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7316B1 -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7316B1 KR100837316B1 KR1020070004859A KR20070004859A KR100837316B1 KR 100837316 B1 KR100837316 B1 KR 100837316B1 KR 1020070004859 A KR1020070004859 A KR 1020070004859A KR 20070004859 A KR20070004859 A KR 20070004859A KR 100837316 B1 KR100837316 B1 KR 10083731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era
- pair
- reflector
- electromagnet
- camera uni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E03F2005/066—Gully gratings with means for protecting against vandalis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주위의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확보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좌, 우측의 감시영역 및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쪽의 일측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여 소정각도 경사져 좌, 우측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키는 한 쌍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반사경부; 및 상기 한 쌍의 반사경의 회전과 연계되어 상기 카메라의 전방 또는 좌, 우측의 감시영역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부 또는 카메라부를 이동시키는 이동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부가 출입할 수 있는 카메라홀이 형성되고, 상면 및 하면에는 사선형상인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이 형성된 반사경하우징과, 상기 반사경하우징에 내장되며, 양쪽의 일측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반사경하우징과 연결된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타측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에 각각 수용결합된 한 쌍의 회전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의 양 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전방과 상기 한 쌍의 반사경을 통한 좌, 우측을 촬영하여 차량 주위의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으며, 단일한 카메라를 이용하여 전방과 좌, 우측을 촬영할 수 있으므로 제품을 소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상황에 맞는 차량 주위의 감시영역을 선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른 최적화된 차량 주위의 감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사각지대 반사경 카메라 차량
Description
도 1 -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감시장치의 촬영 범위에 대한 예시도.((a) 블랙박스용인 경우, (b) 고급차량용인 경우.)
도 2 -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를 차량에 장착한 예시도.((a) 사이드미러 에 장착된 경우, (b) 라디에이터에 장착된 경우.)
도 3 -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의 촬영영역에 대한 예시도.((a) 주행하는 경우의 촬영영역의 경우, (b) 주차하는 경우의 촬영영역의 경우.)
도 4 - 감시장치의 한정된 공간에서 주차하는 예시도.((a)종래의 기술에 따른 경우, (b)본 발명에 따른 경우.)
도 5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구성분해도.
도 6 -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 우측에서 전방을 감시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작동원리도. ((a) 좌, 우측을 촬영하는 경우, (b) 한 쌍의 반사경이 양외측으로 회전하여 대향된 경우, (c) 전방을 촬영하는 경우.)
도 7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반사경의 평면도.((a) 좌, 우측을 촬영하기 위해 한 쌍의 반사경이 회전하여 일측이 서로 접하는 경우, (b) 전방 을 촬영하기 위해 한 쌍의 반사경이 회전하여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경우.)
도 8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하나의 반사경의 단면도.((a) 좌, 우측을 촬영하기 위해 한 쌍의 반사경이 회전하여 일측이 서로 접하는 경우, (b) 전방을 촬영하기 위해 한 쌍의 반사경이 회전하여 서로 평행하게 대향되는 경우.)
도 9 -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작동원리도.((a) 좌, 우측을 촬영하는 경우, (b) 한 쌍의 반사경이 양외측으로 회전하여 대향된 경우, (c) 전방을 촬영하는 경우.)
도 10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구성분해도.
도 11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 우측에서 전방을 감시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작동원리도.((a) 좌, 우측을 촬영하는 경우, (b) 한 쌍의 반사경이 양외측으로 회전하여 대향된 경우, (c) 전방을 촬영하는 경우.)
도 12 -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좌, 우측에서 전방을 감시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작동원리도.((a) 전방을 촬영하는 경우, (b) 한 쌍의 반사경이 양외측으로 회전하여 대향된 경우, (c) 좌, 우측을 촬영하는 경우.)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하우징 200 : 반사경부
210 : 반사경하우징 212 : 회전가이드홈
214 : 카메라홀 220 : 반사경케이스
222 : 회전축 224 : 회전가이드돌기
226 : 회전키홈 230 : 반사경
300 : 카메라부 310 : 카메라
320 : 카메라하우징 330 : 카메라잠금나사
340 : 카메라배선 400 : 이동회전부
410 : 스크류회전부재 412 : 토션스프링
414 : 슬라이드 416 : 슬라이드턱
416a : 관통홀 418 : 반사경날개
420 : 스크류이동부재 422 : 스크류
424 : 코일스프링 425 : 기어지지부재
426 : 스크류기어 427 : 모터기어
428 : 기어박스 430 : 전자석회전부재
432 : 제1전자석 432a : 제1전자석전방의 극
432b : 제1전자석 후방의 극 434 : 제1자석
434a : 제1자석 전방 우측의 극 434b : 제1자석 전방 좌측의 극
434c : 제1자석 후방의 우측의 극 434d : 제1자석 후방 좌측의 극
440 : 전자석이동부재 442 : 제2전자석고정대
444 : 제2전자석 444a : 제2전자석 전방의 극
444b : 제2전자석의 후방의 극 446 : 제2자석
446a : 제2자석 전방의 극 446b : 제2자석 중간의 극
446c : 제2자석 후방의 극 448 : 제2자석고정대
450 : 캠슬라이드블럭 452 : 캠슬라이드
452a : 반사경가이드홈 452b : 카메라가이드홈
452c : 캠슬라이드걸림홈 454 : 캠슬라이드스프링
456 : 캠슬라이드고정부재 456a : 캠슬라이드걸림턱
460 : 카메라블럭 462 : 카메라고정부재
462a : 카메라가이드돌기 462b : 카메라고정걸개
464 : 카메라지지부재 464a : 고정해제판
464a': 캠슬라이드해제턱 464a'': 카메라고정턱
464b : 카메라이동바 466 : 카메라스프링
470 : 모터부재 472 : 모터
480 : 전원부재 482 : 제1전원
484 : 제2전원
본 발명은 차량 주위의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 부착되어 감시장치의 전방과 좌, 우측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차량의 사각지대의 미확보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다각적인 노력을 하고 있는 유럽의 몇 나라는 3.5톤 이상 모든 트럭에 의무적으로 사각감지 용 장치를 부착하도록 의무화하여 그 이듬해 교통사고 사망수를 현격히 줄이는 성과를 거두었다. 이에 2007년부터 후방감시카메라 및 모니터 설치를 7.5톤 이상 트럭에 대해 의무화하는 가이드라인을 발표함에 따라 시야각 확보를 위한 감시장치의 수요는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이러한 수요의 증가에 비해 종래의 감시장치에는 여전히 사각지대가 존재하여 그에 대한 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알아보기 위하여 도 1의 (a)의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용 감시장치와 도 1의 (b)는 종래기술에 따른 고급차량용 감시장치에 관해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블랙박스용 감시장치(10)는 차량에 장착된 감시장치의 전방만 시야를 확보할 수 있어서, 차량 전방의 좌, 우측과 후방의 좌, 우측의 사각지대(A)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육안으로 확인해야하는 불편함뿐만 아니라, 육안으로 관찰하기 위하여 운전자가 몸을 돌리면 전방의 시야를 놓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고 있다. 