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43858B1 - El 소자 - Google Patents

El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43858B1
KR100843858B1 KR1020060078286A KR20060078286A KR100843858B1 KR 100843858 B1 KR100843858 B1 KR 100843858B1 KR 1020060078286 A KR1020060078286 A KR 1020060078286A KR 20060078286 A KR20060078286 A KR 20060078286A KR 100843858 B1 KR100843858 B1 KR 100843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ergy
stabilizing
energy state
triplet
exc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78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4369A (ko
Inventor
헤이크 이 리엘
틸만 에이 베이어레인
월터 헤인리츠 리에스
지그프리드 에프 카르그
브라이언 크론
피터 뮤엘러
비트 루스탈러
산토스 에프 알바라도
Original Assignee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24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4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3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3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10K50/171Electron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애노드, 홀 주입층, 방사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층, 전자 주입층 및 캐소드를 차례로 포함하는 EL 소자(a electro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다. 발광층은 에너지 밴드갭이 방사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안정화 물질을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EL 소자{STABILITY ENHANCEMENT OF OPTO-ELECTRONIC DEVICES}
도 1은 유기 EL 소자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전형적인 에너지 레벨 및 에너지 전이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안정화 효과(stabilizing effect)로 인한 에너지 전이 및 에너지 레벨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면은 도시하기 위해서만 제공되므로 본 발명의 예시를 반드시 실제 크기대로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 개략적인 도면을 예시로서만 참조하여 이하에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L 소자 2 : 애노드
4 : 홀 주입층 6 : 발광층
7 : 방사 물질 8 : 안정제
9 : 전자 주입층 10 : 캐소드
본 발명은 EL 소자(a electroluminescent device)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소자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와 같은 EL 소자의 발광에 대한 기본 메커니즘은 여기(excited) 에너지 상태를 효과적인 낮은 상태로 발광 재결합하는 것이다. 여기 에너지 상태는 처음에 양전하 캐리어와 음전하 캐리어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고, 잠재적으로 예컨대, 여기자 확산, 포에스터(Foerster) 전이, 덱스터(Dexter) 전이 등을 통해 원래의 여기 에너지 상태에서 다른 여기 에너지 상태로의 에너지 전이가 발생할 수 있다. 양전하 캐리어와 음전하 캐리어의 결합은 2가지 유형의 여기(excitation), 즉 단수명 단일항(short-lived singlet)(S) 및 장수명 삼중항(long-lived triplet)(T)을 형성한다. 이들 여기의 바람직한 발광 재결합 외에도, 이에 필적하는 비발광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Pergamon Press, Electrical Transport in Solids, p. 470ff에서 Kao 및 Hwang이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여기 에너지 상태가 겪을 수 있는 다양한 전이 프로세스가 존재한다. 특히, 예컨대 S1+S1, T1+T1, S1+T1과 같은 2개의 여기 에너지 상태의 결합은 S1 *, T1 *, T2, T2 * 등과 같이 높은 여기 에너지 상태를 야기한다. 이러한 여기 에너지 상태 내의 분자는 점점 불안정해져서 분해하거나 화학 반응을 초기화 하기 쉽다. 여기 에너지 상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결합 사건의 발생 가능성이 더욱 커진다. 그러므로, 여기 에너지 상태의 결합은 현저한 성능 저하 메커니즘이 될 수 있다.
홀-전자(hole-electron) 재결합을 지속하는 유기 호스트 물질(an organic host material) 및 홀-전자 재결합에 의해 방출된 에너지에 응답하여 발광할 수 있는 형광 물질로 만들어진 1㎛ 미만의 발광 영역을 갖는 발광 소자가 미국 특허 제 4,769,292 호에 설명된다. 단일항 여기자 발광만이 사용되므로 이러한 벌크-발광 소자는 효율이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단일항 여기자에 비해 3배나 빈번하게 형성되는 장수명 삼중항 여기자는 이용되지 않거나 비활성화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것은 소자의 성능 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알려진 OLED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유기층 도핑을 수행하여 유기 발광 소자의 색 순도(color purity) 및 효율을 개선한다. 이들 도핑된 OLED 시스템에서, 도펀트(dopant)의 에너지 레벨은 유기 호스트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bandgap) 내에 존재한다. 이는 호스트 물질로부터 도펀트로의 효율적인 여기자 에너지 전이를 허용한다. 원래, 단일항 여기자(S1)를 주로 이용하는 도펀트로서 형광 염료가 사용되었다. 그러나 삼중항 여기자가 비활성화되지 않으므로, 소자의 성능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최근에, 단일항(S1) 여기자와 삼중항(T1) 여기자를 모두 사용하는 발광(luminescent) 또는 형광 염료가 이용되고 있다. 높은 시작 효율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삼중항을 이용하는 소자의 시간에 따른 효율 감소는 여전히 현저하 다. 또한, 이들 염료를 사용하는 소자는 삼중항-삼중항 소멸(triplet-triplet annihilation) 때문에 동작 전류가 증가하면서 효율이 감소하는 것을 겪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성능 저하율이 감소하고 효율은 증가하는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측면에 따르면, OLED와 같은 유기 전자 소자와 무기 전자 소자 및 광전자 소자의 수명이 증가한다. 유기 및 무기 소자의 수명 및 안정성은 활성 영역으로도 지칭되는 발광층의 호스트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물질을 추가함으로써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소자의 효율, 특히 형광 염료를 사용하는 소자의 효율이 증가한다.
