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813B1 -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7813B1
KR100837813B1 KR1020060123575A KR20060123575A KR100837813B1 KR 100837813 B1 KR100837813 B1 KR 100837813B1 KR 1020060123575 A KR1020060123575 A KR 1020060123575A KR 20060123575 A KR20060123575 A KR 20060123575A KR 100837813 B1 KR100837813 B1 KR 100837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bi
carry
signal
data
full ad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3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1840A (ko
Inventor
신범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123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7813B1/ko
Priority to US11/826,765 priority patent/US7538698B2/en
Priority to JP2007215682A priority patent/JP5124209B2/ja
Publication of KR200800518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18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7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78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06Data managing, e.g. manipulating data before writing or reading out, data bus switches or control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48Data bus control circuits, e.g. precharging, presetting, 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10Input/output [I/O] data interface arrangements, e.g. I/O data control circuits, I/O data buffers
    • G11C7/1051Data output circuits, e.g. read-out amplifiers, data output buffers, data output registers, data output level conversion circuits
    • G11C7/1063Control signal output circuits, e.g. status or busy flags, feedback command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Abstract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는, 데이터 입력단과 캐리 입력단에 데이터를 각각 입력 받고 이를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전가산기; 및 상기 전가산기로부터 전달되는 합과 캐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논리값을 판별하여 DBI 신호를 생성하는 DBI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도체 집적 회로, DBI, 가산기

Description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DBI Signal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DBI 판별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제 1 전가산기 20 : 제 2 전가산기
30 : 제 3 전가산기 40 : DBI 판별부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면적 마진을 증가시키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집적 회로는 2의 배수 개의 단위(예를 들어, 128개, 256개)로 데이터의 출력 동작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출력 데이터의 개수만큼의 데이터 출력 버퍼를 구비하여 글로벌 입출력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각각의 데이터를 구동한다. 각 데이터 출력 버퍼에는 MOS 트랜지스터가 구비되며, 각 MOS 트랜지스터는 데이터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위칭함으로써 데이터를 구동하고 이를 칩의 외부로 출력하는 기능을 한다.
각각의 MOS 트랜지스터는 입력되는 데이터의 논리값에 따라 그 상태가 결정된다. 예를 들어, NMOS 트랜지스터로 구현된 데이터 출력 버퍼에 하이 레벨(High Level)의 논리값을 갖는 데이터가 전달되면 상기 NMOS 트랜지스터는 턴 온(Turn On) 되며, 이에 따라 상기 N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단과 소스 단 사이에는 전류의 흐름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출력 버퍼에 구비된 복수 개의 MOS 트랜지스터 중 전류의 흐름을 발생시키는 트랜지스터가 많을수록 반도체 집적 회로는 전류 손실이 커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전력 효율이 감소하게 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는 상술한 것과 같은 전류 손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DBI(Data Bus Inversion)라는 기술을 도입하였다. 상기 DBI 기술은 소정 개수 단위(예를 들어, 8개)의 데이터 중 몇 개의 데이터가 데이터 출력 버퍼의 트랜지스터에 전류 흐름을 발생시키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전류 흐름을 발생시키는 논리값의 데이터가 많으면 이를 반전시킴으로써 전류 손실을 감소시키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데이터 출력 버퍼에 NMOS 트랜지스터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8개의 데이터 중 하이 레벨의 데이터가 5개 미만이면 이를 비반전하여 데이터 출력 버퍼에 전달하고, 8개의 데이터 중 하이 레벨의 데이터가 5개 이상이면 이를 반전 하여 데이터 출력 버퍼에 전달한다.
이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반도체 집적 회로는 DBI 신호 생성 장치를 구비하며, DBI 신호 생성 장치는 상술한 것과 같이 전류 흐름을 발생시키는 논리값의 데이터가 많은지 여부를 판별하여 DBI 신호를 생성한다. 즉, DBI 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이후의 DBI 제어 장치는 데이터 출력 버퍼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반전시키고, DBI 신호가 디스에이블 되면 상기 DBI 제어 장치는 데이터 출력 버퍼에 전달되는 데이터를 반전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은 DBI 기술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뿐만 아니라 GPU(Graphic Processing Unit)와 같은 반도체 집적 회로에도 적용되며 저전력 소모를 추구하는 대부분의 반도체 집적 회로에서 구현 가능한 기술이다.
