면부(7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71d)가 볼록 설치되어 있다. 제1 접촉면 부(71)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우고 뺄 때의 굴곡 볼록부(58a)와 볼록부(71d)의 접촉에 의해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리셉터클 컨택트(4) 안으로의 플러그 컨택트(7)의 보유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2 접촉면부(72)에는 제1 접촉면부(71)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72d)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촉면부(72)를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끼우고 뺄 때의 보유볼록부(43a)와 제1 접촉면부(72)의 각 부분과의 접촉에 의해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리셉터클 컨택트(4) 안으로의 플러그 컨택트(7)의 보유를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리셉터클 컨택트(4)와 플러그 컨택트(7)는 제2 접촉면부(72)와 보유볼록부(43a), 및 제1 접촉면부(71)와 굴곡돌출부(58a)의 2군데에서 각각 맞닿아, 리셉터클 컨택트(4)가 플러그 컨택트(7)를 사이에 끼워넣는 형태가 되어, 확실하게 전기적 접속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구성을 가지는 커넥터에서는, 도 5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컨택트(7)를 리셉터클 컨택트(4)로 삽입하는 당초에는 끝부분(71a)이 접촉볼록부(58)의 상부에 압접되고, 제1 휨편(52)이 바닥면부(32)에 접근한다. 플러그 컨택트(7)를 더욱 리셉터클 컨택트(4)에 삽입하면, 도 5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연결부(51)가 뻗는 방향에서 내벽접촉부(60) 및 컨택트 접촉부(55)가 탄성변형하여, 보유 볼록부(43a)와 굴곡 볼록부(58a) 사이의 갭이 넓어져, 굴곡부(62)는 플러그 커넥터(7)의 삽입방향으로 뻗는 내벽(35)에 맞닿고, 제2 접촉면부(72)와 중앙 편(43)이 슬라이딩 운동하는 동시에, 제1 접촉면부(71)와 접촉볼록부(58)가 슬라이딩 운동하면서, 컨택트 접촉부(55)와 보유부(40) 사이에 제1 접촉면부(71) 및 제2 접촉면부(72)가 끼워넣어진다.
여기서, 보유볼록부(43a)와 굴곡볼록부(58a) 사이의 갭은 플러그 컨택트(7)를 리셉터클 컨택트(4)에 삽입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되어 있다. 이 소정의 간격은 플러그 컨택트(7)의 제1 접촉면부(71)와 제2 접촉면부(72)의 간격(소정 간격으로 대응한 길이의 간격)보다 작게 되어 있으며, 플러그 컨택트(7)를 리셉터클 컨택트(4)에 삽입하면 그 간격이 넓어지고, 또한 리셉터클(4)의 탄성력에 의해 플러그 컨택트(7)를 사이에 끼울 수 있다. 이 소정의 간격은 플러그 컨택트(7)의 설계형상, 플러그 컨택트(7)를 사이에 끼우는 힘의 설계값 등에 의해 임의의 값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로 끼우고 빼는 것에 따른 내벽접촉부(60)의 거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로 삽입할 때는, 내벽접촉부(60)는 제1 접촉면부(71)와 굴곡볼록부(58a)가 맞닿음으로써 위에서부터 눌리기 때문에 대략 S자형상이 찌부러지는 동시에, 보유볼록부(43a)와 굴곡볼록부(58a) 사이의 갭을 넓히도록 컨택트 접촉부(55)와 보유부(40) 사이로 플러그 컨택트(7)가 들어가기 때문에, 내벽(35) 측으로 슬라이드한다. 내벽접촉부(60)에는 경사부(6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내벽접촉부(60)의 위쪽 부분과 내벽(35)이 맞닿지 않아, 낮은 끼워맞춤력으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로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로부터 빼낼 때의 거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로부터 빼내려고 하면, 리셉터클 컨택트(4)는 플러그 컨택트(7)에 대한 접촉압력에 의해, 보유볼록부(43a)와 굴곡볼록부(58a) 사이의 갭이 열린 채로 위쪽으로 들려올라가려고 한다. 