게다가 상기 사각지대(A)에 있는 물체가 인지되지 않아서, 어린이와 노약자가 상기 사각지대(A)에 갑자기 진입하면 운전자가 인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감시장치는 차량의 외부에 돌출되어 장착되어 차량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998-085187호를 살펴보면, 도 1의(b)의 종래의 고급차량용 감시장치(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좌, 우측과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는 작 동스위치와, 상기 카메라에 의해 감지된 화면을 표시하는 모니터와 상기 작동스위치의 작동으로 상기 카메라를 작동시키고 상기 모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고급차량용 감시장치는 차량의 후방과 좌, 우측에 카메라를 장착하여 차량의 좌, 우측의 후방과 후방에 대한 사각지대의 시야확보를 향상시켰다. 그러나 좌, 우측은 더 넓은 사각지대(B)가 발생하며, 후방의 좌, 우측과 전방에 사각지대(B)가 존재하여, 주차나 후진과 같이 후방의 좌, 우측의 시야확보가 중요한 경우에 육안으로 시야를 확보해야 하므로 실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109327호에는 도 1의(b)의 종래의 고급차량용 감시장치(2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에 설치되어 이용할 수 있으며, 좌측 전방 및 후방 이미지 빔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제 1 피라미드형 프리즘 수단과, 상기 발생된 좌측 전방 및 후방 이미지 빔을 집속하여 영상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제 1 렌즈 수단과, 각각의 우측 전방 및 후방 이미지 빔을 동시에 발생시키는 제 2 피라미드형 프리즘 수단과, 상기 발생된 우측 전방 및 후방 이미지 빔을 집속하여 영상 표시 수단에 제공하는 제 2 렌즈 수단과 입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프리즘을 이용한 감시장치는 하나의 카메라로 양측을 감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나 상기 감시장치의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할 수 없어서 사각지대에 대한 부분적인 시야개선만 이루어졌다.
또한 상기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차량의 상부에 감시장치를 설치하는 고안도 있으나, 제품의 크기가 크고 차량의 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하는 바는 다양한 상황에 따라 전방 또는 좌, 우측을 조합하여 최적의 감시영역을 촬영하도록 입력된 설정모드를 선택하여, 하나의 카메라로 전방과 반사경을 통한 좌, 우측의 감시영역을 촬영하여 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전방과, 좌, 우측의 감시영역을 확보하는데 카메라의 수량을 단일하게 하여 제품을 소형화시키고 차량에 장착시 미관을 손상시키지 않으며, 사용자 위주의 최적화된 감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 주위의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확보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어 좌, 우측의 감시영역 및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부와;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쪽의 일측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여 소정각도 경사져 좌, 우측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로 반사시키는 한 쌍의 반사경을 포함하는 반사경부; 및 상기 한 쌍의 반사경의 회전과 연계되어 상기 카메라의 전방 또는 좌, 우측의 감시영역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부 또는 카메라부를 이동시키는 이동회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하우징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부가 출입할 수 있는 카메라홀이 형성되고, 상면 및 하면에는 사선형상인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이 형성된 반사경하우징과, 상기 반사경하우징에 내장되며, 양쪽의 일측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반사경하우징과 연결된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타측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에 각각 수용결합된 한 쌍의 회전가이드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 및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의 양 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삭제
그리고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부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쪽 일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과 연결된 회전축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쌍의 회전가이드돌기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와,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의 양 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상기 카메라부는 전방과 상기 반사경부를 통해 좌, 우측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며, 전방과, 좌, 우측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를 보호하고 이동하기 용이하기 위한 카메라하우징과, 상기 카메라와 카메라하우징과 연결시키기 위한 카메라잠금나사와 촬영한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카메라배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부는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할 때에는 상기 반사경부의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진입되어 전방의 감시영역에 대한 촬영시야각을 확보하여 영상을 촬영하고, 좌, 우측의 감시영역을 촬영할 때에는, 반사경부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카메라부의 전방에 위치하고 경사져 있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을 통해 반사된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회전부는 카메라부의 전방과 좌, 우측의 촬영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부 또는 반사경부를 이동시키는 전자적인 회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혹은 기계적으로 구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감시장치는 차량의 원하는 위치에 장착이 가능하며,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2의 (a)에서 도시된 바와 차량의 좌, 우측에 위치한 사이드미러의 하단에 설치할 수 있으며, 도 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전방의 라디에이터에 설치하여 전방의 감시영역(C)과 좌측 감시영역(D) 및 우측의 감시영역(E)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의 주위에 장착된 감시장치의 감시영역을 조합하여 상황에 맞는 차량 주위의 감시영역을 확보할 수 있다.
이에 따른 여러가지 차량 감시영역의 응용이 가능하지만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로서 도 3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을 주행할 때에는 차량에 장착된 감시장치(700)의 감시영역은 장착된 위치의 전방을 선택하고, 도 3의 (b)와 같이 차량을 주차할 때에는 차량에 장착된 감시장치(700)의 감시영역은 장착된 위치의 좌, 우측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으므로 각 상황에 따라 차량간 충돌이나 안전사 고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사각지대를 감시영역으로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a)와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과 본 발명에 따른 개선된 점을 비교하기 위해 한정된 공간에서 종래의 감시장치를 장착한 차량과 본 발명에 따른 감시장치를 장착한 차량이 비교되어 있다. 먼저, 도 4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은 밀집된 차량에서 주차시 차량의 좌, 우측의 전방과 후방의 사각지대(A)에 대한 시야 미확보에 따라 충돌사고의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도 4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시장치(700)는 충돌위험이 많은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확보가 이루어져 좁은 주차공간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황에서 사각지대에 대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인터폰이나 감시용 장치에 응용되어 감시영역을 선택조절하고 소형화하는 것에 응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응용을 위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구성분해도이다.
