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05302A -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05302A
KR20060005302A KR1020050123000A KR20050123000A KR20060005302A KR 20060005302 A KR20060005302 A KR 20060005302A KR 1020050123000 A KR1020050123000 A KR 1020050123000A KR 20050123000 A KR20050123000 A KR 20050123000A KR 20060005302 A KR20060005302 A KR 2006000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reflector
vehicle
view
dri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혁진
Original Assignee
장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혁진 filed Critical 장혁진
Publication of KR2006000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05302A/ko
Priority to PCT/KR2006/0008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06104317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B60R1/083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 B60R1/085Anti-glare mirrors, e.g. "day-night" mirrors using a combination of interchangeable reflecting surfaces, e.g. reversible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09Multifaceted or polygonal mirrors, e.g. polygonal scanning mirrors; Fresnel 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53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cameras, video cameras or video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를 자동으로 확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나 주차시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의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를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반사경으로 확보하여 카메라를 통해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설치된 모니터에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경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시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양측 사이드밀러설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에 따라 측후방과 측전방과 측하방의 시야 중의 하나 이상을 비추도록 측면이 제1경과 제2경과 제3경과 제4경과 제5경 및 제6경으로 분할된 다면체인 한 쌍의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에 비친 화상을 입력하기 위해 차량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 입력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모니터와; 상기 반사경을 설정된 임의의 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시켜 카메라에 입력되는 화상을 변화시키는 반사경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이 제공된다.
자동차, 시야확보, 반사경, 카메라, 모니터, 반사경제어부

Description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A view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nd its displaying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반사경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카메라와 반사경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카메라와 반사경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카메라와 반사경의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카메라와 반사경의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모니터의 다양한 디스플레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확보된 시야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제1경 2: 제2경 3: 제3경
4: 제4경 5: 제5경 6: 제6경
10: 반사경 20: 카메라 30: 모니터
40: 반사경제어부 S: 사이드밀러설치부
본 발명은 운전자의 시야를 자동으로 확보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주행시나 주차시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의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를 차량의 측면에 설치된 반사경으로 확보하여 카메라를 통해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설치된 모니터에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함과 아울러 상기 반사경의 제어를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시야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주행시나 주차시 주행하는 다른 차량이나 주차된 다른 차량 및 구조물을 확인하기 위해 차량 양측의 사이드밀러나 운전석의 룸밀러 등을 통해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때에서 반드시 사이드밀러나 룸밀러를 주시하면서 동시에 전방의 시야도 주시해야지만 안전하게 차선변경이나 주차를 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차량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밀러의 전측과 후측에 카메라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카메라의 입력을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를 운전석의 전면에 설치함에 따라, 운전자가 의도적으로 사이드밀러를 주시하지 않고 도 상기 모니터를 보면서 측전방 및 측후방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때에는 확보하고자 하는 시야의 개수만큼 카메라를 설치해야함에 따라 그 설치비용이 많이 들어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카메라에 의해 확보된 시야를 모니터에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하여 운전자가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의 설치수도 줄여 설치비용을 저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양측 