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4263B1 -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4263B1
KR100834263B1 KR1020060102425A KR20060102425A KR100834263B1 KR 100834263 B1 KR100834263 B1 KR 100834263B1 KR 1020060102425 A KR1020060102425 A KR 1020060102425A KR 20060102425 A KR20060102425 A KR 20060102425A KR 100834263 B1 KR100834263 B1 KR 10083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ent image
size
font size
pattern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24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43680A (ko
Inventor
마사노리 아리또미
다쯔로 우찌다
히로아끼 나까따
마사끼 야마미찌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3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3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838Preventing unauthorised reprod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1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1/3214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embedded in the image data, i.e. enclosed or integrated in the image, e.g. watermark, super-imposed logo or st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0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 H04N2201/3205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user, sender, addressee, machine or electronic recording mediu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e.g. name or ID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12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 H04N2201/3214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data relating to a job, e.g. communication, capture or filing of an image of a 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69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 H04N2201/327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of machine readable codes or marks, e.g. bar codes or glyphs which are undetectable to the naked eye, e.g. embedded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2201/3201Display, printing, storage or transmission of additional information, e.g. ID code, date and time or title
    • H04N2201/3271Printing or sta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Record Information Processing For Printing (AREA)

Abstract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위치 지정부는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고, 결정부는 위치 지정부가 지정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한다.
복사 위조 방지, 틴트 블록, 잠상 문자열, 맞춤, 전경, 배경

Description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RINT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METHO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2는 인쇄 처리를 실행하도록 적응된 컴퓨터의 구성에 대한 일 예시도.
도 3은 틴트 블록(tint block) 인쇄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의 일 예시도.
도 4a 및 4b는 틴트 블록 인쇄에 관련된 상세한 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다이얼로그의 예시도.
도 5는 틴트 블록의 인쇄 조건을 나타내는 속성 데이터의 데이터 포맷의 예시도.
도 6은 워터마크 인쇄 모드에서의 렌더링 처리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7은 중첩 인쇄 모드에서의 렌더링 처리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8은 틴트 블록 패턴의 처리에 대한 세부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 9는 경계 처리된 틴트 블록 이미지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틴트 블록 이미지가 형성된 도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a 및 11b는 원본이 복사될 때 틴트 블록 이미지가 복제물에 나타나는 방식을 보여주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두개의 틴트 블록 그리기 모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틴트 블록이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잠상 문자열이 맞추어져 있는 방식의 예시도.
도 14는 틴트 블록이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잠상 문자열이 맞추어져 있는 방식의 예시도.
도 15는 조작부의 조작 화면을 통해 설정이 이루어지는 방식의 예시도.
도 16은 자동 크기 조정의 예시도.
도 17은 틴트 블록이 특정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방식의 예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틴트 블록 패턴 그리기 처리를 보여주는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00: 프린터
3000: 호스트 컴퓨터
본 발명은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와 같은 정보 처리 장치 및 프린터와 같은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인쇄물이 복사되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 틴트 블록 이미지를 처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원본이 복사되는 것을 방지 또는 방지하기 위해 특수 인쇄 처리가 된 복사 방지 용지라 불리는 특수한 용지에 양식 문서 또는 주민 카드와 같은 정보를 인쇄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원본에서, 복사 방지 용지에 인쇄된 이미지는 사람의 눈으로 감지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원본을 복사하면 복제물에 "복사 금지"와 같은 문자열이 나타난다. 이는 원본을 복사한 사람이 복제물을 이용하는 것을 주저하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양식 문서 등이 복사 방지 용지에 인쇄되어 있음을 일반인이 알게 해 줌으로써 사람들이 양식 문서 등을 복사하는 것을 주저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복사 방지 용지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은 보통의 용지에 비해 비용이 높다는 것이다. 다른 문제점은 복사 방지 용지의 생산 중에 복사 방지 용지에 인쇄된 문자열만이 복제물에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복사 방지 용지의 이용을 제한한다.
요즈음에는 양식 문서, 주민 카드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콘텐츠가 디지털 형식으로 생성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많은 경우에 있어 콘텐츠를 출력할 때 프린터를 이용하여 보통의 용지에 콘텐츠를 인쇄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인쇄판을 이용하는 대신에 컴퓨터 및 프린터를 이용하여 복사 방지 용지를 생성하는 기술이 요즘 큰 주목을 받고 있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1-197297호 참조). 이 기술에 있어서,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정보를 인쇄할 때, 틴트 블록 패턴(tint block pattern)이라 불리는 이 미지 데이터가 콘텐츠 데이터에 추가하여 생성되고, 틴트 블록 패턴과 콘텐츠 데이터는 중첩 모드로 인쇄된다. 틴트 블록 패턴은 또한 복사 위조 방지 패턴이라 불리기도 한다. 원본상의 틴트 블록 이미지(프린터를 이용하여 생성됨)는 사람의 눈에 간단한 패턴, 배경 이미지 등으로 감지된다. 그러나, 원본이 복사되면 특정 문자열 또는 특정 이미지가 복제물에 나타난다. 그러므로, 이러한 원본의 특징은 상술한 특수 복사 방지 용지의 경우와 같이 원본 복사를 억제해 준다. 주목할 것은 프린터 성능의 큰 진전이 이러한 기술을 성취할 수 있게 해 주었다는 것이다.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틴트 블록 이미지를 콘텐츠 데이터와 중첩되도록 출력할 때, 일반적인 용지를 사용하여 틴트 블록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이 기술은 위조 방지 용지를 이용하는 기술에 비교해 볼 때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더구나, 콘텐츠 데이터를 인쇄할 때 틴트 블록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원래의 인쇄물이 복사될 때 시각화되는 틴트 블록 이미지와 문자열의 컬러를 자유롭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장점은 인쇄 날자/시간을 나타내는 정보 및/또는 인쇄 장치에 고유한 정보를 틴트 블록 정보로서 이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틴트 블록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래의 인쇄물이 복사되면, 특정한 문자열 또는 이미지가 복제물에 가시적으로 나타난다. 그럼으로써 복제물 이용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효과를 성취하기 위해서 여기서 이용된 틴트 블록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두 영역, 원본에 포함되어 있고 복제물에 남겨질 제1 영역 및 역시 원본에 포함되 어 있으나 복제물에서는 사라지거나 또는 제1 영역의 이미지의 농도에 비해서 농도가 낮아지는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원본의 틴트 블록 이미지에서는 숨겨지는(그리고 복제물에서는 가시화되는) 문자열 등이 사람의 눈으로는 감지될 수 없도록 전술한 두 영역이 원본에서 거의 동일한 농도를 갖게 틴트 블록 이미지가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원본에서는 숨겨지나 복제물에서는 사람 눈에 가시적 형태로 나타나는 틴트 블록 이미지의 상기 이미지 영역은 여기서 잠상(또는 잠상 이미지)라고 부른다. 복제물에서 사라지거나, 복제물에 가시화되는 잠상의 농도에 비해서 농도가 낮아지는 이미지 영역은 배경(또는 배경 이미지)라고 부른다. 그러므로, 틴트 블록 이미지는 기본적으로 잠상 이미지와 배경 이미지를 포함한다. 잠상는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논의할 때 전경 이미지(foreground image)라고도 부르다는 것은 알아두어야 한다.
잠상 이미지는 특정 영역에 집중된 도트로 형성된다. 한편, 배경 이미지는 특정 영역에서 분산된 도트로 형성된다. 주목할 것은 이들 두 영역에 있는 도트는, 틴트 블록 이미지의 원본에서 잠상 영역과 배경 영역이 서로 구별되기 어렵도록 이들 두 영역에서의 도트 밀도가 동일하게 형성된다는 것이다.
도 10은 이들 두 영역에서 도트가 형성되는 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틴트 블록 이미지는 도트가 분산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배경 영역과 도트가 집중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잠상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두 영역에 있는 도트는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하프톤 도트 방식(halftone dot method) 또는 서로 다른 조건하에서 디더 방식(dither method)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프톤 도트 방식을 이용하여 틴트 블록 이미지를 생성할 때, 잠상 영역은 낮은 라인 밀도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배경 영역은 높은 라인 밀도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디더 방식을 이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잠상 영역은 도트 집중(dot-concentrated) 디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생성하고 배경 영역은 도트 분산(dot-dispersed) 디더 매트릭스를 이용하여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복사기의 스캐너부와 인쇄부는 문서의 작은 도트를 검출하는 입력 해상도 또는 용지에 작은 도트를 형성하는 출력 해상도에 따라서 복제 능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틴트 블록 이미지의 배경 영역이 복사기의 가장 낮은 해상도 한계보다 작은 크기의 도트로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엷은 배경 이미지의 잠상 영역이 복사기의 가장 낮은 해상도 한계보다 큰 크기의 도트로 형성되어 있다면, 잠상 영역의 도트는 복제물에 복제되지만 배경 영역의 작은 도트는 복제되지 않는다. 이러한 특징 때문에, 틴트 블록 이미지가 복사되면 잠상이 복제물에 가시화된다. 이후로는 복제물에 가시화된 이미지를 가시화 이미지라 부르기로 한다. 배경 영역이 복제물에서 재현되더라도, 복제물의 잠상 영역이 잠상 영역을 명료하게 감지할 수 있게 해주는 해상도를 가지고 있다면 배경 영역에 대한 도트가 복제되지 않을 때 얻을 수 있는 효과와 유사한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도 11a 및 11b는 잠상이 가시화되는 방식을 보여준다. 이들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집중된 도트로 구성된 이미지는 복제물에 재현되지만, 분산된 도트로 구성된 이미지는 복제물에 재현되지 않는다.
