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5484B1 - 배기 시스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 - Google Patents

배기 시스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5484B1
KR100845484B1 KR1020057018108A KR20057018108A KR100845484B1 KR 100845484 B1 KR100845484 B1 KR 100845484B1 KR 1020057018108 A KR1020057018108 A KR 1020057018108A KR 20057018108 A KR20057018108 A KR 20057018108A KR 100845484 B1 KR100845484 B1 KR 100845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s
support element
motor vehicle
exhaust system
vehicle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8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02874A (ko
Inventor
라인홀트 헤르만 스타멜
볼프강 루스
Original Assignee
엠콘 테크놀러지스 저머니 (아우그스부르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콘 테크놀러지스 저머니 (아우그스부르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엠콘 테크놀러지스 저머니 (아우그스부르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60002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2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5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5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11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with means permitting relative movement, e.g. compensation of thermal expansion or 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09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having two or more separate purifying devices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3/00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 F16F3/02Spring units consisting of several springs, e.g. for obtaining a desired spring characteristic with springs made of steel or of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6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Exhaust Gas After Treatment (AREA)

Abstract

연소기관, 기어박스, 배기 시스템, 배기 시스템(2) 체결용의 배기 시스템 브라켓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배기 시스템은 배기 시스템 브라켓(1, 7, 8)을 통하여 모터 및/또는 기어박스(5)에 체결되고,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2개의 밴드형 탄성 플레이트를 갖춘 플레이트 홀더 형태의 지지 요소(1)를 구비하며, 이들 탄성 플레이트는 적층체(stack)를 형성하도록 서로 중첩되고, 탄성 플레이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기 시스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EXHAUST SYSTEM SUPPORT FOR FIXING THE EXHAUST SYSTEM OF A MOT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공학의 분야에 속하는 것으로, 연소기관에 의해 구동되고 배기 시스템 고정용 배기 시스템 브라켓을 구비하는 타입의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현재까지는, 자동차의 배기 시스템은 주로 고무 서스펜션에 의해 자동차 바닥의 팬에 장착되고 있다. 이러한 장착 타입에 있어서의 단점은, 고무 서스펜션이 일반적으로 충분한 감쇠를 제공하지 못하여, 모터와 기어박스의 유닛으로부터 나오는 진동뿐 아니라, 배기 시스템의 자연 진동도 자동차 바닥의 팬에 전달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진동 및 허밍 노이즈가 차량의 내부 공간에서 발생될 수 있고, 이들은 운전자 및 승객에게 크게 성가신 것으로 여겨진다.
이들 결함을 극복하기 위하여, 배기 시스템을 모터 하우징 및 기어박스 하우징 각각에 추가로 장착하는 것이 고려되었다. 이러한 구조의 목적은 모터 또는 기어박스에 고정되는 브라켓 등을 이용한 감쇠에 의해 배기 시스템의 진동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은 효과적인 감쇠를 가능하게 하고, 또한 저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중량이 작은 배기 시스템용 브라켓을 제공하는 목적을 기초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목적은 청구항 1의 특징부에 의해 만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술한 요건을 만족시키는 배기 시스템용 브라켓은 배기 시스템이 배기 시스템용 브라켓에 의해 모터 및/또는 기어박스에 장착되고, 상기 브라켓은 적어도 2개의 밴드형 탄성 플레이트를 갖춘 플레이트 홀더 형태의 지지 요소를 구비하며, 이들 탄성 플레이트는 적층체(stack)를 형성하도록 서로 중첩되고, 탄성 플레이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있어서의 "플레이트"는 길이가 폭보다 상당히 크고, 그 두께는 폭보다 상당히 작은 평탄한 형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플레이트의 적층 방향으로 진동-유도 편향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러한 편향 시에 (겹쳐진 플레이트 구조로 인하여)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플레이트의 표면 사이의 마찰에 의해 진동에 대한 감쇠가 얻어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기 시스템의 진동은 줄어들 것이다. 그 구조에 기인하여, 이러한 타입의 지지 요소는 한편으로 진동에 대한 충분한 감쇠를 달성하기 위하여 충분히 강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강도와 관련한 열기계적 요건을 구현하도록 충분한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전체 높이가 동일한 단단한(solid) 구조의 브라켓에 비교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구조를 갖는 브라켓만이 연결 구조에 대한 배기 시스템의 열적 신장을 멈출 수 있다. 단단한 브라켓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홀더에 대하여 보다 큰 강성을 갖고, 배기 시스템의 열적 신장을 방해한다. 이것이 단단한 브라켓에 높은 응력이 발생하는 이유이며, 그 결과 일정한 열 충격 응력에 기인하여 브라켓의 파열을 초래할 수 있다.