사이드밀러설치부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에 따라 측후방과 측전방과 측하방의 시야 중의 하나 이상을 비추도록 측면이 제1경과 제2경과 제3경과 제4경과 제5경 및 제6경으로 분할된 다면체인 한 쌍의 반사경과; 상기 반사경에 비친 화상을 입력하기 위해 차량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와; 상기 카메라로 입력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모니터와; 상기 반사경을 설정된 임의의 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시켜 카메라에 입력되는 화상을 변화시키는 반사경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 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반사경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과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의 반사경의 회전각도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반사경의 회전각도에 따른 작용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모니터의 다양한 디스플레이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해 확보된 시야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양측 사이드밀러설치부(S)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에 따라 측후방과 측전방과 측하방의 시야 중의 하나 이상을 비추도록 측면이 제1경(1)과 제2경(2)과 제3경(3)과 제4경(4)과 제5경(5) 및 제6경(6)으로 분할된 다면체인 한 쌍의 반사경(10)과; 상기 반사경(10)에 비친 화상을 입력하기 위해 차량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20)와; 상기 카메라(20)로 입력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모니터(30)와; 상기 반사경(10)을 설정된 임의의 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시켜 카메라(20)에 입력되는 화상을 변화시키는 반사경제어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사경(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1)과 제3경(3) 및 제5경(5)은 평거울로 형성되고, 제2경(2)과 제4경(4) 및 제6경(6)이 오목거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10)의 제6경(6)은 제4경(4)과 제5경(5)의 하측에 분할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반사경(10)은 분할된 구조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회전되게 구성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직으로 회전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 분할된 구조도 다수개의 평거울과 오목거울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은 운전자가 사이드밀러를 의도적으로 주시하지 않고도 차량의 양측면에 설치된 반사경(10)에 비친 차량의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화상이 카메라(20)를 통해 운전석의 전면에 설치된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모니터(30)를 주시하면서 더욱 편리하고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게 한 것으로, 특히 상기 카메라(20)의 설치수를 줄여 그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상기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도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됨과 아울러 운전자가 원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차량의 양측 사이드밀러설치부(S)에 각각 제1경(1)과 제2경(2)과 제3경(3)과 제4경(4)과 제5경(5) 및 제6경(6)으로 분할 형성된 한 쌍의 반사경(10)이 설치되고, 상기 반사경(10)에 비친 화상이 입력되는 한 쌍의 카메라(20)가 반사경(10)과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차량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20)로 입력된 화상이 디스플레이되는 한 쌍의 모니터(30)가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됨에 따라, 상기 반사경(10)에 비친 화상이 실시간으로 카메라(20)에 입력되고, 입력된 화상은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됨으로써, 운전자가 사이드밀러를 의도적으로 주시하지 않고도 상기 모니터(30)를 보면서 주행시나 주차시 에 필요한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반사경(10)은 사이드밀러설치부(S)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회전각도는 반사경제어부(40)를 통해 3단계로 설정할 수 있고, 6개의 거울인 제1경(1)과 제2경(2)과 제3경(3)과 제4경(4)과 제5경(5) 및 제6경(6)으로 분할되어 있는데, 상기 제1경(1)과 제3경(3) 및 제5경(5)은 반사경(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차량의 측후방의 시야를 비추게 되고, 상기 제2경(2)과 제4경(4)은 반사경(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차량의 측전방의 시야를 비추게 되며, 상기 제6경(6)은 반사경(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차량의 측하방의 시야를 비추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반사경제어부(40)를 통해 3단계로 된 반사경(10)의 회전각도를 임의로 설정하게 되면, 그 설정에 따라 반사경(10)에 비친 화상이 카메라(20)를 통해 모니터(30)에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됨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에게 모니터(30)를 통하여 차량의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먼저 반사경(10)의 위치가 반사경제어부(40)의 설정에 의해 1단계인 도 3과 같이 되면, 반사경(10)의 각도에 의해 제1경(1)만이 카메라(20)에 화상을 제공하게 되어, 제1경(1)에 비친 화상만이 카메라(20)에 입력됨에 따라,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경(1)에 비친 측후방의 시야가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된다.
반사경(10)의 위치가 반사경제어부(40)의 설정에 의해 2단계인 도 4와 같이 되면, 이때는 반사경(10)의 각도에 의해 제2경(2)과 제3경(3)이 카메라(20)에 화상을 제공하게 되어, 제2경(2)과 제3경(3)에 비친 화상이 동시에 카메라(20)에 입력 됨에 따라,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경(2)에 비친 측전방의 시야와, 제3경(3)에 비친 측후방의 시야가 동시에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된다.