상기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하우징(100), 반사경부(200), 카메라부(300), 이동회전부(400)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의 전방에 반사경부(200)가 위치하고 상기 반사경부(200)의 후방에 카메라부(300)가 위치하며,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을 이동시키는 이동회전부(400)가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00)은 후술할 여러가지 부품을 포함하며, 차량 주변에 원하는 부위에 장착되고, 외부의 환경에 대해 상기 부품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전방과 좌, 우측의 감시영역에 대한 촬영을 위하여 전면과 좌, 우측의 전면부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지며, 좌, 우측면의 후면부와 후면은 금속 또는 합성수지와 같은 불투명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부(200)는 상기 카메라부(300)에 좌, 우측의 영상을 반사하기 위해 여러가지 구조가 가능하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사선형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212)이 구비된 반사경하우징(210)과, 상측 또는 하측의 일단에는 상기 반사경하우징(210)과 연결된 한 쌍의 회전축(222)이 각각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의 타단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212)에 수용결합되는 회전가이드돌기(224)가 구비된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와,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은 내포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회전축(222)과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300)의 출입이 가능한 카메라홀(214)이 후측에 구비되어 반사경부(200)가 후진되거나 카메라부(300)가 전진되면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을 통과할 수 있게 한다. 한편, 전면과 양측면은 개방되어 상기 카메라부(300)가 전방과 양측을 촬영할 때 촬영시야각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회전가이드홈(212)은 상면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다가 후방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기울어진 사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가이드홈(212)의 사선형상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은 상기 카메라부(300)를 향해 좌, 우측의 영상을 반사시키기위해 상기 반사경케이스(220)가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가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하게 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300)는 전방과, 좌, 우측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310)를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310)를 보호하고, 쉽게 이동시키기 위해 카메라하우징(320)과, 상기 카메라하우징(320)과 카메라(310)를 연결하는 카메라잠금나사(330)와 상기 카메라(310)를 통한 영상신호와 전원을 공급받는 카메라배선(340)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회전부(400)는 상기 반사경부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카메라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스크류회전부재(410)와 스크류이동부재(420)와 고정부재(미도시)와 모터부재(470)로 이루어진다.
먼저, 스크류회전부재(410)을 살펴보면, 한 쌍의 토션스프링(412)과 한 쌍의 반사경날개(418)와 한 쌍의 슬라이드(41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한 쌍의 토션스프링(412)은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상면외측에 배치되어 탄성으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중심의 일측이 상기 회전축(222)을 감싸서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은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에 의해 바깥 좌, 우측으로 밀릴 수 있도록 상기 회전가 이드돌기(224)의 양쪽 바깥측에 접하여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가 상기 토션스프링(142)의 타측을 양쪽 바깥측으로 미는 힘이 생겨 바깥 양측으로 밀면, 상기 토션스프링(412)이 양측으로 밀려서 탄성을 가지고 있다가, 바깥 양측으로 미는 힘이 소멸되면, 상기 토션스프링(412)의 탄성에 의해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를 밀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안쪽으로 회전되어 일측이 접하는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상기 한 쌍의 반사경날개(418)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반사경하우징(210) 하부의 일단에 형성된 일측이 잘려진 원형으로 이루어진 회전키홈(226)과 결합된 'ㄴ'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드(414)는 상기 반사경날개(418)를 회전시키기 위해 반사경날개(418)의 전방에 위치하고, 후측 모서리의 끝이 잘려져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드(414)가 후진하여 잘려진 모서리로 상기 한 쌍의 반사경날개(418)를 바깥 좌, 우측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하여, 서로 대향되는 개방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슬라이드(414)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414)를 전, 후진시키는 이동거리를 둘러싸는 슬라이드턱(416)이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하부외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턱(416)의 후측에 후술할 스크류(422)가 관통되는 스크류관통홀(416a)이 구비되어 있으며, 후술할 코일스프링(424)의 일측을 탄성지지한다.
또한, 스크류이동부재(410)을 살펴보면 상기 반사경날개(418)의 후측에 연결고정된 스크류(422)와 상기 스크류를 감싸는 코일스프링(424)과 상기 스크류(422)에 관통되는 스크류기어(426)와 상기 스크류기어(426)와 맞물리는 모터기어(427)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422)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과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를 전, 후진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414)의 하측과 고정결합되며 상기 스크류기어(426)가 회전되는 동안에도 상기 슬라이드(414)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크류(422)의 길이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하는데 필요한 슬라이드(414)의 이동거리와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가 이동하는 거리에 여분의 거리를 더한 것으로 이루어져있다.
여기서, 스크류(422)의 표면은 음각으로 형성된 나사산이 형성되어 후술할 스크류기어(426)의 양각의 나사산과 맞물리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코일스프링(424)은 상기 토션스프링(412)보다 탄성강도가 강하여 상기 스크류기어(426)가 상기 스크류(422)를 감을 때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이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의 이동보다 이 먼저 일어날 수 있도록 상기 반사경부(200)와 카메라부(300)의 거리를 지지해준다.
또한 상기 코일스프링(424)은 상기 반사경부(200)와 카메라부(300)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하부외측에 형성된 슬라이드턱(416)에 구비된 관통홀(416a)과 상기 카메라하우징(320)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후술할 기어지지부재(425)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지지부재(425)는 상기 카메라부(300)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스크류기어(426)와 모터기어(427)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지지부재(425)를 덮을 수 있는 기어박스(428)와 결합되어 상기 기어의 위치를 고정하고 보호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기어(426)는 고정된 상기 스크류(422)의 외주의 음각나사산과 맞물리는 양각나사산이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면서 상기 스크류(422)의 외주를 따라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422)를 감는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기어(426)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되거나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이나 상기 카메라(310)를 전, 후진하게 된다. 상기 모터기어(427)는 상기 스크류기어(426)와 맞물려 있으며 동력부재의 모터(429)와 연결되어 회전된다.
그리고, 고정부재(미도시)는 다양한 나사나 접착제를 이용하여, 반사경부(200)나 카메라부(3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며, 상기 반사경부(200)를 고정시에 반사경하우징(210)의 상면이나 하면이 하우징과 결합하도록 하며, 카메라부(300)를 하우징(100)에 고정시에는 카메라부(300)의 후측의 상부와 하부를 하우징(100)에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동력부재(470)는 모터(472)로 이루어지며, 회전하는 방향에 따라 상기 스크류기어(426)의 회전방향이 달라져,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 또는 한 쌍의 카메라부(300) 또는 한 쌍의 반사경(230)의 이동을 제어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 예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 우측에서 전방을 감시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작동원리도이다.
상기 도 6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반사경(230)을 통해 좌, 우측의 감시영역의 영상이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해 촬영된다.
