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5333B1 -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Google Patents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835333B1 KR100835333B1 KR1020070002309A KR20070002309A KR100835333B1 KR 100835333 B1 KR100835333 B1 KR 100835333B1 KR 1020070002309 A KR1020070002309 A KR 1020070002309A KR 20070002309 A KR20070002309 A KR 20070002309A KR 100835333 B1 KR100835333 B1 KR 1008353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witch
- protrusion
- pedal arm
- housing
- switch lev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59/20—Kickdow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페달암(3)의 회전각에 따라 스위치레버부재(20)의 돌기접촉로드(2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오버랩돌기(43a)를 통해 운전자에게 킥 다운(kick down)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에 장착된 킥 다운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스위치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2의 Ⅰ-Ⅰ선 부분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스위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페달암하우징 3 - 페달암
5 - 킥 다운스위치 10 - 스위치하우징부재
20 - 스위치레버부재 30 - 스프링부재
40 - 오버랩플레이트부재 43a - 오버랩돌기
본 발명은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하여 조작감 향상 및 피 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 차량에는 주행시 급 가속 및 추월 상황에서 보다 신속한 주행을 할 수 있도록 수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다운(shift down)과 같은 킥 다운(kick down) 기능이 부여되어 있다.
자동변속기 차량에서의 킥 다운(kick down)은 D(주행)모드에서도 급속하게 가속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운전자가 가속페달을 힘껏 밟아(kick) 스로틀 밸브가 활짝 개방되면 수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다운(shift down)과 같은 원리로 이후의 변속이 저단으로 자동 변속되면서 빠른 시간내에 가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최근의 모든 자동변속기 차량에는 상기와 같은 킥 다운 기능이 부여되어 있는 반면, 가속페달을 통해 운전자에게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는 기능은 미비하여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은 주행중 발생하는 킥 다운 조작감을 운전자에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도록 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킥 다운스위치는, 대시패널과 결합되는 부위의 페달암하우징과 마주 대하도록 페달암에 고정 장착되는 스위치하우징부재와; 상기 페달암이 대시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페달암하우징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레버부재와;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내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 및 상기 스위치레버부재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의 회전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와;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의 회전각에 따라 스위치레버부재와의 선택적인 접촉에 의해 스위치레버부재에 반력을 제공하여 페달암을 통해 운전자에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오버랩돌기가 일체로 형성된 오버랩플레이트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스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스위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에 장착된 구성인 바, 상기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는 운전자의 조작감 향상과 피로감 감소 및 경제성과 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본 출원인이 2005년 12월 13일자로 출원한 출원번호 10-2005-0122740호 및 10-2005-0122741호에 자세하게 기재한 바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의 대시패널(미도시)에 고정 장착되는 페달암하우징(1)과, 상기 페달암하우 징(1)에 일단이 회동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에는 페달(3a)이 일체로 구비된 페달암(3)이 외관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스위치(5)는 상기 페달암(3)에 장착된 구성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킥 다운스위치(5)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 하부에서 대시패널과 결합되는 부위(1a)의 페달암하우징(1)과 마주 대하도록 페달암(3)에 고정 장착되는 스위치하우징부재(10)와, 상기 페달암(3)이 대시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페달암하우징(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레버부재(2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내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 및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회전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3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회전각에 따라 스위치레버부재(20)와의 선택적인 접촉에 의해 스위치레버부재(20)에 반력을 제공하여 페달암(3)을 통해 운전자에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오버랩돌기(43a)가 일체로 형성된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는 페달암(3)에 마련된 수용공간(미도시)으로 삽입된 후 용접 결합됨으로써 