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8840B1 - 전기 청소기 - Google Patents

전기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8840B1
KR100848840B1 KR1020067007977A KR20067007977A KR100848840B1 KR 100848840 B1 KR100848840 B1 KR 100848840B1 KR 1020067007977 A KR1020067007977 A KR 1020067007977A KR 20067007977 A KR20067007977 A KR 20067007977A KR 100848840 B1 KR100848840 B1 KR 100848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hamber
dust collecting
vacuum cleaner
negativ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7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3887A (ko
Inventor
겐지 고지마
리츠오 다케모토
요시히로 츠치야
류지 사카구치
Original Assignee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시바 테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03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38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8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0Means for cleaning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실(12)과, 집진실(12)을 부압으로 되게 하는 전동 송풍기(13)와, 집진실(12)에 설치되어 이 집진실에 집진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 부재(19)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10)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의 정지시에 먼지 수용 부재(19)에 압력을 가하여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장치(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Description

전기 청소기{ELECTRIC CLEANER}
본 발명은, 집진 필터와 같이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먼지 수용 부재로부터 제거하여 이 먼지 수용 부재의 막힘을 미연에 막을 수 있도록 한 전기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 청소기에서는 흡인된 먼지를 집진실 내에 배치된 집진 수용 부재, 예컨대 집진 필터 내에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전기 청소기에서는, 집진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정기적으로 제거하여 집진 필터의 막힘을 방지해야 한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집진 필터의 하류에 2차 필터인 플리트 필터(pleat filter)를 배치하고, 이 플리트 필터에 진동을 부여하여 플리트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뜨리도록 한 전기 청소기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공개 2004-180767호 공보(단락 34 내지 38, 단락 50 내지 52)]. 플리트 필터의 진동은 청소가 종료되어 전원 코드가 권취될 때, 이 권취 동작에 연동하여 부여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는, 청소가 끝나고 전원 코드가 권취될 때에 플리트 필터에 진동을 부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플리트 필터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은 1회의 청소에서 1회뿐이다. 이 때문에 플리트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이러한 구조는 집진(集塵)을 수용하기 위한 집진 필터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집진 필터가 막힐 가능성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흡인된 집진을 수용하는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간단한 조작으로 충분히 제거할 수 있는 전기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실과, 이 집진실을 부압으로 되게 하는 전동 송풍기와, 집진실에 설치되어 이 집진실에 집진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 부재를 구비한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전기 청소기의 정지시에,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동 송풍기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때, 먼지 제거 장치가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소 중에 전동 송풍기가 수 회 온/오프됨에 따라 먼지 제거 장치에 의해 먼지 수용 부재에 수 회의 압력이 인가되어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청소기의 제1 실시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청소기 본체의 일부를 단면으로 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먼지 제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표시 케이스의 이면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하부 케이스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가압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커버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격벽이 변위된 상태를 도시한 먼지 제거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먼지 제거 장치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설명도이다.
(부호의 설명)
12: 집진실
13: 전동 송풍기
19: 집진 수용 부재
30: 먼지 제거 장치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는 최선의 양태를 구체화하는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청소기(10)가 도시되고, 이 전기 청소기(10)는 청소기 본체(11)와, 이 청소기 본체(11) 내에 설치된 집진실(12)과, 청소기 본체(11) 내에 배치되어 집진실(12)을 부압으로 하기 위한 전동 송풍기(13)와, 청소기 본체(11)의 전측부에 마련된 호스 접속구(11a)에 일단이 착탈 가능 하게 접속된 집진 호스(15)와, 이 집진 호스(15)의 타단에 설치된 손잡이 조작관(17)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연장관(18)과, 이 연장관(18)의 선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된 흡입구체(20)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체(20)는 흡입실(도시 생략)과, 이 흡입실에 연통하도록 흡입구체(20)의 하면에 마련된 흡입 개구(도시 생략)를 갖는다.
집진실(12)은 흡입구체(20)의 흡입실에 연통하고, 이 집진실(12)에는 먼지 수용 부재, 예컨대 집진 필터(19)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집진 필터(19)는 예컨대 종이팩 필터 또는 포제(布製)의 팩 필터로 이루어져 있다.