여기서 도 6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에서 전방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모터(429)가 구동되면, 모터에 맞물린 모터기어(427)가 회전되고 이에 맞물린 스크류기어(426)가 회전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스크류(422)는 상기 캠슬라이드(414)의 하측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크류기어(426)이 상기 스크류(422)에 감기면서 회전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양각의 나사산을 외주에 구비하여 상기 스크류기어(426)가 회전하는데, 상기 스크류기어(426)의 양각의 나사산과 맞물리는 음각 나사산이 상기 스크류(422)의 외주에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422)의 주위의 음각 나사산을 따라서 상기 스크류기어(426)의 양각 나사산이 회전하여 상기 스크류(422)에 감기면서 상기 스크류를 후퇴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스크류(422)와 연결된 슬라이드(414)가 후진되어 반사경날개(418)의 일측을 밀어서 회전시킨다. 이때, 회전되는 반사경날개(418)과 연결된 반사경케이스(220)가 회전되어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되어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형상을 이룬다.
이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상기 반사경케이스(220)의 상부에 위치한 회전가이드돌기(224)가 토션스프링(412)을 바깥 좌, 우측으로 밀면서 바깥 좌, 우측으로 회전이동되어 안쪽으로 되돌아가려는 탄성을 가지게 된다. 이 때 코일스프링(424)의 탄성강도가 토션스프링(412)보다 크므로 상기 스크류(422)가 감기면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하는 동안,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가 이동하지 않고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이 먼저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모터(429)에 의해 스크류(422)가 계속 감기면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300)가 고정시 상기 반사경부(200)가 후진되고,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반사경부(200)가 고정시 상기 카메라부가 전진하게 되어 도 6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카메라부(300)의 양측에 배치되어 전방의 감시영역에 대한 촬영 시각을 확보하여, 감시장치의 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작동시켜 상기 동작순서를 역으로 진행하면 전방에서 좌, 우측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여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2)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것으로서,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하여 일측이 서로 만나는 경우 중 하나의 반사경(230)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회전하여 서로 평행하게 대면하는 경우 중 하나의 반사경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의 (a)는 상기 도 7의 (a)의 F-F'의 측면도이며, 도 8의 (b)는 상기 도 7의 (b)의 G-G'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작동원리도이다.
상기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하우징(미도시)과, 상기 하우징(미도시)에 내장되고 좌, 우측을 반사시키는 반사경부(200)와 전방 과 좌, 우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00)와 전방 또는 좌, 우측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기 위한 이동회전부(40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과 카메라부의 구조는 실시 예1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반사경부(200)는 좌, 우측의 영상을 반사하기 위하여 상면과 하면에 형성된 사선형의 회전가이드홈(212)이 구비된 반사경하우징(210)과, 상측 또는 하측의 일단에는 상기 반사경하우징(210)과 연결된 회전축(222)이 형성되고 상측과 하측의 타단에는 상기 회전가이드홈(212)에 수용결합되는 회전가이드돌기(224)가 구비된 반사경케이스(220)와, 상기 반사경케이스(220)의 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2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은 상기 카메라부(300)를 향해 좌, 우측의 영상을 반사시키며, 상기 반사경케이스(220)는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가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은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회전축(222)과 연결되고 상기 카메라부(300)의 출입이 가능한 카메라홀(214)이 후측에 구비되어 반사경(230)이 후진되거나 카메라부(300)가 전진될 때 상기 카메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측과 양측은 개방되어 전방과 양측을 촬영할 때 촬영시야각에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상측 또는 하측에 혹은 양측에 한 쌍의 반 사경(230)의 회전을 안내하는 회전가이드홈(212)이 형성된다. 이러한 회전가이드홈(212)은 양측면에서 직선형상으로 형성되다가 후방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기울어진 사선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회전가이드홈(212)의 사선형상이 기울어진 정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경부(200)의 반사경케이스(220)는 상기 실시예1과 같이 실시할 수도 있고, 이와는 달리 반사경케이스(220)와 회전축(222)이 통합되어 연결된 반사경케이스(220)로 실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회전부(400)는 상기 회전축(222)을 회전시키기 위한 전자석회전부재(430)와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을 이동시키는 전자석이동부재(440)와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을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미도시)와 전원부재(48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재(미도시)는 실시예1과 기술한 것과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상기 도 7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석회전부재(430)는 회전축(222)을 자성으로 회전시켜 상기 회전축(222)와 연결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전자석(432)과 제1자석(434)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제1전자석(432)은 상기 회전축(222)의 앞쪽 측면의 일부에 부착된 제1전자석 전방의 극(432a)과, 상기 회전축(222)과 대칭되게 마주보며 회전축(222) 바깥 둘레의 뒤쪽 측면의 일부에 부착된 제1전자석 후방의 극(432b)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전자석(432) 전방의 극(432a)과 후방의 극(432b)은 반대의 극 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한 쌍의 상기 제1자석(434)은 상기 제1전자석(432)의 외측에 위치하며, 제1자석(434) 전방 우측의 극(434a)과 상기 제1자석(434) 전방 좌측의 극(434b)은 반대의 극으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제1자석(434) 후방 좌측의 극(434d)과 제1자석(434) 후방 우측의 극(434c)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1자석(434)의 전방 우측의 극(434a)과 후방 우측의 극(434c)은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있고, 제1자석(434)의 전방 좌측의 극(434b)와 후방 좌측의 극(434d)도 같은 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자석(434)의 전방 우측의 극(434a)와 좌측의 극(434b)은 반대극을 가지고, 상기 제1자석(434)의 후방 우측의 극(434c)와 좌측의 극(434d)는 반대극을 가진다.
한편,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일측이 서로 만나서 한 쌍의 반사경(230)이 폐쇄된 상태가 되면 도 7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434)의 전방 좌측의 극(434b)과 제1전자석(432) 전방의 극(432a)과 마주보고, 제1자석(434)의 후방 우측의 극(434c)은 상기 제1전자석(432) 후방의 극(432b)과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한 쌍의 반사경(230)이 서로 마주보는 형상의 한 쌍의 반사경(230)이 개방된 상태에는 도 7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434)의 전방 우측의 극(434a)과 제1전자석(432) 전방의 극(432a)과 마주보고, 제1자석(434)의 후방 좌측의 극(434d)은 상기 제1전자석(432) 후방의 극(432b)과 마주보게 된다.
또한, 상기 전자석이동부재(440)는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후측에 연결된 한 쌍의 전, 후로 긴 막대모양으로 형성된 제2전자석고정대(442)의 외측에 설치된 제2전자석(444)과 상기 제2전자석(444)과 대면하는 제2자석(446)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전자석(444)의 전방의 극(444a)와 후방의 극(444b)은 반대극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2전자석(444)의 전방의 극(444a)와 후방의 극(444b)과 대향되어 위치하는 제2자석의 전방의 극(446a)와 중간의 극(446b)은 마주보는 제2전자석(444)의 전방의 극(444a)와 후방의 극(444b)과 각각 반대극의 극을 형성하고 후측에 덧붙여 있는 제2자석(446)의 후방의 극(446c)는 전방의 극(446a)와 같은 극을 가진다.