주목할 점은 틴트 블록의 인쇄가 전술한 방식으로 반드시 실행되어야 할 필 요는 없고, 가시적 문자열 등이 복제물에 나타난다면 임의의 방식으로 틴트 블록을 인쇄해도 좋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문자열 등은, 문자열이 복제물 상에서 백발(白拔) 형태로 나타나도록 배경 영역에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틴트 블록 인쇄의 목적이 또한 성취된다는 것을 주목한다.
원본이 복사되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틴트 블록은 한 페이지의 전체 영역(유효 인쇄 영역)에 배치된다. 인쇄될 문서의 콘텐츠는 페이지 마다 다르기 때문에, 가시화된 이미지가 큰 영역에 걸처서 나타나서 원본 복사 방지 능력이 향상되고 페이지들의 콘텐츠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도 향상되도록 원고 영역을 중첩되지 않는 영역에도 틴트 블록을 배치한다.
그러나, 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틴트 블록을 배치하면 틴트 블록 패턴을 렌더링하는데 필요한 메모리 용량이 증가하고 인쇄 속도는 감소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상당한 편리함을 제공하는 낮은 비용의 틴트 블록을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및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 열을 맞추기 위한 맞춤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 및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부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및 위치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단계, 및 위치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설명된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로부터 좀 더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실시예를 참조해서 보다 자세히 설명된다. 본 설명에 있어서, 용어 "틴트 블록"은 원본을 볼 때는 용이하게 감지될 수 없으나 원본이 복사되었을 때 복제물에는 나타나는 복사 위조 방지 패턴을 기술하는데 사용된다. 이 틴트 블록의 특징은 복제물과 원본을 구별할 수 있게 해주므로, 원본을 복사하는 것을 억제하거나 적어도 복사한 자에게 복제물이 덜 유용하게 만든다.
본 설명에 있어서, 틴트 블록 이미지를 포함하고 있는 원래의 인쇄물을 복사해서 생성된 복제물에서 가시화된 영역은 잠상 영역 또는 전경 영역이라 부른다. 한편, 복제물에서, 사라지거나 또는 잠상 영역의 농도에 비해서 농도가 낮게 되는 영역은 배경 영역이라 부른다. 예를 들어, 잠상 영역에 기술되어 있는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원래의 인쇄물이 복사되면, 잠상 영역에 있는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는 복제물에서 배경 영역의 농도 보다 더 높은 농도를 갖고, 따라서, 잠상 영역에 있는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는 쉽게 감지될 수 있다. 다음 설명에서 잠상 영역이 텍스트 정보만을 잠상 문자열 형식으로 포함하고 있는 것을 예를 들어서 가정하고 있을지라도, 잠상 영역은 이미지 정보만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미지 정보와 텍스트 정보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주목할 점은 본 발명에서 틴트 블록 정보가 전술한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를 배경 영역에 기술하고 배경 영역에 있는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가 복제물에 백발 형태로 나타나도록 잠상 영역을 배경 영역 주변에 생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틴트 블록 이미지의 종류, 컬러, 모양, 크기 등에는 특별한 제약이 없다. 또한 틴트 블록 이미지를 생성하는 처리에도 제약이 없다.
일 실시예에 따른 틴트 블록 이미지의 이미지 데이터 생성 처리 및 관련된 인쇄 처리를 이하에서 설명한다. 다음의 설명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및 인쇄 처리는 정보 처리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컴퓨터 및 인쇄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프린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것으로 가정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1을 참조해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다. 주목할 점은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그러한 시스템뿐만 아니라 단일 의 디바이스 또는 장치, 동일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디바이스 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LAN 또는 WAN과 같은 네트워크를 통해서 연결된 다수의 디바이스 또는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컴퓨터(300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 중 한 실시예에 따른 다양한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ROM(3)의 프로그램 ROM 영역에 저장되어 있거나 또는 외장 메모리(11)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문서의 생성 및 인쇄에 관련된 처리를 수행하는 CPU(1)를 포함한다. CPU(1)는 시스템 버스(4)에 연결된 디바이스들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ROM(3)의 프로그램 ROM 영역 또는 외장 메모리(11)에는, 그에 따라 CPU(1)가 동작하는 제어 프로그램 중의 하나로서 운영 시스템(OS)이 또한 저장되어 있다. 문서 처리에 이용되는 폰트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는 ROM(3)의 폰트 ROM 영역 또는 외장 메모리(11)에 저장되고, 문서 처리에 이용되는 그외의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는 ROM(3)의 데이터 ROM 영역 또는 외장 메모리(11)에 저장된다. RAM(2)은 CPU(1)에 의해 메인 메모리 또는 작업 영역으로서 이용된다.
키보드 제어기(KBS)(5)는 키보드(9)의 키 입력 조작 또는 포인팅 디바이스(도시되지 않음)를 제어한다. CRT 제어기(CRTC)(6)는 CRT 디스플레이(10)의 표시 조작을 제어한다. 주목할 점은 CRT 디스플레이(10)에 틴트 블록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 또한 CRT 제어기(6)에 의해 제어된다는 것이다.
디스크 제어기(DKC)(7)는 하드 디스크(HD) 또는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FD)와 같은 외장 메모리(11)에 대한 액세스 동작을 제어한다.
하드 디스크(HD) 또는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FD)와 같은 외장 메모리(11)에는 부트 프로그램, 다양한 종류의 애플리케이션, 폰트 데이터, 사용자 파일, 편집 파일, 프린터 제어 명령 생성 프로그램(이하, 프린터 드라이버라 함) 등이 저장된다.
양방향 인터페이스(21)를 경유해서 프린터(1500)에 연결되는 프린터 제어기(PRTC)(8)는 프린터(1500)와의 통신 제어를 담당한다.
마우스 커서 등을 이용해서 CRT(10)에 표시된 아이콘 등을 클릭함으로써 발행된 명령에 따라서, CPU(1)는 다양한 종류의 윈도우를 열어서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한다. 인쇄 동작이 수행될 때, 사용자는 인쇄 조건을 설정하기 위해 윈도우를 열어서 프린터 설정 및 인쇄 모드를 포함한 인쇄 조건의 관점에서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정하는 것이 허용된다.
프린터(1500)는 내장된 CPU(12)에 의해 제어된다. ROM(13)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 또는 외장 메모리(14)에 저장된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서, CPU(12)는 이미지 신호를 인쇄 출력 정보로서 시스템 버스(15)에 연결된 인쇄부(프린터 엔진)로 출력한다.
ROM(13)은 CPU(12)에 의해 실행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 ROM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ROM(13)은 또한 폰트 ROM 영역 및 데이터 ROM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인쇄 출력 정보를 생성하는데 이용되는 폰트 데이터는 폰트 ROM 영역에 저장된다. 사용된 프린터가 외장 메모리(14)로서 역할을 하는 하드 디스크 등을 가지고 있지 않을 경우, 컴퓨터가 이용하는 정보는 ROM(13)의 데이터 ROM 영 역에 저장된다.
CPU(12)는 입력부(18)를 경유해서 컴퓨터(3000)와 통신할 수 있다. 이는 정보를 프린터로부터 컴퓨터(3000)에 전송할 수 있게 해 준다. RAM(19)은 CPU(12)가 메인 메모리 또는 작업 영역으로 이용한다. RAM(19)의 저장 용량은 선택적으로 RAM을 확장 포트(도시되지 않음)에 연결하여 확장할 수 있다. RAM(19)은 또한 출력 정보 렌더링 영역, 환경 데이터 저장 영역, NVRAM 등으로 이용된다.
하드 디스크(HD) 또는 IC 카드와 같은 전술한 외장 메모리(14)로의 액세스는 메모리 제어기(MC)(20)가 제어한다. 외장 메모리(14)는 폰트 데이터, 에뮬레이션 프로그램, 형식 데이터 등을 저장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프린터(1500)는 또한 조작부(1501)를 경유하여 프린터 모드 설정 정보를 저장하는 NVRAM(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부(1501)는 조작을 위해 스위치, LED 표시부 등으로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부(17)는 매체에 토너 도트를 형성함으로써 용지와 같은 매체에 틴트 블록 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쇄 데이터를 기록할 수 있는 전자사진(elctrophotographic) 엔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전자사진 엔진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다른 종류의 인쇄부가 이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또한 잉크젯 프린터와 같이 도트를 형성해서 인쇄를 수행하게 되어 있는 임의 종류의 인쇄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인쇄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컴퓨터(3000)의 구성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2에서, 애플리케이션(201), 그래픽 엔진(202), 프린터 드라이 버(203) 및 시스템 스풀러(system spooler)(204)는 파일 형태로 외장 메모리(11)에 저장된 프로그램 모듈이다. 이들 프로그램 모듈은 운영 체제(OS) 또는 OS를 이용하는 모듈에 의해 외장 메모리(11)로부터 RAM(12)에 로딩(load)되며, CPU(1)에 의해 실행된다.