안정제로 지칭되며 호스트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물질의 추가로 인해 발광층의 방사 또는 전이 특성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이 적거나 없이 수명 및 안정성이 개선된다. 안정제가 동작 동안 활성인 호스트 물질 내의 여기 에너지 상태 상호 작용에 의해 생성되는 높은 에너지 여기를 비활성화하기 때문에 안정화가 일어난다. 그러므로, 여기로 인한 광화학과 같은 성능저하 메커니즘이 감소하여, 예컨대 호스트 물질과 같은 유기 물질의 보다 높은 장기(long-term) 안정성이 생긴다. 또한, 부가적인 안정제는 비활성화된 여기의 에너지 중 일부를 리사이클링하여 염료 분자가 될 수 있는 호스트 물질에 여기 에너지를 재전이한다. 그러므로, 효율이 증가한다.
이러한 개념은 소-분자 호스트 물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폴리머, 유기/무기 하이브리드 구조뿐만 아니라 소-분자가 추가된 폴리머를 포함하는 호스트 물질에 보다 일반적으로 적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애노드, 홀 주입 및 전달층, 방사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층, 전자 전달 및 주입층 및 캐소드를 차례로 포함하는 EL 소자가 제공된다. 발광층은 방사 물질의 여기 에너지 상태의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는 안정화 물질을 더 포함한다. 이 안정화 물질은 방사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다. 또한 전자 친화력(elctron affinity)으로도 지칭되며 방사 물질의 환원 전위보다 적거나 동일한 음의 값인 환원 전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발광층은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물질로 인해 향상된다. 이는 안정화 물질을 추가함으로써 달성된다.
EL 소자에서, 발광은 전자 및 홀 주입을 지속하는 호스트 물질과 홀-전자 재결합에 응답하여 발광할 수 있는 발광 게스트 물질을 포함하는 발광 영역에서 발생한다. 안정화 물질을 추가 게스트 물질로 도입함으로써 성능저하율이 감소한다. 추가 게스트 물질로서 안정제로도 지칭되는 이 안정화 물질은 방사 물질 또는 호스트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가지도록 선택된다. 이것은 방사 물질 또는 호스트 물질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작은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발광 게스트 물질을 사용하는 종래의 OLED와 상반된다. 안정화 물질의 큰 밴드갭은 방사 물질의 여기 상태를 위한 바람직한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잠재적으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되는 여기 에너지 상태가 빠르게 감소하여 화학적 성능저하 반응 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안정화 물질로 전이되었던 여기 에너지 상태는 방사 물질에 추가로 재전이되는데, 이는 에너지의 일부를 리사이클링하는 것과 같다. 또한, 안정화 물질의 여기 에너지 상태 자체는 재결합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안정화 물질 자체는 시간에 따른 안정화 성능의 소비량에 해당하는 소정의 확률만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더 나은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예컨대 안정제는 자신의 에너지 레벨과 게스트/호스트 물질의 여기 상태를 가장 바람직하게 생성하는 에너지 레벨을 일치시킴으로써 발광층 내의 게스트/호스트 물질의 광학 및 전자 특성에 적합할 수 있다.