손잡이 조작관(17)에는 조작부(17A)가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17A)에는 복수의 조작 스위치(Sa)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부(17A)의 조작에 의해 전동 송풍기(13)가 구동되면 집진실(12) 내부가 부압으로 되어, 흡인 대상의 먼지가 흡입구체(20)의 흡입 개구로부터 흡입실로 들어가고, 연장관(18), 집진 호스(15), 호스 접속구(11a)를 통과하여 집진실(12)에 배치된 집진 필터(19)에 수용된다.
청소기 본체(11)에는 덮개 케이스(21)가 그 일단, 예컨대 후측부를 회전 운동 중심으로 하여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 덮개 케이스(2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집진실(12)의 상부 개구(12A)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먼지 제거 장치(30)가 예컨대 덮개 케이스(21)에 설치되어 있다. 이 먼지 제거 장치(30)는 집진실(12)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먼지 제거 장치(30)는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제 거하기 위해 이 집진 필터(19)에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집진 필터(19)에 압력을 가하도록"이란,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집진 필터(19)를 누르거나, 두드리거나 또는 진동을 가하는 것 등의 작동을 말한다.
먼지 제거 장치(30)는,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집진 필터(19)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 가압 부재(60)와, 이 가압 부재(60)가 집진 필터(19)에 압력을 가하도록 가압 부재(60)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먼지 제거 장치(30)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케이스(21)의 오목부(21A)에 부착된 돔형의 반투명 표시 케이스(31)와, 그 오목부(21A)에 마련된 개구(21b)에 부착된 하부 케이스(40)와, 이 하부 케이스(40)를 하측으로부터 덮는 커버 케이스(70)를 구비하고 있다.
구동 장치는 전기 청소기(10)가 정지하였을 때, 가압 부재(60)가 집진 필터(19)에 압력을 가하도록 가압 부재(60)를 구동한다.
이 구동 장치는 가압 부재(60)가 집진 필터(19)에 압력을 인가하여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가압 부재(60)를 구동하기 위한 것으로, 전동 송풍기(13)를 구동원으로 하는 기구, 또는 임의의 기압 기구, 예컨대 기압 실린더 등을 포함한다.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 장치는 전동 송풍기(13)의 구동/정지에 응답하여 가압 부재(60)를 구동할 수 있는 형태이며, 구체적으로는 집진실(12)에 연통하는 부압실(51)과, 대기에 연통하는 대기압실(52)과, 가압 부재(60)에 접속되면 서 부압실(51)과 대기압실(52)을 구획하는 동시에 부압실(51)과 대기압실(52)의 압력 차이에 따라 부압실(51)과 대기압실(52) 사이에 변형 가능한 격벽(50)을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미리 간략하게 설명하면, 이 구동 장치에서는, 전동 송풍기(13)가 정지하였을 때, 부압실(51) 내의 부압의 경감(기압의 증대)에 의해 격벽(50)이 대기압실(52)로 이동하여 가압 부재(60)를 이동시켜 집진 필터(19)를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케이스(31)는 도 3 및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이면 중앙부에 형성된 통부(32)와, 이 통부(32)의 외측에 형성된 제1 환형 리브(33)와, 또한 이 제1 환형 리브(33)의 외측에 형성된 제2 환형 리브(34)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1 환형 리브(33)와 제2 환형 리브(34) 사이에는 4개의 리브(35A 내지 35D)가 형성되고, 리브 35A와 리브 35B 사이의 표시 케이스(31)의 부분에는 원호형의 구멍(3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 환형 리브(33)의 리브 35C와 리브 35D 사이에 긴 구멍(33A)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4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상면 중앙부에 위쪽으로 돌출한 원통부(41)와, 이 원통부(41)의 외측에 (도 3에서) 위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제1 환형 리브(42)와, 이 제1 환형 리브(42)의 외측에 형성된 제2 환형 리브(43) 등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40)의 하면의 중앙부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아암부(47, 47)가 형성되고, 이 아암부(47, 47)의 선단부(하부)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한 돌기부(47a, 47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40)의 제1 환형 리브(42)와 제2 환형 리브(43) 사이에는 4개의 리브(44A 내지 44D)가 형성되고, 리브 44A와 리브 44B 사이의 제1 환형 리브(42)에는 복수의 구멍(4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브 44C와 리브 44D 사이의 하부 케이스(40)에는 원호형의 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 케이스(40)의 제1, 제2 환형 리브(42, 4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케이스(31)의 제1, 제2 환형 리브(33, 34)에 대향하고 있고, 하부 케이스(40)의 리브(44A 내지 44D)도 표시 케이스(31)의 리브(35A 내지 35D)에 대향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40)의 제2 환형 리브(43)와 표시 케이스(31)의 제2 환형 리브(34)는 시일 부재(S1)를 통해 접합되어 있다.