이 때, 컨택트 접촉부(55)에는 제1 접촉면부(71)와의 마찰에 의해 회전 모멘트(도 6에서는 좌회전 방향)가 걸리기 때문에 내벽접촉부(60)가 회전한다. 따라서, 내벽접촉부(60)가 접촉적으로 내벽(35)에 맞닿기 때문에, 갭의 치수 규제가 걸리는 동시에, 내벽접촉부(60)의 탄성에 의해 갭이 보다 열리려고 하여도 높은 접촉압력이 걸리기 때문에 끼워맞춤이 보유된다. 즉,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높은 끼워맞춤 보유력을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내벽접촉부(60)의 판두께를 눌러 찌부러트려 얇게 하거나 하여 끼워맞춤 보유력을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핸들링시에 생각했던 것 이상의 하중이 실리더라도, 내벽접촉부(60) 및 리셉터클 컨택트(4)가 지나치게 변위하지 않아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의해 커넥터로서의 성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 컨택트(4)로부터 플러그 컨택트(7)를 빼낼 때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볼록부(71d)와 굴곡볼록부(58a)의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컨택트 접촉부(55)가 위쪽으로 들려올라가는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1)가 서로 경사진 상태에서 빼냈을 때(비스듬한 빼냄) 커지는데, 내벽접촉부(60)가 탄성변형하여 굴곡부(62)가 리셉터클 본체(3)의 내벽(35)에 맞닿 아 있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4)가 걷어져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플러그 컨택트(7)를 완전히 빼내면, 리셉터클 컨택트(4)의 탄성에 의해 보유볼록부(43a)와 굴곡볼록부(58a) 사이의 갭이 작아져, 리셉터클 컨택트(4)는 플러그 컨택트(7) 삽입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에서는, 내벽접촉부(60)를 내벽(35)에 대하여 걸어맞추는 것이 아니라, 탄성변형시키면서 맞닿게 하여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는 것에 의해 끼워맞춤 보유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의 저배화를 방지하는 부재가 없기 때문에, 보다 저배화된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더구나, 플러그 커넥터(2)와 리셉터클 커넥터(1)를 끼워맞출 때, 생각했던 것 이상의 하중이 실리더라도, 내벽접촉부(60)가 내벽(35)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내벽접촉부(60) 및 리셉터클 커넥터(1)가 지나치게 변위하지 않고, 이에 의해 커넥터로서의 성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내벽접촉부(60)를 내벽(35)에 대하여 걸어맞추는 것이 아니라, 탄성변형시키면서 맞닿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를 리셉터클 커넥터(1)에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는 것에 의해 끼워맞춤 보유력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플러그 본체(5)로부터 발생하는 먼지를 대폭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리셉터클 컨택트(4)의 기능과 플러그 컨택트(7)의 기능을 바꾸어도 된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 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개량의 목적 또는 본 발명에서 상정하는 범위내에서 개량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플러그 컨택트 또는 리셉터클 컨택트의 끝부분으로부터 뻗어 나가고, 이 컨택트를 보유하는 플러그 본체 또는 리셉터클 본체의 내벽에 접촉하는 내벽접촉부를 설치하고 있다.