이하, 종래의 기술에 따른 DBI 신호 생성 장치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글로벌 입출력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8개의 데이터(GIO<1:8>)로부터 DBI 신호(DBI_flag)를 생성하는 DBI 신호 생성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DBI 신호 생성 장치는 4개의 2입력 카운터(2)와 2개의 6입력 카운터(4) 및 1개의 8입력 카운터(6)를 구비한다. 각각의 2입력 카운터(2)는 글로벌 입출력 라인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GIO<1:8>)를 두 개씩 입력 받고, 두 개의 데이터에 하이 레벨, 즉 논리값 ‘1’을 갖는 데이터의 개수가 몇 개 인지를 판별하여 각각 제 1 0개 판별 신호(dtng1<0>), 제 1 1개 판별 신호(dtng1<1>) 및 제 1 2개 판별 신호(dtng1<2>) 중 어느 하나를 인에이블 시킨다. 이후 각각의 6입력 카운터(4)는 상기 4개의 2입력 카운터(2)로부터 전달되는 2개의 상기 제 1 0개 판별 신호(dtng1<0>), 2개의 상기 제 1 1개 판별 신호(dtng1<1>) 및 2개의 상기 제 1 2개 판별 신호(dtng1<2>)를 각각 입력 받고, 이를 통해 4개의 데이터에 논리값 ‘1’을 갖는 데이터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판별하여 각각 제 2 0개 판별 신호(dtng2<0>), 제 2 2개 판별 신호(dtng2<2>), 제 2 3개 판별 신호(dtng2<3>) 및 제 2 4개 판별 신호(dtng2<4>)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상기 4개의 데이터에 논리값 ‘1’이 1개 포함되면 상기 제 2 0개 판별 신호(dtng2<0>), 상기 제 2 2개 판별 신호(dtng2<2>), 상기 제 2 3개 판별 신호(dtng2<3>) 및 상기 제 2 4개 판별 신호(dtng2<4>)는 모두 디스에이블 된다.
이후, 상기 8입력 카운터(6)는 상기 2개의 6입력 카운터(4)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 2 0개 판별 신호(dtng2<0>), 상기 제 2 2개 판별 신호(dtng2<2>), 상기 제 2 3개 판별 신호(dtng2<3>) 및 상기 제 2 4개 판별 신호(dtng2<4>)를 2개씩 입력 받고, 이를 통해 상기 8개의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중 논리값 ‘1’의 개수가 몇 개인지를 판별하여 DBI 신호(DBI_flag)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한다. 즉, 상기 8개의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중 논리값 ‘1’의 개수가 5개 이상이면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8개의 데이터에 포함된 데이터 중 논리값 ‘1’의 개수가 5개 미만이면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디스에이블 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기술에 따른 DBI 신호 생성 장치는, 3단계 의 연산 과정을 구현하기 위해 7개의 카운터를 구비하였으므로, 그 차지하는 면적이 작지 않았다. 또한 2입력 카운터의 신호 출력 라인은 신호 입력 라인에 비해 그 수가 1.5배 증가된 형태이므로,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고집적화 구현에 있어 기술적 한계로서 작용하였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은 면적 마진을 증가시키기에 용이하지 않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구비되는 소자의 수와 라인의 수를 감소시켜 면적 마진을 향상시키고, 고집적화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동작함으로써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고,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다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는, 데이터 입력단과 캐리 입력단에 데이터를 각각 입력 받고 이를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전가산기; 및 상기 전가산기로부터 전달되는 합과 캐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논리값을 판별하여 DBI 신호를 생성하는 DBI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는,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과 한 개의 캐리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 받아 가산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전가산기;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 받고 캐리 입력단에 레벨 고정 신호를 입력 받아 가산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제 3 전가산기;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세 개의 합과 세 개의 캐리를 전달 