음 발생 기구가 설치되고, 이 음 발생 기구는 하부 케이스(40)의 원통부(41) 주위에 설치된 접촉부(40A)와 이 접촉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후술하는) 캡 부재(54)의 플랜지(54B)를 갖는다. 캡 부재(54)의 플랜지(54B)가 하부 케이스(40)의 접촉부(40A)에 충돌할 때에 음(音)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격벽(50)은 평면으로 보았을 때 대략 원형으로 형성된 연질의 수지제 다이어프램부(53)와, 이 다이어프램부(53)의 중앙부에 마련된 구멍(53A)에 부착한 캡 부재(54)를 구비하고 있다.
다이어프램부(53)의 외주면에는 단면 H 형상의 플랜지(53F)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53F)가 표시 케이스(31)의 제1 환형 리브(33)와 하부 케이스(40)의 제1 환형 리브(42)와 접합되어 있다.
캡 부재(54)는 원통형의 캡(54A)과, 이 캡(54A)의 하부에 형성된 플랜지 (54B)를 가지며, 플랜지(54B)의 주연부가 다이어프램부(53)의 구멍(53A)의 가장자리부에 일체로 접합되어 있다. 캡(54A)은 하부 케이스(40)의 원통부(41)에 끼워 맞춰지고, 캡(54A)은 원통부(41)의 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또한, 캡(54A)은 표시 케이스(31)의 통부(32) 내에 진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표시 케이스(31)의 통부(32) 및 격벽(50)의 캡(54A)에는 코일 스프링(SP)이 장착되어, 격벽(50)을 대기압실(52)에 대하여 압박하고 있다.
격벽(50)과 표시 케이스(31)와 제1 환형 리브(33)로 부압실(51)을 구획하고, 격벽(50)과 하부 케이스(40)와 제1 환형 리브(42)로 대기압실(52)을 구획하고 있다.
부압실(51)은 표시 케이스(31)의 제1 환형 리브(33)의 긴 구멍(33A)과, 하부 케이스(40)의 구멍(45)을 통해 집진실(12)에 연통되어 있다. 대기압실(52)은 하부 케이스(40)의 제1 환형 리브(42)의 구멍(42a)과, 표시 케이스(31)의 구멍(36)을 통해 대기에 연통되어 있다.
캡(54A)의 상판부(54a)의 상면은, 예컨대 녹색으로 착색되어 있고, 상판부(54a)의 하면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하부 케이스(40)의 원통부(41) 내를 관통한 축(56)이 일체적으로 부착되며, 캡(54A)의 축선 방향의 이동과 동시에 일체적으로 축(56)이 이동한다. 이 축(56)의 하부에는 도 6에 도시하는 캡체(57)와 가압 부재(60)가 장착되고, 이 캡체(57) 및 가압 부재(60)는 축(56)과 함께 축선 방향으로 이동한다.
캡 부재(57)에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오목부(57A, 57A)가 형성되는 동시 에, 캡 부재(57)의 외주면에 C 링(58)이 장착되어 있다. 오목부(57A, 57A)와 C 링(58)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하부 케이스(40)의 아암부(47, 47)가 삽입되어 있다. 부압실(51)이 소정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격벽(50)을 변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지 기구는 아암부(47, 47)의 돌기부(47a, 47a)와 이들 돌기부가 맞물리는 C 링(58)을 갖는다. 오목부(57A, 57A)와 C 링(58)으로 둘러싸이는 공간에 아암부(47, 47)가 삽입되면, 아암부(47, 47)의 돌기부(47a, 47a)가 C 링(58)에 맞물리고 부압실(51)이 소정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격벽(50)을 변위 위치에 유지한다(도 8 참조).