이 내벽접촉부는 컨택트를 보유하는 플러그 본체 또는 리셉터클 본체의 내벽에 탄성변형하면서 맞닿기 때문에, 내벽과의 사이에 마찰저항이 발생하는 동시에 플러그에 대한 압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어, 커넥터가 저배화되어도 높은 끼워맞춤 보유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일본 공개특허 2001-338711호 공보에 기재된 이동억제부와 같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저배화를 실현하면서, 커넥터를 뺄 때의 자세에 상관없이 컨택트 끝부분이 걷어져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소정 이상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추거나 빼낼 때(비스듬한 빼냄) 또는 커넥터의 핸들링시에, 외란 등에 의해 생각했던 것 이상의 하중이 실리더라도, 내벽접촉부가 내벽과 맞닿아 있기 때문에, 내벽접촉부 및 이것을 설치한 컨택트가 지나치게 변위하지 않아 소성 변형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로서의 성능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및 이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1개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를 가지는 플러그 커넥터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끼웠다 뺐다 하는 리셉터클 본체 및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도통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1개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를 가지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상기 플러그 커넥터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컨택트와 접촉하는 컨택트 접촉부와,
    상기 컨택트 접촉부의 끝부분으로부터 뻗어 나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에 따라, 또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면서 상기 컨택트 접촉부에 가까워지도록 굴곡시켜 이루어지는 굴곡부가 형성된 내벽접촉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삽입방향으로 뻗은 제1 접촉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접촉면부를 상기 컨택트 접촉부에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빼며,
    상기 굴곡부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로부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빼낼 때,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내벽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벽접촉부는 상기 컨택트 접촉부의 끝부분으로부터 상기 리셉터클 본체의 바닥면측을 향하면서 상기 내벽측으로 뻗는 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부의 끝부분에 상기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는,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상기 리셉터클 컨택트를 유지하는 유지부와, 상기 유지부와 상기 컨택트 접촉부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도록 이것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컨택트는, 상기 제1 접촉면부와 마주보고 있는 제2 접촉면부와, 상기 제1 접촉면부의 한 쪽 끝부분과 이것과 마주보는 상기 제2 접촉면부의 한 쪽 끝부분을 연결하며 상기 소정 간격에 대응한 길이를 구비한 연결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접촉면부 및 상기 제2 접촉면부를 상기 컨택트 접촉부 및 상기 유지부에 각각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뺐다 하는 커넥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삽입방향으로 뻗는 바깥측편과, 이 바깥측편과 마주보는 중앙편과, 상기 바깥측편 및 상기 중앙편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바깥측편의 한 쪽 끝부분과 이것과 마주보는 상기 중앙편의 한 쪽 끝부분 사이를 연결하는 수평연결편을 구비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중앙편의 다른 쪽 끝부분으로부터 상기 수평연결편이 뻗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는 수평연결부와, 상기 수평연결부의 끝부분으로부터 뻗는 제1 휨편을 구비하며,
    상기 컨택트 접촉부는, 상기 제1 휨편의 끝부분으로부터 상기 중앙편측으로 꺾이어 돌아와 상기 보유부측으로 뻗는 제2 휨편과, 이 제2 휨편의 끝부분으로부터 상기 중앙편으로 접근하면서 상기 연결부로부터 멀어지도록 뻗으며, 다시 상기 중앙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굴곡하여 이루어지는 굴곡볼록부를 구비하는 접촉볼록부와, 이 접촉볼록부로부터 상기 수평연결편이 뻗은 방향으로 평행하게 뻗는 수평편을 구비하고,
    상기 중앙편과 상기 제2 접촉면부, 및 상기 접촉볼록부와 상기 제1 접촉면부를 각각 슬라이딩 운동시키면서,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끼웠다 뺐다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촉면부에는 상기 제2 접촉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한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록부가 상기 접촉볼록부를 타고 넘도록 상기 플러그 컨택트를 상기 리셉터클 본체 안에 삽입하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편은 상기 수평연결편측의 끝부분에 있어서, 상기 바깥측편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보유볼록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접촉면부는 상기 제1 접촉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보유볼록부를 타고 넘도록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상기 리셉터클 본체 안으로 삽입하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한 쪽은 표시장치 유니트 위에 배치되고, 다른 쪽은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표시장치 유니트와 상기 기판이 도통하는 커넥터.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 및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한 쪽은 촬상소자 유니트 위에 배치되고, 다른 쪽은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를 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 유니트와 상기 기판이 도통하는 커넥터.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0070014205A 2006-05-15 2007-02-12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8527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34997 2006-05-15
JP2006134997A JP4303259B2 (ja) 2006-05-15 2006-05-15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765A KR20070110765A (ko) 2007-11-20