방사 물질은 넓은 범위의 물질에서 선택될 수 있는 유기 호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방사 물질은 발광의 발생을 허용하는 발광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안정화 물질은 카바졸(carbazole), 스틸빈(stilben), 플루오렌(fluorene), 페난트렌(phenanthrene) 및 올리고-페닐(oligo-phenyl)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의 물질을 포함하므로, 여러 가지 적절한 물질에서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기본적인 선택 기준은 분자가 실온에서 고체를 형성하고 그것의 단일항 및 삼중항 에너지 상태가 발광 물질의 에너지 상태보다 높다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안정화 물질은 카바졸 바이페닐(carbazole biphenyl)(CBP)이나 4, 4'-N, N'-다이카바졸-바이페닐(dicarbazole biphenyl)과 같은 유도체 중 임의의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안정화 물질은 단일항 및 삼중항 에너지 상태가 충분히 높다는 것 이외에 유리 전이 온도가 비교적 높다는 장점이 있으므로, 이 안정화 물질을 추가함으로써 소자의 전체 유리 전이 온도를 낮추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킨다. 안정화 물질은 충분한 화학적 안정성과 함께 단일항 및 삼중항 에너지 상태가 충분히 높다는 장점이 있는 p-터페닐(p-terphenyl)이나 p-쿼터페닐(p-quarterphenyl) 또는 이것의 유도체 중 임의의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트라이페닐렌(triphenylene)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발광층 내에서 안정화 물질이 1 중량 퍼센트 내지 10 중량 퍼센트의 농도로 제공되면, 소자가 한편으로는 효율 및 물질 성능저하 개선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안정성 및 신뢰성 사이의 절충을 바람직한 방식으로 제시한다는 장점이 생긴다. 방사 물질의 몰수(mole)에 기초하여 10-3 내지 20 몰 퍼센트의 농도의 안정화 물질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안정화 물질이 방사 물질의 여기 에너지 상태의 에너지를 수용하는 영역을 제공하도록 선택되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소자가 제공될 수 있으므로 특히 이롭다.
도 1은 EL 소자(1)로서 도시된 광-전자 소자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소자(1)는 애노드(2), 홀 주입층(4), 방사 물질(7)을 포함하는 발광층(6), 전자 주입층(9) 및 캐소드(10)를 차례로 포함한다. 방사 물질(7)은 단일 유기 물질 또는 호스트 물질 및 발광(게스트 또는 도펀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호스트 물질로 트라이스-(8-하이드록시-퀴놀리나토)-알루미늄(tris-(8-Hydroxy-quinolinato)-aluminum(Alq))을, 게스트 물질로 루브렌(rubrene)을 사용할 수 있다. 발광층(6) 은 방사 물질(7)의 높은 여기 에너지 상태의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는 안정화 물질(8) -여기서 안정제(8)로 지칭- 을 더 포함한다. 안정화 물질(8)은 방사 물질(7)의 에너지 밴드갭 -제 1 에너지 밴드갭으로 지칭- 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 -제 2 에너지 밴드갭으로 지칭- 및 방사 물질(7)보다 음전하가 적거나 동일한 환원 전위(reduction potential)를 갖는다. 애노드(2) 및 캐소드(10)에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광층(6)은 복수의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전자 주입층(9) 및 캐소드(10)를 통해 외부로 발광한다.
도 2는 삼중항-삼중항 소멸로도 알려져 있는 유기 물질 내의 T1+T1 결합(fusion) 프로세스의 예에 대한 전형적인 에너지 레벨 및 에너지 전이를 도시한다. S0은 기저 에너지 상태를 나타낸다. S1은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이다. T1은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이다. T2는 제 2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를 나타낸다. S1 *과 T1 *은 각각 S1 에너지 상태 및 T1 에너지 상태의 전자진동(vibronic) 레벨이다. 2T1은 두 T1 에너지 상태가 결합된 가상 에너지 상태를 나타낸다.
도면에서 화살표로 나타낸 것처럼, T1 에너지 상태에 존재하는 2개의 분자의 결합으로 한 분자는 에너지 상태(S1 *, T1 * 또는 T2) 중 하나에 이르지만, 다른 분자는 기저 에너지 상태(S0)에 존재한다.
유기 분자는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 또는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 중 하 나를 가질 수 있다. 유기 LED에서,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는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보다 안정적인 특성을 갖지만 이들의 완화(relaxation)가 발광에 기여하지 않으므로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의 존재는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므로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는 OLED의 발광 효율을 감소시킨다. 이들의 수명 때문에, OLED 물질 내의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의 비율이 시간에 따라 감소하므로 OLED 효율도 계속해서 감소한다. 낮은 에너지 상태로 완화하는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의 대안은 발광하지 않는 상이한 물질로의 화학 변화로서, 이것도 OLED 효율을 악화시킨다.
