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4974B1 - 광학기기 및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 Google Patents

광학기기 및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4974B1
KR100844974B1 KR1020070036761A KR20070036761A KR100844974B1 KR 100844974 B1 KR100844974 B1 KR 100844974B1 KR 1020070036761 A KR1020070036761 A KR 1020070036761A KR 20070036761 A KR20070036761 A KR 20070036761A KR 100844974 B1 KR100844974 B1 KR 100844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utter
lever
focal plane
driving
plane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67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03303A (ko
Inventor
요시하루 텐묘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03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03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4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4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006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with means to keep optical surfaces clean, e.g. by preventing or removing dirt, stains, contamination, condens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36Sliding rigid plat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 H04N23/811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in the image signal generation by dust removal, e.g. from surfaces of the image sensor or processing of the image signal output by the electronic image sens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제어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가,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포컬 플레인 셔터를 복수 회 반복해서 진동 구동시켜, 그 포컬 플레인 셔터에 부착한 이물을 흔들어 털어낸다. 즉, 포컬 플레인 셔터의 오버로딩을 이용해서, 부착한 이물을 진동 제거하는 것을 실현한다.
광학기기, 이물제거, 광전변환소자, 포컬 플레인 셔터

Description

광학기기 및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OPTICAL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ROM THE OPTIC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촬영 대기 상태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영 시의 카메라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의 포컬 플레인 셔터와 촬상부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발생한 진애가 광학소자에 부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의 선막(front curtaion) 및 후막(rear curtain)이 노광 종료한 상태(로딩 개시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 로딩이 완료한 오버로 드(overloaded)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 선구동 레버(front driving lever)가 오버로드된 위치로부터 로드된 위치로 이행하고, 프론트 서브레버(front sublever)가 오버로드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 선구동 레버와 프론트 서브레버가 로드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 로드된 셔터부의 구동부를 중심으로 한 상면도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카메라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에 있어서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기가 행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기가 행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기가 행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 등의 광학기기에 있어서,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에 부착된 진애(dust) 등의 이물을 제거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렌즈 교환식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에서 사용되는 촬영 렌즈의 초점면 근방에 진애가 존재하면, 그 진애의 그림자가 고체 촬상 소자에 투영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진애는, 렌즈 교환 시에 외부로부터 침입하거나, 카메라 내부에서의 셔터 및 미러의 동작의 결과로서, 수지 등의 구조 부재 재료로 이루어진 미세한 마모분(磨耗粉)으로서 생성되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진애가, 고체 촬상 소자의 보호용의 커버 글라스와 커버 글라스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 적외선 컷오프 필터나 로우패스 광학 필터 등의 광학 필터와의 사이의 공간에 들어간 경우에는, 그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서 카메라를 분해해야 한다. 이 때문에, 고체 촬상 소자의 커버 글라스와 광학 필터와의 사이의 공간에 진애가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 밀폐 구조를 만들 때 이 문제를 대처하는 방법이 취해져 왔다.
그렇지만, 고체 촬상 소자와 반대의 광학 필터 측의 표면에 진애가 부착하고, 그것이 초점면의 근방에 있는 경우에는, 그 진애가 그림자를 만들어 고체 촬상소자에 투영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고체 촬상소자와 반대의 광학 필터측(렌즈 유닛측)의 면에 진애가 부착하는 메커니즘은, 이하와 같이 생각된다.
통상, 광학 필터의 전면에는, 포컬 플레인 셔터가 전개한 상태(셔터가 닫힌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술한 원인으로 발생한 진애가 직접 광학 필터에 부착하지 않는 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원인으로 생긴 진애는 전개 상태에 있는 셔터 블레이드(shutter blades)에 부착한 후, 셔터의 개폐 동작에 의해 흩날려, 개방 상태가 된 셔터를 통과해서 광학 필터에 부착한다고 생각된다.
이 문제를 감안하여,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원평 8-211445호에는, 진애가 광학 필터에 부착하기 어려운 구조인 이중 차광 방식 셔터가 제안되어 있다. 이것은, 셔터 블레이드의 주행 속도를 올리기 위해서 셔터 블레이드를 경량화했고, 셔터 블레이드의 박형화에 의한 차광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촬영 대기 상태 시에 2개의 블레이드 그룹을 전개 상태로 해서 차광성을 높이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진애가 부착된 셔터 블레이드 그룹을 먼저 동작시키는 셔터 릴리즈 동작의 결과로서 진애가 비산했다고 해도, 광학 필터 측에 있는 다른 하나의 셔터 블레이드 그룹은 전개 상태에 있다. 이 때문에, 비산한 진애가 광학 필터를 향해 이동해도, 그 전개 상태에 있는 셔터 블레이드 그룹에 의해 차단되어, 진해는 광학 필터에 도달할 수 없기 때문에, 진해가 광학 필터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최초의 셔터 블레이드 그룹의 동작 후에, 진애의 부착이 적은 광학 필터 측의 셔터 블레이드 그룹을 동작시키기 때문에, 상기 종래의 구성의 포컬 플레인 셔터에 비해, 광학 필터에 부착하는 진애를 대폭 줄일 수가 있다.
또, 일본국 특허공보 제3576703호는, 광학기기의 내부에서 행해진 동작으로서 셔터 속도를 상승시키기 위한 셔터 오버로딩(overloading)을 개시하고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원평 8-211445호에 기재된 이중 차광 방식 셔터에서 는, 최초로 작동된 동작 셔터 블레이드 그룹에 의해 비산된 진애가 완전하게 처리되기 전에 다른 한편의 셔터 블레이드 그룹의 동작이 개시되면, 광학 필터에의 진애의 부착을 완전하게 방지할 수 없다. 또, 촬영 대기 상태에서는, 차광을 위해서 2개의 블레이드 그룹을 전개 상태로 해야 하는 특수한 동작을 취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릴리즈 버튼을 누르고 나서 촬영을 개시할 때까지의 타임 래그(time lag)가 길어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특별한 동력원을 요구하는 일없이 셔터에 부착된 이물을 없앨 수 있다는 점에 있다.
본 발명의 제1 국면에 따른 광학기기는,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제어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해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복수 회 반복해서 진동 구동시키는 진동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국면에 따르면,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제어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 제거방법을 제공하고, 상기 방법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복수 회 반복해서 진동 구동시키는 진동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시한 실시 예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해 본 발명의 매우 바람직한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예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것과 같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실시 예에 설명되어 있는 특징의 조합의 모두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본 실시 예에서 설명한 카메라는, 렌즈 교환식의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이하, 단순히 "카메라"라고 칭한다)이다.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실현수단으로서의 일례이며, 본 발명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 및 각종 조건에 의존해서 적당히 수정 또는 변경되어야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후술하는 실시 예인 각 장치의 기능을 실현하는 소프트웨어의 프로그램 코드를 기억한 기억 매체(또는 기록 매체)를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해,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CPU 혹은 MPU)가 기억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판독해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달성된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500)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로, 사용자가 피사체의 구도 등을 확인하기 위해서 교환 렌즈 유닛(501)으로부터 입사된 피사체 상을 확인하기 위한 촬상 대기 상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중의 카메라(500)의 구조를 설명하는 개략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교환 렌즈 유닛(501)은, 피사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캡처해 고체 촬상부(23)에 결상시키기 위한 복수의 렌즈(501a, 501b 등)를 갖는다. 렌즈 마운트(503)는, 이 교환 렌즈 유닛(501)을 카메라 본체에 장착하기 위해 사용된다. 주 미러(퀵 리턴 미러; 505)는, 미러 박스(504)라고 불리는 공간 내에서 교환 렌즈 유닛(501)과 촬상부(50)의 광축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촬영 대기 상태에서, 미러(505)는 피사체 상을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입사한 광속을 뷰파인더(502) 내부로 인도하기 위해서 도 1의 위쪽으로 입사한 광속을 반사시키고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10)는, 렌즈 유닛(501)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소망하는 시간 동안 촬상부(50)에 조사시키는 셔터 블레이드의 그룹(11a~11d)으로 구성되는 선막(front curtain; 11)과, 같은 구성을 갖는 후막(rear curtain; 12)을 가지고 있다. 뷰파인더(502)는, 포커싱 스크린(506), 프리즘(507) 및 접안 렌즈(508)를 가지고 있다. 포커싱 스크린(506)은, 주 미러(505)로부터 위쪽으로 반사된 광속으로부터 상을 결상한다. 프리즘(507)은, 이 포커싱 스크린(506)에 결상된 상을 정립의 실상으로 하기 위해서 내부에서 상을 반사시킨다. 접안 렌즈(508)는, 프리즘(507)으로부터 사 출된 상을 적정한 배율로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촬상부(50)의 구성을 설명한다. 광학소자(21)는, 적외 필터나 로우패스 필터 등을 포함한다. 보유 부재(22)는, 이 광학소자(21)를 고체 촬상부(23)에 대한 위치에 보유하고 있다. 커버 부재(23a)는, 고체 촬상소자(23b)를 보호하기 위해 사용된 커버(20)이다. 씰 부재(sealing member;24)는, 고체 촬상부(23)의 커버 부재(23a)와 광학소자(21) 사이의 공간을 밀봉하고 있다. 접속 단자(23c)는, 고체 촬상부(23)의 전기적 접속단자로, 이 단자(23c)는 카메라(5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로를 구성하는 전기적 소자가 탑재되어 있는 기판(25)에 접속되어 있다. 보유판(26)은 고체 촬상부(23)와 일체화해서, 고체 촬상부(23)를 카메라(500)의 섀시(미도시)에 기계 나사(미도시)를 이용해서 고정시킨다.
