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28496B1 -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 Google Patents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28496B1
KR100628496B1 KR1020040104228A KR20040104228A KR100628496B1 KR 100628496 B1 KR100628496 B1 KR 100628496B1 KR 1020040104228 A KR1020040104228 A KR 1020040104228A KR 20040104228 A KR20040104228 A KR 20040104228A KR 100628496 B1 KR100628496 B1 KR 1006284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base
extending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04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0574A (ko
Inventor
사사키도모야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에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205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05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84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84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39/00Electrical connectors
    • Y10S439/93Coupling part wherein contact is comprised of a wire or brush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형화·저배화(低背化)를 실현하면서, 확실한 잠금 상태 및 도통 상태를 실현하고, 플러그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각 부재에 손상을 주는 일이 적으며, 또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높은 잠금 상태를 실현하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플러그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와, 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기부에서 연장되어, 플러그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맞물림 보유부와, 기부에서 연장되는 플러그측 고정부를 가지고, 리셉터클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그 탄성력에 의해 내면에 상기 삽입부의 바깥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삽입부를 보유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탄성보유부와,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고정부를 가지며, 적어도 오목부의 내면 및 삽입부의 바깥면은 압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이다.
커넥터, 플러그, 리셉터클, 컨택트

Description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CONNECTOR,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의 (a) 및 도 2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셉터클측 앵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의 (c)는 도 2의 (a)의 IIC-IIC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2의 (d)는 리셉터클측 앵커가 리셉터클 본체에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의 (e)는 리셉터클측 앵커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의 (b)는 도 3의 (a)의 IIIB-IIIB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측 앵커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의 (c)는 도 4의 (a)의 IVC-IVC선에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리셉터클측 앵커와 플러그측 앵커의 끼워맞춤 상태를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도 6의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측 앵커의 변형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세로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부호설명***
10: 리셉터클 20: 리셉터클 본체
21: 삽입홈 30: 리셉터클 컨택트
40: 리셉터클측 앵커 42: 연결부
43: 탄성 보유부 43b: 오목부
43b1: 제 1 돌기부 43b2: 제 2 돌기부
50: 플러그 60: 플러그 본체
64: 벽부 70: 플러그 컨택트
80: 플러그측 앵커 82: 기부
83: 삽입부 83a1: 돌기부
본 발명은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설치된 리셉터클측 앵커와 플러그에 설치된 플러그측 앵커의 작용에 의해,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잠금 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리셉터클과 플러그를 구비하고, 리셉터클에 설치된 삽입홈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양자를 도통시키는 커넥터에 있어서, 이를 탑재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밖의 장치의 소형화에 따라, 저배화에 대한 요구가 강해지고 있다.
하지만, 커넥터를 저배화하면, 플러그의 삽탈(삽입 및 해제) 방향에서의 리 셉터클 컨택트 및 플러그 컨택트의 스트로크(stroke)가 작아지기 때문에, 리셉터클 컨택트와 플러그 컨택트의 접촉압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이 컨택트의 수가 적어질수록, 플러그와 리셉터클의 잠금 상태를 유지하기가 어려워진다.
이에 대하여, 리셉터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리셉터클측 앵커를, 플러그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플러그측 앵커를, 각각 장착한 커넥터가 제안되고 있다(일본 공개특허 2003-297485호 공보, 일본 공개특허 2001-57273호 공보). 이 커넥터들은 리셉터클측 앵커에 설치한 잠금부와, 플러그측 앵커에 설치한 피잠금부를 서로 끼워맞추어 종래보다 확실한 잠금 상태를 실현하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상술한 커넥터에서는 리셉터클측 앵커 및 플러그측 앵커가 전단에 의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플러그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면, 그 전단면에 의해 상대측 부재나 주변 부재에 손상을 주게 되는 일이 적지 않고, 이에 의해 커넥터 안에 이물이 발생, 퇴적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 리셉터클측 앵커 및 플러그측 앵커는, 그 구조상 커넥터의 계속되는 저배화에 대응하기가 어려웠다.