상기 한 쌍의 제2전자석(444)는 상기 전원부재(480)에 의해 극성이 바뀌고, 상기 제2자석(446)과 자력이 상호작용하여,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반사경부(200)이 고정되면, 카메라부(300)을 전, 후진시키고,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카메라부(300)이 고정되면, 반사경부(200)이 전, 후진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자석(446)은 상기 제2전자석(444)의 외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제2자석(446)이 카메라부(300)에 결합되기 위해, 제2자석고정대(448)를 이용해 카메라부(320)의 후측과 결합지지된다.
한편, 전원부재(480)는 상기 제1전자석(432)의 극성을 바꾸는 제1전원(482)과 상기 제2전자석(444)의 극성을 바꾸는 제2전원(48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2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a)는 한 쌍의 반사경(230)의 일측이 서로 만나서 경사진 형상을 하 는 폐쇄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7의 (b)는 한 쌍의 반사경(230)이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는 형상을 하는 개방된 상태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의 (a)는 상기 도 7의 (a)의 F-F'의 측면도이며, 도 8의 (b)는 상기 도 7의 (b)의 G-G'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그리고 도 9는 제2실시예에 따른 전자석을 이용한 작동원리도이다.
먼저, 도 7의 (a)와 도 8의 (a)와 도 9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자석(434)의 전방 좌측의 극(434b)과 제1전자석(432)의 전방의 극(432a)이 마주보고, 제1자석(434)의 후방 우측의 극(434c)과 제1전자석(432)의 후방의 극(432b)이 마주보게 위치한다. 따라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일측이 만나는 폐쇄된 상태가 되어 한 쌍의 반사경(230)이 좌, 우측의 감시영역을 반사하여 상기 카메라부(300)에 의해 촬영된다.
여기서 좌, 우측에서 전방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제1전원(482)이 제1전자석(432)의 극성을 바꾸면, 바뀐 제1전자석 전방의 극(432a)과 제1자석(434)의 전방 우측의 극(434a)이 서로 인력이 작용하고, 제1자석(434)의 전방 좌측의 극(434b)과는 척력이 작용하여, 도 7의 (b)와 도 8의 (b)와 도 9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222)이 바깥 양측으로 회전되어 제1전자석(432) 전방의 극(432a)과 제1자석(434)의 전방 우측의 극(434a)과 마주보게 위치하며, 제1전자석 후방의 극(432b)과 제1자석(434)의 후방 좌측의 극(434d)이 마주보게 되어 한 쌍의 반사경(230)이 평행하게 대향배치된다.
다음으로 도 9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전원(484)에 의해 제2전자석(444)의 극성이 바뀌면, 제2전자석(444)의 전방의 극(444a)과 후방의 극(444b)이 인력으로 대면하고 있던 제2자석(446)의 전방의 극(446a)과 중간의 극(446b)에 대하여 서로 척력이 생겨서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가 밀려나고, 이와 동시에 제2전자석(444)의 전방의 극(444a)과 후방의 극(444b)이 제2자석(446)의 중간의 극(446b)과 후방의 극(446c)에 대하여는 서로 인력이 생겨서 당기게 된다.
즉, 상기 반사경부(2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시 카메라부(300)가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사이로 전진하며,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있을 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양측으로 이동하여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동작순서를 역으로 진행하면 전방에서 좌, 우측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여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3)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의 구성분해도이다.
상기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에 부착되는 하우징(100), 좌, 우측을 반사시키는 반사경부(200), 전방과 좌 우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300), 전방 또는 좌, 우측의 상기 카메라부(300)의 촬영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을 이동시키는 이동회전부(4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100)은 실시 예1에서 기술한 내용과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반사경부(200)는 한 쌍의 반사경(230)과, 상기 반사경(230)이 외측에 부착되며 상부나 하부의 일측에 회전축(222)이 각각 형성되거나, 상부와 하부 동시에 회전축(222)가 구비되고, 상부와 하부의 타측에 각각 회전가이드돌기(224)가 구비된 반사경케이스(220)로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가 상기 이동회전부(40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가 형성되어 있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도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외측에 있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카메라부(300)는 한 쌍의 반사경(230)이 양측으로 회전하여 개방된 상태가 되면, 상기 이동회전부(400)에 의해 전진 이동되어 한 쌍의 반사경(230) 사이를 지나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여 전방을 촬영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반사경부(200)의 후방으로 이동되면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반사경(230)이 안쪽으로 회전되어 폐쇄된 상태가 되고, 폐쇄된 한 쌍의 반사경(230)을 통해 반사된 좌, 우측의 영상을 촬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회전부(400)는 캠슬라이드블럭(450)과 카메라블럭(460)과 전원부재(4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캠슬라이드블럭(450)은 캠슬라이드(452)와 캠슬라이드고정부재(456)와 캠슬라이드스프링(454)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캠슬라이드(452)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대표적인 형상으로 판모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앞부분에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하여 고정시시키기 위해 전방에서 후방으로 소정거리만큼 직선으로 형성되다가 소정각도 기울어져 후방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경사진 사선 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반사경가이드홈(452a)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반사경가이드홈(452a)의 기울어진 각도는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하는 각도를 결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중간부분에는 카메라부(300)를 이동시키거나 제어하기 위해 소정각도 기울어져 후방으로 갈수록 안쪽으로 모이게 형성되다가 일정길이만큼 직선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반부분에는 좌, 후측으로 직선형상을 이루는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이 구비되어 사선면의 형상을 이루는 캠슬라이드걸림턱(456a)과 연결고정되면 상기 캠슬라이드(452)가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슬라이드고정부재(456)는 전측이 탄성재로 이루어진 사선면의 형상을 이루고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 결합되는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이 형성되고, 후측은 상기 하우징(100)에 연결고정되어 있다. 또한 후술할 캠슬라이드해제턱(464a')이 후진하여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을 후방으로 밀면,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이 후방으로 밀리면서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서 빠져나온다.
또한, 상기 캠슬라이드(452)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이 걸려 상기 캠슬라이드를(452)를 상기 하우 징(100)에 고정시킬 수 있다.그리고, 상기 캠슬라이드스프링(454)은 상기 캠슬라이드고정부재(456)에 걸려있던 캠슬라이드(452)가 풀려나오면 상기 캠슬라이드(452) 후측에 연결되어 탄성에 의해 전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블럭(460)은 카메라고정부재(462)와 카메라지지부재(464)와 카메라스프링(466)으로 이루어져 있다.