장착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는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동작을 위해 내부에 작동공간(11)을 구비한 직육면체의 모양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작동 공간(11)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일부구간이 상기 페달암하우징(1)을 향해 돌출되는 레버구멍(12)과, 상기 레버구멍(12)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양쪽의 측면으로 절개되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구멍(13)과, 상기 작동공간(11)내에 위치한 스위치레버부재(20)의 일단이 향하는 모서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작동공간(1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가 끼워지는 플레이트삽입구멍(14)과, 상기 플레이트삽입구멍(14)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작동공간(1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가 플레이트삽입구멍(14)으로 삽입될 때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구멍(15)을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는, 상기 힌지구멍(13)으로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돌기(21)와, 상기 힌지돌기(21)로부터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전시 그 끝단이 상기 오버랩돌기(43a)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돌기접촉로드(22)와, 상기 힌지돌기(21)로부터 레버구멍(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윗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3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스프링홈(23a)이 형성된 스프링결합돌기(23)와, 상기 스프링결합돌기(23)에서 레버구멍(12)을 관통하여 페달암하우징(1)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전시 밑면이 페달암하우징(1)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하우징접촉돌기(24)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는 스프링끼움돌기(1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인 바, 상기 스프링끼움돌기(16)는 상기 스프링결합돌기(23)에 형성된 스프링홈(23a)과 일직선으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서 상기 스프링홈(23a)을 향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구조로서, 여기에는 상기 스프링부재(30)의 상단이 끼워져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는, 상기 플레이트삽입구멍(14)으로 끼워져서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의 외관을 이루는 기역(ㄱ)자 단면 형상의 몸체부(41)와, 상기 몸체부(41)의 양단에서 니은(ㄴ)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공간(11)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결합구멍(15)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부(42)와, 상기 몸체부(41)의 양단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41)가 플레이트삽입구멍(14)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의 작동공간(11)내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돌기접촉로드(2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오버랩돌기(43a)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부(4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의 상태는 페달(3a)에 답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이고 아울러 페달암(3)이 페달암하우징(1)에 대해 회동하지 않는 상태이다.
이때, 스위치레버부재(20)의 하우징접촉돌기(24)는 페달하우징(1)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상기의 상태에서 페달(3a)에 답력이 가해지고 이때의 답력에 의해 페달암(3)이 페달암하우징(1)에 대해 회동하게 되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하우징접촉 돌기(24)는 상기 페달하우징(1)과 접촉하여 도 5의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는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도 4의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해 돌기접촉로드(22)의 선단은 오버랩돌기(43a)와 접촉하기 직전의 상태에 이르게 된다.
도 5의 상태에서 페달(3a)에 가해지는 답력이 더 커지면 페달암(3)의 회전각은 더욱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스위치레버부재(20)의 반시계 방향 회전은 도 5의 상태일 때 보다 더 회전하여 최종적으로 도 7과 같은 상태에 이르게 된다.
한편, 스위치레버부재(20)의 반시계 방향 회전시 돌기접촉로드(22)의 선단이 오버랩돌기(43a)의 최대 돌출부와 접촉하여 도 6과 같은 상태가 되면, 스위치레버부재(20)를 통해 페달암하우징(1)을 밀어주는 힘이 발생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 페달암하우징(1)은 대시패널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이므로 상기 페달암하우징(1)은 밀리지 않게 되고, 반대로 상기 페달암하우징(1)의 밀리는 힘은 스위치레버부재(20)를 통해 실질적으로 스위치하우징부재(10)에 반력으로서 나타나게 되며, 이때의 반력은 페달암(3)을 통해 운전자에게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페달암(3)을 통해 킥 다운(kick down)상태의 조작감을 전달받게 됨으로써, 페달암(3)의 조작에 따른 킥 다운 시점을 정확하게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운전자에게 조작감 향상을 부여할 수 있게 되고, 또한 페달암(3) 조작에 따른 피로감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장점이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운전자가 페달(3a)에 최대의 답력을 가했을 때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는 운전자가 킥 다운(kick down)상태의 조작감을 느낀 이후의 상태이므로, 운전자는 필요이상의 더 큰 답력을 가해주지 않게 된다.