애플리케이션(201) 및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외장 메모리(11)의 역할을 하는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도시되지 않음)에 저장될 수 있거나 또는 네크워크(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여 외장 메모리(11)의 역할을 하는 하드 디스크 등에 로딩될 수 있다.
외장 메모리(11)에 저장된 애플리케이션(201)은 RAM(2)에 로딩되어 실행된다. 애플리케이션(201)이 프린터(1500)를 이용해서 인쇄 처리를 실행할 때, 역시 RAM(2)에 로딩되어 있는 그래픽 엔진(202)을 이용해서 출력(렌더링)이 수행된다.
그래픽 엔진(202)은 각각의 인쇄 장치(프린터)를 위해 준비된 프린터 드라이버들(203) 중 하나를 외장 메모리(11)로부터 RAM(2)에 로딩하고, 애플리케이션(201)으로부터 출력된 데이터를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전송한다. 그래픽 엔진(202)이 애플리케이션(201)으로부터 GDI(Graphic Device Interface) 함수를 수신하면, 그래픽 엔진(202)은 수신된 GDI 함수를 DDI(Device Driver Interface) 함수로 변환해서 이들을 프린터 드라이버(203)로 출력한다. 프린터 드라이버(203)가 그래픽 엔진(202)으로부터 DDI 함수를 수신하면,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수신된 DDI 함수를 프린터가 처리할 수 있는 PDL(Page Description Language) 명령과 같은 제어 명령으로 변환한다. 이렇게 변환된 프린터 제어 명령은 OS에 의해 RAM(2)에 로딩된 시스템 스풀러를 경유해서 또한 인터페이스(21)를 경유해서 프린터(1500)에 인쇄 데이터로서 출력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어진 데이터가 중첩 모드로 인쇄될 틴트 블록을 포함하고 있을 때,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PDL 데이터 및 틴트 블록을 인쇄하기 위한 PDL 데이터가 생성되어 프린터로 출력된다. 프린터는 페이지의 PDL 데이터에 따라서 메모리내에 이미지를 렌더링하고 또한 틴트 블록의 PDL 데이터에 따라서 그 위에 이미지를 렌더링한다. 이렇게 렌더링된 이미지는 인쇄 엔진에 의해 인쇄된다.
한편, 주어진 데이터가 워터마크 모드로 인쇄될 틴트 블록을 포함하고 있을 때, 페이지를 인쇄하기 위한 PDL 데이터와 틴트 블록을 인쇄하기 위한 PDL 데이터가 생성되어 프린터로 출력된다. 프린터는 틴트 블록의 PDL 데이터에 따라서 메모리에 이미지를 렌더링하고 또한 페이지의 PDL 데이터에 따라서 그 위에 이미지를 렌더링한다. 이렇게 렌더링된 이미지는 인쇄 엔진에 의해 인쇄된다.
본 실시예에서, 인쇄 시스템은 프린터 드라이버(203) 내에 틴트 블록 처리부(205)를 포함하고 있다. 틴트 블록 처리부(205)는 프린터 드라이버(203)의 내장 모듈일 수 있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설치된 라이브러리 모듈일 수 있다. 틴트 블록 이미지가 인쇄될 때,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틴트 블록 처리부(205)를 이용한 틴트 블록 이미지의 렌더링을 포함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제, 틴트 블록 이미지를 인쇄하는 처리를 설명한다. 도 3 및 도 4a 및 4b는 사용자가 틴트 블록 이미지의 인쇄 관점에서 설정을 실행할 수 있게 해 주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예를 보여준다.
도 3은 프린터 드라이버(203)에 의해 제공된 틴트 블록 인쇄에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초기 화면의 예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사용자가 틴트 블록 인쇄에 관련된 설정을 할 수 있게 하는 속성 시트(2101)가 표시된다.
도 3에서, 참조번호(2102)는 인쇄 작업이 틴트 블록 이미지의 인쇄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지정하기 위한 체크 박스를 표시한다. 인쇄 작업이 틴트 블록 이미지의 인쇄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에 대해서 체크 박스(2102)를 통해 지정된 정보는 주어진 인쇄 데이터(문서 데이터)에 대한 설정을 나타내는 인쇄 속성 정보로서 저장된다. 참조 번호(2103)은 틴트 블록 인쇄의 스타일을 지정하기 위한 박스를 표시한다. 프린터 드라이버(203)는 사용자가 그 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허용된 다수의 스타일을 제공한다. 대응하는 틴트 블록의 인쇄에 대한 정보와 각 스타일 사이의 관계는 레지스트리에 등록된다. 버튼(2104)을 누르면 도 4a에 도시된 스타일 편집 다이얼로그(2201)가 표시된다.
도 4a는 틴트 블록 인쇄에 관련된 상세한 설정을 지정하기 위한 다이얼로그의 예를 보여준다.
도 4a에서, 참조번호(2201)는 특정의 틴트 블록 정보(후에 설명됨)에 따라서 생성된 틴트 블록의 프리뷰 이미지가 표시되는 전체 스타일 편집 다이얼로그를 표시한다. 참조 번호(2202)는 도 3에 도시된 박스(2103)에서 선택가능한 스타일의 리스트가 표시되는 박스를 표시한다. 새로운 스타일을 부가하기 위해서는 버튼(2203)을 누른다. 지정된 스타일을 삭제하기 위해서는 버튼(2203)을 누른다. 참조번호(2205)는 현재 선택된 스타일의 이름이 표시되는 박스를 표시한다.
박스(2206)은 틴트 블록 인쇄에 이용될 오브젝트의 종류를 선택하는데 이용되는 라디오 버튼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박스(2206) 내의 "텍스트"를 선택하면, 텍스트 오브젝트가 지정된다. 한편, 사용자가 박스(2206) 내의 "이미지"를 선택하면, 비트맵 데이터(BMP)와 같은 이미지 데이터가 지정된다. 도 4a에 도시된 예에서, "텍스트"가 선택되고, 따라서, 텍스트 오브젝트에 관련된 설정 정보가 다이얼로그(2201) 내의 박스들(2207 내지 2209)에 표시된다. 이들 박스 내에 지정되어 있는 설정 정보는 편집할 수 있다. 한편, 박스(2206) 내에 "이미지"가 선택된 경우, 박스들(2207 내지 2209)은 표시되지 않지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미지 파일 이름 박스(2215) 및 버튼(2216)이 표시된다. 버튼(2216)을 누르면 파일 선택 다이얼로그가 열린다.
본 실시예에서, "텍스트" 및 "이미지"는 틴트 블록 인쇄에 이용된 오브젝트 종류로서 이용가능하고 이들 중 하나가 선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오브젝트 종류는 이들 둘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다수의 오브젝트 종류 중 반드시 하나를 선택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고 둘 또는 그 이상의 오브젝트 종류를 동시에 이용할 수 있다.
박스(2207)에는 틴트 블록 패턴으로 이용되는 문자열이 표시된다. 이 박스(2207)에 표시된 문자열은 편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박스(2208)에는 문자열을 위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해 선택된 폰트가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폰트 이름만을 선택할 수 있지만, 폰트 군(font family)(예를들어, 볼드 폰트 군, 이탤릭 폰트 군 등) 및/또는 장식 폰트도 선택하게 할 수도 있도록 박스(2208)를 확장할 수 있다.
박스(2209)에서, 틴트 블록 패턴으로 이용되는 문자열을 위한 용도로 이용하기 위한 폰트는 선택적으로 표시된다. 본 실시예에서 폰트 크기는 3가지 크기: "큰" 크기, "중간" 크기 및 "작은" 크기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대안으로, 폰트 크기를 지정하기 위해 포인트 수 등을 입력할 수 있다.
박스(2210)에는 틴트 블록 패턴과 문서 데이터를 인쇄하는 순서를 선택하기 위한 라디오 버튼이 제공되어 있다. "워터마크 모드"를 선택하면, 틴트 블록 패턴이 먼저 렌더링되고, 이후에 문서 데이터가 렌더링된다. 한편, "중첩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문서 데이터가 먼저 렌더링된 다음에 틴트 블록 패턴이 렌더링된다. 렌더링 처리는 이후에 자세히 설명한다.
라디오 버튼(2211)은 틴트 블록 패턴을 배치하기 위한 각(angle)을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각은 다음의 3가지: "반시계 방향 경사", "시계 방향 경사" 및 "수평" 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대신에, 부가의 박스에 수치 값을 입력하여 각을 지정할 수도 있고 아니면 부가적으로 표시된 슬라이더 바를 이용하여 각을 지정할 수도 있다.