촬상 전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축을 따라 배치된 주 미러(505)로부터 광속을 위쪽으로 수직으로 반사시키고, 피사체 상을 포커싱 스크린(506)에 결상한다. 이 피사체 상은, 더욱더 프리즘(507)에 의해 정립의 실상에 맞추어진다. 이렇게 함으로써, 조작자는, 그 피사체 상을 접안 렌즈(508)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촬상 중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환 렌즈 유닛(501)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을 촬상부(50)에 입사시키기 위해서 주 미러(505)를 들어올려 광축으로부터 그것을 제거한다. 이것에 의해, 교환 렌즈 유닛(501)으로부터 입사한 광속은,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과 후막(12)으로 형성된 개구부를 통과해, 촬상부(50)에 입사한다. 도 2에 있어서, 도 1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기호로 나타내고 있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500)에 사용되는 포컬 플레인 셔터(10)와 촬상부(50)의 구성도로, 상술한 도면과 공통되는 부분은 같은 기호로 나타내고, 그것들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3에 있어서, 포컬 플레인 셔터(10)는, 셔터 블레이드 그룹 11a~11d을 구비하는 선막(11)과, 복수의 셔터 블레이드를 구비하는 후막(12)과, 선막(11) 및 후막(12)의 구동 스페이스를 분할하는 중간판(13)을 가지고 있다. 또한, 포컬 플레인 셔터(10)는 후막(12)의 누름판(backing plate)으로서 기능을 하는 동시에, 촬상을 위해서 대략 그 중앙부에 개구부 14a가 설치되어 있는 누름판(14)과, 선막(11)의 누름판으로서 기능을 하는 동시에, 촬상을 위해서 대략 그 중앙부에 개구부 15a가 설치되어 있는 커버판(15)을 가지고 있다. 선막(11)을 구성하는 셔터 블레이드 그룹 11a~11d 및 후막(12)의 셔터 블레이드는, 각각 복수의 구동 레버(미도시)에 의해 일체적으로 개폐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개폐 동작 시에 있어서의 셔터 블레이드의 마찰 부하나 마찰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셔터 블레이드는 전기적 도전성의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또, 그 표면의 미끄러짐성을 향상시키고 대전을 방지하기 위해 표면 처리가 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낸 촬영 대기 상태에서 릴리즈 버튼이 눌러지면, 우선 제1 셔터 블레이드 그룹(11 a~11 d)의 블레이드가 중첩해 셔터가 개방되고, 그 다음에 선막(11)의 주행 개시 후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셔터 블레이드 그룹으로 구성되는 후막(12)이 전개해 셔터를 닫는다. 이것에 의해, 소정 시간 동안, 개구부 14a 및 개구부 15a가 개구해 노광 동작이 행해진다. 촬영 완료 후에는, 다음의 촬영에 대비해, 로딩(loading) 전원에 의해서 선막(11)이 전개 상태로 돌아오고, 후막(12)은 중첩 상태로 돌아온다.
촬상부(50)에 있어서, 고체 촬상소자(23b)는 유한 간격으로 화소를 배열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간격보다 공간 주파수가 높은 빛은 단일의 화소에만 들어갈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본래의 색과 다른 색으로서 인식되는 위색(false color)이나 색 모아레(color moire)가 생긴다. 또, 고체 촬상소자(23b)의 표면에서 입사광이 반사함으로써 적외광의 "고우스트 상(ghost images)" 및 "포그(fog)" 등의 문제가 생긴다. 이것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고체 촬상부(23)의 전면에는, 로우패스 필터나 적외 컷오프 필터 등이 적층된 광학소자(21)가 배치되어 있다. 또, 고체 촬상부(23)와 광학소자(21)는 씰 부재(24)로 밀폐되어 있다.
부수적으로, 이 디지털 카메라(500)는 필름 카메라와는 달리, 촬상부(50)로 촬상한다. 이 때문에, 촬상부(50)의 가장 바깥 표면에 있는 광학소자(21)에 진애가 부착하면, 그 부착한 진애의 위치에 있어서 고체 촬상소자(23b)에 더 이상 빛이 도달하지 않아, 촬영한 화상에 그림자가 전사된다.
이 진애가 발생하는 원인으로서는, 이하의 요인이 고려된다.
1. 이 카메라(500)와 같이, 포컬 플레인 셔터(10)를 가진 카메라에서는,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 및 후막(12)이 셔터 동작 시에 서로 스치는 경우 셔터 블레이드의 도장이 벗겨진다. 이렇게 해 벗겨진 도장이 진애로 되어, 카메라 내부에 잔류한다.
2. 카메라(500) 등의 렌즈 교환식의 카메라에서는, 교환 렌즈 유닛(501)이 장착되지 않은 경우에, 카메라의 렌즈 마운트(503)를 보호하기 위한 마운트 캡(미도시)이 장착된다. 이때 마운트 캡과 마운트(503)가 서로 스치는 경우, 마운트 캡이 긁혀져, 마운트 캡의 벗겨진 입자가 진애가 된다.
3. 교환 렌즈 유닛(501)의 교환시, 외부로부터 카메라 내부로 진애가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도 4는, 이렇게 해서 발생한 진애가 광학소자(21)에 부착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광학소자(21)는, 촬영하는 순간 이외에는 항상 전개 상태의 선막(11)으로 덮여 있다. 따라서, 상술한 원인(2) 혹은 (3)에서 발생한 진애(도 4에서 41로 나타낸다)는, 예를 들면, 전개 상태의 선막(11) 및 주 미러(505) 위의 미러 박스(504) 내에 존재한다. 주 미러(505) 및 전개 상태의 선막(11) 이외의 구성부품에 부착한 진애 41이 직접 광학소자(21)에 부착한다고는 생각하기는 어렵고, 광학소자(21)에 부착하는 진애 41의 대부분은, 일단 선막(11)에 부착한다고 생각된다.
이 상태에서 카메라(500)의 릴리즈 버튼을 눌러 촬영동작이 개시되면, 선막(11)의 블레이드가 서서히 중첩되어 셔터가 개방된다. 다른 한편, 중첩 상태에 있는 후막(12)은, 일정한 광량을 촬상부(50)에 통과시키도록 선막(11)과 함께 광축에 수직인 방향으로 슬릿을 형성하면서 서서히 전개 상태가 된다. 이때, 선막(11)에 부착하고 있던 진애 41에는, 잔존하는 관성력(C), 셔터 블레이드 그룹 11a~11d이 중첩되는 것에 의한 스크래핑(scraping)에 기인한 구동력(B), 및 셔터 블레이드 의 편향에 의해 발생한 진동에 의한 구동력(A)이 작용한다. 이것에 의해, 선막(11)으로부터 분리된 진애 41의 대부분이 렌즈 유닛(501) 측으로 초속(initial velocity)을 갖는다. 다른 한편, 관성력에 의해 대기중에 부유한 진애 41의 일부가 선막(11) 없이 생성된 부압(negative pressure)에 의해 광학소자(21) 측으로 초속을 갖는다. 이들 중, 선막(11)으로부터 비산한 진애 41의 대부분을 구성하는, 렌즈 유닛(501)의 방향으로 초속을 가진 진애 41 중에서 속도가 느린 것은, 선막(11)과 함께 슬릿을 형성하도록 주행하는 후막(12)에 의해, 렌즈 유닛(501)의 방향으로의 이동이 차단된다. 그리고, 진애가 후막(12)의 편향에 의해 광학소자(21)측으로 날아가 광학소자(21)에 부착한다.
이상과 같은 프로세스로 진애 41가 광학소자(21)에 부착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촬영 대기 상태에 있어서, 전개 상태에 있는 선막(11)에 진애 41을 부착시키지 않는 것이, 광학소자(21)에 진애 41을 부착시키지 않는 중요한 요건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막(11)에 부착한 진애 41을, 촬영 동작의 개시 전에 선막(11)(셔터 블레이드)으로부터 강제적으로 낙하시키는 것에 의해, 진애 41가 광학소자(21)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제1 실시 예는, 오버로딩 가능한 셔터를 이용한다.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은 본래, 스트로보스코프 타임(stroboscope-timed) 속도를 고속화함과 함께, 최고 셔터 속도를 고속화하기 위해 막(幕)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셔터 블레이드를 구동하는 구동 용수철의 로딩력(loading force)을 증 가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러한 오버로딩 동작은, 구동 용수철을, 통상의 로딩량 이상으로 로딩하기 위한 동작이다. 따라서, 이 오버로딩 동작은, 통상의 로딩 이상으로 로딩하는 동작으로, 이 동작 시에는, 셔터 블레이드 자체는 닫힌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사진 촬영의 노광에는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오버로딩 동작을, 독립해 실시할 수가 있다.