지지 요소에서 플레이트의 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임의의 편향 중에 서로 문질러지는 표면의 수를 유리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변위 중에 서로 문질러지는 인접 표면의 수를 증가시키면 감쇠 효과가 향상되는 반면, 그러한 표면의 수를 감소시키면 감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동일한 사항이 플레이트의 상호 접촉면의 확대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 요소에 있어서 적어도 2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다. 3개 내지 5개의 플레이트가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요소의 감쇠 작용은 편향 중에 서로 문질러지는 플레이트의 표면 조건에 의해 유리하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평활한(smooth) 마찰면은 비교적 마찰이 작기 때문에 상응하게 낮은 진동 감쇠 효과를 초래하는 반면에, 거친(rough) 마찰면은 진동 감쇠 효과를 개선할 것이다. 또한, 마찰을 증가시키는 선형 융기부와 같은 구조물(structure)을 마찰면 상에 제공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지지 요소의 플레이트가 소정 기하형상을 갖는 경우에, 상호 맞닿는 플레이트 표면의 마찰 효과는 원하는 바에 따라 상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지지 요소의 플레이트의 기하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지지 요소의 강성을 유리하게 변경할 수 있다. 플레이트의 두께를 확대하면, 플레이트의 기하형상을 달리 변경하지 않고도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의 길이를 감소시키면, 플레이트의 기하형상을 달리 변경하지 않고도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동일한 사항이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되는 지지 요소의 전체 두께(높이)와, 지지 요소의 길이에도 적용된다.
개별 플레이트의 윤곽 구조에 의해 지지 요소의 강성 및 감쇠 작용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이는, 예컨대 U형-윤곽 또는 T형-윤곽에 의해 또는 뻣뻣한 주름(stiffening corrugations)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윤곽은 연속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부분적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지지 요소의 길이의 변경은 배기 시스템으로부터의 열적 응력과 관련한 내구 수명에 또한 영향을 끼친다. 열적 신장과 관련하여, 이들 열적 신장은 지지 요소의 높이가 변경될 때에 다양한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지지 요소의 높이와 길이는 상기 측면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선택되어야 한다.
적절한 방법에 의해 다양한 방향으로 감쇠 작용에 유리한 영향을 끼칠 수 있도록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에 의해 배기 시스템을 모터 및/또는 기어박스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방향에 대한 감쇠 효과의 이러한 신뢰는 적절한 구조적 형상의 지지 요소를 부가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지지 요소는 종단면도로 보았을 때 각진 구조(angular structure)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각진 구조는 오프셋 스텝 형태의 이중 절곡된 각진 구조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개념에 있어서 "오프셋 스텝(Offset step)"은, 종단면도로 보았을 때 구조의 일단부가 구조의 타단부에 접하는 연장부에 위치되지 않는 구조를 의미하는 것이다.
방향에 대한 감쇠 효과의 신뢰성에 영향을 끼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요소는 종단면도로 보았을 때 이중 오프셋 스텝 형태의 4중 절곡된 각진 구조를 갖고, 이들 오프셋 스텝은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타입의 소정 구조는 특히 오프셋을 제공하지 않도록 지시되는데, 즉 종방향으로 보았을 때 구조체의 일단은 구조의 타단에 대한 접선의 연장부에 놓인다.
지지 요소는 또한 나선형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이로써, 지지 요소의 비틀림(회전력)에 대한 강성을 상당히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구조에 있어서, 플레이트는 오스테나이트계 또는 페라이트계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계적 및 열기계적 내구성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비철 금속 재료(예컨대, 탄소 섬유, 플라스틱, 알루미늄 등)를 채용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플레이트를 스프링 강으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플레이트 또는 지지 요소의 기하형상이 일정한 경우에, 적절한 재료의 선택은 특히 강성, 감쇠 효과, 그리고 열 저항에 의존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플레이트들은 특히 동일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고,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도 있다. 플레이트들은 상이한 두께를 가질 수도 있다.