박스(2212)는 틴트 블록 패턴(전경 패턴 또는 배경 패턴)의 컬러를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체크 박스(2213)는 전경 패턴 및 배경 패턴이 서로 교체되는지 여부를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이 체크 박스를 체크(check) 하지 않으면, 전경 패턴이 복제물에 가시화되도록, 즉, 전경 패턴이 복제물에 복제되도록 틴트 블록 이미지가 생성된다. 한편, 체크 박스(2213)를 체크하면, 배경 패턴이 복제물에 가시화되도 록, 즉, 배경 패턴이 복제물에 복제되도록 틴트 블록 이미지가 생성된다. 이 경우에, 전경 패턴으로 지정된 텍스트 정보 또는 이미지 정보는 복제물에 백발 형태로 나타난다.
박스(2214)는 사람의 눈으로는 원래의 인쇄물상의 틴트 블록 이미지를 감지하기 어렵게 만드는 위장 이미지(camouflage image)를 지정하는데 이용된다. 위장 이미지는 위장 이미지가 이용되지 않는 대안을 포함한 다수의 대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제, 도 5를 참조하여 틴트 블록의 인쇄 조건(도 4a 및 4b를 참조해서 앞서 기술됨)을 나타내는 인쇄 속성 정보의 데이터 포맷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이하에서 설명되는 인쇄 속성 정보는 인쇄될 물리적 페이지를 나타내는 정보인 작업(job) 출력 파일에 통합되어 있다. 주목할 점은 인쇄 속성 정보의 포맷이 여기서 설명한 것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그외의 포맷으로도 설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5에서 필드(2001)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2206)에 지정된 틴트 블록으로서 그려진 오브젝트 종류(텍스트 또는 이미지)를 나타내는 값이 저장된다. 필드(2002)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들(2207 내지 2209) 또는 도 4b에 도시된 박스에 지정되어 있으며 필드(2001)에 저장된 값에 의해 지정된 오브젝트의 설정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오브젝트 종류로서 텍스트를 선택하면, 문자열, 폰트 이름, 및 폰트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가 이 필드(2002)에 저장된다. 한편, 오브젝트 종류로서 이미지를 선택하면, 이용될 이미지 파일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가 필 드(2002)에 저장된다.
필드(2003)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2210)에 지정되는 것으로, 틴트 블록 패턴이 먼저 렌더링 되고 나서 문서 데이터가 렌더링 되는지 또는 문서 데이터가 먼저 렌더링 되고 나서 틴트 블록 패턴이 렌더링 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2004)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2211)에 지정되는 것으로 오브젝트가 그려져야 하는 각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2005)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2212)에 지정되어 있고 틴트 블록 패턴(전경 패턴 또는 배경 패턴)의 컬러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2006)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2213)에 지정되어 있고 전경 패턴과 배경 패턴을 어떻게 취급해야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2007)에는, 도 4a에 도시된 박스(2214)에 지정되어 있고 위장 이미지로서 지정된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2008)에는, 전경 패턴의 농도 정보가 저장된다. 필드(2009)에는 배경 패턴의 농도 정보가 저장된다.
틴트 블록 패턴을 렌더링하는 처리는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6 및 도 7은 틴트 블록 인쇄에서 렌더링 처리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이들 흐름도에 관련된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틴트 블록 처리 프로그램)은 하드 디스크(11)로부터 RAM(11)으로 읽혀지고 CPU(1)에 의해 실행된다. 워터마크 모드로 인쇄를 수행할 경우, 도 6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서 렌더링이 실행된다. 한 편, 중첩 모드로 인쇄를 수행할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흐름도에 따라서 렌더링이 실행된다. 여기서 설명하는 렌더링 처리는 CPU(1)의 제어하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이용하는 인쇄 처리 중에 수행된다. 도 6 및 도 7에서, 유사한 단계들은 유사한 단계 번호로 표기되어 있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워터마크 모드 시의 렌더링 처리를 설명한다. 이 모드에서는, 틴트 블록 패턴이 먼저 렌더링 되고 나서 문서 데이터가 렌더링 된다.
단계 S1901에서, 틴트 블록 패턴은 도 5에 도시된 틴트 블록 패턴 정보에 따라서 생성된다. 생성된 틴트 블록 패턴은 틴트 블록 패턴을 그려할 할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PDL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처리는 도 18을 참조하여 후에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후에, 문서 데이터의 렌더링이 수행된다. 먼저, 단계 S1902에서, CPU(1)는 각각의 물리적 페이지(한 용지의 페이지마다 대응하는)의 논리적 페이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초기화시킨다.
다음 단계 S1903에서, CPU(1)는 카운터 값이 물리적 페이지당 소정의 최대 허용가능 페이지 수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카운터 값이 물리적 페이지당 소정의 최대 허용가능한 페이지 수와 같다고 결정되면 처리는 단계 S190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는 단계 S1904로 진행한다.
단계 S1904에서, CPU(1)는 카운터를 1만큼 증분시킨다. 단계 S1905에서는, 물리적 페이지당 페이지 수 및 카운터 값에 따라서 CPU(1)는 현재의 논리적 페이지를 그려야 할 유효 인쇄 영역을 계산한다. 단계 S1906에서, CPU(1)는 카운터 값을 인덱스로서 이용하여 물리적 페이지에 관련된 인쇄 속성 정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현재의 논리적 페이지 수를 판독한다. CPU(1)는 현재의 논리적 페이지가 유효 인쇄 영역 내에 표현되도록 이를 PDL 포맷으로 렌더링한다. 유효 인쇄 영역 내에 표현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축소가 수행된다.
워터마크 모드에서의 렌더링 처리는 앞서 설명하였다.
이제, 도 7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문서 데이터가 먼저 렌더링되고 나서 틴트 블록 패턴이 렌더링되는 중첩 모드에서의 렌더링 처리를 설명한다.
단계 S1902에서, CPU(1)는 (한 용지의 페이지마다 대응하는) 각각의 물리적 페이지의 논리적 페이지 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를 초기화시킨다.
다음 단계 S1903에서, CPU(1)는 카운터 값이 물리적 페이지당 소정의 최대 허용가능 페이지 수와 같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카운터 값이 물리적 페이지당 소정의 최대 허용가능 페이지 수와 같다고 결정이 되면 처리는 단계 S190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다면 처리는 단계 S1904로 진행한다.
단계 S1904에서, CPU(1)는 카운터를 1만큼 증분시킨다. 단계 S1905에서는, 물리적 페이지당 페이지 수 및 카운터 값에 따라서 CPU(1)가 현재의 논리적 페이지를 그려야 할 유효 인쇄 영역을 계산한다. 단계 S1906에서, CPU(1)는 카운터 값을 인덱스로서 이용하여 물리적 페이지에 관련된 인쇄 속성 정보(도시되지 않음)로부터 현재의 논리적 페이지 수를 판독한다. CPU(1)는 현재의 논리적 페이지가 유효 인쇄 영역 내에 표현되도록 이를 PDL 포맷으로 렌더링한다. 유효 인쇄 영역 내에 표현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 축소가 수행된다.
특정한 물리적 페이지에 대한 소정의 수의 논리적 페이지의 렌더링이 완료되면, 처리는 단계 S1908로 진행한다. 단계 S1908에서는, CPU(1)가 도 5에 도시된 틴트 블록 패턴 정보에 따라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서 지정된 물리적 페이지의 유효 인쇄 영역 내에 틴트 블록 패턴을 생성한다. 생성된 틴트 블록 패턴은 틴트 블록 패턴을 그려야 할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PDL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 처리에 대한 상세한 것은 도 18을 참조해서 이후에 설명한다.
두 개의 틴트 블록 그리기 모드, 즉, 전체 영역 모드 및 부분 영역 모드는 도 1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틴트 블록 패턴은 폰트, 인쇄 각, 틴트 블록의 컬러, 위장 패턴 등의 관점에서 지정된 속성에 따른 잠상 문자열(1201)을 포함하도록 생성된다. 특히, 잠상 문자열(1201)을 포함하는 패턴부(1202)는 지정된 속성에 따라서 생성된다. 이후로, 이 패턴부(1202)는 틴트 블록 타일이라 부른다. 주목할 점은 틴트 블록 타일(1202)이 잠상 문자열의 반복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다.
틴트 블록 타일(1202)은 이후 이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두 모드 중 한 모드로 페이지에 배치된다. 전체 영역 모드에서, 틴트 블록 타일은 도 12에 참조번호(1204)로 표기한 바와 같이 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걸쳐 주기적으로 배치된다. 부분 영역 모드(도 12의 1203)에서는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페이지의 특정 위치에만 배치된다.
부분 영역 모드(1203) 및 전체 영역 모드(1204)는 전환가능하다.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는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결정된다.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는 선 공간들과 마진들을 경계 박스(bounding box)에 부가해서 얻은 크기로 정의된다.
부분 영역 모드에서,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의 최대 허용가능 크기는 페이지 영역에 관한 특정 값으로 제한된다. 예를 들어, 최대 허용가능 영역은 토너 또는 메모리와 같은 자원의 낭비를 제한하기 위해 전체 페이지 영역의 16%로 제한된다.
이제, 도 13을 참조해서 틴트 블록의 배열 및 잠상 문자열의 맞춤(justification)에 대해 설명한다.