본 실시 예는, 이 문제점을 주목하여, 선막(11)에 부착한 진애 41을 떨어뜨리기 위해 이 오버로딩 동작의 동력을 구동원으로서 사용하고, 이 동력을 셔터 블레이드에 충격력으로 주어 셔터 블레이드를 진동시킴으로써, 선막(셔터 블레이드)에 부착한 진애 41을 낙하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실시 예의 오버로딩 가능한 셔터의 구조를 도 5~도 11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셔터부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 도 7은 제1 셔터 블레이드 그룹으로 구성되는 선막(11)과, 제2 셔터 블레이드 그룹으로 구성되는 후막(12)이 노광 종료한 상태(로딩의 개시 전)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로딩이 완료한 오버로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선구동 레버(front driving lever; 113)가 오버로딩 완료 위치로부터 로딩 완료 위치로 이행하고, 프론트 서브레버(front sublever; 118)가 오버로딩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선구동 레버(113)와 프론트 서브레버(118)가 로딩 완료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 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로딩 완료 상태의 셔터부의 구동부를 중심으로 한 평면도이다. 여기서,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든 부재는, 셔터 베이스판(138)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다.
각 도면에 있어서, 참조번호 101은, 카메라 본체에 설치된 동력 전달 부재(160)에 의해 구동되는 로딩 레버이다. 이 로딩 레버(101)는, 축 102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것과 동시에, 용수철(미도시)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바이어싱 힘(biasing force)을 인가받고, 스톱퍼(stopper;미도시)에 의해 규정되는, 도 6에 나타낸 위치와 도 8에 나타낸 위치와의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로딩 레버(101)는 후술하는 프론트 로딩 서브레버(108)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구멍(101a)을 가지고 있다. 구성부품 104는 로딩 레버(101)와 후술의 로딩 캠 레버(105)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축에 대하여 지지된 연결 레버로서, 로딩 레버(101)의 회전에 대응해 로딩 캠 레버(105)를 회전시킨다. 로딩 캠 레버(105)는, 축 106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레버(105)의 한편의 단부의 캠 105a는, 후술하는 선구동 레버(113)를 로딩할 때에, 선구동 레버(113)에 설치된 롤러(117)와 접촉해 후술의 앞날(front blade; 선막) 구동 용수철(115)을 로딩한다. 또, 로딩 캠 레버(105)의 다른 한편의 단부의 캠 105b는, 후술하는 후구동 레버(rear driving lever;126)를 로딩할 때, 후구동 레버(126)의 롤러(130)와 접촉해, 후술하는 뒷날(rear blade;후막) 구동 용수철(128)을 로딩한다. 또, 이 로딩 캠 레버(105)에는, 후술하는 리어 로딩 서브레버(rear loading sublever;109)와 접촉하는 연결 롤러(107)가 회전 가능하게 축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프론트 로딩 서브레버(108)는, 로딩 레버(101)와 같이 축 102를 중심으로 회전한다. 프론트 로딩 서브레버(108)는 후술의 앞날 보조 용수철(119)을 로딩하기 위해 사용되는 후술의 프론트 서브레버(118)를 로딩하기 위한 캠 108a와, 로딩 레버(101)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기 위해 사용되는 연결부 108b를 구비하고, 로딩 레버(101)의 연결구멍 101a에 결합되어 있다. 리어 로딩 서브레버(109)는, 축 11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는 것과 동시에, 용수철(111)에 의해 시계방향의 바이어싱 힘을 인가받아, 항상 연결 롤러(107)에 접촉한다. 또한, 리어 로딩 서브레버(109)에는, 후술하는 리어 서브레버(131)에 접촉할 수 있는 리어 로딩 서브레버 롤러(112)가 축에 대하여 지지되어 있다. 이 리어 로딩 서브레버 롤러(112)가 리어 서브레버(131)에 접촉하고, 리어 서브레버(131)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후술의 뒷날 보조 용수철(132)이 로딩된다.
선구동 레버(113)는, 축 11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보유되어 있다. 이 레버(113)에는, 로딩 캠 레버(105)의 캠 105a와 접촉할 수 있는 선구동 레버 롤러(117)가 설치되고, 또 후술하는 프론트 클램핑 레버(front clamping lever; 123)와 맞물리는 맞물림 가능부(engageable portion; 113a)가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레버(113)에는, 제1 용수철, 즉 앞날 구동 용수철(115)에 의해 시계방향의 바이어싱 힘이 인가되어 있다. 도 6은, 선구동 레버(113)가 후술의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와 맞물린 상태와, 선막(11)이 셔터의 애퍼처(aperture) 프레임을 가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프론트 서브레버(118)는, 선구동 레버(113)와 같은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제2 용수철, 즉 앞날 보조 용수철(119)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싱 힘을 인가받는다. 도 6에서는, 선구동 레버(113)의 접촉부 113c가 프론트 서브레버(118)의 접촉부 118a에 접촉하고, 선구동 레버(113)에는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탄력(spring force)이 더해져 있다. 스톱퍼부 118b는, 선구동 레버(113)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프론트 서브레버(118)에 설치되어 있다. 스톱퍼부 118b는 프론트 스톱퍼 축(120)에 설치된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탄성 부재로 만들어진 프론트 스톱퍼(121)에 접촉해, 프론트 서브레버(118)의 시계방향 회전을 멈춘다. 프론트 서브레버 롤러(122)는, 프론트 서브레버(118)에 축에 대하여 지지되고, 프론트 로딩 서브레버(108)의 캠 108a에 접촉해 프론트 서브레버(118)에 힘을 전달한다.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는, 축 124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클램핑 부재로서, 용수철(125)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바이어싱 힘을 인가받는다. 이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는, 도 6의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구성부품 123a는, 선구동 레버(113)의 맞물림 가능부(113a)에 접촉해, 선구동 레버(113)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맞물리게 하는 맞물림부이다. 후구동 레버(126)는, 축 127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레버(126)에는, 로딩 캠 레버(105)의 캠 105b와 접촉하는 후구동 레버 롤러(13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레버(126)에는, 후술하는 리어 클램핑 레버(135)와 맞물리는 맞물림 가능부 126a(도 7)가 형성되어 있고, 뒷날 구동 용수철(128)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바이어싱 힘이 인가된다. 도 6은, 후구동 레 버(126)가 후술의 리어 클램핑 레버(135)와 맞물린 상태와, 후막(12)이 셔터의 애퍼처 프레임을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리어 서브레버(131)는, 후구동 레버(126)와 같은 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뒷날 보조 용수철(132)에 의해 시계방향의 바이어싱 힘을 인가받는다. 도 6에서, 후구동 레버(126)에 끼워 넣어진 뒷날 구동 핀(129)에 리어 서브레버(131)의 접촉부 131a가 접촉해 있고, 후구동 레버(126)에는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탄력이 가해져 있다. 스톱퍼부 131b는, 후구동 레버(126)의 회전과 함께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리어 서브레버(131)에 설치되어 있고, 리어 스톱퍼 축(133)에 설치된 고무 또는 연질의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탄성 부재로 만들어진 리어 스톱퍼(134)에 접촉해 있다. 로딩 캠 131c는 리어 서브레버(131)에 설치되어 있고, 리어 로딩 서브레버(109)에 축을 중심으로 지지되어 있는 리어 로딩 서브레버 롤러(112)에 접촉해 있다. 부가적으로, 리어 로딩 서브레버(109)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 운동에 의해 리어 서브레버(131)가 로딩된다. 리어 클램핑 레버(135)는, 축 13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 용수철 137에 의해 반시계 방향의 바이어싱 힘을 인가받는다. 도 6의 상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스톱퍼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할 수 없게 되어 있다. 맞물림부 135a는, 후구동 레버(126)의 맞물림 가능부 126a에 접촉해 있고, 후구동 레버(1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맞물린다.
또, 도 5에 있어서, 참조번호 141은 회전축에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에 접촉하는 앞날 해머(146)가 장착되어 있는 착자된 앞날 로터이다. 참조번호 142는 베이스 부재(144)에 설치된 앞날 스테이터(stator)이고, 참조번호 143은 앞날 스테 이터(142)의 일부에 감겨 있는 앞날 코일이다. 참조번호 147은, 앞날 로터(141) 및 앞날 해머(146)를 소정 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반환 용수철이다. 이상 설명한 전자기 구동부는, 선막(11)의 주행을 개시시키는 것이다. 또, 도시하지 않은 뒷날 로터, 뒷날 스테이터(148), 뒷날 코일(149), 반환 용수철(151), 및 리어 클램핑 레버(135)에 접촉하는 뒷날 해머(150)도 이와 같이 작용해 후막(12)의 주행을 개시시킨다. 프린트 회로 기판(152)은, 앞날 코일(143) 및 뒷날 코일(149)에 접속되고, 카메라 본체로부터 각각의 코일을 통전 및 구동하는 회로를 갖는다.