반사경(10)의 위치가 반사경제어부(40)의 설정에 의해 3단계인 도 5와 같이 되면, 이때는 반사경(10)의 각도에 의해 제4경(4)과 제5경(5)이 카메라(20)에 화상을 제공하게 되어, 제4경(4)과 제5경(5)에 비친 화상이 동시에 카메라(20)에 입력됨에 따라, 제4경(4)에 비친 측전방의 시야와, 제5경(5)에 비친 측후방의 시야가 동시에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된다.
이때 상기 제4경(4)과 제5경(5)의 하측에 제6경(6)이 분할 형성됨에 따라, 제6경(6)이 카메라(20)에 화상을 제공하게 되어, 도 7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3단계에서는 제6경(6)에 비친 측하방의 시야도 측전방과 측후방의 시야와 동시에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된다.
상기와 같이 3단계로 설정된 반사경(10)의 회전각도를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습관이나 운전상황에 적합하도록 반사경제어부(40)를 통해 설정함으로써, 운전자는 보다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반사경(10)의 회전각도에 따라 측전방의 시야를 비추는 제2경(2)과 제4경(4)과, 측하방의 시야를 비추는 제6경(6)은 모두 오목거울로 형성되는데, 이는 실제로 비추는 화상을 좌우반전 또는 상하반전시켜 카메라(20)를 통해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이다.
만약 상기 제2경(2)과 제4경(4) 및 제6경(6)이 평거울로 형성되어 있다면, 이에 비친 화상은 좌우반전 또는 상하반전 없이 그대로 카메라(20)에 입력되고, 카 메라(20)에 입력된 화상은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될 때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운전자의 시점과 좌우반전 또는 상하반전된 상태로 디스플레이되어, 운전자는 이를 보고 역으로 방향전환을 해야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측전방과 측하방의 시야도 측후방의 시야와 동일하게 운전자의 시점으로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되게 제2경(2)과 제4경(4) 및 제6경(6)을 오목거울로 형성함으로써, 상기와 같이 운전자가 주행시나 주차시에 방향전환을 역으로 해야하는 불편함을 완전히 해소시켜 더욱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은 주행시나 주차시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의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를 반사경(10)으로 확보한 후 카메라(20)를 통해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30)에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습관이나 상황에 맞게 반사경(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 중의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운전이나 주차시에 필요한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하여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행시나 주차시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차량의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를 반사경(10) 으로 확보한 후 카메라(20)를 통해 운전석에 설치된 모니터(30)에 운전자의 시점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운전자가 자신의 운전습관이나 상황에 맞게 반사경(10)의 위치를 제어하여 측전방과 측후방 및 측하방의 시야 중의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게 됨으로써, 주행시나 주차시 주변의 차량이나 구조물 등에 의해 시야 확보가 어려운 상황이나 어두운 야간 뿐만 아니라 외부와의 온도차에 의해 성에 등이 유리창에 맺히는 상황에서도 사이드밀러를 의도적으로 주시하지 않고도 운전이나 주차시에 필요한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어, 더욱 안전하고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양측 사이드밀러설치부(S)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위치에 따라 측후방과 측전방과 측하방의 시야 중의 하나 이상을 비추도록 측면이 제1경(1)과 제2경(2)과 제3경(3)과 제4경(4)과 제5경(5) 및 제6경(6)으로 분할된 다면체인 한 쌍의 반사경(10)과; 상기 반사경(10)에 비친 화상을 입력하기 위해 차량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카메라(20)와; 상기 카메라(20)로 입력된 화상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운전석의 전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한 쌍의 모니터(30)와; 상기 반사경(10)을 설정된 임의의 각도에 따라 단계적으로 회전시켜 카메라(20)에 입력되는 화상을 변화시키는 반사경제어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반사경(10)의 제1경(1)과 제3경(3) 및 제5경(5)은 평거울로 형성되고, 반사경(10)의 제2경(2)과 제4경(4) 및 제6경(6)은 오목거울로 형성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반사경(10)의 제6경(6)은 제4경(4)과 제5경(5)의 하측에 분할 형성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4. 회전각도에 따라 차량 측후방과 측전방 및 측하방의 시야를 비추는 반사경(10)의 제1경(1)과 제2경(2)과 제3경(3)과 제4경(4)과 제5경(5)과 제6경(6)에 비친 화상을 실시간으로 카메라(20)로 입력하고, 입력된 반사경(10)에 비친 화상을 운전자의 시점으로 모니터(30)에 디스플레이하되, 상기 반사경(10)의 각도를 반사경제어부(40)의 제어를 통해 측후방과 측전방 및 측하방의 시야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함을 특징으로 한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방법.