플레이트들은 플레이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도록 나사 결합, 용접, 또는 형상 끼워맞춤 및/또는 압력 끼워맞춤 접속부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자의 경우에, 플레이트 적층체 중의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가 적어도 하나의 전단 및/또는 종방향 측부에서 지지 요소의 플레이트들을 클램핑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특히 간단한 실시예가 바람직하다. 이로써, 강성과 관련한 비대칭 특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는 예컨대 용접에 의해 배기 시스템 및/또는 모터 하우징 또는 기어박스 하우징에 직접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콘솔에 의해 배기 시스템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를 모터측 또는 기어박스측에 마련된 브라켓에 의해 모터 또는 기어박스에 장착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모터측 또는 기어박스측에 마련되는, 콘솔 또는 전술한 브라켓에 대하여 지지 요소를 체결하는 것은 나사 결합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로 인하여, 감쇠 특징이 공간적으로 상이한 방향으로 상이하게 되는 유리한 방식으로 감쇠 특징을 확실하게 설계할 수 있다. 감쇠 대상 진동수의 범위에 걸쳐 감쇠가 일어날 수 있으며, 특히 플레이트의 수와, 지지 요소가 편향될 때에 서로 문질러지는 플레이트 표면에 포함되는 마찰면과, 이들 표면의 조건에 의해 감쇠 인자에 영향을 끼칠 수도 있다. 강성은 특히 재료 선택, 플레이트의 수 및 플레이트의 기하형상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감쇠 및 강성과 관련한 사용자의 요구에 적합하게 한 특정 구조도 또한 가능하다. 지지 요소의 열기계적 내구 수명은 유연한 플레이트 구조에 의해 보장된다.
배기 시스템용의 종래의 서스펜션 시스템과 비교하여, 배기 시스템을 장착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시스템은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조되는데, 그 이유는 열화되기 쉬워서 필요에 따라 보호되어야 하는 엘라스토머 요소의 필요성이 없고, 진동 중화 요소 또는 흡수 요소와 같은 추가의 감쇠 시스템을 제공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한, 작은 설치 공간으로 배기 시스템을 모터 및 기어박스에 각각 장착하는 데에 충분하므로, 구조가 컴팩트하게 된다. 배기 시스템용 브라켓은 보수가 필요할 때에 간단하게 교환될 수 있다. 기존의 시스템에 대한 접속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가스 운반 시스템이 손상되지 않는다는 이점이 존재하는데, 그렇지 않으면, 진동 흡수 요소가 채용되는 경우에 기밀성, 열 절연성 및 내구 수명과 관련한 문제점이 초래될 수 있다.
이것이, 진동 흡수 요소가 사용될 때에 기계적 내구 수명을 보장하기 위한 추가의 지지 요소가 필요한 이유이다. 이상적인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홀더가 진동 흡수 요소를 대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중량 절감과 관련해서도,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는 진동 중화 요소를 갖춘 종래의 브라켓에 비하여 우수한데, 예를 들어 종래의 진동 중화 요소의 질량이 약 1 kg이라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 따른 필적할만한 지지 요소는 배기 시스템의 측부에 있는 콘솔을 포함해서 단지 약 250g이다.
이제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기 시스템용 브라켓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제1 실시예의 종단면도(상측 도면) 및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3은 각진 구조적 형상을 보여주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4는 플레이트가 하나의 플랜지 형성 플레이트에 의해 클램핑되어 있는 상태로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하고,
도 5는 연결 지점을 개략적으로 예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평면도(상측 도면)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가능한 실시예를 관통하여 취한 종단면도(하측 도면)를 도시하고,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지지 요소의 예시적인 설치 상태를 도시한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배기 시스템에 마련되어 있는 브라켓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있다.
연소기관은 배기 매니폴드(도시 생략)로부터 상류 파이프(3)의 배기 매니폴드 어댑터(4)를 매개로 연소 가스가 공급되는 배기 시스템(2)을 구비하고, 이 배기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플레이트 홀더 형태의 지지 요소(1)에 의해 기어박스 하우징(5)에 체결되어 있다. 기어박스 하우징(5)은 엔진 블록 장착부(6)를 통해 엔진 블록과 연결되어 있다. 배기 시스템의 측부에서, 지지 요소(1)는 콘솔(8)에 의해 배기 시스템, 즉 촉매 컨버터의 입구 깔때기 부분(funnel)에 체결되어 있다. 지지 요소(1)와 콘솔(8)은 용접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기어박스의 측부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1)는 브라켓(7)에 의해 기어박스 하우징(5)에 장착되어 있다. 지지 요소(1)를 브라켓(7)에 장착하는 것은 나사식 결합부(9)에 의해 실시된다. 지지 요소(1)는 3개의 밴드형 탄성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이들 탄성 플레이트는 상호 적층되어 있다. 종단면도로 보았을 때, 지지 요소(1)는 오프셋 스텝(offset step) 형태의 이중 절곡된(twofold) 각진 구조를 갖는다.