가압 부재(60)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평판형의 기판(61)과 이 기판(61)에 설치된 복수의 두드림 리브(62)를 갖는다.
커버 케이스(70)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 케이스(21)의 이면에 부착되면서 기판(61)(도 6 참조)을 덮고 있다. 또한, 커버 케이스(70)에는 복수의 슬릿형 구멍(71)이 형성되고, 이들 구멍(71)을 통과하여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전기 청소기의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전동 송풍기(13)가 정지하고 있을 때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먼지 제거 장치(30)의 부압실(51)이 대기압으로 되어 있고, 또한 스프링(SP)의 압박력에 의해 격벽(50)이 도 3에 도시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캡(54A)의 상판부(54a)가 표시 케이스(31)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기 때문에, 반투명의 표시 케이스(31)를 통하여 캡(54A)의 상판부(54a)가 잘 보이지 않게 된다.
또한,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는 도 3 및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케이스(70)의 구멍(71)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 조작관(17)의 조작 스위치(Sa)의 조작에 의해 전동 송풍기(13)가 구동되면 집진실(12)이 부압으로 된다. 이 부압이 집진 호스(15), 손잡이 조작관(17), 연장관(18)을 통해 흡입구체(20)의 흡입실에 작용하여, 흡입구체(20)의 바닥면에 위치하는 흡입 개구에서 피청소면상의 먼지 및 공기가 흡입되고, 연장관(18), 손잡이 조작관(17), 집진 호스(18)를 통해 청소기 본체(11)의 집진실(12)로 흡입된다.
집진실(12)에 흡입된 먼지는 집진실(12) 내에 장착된 집진 필터(19)에 수집되고, 공기는 전동 송풍기(13)에 흡입된 후에 청소기 본체(11)의 도시하지 않은 배기 구멍으로부터 배기된다.
한편, 전동 송풍기(13)의 구동에 의해 집진실(12)이 부압으로 되면 도 3에 도시하는 먼지 제거 장치(30)의 부압실(51)이 부압으로 된다. 이 부압실(51)의 부압에 의해 격벽(50)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압실(51)측인 위쪽으로 스프링(SP)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변위한다. 이 격벽(50)의 변위에 의해 격벽(50)의 캡 부재(54)가 위쪽으로 이동하여 캡(54A)이 표시 케이스(31)의 통부(32) 내에 진입하고, 캡(54A)의 상판부(54a)가 표시 케이스(31)에 근접한다.
이 근접에 의해, 반투명의 표시 케이스(31)를 통해 캡(54A)의 상판부(54a)가 명료하게 보이게 되어 먼지 제거 장치(30)가 집진 필터(19)를 두드릴 준비 단계에 들어간 것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다.
또한, 캡 부재(54)의 축(56)이 캡 부재(54)와 일체로 위쪽으로 이동하고, 이 축(56)의 이동과 동시에 가압 부재(60) 및 캡체(57)가 일체로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 캡체(57)의 위쪽으로의 이동에 의해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0)의 아암부(47, 47)가 캡체(57)의 오목부(57A, 57A) 내에 들어가고, 그 아암부(47, 47)의 돌기(47a, 47a)가 C 링(58)에 맞물린다. 이에 따라, 캡 부재(54)가 도 8에 도시하는 위치(변위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는, 캡 부재(54)의 축(56)이 위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가압 부재(60)가 위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이동된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케이스(70)의 구멍(71)으로부터 넣어져서, 커버 케이스(70) 내에 들어간다. 이에 따라, 집진 필터(19)는 도 8의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커버 케이스(70)의 하면에 접촉한 상태로 된다.