또한, 리셉터클과 플러그 사이에는 끼워맞춤을 위하여 소정의 간격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간격의 범위내에서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나는 경우가 있다. 이 어긋나는 정도에 따라서는, 상술한 리셉터클측 앵커와 플러그측 앵커가 정확하게 맞물리지 않고 잠금력이 저하하는 방향이 생기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이 가해졌을 때, 그 방향에서 플러그가 리셉터클로부터 해제되기 쉬웠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에서는,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이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 및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플러그측 앵커를 가지는 플러그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를 끼우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삽입홈에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 및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플러그측 앵커를 보유하는 리셉터클측 앵커를 가지는 리셉터클을 구비하고, 플러그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와, 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기부에서 연장되어 플러그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맞물림 보유부와, 기부에서 연장되는 플러그측 고정부를 가지고, 리셉터클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연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그 탄성력에 의해 내면에 삽입부의 바깥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삽입부를 보유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탄성보유부와,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고정부를 가지며, 적어도 오목부의 내면 및 삽입부의 바깥면은 압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는 저부와, 저부의 양끝을 꺾어 접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 1 입설부(立設部) 및 제 2 입설부로 구성되며, 제 1 입설부에는 제 2 입설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부가 설치되고, 삽입부는 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2 입설부에 제 1 입설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돌기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鉛直部)를 구비하면 좋다.
상기 탄성 보유부에는, 오목부에서의 연결부로부터 먼 쪽의 끝 부분으로부터,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물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를 표시장치 유니트 위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기판 위에 배치할 수 있으며, 삽입홈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표시장치 유니트와 기판을 도통시킬 수 있다.
상기 플러그 및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를 촬상소자 유니트 위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기판 위에 배치할 수 있으며, 삽입홈에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촬상소자 유니트와 기판을 도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는 상술한 것 중 어느 하나의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본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서로 결합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리셉터클(10)(도 1)과 플러그(50)(도 3)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리셉터클(10)과 플러그(50) 중 하나를 LCD(액정 디스플레이)(표시장치) 유니트나 CCD(전하결합소자)(촬상소자) 유니트 측에 배치하고, 다른 하나를 이 유니트와 도통하여 동작을 제어하는 기판측에 배치하여, 리셉터클(10)과 플러그(50)를 결합함으로써 유니트와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50)와 리셉터클(10)은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휴대가능한 컴퓨터를 포함하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내부에서의 접속이나, 휴대단말기와 외부기기와의 접속에 적용할 수 있다. 한편, 리셉터클(10) 및 플러그(50)는 LCD 유니트 외에, 표시장치로서 CRT(Cathode Ray Tube) 디스플레이 유니트,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니트, 유기전계발광(유기EL) 소자 디스플레이 유니트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CCD 유니트 외에, 촬상소자로서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유니트에도, 리셉터클(10) 및 플러그(50)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리셉터클(10)은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사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며, 플러그(50)를 끼우고 빼고 하는 삽입홈(21)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20)와, 삽입홈(21)의 양측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리셉터클 본체(20)의 길이방향 양끝의 벽부(22,23)의 각각에 대하여 장착된 리셉터클측 앵커(40)를 구비한다. 리셉터클 본체(20)는 예를 들어 나일론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를 사출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리셉터클 컨택트(30)는 삽입홈(21)에 끼워지도록 배치되며, 삽입홈(2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단자부(34)는 설치 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 고정된다. 또한, 리셉터클측 앵커(40)는 그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가 각각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출 때 플러그(50)가 배치되는 쪽(도 1에서 윗쪽)을 상측, 리셉터클(10)이 배치되는 쪽(도 1에서 아랫쪽)을 하측이라고 칭한 다.