도 2는 삼중항-삼중항 소멸이 상술한 바람직하지 않은 삼중항 에너지 상태인 T1 * 에너지 상태나 T2 에너지 상태 또는 단일항 에너지 상태인 S1 * 에너지 상태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발광하면서 완화할 수 있음을 도시한다.
도 3은 발광층(6) 내의 분자가 S1 *, T1 *, T2 에너지 상태 중 하나에 존재하는 경우에 안정화 효과로 인한 에너지 레벨 및 에너지 전이를 도시한다. 호스트 또는 게스트 분자 또는 물질로도 지칭되는 방사 물질(7)의 분자에 대한 가능한 에너지 상태는 도 3의 좌측에 도시되는 한편, 안정제 분자로도 지칭되는 안정화 물질(8)의 분자의 에너지 상태는 도 3의 우측에 도시된다. 안정화 물질(8)의 분자는 방사 물질(7)의 분자의 다양한 에너지 상태로부터 에너지를 수용할 수 있다.
도 2의 우측에 나타낸 삼중항-삼중항 소멸에 기인할 수 있는 에너지 상 태(S1 *, T1 *, T2) 중 하나에 존재하는 호스트 분자는 안정화 분자의 에너지 상태(S1, T1)를 찾아서 에너지 전이를 수행한다. 예컨대, 호스트 분자(7)의 전자진동 에너지 상태(S1 *)는 안정제(8)의 비전자진동 단일항 에너지 상태(S1)로 에너지를 전이하고, 이후에 안정제(8)의 비전자진동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는 발광하지 않으면서 기저 에너지 상태(S0)로 완화할 수 있다. 호스트 물질(7)의 제 2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2)는 안정제(8)의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로 에너지를 전이할 수 있다.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는 전형적으로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보다 낮은 에너지를 갖는 여기 에너지 상태이다. 만일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 내의 분자가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라면, 통상적으로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도 안정적이다.
안정제(8)를 추가 게스트 물질에 도입함으로써 성능저하율이 감소한다. 이 안정제(8)는 호스트 물질, 즉 방사 물질(7)의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에너지 밴드갭을 갖도록 선택된다. 방사 물질(7)의 여기 에너지 상태(S1 *, T1 *, T2 , T2 * 등)로부터 에너지를 수용하는 바람직한 영역인 추가 게스트 물질(8)의 큰 에너지 밴드갭은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 또는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를 방사 물 질(7)에 공급한다. 방사 물질(7)의 삼중항-삼중항 소멸에 기인하는 여기 에너지 상태는 잠재적으로 성능저하의 원인이 되므로, 빠르게 감소시킴으로써 화학적인 성능저하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안정제(8)에서의 에너지 전이에 의해 생성되었던 여기 에너지 상태(S1 또는 T1)는 방사 물질(7) -예컨대,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 로 에너지를 재전이함으로써 추가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 전이는 에너지 중 일부의 리사이클링과 같다. 또한, 새롭게 생성된 안정제(8)의 여기 에너지 상태 자체는 재결합 프로세스를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안정제(8) 자체는 시간에 따른 안정화 성능의 감소와 동일한 소정의 확률만큼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안정제(8), 즉 높은 여기 에너지 상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영역을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선택하기 위해서, 안정화 물질과 방사 물질(7)을 연관시키는 것을 필요로 한다. 관련된 관계는 에너지 밴드갭과 환원 전위이다.
1. 안정제(8)의 제 2 에너지 밴드갭은 방사 물질(7)의 제 1 에너지 밴드갭과 동일하거나 커야한다. 이것은 안정제(8)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와 기저 에너지 상태(S0) 사이의 간격이 호스트 물질(7)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와 이것의 기저 에너지 상태(S0) 사이의 간격보다 큼을 의미한다. 이로써 호스트 물질(7)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로부터의 에너지 전이는 안정제(8)의 바람직한 발광 완화 효율이 감소하지 않도록 가중된다. 안정제(8)의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와 기저 에너지 상태(S0) 사이의 간격도 호스트 물질(7)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와 이것의 기저 에너지 상태(S0)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2. 또한,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 또는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의 결합 에너지로 이루어진 가상 에너지 상태보다 높아서는 안 된다 -즉, S1(안정제) 또는 T1(안정제)은 2T1(호스트 물질)보다 작거나 동일함- . 이는 방사 물질(7)의 삼중항-삼중항 소멸로 인한 결과적인 에너지 상태(S1 *, T1 *, T2 , T2 *) 중 어느 것으로부터 안정제(8)의 에너지 상태 중 하나로의 에너지 전이를 용이하게 한다.