KR100852713B1 true KR100852713B1 (ko) 2008-08-19

Family

ID=38685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4205A KR100852713B1 (ko) 2006-05-15 2007-02-12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390196B2 (ko)
JP (1) JP4303259B2 (ko)
KR (1) KR1008527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09B1 (ko) * 2009-12-29 2012-11-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발거력 발생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54651B2 (ja) * 2007-07-25 2010-04-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4574692B2 (ja) 2008-02-29 201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583330B2 (ja) * 2008-04-18 2014-09-03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基板間接続用コネクタ構造の係合力の調整方法
JP5107811B2 (ja) * 2008-07-07 2012-12-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コネクタ
JP2010086827A (ja) 2008-09-30 2010-04-15 Molex Inc 電気コネクタ
JP5108710B2 (ja) * 2008-09-30 2012-12-2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コネクタ
JP5553502B2 (ja) * 2008-12-19 2014-07-1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113101B2 (ja) 2009-01-30 2013-01-09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電気回路の接続構造および電気回路の接続方法
JP4849145B2 (ja) * 2009-03-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112494B2 (ja) * 2010-10-19 2013-01-0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8888506B2 (en) * 2013-01-29 2014-11-18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imited Connector
WO2014132284A1 (ja) * 2013-02-27 2014-09-0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および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ヘッダならびにソケット
KR101442150B1 (ko) * 2013-03-14 2014-09-18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KR20150089360A (ko) * 2014-01-27 2015-08-0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전기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 어셈블리
KR101586250B1 (ko) * 2014-04-30 2016-01-18 (주)우주일렉트로닉스 고전류용 보드 커넥터
US9728872B2 (en) * 2014-09-22 2017-08-08 Xiaomi Inc Connector plug, connector socket, and connector
JP6537890B2 (ja) * 2014-09-26 2019-07-03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341876B2 (ja) * 2015-04-01 2018-06-1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CN106486837B (zh) * 2015-08-25 2019-12-06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连接器
KR101766198B1 (ko) * 2016-05-03 2017-08-23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멀티 전원접촉부를 갖는 커넥터 장치
EP3402001B1 (en) * 2017-05-10 2021-02-17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current transformers
JP2022105811A (ja) * 2021-01-05 2022-07-1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73A (ko) * 2004-08-30 2006-03-06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99192A (en) * 1993-02-22 1997-02-04 Berg Technology, Inc. Blade-like terminal having a passive latch
JP4183102B2 (ja) * 1996-11-11 2008-11-19 ソニー株式会社 プラグコネクタ
CN2665960Y (zh) * 2003-09-06 2004-12-22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JP3860823B2 (ja) * 2004-08-19 2006-12-20 京セラエルコ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TWM284091U (en) * 2005-04-21 2005-12-21 Molex Taiwan Ltd Electrical conn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20573A (ko) * 2004-08-30 2006-03-06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409B1 (ko) * 2009-12-29 2012-11-16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발거력 발생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64854A1 (en) 2007-11-15
JP2007305513A (ja) 2007-11-22
US7390196B2 (en) 2008-06-24
KR20070110765A (ko) 2007-11-20
JP4303259B2 (ja) 2009-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713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64670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CN109565134B (zh) 连接器
KR100643180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US9407035B2 (en) Electronic device unit
US20060128204A1 (en) Electric connector
KR100556571B1 (ko) 커넥터
CN109496377B (zh) 触头
KR100671989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EP195541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80026609A1 (en) Low profile connector
US7226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20070026708A1 (en) Connector and portable cable
JP4619431B2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3975222B2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KR101397442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
US20110143601A1 (en) Connector
KR100628496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2018129165A (ja) コネクタ
CN113783004A (zh) 板对板连接器及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