지금, 릴리즈 동작에 의해, 카메라 본체로부터 앞날 코일(143)이 통전될 때, 앞날 스테이터(142)에 자계가 발생하고, 앞날 로터(141)는 반환 용수철(147)의 바이어싱 힘에 저항해 회전한다. 이 앞날 로터(141)의 회전에 의해 앞날 해머(146)가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에 접촉해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선구동 레버(113)는 떼어지고, 선막(11)은 앞날 구동 용수철(115) 및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탄력에 의해 주행을 개시한다. 또, 카메라 본체로부터 앞날 코일(143)이 통전되는 것이 정지되면, 앞날 로터(141) 및 앞날 해머(146)는 반환 용수철(147)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소정 위치로 되돌아온다.
이 선막(11)의 주행 개시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 뒷날 코일(149)이 통전된다. 이것에 의해, 뒷날 로터(미도시)가 회전하고, 뒷날 해머(150)가 리어 클램핑 레버(135)에 접촉해 이동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후구동 레버(126)는 떼어지고, 후막(12)은 뒷날 구동 용수철(128) 및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탄력에 의해 주행을 개시한다. 복수의 전자기 구동부를 이용해, 셔터부의 릴리즈 동작은, 선 막(11) 및 후막(12)에 의해 독립적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구성에 있어서, 도 6에 나타낸 촬영 가능한 대기 상태에 있어서, 상술한 각각의 전자기 구동부의 코일 143 및 149는 적정한 타이밍에서 카메라 본체에 의해 통전되어 각 해머 146 및 150을 회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 및 리어 클램핑 레버(1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선구동 레버(113) 및 후구동 레버(126)의 맞물림을 순차적으로 해제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우선 선구동 레버(113) 및 프론트 서브레버(118)가 일체적으로 앞날 구동 용수철(115) 및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앞날 구동 핀(116)의 도움으로 선막(11)을 폐쇄된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한다. 그 과정에서, 프론트 서브레버(118)의 스톱퍼부 118b는 프론트 스톱퍼(121)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소리를 줄이고, 그 충격을 완화시켜 최종적으로 프론트 스톱퍼 축(120)에 접촉해 정확하게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작동 범위를 규정한다. 이것에 의해, 선구동 레버(113)에 대해서 작용하는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바이어싱 힘을 소멸시킴으로써, 선구동 레버(113)가 앞날 구동 용수철(115)만으로 개방 위치를 규정하는 스톱퍼(미도시)의 위치를 향해 구동된다. 소리를 줄이고 충격을 완화시키는 프론트 스톱퍼(121)는, 프론트 서브레버(118)를 직접 프론트 스톱퍼 축(120)에 접촉시킴으로써, 제거되어도 동작에는 어떠한 문제도 없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계속해서, 후구동 레버(126)가 리어 서브레버(131)와 일체적으로 작용해, 뒷날 구동 용수철(128) 및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뒷날 구동 핀(129)의 도움으로 후막(12)을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과정 중에, 리어 서브레버(131)의 스톱퍼부 131b는 리어 스톱퍼(134)에 접촉하고, 소리를 줄이는 것과 동시에 충격을 완화시켜, 최종적으로 리어 스톱퍼 축(133)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정확하게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작동 범위를 규정하여, 후구동 레버(126)에 대해서 작용하는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바이어싱 힘을 소멸시킴으로써, 후구동 레버(126)는 뒷날 구동 용수철(128)만으로 폐쇄 위치를 규정하는 스톱퍼(미도시)의 위치까지 구동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광 동작(촬영 동작)이 종료되고, 카메라는 도 7의 상태가 된다. 소리를 줄이고 충격을 완화시킨 리어 스톱퍼(134)는, 리어 서브레버(131)를 직접 리어 스톱퍼 축(133)에 접촉시킴으로써 제거되어도 동작상 어떠한 문제도 일어나지 않는다는 점에 유념한다.
도 7(촬영 종료 직후)의 상태로부터 촬영 가능 상태로 하기 위해서, 로딩 레버(10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에 수반해, 연결 레버(104)를 통해서 로딩 캠 레버(10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로딩 캠 레버(105)의 시계방향의 회전에 의해, 캠 105a가 선구동 레버 롤러(117)에 접촉하고, 선구동 레버(11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함으로써, 제1 용수철(115)의 로딩을 개시하고, 선막(11)은 폐쇄 위치로의 이동을 개시한다.
또, 로딩 레버(101)와 일체적으로 결합된 프론트 로딩 레버(108)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캠 108a가 프론트 서브레버 롤러(122)에 접촉하고, 프론트 서브레버(11B)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 프론트 서브레버(118)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에 의해,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로딩이 개시한다. 또, 이것과 거의 동시에, 연결 롤러(107)에 접촉하고 있는 리어 로딩 서브레버(10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킨다. 그 결과, 리어 로딩 서브레버(109)에 설치된 리어 로딩 서브레버 롤러(112)는 로딩 캠 131c에 접촉하고, 리어 로딩 서브레버(131)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시작한다. 이것에 의해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로딩을 개시한다. 즉, 앞날 구동 용수철(115), 앞날 보조 용수철(119), 및 뒷날 보조 용수철(132)은 거의 동시에 개시한다.
또, 로딩 레버(10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딩 캠 레버(105)의 캠 105b가, 후구동 레버(126)에 설치된 후구동 레버 롤러(130)에 접촉하고, 후구동 레버(12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후구동 레버(126)의 회전에 의해, 뒷날 구동 용수철(128)의 로딩을 개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로딩 동작 중의 부정 노광을 막기 위한 선막(11)과 후막(12) 사이에서 일정한 오버랩의 부분을 유지하면서 선막(11) 및 후막(12)을 촬영 준비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성을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 구성에 있어서, 선구동 레버(113)의 회전 개시보다, 후구동 레버(126)의 회전은 늦게 개시된다. 그 결과, 뒷날 구동 용수철(128)의 로딩은, 앞날 구동 용수철(115), 앞날 보조 용수철(119) 및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로딩 개시보다 늦게 개시된다.
다음에, 더욱더 로딩 레버(101)를 회전시키면, 선구동 레버(113)의 맞물림 가능부 113a가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의 맞물림부 123a와 맞물린다. 또, 더욱더 로딩 레버(101)를 회전시키면, 후구동 레버(126)의 맞물림 가능부 126a가 리어 클램핑 레버(135)의 맞물림부 135a와 맞물린다.
도 8은, 로딩 레버(101)가 스톱퍼(미도시)에 접촉하고, 선구동 레버 롤 러(117) 및 후구동 레버 롤러(130)가 각각 로딩 캠 레버(105)의 캠 탑(cam top) 105a' 및 105b'에 도달하는 오버로딩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상태에서는, 선구동 레버(113)의 맞물림 가능부 113a가,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의 맞물림 가능부 123a 위에 있고, 후구동 레버(126)의 맞물림 가능부 126a가 리어 클램핑 레버(135)의 맞물림부 135a 위에 있다. 즉, 도 8은, 선구동 레버(113), 프론트 서브레버(118), 후구동 레버(126), 및 리어 서브레버(131)가 각각 도 6에 나타낸 로딩 완료 위치(노광 개시 위치)보다 더 멀리 이동하는 오버로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이때, 프론트 서브레버(118)는, 선구동 레버(113)의 접촉부 113c로부터의 거리 1S에 위치되어 있고, 프론트 서브레버(131)는, 뒷날 구동 핀(129)으로부터의 거리 1A에 위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상태에서 카메라 본체의 동력 전달 부재(160)로부터의 동력의 공급을 종료하고, 로딩 레버(101)를, 앞날 보조 용수철(119)과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도 6에 나타낸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밀어내는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프론트 서브레버(118)의 로딩에 관한 프론트 로딩 서브레버(108)의 캠 108a의 형상과, 리어 서브레버(131)의 로딩에 관한 리어 서브레버(131)의 로딩 캠의 형상에 의해, 앞날 보조 용수철(119)과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바이어싱 힘은 로딩 레버(101)를 도 6에 나타낸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되밀치도록 작용한다.
 도 10은, 앞날 보조 용수철(119)과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로딩 레버(101)를 되밀치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에서, 선구동 레 버(113)에 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선구동 레버 롤러(117)가 로딩 캠 레버(105)의 캠 탑 105a'으로부터 제거되고, 후구동 레버(131)에 축을 중심으로 지지되는 후구동 레버 롤러(130)가 로딩 캠 레버(105)의 캠 탑 105b'으로부터 제거되어 있다. 이때, 선구동 레버(113)는, 앞날 구동 용수철(115)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프론트 클램핑 레버(123)와 맞물리는 로딩 완료 위치(노광 개시 위치)로 이동한다. 또, 후구동 레버(126)는, 뒷날 구동 용수철(128)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리어 클램핑 레버(135)와 맞물리는 로딩 완료 위치(노광 개시 위치)로 이동한다.
또, 프론트 서브레버(118)는 스페이스 1S만큼 오버로딩된 상태에 있고, 리어 서브레버(131)는 접촉부 131a가 후구동 레버(126)에 끼워 넣어진 뒷날 구동 핀(129)에 접촉하는 로딩 완료 위치(노광 개시 위치)로 이동한다.