단일의 틴트 블록이 부분 영역 모드로 배치될 때, 그 위치는 도 13의 참조 번호(1301 내지 1305)로 표기한 바와 같이 다섯 개의 위치: "가운데", "상부 왼쪽", "상부 오른쪽", "하부 왼쪽", 및 "하부 오른쪽"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틴트 블록 타일에서 잠상 문자열의 맞춤은 다음과 같이 단일의 틴트 블록이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서 자동으로 제어된다. 단일의 틴트 블록이 가운데 위치(1303)에 배치될 때, 잠상 문자열은 자동으로 가운데에 맞추어진다. 단일의 틴트 블록이 상부 왼쪽 위치(1301) 또는 하부 왼쪽 위치(1302)에 배치될 때, 잠상 문자열은 자동으로 왼쪽에 맞추어진다. 단일의 틴트 블록이 상부 오른쪽 위치(1304) 또는 하부 오른쪽 위치(1305)에 배치될 때, 잠상 문자열은 자동으로 오른쪽에 맞추어진다.
맞춤의 제어는 도 14를 참조해서 좀 더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다섯 개의 위치 중에서, 상부 왼쪽 위치(1401), 가운데 위치(1403) 및 하부 오른쪽 위치(1402)에 대해 이하에서 논의한다.
일반적으로, 문서 텍스트는 페이지의 가운데 영역에 쓰여 진다. 문서의 텍스트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잠상 문자열이 복제물에 가시화되는 것을 원하는 경우,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상부 왼쪽 위치(1401) 또는 하부 오른쪽 위치(1402)에 배치되도록 지정된다. 이는 잠상 문자열이 복제물에 가시화될 때 문서 텍스트 영역과 중첩되지 않도록 잠상 문자열이 나타나게 해 준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가시화된 잠상 문자열 및 문서 텍스트를 인식할 수 있다.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을 사용자가 상부 왼쪽 위치 또는 하부 오른쪽 위치에 배치되도록 지정할 때, 잠상 문자열은 복제물에 가시화될 때 페이지의 가장 가까운 변에 대해 자동으로 맞추어진다. 특히,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상부 왼쪽 위치(1401)에 배치될 때, 잠상 문자열은 왼쪽에 맞추어진다. 한편,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하부 오른쪽 위치(1405)에 배치될 때, 잠상 문자열은 오른쪽에 맞추어진다. 이는 문서 텍스트 영역을 중첩함이 없이 잠상 문자열을 배치하기 쉽게 해 준다.
잠상 문자열이 복제물에서 문서 텍스트 영역과 중첩하는 위치에 나타나게 의도적으로 지정하고자 하는 경우는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을 가운데 위치(1403)에 배치한다. 문서 데이터가 중요하거나 비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때,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을 가운데 위치(1403)에 배치하면, 복제물의 문서 정보는 가시화된 잠상 문자열 뒤에 부분적으로 숨겨진다. 그러므로 문서 정보가 완전하게 복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을 가운데 위치에 배치되게 지정하면, 잠상 문자열은 자동으로 가운데에 맞추어진다.
이는 복제물에 가시화된 잠상 문자열이 겹치는 방식으로 문서 정보에 나타나게 하는 것을 공고히 해준다. 이는 문서 정보가 복제되는 것을 좀 더 효과적으로 방지해 준다. 전술한 이유 때문에,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가운데 위치(1403)에 배치되도록 지정되면 잠상 영역은 가운데에 맞추어진다.
이제, 도 15에 도시된 예를 참조해서 조작 화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다어얼로그 화면(1501)상의 "인쇄 영역" 박스(1504)에서, "전체" 라디오 버튼 또는 "부분" 라디오 버튼을 체크하여 틴트 블록을 페이지의 전체 영역에 그려야 할지 또는 부분 영역에 그려야 할지 여부를 지정할 수 있다. 사용되는 디바이스가 자원의 한계 때문에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만을 허용하는 경우에, "부분" 라디오 버튼이 자동으로 선택되고, "전체" 라디오 버튼은 비활성(disable)된다(그리고 이 버튼이 비활성되었음을 나타내기 위해 "전체" 라디오 버튼을 회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이얼로그 화면(1501)의 "인쇄 영역" 박스(1504) 내의 "부분" 라디오 버튼, 및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을 배치할 위치를 지정하기 위한 콤보 박스(1512)가 활성화(enable)되면, 사용자는 "가운데" 위치, "상부 왼쪽" 위치, "상부 오른쪽 위치", "하부 왼쪽" 위치 및 "하부 오른쪽" 위치를 포함하는 리스트 중에서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의 위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5의 중간에 도시된 특정 예에서, "가운데" 위치는 콤보 박스(1512)에서 선택되어 있고, 프리뷰 이미지는 박스(1513)에 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 프리뷰 이미지는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가운데에 배치되어 있고 잠상 문자열이 가운데 맞추어져 있음을 나타낸다. 한편, 콤보 박 스(1522)에서 "상부 왼쪽" 위치가 선택되면, 박스(1523)에 표시된 프리뷰 이미지는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상부 왼쪽 위치에 배치되고 잠상 문자열이 왼쪽에 맞추어진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제, 크기의 자동 조정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는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서 결정되고,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는 소정의 범위 내에서 조정된다.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 제어는 이하에서 좀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6은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가 자동으로 조정되는 방식의 예를 보여준다.
다음의 경우에, 컴퓨터는 틴트 블록 타일을 조정하기 위해 폰트 크기가 감소되게 폰트 크기를 제어한다. 그러나, 틴트 블록이 가시화될 때 판독할 수 있도록 폰트 크기가 너무 작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폰트 크기의 하한치를 정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폰트 크기의 하한치를 예를 들어 24 포인트로 설정하였다.
타일 영역이 상한치 보다 큰 경우(참조 번호(1601)에 표기된 바와 같이), 폰트 크기는 타일 영역이 상한치보다 작게 될 때까지 감소한다. 이러한 식으로 타일 영역이 상한치 보다 작아지게 해 주는 폰트 크기가 결정되면, 타일(1602)은 결정된 폰트 크기로 생성되고, 참조 번호(1603)에 표기된 바와 같이 인쇄가 수행된다.
폰트 크기가 하한치까지 감소해도 타일 영역이 상한치보다 작아지지 않는 경우, 상한치와 동일한 영역을 갖고 있는 타일(1602)은 허용가능한 최소 폰트 크기로 생성된다. 이 영역을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문자들은 버려진다.
타일의 폭 또는 높이가 참조번호(1604)에 의해 표기된 페이지 크기보다 큰 경우, 타일의 높이 및 폭이 페이지 크기보다 작아질 때까지 폰트 크기가 감소된다. 이런 식으로 타일 영역이 상한치보다 작게 되도록 폰트 크기가 결정되면, 타일(1605)은 소정의 폰트 크기로 생성되고, 참조번호(1603)에 표기된 것과 같이 인쇄가 수행된다.
폰트 크기가 하한치까지 감소해도 타일 영역이 페이지 크기보다 작아지지 않는 경우, 페이지 크기보다 작고 상한치와 동일한 면적의 타일(1605)이 허용가능한 최소 폰트 크기로 생성된다. 이 영역을 오버플로우하는 문자들은 버려진다.
자동 조정의 결과로 폰트 크기가 하한치로 설정되고 문자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경우, 잠상 문자열이 자동으로 왼쪽에 맞추어질 수 있다. 잠상 문자열이 전술한 바와 같이 틴트 블록 타일의 위치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될지라도,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 행(rows)들은, 문자열이 왼쪽에 맞추어지어 행들의 오른쪽 끝 부분을 오버플로우한 문자들이 버려지도록 특별히 제어된다.
이제, 도 17을 참조하여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위치에 배치되는 방식의 예를 설명한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을 제어하기 위한 화살표 버튼(1702)은 조작부(1701)에 배치할 수 있다. 화살표 버튼(1702)을 이용하여 틴트 블록 타일을 임의의 위치에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소정의 규칙에 따라서, 틴트 블록 타일이 배치되는 페이지의 영역에 따라 잠상 문자열이 가운데, 왼쪽, 또는 오른쪽에 맞추어진다.
전술한 예에서 소정의 다섯 개의 위치 중 선택한 위치에 틴트 블록 타일을 배치하는 대신에, 도 17에 도시된 예(1704)에서와 같이 틴트 블록 타일을 다섯 개의 위치 모두에 배치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8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처리 흐름을 설명하기로 한다. 이 처리는 CPU(1)가 호스트 컴퓨터의 하드 디스크(11)로부터 RAM(2)에 로딩된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틴트 블록 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도 18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해서, 도 6에 도시된 단계 S1901 또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908에서의 틴트 블록 패턴 그리기 처리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단계 S1801에서, 틴트 블록 종류가 전환된다. 단계 S1802에서 부분 영역 모드가 선택되어 있음이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S1810로 진행한다.