먼저, 상기 카메라고정부재(462)는 후측이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되고 전방의 전측에는 카메라가이드홈(452b)을 따라 이동되는 카메라가이드돌기(462a)가 구비되고, 전측은 안쪽으로 꺽어진 한 쌍의 카메라고정걸개(462b)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카메라지지부재(464)는 상기 카메라(310)의 후측을 감싸는 프레임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양측에는 후술할 카메라스프링(466)을 부착하고, 상기 카메라부(300)의 이동을 용이하도록 안내하는 카메라이동바(46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부에는 'T'형상의 고정해제판(464a)가 형성되어 있으며, 전방의 양 끝 모서리는 상기 카메라고정부재(462)의 카메라고정걸개(462b)가 걸릴 수 있도록 턱이 형성되어 상기 카메라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카메라고정턱(464a'')이 형성되고, 하부는 경사면의 형상으로 이루진 캠슬라이드해제턱(464a')이 형성되어 상기 탄성이 있는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을 후방으로 밀어서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서 빠져나오도록 한다. 상기 카메라스프링(466)은 상기 카메라지지부재(464)의 양 후측에 형성된 카메라이동바(464b)의 후측에 각각 부착되어 탄성으로 카메라부(300)를 전진이동하게 한다.
상기 구동블럭(미도시)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캠슬라이드(452)를 후진시키는 제1모터(미도시)와, 상기 카메라부(300)를 후진시키는 제2모터(미도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실시예3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해 동작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1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좌, 우측에서 전방으로 감시영역을 전환하여 촬영하는 동작원리도이다.
먼저, 도 11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에 위치한 한 쌍의 반사경(230)을 통해 좌, 우측의 감시영역에 대한 영상이 반사되어 카메라부(300)를 통해 촬영된다.
다음으로, 도 11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에서 전방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캠슬라이드(452)와 연결된 모터(미도시)가 구동되어 상기 캠슬라이드(452)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측에 연결된 캠슬라이드스프링(454)이 수축되고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방에 형성된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 캠슬라이드고정부재(456)의 전방에 사선면으로 형성된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이 수용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회전가이드돌기(224)가 사선형상인 반사경가이드홈(452a)을 따라 안내되어 반사경케이스(220)의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바깥 양측으로 각각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서로 평행하게 대향배치된다.
또한,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진에 따라 상기 캠슬라이드(452)에 형성된 카메라가이드홈(452b)이 후진되면서 상기 카메라가이드홈(452b)과 수용연결된 카메라가이드돌기(462a)가 직선형상에서 사선형상으로 이루어진 카메라가이드홈(452b)에 안내되어, 카메라가이드돌기(462a)가 형성된 카메라고정부재(462)의 일측이 바깥쪽 양측으로 휘어져 상기 카메라부(300)를 고정시키고 있던 카메라고정걸개(462b)가 양측으로 벌어진다.
따라서 도 11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벌어진 상기 카메라고정걸개(462b)에 의해 고정되어 있던 카메라부(300)가 한 쌍의 카메라이동바(464b)의 후측에 연결된 한 쌍의 카메라스프링(466)의 탄성으로 인해 전진되어 상기 카메라(310)의 시야를 확보하여, 좌, 우측에서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할 수 있게 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전방에서 좌, 우측으로 감시영역을 전환하여 촬영하는 동작원리도이다.
먼저, 도 12의 (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의 감시영역에 대한 영상이 입사하여 카메라부(300)를 통해 촬영된다.
다음으로, 도 12의 (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좌, 우측의 감시영역으로 전환하여 촬영하기 위하여 카메라부(300)에 연결된 모터(미도시)에 의해 카메라부(300)가 후진되면, 상기 카메라부(300)의 후측에 연결된 카메라지지부재(464)의 상부에 위치한 고정해제판(464a) 후측에 형성되어 있는 사선형태인 캠슬라이드해제 턱(464a')이 탄성재로 이루어지고 캠슬라이드고정부재(456) 전측에 형성되어 있는 사선면형태인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을 후방으로 밀어서 캠슬라이드(452)의 캠슬라이드걸림홈(452c)과 수용결합되어 있던 상태에서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서 후측으로 빠져나오게 한다.
이때,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 걸려서 수축되어 있던 캠슬라이드스프링(454)이 탄성에 의해 팽창하여 상기 캠슬라이드스프링(454)와 연결되어 있던 상기 캠슬라이드(452)가 전진되고, 이와 동시에 캠슬라이드(452)에 형성되어 있는 반사경가이드홈(452a)이 전진되어 상기 반사경가이드홈(452a)에 수용결합되어 있는 회전가이드돌기(224)가 직선형상의 반사경가이드홈(452a)에 안내된다.
또한, 상기 캠슬라이드(452)에 형성되어 있는 카메라가이드홈(452b)도 전진하여 상기 카메라가이드홈(452b)과 수용결합된 카메라가이드돌기(462a)가 사선형상의 상기 카메라가이드홈(452b)을 따라 안쪽으로 안내되어 카메라고정부재(462)의 일측이 안쪽으로 모인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고정부재(462)의 카메라고정걸개(462b)도 안쪽으로 모여 카메라지지부재(464)의 고정해제판(464a) 상부에 형성된 카메라고정턱(464a'')에 걸리면 상기 카메라부(300)를 고정시킬 수 있는 형상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캠슬라이드스프링(454)에 의해 상기 캠슬라이드(452)가 계속 전진되면, 도 12의 (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가이드돌기(224)가 사선형상의 반사경가이드홈(452a)에 안내되어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가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양측에서 안쪽으로 회전하여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 외측에 부착 된 한 쌍의 반사경(230)의 일측이 접하여 만나게 된다.