도 10에서는, 도 9의 상태로부터 프론트 서브레버(118)가, 상술한 스페이스 1S만큼 이동하고, 선구동 레버(113)의 접촉부 113c에 접촉함으로써 로딩 완료 위치(노광 개시 위치)에 맞물린다. 즉, 프론트 서브레버(118)가 스페이스 1S만큼 변위할 때 생성된 앞날 보조 용수철(119)의 바이어싱 힘에 의해, 선구동 레버 롤러(117) 및 후구동 레버 롤러(130)가 모두 로딩 캠 레버(105)의 캠 탑 105a' 및 105b'로부터 제거된다.
본 실시 예에 있어서의 셔터의 노광 동작은, 선막(11)을 앞날 구동 용수철(115)과 앞날 보조 용수철(119)을 이용해 구동할 뿐만 아니라, 후막(12)을 뒷날 구동 용수철(128)과 뒷날 보조 용수철(132)을 이용해 구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따라서, 앞날 보조 용수철(119)과 뒷날 보조 용수철(132)의 바이어싱 힘을, 각각의 막 (블레이드)의 초기의 구동 단계 시에만 작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막(블레이드)의 이동의 시작 시에는, 강한 탄력(앞날 구동 용수철(115) + 앞날 보조 용수철(119), 뒷날 구동 용수철(128) + 뒷날 보조 용수철(132))를 사용해 막(블레이드)을 단시간에 소망의 막 속도에 도달시킬 수가 있다. 더욱, 소정의 막 속도가 도달된 후에는, 관성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큰 가속력을 필요로 하지 않고 비교적 약한 탄력(앞날 구동 용수철(115) 및 뒷날 구동 용수철(128))으로도 막 속도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상술한 구성의 오버로딩 가능한 셔터를 이용해서, 셔터 블레이드에 부착된 진애가 광학 필터에 부착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는 본 실시 예에 사용되는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설명 및 상기 설명한 도 8~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은, 기본적으로 셔터의 선막(11)과 후막(12)의 개폐동작을 수반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 오버로딩 동작은, 선막의 로딩 캠 레버(105)를 반시계 방향으로 약간 회전시키고, 이 약간의 회전 동작에 의해, 로딩 캠 레벨(105)에 의해 동작하는 선막(11)을 약간 진동시킬 수가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 선막(11)의 진동에 의해, 셔터의 선막(11)에 부착된 진애를 선막(11)으로부터 제거하는 동시에, 이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의 개시로부터 일정시간동안 셔터의 개폐 동작을 금지하고 있다. 그것에 의해, 선막(11)으로부터 제거되고 공중에 부유하고 있는 진애가 광학소자(21)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카메라(500)를 동작시키기 위해 사용된 전기적인 구성 을 설명한다.
도 12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500)의 카메라 시스템의 전기적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여기서 상술한 도면에서 설명한 부재와 같은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할당하고 있다. 물체 상의 촬상 및 기록에 관한 부분으로부터 설명을 시작한다.
이 카메라 시스템은, 촬상계, 화상 처리계, 기록/재생계, 및 제어계를 갖는다. 촬상계는, 촬영 광학계(511) 및 고체 촬상부(23)를 갖는다. 화상 처리계는, A/D 변환기(530), RGB 화상 처리회로(531), 및 YC 처리회로(532)를 갖는다. 또, 기록/재생계는, 기록 처리회로(533) 및 재생 처리회로(534)를 갖는다. 더욱, 제어계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제어기; 535), 조작 검출회로(536), 및 촬상 구동회로(537)를 갖는다. 참조번호 538은, 외부의 컴퓨터 등에 접속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규격 요건을 충족하는 접속 단자이다. 상술한 전기회로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로부터 전력을 공급을 받아 구동된다.
촬상계는, 물체로부터의 빛을, 촬영 광학계(511)를 통해서 고체 촬상부(23)의 촬상면에 결상시키는 광학 처리계이다. 이 촬영 광학계(511)에 설치된 조리개(512)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에 근거하고, 필요에 따라 포컬 플레인 셔터(10)를 셔터 제어회로(545)를 통해서 구동함으로써, 적절한 광량의 물체 빛을 고체 촬상부(23)로 수광시킬 수가 있다.
고체 촬상부(23)에 의해 판독된 신호는, A/D 변환기(530)를 통해서 화상 처리계에 공급된다. 이 화상 처리계에서의 화상 처리에 의해 화상 데이터가 생성된 다. A/D 변환기(530)는, 고체 촬상부(23)의 각 화소로부터 판독한 신호의 진폭에 따라, 예를 들면 고체 촬상부(23)의 출력 신호를 10비트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해 출력하는 신호 변환회로이며, 이후의 화상 처리는 디지털 처리로 실행된다. RGB 화상 처리회로(531)는, A/D 변환기(530)의 출력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 사용되는 신호 처리회로이며, 화이트 밸런스 회로, 감마 보정 회로, 및 보간 연산을 수행해 해상도를 증가시키는 보간 연산회로를 갖는다. YC 처리회로(532)는, 휘도 신호 Y 및 색차 신호(R-Y) 및 (B-Y)를 생성하는 신호 처리회로이다. 이 YC 처리회로(532)는, 고역 휘도신호 YH를 생성하는 고역 휘도신호 발생회로, 저역 휘도신호 YL를 생성하는 저역 휘도신호 발생회로 및, 색차 신호 (R-Y) 및 (B-Y)를 생성하는 색차신호 발생회로를 가지고 있다. 휘도신호 Y는, 고역 휘도신호 YH와 저역 휘도신호 YL를 합성함으로써 형성된다.
기록/재생계는, 메모리(미도시)에 화상 신호를 출력하고, 디스플레이 유닛(517)에 화상 신호를 출력하는 처리계이다. 기록 처리회로(533)는, 메모리에 화상 신호를 기록 및 판독하는데 필요한 처리를 수행하고, 재생 처리회로(534)는 메모리로부터 판독한 화상 신호를 재생해, 디스플레이 유닛(517)에 출력한다. 또, 기록 처리회로(533) 내에는, 정지 화상 데이터 및 동영상 데이터를 나타내는 YC 신호를 소정의 압축 형식으로 압축하는 것과 함께, 압축된 데이터를 신장시키는 압축/신 장회로가 있다. 압축/신장회로는, 신호 처리를 위한 프레임 메모리 등을 가지고 있어, 이 프레임 메모리에 화상 처리계로부터의 YC 신호를 프레임마다 축적하고, 복수의 블록의 각 블록으로부터 축적된 신호를 판독해 압축부호화한다. 이 압 축 부호화는, 예를 들면, 블록마다의 화상 신호를 2차원 직교변환, 정규화 및 허프만(Huffman) 부호화함으로써 행해진다.
재생 처리회로(534)는, 휘도신호 Y 및 색차 신호(R-Y) 및 (B-Y)를 매트릭스 변환하는, 예를 들면 RGB 신호로 변환하는 회로이다. 재생 처리회로(534)에 의해 변환된 신호는 디스플레이 유닛(517)에 출력되고, 가시 화상으로서 표시(재생)된다. 재생 처리회로(534) 및 디스플레이 유닛(517)은, 블루투스 등의 무선통신을 통해서 접속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이 카메라(500)로 촬상된 화상을 멀리 떨어진 위치로부터 모니터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어계에 설치된 조작 검출회로(536)는, 메인 스위치, 릴리즈 버튼, 및 모드 변환 스위치(미도시)를 이용해 행해진 조작을 검출하고, 이 검출결과를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출력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는, 마이크로 컴퓨터 등의 CPU(1200), CPU(1200)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하는 ROM(1201), 및 워크 에어리어(work area)로서 사용되고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RAM(1202)을 가지고 있다. 타이머(1203)는, CPU(1200)에 의해 지시된 시간의 경과를 측정하고, 인터럽트 등을 이용해 그 지시된 시간이 경과했다는 것을 CPU(1200)에 통지한다. 또, 이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는, 조작 검출회로(536)로부터의 검출 신호를 수신하면, 그 검출 결과에 대응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는, 촬상 동작을 수행할 때 이용되는 타이밍 신호를 생성하고, 그것을 촬상 구동회로(537)에 출력한다. 촬상 구동회로(537)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 고체 촬상부(23) 를 구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구동신호를 생성한다. 정보 표시회로(542)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 광학 뷰파인더(502)의 정보 표시유닛의 구동을 제어한다. 이 제어계는, 카메라(500)에 설치된 각종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촬상계, 화상 처리계, 및 기록/재생계의 구동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릴리즈 버튼(미도시)의 조작에 의해 SW2가 온이 되었을 경우, 제어계(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 535)는, 고체 촬상부(23)의 구동, RGB 화상 처리회로(531)의 동작, 및 기록 처리회로(533)의 압축처리 등을 제어한다. 더욱, 제어계는, 정보 표시회로(542)를 통해서 광학 뷰파인더 내의 정보 표시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광학 뷰파인더(502)에서의 표시(표시 세그먼트의 상태)를 변경한다.
다음에, 촬영 렌즈로 구성되는 촬영 광학계(511)의 초점 조절 동작에 관해서 설명한다.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는 AF 제어회로(540)에 접속되어 있다. 또, 렌즈 유닛(501)을 카메라(500)에 장착하는 경우,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는, 마운트 접점 513a 및 514a를 통해서 렌즈 유닛(501)의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541)에 접속된다. 또, AF 제어회로(540) 및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541)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와 특정의 처리 시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호 통신한다.