받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에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레벨 고정 신호 중 제 1 논리값인 데이터의 수가 6개 이상일 때 인에이블 되는 DBI 신호를 생성하는 DBI 판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방법은, a) 전가산기의 데이터 입력단과 캐리 입력단에 데이터를 각각 입력하여 합과 캐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합과 캐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논리값을 판별하여 DBI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방법은, a) 제 1 및 제 2 전가산기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과 한 개의 캐리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 3 전가산기에 구비된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하고 캐리 입력단에 레벨 고정 신호를 입력하여 두 개의 합과 두 개의 캐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세 개의 합과 세 개의 캐리를 전달 받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에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레벨 고정 신호 중 제 1 논리값인 데이터의 수가 6개 이상일 때 인에이블 되 는 DBI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글로벌 입출력 라인으로부터 전달되는 8개의 데이터(GIO<1:8>)로부터 DBI 신호(DBI_flag)를 생성하는 DBI 신호 생성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DBI 신호 생성 장치는 캐리 입력단(CI)에 데이터 1(GIO<1>)을, 제 1 데이터 입력단(D1)에 데이터 2(GIO<2>)를, 제 2 데이터 입력단(D2)에 데이터 3(GIO<3>)을 입력 받고 이를 가산 연산하여 합 1(S1)과 캐리 1(C1)을 출력하는 제 1 전가산기(10), 캐리 입력단(CI)에 데이터 4(GIO<4>)를, 제 1 데이터 입력단(D1)에 데이터 5(GIO<5>)를, 제 2 데이터 입력단(D2)에 데이터 6(GIO<6>)을 입력 받고 이를 가산 연산하여 합 2(S2)와 캐리 2(C2)를 출력하는 제 2 전가산기(20), 캐리 입력단(CI)에 레벨 고정 신호(lvfx)를, 제 1 데이터 입력단(D1)에 데이터 7(GIO<7>)을, 제 2 데이터 입력단(D2)에 데이터 8(GIO<8>)을 입력 받고 이를 가산 연산하여 합 3(S3)과 캐리 3(C3)을 출력하는 전가산기(30) 및 상기 합 1(S1), 상기 합 2(S2), 상기 합 3(S3),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을 입력 받아 이로부터 데이터 1 내지 8(GIO<1:8>)과 상기 레벨 고정 신호(lvfx)에 포함된 논리값 ‘1’의 개수를 판별하여 DBI 신호(DBI_flag)를 생 성하는 DBI 판별부(40)를 포함한다.
이 때 상기 레벨 고정 신호(lvfx)는 상기 DBI 신호 생성 회로의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항상 논리값 ‘1’을 갖는 신호로서, 상기 DBI 신호 생성을 지시하는 임의의 신호 또는 모드 레지스터 셋트 신호나 퓨즈 신호 등을 통해 구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레벨 고정 신호(lvfx)는 상기 신호들 외에 다른 신호들을 이용하여서도 구현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10, 20, 30)는 각각 세 개의 데이터를 가산 연산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DBI 판별부(40)는 상기 합 1(S1), 상기 합 2(S2), 상기 합 3(S3),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으로부터 상기 8개의 데이터(GIO<1:8>) 중 논리값 ‘1’인 데이터의 개수를 판별하여, 논리값 ‘1’인 데이터의 개수가 6개 이상이면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인에이블 시켜 출력하고, 논리값 ‘1’인 데이터의 개수가 6개 미만이면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디스에이블 시켜 출력한다. 상기 레벨 고정 신호(lvfx)가 항상 논리값 ‘1’을 갖기 때문에, 상기 DBI 판별부(40)가 논리값 ‘1’인 데이터의 개수가 6개 이상 또는 미만 여부를 판별하는 것은, 실질적으로 글로벌 입출력 라인으로부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10, 20, 30)에 전달되는 8개의 데이터(GIO<1:8>) 중 논리값 ‘1’인 데이터의 개수가 5개 이상인지 미만인지 여부를 판별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상기 DBI 판별부(40)가 상기 8개의 데이터(GIO<1:8>) 중 논리값 ‘1’인 데이터의 개수를 판별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논리에 따른다.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이 모두 논리값 ‘1’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8개의 데이터(GIO<1:8>) 중 논리값 ‘1’인 데이터가 적어도 6개이므로 상기 DBI 신호(DBI_flag)가 인에이블 된다.