전동 송풍기(13)의 구동이 정지되면 그 전동 송풍기(13)의 정지 동작에 수반하여 집진실(12)의 압력이 상승해 가고, 최종적으로 대기압으로 된다. 이때, 먼지 제거 장치(30)의 부압실(51)의 압력도 집진실(12)의 압력과 함께 상승하게 되고, 먼지 제거 장치(30)의 대기압실(52)과 부압실(51) 사이의 압력 차가 감소해 간다. 이러한 압력 차의 감소에 의해 격벽(50)을 위로 밀어 올리는 힘이 스프링(SP)의 압박력보다 작아지면, 격벽(50)이 아래쪽으로 압박되어 간다.
격벽(50)에 가해지는 아래쪽으로의 압박력이 소정 크기 이상이 되면, 즉 부압실(51)이 소정 압력에 도달하면 하부 케이스(40)의 아암부(47, 47)의 돌기(47a, 47a)가 C 링(58)으로부터 분리되어 격벽(50)과 함께 축(56) 및 가압 부재(60)가 단 숨에 아래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가 커버 케이스(70)의 구멍(71)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커버 케이스(70)의 하면에 접촉한 집진 필터(19)를 두드린다. 이 경우, 격벽(50)은 도 3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에 따라,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고, 집진 필터(19)의 막힘이 감소한다. 또한,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가 집진 필터(19)를 압박할 때, 이미 전동 송풍기(13)의 구동이 정지되어 있기 때문에, 제거된 먼지가 재차 집진 필터(19)에 부착되지 않아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가압 부재(60)는 집진 필터(19)의 위쪽으로부터 압력을 가하기 때문에, 집진 필터의 상부에 부착되어 있는 먼지를 보다 많이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제거된 먼지는 집진 필터(19)의 상부에 재차 부착되지 않는다. 전동 송풍기(13)가 정지될 때마다 가압 부재(60)가 압력을 위로부터 집진 필터(19)에 가하기 때문에, 먼지가 수분을 함유하고 있더라도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상태에서 먼지가 굳어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집진 필터(19)가 먼지로 포화될 때까지 집진 필터(19)의 통기성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격벽(50)의 캡 부재(54)의 플랜지(54B)가 하부 케이스(40)의 접촉부(40A)에 충돌하여 소리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소리의 발생에 의해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가 집진 필터(19)를 압박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전동 송풍기(13)는 청소 중에 수 회 정지(오프)되기 때문에, 집진 필터(19) 는 가압 부재(60)의 두드림 리브(62)에 의해 수 회 압박되거나 두드려져서,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충분히 제거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 필터는 먼지가 거의 없는 상태로 될 수 있어서 집진 필터(19)의 막힘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먼지 제거 장치(30)는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이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집진실(12)에 설치된 광 촉매형 먼지 수용 부재 등에 부착되는 먼지를 제거하더라도 좋다. 또한, 집진 필터(19)의 하류에 설치된 2차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더라도 좋다.
삭제
도 9는 제2 실시예의 먼지 제거 장치(100)의 구성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에서, 101은 덮개 케이스(21)에 설치한 격벽이며, 이 격벽(101)은 집진실(12)이 부압으로 되면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변위된다. 이 격벽(101)에는 아래쪽으로 연장된 로드(102)가 마련되어 있고, 격벽(101)의 변위에 따라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103은 축(104)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하는 회전 운동 부재이며, 이 회전 운동 부재(103)와 로드(102)는 상기 제1 실시예에서의 가압 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 회전 운동 부재(103)의 선단에는 집진 필터(19)를 두드리는 두드림부(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회전 운동 부재(103)의 후측부에는 로드(102)의 하부가 접촉하여 회전 운동 부재(103)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된다. 이 제2 실시예에서, 회전 운동 부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장치는 격벽(101)이 변위되었을 때에 그 변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가압 부재(103)를 이동시키는 방향 변환 기구를 포함한다. 이 방향 변환 기구는 이 제2 실시예에서는 격벽(101)이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변위되면, 회전 운동 부재(103)를 로드(102)를 통해 집진 필터를 두드리도록 회전하고, 격벽(101)이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아래쪽으로 변위되면, 회전 운동 부재(103)를 로드(102)를 통해 집진 필터(19)로부터 분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동 송풍기(13)(도 1 참조)의 구동에 의해 집진실(12)이 부압으로 되면 격벽(101)이 쇄선 위치로 변위되어, 회전 운동 부재(103)가 쇄선 위치로 회전 운동한다. 회전 운동 부재(103)는 방향 변환 기구에 의해 쇄선 위치에 유지된다. 계속해서, 전동 송풍기(13)의 구동이 정지되면 집진실(12)의 압력이 상승하게 되어, 스프링의 압박력에 의해 회전 운동 부재(10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두드림부(105)가 집진 필터(19)를 두드려서 집진 필터(19)에 부착된 먼지를 두드려 제거한다.