도 2에 나타내는 리셉터클측 앵커(40)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42)와,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그 폭방향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탄성 보유부(43)와, 길이방향으로 수직하게 접어 꺾어진 연결부(42)에서의 양단부(46,47)의 각각으로부터, 연결부(42)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된 한 쌍의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로 구성된다. 연결부(42)의 양단부(46,47)와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와의 접속부분에는, 연결부(42)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한 플러그 본체 맞물림부(44a,44b)가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42)의 하측 끝 부분의 길이방향 양끝에는, 상측으로 소정 거리만큼 오목하게 형성된 누름부(42a,42b)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앵커(40)는 벽부(22,23)에 대하여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리셉터클 본체(20)에 설치되며, 맞물림부(44a,44b)에 의해 리셉터클 본체(20)에 장착되며, 납땜에 의해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가 리셉터클 본체(20)에 고정된다. 이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는 리셉터클 본체(2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가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누름부(42a,42b)와 설치 대상물에 의해 리셉터클 본체(20)가 죄어진다. 또한, 리셉터클측 고정부(48,49)는 연결부(4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도 좋고, 양단부(46,47) 이외의 연결부(4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탄성 보유부(43)는 압연에 의해 일정한 판두께로 한 일정 폭의 판모양 부재를 접어 꺾어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리셉터클 본체(20)에 장착할 때 플러 그(50)의 삽입 방향과 거의 수직한 제 1 수평부(43a)와, 이 제 1 수평부(43a)로부터 연장되며, 윗쪽으로 뚫린 개구를 구비한 대략 U자형의 오목부(43b)와, 오목부(43b)의 끝 부분을 일단 제 1 수평부(43a)와 평행한 방향으로 구부린 후에 아랫쪽으로 접어 꺾음으로써 아랫쪽으로 뚫린 개구를 구비한 맞물림부(43c)로 이루어진다. 이 맞물림부(43c)는 오목부(43b)에서의 연결부(42)로부터 먼 쪽의 끝 부분으로부터, 연결부(4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리셉터클 본체(20)에 설치된 피맞물림부(24)에 맞물린다(도 2의 (d)).
탄성 보유부(43)의 폭은 탄성력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을 크게 함으로써, 탄성 보유부(43)의 잠금력이 향상되는 동시에,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우고 빼고 할 때, 리셉터클(10)에 대하여 플러그(5)의 위치를 평행하게 교정하는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위치를 어긋나게 하여 끼워맞추었을 경우, 탄성보유부(43)의 복원력에 의해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의 중앙, 즉 소정의 끼워맞춤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위치가 어긋남에 따른 접촉 불량을 억제하는 효과도 있다. 한편, 탄성 보유부(43)의 판두께 및 폭은 일정하지 않아도 되며, 제 1 수평부(43a)로부터 맞물림부(43c)를 향해감에 따라 서서히 줄어들 수도 있다. 또한, 탄성보유부(43)는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되는 것 외에, 연결부(42)의 길이방향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한 개씩 설치하여도 좋다.
오목부(43b)는 제 1 수평부(43a)의 끝 부분을 아랫쪽으로 꺾어 이루어지는 제 1 입설부(143), 이 제 1 입설부(143)의 끝 부분을 꺾어 이루어지는 저부(144), 및 저부(144)의 끝 부분으로부터 제 1 입설부(143)와 마주보도록 연장된 제 2 입설부(145)로 이루어진다. 제 1 입설부(143)와 제 1 수평부(43a)의 접속 부분에 맞물림부(43c) 측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부(43b1)가 형성되고, 제 2 입설부(145)와 맞물림부(43c)의 접속 부분에는 제 1 수평부(43a)측으로 돌출하는 제 2 돌기부(43b2)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돌기부(43b2)의 간격은 외부의 힘을 가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는 D1이다. 또한,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입설부(145)의 내면 중 연결부(42)로부터 가장 먼 부분까지의 거리는 자연상태에서는 D3(D3>D1)으로 되어 있다.
한편, 오목부(43b)는 제 1 입설부(143)와 저부(144), 및 저부(144)와 제 2 입설부(145)를 각각 직각으로 꺾어, 'ㄷ'자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도 2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입설부(145)를 저부(144)의 끝 부분으로부터 제 1 입설부에 접근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하고, 제 2 입설부(145)와 맞물림부(43c)의 접속 부분이 제 2 돌기부(43b2)로서 기능하게 하여도 좋다.