이와 연동되어 카메라스프링(466)의 탄성에 의해 카메라부(300)가 전진되어 카메라고정부재(462)의 카메라고정걸개(462a)가 카메라고정턱(464a'')에 걸려서 고정될 때까지 카메라부(300)가 전진된다. 즉, 상기 카메라부(300)는 상기 반사경부(200)의 후측까지 전진하며, 상기 반사경(230)을 통해 좌, 우측의 반사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캠슬라이드(452)를 후진하거나, 카메라부(300)를 후진시키는 것과 연동되어 단일한 카메라(310)와 한 쌍의 반사경(230)을 이용하여 센서나 스위치를 통해 전방과 좌, 우측의 감시영역을 전환시켜 감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이 가능하여 한 쌍의 반사경을 통한 좌, 우측과 전방의 감시영역을 선택하여 촬영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등록특허공보 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하나의 카메라로 전방과 한 쌍의 반사경을 통한 좌, 우측의 감시영역에 대한 시야를 확보하여 상황에 따른 최적의 감시범위를 선택하여 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방과, 좌, 우측의 감시영역을 확보하는데 하나의 카메라만 사용하여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차량에 장치시 차량의 미관을 손상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기존의 감시장치는 초기 장착시 감시하는 영역이 고정되어 상황에 따라 능동적인 감시장치의 선택이 불가능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최적화된 차량 주위를 감시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 삭제
- 차량에 설치되는 하우징(100)과;상기 하우징(100)에 내장되어 좌, 우측의 감시영역 및 전방의 감시영역을 촬영하는 카메라(310)를 포함하는 카메라부(300)와;상기 카메라부(300)의 전방에 위치하고, 양쪽의 일측을 중심으로 각각 회전가능하여 소정각도 경사져 좌, 우측의 영상을 상기 카메라부(300)로 반사시키는 한 쌍의 반사경(230)을 포함하는 반사경부(200); 및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의 회전과 연계되어 상기 카메라(310)의 전방 또는 좌, 우측의 감시영역의 시야각을 확보하기 위해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를 이동시키는 이동회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상기 반사경부(20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방에 위치하며, 전면과 양 측면이 개방되고, 후면에는 상기 카메라부가 출입할 수 있는 카메라홀(214)이 형성되고, 상면 및 하면에는 사선형상인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212)이 형성된 반사경하우징(210)과,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에 내장되며, 양쪽의 일측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반사경하우징(210)과 연결된 회전축(222)이 각각 형성되고, 양쪽의 타측 상단 또는 하단에는 상기 한 쌍의 회전가이드홈(212)에 각각 수용결합된 한 쌍의 회전가이드돌기(224)가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 및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양 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2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회전부(400)는;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상기 회전축(222)와 연결되고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는 스크류회전부재(410)와;상기 스크류회전부재(410)와 고정결합된 스크류(422)와, 상기 스크류(422)를 감싸는 코일스프링(424)과 상기 스크류(422)가 중앙에 관통결합된 스크류기어(426)와 상기 스크류기어(426)과 맞물리는 모터기어(427)로 이루어진 스크류이동부재(420);와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를 상기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미도시); 및상기 모터기어(427)과 연결되어 상기 스크류(422)에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72)로 이루어진 모터부재(470);로 이루어져좌, 우측에서 전방으로 감시영역을 전환시, 상기 모터부재(470)와 연결된 스크류회전부재(410)가 구동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하여 양외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상기 카메라부(300)가 스크류이동부재(42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에서 좌, 우측으로 감시영역을 전환시,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상기 카메라부(30)가 스크류이동부재(42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스크류회전부재(410)가 역방향으로 구동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하여 양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회전부재(410)는;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동시키기 위해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상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축(222)과 연결되고, 상기 코일스프링(424)보다 탄성강도가 약하며, 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에 의해 양외측으로 밀리는 토션스프링(412)과;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을 관통하고, 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하면에 형성된 회전키홈(226)에 연결되는 반사경날개(418)와;상기 반사경날개(418)를 회전시켜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는 후측의 모서리가 잘려진 슬라이드(414); 및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슬라이드(414)가 이동되는 거리를 제어하는 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하측외부에 형성된 슬라이드턱(41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이동회전부(400)는;상기 회전축(222)의 외주 일측에 형성된 전방의 극(432a)과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반대쪽의 외주 타측에 반대 극성을 가지는 후방의 극(432b) 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1전자석(432)과, 상기 제1전자석의 전방의 극(432a)과 마주보며 제1자석 전방의 우측의 극(434a)과 좌측의 극(434b)이 서로 다른 극을 띄며 위치하고, 상기 회전축(222)와 대칭되게 후방에 위치하여 서로 다른 극을 구비한 제1자석의 후방 우측의 극(434c)와 후방 좌측의 극(434d)으로 이루어진 제1자석(434)로 구성된 전자석회전부재(430)와;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후측에 연결된 제2전자석고정대(442)의 외측에 부착된 제2전자석(444)과, 상기 제2전자석(444)과 대면하는 제2자석(446)으로 이루어진 전자석이동부재(440)와;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카메라부(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미도시)와;상기 제1전자석(432)의 극성을 바꾸는 제1전원(482)와 제2전자석(444)의 전원의 극성을 바뀌는 제2전원(484)로 이루어진 전원부재(480)로 이루어져,좌, 우측에서 전방으로 감시영역을 전환시, 상기 전자석회전부재(43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하여 양외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상기 카메라부(300)가 전자석이동부재(44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양측에 배치되고, 전방에서 좌, 우측으로 감시영역을 전환시, 상기 반사경부(200) 또는 상기 카메라부(300)가 전자석이동부재(440)에 의해 이동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전자석회전부재(430)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회전축(222)을 중심으로 하여 양내측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전자석이동부재(440)는;상기 반사경하우징(210)의 후면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 후방을 향하는 막대형상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제2전자석고정대(442)와;상기 제2전자석고정대(442)의 외측에 설치되어 양극으로 구성된 한 쌍의 제2전자석(444) 및;상기 카메라부(300) 후측과 연결되어, 제2전자석(444)에 대향하여 위치하며, 상기 제2전자석(444)의 전방의 극(444a)와 후방의 극(444b)의 자성과 반대극으로 이루어진 제2자석의 전방의 극(446a)와 중간의 극(446b)가 구비되고, 후측에 전방의 자성과 같은 극성을 가지는 제2전자석의 후방의 극(446c)가 추가된 제2자석(446)으로 이루어져, 자성이 바뀐 상기 제2전자석(444)과 상기 제2자석(446)의 상호간 자력에 의해 상기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카메라부(300) 또는 반사경부(200)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반사경부(200)는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양쪽 