이후, 운전자가 페달(3a)에 가했던 답력을 제거하게 되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던 스위치레버부재(20)는 스프링부재(30)의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도 3과 같은 최초의 상태로 복귀한 후, 다음번의 동작을 준비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킥 다운스위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에 장착되어 페달암의 조작에 따라 운전자에게 킥 다운(kick down) 조작감을 부여할 수 있게 됨으로써, 조작감 향상 및 피로감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되고 아울러 안정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만족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5)
- 삭제
- 삭제
- 대시패널과 결합되는 부위(1a)의 페달암하우징(1)과 마주 대하도록 페달암(3)에 고정 장착되는 스위치하우징부재(10)와, 상기 페달암(3)이 대시패널을 향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페달암하우징(1)과 접촉할 수 있도록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에 힌지 회전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스위치레버부재(2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내에 위치하면서 양단이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 및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에 각각 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회전에 탄력적인 복원력을 부여하는 스프링부재(30)와,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에 고정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회전각에 따라 스위치레버부재(20)와의 선택적인 접촉에 의해 스위치레버부재(20)에 반력을 제공하여 페달암(3)을 통해 운전자에 킥 다운 조작감을 부여하도록 오버랩돌기(43a)가 일체로 형성된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는,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동작을 위해 내부에 작동공간(11)을 구비한 직육면체의 모양으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작동공간(11)과 외부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면서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일부구간이 상기 페달암하우징(1)을 향해 돌출되는 레버구멍(12)과, 상기 레버구멍(12)에서 서로 마주 대하는 양쪽의 측면으로 절개되어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구멍(13)과, 상기 작동공간(11)내에 위치한 스위치레버부재(20)의 일단이 향하는 모서리에서 직각 방향으로 절개되어 상기 작동공간(1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가 끼워지는 플레이트삽입구멍(14)과, 상기 플레이트삽입구멍(14)의 양단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작동공간(11)과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가 플레이트삽입구멍(14)으로 삽입될 때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의 양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플레이트결합구멍(15)을 구비하도록 형성되고;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는, 상기 힌지구멍(13)으로 끼워져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돌기(21)와, 상기 힌지돌기(21)로부터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를 향해 경사지게 돌출 형성되는 한편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전시 그 끝단이 상기 오버랩돌기(43a)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돌기접촉로드(22)와, 상기 힌지돌기(21)로부터 레버구멍(12)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편 그 윗면에는 상기 스프링부재(30)의 하단이 끼워지도록 스프링홈(23a)이 형성된 스프링결합돌기(23)와, 상기 스프링결합돌기(23)에서 레버구멍(12)을 관통하여 페달암하우징(1)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힌지돌기(21)를 중심으로 회전시 밑면이 페달암하우징(1)과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하우징접촉돌기(24)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에는,상기 스프링결합돌기(23)에 형성된 스프링홈(23a)과 일직선으로 마주 대하는 위치에 스프링끼움돌기(16)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부재(30)의 상단이 끼워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버랩플레이트부재(40)는,상기 플레이트삽입구멍(14)으로 끼워져서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의 외관을 이루는 기역(ㄱ)자 단면 형상의 몸체부(41)와;상기 몸체부(41)의 양단에서 니은(ㄴ)자 모양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작동공간(11)을 통해 상기 플레이트결합구멍(15)으로 끼워져 결합되는 결합돌기부(42)와;상기 몸체부(41)의 양단을 대각선 방향으로 연결하여 상기 몸체부(41)가 플레이트삽입구멍(14)으로 끼워졌을 때 상기 스위치하우징부재(10)의 작동공간(11)내 에 위치하는 한편 상기 스위치레버부재(20)의 돌기접촉로드(22)와 선택적으로 접촉하는 오버랩돌기(43a)가 일체로 형성된 보강부(4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309A KR100835333B1 (ko) | 2007-01-09 | 2007-01-09 |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02309A KR100835333B1 (ko) | 2007-01-09 | 2007-01-09 |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835333B1 true KR100835333B1 (ko) | 2008-06-04 |