KR1020050123000A 2005-03-29 2005-12-14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KR200600053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6/000815 WO2006104317A1 (en) 2005-03-29 2006-03-08 A view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nd its displaying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116 2005-05-06
KR20050038116 2005-05-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05302A true KR20060005302A (ko) 2006-01-17

Family

ID=37117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3000A KR20060005302A (ko) 2005-03-29 2005-12-14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05302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0365A1 (de) * 2006-06-28 2008-0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mera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KR100837316B1 (ko) * 2007-01-16 2008-06-12 신형호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KR100896846B1 (ko) * 2008-03-26 2009-05-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편광거울을 이용한 차량용 사각 감지장치
KR102457633B1 (ko) * 2022-01-26 2022-10-21 이상배 차량 외부 측전방 상태 확인 장치
WO2023158233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킥엠테크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00365A1 (de) * 2006-06-28 2008-0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amera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US9429816B2 (en) 2006-06-28 2016-08-3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Camera system for a motor vehicle
KR100837316B1 (ko) * 2007-01-16 2008-06-12 신형호 차량주위의 시야확보용 감시장치
KR100896846B1 (ko) * 2008-03-26 2009-05-12 한국오므론전장주식회사 편광거울을 이용한 차량용 사각 감지장치
KR102457633B1 (ko) * 2022-01-26 2022-10-21 이상배 차량 외부 측전방 상태 확인 장치
WO2023146071A1 (ko) * 2022-01-26 2023-08-03 이상배 차량 외부 측전방 상태 확인 장치
WO2023158233A1 (ko) * 2022-02-17 2023-08-24 주식회사 킥엠테크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 번호 인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79829A1 (en) Multi-functional side rear view mirror for vehicles
JP2003312359A (ja) 車輌の後方認識装置
CN101479130A (zh) 车辆视觉系统
KR20160091293A (ko) 차량용 사이드 미러 카메라 시스템
KR20060005302A (ko)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 및 그 디스플레이방법
CN210191328U (zh) 一种电子流媒体后视镜系统
CN101795894A (zh) 车载显示装置及车载显示用程序
JP2003104123A (ja) 車両用ミラー装置
JP2017065388A (ja) 電子ミラー装置、表示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4015658A (zh) 车用后视环景抬头显示装置
WO2004011302A2 (en) Friction hinge assembly for a mirror of a display unit
JP3404427B2 (ja) 車両の表示装置
CN112930282A (zh) 用于在盲点中观察的系统和过程
WO2006104317A1 (en) A view guarantee system for vehicle and its displaying method
KR100714792B1 (ko) 차량용 시야 확보 시스템의 디스플레이방법
JP7055559B2 (ja) 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装置
JP3716999B2 (ja) 車両用カメラ
JPH07186831A (ja) 自動車の後側方監視装置
KR20110087085A (ko) 카메라 영상 표시 기능이 구비된 차량용 사이드 미러 시스템
KR20120119704A (ko) 후방 카메라를 이용한 차선변경시스템 및 차선변경방법
JP4033170B2 (ja) 車両用表示装置
CN113316525A (zh) 平视显示装置
JP3305417B2 (ja) 車両左右方向死角モニター
CN210191327U (zh) 车用盲区显示装置
TWI543893B (zh) Anti-corner warning auxiliary mirr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