S1810으로부터 일련의 단계에서 틴트 블록의 영역이 정해진다. 단계 S1811에서, 틴트 블록 크기의 상한치가 결정된다. 단계 S1812에서는 틴트 블록의 폭 및 높이의 한계가 결정된다. 단계 S1813에서는 지정된 폰트 크기 F1이 판독된다. 단계 S1814에서는 틴트 블록의 현재 영역, 폭 및 높이가 결정된다. 단계 S1815에서는 틴트 블록의 현재 영역, 폭 및 높이가 상한치보다 작은지(틴트 블록의 현재 영역, 폭 및 높이가 상한치보다 큰지) 여부가 판정된다. 틴트 블록의 현행 영역, 폭 및 높이가 상한치보다 작은 경우(단계 S1815의 응답은 아니오), 처리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계 S1820로 진행한다. 틴트 블록의 현행 영역, 폭 및 높이가 상한치보다 큰 경우(단계 S1815의 응답은 예), 처리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단계 S1816로 진행한다. 단계 S1816에서, 폰트 크기 F2는 틴트 블록의 크기가 상한치와 같거나 상한치보다 작게 되도록 결정된다. 주목할 점은 폰트 크기 F2가 소정의 하한치보다 작게 되지 않도록 결정된다는 것이다. 단계 S1817에서, 폰트 크기는 단계 S1816에서 결정된 폰트 크기 F2와 같게 되도록 설정된다. 폰트 크기가 하한치로 설정될지라도 특정 행에서 문자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면 오버플로우가 있는 행은 표시(mark)된다.
단계 S1820로부터의 일련의 단계에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기 위한 맞춤 모드가 선택된다.
단계 S1821에서는 각 행에서 문자의 오버플로우가 발생하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단계 S1822에서는 맞춤 모드가 왼쪽 맞춤 모드(단계 S1823), 가운데 맞춤 모드(단계 S1824) 또는 오른쪽 맞춤 모드(단계 S1825)로 설정된다.
이전 단계들에서 결정된 파라미터(폰트 크기 및 맞춤 모드에 관련되어 있음)에 따라서, 단일의 틴트 블록 패턴(틴트 블록 타일)이 단계 S1830에서 생성된다. 생성된 단일의 틴트 블록 패턴은 단일의 틴트 블록 패턴을 그리고자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PDL 데이터로 변환된다. 틴트 블록 패턴을 생성하는 처리의 상세는 도 8에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단계 S1802에서 전체 영역 모드가 선택되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처리가 단계 S1850로 진행한다. 단계 S1850에서는, 도 12의 단계 S1202에서와 같이,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가 도 4a의 박스(2209)를 조작하여 지정한 폰트 크기에 따라서 결정된다. 단계 S1851에서는 도 12의 예(1204)와 같이, 틴트 블록 타일이, 전체 영역이 틴트 블록으로 채워지도록 결정된 틴트 블록의 크기에 따라서 어레이의 형태로 배열된다. 이전 단계들에서 결정된 파라미터(폰트 크기 및 배열 위치에 관련되 어 있음)에 따라서, 틴트 블록 패턴의 어레이가 단계 S1830에서 생성된다. 생성된 틴트 블록 패턴의 어레이는 틴트 블록 패턴의 어레이를 그리고자 하는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PDL 데이터로 변환된다. 틴트 블록 패턴을 생성하는 처리의 세부는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도 18의 단계 S1830에 있어서의 틴트 블록 생성 처리의 세부를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주목할 점은 이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는 CPU(1)가 하드 디스크(11)로부터 RAM(2)에 로딩된 프린터 드라이버 프로그램(틴트 블록 처리 프로그램)을 수행함으로써 수행된다는 것이다. 도 8을 참조하여 틴트 블록 패턴 그리기 처리를 설명한다. 알아 두어야 할 것은 도 8에 도시된 처리는, 틴트 블록 패턴이 각 위치에 그려지도록, 타일 배치 위치 정보에 따라 요구되는 횟수만큼 반복해서 실행된다는 것이다.
단계 S2701에서는, 시작 명령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경유해서 발행되면 틴트 블록 패턴 그리기 처리가 시작된다. 단계 S2702에서 CPU(1)는 입력 배경 이미지, 배경 역치값 패턴, 전경 역치값 패턴, 전경/배경 영역 정의 이미지, 위장 영역 정의 이미지, 전경 이미지를 위한 폰트 크기 및 맞춤 모드, 틴트 블록 타일의 크기 및 틴트 블록 타일 배열에 관련된 정보와 같은 틴트 블록 타일을 그리는데 필요한 다양한 종류의 정보를 습득한다. 단계 S2703에서는, CPU(1)가 틴트 블록 패턴 이미지의 그리기를 시작하는 시작 픽셀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상부 왼쪽 코너로부터 하부 오른쪽 코너로 래스터(raster) 주사의 수단으로 틴트 블록 이미지를 형성하는 경우에, 상부 왼쪽 코너의 픽셀이 시작 픽셀로 선택된다.
다음 단계 S2704에서 CPU(1)는 배경 역치값 패턴, 전경 역치값 패턴, 전경/배경 영역 정의 이미지, 및 위장 이미지를 입력 배경 이미지의 시작 픽셀로부터 시작하여 타일에 배치한다. 입력 배경 이미지의 관심 픽셀에 대해서 CPU(1)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식(1)에 따라서 계산을 수행한다.
nWriteDotOn = nCamouflage × (nSmallDotOn × nHiddenMark + nLargeDotOn × nHiddenMark) (1)
계산 결과에 따라서, CPU(1)는 인쇄물의 도트에 대응하는 픽셀 값을 메모리 영역에 기입하여야 할지 여부를 결정한다. 주목할 점은 픽셀 값들이 각 픽셀에서의 컬러를 나타낸다는 것이다.
주목할 점은 배경 역치값 패턴과 전경 역치값 패턴이, 대응하는 도트의 기입이 수행되어야함을 나타내는 "1"과 대응하는 도트의 기입이 수행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0"으로 구성되는 패턴 데이터라는 것이다. 이들 패턴은 전경 이미지(잠상 이미지) 및 배경 이미지의 도트 위치를 나타내는 디더 매트릭스의 형태로 표현된다.
식 (1)에 있는 항목들이 이하 설명된다. nCamouflage는 위장 영역 정의 모드에서 해당 픽셀이 위장 영역의 픽셀이면 0의 값을 취하고, 그렇지 않으면 1의 값을 취한다. nSmallDotOn은 배경 역치값 패턴의 관심 픽셀이 검은색이면 1의 값을 취하지만 관심 픽셀이 흰색이면 0의 값을 취한다(컬러는 흰색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 nLargeDotOn은 전경 역치값 패턴의 관심 픽셀이 검은색이면 1의 값 을 취하고 관심 픽셀이 화이트이면 0의 값을 취한다(컬러는 흰색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nHiddenMark는 전경/배경 영역 정의 이미지에서 관심 픽셀이 잠상 영역의 픽셀이면 1의 값을 취하지만, 관심 픽셀이 배경 영역의 픽셀이면 0의 값을 취한다. nHiddenMark는 nHiddenMark의 역이다. 즉, nHiddenMark는 전경 영역에서는 0의 값을 취하고 배경 영역에서는 1의 값을 취한다.
주목할 점은 해당 픽셀에 대한 계산은 식 (1)에 있는 모든 항목에 대해서 반드시 수행되어야 할 필요는 없고, 불필요한 계산을 생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처리 속도를 증가시켜 준다.
예를 들어, nHiddenMark가 1이면 nHiddenMark는 0이다. nHiddenMark가 0이면 nHiddenMark는 1이다. 그러므로, nHiddenMark가 1이면 이하 설명되는 식 (2)에 의해 주어지는 값을 nLargeDotOn의 값으로 이용할 수 있다. 식 (1)이nCamouflage와 다른 항목의 곱의 형태이므로, nCamouflage = 0이면 nWriteDotOn = 0이다. 그러므로 식 (2)의 계산은 nCamouflage = 0일때 생략할 수 있다.
(nSmallDotOn × nHiddenMark + nLargeDotOn × nHiddenMark) (2)
틴트 블록 이미지 생성시에, 주기적으로 그려지는 단위 패턴 크기는 수직 및 수평 방향 각각에서의 배경 역치값 패턴, 전경 역치값 패턴, 전경/배경 영역 정의 이미지 및 위장 영역 정의 이미지의 최소 공배수에 의해 주어진다. 그러므로, 틴트 블록 패턴 그리기부는 단위 패턴만을 생성하고 타일의 어레이 형태로 단위 패턴 을 주기적으로 배치하여 전체 틴트 블록 이미지를 생성한다. 이는 틴트 블록 이미지를 생성하는데 소비되는 처리 시간을 단축시켜 준다.
단계 S2705에서 CPU(1)는 단계 S2704에서 실행된 nWriteDotOn의 값 계산 결과를 체크한다. nWriteDotOn = 1이면 처리는 단계 S2706로 진행한다. 그러나 nWriteDotOn = 0이면 처리는 단계 S2707로 진행한다.