Family
ID=39770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02309A KR100835333B1 (ko) | 2007-01-09 | 2007-01-09 |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835333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200B1 (ko) | 2007-09-11 | 2009-01-0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KR101294196B1 (ko) | 2011-12-14 | 2013-08-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
KR101309911B1 (ko) | 2011-02-09 | 2013-09-17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연료 소모를 줄이는 가속 페달 |
KR101356147B1 (ko) | 2011-12-14 | 2014-01-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
KR20160061683A (ko) * | 2014-11-24 | 2016-06-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킥다운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액셀페달 |
KR101646448B1 (ko) * | 2015-02-11 | 2016-08-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
KR20220022724A (ko) * | 2020-08-19 | 2022-02-28 | 경창산업주식회사 | 킥다운 스위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4899A (ja) * | 2003-06-05 | 2005-01-20 | Mikuni Corp | アクセルペダル装置 |
KR100614524B1 (ko) | 2005-08-22 | 2006-08-25 | (주) 동희산업 |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
KR20070047644A (ko) * | 2005-11-02 | 2007-05-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가속 페달의 킥다운 스위치 구조 |
-
2007
- 2007-01-09 KR KR1020070002309A patent/KR10083533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14899A (ja) * | 2003-06-05 | 2005-01-20 | Mikuni Corp | アクセルペダル装置 |
KR100614524B1 (ko) | 2005-08-22 | 2006-08-25 | (주) 동희산업 | 가속페달의 반력 조절 장치 |
KR20070047644A (ko) * | 2005-11-02 | 2007-05-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가속 페달의 킥다운 스위치 구조 |
Cited B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77200B1 (ko) | 2007-09-11 | 2009-01-07 | 주식회사 동희산업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KR101309911B1 (ko) | 2011-02-09 | 2013-09-17 | 르노삼성자동차 주식회사 | 연료 소모를 줄이는 가속 페달 |
KR101294196B1 (ko) | 2011-12-14 | 2013-08-08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
KR101356147B1 (ko) | 2011-12-14 | 2014-01-2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의 답력 조절장치 |
KR20160061683A (ko) * | 2014-11-24 | 2016-06-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킥다운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액셀페달 |
KR101684000B1 (ko) | 2014-11-24 | 2016-12-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킥다운 스위치 및 이를 적용한 액셀페달 |
KR101646448B1 (ko) * | 2015-02-11 | 2016-08-05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
KR20220022724A (ko) * | 2020-08-19 | 2022-02-28 | 경창산업주식회사 | 킥다운 스위치 |
KR102405971B1 (ko) | 2020-08-19 | 2022-06-07 | 경창산업주식회사 | 킥다운 스위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35333B1 (ko) | 오르간 타입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스위치 | |
KR100877200B1 (ko)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
CN100589219C (zh) | 车辆用转向信号开关 | |
KR20020018751A (ko) | 자동변속기용 셀렉터 레버유닛의 쉬프트 스위치 조작장치 | |
JPH11115525A (ja) | シフトレバー装置 | |
KR101051090B1 (ko)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
KR101051091B1 (ko) | 가속페달 장치의 킥 다운 스위치 | |
JP4634941B2 (ja) | シフト装置 | |
JP6641153B2 (ja) | スマートキーを用いた車両用電子式変速システム | |
JP2011031869A (ja) | 自動変速機用ノブのワンタッチ結合構造 | |
CN110871680A (zh) | 换挡杆装置 | |
WO2016140262A1 (ja) | 反力出力装置 | |
JP2015200195A (ja) | 作業機 | |
KR100616374B1 (ko) | 자동차의 턴 시그널 스위치 | |
KR101510047B1 (ko) |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 |
JP4242622B2 (ja) | シフトレバー装置 | |
JPH09112666A (ja) |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 |
KR101617155B1 (ko) | 가속페달용 킥 다운 스위치 | |
KR100931131B1 (ko) | 게이트형 변속레버의 키 인터록장치 | |
JPH1037557A (ja) | リッドのロック装置 | |
KR100460716B1 (ko) | 차량용 팁트로닉 타입 변속레버장치 | |
KR101646453B1 (ko) | 차량용 클러치페달의 답력 저감장치 | |
KR100418950B1 (ko) | 자동차의 클러치 페달 어셈블리 | |
JP3660320B2 (ja) | シフトレバー装置 | |
JP6853754B2 (ja) |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