초점 검출유닛(567)은, 촬영 화면 내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초점 검출영역에서의 검출 신호를 AF 제어회로(540)에 출력한다. AF 제어회로(540)는, 이 초점 검출유닛(567)의 출력 신호에 근거해 초점 검출신호를 생성하고, 촬영 광학계(511)의 초점 조절 상태(디포커스 양)를 검출한다. 그리고, AF 제어회로(540)는, 그 검출 한 디포커스 양을 촬영 광학계(511)의 일부를 형성하는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으로 변환하고,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에 관한 정보를,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를 통해서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541)에 송신한다. 여기서, 이동하는 물체에 대해서 초점을 조절하는 경우, AF 제어회로(540)는, 릴리즈 버튼(미도시)을 완전히 누르고 나서 실제의 촬상 제어가 개시될 때까지의 타임 래그를 감안해, 포커스 렌즈의 적절 정지 위치를 예측한다. 그리고, 그 예측한 정지 위치까지의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에 관한 정보를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541)에 송신한다.
한편,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가, 고체 촬상부(23)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고, 물체의 휘도가 낮고 충분한 초점 검출 정밀도를 얻을 수 없다고 판정하면, 섬광 발광유닛(미도시), 카메라(500)에 설치된 백색 LED(미도시) 또는 형광관을 구동해 물체를 조명한다.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541)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 포커스 렌즈의 구동량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렌즈유닛(501) 내에 배치된 AF 모터(547)의 회전을 제어한다. 그 결과, 구동 기구의 도움으로 포커스 렌즈를 구동량만큼 광축 L1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촬영 광학계(501)를 포커스 내에 있게 할 수 있다. 또, 렌즈 시스템 제어회로(541)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 노출값(개구값)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렌즈 유닛(501)의 조리개 구동 액츄에이터(543)의 구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그 개구값에 대응하는 조리개 개구 직경이 되도록 조리개(512)를 동작시킨다.
또, 셔터 제어회로(545)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의 셔터 속도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의 전자기 구동부(35) 및 후막(12)의 전자기 구동부(36)를 제어한다. 이것에 의해, 그 지시된 셔터 속도로 선막(11) 및 후막(12)을 동작시킨다. 또, 구동부(37)를 동작시키는 것에 의해,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준비 동작으로서의 셔터 로딩을 수행한다. 더욱,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동작인 오버로딩도 이 구동부(37)를 이용해 수행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포컬 플레인 셔터(10) 및 조리개(512)의 동작은, 적절한 광량의 피사체 광을 고체 촬상부(23)의 고체 촬상소자 23b의 결상면에 입사시킬 수가 있다.
또, AF 제어회로(540)는 물체가 포커스 내에 있다는 것을 검출하면, 이 정보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송신된다. 이때, 릴리즈 버튼(미도시)을 완전히 눌러서 SW2가 온 상태가 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촬상계, 화상 처리계 및 기록/재생계에 의해 촬영 동작을 수행한다.
이하, 본 실시 예의 취지인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는 기구를 구비한 카메라(광학기기)의 동작을 도 13에 나타낸 플로차트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500)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의 ROM(1201)에 기억되어 있고, CPU(1200)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우선, 스텝 S100에서, 카메라(500)의 제어부의 모든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어, 클리닝(CLN) 모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여기서, 클리닝 모드가 지정되었다고 판단하면, 처리는 스텝 S101로 진행된다. 다른 한편, 클리닝 모드가 아 니라고 판단한 경우에는, 처리는 이전의 스텝 S100으로 돌아오고, 재차 클리닝 모드가 지정되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스텝 S101에서, 클리닝 모드로 이행하기 전에, 카메라(500)에 미리 설정되어 있는 셔터 속도, 개구값 등의 촬영 조건을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의 RAM(1202)에 기억하고, 이 처리는 스텝 S102로 진행된다. 스텝 S102에서는,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설치된 검출수단(미도시)을 이용해, 선막(11)의 모든 셔터 블레이드(11a~11d)가 닫히고 동작을 완료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만약 어떠한 원인으로 선막(11)이 완전하게 닫히지 않은 경우에는, 구동부(37)를 구동시켜 셔터 구동 레버(101)를 동작시켜 선막(11)을 닫는다. 그리고, 선막(11)의 모든 셔터 블레이드(11a~11d)가 닫히고 동작을 완료했다고 판정하면, 이 처리는 스텝 S103으로 진행된다.
클리닝 모드에서, 셔터의 선막(11)이 부주의하게 동작하면 셔터가 개방 상태가 되고, 광학소자(21)에 진애가 부착할 수도 있다. 이 때문에, 셔터의 선막(11)이 부주의한 오동작을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텝 S103에서는, 선막(11)의 구동을 개시시키는 앞날 코일의 통전을 금지한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S104로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오버로딩 동작을 실행하라는 명령을 셔터 제어회로(545)에 보낸다. 이 신호에 근거해, 셔터 제어회로(545)에 의해 구동부(37)가 구동된다. 여기에서는, 이미 로딩 상태에 있는 셔터에 대해서 구동 레버(160)를 회전시키는 것으로 셔터 오버로딩 동작을 실행시킨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S105로 진행되고, 이전의 스텝 S104에서 회전된 구 동 레버(160)의 동작을 앞날 레버(101)에 전달한다. 이 동작 시에, 이미 셔터는 로딩 상태 혹은 오버로딩 완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셔터의 로딩 완료 위치와 오버로딩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서 미소하게 왕복동작을 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 블레이드의 로딩이 필요 없고, 또 사전에 오버로딩의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오버로딩을 위한 블레이드 로딩도 필요 없다. 따라서, 구동 레버(160)의 힘을 모두 이 미소한 왕복동작을 위해 사용할 수 있어, 고속 왕복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106에서는, 스텝 S105에서 취득한 앞날 레버(101)의 미소 왕복동작을 선막(11)의 진동으로 변환한다. 즉, 스텝 S105에서 미소 왕복동작을 시킨 앞날 레버(101)는, 그 동력을 선막(11)에 전달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선막(11)은 셔터의 클로즈(close) 상태에서 전개되어, 개폐 동작에 의해서는 작용하지 않고, 더욱더 동력은 셔터를 닫기 위해 스톱퍼에 부딪치는 추가 힘으로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생긴 반동력이, 앞날 레버(101)와 연동하는 선막(11)에 전달되어, 각 셔터 블레이드(11a~11d)를 진동시킨다. 이 각 셔터 블레이드(11a~11d)의 진동에 의해,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탈락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S107로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설치된 타이머(1203)는 소정 시간을 계측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것은 스텝 S106에서, 선막(11)의 표면으로부터 떨어진 진애가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주위에서 공중에 부유하고 있으면서 선막(11)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때, 공중에 부유하고 있는 진애가 광학소자(21)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행해진다. 따라서, 이 소정시간은, 공중에 부유하고 있는 진애가 완전히 낙하해 주위에 표류하지 않 을 것으로 기대되는 시간으로 미리 설정된다. 구체적으로, 광학소자(21)의 표면에 진애가 부착한 경우에, 촬영 화상에 영향이 있다고 생각되는 그 진애의 크기를 기준으로, 진애가 낙하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계측하고, 그 시간에 근거해 상기 소정의 시간을 설정한다. 광학소자(21)의 표면에 진애가 부착한 경우에, 촬영 화상에 영향이 있는지 아닌지는, 광학소자(21)와 고체 촬상소자 23b 사이의 거리와, 고체 촬상소자 23b의 1화소의 크기 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이 소정시간은, 카메라의 기종마다 고유하게 설정되는 성질을 갖는다.
이렇게 함으로써, 스텝 S107에서, 선막(11)의 진동에 의해 진애가 완전히 낙하해 주위에 표류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린 후 스텝 S108로 진행되어, 클리닝 모드를 해제한다. 다음에, 스텝 S109에서, 디스플레이 유닛(517)에 클리닝 모드가 해제되었다는(혹은 클리닝 동작이 완료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후, 스텝 S110에서는, 스텝 S101에서 RAM(1202)에 기억된 촬영 조건 등을 판독해 카메라(500)에 재설정해서, 일련의 시퀀스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1 실시 예에 의하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앞날; 11)에 부착한 진애를, 추가 동력을 부가하는 일없이 제거할 수 있는 광학기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복잡한 셔터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릴리즈 타임 래그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고, 촬영시의 조작성에 악영향이 없다.
상술한 제 1 실시 예에서는, 셔터 구동부(37)의 동작에 의해, 앞날 구동 레버(101)를 이동시키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다. 이 실시 예는 선막(11)을 진동시키는 새로운 구성을, 새로운 부품의 추가 없이 실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구성 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셔터 로딩의 동작의 일부를 선막(11)에 전하고, 앞날 구동 레버(101)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구동부(37)의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을 이용해 선막(11)을 진동시키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1 실시 예에서는,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를 없애는 타이밍을, 클리닝 모드에 대하여 설정된 시간 동안 행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러한 전용의 클리닝 모드를 가질 필요는 없고, 임의의 타이밍에서 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해도 된다. 예를 들면, 그 시간에 외부로부터 진애가 침입하기 쉽기 때문에 촬영 렌즈를 교환할 때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을 실행해도 괜찮다. 또, 디지털 카메라의 전원을 투입할 마다, 또는 임의의 사용시간의 경과에 따라, 자동적으로 클리닝 모드로 들어가도록 구성해도 좋다. 이렇게 함으로써, 특수한 클리닝 모드를 설정하지 않아도,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실시 예]
도 14는,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는 기구를 장착한 카메라(500)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서 수행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시스템 제어회로(535)의 ROM(1201)에 기억되어 있고, CPU(1200)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이 제2 실시 예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구성은 전술한 제1 실시 예와 같고,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된 동작에만 차이가 있다는 점에 유념한다. 이 때문에, 공통의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이용해 설명한다.