3. 안정제(8)의 환원 전위는 방사 물질(7)의 환원 전위보다 작거나 동일해야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안정제(8)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 및 제 1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도 호스트 물질(7)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보다 높다. 이는 이후 호스트 물질(7)의 제 1 여기 단일항 에너지 상태(S1)로부터의 에너지 전이가 안정제(8)의 바람직한 발광 완화 효율이 감소하지 않도록 가중된다는 사실의 원인이 된다.
바람직하게, 안정제(8)는 방사 물질(7)의 다양한 높은 여기 에너지 상태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넓은 흡수 밴드를 가져야 한다. 바람직한 안정화 물질은 카바 졸(CBP:carbazole), 올리고-페닐렌(oligo-phenylene)(쿼터페닐(quarterphenyl))이나 이 형태의 P-쿼터페닐(p-4P:p-quarterphenyl), 스틸빈stilben) 또는 카바졸, 스틸빈 및 올리고-페닐 군으로부터의 물질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성이 개선된 EL 소자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애노드(2)와,
    홀 주입층(4)과,
    제 1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방사 물질(emitting material)(7)을 포함하는 발광층(6)과,
    전자 주입층(9)과,
    캐소드(10)를 차례로 포함하되,
    상기 발광층(6)은 상기 방사 물질(7)의 제 1 에너지 밴드갭보다 큰 제 2 에너지 밴드갭을 갖는 안정화 물질(8)을 더 포함하는
    EL 소자(a electroluminescent device).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 물질(7)은 유기 물질을 포함하는
    EL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은 카바졸(carbazole), 스틸빈(stilben) 및 올리고-페닐(oligo-phenyl)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EL 소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은 상기 발광층(6) 내에서 1 중량 퍼센트 내지 10 중량 퍼센트의 농도로 존재하는
    EL 소자.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은 상기 방사 물질(7)의 몰수(mole)에 기초하여 10-3 내지 20 몰 퍼센트의 농도로 존재하는
    EL 소자.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은 상기 방사 물질(7)보다 적거나 동일한 음의 값인 환원 전위(a reduction potential)를 갖는
    EL 소자.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은 상기 방사 물질(7)의 전자진동(vibronic) 에너지 상태의 에너지를 수용하는 영역을 제공하는
    EL 소자 .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은 삼중항-삼중항 소멸(triplet-triplet annihilation)에 기인하는 상기 방사 물질(7)의 에너지 상태의 에너지를 수용하는 영역을 제공하는
    EL 소자.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물질(8)의 여기 에너지 상태(S1, T1)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방사 물질(7)의 2개의 여기 삼중항 에너지 상태(T1)의 결합 에너지로 이루어진 가상 에너지 상태보다 높지 않은
    EL 소자.
KR1020060078286A 2005-08-25 2006-08-18 El 소자 KR100843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405494 2005-08-25
EP05405494.5 2005-08-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4369A KR20070024369A (ko) 2007-03-02
KR100843858B1 true KR100843858B1 (ko) 2008-07-03

Family

ID=3777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8286A KR100843858B1 (ko) 2005-08-25 2006-08-18 El 소자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070087220A1 (ko)
JP (1) JP5305572B2 (ko)
KR (1) KR100843858B1 (ko)
CN (1) CN100487944C (ko)
TW (1) TW20073002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45525B2 (en) * 2005-12-27 2010-01-12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P5479003B2 (ja) * 2008-12-10 2014-04-23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US20100295445A1 (en) * 2009-05-22 2010-11-25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9153790B2 (en) 2009-05-22 2015-10-06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20100295444A1 (en) * 2009-05-22 2010-11-25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8476823B2 (en) 2009-05-22 2013-07-0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US8803420B2 (en) 2010-01-15 2014-08-12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JP6305068B2 (ja) 2013-04-30 2018-04-04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発光素子
CN104277538B (zh) * 2013-07-07 2019-08-09 潘才法 一种包含有稳定剂的组合物及其在有机电子器件中的应用
US10062861B2 (en) * 2015-02-24 2018-08-2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Light-emitting element, display device, electronic device, and lighting device
KR102627398B1 (ko) * 2015-12-11 2024-01-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DE102019121580A1 (de) * 2019-08-09 2021-02-11 OSRAM Opto Semiconductors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Bauelement mit reduzierter absorptio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auelements