이 제2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 운동 부재(103)에 의해 격벽(101)의 변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두드림부(105)를 이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집진 필터(19)를 두드릴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는 회전 운동 부재(103)에 의해 격벽(101)의 변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두드림부(105)를 이동시키고 있지만, 기어 등을 사용하여 격벽(101)의 변위 방향과 역방향으로 두드림부(105)를 이동시키더라도 좋다.
전술한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실시예를 설명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들 실시예에 대해 여러 가지의 변경, 변형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전기 청소기에 적용하였지만, 본 발명을 전기 청소기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유체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실과,
    이 집진실을 부압으로 되게 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집진실에 설치되어 이 집진실에 집진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정지시에, 상기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제거 장치는, 먼지 수용 부재에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된 가압 부재와, 이 가압 부재가 상기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집진실에 연통하는 부압실과, 대기에 연통하는 대기압실과, 상기 가압 부재에 접속되면서 상기 부압실과 대기압실을 구획하는 동시에 상기 부압실과 대기압실과의 압력 차에 따라 부압실과 대기압실 사이에서 변형될 수 있는 격벽과, 항상 격벽을 부압실로부터 대기압실로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때 그 전동 송풍기의 정지 동작에 따라 상기 집진실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먼지 수용 부재를 두드리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부압실로 변위되었을 때 대기압실을 향하는 압박력이 작용하도록 탄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격벽이 부압실측으로 변위되었을 때, 상기 부압실이 소정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그 격벽을 변위 위치에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는 청소기 본체를 포함하고, 이 청소기 본체는 상기 집진실의 상부 개구를 덮도록 설치된 덮개를 가지며,
    상기 먼지 제거 장치는 상기 덮개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5.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실과,
    이 집진실을 부압으로 되게 하는 전동 송풍기와,
    상기 집진실에 설치되어 이 집진실에 집진된 먼지를 수용하는 먼지 수용 부재를 포함하는 전기 청소기에 있어서,
    상기 전기 청소기의 정지시에, 상기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여 상기 먼지 수용 부재에 부착된 먼지를 떨어뜨리는 먼지 제거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먼지 제거 장치는, 먼지 수용 부재에 접촉할 수 있게 배치된 가압 부재와, 이 가압 부재가 상기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도록 상기 가압 부재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장치는, 상기 가압 부재에 접속되면서 상기 집진실과 대기와의 압력차에 따라 변형될 수 있는 격벽과, 상기 격벽이 변위되었을 때에 그 변위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상기 가압 부재를 이동시키는 방향 변환 기구와, 항상 격벽을 상기 집진실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압박하는 압박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전동 송풍기의 구동이 정지되었을 때, 그 전동 송풍기의 정지 동작에 따라 상기 집진실의 압력이 상승하여, 상기 가압 부재가 상기 먼지 수용 부재를 두드리도록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수용 부재는 집진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먼지 제거 장치는 먼지 수용 부재에 압력을 가하였을 때 소리를 발생시키는 음 발생 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표시부를 설치하고, 상기 청소기 본체에 투명부 또는 반투명부의 창을 설치하여, 이 창을 통해서 상기 표시부가 외부에서 보이도록 하여 상기 격벽의 변위를 알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청소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7007977A 2004-12-28 2005-12-09 전기 청소기 KR100848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80055A JP4405379B2 (ja) 2004-12-28 2004-12-28 電気掃除機
JPJP-P-2004-00380055 2004-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3887A KR20060103887A (ko) 2006-10-04
KR100848840B1 true KR100848840B1 (ko) 2008-07-28

Family