도 3에 나타내는 플러그(50)는 절연부재인 합성수지의 인서트(insert) 성형품으로 이루어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플러그 본체(60)와, 각각 띠모양의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에 따른 양측에 각각 리셉터클(10)에서의 리셉터클 컨택트(30)와 대응하여 동일한 피치로 설치된 복수의 플러그 컨택트(70)와,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양끝에 설치한 벽부(64)의 각각에 대하여 조립된 플러그측 앵커(80)를 구비한다. 플러그 본체(60)는 예를 들어, 나일론9T(상표명), 변성 나일론, 액정 폴리머로 이루어지며 플러그 컨택트(70)와 함께 일체 성 형(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절연성 부재이다.
플러그 컨택트(70)는 플러그 본체(60)의 길이방향 벽부(61)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길이방향 벽부(61)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러그측 단자부(74)는 설치대상물(예를 들어, 회로기판)의 도전 패턴에 납땜 고정된다. 또한, 플러그측 앵커(80)는 그 플러그측 고정부(88,89)가 각각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플러그측 앵커(80)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82)와,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에서 폭방향 끝 부분으로부터 연장되어 설치된 삽입부(83)와, 삽입부(83)에 대하여 기부(82)의 길이방향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맞물림 보유부(84,85)와,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꺾인 기부(82) 양단부(86,87)의 각각으로부터, 기부(82)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한 쌍의 플러그측 고정부(88,89)로 구성된다. 플러그 본체(60)로부터 바깥쪽으로 연장되어 나가는 플러그측 고정부(88,89)는 각각 설치 대상물에 대하여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맞물림 보유부(84,85)를 벽부(64)에 뚫은 맞물림구멍(64a,64b)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플러그측 앵커(80)는 플러그 본체(60)에 보유된다. 한편, 플러그측 고정부(88,89)는 기부(82)의 길이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되어도 좋고, 양단부(86,87) 이외의 기부(82)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맞물림 보유부(84,85)는 맞물림 구멍(64a,64b)과 대응되어 있으면, 임의의 장소에 임의의 수만큼 설치할 수 있다.
삽입부(83)는 압연에 의해 일정한 판두께로 한 판모양 부재를 꺾어 가공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기부(82)와 평행하게 연장하는 연직부(83a)와,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접어 연직부(83a)의 끝 부분과 연결되는 꺾음부(83b)로 이루어진다. 삽입부(83)는 기부(82)와 함께, 소정의 간격(G)을 두고 꺾어져 이루어지는 대략 U자형이다(도 4의 (c)). 연직부(83a)에는 그 길이방향(기부(82)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소정 위치에, 기부(8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83a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돌기부(83a1) 대신에, 딤플(dimple) 형상이나 비드(bead)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삽입부(83)는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에 설치하는 것 외에,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에 대하여 대칭되는 위치에 한 개씩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연직부(83a)와 꺾음부(83b), 및 꺾음부(83b)와 기부(82)를 각각 직각으로 꺾어, 'ㄷ'자 모양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연직부(83a)와 기부(82)의 간격을 제로로 하거나, 꺾음 가공을 실시하지 않고 기부(82)의 길이방향 중앙으로부터 그 폭방향으로 연장 설치함으로써 삽입부(83)를 형성할 수 있는데, 플러그(50)를 끼우고 빼고 하는 것에 대한 추종성의 관점에서는, 연직부(83a)와 기부(82) 사이에 간격(G)이 있는 것이 연직부(83a)의 탄성을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플러그측 앵커(80)는 플러그(50)의 끼워맞춤 방향 윗쪽(도 3의 아랫쪽)으로부터 벽부(64) 안으로 삽입되어 플러그 본체(60)에 장착된다. 기부(82)는 내측벽(64d)에 접촉되어 있다. 플러그(5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벽부(64)의 단면(64e)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2)(플러그(50)의 길이방향에서의 기부(82)의 외측면(82a)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4)에 단 면(64e)의 판두께를 가산한 것)는 D1보다 크며, D3보다 작게 설정되어 있다.