도 2는 플레이트 홀더 형태의 지지 요소(1)의 다른 실시예를 더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다. 도 2의 상측 도면, 즉 종단면도로 보았을 때, 지지 요소(1)는 3개의 개별적인 플레이트(10, 11, 12)로 이루어져 있다. 하나의 플레이트는 소정 두께 a를 갖고, 지지 요소의 높이 h는 3개의 개별 플레이트의 두께를 더한 것이다. 도 2의 하측 도면은 적층된 개별 플레이트(10, 11, 12)로 조립된 지지 요소(1)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지지 요소는 길이 l과 폭 b를 갖는다. 도면 부호 13은 모터 또는 기어박스 하우징에 연결되는 지지 요소의 한쪽 종단부 근처의 소정 지점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14는 배기 시스템에 연결되는 지지 요소의 다른쪽 종단부 근처의 소정 지점을 나타낸다.
도 3은 지지 요소(1)의 각진 구조적 형상을 예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는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2개의 플레이트(15, 16)로 구성된 지지 요소(1)는 이중 오프셋 스텝 형태의 4중 절곡된(fourfold) 각진 구조를 갖고, 이들 오프셋 스텝은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mirror-inverted)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 구조는 코너(17, 18, 19, 20)에서 소정 각도를 이루고 있다. 지지 요소의 단부는 오프셋이 없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즉 구조체의 양단은 동일 평면으로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1)의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며, 여기서 개별 플레이트(21, 22, 23)는 플랜지형 접속부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플레이트(21, 22)는, 지지 요소(1)의 적층체의 외부 플레이트인 플레이트(23)에 의해 전단부에서, 적절하게는 종방향 양측부에서 클램핑되어 있다.
도 5(상측 도면)는 플레이트의 상호 결합을 위한 결합점들을 개략적으로 단지 예시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예컨대 두 종방향 측부 각각에 있는 3개의 결합점에서 플레이트들을 접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두 종방향 측부 각각에 있는 2개의 결합점에서 플레이트들을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두 종방향 측부의 각각에 있는 단지 하나의 결합점에서 플레이트들을 접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결합점은 바람직하게는 중앙에 마련되어 있다. 플레이트들의 전단부에서, 이들 플레이트는 하나의 유일한 결합점, 예컨대 중앙, 우측 또는 좌측의 결합점에 의해 서로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경우에 플레이트들을 2개의 결합점에 의해 그들의 전단부에서 서로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의 하측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요소의 실시예의 종단면도를 도시하고, 여기서 플레이트들은 각 단부에 있는 2개의 결합점에 의해 종방향 측부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임의의 형상 끼워맞춤 및 압력 끼워맞춤 접속부가 허용될 수 있다(예컨대, 스폿 용접, 용접, 리벳 결합, 나사 결합, 브레이징, 아교 결합, 자석 결합).
도 6은 전술한 구조를 갖는 지지 요소(1)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자동차(K)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배기 시스템(2)용 브라켓의 구조를 제외하면, 상기 자동차는 자체로 공지되어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고, 관련 라디에이터(WK)를 갖춘 전방의 모터(M)와 기어 박스(G)를 구비한다. 배기 시스템(2)은 예컨대 배기 매니폴드(AK), 상류 파이프(3), 촉매 컨버터(Ka), 중간 배기 소음기(MS), 그리고 꼬리 파이프를 갖는 최종 배기 소음기(ES)를 구비하며, 상기 촉매 컨버터(Ka)는 중간 배기 소음기(MS)와 연결되어 있고, 이 중간 배기 소음기는 배기 파이프(AR)를 통하여 최종 배기 소음기(ES)에 연결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6에 따른 자동차(K)는 널리 공지된 종래 기술에 해당하므로, 추가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특히, 전술한 구조를 갖는 지지 요소(1)는 배기 시스템(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지지 요소에 의해 촉매 컨버터(Ka)가 기어박스 하우징(5)에 탄성적으로 장착되어 있다.