ID=36614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7977A KR100848840B1 (ko) 2004-12-28 2005-12-09 전기 청소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405379B2 (ko)
KR (1) KR100848840B1 (ko)
CN (1) CN100462040C (ko)
RU (1) RU2007129022A (ko)
WO (1) WO20060705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17568B4 (de) 2005-04-11 2024-04-25 Alfred Kärcher SE & Co. KG Saugreinigungsgerät
DE102005017702A1 (de) 2005-04-11 2006-10-12 Alfred Kärcher Gmbh & Co. Kg Verfahren zum Abreinigen der Filter eines Staubsaugers sowie Staubsaug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K2046184T3 (en) 2006-07-29 2014-03-17 Kaercher Gmbh & Co Kg Alfred Process for cleaning the filter in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CN101484059B (zh) * 2006-07-29 2011-11-16 阿尔弗雷德·凯驰两合公司 用于净化吸尘器过滤器的方法以及用于实施该方法的吸尘器
PL2046182T3 (pl) 2006-07-29 2014-10-31 Kaercher Gmbh & Co Kg Alfred Odkurzacz z urządzeniem do samooczyszczania filtru
JP4869112B2 (ja) * 2007-03-14 2012-02-08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JP5258439B2 (ja) * 2008-07-31 2013-08-07 株式会社東芝 電気掃除機
DK2421630T3 (da) 2009-04-22 2013-04-22 Kaercher Gmbh & Co Kg Alfred Fremgangsmåde til rengøring af to filtre af en sugeindretning til rengøringsformål samt sugeindretning til udførelse af fremgangsmåden
DE102009020769A1 (de) 2009-04-30 2010-11-04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reinigungsgerät
WO2011003441A1 (de) 2009-07-07 2011-01-13 Alfred Kärcher Gmbh & Co. Kg Sauggerät für reinigungszwecke
CN107404547B (zh) * 2016-05-18 2020-01-21 华为终端有限公司 音频防尘网自除尘的方法和音频装置
CN108926289B (zh) * 2018-08-17 2023-08-01 莱克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敲击式海帕自清洁吸尘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3968U (ko) * 1971-03-19 1972-11-17
JP2004248898A (ja) * 2003-02-20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55881Y1 (ko) * 1970-12-28 1977-12-16
JPS6072988U (ja) * 1983-10-26 1985-05-22 株式会社イワキ ダイヤフラムの構造
CN2693166Y (zh) * 2002-10-15 2005-04-20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动吸尘器
JP2004129989A (ja) * 2002-10-15 2004-04-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3968U (ko) * 1971-03-19 1972-11-17
JP2004248898A (ja) * 2003-02-20 2004-09-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913818A (zh) 2007-02-14
CN100462040C (zh) 2009-02-18
JP4405379B2 (ja) 2010-01-27
KR20060103887A (ko) 2006-10-04
JP2006181228A (ja) 2006-07-13
WO2006070585A1 (ja) 2006-07-06
RU2007129022A (ru) 2009-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840B1 (ko) 전기 청소기
EP1974642A2 (en) Electric vacuum cleaner
EP3231344A1 (en) Suction body for an upright cleaner
KR20070008445A (ko) 전기 청소기
JP2009028499A (ja) 電気掃除機
TW201729742A (zh) 抽吸式清潔裝置
EP0024636B1 (en) Vacuum cleaner
WO2021036040A1 (zh) 海帕自清洁装置、一种海帕清洁方法
JP4699825B2 (ja) 集塵機
JP2007117465A (ja) 集塵器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JP7012420B2 (ja) 電気掃除機
JP2010046207A (ja) 電気掃除機
CN211270503U (zh) 海帕自清洁装置
JP2005131137A (ja) 電気掃除機
JP2009201568A (ja) 電気掃除機
JP2010201195A (ja) 集塵機
JP2007130032A (ja) 電気掃除機
KR20050056769A (ko) 진공 청소기의 배기 구조
JP2007130292A (ja) 電気掃除機
JP4177290B2 (ja) 電気掃除機
JP2007029111A (ja) 電気掃除機
JPS6020356Y2 (ja) 電気掃除機の除塵装置
KR20040080093A (ko) 진공청소기의 배기필터구조
USRE32352E (en) Portable multi-function manicure apparatus
KR101042644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실청소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