리셉터클측 앵커(40) 및 플러그측 앵커(80)는, 소정의 형상으로 스탬핑 성형된 기재(예를 들어, 베릴륨구리, 티탄구리, 코르손(니켈-실리콘)계 구리 합금) 위에, 하지(下地) 도금(예를 들어, 니켈 도금)을 실시한 후, 마무리 도금(예를 들어, 주석-구리 도금, 주석-아연 도금, 금 도금)을 실시하여 제작한다. 리셉터클측 앵커(40) 및 플러그측 앵커(80)의 판두께는, 커넥터의 소형화, 저배화를 고려하면서, 스프링 설계나 가공성의 관점에서, 0.08~0.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의 하지 도금의 두께는 0.5㎛~4㎛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0.5㎛ 미만이면 하지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4㎛를 넘으면 비용이 올라가는 동시에, 플러그(50)와의 미끄럼 접합시의 변형에 의해 크랙이 발생하기 쉬워지기 때문이다. 또한, 마무리 도금의 두께는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1㎛미만이면 마무리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10㎛를 넘으면 비용이 상승하기 때문이다. 특히, 마무리 도금이 금 도금인 경우에는 0.03~0.2㎛가 바람직하다. 이것은 0.03㎛ 미만이면 마무리 도금으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없고, 0.2㎛를 넘으면 비용이 올라가기 때문이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면, 리셉터클 컨택트(30) 안으로 플러그 컨택트(70)가 끼워맞추어지는 동시에, 플러그측 앵커(80)의 삽입부(83)가 벽부(64)와 함께 오목부(43b) 안으로 끼워맞추어져, 플러그측 앵커(80)가 리셉터클측 앵커(40)에 보유된다. 이에 의해 플러그(50)와 리셉터클(10)의 잠금 상태를 실현하면서, 플러그측 앵커(80)와 리셉터클측 앵커(40)가 서로 도통한다(도 5). 벽부(64)의 단면(64e)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2)가, D1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삽입부(83)와 벽부(64)는 오목부(43b)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보유된다. 또한, D2가 D3보다 작기 때문에,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오목부(43b)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함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제 2 돌기부(43b2)가 플러그(50)와 맞닿을 수 있어, 플러그(5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략 U자 모양의 오목부(43b)의 개구부분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제 1 돌기부(43b1) 및 제 2 돌기부(43b2)를 설치하고, 연직부(83a)에 돌기부(83a1)를 설치함으로써, 삽입부(83)를 오목부(43b)에 끼워맞출 때 돌기부(83a1)가 제 1 돌기부(43b1) 및 제 2 돌기부(43b2)를 타고 넘게 된다. 이 때문에, 오목부(43b) 안으로 삽입부(83)를 끼워넣을 때 클릭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끼워맞춤 후에는 삽입부(83)가 오목부(43b)로부터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플러그(50)와 리셉터클(10)의 잠금 상태를 강고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보유부(43)와 삽입부(83)의 압연면을 서로 슬라이딩 이동시켜 오목부(43b) 안으로 삽입부(83)를 끼워넣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플러그(50)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여도 탄성 보유부(43), 삽입부(83), 및 그 주변의 부재에 손상을 주는 일이 적다. 따라서, 끼웠다 뺐다 하는 것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리셉터클(10)에 대하여 플러그(50)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나거나, 플러그(50)가 비틀린 상태로 끼워맞추어지더라도, 탄성 보유부(43)는 그 형상 및 탄 성에 의해 쉽게 추종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보유력에 의한 확실한 잠금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오목부(43b)에 벽부(64) 및 삽입부(83)를 끼워넣었지만,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삽입부(83)만을 끼워넣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돌기부(43b2)의 간격(D1), 플러그(50)의 길이방향에서의 기부(82)의 외측면(82a)으로부터 연직부(83a)의 외측면(83a2)까지의 거리(D4), 및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입설부(145)의 내면 중 연결부(42)로부터 가장 먼 부분까지의 거리(D3)의 관계가, D3>D4>D1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관계는 도 5에 나타내는 예와 비교하여, 제 1 입설부(143)와 제 2 입설부(145)의 간격을 좁히도록, 그리고, 제 1 돌기부(43b1)와 제 2 돌기부(43b2)의 간격을 줄이도록 탄성 보유부(43)를 가공하고, 및/또는 플러그측 앵커(80) 중 적어도 삽입부(83)의 판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삽입부(83)는 오목부(43b)의 탄성력에 의해 확실하게 보유되는 동시에, 플러그(50)를 리셉터클(10)에 끼워맞추었을 때 오목부(43b)가 열리도록 탄성 변형함에도 불구하고, 확실하게 제 2 돌기부(43b2)가 플러그(50)와 맞닿을 수 있어, 플러그(50)가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개선된 목적 또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안에서 개선 또는 변경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화·저배화를 실현하면서, 확실한 잠금 상태 및 도통 상태를 실현하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반복하여 끼웠다 뺐다 하더라도, 각 부재에 손상을 주는 일이 적은 내구성 높은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리셉터클과 플러그의 끼워맞춤 위치가 어긋난 경우에도, 편차가 적으며, 견고한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8)