KR102198602B1 (ko) * 2020-02-13 2021-01-05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유기발광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292A (en)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33121B2 (en) * 2000-01-31 2003-10-14 Idemitsu Kosan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JP5062797B2 (ja) * 2000-05-22 2012-10-31 昭和電工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および発光材料
US6759146B2 (en) * 2001-11-08 2004-07-06 Xerox Corporation Organic devices
US6835473B2 (en) * 2001-12-06 2004-12-28 Konica Corporatio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element and display
JP2004200141A (ja) * 2002-10-24 2004-07-15 Toyota Industries Corp 有機el素子
US20040132228A1 (en) * 2002-12-17 2004-07-08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fabricating an OLED
KR100624406B1 (ko) * 2002-12-30 2006-09-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비페닐 유도체 및 이를 채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2004319456A (ja) * 2003-03-31 2004-11-11 Sanyo Electric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4350983B2 (ja) * 2003-06-30 2009-10-28 株式会社ニューギン 遊技機
JP2005030923A (ja) * 2003-07-14 2005-02-03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着色液体の色の検査方法
US20050058853A1 (en) * 2003-09-15 2005-03-17 Eastman Kodak Company Gre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JP2005123168A (ja) * 2003-09-24 2005-05-12 Fuji Photo Film Co Ltd 有機電界発光素子
JP2005158715A (ja) * 2003-10-27 2005-06-1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発光素子および前記発光素子を用いた発光装置、並びに前記発光装置を用いた電気機器
US7090930B2 (en) * 2003-12-05 2006-08-15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element for electroluminescent devices
JP2005219513A (ja) * 2004-02-03 2005-08-18 Umihira:Kk ブレーキ制御装置
KR100657892B1 (ko) * 2004-02-11 2006-12-1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소자
JP4352008B2 (ja) * 2004-03-10 2009-10-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発光素子
FR2870481B1 (fr) * 2004-05-19 2007-10-26 Michelin Soc Tech Ensemble monte pour engin lourd, pneumatique pour engin lourd et procede de limitation de la flexion des flancs d'un pneumatique
US20060088730A1 (en) * 2004-10-25 2006-04-27 Eastman Kodak Company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with improved performance
JP4362461B2 (ja) * 2004-11-05 2009-11-11 三星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會社 有機電界発光素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292A (en) 1987-03-02 1988-09-06 Eastman Kodak Company Electroluminescent device with modified thin film luminescent z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730028A (en) 2007-08-01
JP5305572B2 (ja) 2013-10-02
CN1921172A (zh) 2007-02-28
US20070087220A1 (en) 2007-04-19
KR20070024369A (ko) 2007-03-02
CN100487944C (zh) 2009-05-13
JP2007059903A (ja)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858B1 (ko) El 소자
JP6219453B2 (ja) 長寿命リン光発光有機発光デバイス(oled)構造
KR100626975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JP4546203B2 (ja) 発光素子
EP2276084A1 (en) Materials and devices for blue phosphorescence bas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US11930651B2 (en) Organic luminescent material,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20070086623A (ko) 전계인광에 기초한 고 효율의 유기 발광장치
KR20110110172A (ko) 도핑된 정공 수송층을 통한 oled 안정성 향상
JP2010226059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472603B1 (ko) 바이폴라 재료로 만든 장벽층을 구비한 유기 발광 다이오드
US10355053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JP2007318130A (ja) 有機発光デバイス、発光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04455A (ko) 유기 발광 소자
CN114551744A (zh) 发光层、包含该发光层的有机电致发光器件及显示装置
JP2006108458A (ja) 発光素子及び表示装置
CN109994632B (zh) 有机电致发光器件
KR102087154B1 (ko) 유기 발광 소자 발광층 재료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0527340B1 (ko) 강자성체를 전극으로 사용한 전기 발광 소자
US8735879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comprising at least two electroluminescent layers
JP2006066562A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0643924B1 (ko) 큰 에너지 갭을 가지는 불순물이 첨가된 발광층을 포함하는유기발광소자
CN114242922A (zh) 一种降低电致蓝光有机发光二极管驱动电压的方法、电致蓝光有机发光二极管
Yu et al. Efficiency of Blu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Enhanced by Employing an Exciton Feedback Layer
CN115623803A (zh) 一种发光单元、显示面板和电子设备
JPH10110164A (ja) 蛍光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5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