이를 식으로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BI 신호(DBI_flag) = C1 * C2 * C3
그리고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 중 두 개의 캐리가 논리값 ‘1’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합 1(S1), 상기 합 2(S2) 및 상기 합 3(S3) 중 적어도 두 개의 합이 논리값 ‘1’을 가질 때 상기 DBI 신호(DBI_flag)가 인에이블 된다.
이를 식으로서 표현하면 다음과 같다.
DBI 신호(DBI_flag)
= (C1 * C2 + C2 * C3 + C1 * C3) * (S1 * S2 + S2 * S3 + S1 * S3)
그러나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 중 한 개의 캐리가 논리값 ‘1’을 갖는 경우에는 상기 합 1(S1), 상기 합 2(S2) 및 상기 합 3(S3)이 모두 논리값 ‘1’을 갖는다고 해도 상기 DBI 신호(DBI_flag)가 디스에이블 된다.
상술한 논리에 따라 상기 DBI 신호(DBI_flag)가 인에이블 되는 경우를 식으로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DBI 신호(DBI_flag) = C1 * C2 * C3
+ (C1 * C2 + C2 * C3 + C1 * C3) * (S1 * S2 + S2 * S3 + S1 * S3)
상기 DBI 판별부(40)는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생성하는 공식에 따라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DBI 판별부(40)의 구성은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DBI 판별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상기 DBI 판별부(40)는, 상기 캐리 2(C2)와 상기 캐리 3(C3)을 입력 받는 제 1 낸드게이트(ND1), 상기 캐리 1(C1)과 상기 캐리 3(C3)을 입력 받는 제 2 낸드게이트(ND2), 상기 캐리 1(C1)과 상기 캐리 2(C2)를 입력 받는 제 3 낸드게이트(ND3), 상기 합 2(S2)와 상기 합 3(S3)을 입력 받는 제 4 낸드게이트(ND4), 상기 합 1(S1)과 상기 합 3(S3)을 입력 받는 제 5 낸드게이트(ND5), 상기 합 1(S1)과 상기 합 2(S2)를 입력 받는 제 6 낸드게이트(ND6), 상기 제 1 낸드게이트(ND1)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인버터(IV1),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낸드게이트(ND1, ND2, ND3)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7 낸드게이트(ND7), 상기 제 3 낸드게이트(ND3)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인버터(IV2),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낸드게이트(ND4, ND5, ND6)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8 낸드게이트(ND8),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터(IV1, IV2)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9 낸드게이트(ND9), 상기 제 7 및 제 8 낸드게이트(ND7, ND8)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0 낸드게이트(ND10) 및 상기 제 9 및 제 10 낸드게이트(ND9, ND10)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출력하는 제 11 낸드게이트(ND11)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DBI 판별부(40)에서,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이 모두 논리값 ‘1’을 가지면, 상기 제 1 및 제 3 낸드게이트(ND1, ND3)의 출력 신호는 모두 로우 레벨이 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 터(IV1, IV2)의 출력 신호는 모두 하이 레벨이 되므로 상기 제 9 낸드게이트(ND9)의 출력 신호는 로우 레벨이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1 낸드게이트(ND11)는 로우 레벨의 신호의 입력에 따라 하이 레벨의 상기 DBI 신호(DBI_flag) 즉, 인에이블 된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출력한다.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 중 두 개의 캐리가 논리값 ‘1’을 가지면, 상기 제 1 낸드게이트(ND1)와 상기 제 3 낸드게이트(ND3)의 출력 신호는 서로 다른 논리값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9 낸드게이트(ND9)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제 7 낸드게이트(ND7)의 출력 신호 또한 하이 레벨이 된다.