Claims (18)

  1. 연소기관, 기어박스, 배기 시스템, 그리고 배기 시스템 고정용의 배기 시스템 브라켓을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배기 시스템(2)은 배기 시스템 브라켓(1, 7, 8)을 통하여 모터와 기어박스(5)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에 체결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은 2개 이상의 밴드형 탄성 플레이트(10, 11, 12; 15, 16; 21, 22, 23; 26, 27, 28)를 갖춘 플레이트 홀더 형태의 지지 요소(1)를 구비하며, 이들 탄성 플레이트는 적층체(stack)를 형성하도록 서로 중첩되고, 탄성 플레이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서 서로에 대해 상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의 종단면 형상이 각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의 종단면 형상이 오프셋 스텝 형태의 이중 절곡된(twofold) 각진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의 종단면 형상이 이중 오프셋 스텝 형태의 4중 절곡된(fourfold) 각진 구조를 갖고, 이들 오프셋 스텝은 서로에 대해 거울 대칭(mirror-inverted)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의 종단면 형상이 나선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오스테나이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페라이트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 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9.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이한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은 상이한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은 평활한(smooth)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2.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은 거친(rough)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3.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들은 구조화(structured) 표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4.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의 플레이트들은 나사 결합, 용접, 형상 끼워맞춤 또는 압력 끼워맞춤 접속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 적층체에 있어서 하나의 외부 플레이트(23)는, 적어도 하나의 전단부와 종방향 측부 중 하나 이상에 지지 요소의 플레이트들을 클램핑하도록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는 3개 내지 5개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는 콘솔(8)에 의해 배기 시스템(2)에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1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요소(1)는 브라켓(7)에 의해 모터 및 기어박스에 각각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057018108A 2003-03-26 2004-03-24 배기 시스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 KR1008454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313568A DE10313568B4 (de) 2003-03-26 2003-03-26 Kraftfahrzeug
DE10313568.5 2003-03-2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2874A KR20060002874A (ko) 2006-01-09
KR100845484B1 true KR100845484B1 (ko) 2008-07-10

Family

ID=3298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8108A KR100845484B1 (ko) 2003-03-26 2004-03-24 배기 시스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60266891A1 (ko)
EP (1) EP1606132B1 (ko)
KR (1) KR100845484B1 (ko)
CN (1) CN100366454C (ko)
DE (2) DE10313568B4 (ko)
ES (1) ES2271871T3 (ko)
WO (1) WO20040851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8290A1 (en) 2011-04-28 2012-10-31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support assembl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05006248U1 (de) * 2005-04-19 2005-06-16 Arvinmeritor Emissions Technologies Gmbh Doppelsträngige Abgasanlage
DE102006021641B4 (de) * 2006-05-08 2013-05-16 J. Eberspächer GmbH & Co. KG Befestigungsvorrichtung
FR2919533A3 (fr) * 2007-08-02 2009-02-06 Renault Sas Dispositif et agencement de positionnement d'un tuyau d'echappement par rapport a un support anti-vibratoire d'echappement fixe a la caisse d'un vehicule automobile
EP2305996B1 (en) * 2007-12-21 2018-01-24 Caterpillar Motoren GmbH & Co. KG Flexible mounting arrangement
US8701848B2 (en) * 2011-03-29 2014-04-2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Sleeve damper assembly
CN102431442A (zh) * 2011-12-05 2012-05-02 常州杰天车辆配件厂 排气管悬挂机构
CN102991342B (zh) * 2012-11-29 2015-09-02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杭州分公司 一种汽车排气管减振装置
JP6133830B2 (ja) * 2014-10-30 2017-05-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排気系支持構造
DE102015101846A1 (de) 2015-02-10 2016-08-11 Eberspächer Exhaust Technology GmbH & Co. KG Abstützeinheit zur Abstützung einer Abgasanlage eines Fahrzeugs
DE102016104211B3 (de) * 2016-03-08 2017-07-13 Vibracoustic Gmbh Haltevorrichtung für eine Auspuffanlage