이 제2 실시 예의 특징은,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을 여러 번 연속해 실시하는 점에 있다. 이것에 의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를, 보다 확실히 탈락시킬 수가 있다. 이하, 이 플로차트를 참조해 제2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있어서, 스텝 S200~S203까지의 동작은 전술의 도 13의 스텝 S10O~S103의 처리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204에서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오버로딩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셔터 제어회로(545)에 전달된다. 이 신호에 근거해 구동부(37)를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미 로딩 상태에 있는 셔터에 대해서 구동 레버(160)를 회전시키고, 셔터 오버로딩의 동작을 실행시킨다. 스텝 S205에서는, 스텝 S204에서 회전된 구동 레버(160)의 동작을 앞날 레버(101)에 전달한다. 이 동작에 의해, 이미 셔터는 로딩 완료 상태 혹은 오버로딩 완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셔터의 로딩 완료 위치와 오버로딩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서 미소하게 왕복동작을 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 블레이드의 로딩이 필요 없고, 또 사전에 오버로딩을 완료한 경우에는, 오버로딩을 위한 블레이드의 로딩도 필요 없다. 따라서, 구동 레버(160)의 힘을 모두 이 미소한 왕복 동작에 대해서 이용할 수가 있어, 고속의 왕복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206에서는, 스텝 S205에서 얻은 앞날 레버(101)의 미소 왕복동작을 선막(11)의 진동으로 변환시킨다. 즉, 스텝 S205에서 미소 왕복동작을 시킨 앞날 레버(101)는, 그 동력을 선막(11)에 전달한다. 여기서, 이미 선막(11)은 클로즈 상태에 있고, 개폐 동작에 의해서는 작용하지 않으며, 더욱 셔터를 닫기 위해 스톱퍼에 부딪치는 추가 힘으로서 동력이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생긴 반동력은, 앞날 레버(101)와 연동하는 선막(11)에 전달되고, 셔터 블레이드 11a~11d를 진동시킨다. 이 셔터 블레이드 11a~11d의 진동에 의해,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탈락시킬 수 있다.
다음에, 스텝 S207에서는, 상기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이 소정회수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 제2 실시 예는,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 오버로딩 동작을 소정회수(예를 들면 3회) 반복해 실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강하게 부착된 진애도, 보다 확실히 선막(11)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점이 제1 실시 예와는 다르다.
이렇게 해서, 소정회수의 오버로딩 동작이 완료하면, 이 처리는 스텝 S208로 진행되고,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설치된 타이머(1203)로 소정시간 계측이 행해진다. 이것은, 스텝 S206에서 셔터 블레이드(11)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 진애가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주위에서 공중에 부유하고 있는 중에 선막(11)의 개폐 동작을 수행할 때, 그 진애가 광학소자(21)의 표면에 부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행해진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S209로 진행되고, 이 프로그램은, 스텝 S208에서의 선막(11)의 진동에 의해 진애가 완전히 낙하해, 진애가 주위에 표류하지 않을 때까지 기다려, 클리닝 모드를 해제한다. 이것과 동시에, 스텝 S210에서, 디스플레이 유닛(517)에 클리닝 모드가 해제되었다는(혹은 클리닝 동작이 완료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후, 스텝 S211에서는, 스텝 S201에서 RAM(1202)에 기억한 촬영 조건 등을 판독해 카메라(500)에 재설정해서, 일련의 시퀀스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2 실시 예에 의하면,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를, 추가 동력을 부가하는 일없이 보다 확실히 제거할 수 있는 광학기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복잡한 셔터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릴리즈 타임 래그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고, 촬영시의 조작성에 악영향이 없다.
이 제2 실시 예에서는, 셔터 구동부(3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작의 반복 회수를 미리 정한 회수로 했다는 점에 유념한다. 그러나 이 회수는, 임의의 회수로 설정하도록 해도 괜찮다.
또, 전술의 제1 실시 예와 같이, 이 제2 실시 예는, 선막(11)을 진동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새로운 구성부품의 추가 없이 본 발명을 실현하는 구성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실시 예는, 오버로딩 동작의 일부를, 직접 선막(11)에 전하도록 구성해도 괜찮다.
[제3 실시 예]
도 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카메라(500)의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이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시스템 제어회로(535)의 ROM(1201)에 기억되어 있고, CPU(1200)의 제어 하에 실행된다. 이 제3 실시 예에 있어서의 카메라(500)의 구성은 전술의 제1 실시 예와 같고,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 수행되는 동작에만 차이가 있다. 이 때문에, 공통의 구성에 관해서는, 동일한 번호를 이용해 설명한다.
제3 실시 예는,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 후에, 주 미러(505)를 동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를,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을 수행해 탈락시킨 후, 확실히 광학소자(21)로부터 멀리 진애를 이동시켜 배출할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하다. 이하, 이 플로차트를 참조해, 제3 실시 예의 디지털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에 있어서, 스텝 S300~S303까지의 동작은 전술의 도 13의 스텝 S10O~S103의 동작과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스텝 S304에서는, 카메라 시스템 제어회로(535)로부터 포컬 플레인 셔터(10)의 오버로딩을 수행하라는 명령이 셔터 제어회로(545)에 전달된다. 이 신호에 근거해 구동부(37)를 구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이미 로딩 상태에 있는 셔터에 대해서 구동 레버(160)를 회전시킴으로써 셔터 오버로딩 동작을 수행한다.
다음에, 제어처리가 스텝 S305로 진행되고, 이전의 스텝 S304에서 회전된 구동 레버(160)의 동작을, 앞날 레버(101)에 전달한다. 이때, 이미 셔터는 로딩 완료 상태 혹은 오버로딩 완료 상태에 있기 때문에, 셔터의 로딩 완료 위치와 오버로딩 완료 위치와의 사이에서 미소하게 왕복동작을 개시한다. 이 상태에서는, 셔터 블레이드의 로딩이 필요 없다. 또, 사전에 오버로딩 동작이 완료한 경우에는, 오버로딩을 위한 블레이드 로딩도 필요 없기 때문에, 구동 레버(160)의 힘을 모두 이 미소한 왕복 동작을 위해 사용할 수 있어, 고속의 왕복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스텝 S306에서는, 스텝 S305에서 취득한 앞날 레버(101)의 미소 왕복 동작을 선막(11)의 진동으로 변환시킨다. 즉, 스텝 S305에서 미소 왕복동작을 시킨 앞날 레버(101)는, 그 동력을 선막(11)에 전달한다. 여기서, 선막(11)은 이미 클로즈 상태에 있고, 개폐 동작에 의해서는 작용하지 않으며, 더욱 이 동력은 셔터를 닫기 위해 스톱퍼에 부딪치는 추가 힘으로서 전달된다. 이것에 의해 생긴 반동력이, 앞날 레버(101)와 연동하는 선막(11)에 전달되고, 각 셔터 블레이드 11a~11d를 진동시킨다. 이 각 셔터 블레이드 11a~11d의 진동에 의해,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탈락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S307로 진행되고, 선막(11)의 바로 앞에 배치된 주 미러(505)를 윗쪽으로 회전시킨다. 이것은, 스텝 S306의 선막(11)의 진동에 의해 탈락한 진애를 광학소자(21)로부터 멀리 이동시키기 위한 유효한 동작이다. 통상, 이러한 주 미러(505)의 회전동작에 의해, 선막(11)의 앞에 있는 스페이스에는 순간적으로 감압이 일어난다. 이 감압된 스페이스에, 탈락한 진애를 적정 시간에 이끄는 것으로, 선막(11)으로부터 탈락한 진애를 광학소자(21)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결과, 새로운 부재를 추가하는 일 없이 현재의 기구를 이용해 선막(11)으로부터 떨어진 진애를 효율적으로 광학소자(21)로부터 멀리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308로 진행되고, 주 미러(50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그것을 뷰파인더(502)로 빛을 안내하는 광로로 복귀시킨다. 이것은, 선막(11)으로부터 낙하시킨 진애를 처음에 선막(11)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킨 후, 재 차, 선막(11)의 방향으로 날아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진애가 역류하지 않게 소정 시간이 경과한 후에 행해진다. 다음에, 이 처리는 스텝 S309로 진행되고, 상기 셔터의 오버로딩 동작이 소정회수 반복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와 같이, 제3 실시 예는, 상술의 제2 실시 예와 같이 포컬 플레인 셔터(10)에 부착한 진애를 제거하기 위해 오버로딩 동작을 소정회수 반복해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소정회수의 오버로딩 동작을 반복한 후, 이 처리는 스텝 S310로 진행된다. 스텝 S310에서는, 프로그램은, 스텝 S309에서의 선막(11)의 진동에 의해 진애가 완전하게 낙하해 주 미러(505)의 도움으로 광학소자(21)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완전하게 이동할 때까지 기다리고, 클리닝 모드를 해제한다. 다음에, 스텝 S311에서, 디스플레이 유닛(517)에 클리닝 모드가 해제되었다는(혹은 클리닝 동작이 완료한) 취지의 메시지를 표시한다. 그 후, 이 처리는 스텝 S312로 진행되고, 스텝 S301에서 RAM(1203)에 기억한 촬영 조건 등을 판독해 카메라(500)에 재설정해서, 일련의 시퀀스를 종료한다.