이 때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낸드게이트(ND4, ND5, ND6) 중 어느 하나의 낸드게이트는 반드시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 8 낸드게이트(ND8)는 하이 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 10 낸드게이트(ND10)는 로우 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므로 상기 제 11 낸드게이트(ND11)는 하이 레벨의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출력하게 된다.
상술한 경우 외의 경우에는 상기 제 9 및 제 10 낸드게이트(ND9, ND10)의 출력 신호가 모두 하이 레벨이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제 11 낸드게이트(ND11)가 로우 레벨의 상기 DBI 신호(DBI_flag)를 출력한다는 것을 도시된 회로 구성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즉, 상술한 식에 따라 구성한 상기 DBI 판별부(40)는 상기 상기 합 1(S1), 상기 합 2(S2), 상기 합 3(S3), 상기 캐리 1(C1), 상기 캐리 2(C2) 및 상기 캐리 3(C3)을 통해 상기 8개의 데이터(GIO<1:8>)와 상기 레벨 고정 신호(lvfx) 중 논리값 ‘1’인 데이터가 6개 이상인지 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DBI 신호(DBI_flag)의 인에이블 여부를 결정한다.
이처럼 세 개의 전가산기(10, 20, 30)와 상술한 DBI 판별부(40)로 구성되는 본 발명의 DBI 신호 생성 장치는 종래의 기술에 비해 그 차지하는 면적이 획기적으로 감소된다. 종래에 사용되던 DBI 신호 생성 장치와 본 발명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면적을 내부에 구비되는 내부 소자의 개수를 통해 비교한 결과, 본 발명의 DBI 신호 생성 장치는 종래의 DBI 신호 생성 장치에 비해 약 49% 정도의 면적만을 차지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게다가 종래의 기술에 비해 신호를 전송하는 라인의 수가 감소하므로, 본 발명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고집적화 구현은 보다 용이하게 된다. 반도체 집적 회로 내에 많은 수의 DBI 신호 생성 장치가 구비된되므로, 본 발명에 의해 반도체 집적 회로의 면적 마진은 현저히 향상된다.
또한 각 소자가 사용하는 전력 측면을 생각해 보면, 적은 수의 소자가 구비되는 본 발명의 DBI 신호 생성 장치의 전력 소모가 크게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반도체 집적 회로의 전력 효율을 향상시킨다는 이점 또한 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구비되는 소자의 수와 라인의 수를 감소시켜 면적 마진을 향상시키고, 고집적화 구현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은,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소자를 이용하여 동작함으로써 전류 소모를 감소시키고, 전력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데이터 입력단과 캐리 입력단에 데이터를 각각 입력 받고 이를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전가산기; 및
    상기 전가산기로부터 전달되는 합과 캐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논리값을 판별하여 DBI 신호를 생성하는 DBI 판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Data Bus Inversion) 신호 생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DBI 판별부는 상기 전가산기에 입력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제 1 논리값을 갖는 데이터가 소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DBI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소정 개수 미만이면 상기 DBI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3.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과 한 개의 캐리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 받아 가산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제 1 및 제 2 전가산기;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 받고 캐리 입력단에 레벨 고정 신호를 입력 받아 가산 연산하여 합과 캐리를 출력하는 제 3 전가산기; 및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세 개의 합과 세 개의 캐리를 전달 받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에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레벨 고정 신호 중 제 1 논리값인 데이터의 수가 6개 이상일 때 인에이블 되는 DBI 신호를 생성하는 DBI 판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Data Bus Inversion) 신호 생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고정 신호는 