단계 S2706에서 CPU(1)는 인쇄될 도트의 픽셀 값을 설정한다. 픽셀 값은 틴트 블록 이미지의 컬러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은색의 틴트 블록이 형성될 때는, 틴트 블록 이미지의 대응 도트의 픽셀 값은 검은색 레벨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틴트 블록이 다른 지정된 컬러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사용된 프린터의 토너 또는 잉크 컬러를 고려하여 지정된 컬러가 얻어지도록, 픽셀 값이 시안(cyan), 마젠타(magenta) 또는 옐로우에 대응하는 값으로 설정된다. 이미지 영역의 각 픽셀을 1 내지 여러 비트를 이용하여 표현하는 경우, 픽셀 값은 인덱스 컬러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특히, 컬러 이미지에서 빈번하게 나타나는 컬러는 인덱스로 표현한다. 예를 들어, 화이트는 인덱스 0으로 표현하고, 시안은 인덱스 1로 표현하고 기타도 이와 같이 표현한다. 컬러 인덱스의 상기 정의에 따르면, 각 픽셀의 픽셀 값은 인덱스 번호로 표현된다. 예를 들어, 제1 픽셀의 픽셀 값은 인덱스 1로 표현하고, 제2 픽셀의 픽셀 값은 인덱스 2로 표현하고, 기타도 이와 같이 표현한다. 단계 S2707에서 CPU(1)는 관심 영역에 있는 모든 픽셀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결정한다. 관심 영역에 있는 모든 픽셀에 대한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 처리는 단계 S2708로 진행한다. 단계 S2708에서, 처리되지 않은 픽셀이 선택되고 선택된 픽셀은 단계 S2704 내지 S2706를 다시 수행함으로써 처리된다. 한편, 관심 영역에 있는 모든 픽셀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경우는, 처리는 단계 S2709로 진행하고, 이 단계에서는 현재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로 그려지도록 지정되어야 하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이와 같이, 틴트 블록 이미지는 전술한 처리를 통해서 얻어진다. 전술한 처리를 통해 얻은 틴트 블록 이미지에 있어서, 전경/배경 영역 정의 이미지에서 전경과 배경 사이의 경계 근처에 도트 밀도가 높게 되어 전경의 윤곽이 감지될 수 있게 될 수 있고, 이는 복사 위조 방지 패턴의 유용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 상기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전경/배경 영역 정의 이미지 내의 전경과 배경 사이의 경계 근처에서 도트 밀도가 높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경계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경계 처리된 틴트 블록 이미지의 예를 보여준다.
틴트 블록 이미지를 도 6에 도시된 단계 S1901 또는 도 7에 도시된 단계 S1908에서 생성할 때, 틴트 블록 이미지를 그리는 방법은 단계 S1901와 단계 S1908에서 다르다.
즉, 도 6에 도시된 단계 S1901에서는 틴트 블록 이미지가 배경 이미지가 되도록 틴트 블록 패턴 그리기가 단계 S2710의 워터 마크 모드로 실행된다. 단계 S2701에서는, 틴트 블록 이미지가 그려진 후에,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등과 같은 문서 데이터가 투명하게 그려진다. 이 경우에, 임의 특수한 처리가 틴트 블록 이미지를 그리는데 수행된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단계 S1908에서는, 틴트 블록 이미지가 이미 그려진 문서 데이터에 그려지도록 틴트 블록 패턴의 그리기가 단계 S2711의 중첩 모드로 수행된다. 이 경우에, 단순히 틴트 블록 패턴이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의해 생성된 텍스트 데이터와 같은 문서 데이터에 그려지면, 문서 데이터는 틴트 블록 패턴 뒤에 숨겨진다. 상기 문제를 피하기 위해서, 문서 데이터가 완전히 숨겨지지 않도록 AND/OR 논리적 연산에 따른 그리기가 수행된다. 예를 들어, 하부 층 패턴(문서 데이터)의 픽셀 값이 특정 픽셀에서 흰색일 때(즉, 픽셀 값이 0일 때), 상기 픽셀에 대응하는 픽셀의 틴트 블록 패턴의 픽셀 값이 기입된다. 이후에 처리는 단계 S2712로 진행하고 틴트 블록 이미지의 렌더링이 종료한다.
전술한 부분 영역 모드를 이용함으로써 낮은 비용으로 틴트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전체 영역 모드에서의 형식 이외에 부분 영역 모드에서도 표준 형식을 준비함으로써 사용자는 틴트 블록의 복사 방지 유용성 및 낮은 비용의 관점에서의 요구 모두를 만족하는 최상의 형식을 선택할 수 있다. 즉, 부분 영역 모드는 사용자가 많은 량의 토너를 필요로 하는 전체 영역 모드 보다 낮은 비용으로 틴트 블록을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부분 영역 모드가 비용이 낮을지라도, 부분 영역 모드로 생성된 틴트 블록은 원본과 복제물을 구별할 수 있게 해 준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잠상 문자열은, 상부 오른쪽 위치 또는 하부 오른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즉,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에 대해서는 오른쪽에 맞추어지고, 가운데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가운데에 맞추어지며, 상부 왼쪽 위치 또는 하부 왼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왼쪽에 맞추어진다. 대안적으로, 잠상 문자열은, 상부 오른쪽 위치 또는 상부 왼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즉, 단일의 틴트 블록 타일)에 대해서는 위(top)쪽에 맞추어지고, 가운데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가운데에 맞추어지고, 하부 오른쪽 위치 또는 하부 왼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아래(bottom)쪽에 맞추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잠상 문자열은, 상부 오른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위쪽 및 오른쪽에 맞추어지고, 하부 오른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아래쪽 및 오른쪽에 맞추어지고, 상부 왼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위쪽 및 왼쪽에 맞추어지고, 하부 왼쪽 위치에 배치된 부분 틴트 블록 패턴에 대해서는 아래쪽 및 왼쪽에 맞추어질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틴트 블록의 설정 및 틴트 블록의 PDL 데이터의 생성은 컴퓨터로 수행된다. 대안적으로, 이들 처리를 프린터로 실행할 수도 있다. 특히, 도 15에 도시된 설정 화면은 조작부(1501)에 표시되고, 다양한 종류의 틴트 블록 설정이 이 설정 화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설정에 따라서, 이미지 제어기(1000)는 컴퓨터로부터 공급된 PDL 이미지 데이터에 틴트 블록 이미지를 부가하고, 인쇄부(17)는 결과 데이터에 따라 인쇄를 수행한다.
본 발명이 다수의 장치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컴퓨터, 인터페이스 디바이스, 리더, 프린터, 등), 또는 단일 장치 또는 디바이스(예를 들어,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머신 등)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저장 매체로부터 프로그램 코드를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또는 CPU)로 불러들이고 이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또는 CPU) 상에서 실행하여 흐름도를 참조로 하는 전술한 임의의 실시예에 따라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이 경우에, 저장 매체로부터 읽어들인 프로그램 코드는 전술한 실시예에 개시된 기능들을 구현하며, 프로그램 코드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프로그램 코드를 제공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이용될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특정 예는 플로피(등록 상표) 디스크, 하드 디스크, 광학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CD-ROM, CD-R, 자기 테이프, 비휘발성 메모리 카드 및 ROM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개시된 기능들은 프로그램 코드를 컴퓨터로 실행하여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컴퓨터 상에서 동작하는 운영 시스템 등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그러한 기능들의 구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실시예들 중 임의 실시예에 따라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저장 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컴퓨터 내에 삽입된 확장 카드의 메모리 또는 컴퓨터에 연결된 확장부의 메모리 내에 적재할 수 있으며, 이 처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적재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서 확장 카드 또는 확장부에 배치된 CPU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그러한 기능 구현 또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한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다음의 특허 청구의 범위는 모든 수정, 균등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최광의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컴퓨터를 이용하여 생성된 틴트 블록 이미지를 콘텐츠 데이터와 중첩되도록 출력할 때, 일반적인 용지를 사용하여 틴트 블록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기술은 위조 방지 용지를 이용하는 기술에 비교해 볼 때 비용 면에서 유리하다. 더구나, 콘텐츠 데이터를 인쇄할 때 틴트 블록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이 허용되기 때문에, 원래의 인쇄물이 복사될 때 시각화되는 틴트 블록 이미지와 문자열의 컬러를 자유롭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8)

  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및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따라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justification mode)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위치 지정부가 상기 위치를 가운데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가운데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위치 지정부가 상기 위치를 가운데가 아닌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또는 왼쪽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기 복사 위조 방지 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영역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폰트 크기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크기 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오버플로우(overflow)하는 경우, 행들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정보 처리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보다 크지 않게 결정하도록 구성된 영역 결정부, 및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와 동 일하도록 상기 영역 결정부에 의해 결정될 경우,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소정의 크기를 갖는 영역 내에 완전히 배치되게 폰트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폰트 크기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7. 인쇄 장치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따라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 및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부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위치 지정부가 상기 위치를 가운데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가운데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부는 상기 위치 지정부가 상기 위치를 가운데가 아닌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또는 왼쪽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인쇄 장치.