DE102016006977B4 (de) 2016-06-07 2018-06-14 Audi Ag Aufhängeanordnung
CN106523118B (zh) * 2016-12-09 2019-11-12 江苏多为机械工业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排气系统支架
FR3065488B1 (fr) 2017-04-20 2019-06-28 Faurecia Systemes D'echappement Element de ligne d'echappement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element
JP6515967B2 (ja) * 2017-08-24 2019-05-22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パワートレインユニット
JP7206598B2 (ja) * 2018-02-23 2023-01-18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パイプ取付構造
JP2019142431A (ja) * 2018-02-23 2019-08-29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ヒートプロテクタ取付構造
JP6909820B2 (ja) * 2018-03-28 2021-07-28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スラント型内燃機関を備えた自動車用動力装置
CN111140412B (zh) * 2019-12-24 2021-11-05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前引气管总成及车辆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768A (en) * 1975-08-13 1977-01-25 Nickson Industries, Inc. Universal joint hanger for tailpipes and the like
KR19980050628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배기파이프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61579A (en) * 1964-09-21 1966-07-19 Engman Mfg Company Universal muffler and tail pipe holding bracket
US3270992A (en) * 1965-10-05 1966-09-06 Gen Motors Corp Exhaust system hanger
US3292887A (en) * 1965-10-05 1966-12-20 Gen Motors Corp Exhaust system hanger
GB1090200A (en) * 1965-10-05 1967-11-08 Gen Motors Corp Motor vehicle exhaust pipe mounts
JPS581617Y2 (ja) * 1973-07-13 1983-01-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触媒コンバ−タ支持装置
JPS6323271Y2 (ko) * 1979-09-19 1988-06-24
US4264344A (en) * 1980-02-06 1981-04-28 General Motors Corporation Diesel engine exhaust particulate trap
US5251720A (en) * 1991-03-08 1993-10-12 Mazda Motor Corporation Structure for mounting powertrain of vehicle
DE19833160C2 (de) * 1998-07-23 2002-01-24 Daimler Chrysler Ag Vorrichtung zur elastischen Anbringung einer Abgasanlage an einem Kraftfahrzeug
JP2000345837A (ja) * 1999-06-01 2000-12-12 Honda Motor Co Ltd 車両における排気管の配置構造
DE20109177U1 (de) * 2001-06-01 2001-08-23 Duve Umformtechnik Gmbh Halter zum Befestigen einer Abgasanlage an einem Kraftfahrzeug
JP3515767B2 (ja) * 2001-06-13 2004-04-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の排気系における振動吸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04768A (en) * 1975-08-13 1977-01-25 Nickson Industries, Inc. Universal joint hanger for tailpipes and the like
KR19980050628U (ko) * 1996-12-30 1998-10-07 박병재 자동차의 배기파이프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18290A1 (en) 2011-04-28 2012-10-31 Caterpillar INC. Exhaust gas aftertreatment support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313568A1 (de) 2004-10-14
CN1780745A (zh) 2006-05-31
KR20060002874A (ko) 2006-01-09
EP1606132B1 (de) 2006-08-23
EP1606132A1 (de) 2005-12-21
WO2004085188A1 (de) 2004-10-07
ES2271871T3 (es) 2007-04-16
DE502004001275D1 (de) 2006-10-05
CN100366454C (zh) 2008-02-06
DE10313568B4 (de) 2005-04-28
US20060266891A1 (en) 2006-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5484B1 (ko) 배기 시스템 고정용 브라켓을 구비한 자동차
US6536548B2 (en) Exhaus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with an exhaust system
US6173800B1 (en) Exhaust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US4494722A (en) Exhaust unit support device
JPH0249934B2 (ko)
US4596304A (en) Exhaust support system
US7726216B2 (en) Structural component, in particular a lubricating component
CN101722834B (zh) 车辆排气装置
JP5070010B2 (ja) 車両用のシャシフレーム構造
JP3651264B2 (ja) 排気系部材の支持構造
JP3812369B2 (ja) 車両用エンジン排気装置
JP2000072029A (ja) 車両用サブフレーム
JP5586089B2 (ja) 車体補剛装置
KR20130106834A (ko) 소형 쿨롱 댐퍼
EP3505733B1 (en) Exhaust system
CN112922712A (zh) 用于固定用于内燃发动机的排气后处理的部件的固定设备
US20050155807A1 (en) Vehicle with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an axle carrier
JP6515967B2 (ja) 車両用パワートレインユニット
JP3591913B2 (ja) パイプ材のフレキシブル連結構造
KR100802920B1 (ko) 차량의 배기계 센터 행거 마운팅부의 구조
JP2000072032A (ja) 車両用フロントメンバ
CN220053434U (zh) 一种带减震装置的汽车用空调管
KR100836385B1 (ko) 자동차의 엔진 마운트용 스토퍼
KR200193200Y1 (ko) 자동차 배기관용 플렉시블 카탈리틱 컨버터
JP4959489B2 (ja) 自動車用制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