이상 설명한 것처럼, 제3 실시 예에 의하면,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를, 추가 동력을 부가하는 일 없이 제거할 수 있는 광학기기를 제공 할 수 있다.
또, 복잡한 셔터 동작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릴리즈 타임 래그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지 않아, 촬영시의 조작성에 악영향이 없다.
더욱, 제3 실시 예에서는, 셔터 구동부(37)를 동작시킴으로써, 포컬 플레인 셔터의 선막(11)에 부착한 진애의 대부분을 제거할 수 있음과 동시에, 낙하한 진애 를 광학소자(21)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시킬 수가 있다. 이 때문에, 진애의 재부착을 억제할 수 있고, 클리닝 효과를 길게 지속시킬 수 있다.
제3 실시 예는, 선막(11)의 진동과 연동해, 주 미러(505)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해야 한다는 점에 유념해야 한다. 그러나, 매회 미러 회전을 수행하는 것은 번잡하기 때문에, 선막(11)의 진동 동작을 소정회수 반복한 후에, 주 미러(505)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제1 실시 예의 경우와 같이, 선막(11)의 진동에 근거해 진애를 낙하시키는 처리를 한 번만 실행함으로써, 한 번만 주 미러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제3 실시 예는, 제1 실시 예와 같이, 선막을 진동시키는 새로운 구성부품과, 진애를 광학소자(21)의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수단을, 새로운 부품을 추가하는 일 없이 실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그러나, 셔터 로딩의 동작의 일부를 직접 선막(11)에 전하기 위한 구성부품을 추가해도 되고, 진애를 다른 방향으로 이끄는 부분을 새롭게 설치해도 된다.
본 발명은 예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 예시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의 청구항들의 범위는 그러한 모든 변형과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특별한 동력원을 요구하는 일없이, 셔터에 부착된 이물을 없앨 수 있다.

Claims (8)

  1.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제어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구동수단을 이용해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복수 회 반복해서 진동 구동시키는 진동 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수단에 의한 진동 구동 후, 소정시간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의 개폐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광축을 따라 설치된 미러와,
    상기 미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미러 회전수단과,
    상기 진동 제어수단에 의한 진동 구동 후, 상기 미러 회전수단을 이용해 상기 미러를 회전시키는 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제어수단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용수철을 로딩 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의 도움으로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
  5. 피사체의 광학 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소자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제어하는 포컬 플레인 셔터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구동수단을 구비한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 제거방법으로서,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가 상기 광전변환소자에의 빛의 입사를 차단하고 있는 상태를 유지한 채로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복수 회 반복해서 진동 구동시키는 진동공정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공정에서의 진동 구동 후, 소정시간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의 개폐 동작을 금지하는 금지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광전변환소자에 입사하는 빛의 광축을 따라 설치된 미러를 회전 구동시키는 미러 회전공정과,
    상기 진동공정에서의 진동 구동 후, 상기 미러 회전공정에서 상기 미러를 회전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공정은, 상기 포컬 플레인 셔터를 구동하는 용수철을 로딩하도록 구동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KR1020070036761A 2006-04-18 2007-04-16 광학기기 및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KR100844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15010A JP4942155B2 (ja) 2006-04-18 2006-04-18 光学機器および光学機器の制御方法
JPJP-P-2006-00115010 2006-04-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03303A KR20070103303A (ko) 2007-10-23
KR100844974B1 true KR100844974B1 (ko) 2008-07-09

Family

ID=3826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6761A KR100844974B1 (ko) 2006-04-18 2007-04-16 광학기기 및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26889B2 (ko)
EP (1) EP1848201B1 (ko)
JP (1) JP4942155B2 (ko)
KR (1) KR100844974B1 (ko)
CN (1) CN100529940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65788B2 (en) * 2003-02-07 2008-04-29 Olympus Corporation Imager apparatus
US20080193120A1 (en) * 2007-02-06 2008-08-14 Nikon Corporation Digital camera
JP4810458B2 (ja) * 2007-02-16 2011-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US20090245780A1 (en) * 2008-03-27 2009-10-01 Kun-Feng Chiang Shutter device
JP5264302B2 (ja) * 2008-06-09 2013-08-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1477536B1 (ko) * 2008-07-31 2014-12-30 삼성전자주식회사 포컬 플레인 셔터, 이를 구비하는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KR101710631B1 (ko) * 2010-12-23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손 떨림 보정 모듈을 구비하는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5991780B2 (ja) 2012-06-15 2016-09-1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撮像装置、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15111251A (ja) 2013-11-06 2015-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撮像装置
JP6295091B2 (ja) * 2014-01-29 2018-03-14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羽根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5976142B2 (ja) * 2014-03-28 2016-08-23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カメラ
JP6415853B2 (ja) * 2014-05-23 2018-10-3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光調節装置
TW201626089A (zh) * 2015-01-07 2016-07-16 佳世達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機及清除色輪模組之灰塵的方法
CN107045251B (zh) * 2017-05-16 2022-08-19 中国科学院西安光学精密机械研究所 一种空间相机主动制冷真空密封焦面组件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7702537L (sv) * 1977-03-07 1978-09-08 Aga Ab Forfarande och anordning for att rengora en lutande eller vertikal yta pa ett optiskt element
JPH06121275A (ja) * 1992-10-06 1994-04-28 Nikon Corp スチルカメラ
JP3584270B2 (ja) 1995-02-01 2004-11-04 株式会社ニコン シャッタ装置
JP3576703B2 (ja) 1996-07-05 2004-10-13 キヤノン電子株式会社 シャッター装置
JPH1052697A (ja) 1996-08-09 1998-02-24 Ebara Corp 有機性汚泥の減量化方法
US6775361B1 (en) * 1998-05-01 2004-08-10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playback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video camera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H11326993A (ja) * 1998-05-20 1999-11-2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4384284B2 (ja) * 1999-03-16 2009-1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JP4282226B2 (ja) * 2000-12-28 2009-06-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カメラ
US7486326B2 (en) * 2000-12-28 2009-02-03 Olympus Corporation Optical apparatus having dust off function
US7215372B2 (en) 2002-05-17 2007-05-08 Olympus Corporation Optical apparatus having dust off function
US6726381B2 (en) * 2001-05-15 2004-04-27 Nidec Copal Corporation Focal-plane shutter for cameras
US7492408B2 (en) * 2002-05-17 2009-02-17 Olympus Corporation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with anti-dust function
JP4005423B2 (ja) * 2002-06-24 2007-11-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撮像装置
JP4098120B2 (ja) * 2003-02-28 2008-06-11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撮像装置
JP2004260615A (ja) * 2003-02-26 2004-09-16 Canon Inc 撮像装置
JP4328260B2 (ja) * 2004-04-21 2009-09-0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デジタル一眼レフレックス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48201B1 (en) 2015-12-30
US7726889B2 (en) 2010-06-01
JP4942155B2 (ja) 2012-05-30
EP1848201A2 (en) 2007-10-24
EP1848201A3 (en) 2010-01-06
CN100529940C (zh) 2009-08-19
KR20070103303A (ko) 2007-10-23
JP2007286443A (ja) 2007-11-01
CN101059641A (zh) 2007-10-24
US20070242950A1 (en) 2007-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4974B1 (ko) 광학기기 및 광학기기로부터의 이물제거방법
US783044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4819575B2 (ja) 撮像装置
EP1648164B1 (en) Image capture apparatus
US7876372B2 (en) Digital camera method therefor for initiating dust removal operations responsive to live view operation states
EP1650957B1 (en) Optic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50104997A1 (en) Lens replacement type imaging apparatus, control apparatus, cleaning apparatus, and cleaning method
JP2008053843A (ja) 動画記録可能なデジタルカメラ
US20070280673A1 (en) Lens-interchangeable digital camera
JP2005292404A (ja) アクセサリ装置
JP2007206640A (ja) 一眼レフカメラ及び撮像ユニット
JP2007324794A (ja) 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JP2006293036A (ja) 光学機器及び当該光学機器における異物除去方法
JP4630723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JP200801710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7080723B2 (ja) 撮像素子シフト装置および撮像装置
JP2007110550A (ja) 撮像装置
JP4795286B2 (ja) 撮像装置
JP2007324795A (ja) 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JP2006058498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10130079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09270A (ja) レンズ交換式デジタルカメラ
JP2008011359A (ja) 撮影装置
JP2008004994A (ja) デジタルカメラ
JP2008004995A (ja) ミラー装置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