  1.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는 플러그 본체, 이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플러그 컨택트, 및 상기 플러그 본체에 보유된 플러그측 앵커(anchor)를 가지는 플러그와, 절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플러그를 끼우는 삽입홈이 설치된 리셉터클 본체, 상기 삽입홈에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컨택트에 접촉 도통하도록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리셉터클 컨택트, 및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보유된 상기 플러그측 앵커를 보유하는 리셉터클측 앵커를 가지는 리셉터클을 구비한 커넥터로서,
    상기 플러그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기부와,
    상기 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삽입부와,
    상기 기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플러그 본체에 끼워맞추어지는 맞물림 보유부와,
    상기 기부에서 연장되는 플러그측 고정부를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측 앵커는,
    긴 판모양 부재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폭방향 끝 부분에서 연장된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그 탄성력에 의해 내면에 상기 삽입부의 바깥면이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삽입부를 보유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탄성보유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연장되는 리셉터클측 고정부를 가지며,
    적어도 상기 오목부의 내면 및 상기 삽입부의 바깥면은 압연에 의해 형성되는 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저부와, 상기 저부의 양끝을 꺾어 접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 제 1 입설부 및 제 2 입설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입설부에는 상기 제 2 입설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제 1 돌기부가 설치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기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구비하고 있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설부에는 상기 제 1 입설부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돌출한 제 2 돌기부가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기 판모양 부재를 꺾어 이루어지며, 플러그의 삽입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직부를 구비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보유부에는, 상기 오목부에서의 상기 연결부로부터 먼 쪽의 끝 부분으로부터, 상기 연결부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셉터클 본체에 설치된 피 맞물림부에 맞물리는 맞물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는 표시장치 유니트 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에 상기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표시장치 유니트와 상기 기판이 도통하게 되는 커넥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및 상기 리셉터클 중 어느 하나는 촬상소자 유니트 위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기판 위에 배치되며, 상기 삽입홈에 상기 플러그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촬상소자 유니트와 상기 기판이 도통하게 되는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KR1020040104228A 2004-08-31 2004-12-10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KR1006284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53391 2004-08-31
JPJP-P-2004-00253391 2004-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574A KR20060020574A (ko) 2006-03-06
KR100628496B1 true KR100628496B1 (ko) 2006-09-26

Family

ID=37127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04228A KR100628496B1 (ko) 2004-08-31 2004-12-10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84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45052B2 (ja) * 2019-01-07 2023-03-2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0574A (ko) 2006-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3180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
KR100852713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
KR100664670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4287825B2 (ja) 基板接続用コネクタ
US784598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KR100538161B1 (ko) 저 프로파일 커넥터
KR100556571B1 (ko) 커넥터
CN104347995B (zh) 电连接器
KR100671989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US20080026609A1 (en) Low profile connector
US20070026708A1 (en) Connector and portable cable
US722629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8500460B2 (en) Board to board connectors and assembly thereof with contact-mounting wall having variable thickness
US726159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KR100628496B1 (ko) 커넥터 및 이 커넥터를 구비한 휴대단말기
JP4619431B2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JP3975222B2 (ja) コネクタ及びこのコネクタを備えた携帯端末
KR101397442B1 (ko) 커넥터 및 이를 구비한 휴대단말
KR200379837Y1 (ko) 커넥터
KR20050018970A (ko)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