상기 DBI 신호 생성 장치의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항상 상기 제 1 논리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BI 판별부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세 개의 캐리가 모두 상기 제 1 논리값을 가지면 상기 DBI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DBI 판별부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세 개의 캐리 중 두 개의 캐리가 상기 제 1 논리값을 갖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세 개의 합 중 적어도 두 개의 합이 상기 제 1 논 리값을 가지면 상기 DBI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와 상기 제 3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를 입력 받는 제 1 낸드게이트;
    상기 제 1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와 상기 제 3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를 입력 받는 제 2 낸드게이트;
    상기 제 1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와 상기 제 2 전가산기의 출력 캐리를 입력 받는 제 3 낸드게이트;
    상기 제 2 전가산기의 출력 합과 상기 제 3 전가산기의 출력 합을 입력 받는 제 4 낸드게이트;
    상기 제 1 전가산기의 출력 합과 상기 상기 제 3 전가산기의 출력 합을 입력 받는 제 5 낸드게이트;
    상기 제 1 전가산기의 출력 합과 상기 제 2 전가산기의 출력 합을 입력 받는 제 6 낸드게이트;
    상기 제 1 낸드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 인버터;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낸드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7 낸드게이트;
    상기 제 3 낸드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2 인버터;
    상기 제 4, 제 5 및 제 6 낸드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8 낸드게이트;
    상기 제 1 및 제 2 인버터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9 낸드게이트;
    상기 제 7 및 제 8 낸드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는 제 10 낸드게이트; 및
    상기 제 9 및 제 10 낸드게이트의 출력 신호를 입력 받아 상기 DBI 신호를 출력하는 제 11 낸드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8. a) 전가산기의 데이터 입력단과 캐리 입력단에 데이터를 각각 입력하여 합과 캐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합과 캐리로부터 상기 데이터의 논리값을 판별하여 DBI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Data Bus Inversion) 신호 생성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전가산기에 입력되는 복수 개의 데이터 중 제 1 논리값을 갖는 데이터가 소정 개수 이상이면 상기 DBI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고, 상기 소정 개수 미만이면 상기 DBI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방법.
  10. a) 제 1 및 제 2 전가산기에 각각 구비된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과 한 개의 캐리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하고, 제 3 전가산기에 구비된 두 개의 데이터 입력단에 각각 데이터를 입력하고 캐리 입력단에 레벨 고정 신호를 입력하여 두 개의 합과 두 개의 캐리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상기 a) 단계에서 생성된 세 개의 합과 세 개의 캐리를 전달 받아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에 입력되는 데이터와 상기 레벨 고정 신호 중 제 1 논리값인 데이터의 수가 6개 이상일 때 인에이블 되는 DBI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Data Bus Inversion) 신호 생성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벨 고정 신호는 상기 DBI 신호 생성 장치의 동작이 수행되는 동안 항상 상기 제 1 논리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세 개의 캐리가 모두 상기 제 1 논리값을 가지면 상기 DBI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방법.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세 개의 캐리 중 두 개의 캐리가 상기 제 1 논리값을 갖고, 상기 제 1, 제 2 및 제 3 전가산기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세 개의 합 중 적어도 두 개의 합이 상기 제 1 논리값을 가지면 상기 DBI 신호를 인에이블 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방법.