일측 상단 및 하단에는 상기 하우징(100)과 연결된 회전축(222)이 각각 형성되고, 타측 상단 및 하단에는 한 쌍의 회전가이드돌기(224)가 각각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 및상기 한 쌍의 반사경케이스(220)의 양외측에 부착된 한 쌍의 반사경(2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300)는,상기 이동회전부(400)에 의해 상기 반사경부(2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으로 사이로 이동되거나, 상기 반사경부(200)의 후방으로 이동되어 상기 반사경부의 반사된 영상을 촬영하기 위해 상기 이동회전부(400)와 연결되어 전, 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회전부(400)는,상기 회전가이드돌기(224)와 수용결합되고 사선으로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가이드홈(452a)과 상기 카메라부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전, 후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된 한 쌍의 카메라가이드홈(452b)과 좌, 우방향의 직선으로 형성된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이 형성된 캠슬라이드(452)와,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측에 연결된 캠슬라이드스프링(454)과,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홈(452c)에 수용결합되는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이 형성된 캠슬라이드고정부재(456)로 이루어진 캠슬라이드블럭(450)과;상기 카메라부(30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가이드홈(452b)과 수용결합되는 카메라가이드돌기(462a)와 상기 카메라부(300)를 고정시키거나 상기 고정을 해제시키는 카메라고정걸개(462b)가 형성되어 한 쌍으로 이루어진 카메라고정부재(462)와, 상기 캠슬라이드걸림턱(456a)을 후방으로 밀어내는 캠슬라이드해제턱(472a')과 상기 카메라고정걸개(462b)가 걸쳐져 상기 카메라부(300)를 고정시키 는 카메라고정턱(464a'')이 형성된 고정해제판(464a)가 상부에 형성되고, 양측으로 상기 카메라(300)의 이동을 안내하는 카메라이동바(472b)를 구비하는 카메라지지부재(464)와, 상기 카메라부(300)가 탄성으로 전진하기 위한 카메라스프링(466)으로 이루어진 카메라블럭(460); 및 상기 캠슬라이드(452)와 카메라부(300)을 이동시키는 구동부재(미도시);로 이루어져,좌, 우측에서 전방의 감시영역으로 전환시,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진에 의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양외측으로 회전되고 상기 캠슬라이드(452)의 후진과 상기 카메라스프링(466)에 의해 카메라부(300)가 전진되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상기 카메라부(300)의 양측에 위치되고, 전방에서 좌, 우측으로 전환시, 상기 구동부재에 의해 상기 카메라부(300)가 후진되고 상기 캠슬라이드(452)를 통해 상기 한 쌍의 반사경(230)이 회전하여 각각의 일측이 접하고, 상기 카메라부(300)가 상기 반사경부(200)의 후측까지 전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미도시)는;상기 하우징의 후방에 위치하며, 상기 캠슬라이드(452)와 연결되어 후진시키는 제1모터와;상기 카메라부(300)와 연결되어 후진시키는 제2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2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는, 상황별로 설정된 모드에 따른 스위치 또는 차량 주위의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2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는, 상기 카메라(310)가 촬영한 영상을 표출하는 디스플레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제2항 내지 제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는, 상기 카메라(310)가 촬영한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859A KR100837316B1 (ko) | 2007-01-16 | 2007-01-16 |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4859A KR100837316B1 (ko) | 2007-01-16 | 2007-01-16 |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7316B1 true KR100837316B1 (ko) | 2008-06-12 |
Family
ID=3977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4859A KR100837316B1 (ko) | 2007-01-16 | 2007-01-16 |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7316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733B1 (ko) * | 2010-04-30 | 2012-03-2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고온용 보어스코프 |
KR101278040B1 (ko) | 2012-04-02 | 2013-06-27 | 팽정희 | 자동 돌출식 반사경이 설치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
KR101395312B1 (ko) * | 2012-12-16 | 2014-05-16 | 팽정희 | 크랭크와 가이드레일에 의해 반사경이 구동되는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
KR101410361B1 (ko) * | 2012-10-19 | 2014-06-24 | 팽정희 | 링크구동에 의한 반사경 구동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
CN118383820A (zh) * | 2024-06-28 | 2024-07-26 | 杭州市余杭区第一人民医院 | 一种手术室护理的寻针设备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5302A (ko) * | 2005-05-06 | 2006-01-17 | 장혁진 |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
-
2007
- 2007-01-16 KR KR1020070004859A patent/KR10083731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05302A (ko) * | 2005-05-06 | 2006-01-17 | 장혁진 |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1733B1 (ko) * | 2010-04-30 | 2012-03-22 |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 고온용 보어스코프 |
KR101278040B1 (ko) | 2012-04-02 | 2013-06-27 | 팽정희 | 자동 돌출식 반사경이 설치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
KR101410361B1 (ko) * | 2012-10-19 | 2014-06-24 | 팽정희 | 링크구동에 의한 반사경 구동기능이 구비된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
KR101395312B1 (ko) * | 2012-12-16 | 2014-05-16 | 팽정희 | 크랭크와 가이드레일에 의해 반사경이 구동되는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영상정보장치 |
CN118383820A (zh) * | 2024-06-28 | 2024-07-26 | 杭州市余杭区第一人民医院 | 一种手术室护理的寻针设备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7316B1 (ko) |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 |
US20180001836A1 (en) | Inner rear-view mirror system for automobile with cameras | |
JP6517711B2 (ja) | 自動車用リアビューミラーアセンブリ及びシステム、並びに設置方法 | |
JP3727078B2 (ja) | 表示装置 | |
US20100033570A1 (en) | Driver observation and security system and method therefor | |
CN109606262A (zh) | 图像显示装置 | |
JP5033398B2 (ja) | 監視カメラ装置 | |
JP4058983B2 (ja) | 車載全方位カメラ | |
JP2011189775A (ja) | 車両の後側方確認装置 | |
KR101951685B1 (ko) | 차량용 사이드카메라 장치 | |
KR100792933B1 (ko) | 자동차용 룸미러 및 이를 구비한 후방감지시스템 | |
JP2005145151A (ja) | 車両周辺確認補助装置および車両周辺映像表示方法 | |
JPH02208144A (ja) | 車両用監視装置 | |
KR100913643B1 (ko) | 매너 백미러 장치 | |
KR100717894B1 (ko) | 팬/틸트 카메라 | |
KR101188564B1 (ko) | 협각렌즈와 광각렌즈를 이용한 폐쇄회로 카메라 시스템 및 그 구현방법 | |
JP2007137098A (ja) | 車両の後方視認装置 | |
TWM556048U (zh) | 具最適化監視影像之運輸載具的監控系統 | |
KR101200265B1 (ko) | 카메라가 장착된 차량용 룸미러 조립체 | |
JP2006103663A (ja) | 撮像装置付きドアミラー | |
JP2000125156A (ja) | 周辺確認用電子カメラ装置 | |
JP2000098457A (ja) | 視野切替え装置付き電子カメラ装置 | |
JP2000004385A (ja) | 多方向撮影装置 | |
CN210478631U (zh) | 汽车外倒后镜镜片防盗装置 | |
JP2001350181A (ja) | 車載カメ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1031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