  8. 삭제
  9.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영역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폰트 크기 결정부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폰트 크기 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가 소정의 크기보다 작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오버플로우하는 경우, 행들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인쇄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기 복사 위조 방 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보다 크지 않게 결정하도록 구성된 영역 결정부, 및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상기 영역 결정부에 의해 결정될 경우, 상기 잠상 문자열이 소정의 크기를 갖는 영역 내에 완전히 배치되게 폰트 크기를 조정하도록 구성된 폰트 크기 조정부
    를 더 포함하는 인쇄 장치.
  13.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단계; 및
    지정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지정 단계에서 상기 위치를 가운데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가운데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지정 단계에서 상기 위치를 가운데가 아닌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또는 왼쪽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정보 처리 방법.
  14. 삭제
  15.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폰트 크기를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폰트 크기는 소정의 크기보다 작지 않게 결정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이 형성되는 영역을 오버플로우하는 경우, 행들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정보 처리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지정한 상기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에 따라,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를 소정의 크기보다 크지 않도록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가 상기 영역 크기 결정 단계에서 소정의 크기와 동일하도록 결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소정의 크기를 갖는 영역 내에 완전히 배치되게 폰트 크기를 조정하는 조정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19.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지정 단계; 및
    지정된 위치에 따라서 잠상 문자열을 맞추는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지정 단계에서 상기 위치를 가운데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가운데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 단계는 상기 지정 단계에서 상기 위치를 가운데가 아닌 위치로서 지정한다는 사실에 따라 상기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또는 왼쪽 맞춤으로 하는 상기 맞춤 모드를 결정하는 기억 매체.
  20. 제1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도록 되어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억 매체.
  21.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및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폰트 크기 결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폰트 크기 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를 소정의 폰트 크기보다 작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폰트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경우, 상기 잠상 문자열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정보 처리 장치.
  22. 정보 처리 장치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및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위치에 따라,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가운데 또는 왼쪽으로 맞춤하는 3가지 맞춤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장치.
  23. 인쇄 장치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폰트 크기 결정부; 및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부
    를 포함하고,
    상기 폰트 크기 결정부는 상기 폰트 크기를 소정의 폰트 크기보다 작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폰트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경우, 상기 잠상 문자열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인쇄 장치.
  24. 인쇄 장치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도록 구성된 위치 지정부;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상기 위치에 따라,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가운데 또는 왼쪽으로 맞춤하는 3가지 맞춤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부; 및
    상기 위치 지정부에 의해 지정된 위치에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인쇄하도록 구성된 인쇄부
    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
  25.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 단계; 및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는 폰트 크기 결정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폰트 크기 결정 단계는 상기 폰트 크기를 소정의 폰트 크기보다 작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폰트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경우, 상기 잠상 문자열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정보 처리 방법.
  26. 정보 처리 방법에 있어서,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 단계; 및
    상기 위치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상기 위치에 따라,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가운데 또는 왼쪽으로 맞춤하는 3가지 맞춤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를 포함하는 정보 처리 방법.
  27.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 단계; 및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의 크기에 따라 잠상 문자열의 폰트 크기를 결정하는 폰트 크기 결정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폰트 크기 결정 단계는 상기 폰트 크기를 소정의 폰트 크기보다 작지 않도록 결정하고,
    상기 폰트 크기가 상기 소정의 폰트 크기와 동일하게 설정될 때, 상기 잠상 문자열이 상기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영역으로부터 오버플로우하는 경우, 상기 잠상 문자열의 말단에서 오버플로우된 문자들이 버려지는 기억 매체.
  28.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복사 위조 방지부 패턴을 형성할 위치를 지정하는 위치 지정 단계; 및
    상기 위치 지정 단계에서 지정된 상기 위치에 따라, 잠상 문자열을 오른쪽, 가운데 또는 왼쪽으로 맞춤하는 3가지 맞춤 모드들 중 하나를 결정하는 결정 단계
    를 포함하는 기억 매체.
KR1020060102425A 2005-10-21 2006-10-20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KR100834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306647 2005-10-21
JP2005306647A JP4574513B2 (ja) 2005-10-21 2005-10-21 情報処理装置、印刷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3680A KR20070043680A (ko) 2007-04-25
KR100834263B1 true KR100834263B1 (ko) 2008-05-30

Family

ID=3772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2425A KR100834263B1 (ko) 2005-10-21 2006-10-20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94263B2 (ko)
EP (1) EP1777933B1 (ko)
JP (1) JP4574513B2 (ko)
KR (1) KR100834263B1 (ko)
CN (1) CN10044653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70958B2 (ja) * 2007-05-01 2010-06-02 村田機械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886609B2 (ja) * 2007-06-08 2012-02-2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4897620B2 (ja) * 2007-09-04 2012-03-1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178132B2 (ja) 2007-10-11 2013-04-10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並びに画像処理方法
JP4434282B2 (ja) * 2008-01-17 2010-03-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地紋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地紋画像生成装置
JP4502014B2 (ja) * 2008-01-17 2010-07-1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地紋画像生成プログラム及び地紋画像生成装置
US7872785B2 (en) * 2008-01-18 2011-01-18 Xerox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arameterized spot color rendering
JP5228897B2 (ja) 2008-01-31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処理方法、そのプログラム及び画像処理装置
US7894103B2 (en) * 2008-02-20 2011-02-22 Xerox Corporation Variable data digital pantographs
US8233197B2 (en) * 2008-11-20 2012-07-31 Xerox Corporation Pantograph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based on UCR/GCR
US7869090B2 (en) * 2008-12-17 2011-01-11 Xerox Corporation Variable data digital pantographs
JP5286294B2 (ja) * 2009-02-05 2013-09-11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293328B2 (ja) * 2009-03-26 2013-09-1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75723B2 (ja) * 2009-04-24 2012-02-15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20110299103A1 (en) * 2010-06-02 2011-12-08 Toshiba Tec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751020B2 (ja) * 2011-05-30 2015-07-22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描画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065955A (ja) * 2011-09-15 2013-04-1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N103136183A (zh) * 2011-12-05 2013-06-05 北大方正集团有限公司 一种排版处理的方法及设备
US9928561B2 (en) 2015-05-29 2018-03-27 Digimarc Corporation Serialized digital watermarking for variable data printing
JP6330790B2 (ja) * 2015-11-19 2018-05-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039B2 (en) * 1997-09-17 2003-03-11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image stamping
US20040150859A1 (en) * 2003-01-22 2004-08-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50174596A1 (en) * 2004-01-23 2005-08-1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59977A (ja) * 1986-12-24 1988-07-02 Dainippon Printing Co Ltd コンピユ−タによる表の編集方法
JP2621741B2 (ja) * 1992-04-30 1997-06-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記録装置
US6178431B1 (en) 1994-10-05 2001-01-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ide notes in word processing
JPH07285244A (ja) * 1994-11-16 1995-10-31 Brother Ind Ltd 印字装置
JPH11268354A (ja) * 1998-03-23 1999-10-05 King Jim Co Ltd 印刷装置
JP4092529B2 (ja) 1999-11-02 2008-05-28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憶媒体
JP2001324898A (ja) 2000-05-15 2001-11-22 Casio Comput Co Ltd 印刷制御装置、および、記憶媒体
JP2004355077A (ja) * 2003-05-27 2004-12-16 Fujitsu Ltd 帳票印刷処理プログラム、帳票定義体作成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帳票定義体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2005038263A (ja) * 2003-07-16 2005-02-10 Canon Inc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記録媒体及びプログラム
JP4194501B2 (ja) * 2004-01-30 2008-12-10 キヤノン株式会社 文書処理方法、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32039B2 (en) * 1997-09-17 2003-03-11 Flashpoint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image stamping
US20040150859A1 (en) * 2003-01-22 2004-08-05 Canon Kabushiki Kaisha Image-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US20050174596A1 (en) * 2004-01-23 2005-08-11 Canon Kabushiki Kaish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nform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574513B2 (ja) 2010-11-04
KR20070043680A (ko) 2007-04-25
EP1777933A1 (en) 2007-04-25
JP2007115078A (ja) 2007-05-10
EP1777933B1 (en) 2012-08-29
US20070091350A1 (en) 2007-04-26
CN1953497A (zh) 2007-04-25
US8194263B2 (en) 2012-06-05
CN100446534C (zh) 2008-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263B1 (ko) 정보 처리 장치, 인쇄 장치, 및 정보 처리 방법
JP4290089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KR100647765B1 (ko) 화상 처리 방법, 화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JP4182046B2 (ja) 印刷処理システムおよび印刷処理方法
JP2005193648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070127055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5103659B2 (ja) 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5117589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CN101321226A (zh) 打印处理系统和方法、信息处理和图像形成装置及方法
JP2006345383A (ja) 地紋制御装置、2次元コードの配置、方法および媒体
JP4418797B2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システム、印刷制御装置の制御方法、印刷制御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088763A (ja) 地紋印刷制御装置、地紋印刷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115126A (ja) 印刷制御装置及び印刷制御方法
JP4993796B2 (ja) 処理装置及び処理方法
JP4764513B2 (ja) 印刷処理システムおよび印刷処理方法
JP2007174387A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7110325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
JP2005115874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164543A (ja) 地紋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2005115875A (ja) 印刷制御装置、印刷制御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6345387A (ja) 印刷制御装置、方法および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