KR1020060123575A 2006-12-07 2006-12-07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837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575A KR100837813B1 (ko) 2006-12-07 2006-12-07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US11/826,765 US7538698B2 (en) 2006-12-07 2007-07-18 Apparatus and method of generating DBI signal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JP2007215682A JP5124209B2 (ja) 2006-12-07 2007-08-22 半導体集積回路のdbi信号生成装置およ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3575A KR100837813B1 (ko) 2006-12-07 2006-12-07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1840A KR20080051840A (ko) 2008-06-11
KR100837813B1 true KR100837813B1 (ko) 2008-06-13

Family

ID=39497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3575A KR100837813B1 (ko) 2006-12-07 2006-12-07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538698B2 (ko)
JP (1) JP5124209B2 (ko)
KR (1) KR10083781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89A (ko) * 2015-01-22 2016-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0119A (ko) 2009-04-02 2010-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를 송신하는 송신기 및 이를 구비하는 반도체 장치
US8260992B2 (en) * 2010-04-12 2012-09-04 Advanced Micro Devices, Inc. Reducing simultaneous switching outputs using data bus inversion signaling
US10620915B2 (en) * 2018-08-24 2020-04-14 Mediatek Inc. Full adder circuits with reduced dela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918A1 (en) 2000-10-04 2002-09-05 Alani Alaa F. Reducing the effect of simultaneous switching noise
KR100621353B1 (ko) 2005-11-08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반전 확인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 입출력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2431A (ja) * 1986-01-24 1987-07-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ビツト演算回路
JPH096500A (ja) * 1995-06-16 1997-01-10 Nec Corp インターフェース回路
TW507128B (en) * 2001-07-12 2002-10-21 Via Tech Inc Data memory controller supporting the data bus invert
US6898648B2 (en) * 2002-02-21 2005-05-24 Micron Technology, Inc. Memory bus polarity indicator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affects of simultaneous switching outputs (SSO) on memory bus timing
JP2004080553A (ja) * 2002-08-21 2004-03-11 Nec Corp データ出力回路及びデータ出力方法
US20040068594A1 (en) * 2002-10-08 2004-04-08 Anthony Asaro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bus inversion
JP4319533B2 (ja) * 2003-12-04 2009-08-26 富士通株式会社 ポピュレーションカウント回路
US7411840B2 (en) * 2004-03-02 2008-08-12 Via Technologies, Inc. Sense mechanism for microprocessor bus inversion
KR100643498B1 (ko) * 2005-11-21 2006-11-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메모리에서의 데이터 버스 반전 회로 및 데이터버스 반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21918A1 (en) 2000-10-04 2002-09-05 Alani Alaa F. Reducing the effect of simultaneous switching noise
KR100621353B1 (ko) 2005-11-08 2006-09-0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반전 확인 기능을 가지는 데이터 입출력 회로 및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0989A (ko) * 2015-01-22 2016-08-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2253680B1 (ko) * 2015-01-22 2021-05-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146625A (ja) 2008-06-26
US7538698B2 (en) 2009-05-26
KR20080051840A (ko) 2008-06-11
JP5124209B2 (ja) 2013-01-23
US20080137445A1 (en)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9723B1 (ko) 집적 회로 장치
KR100974223B1 (ko) 데이터 버스 인버전 기능을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
EP3893241B1 (en) Read operation circuit, semiconductor memory and read operation method
KR100837813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0459726B1 (ko) 멀티-비트 프리페치 반도체 장치의 데이터 반전 회로 및데이터 반전 방법
US7436220B2 (en) Partially gated mux-latch keeper
KR100837812B1 (ko) 반도체 집적 회로의 dbi 신호 생성 장치 및 방법
JP2007286005A (ja) 半導体集積回路
US6970016B2 (en) Data processing circuit an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US20050068827A1 (en) Leakage tolerant register file
US5576636A (en) Low power programmable logic arrays
US7285986B2 (en) High speed, low power CMOS logic gate
EP3926630B1 (en) Read operation circuit, semiconductor memory and read operation method
US11588486B1 (en) Bus buffer circuit
US6876560B2 (en) Content addressable memory and memory system
JPH0324677A (ja) Cpuコア
US20040130350A1 (en) Dynamic circuitry with on-chip temperature-controlled keeper device
KR100596839B1 (ko) 카스 레이턴시를 확장시킨 싱크로너스 디램
JPH0573703A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
KR100230399B1 (ko) 입력값 특성을 이용한 덧셈기
KR101308099B1 (ko) 단일스테이지 지연 추론적 어드레스 디코더
KR100940681B1 (ko) 반도체 회로 장치 및 코드 변환 장치
KR100469762B1 (ko) 씨게이트 회로
KR940007181Y1 (ko) 2의 보수 변환회로
KR100329756B1 (ko) 마스크롬용센스앰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