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31368B1 - 프리폼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프리폼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31368B1
KR100831368B1 KR1020070116687A KR20070116687A KR100831368B1 KR 100831368 B1 KR100831368 B1 KR 100831368B1 KR 1020070116687 A KR1020070116687 A KR 1020070116687A KR 20070116687 A KR20070116687 A KR 20070116687A KR 100831368 B1 KR100831368 B1 KR 1008313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unit
inlet
photographing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6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070116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313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3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3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80Testing, e.g. for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05Handling means, e.g. transfer, loading or discharg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36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2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62Venting means
    • B29C2049/622Venting means for venting air between preform and cavity, e.g. using venting holes, gaps or patterned moulds
    • B29C2049/627Venting means for venting air between preform and cavity, e.g. using venting holes, gaps or patterned moulds using vacuu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리폼 입구의 외관과, 입구 상단의 수평도 및, 프리폼의 균열, 천공홀의 발생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리폼 검사장치는, 프리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이송유니트에 의하여 프리폼이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프리폼을 촬영하는 촬영유니트;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프리폼의 입구에 밀착된 후 프리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니트; 및 촬영유니트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흡입유니트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 프리폼의 내부 압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프리폼의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유니트;를 구비한다.
프리폼, 검사, 진공, 카메라

Description

프리폼 검사장치{Apparatus for preform inspection}
본 발명은 프리폼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프리폼 입구의 외관과, 입구 상단의 수평도 및, 프리폼의 균열, 천공홀의 발생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ET병은 각종 탄산음료, 쥬스, 생수 등을 저장하기 위해서 널리 사용되는 용기이다. PET병은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프리폼(preform)(10)을 이용하여 만들어진다.
프리폼(10)은 PET병을 만들기 위한 중간 단계의 제품으로서, PET 수지를 호퍼(hopper)에 넣고 장시간동안 고온건조 시켜 PET 수지 내의 수분을 제거하고, 수분이 제거된 상기 PET 수지를 사출기에 넣고 300도 정도로 가열하여 PET 수지를 용융시킨 후, 몰드 내로 사출함으로써 만들어진다.
프리폼(10)의 가공정도는 완성품인 PET병의 품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프리폼(10)의 입구(12)는 그 외형과 사이즈가 병뚜껑과 결합될 수 있도록 정확하게 성형되어야 하고 그 상단이 수평하게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프리폼(10)의 몸체(16)에는 천공홀이나 균열이 없어야 한다.
한편, 프리폼(10)을 검사하기 위하여 각종 검사장치가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검사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프리폼(10)의 입구(12)를 촬영한 후, 촬영된 영상을 중앙처리장치에 미리 저장된 기준테이터와 비교함으로써 합격 여부를 결정한다. 이러한 장치는 신속하게 결함있는 프리폼(10)을 골라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 검사장치는 검사하고자 하는 프리폼(10)의 각 부분마다 대응되는 카메라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고가(高價)라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검사장치는 카메라를 이용하기 때문에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되기 어려운 작은 오차나 균열 등을 감지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프리폼 입구의 외관과, 입구 상단의 수평도 및, 프리폼의 균열, 천공홀의 발생 등을 검사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리폼의 각 부분을 모두 검사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저렴한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기 어려운 작은 오차나, 작은 균열, 작은 천공홀 등을 가진 프리폼도 골라낼 수 있는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폼 검사장치는, 프리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이송유니트에 의하여 프리폼이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프리폼을 촬영하는 촬영유니트;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프리폼의 입구에 밀착된 후 프리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니트; 및 촬영유니트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흡입유니트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 프리폼의 내부 압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프리폼의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유니트;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이송유니트는, 프리폼을 공급하는 공급부; 공급부로부터 이송된 프리폼이 상기 이송경로을 따라 이송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경로에 상응하는 관통라인이 형성된 이송프레임; 구동원에 의하여 회전이 가능하도록 촬영유니트의 하측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홈이 형성되어 프리폼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원형의 제1 가이드휠; 및 흡입유니트의 하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홈이 형성되어 프리폼의 이송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휠;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흡입유니트는, 프리폼의 입구를 향하여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강시에는 프리폼의 입구에 밀착되어 프리폼의 입구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승하강 부재; 흡입공을 통하여 프리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및 프리폼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흡입유니트는, 상기 이송경로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평판; 지지평판을 관통하여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하단에는 승하강부재가 설치된 가이드봉; 및 지지평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봉의 승하강이 이루 어지도록 하는 캠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캠부는, 지지평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진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원통부재를 구비하고, 가이드봉은 베어링부재에 설치되어 베어링부재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프리폼 검사장치는 중앙처리유니트에 의하여 불합격으로 판정된 프리폼을 분리하는 분리유니트를 더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이송유니트는 상기 이송경로에 상응하는 관통라인이 형성된 이송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리폼은 관통라인을 따라 이송되며, 이송프레임의 후단에는 관통라인의 너비가 프리폼의 돌출부보다 커지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분리유니트는, 요홈부에 설치되어 프리폼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관통라인에 대하여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왕복이동시켜 불량으로 판정된 프리폼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한다.
본 발명인 프리폼 검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프리폼 입구의 외관과, 입구 상단의 수평도 및, 프리폼의 균열, 천공홀의 발생 등을 검사할 수 있다.
둘째, 프리폼의 각 부분을 모두 검사할 수 있으면서도 제조비용이 저렴하다.
셋째, 카메라에 의하여 감지되기 어려운 작은 오차나, 작은 균열, 작은 천공홀 등을 가진 프리폼도 골라낼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상기 프리폼 검사장치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상기 프리폼 검사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프리폼 검사장치(100)는, 프리폼(10)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와, 이송유니트에 의하여 이송 중인 프리폼(10)의 입구(12)를 촬영하는 촬영유니트(30)와, 프리폼(10)의 입구(12)에 밀착된 후 프리폼(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프리폼(1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흡입유니트(40) 및,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상기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합격여부를 판정하는 중앙처리유니트(미도시)를 구비한다.
이송유니트는, 프리폼(10)을 공급하는 공급부(21), 공급부(21)로부터 이송된 프리폼(10)이 이송되도록 지지하는 이송프레임(23), 이송프레임(23)을 따라 이동되 는 프리폼(10)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원형의 제1,2 가이드휠(25)(27)을 구비한다.
공급부(21)는 상기 이송프레임(23)에 프리폼(10)을 공급한다. 바람직하게, 공급부(21)는 경사지게 설치되고,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공급라인(21a)을 구비한다.
공급라인(21a)은 공급부(21)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것으로서, 프리폼(10)의 돌출부(13)가 걸려질 수 있는 너비를 가진다. 즉, 프리폼(10)은 돌출부(13)가 이송프레임(23)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공급라인(21a)을 따라서 중력에 의하여 이동된다.
이송프레임(23)은 프리폼(10)이 촬영유니트(30)와 흡입유니트(40)를 따라 이송되는 동안에 프리폼(10)을 지지한다. 이송프레임(23)에는 이송프레임(23)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관통라인(23a)이 구비된다.
프리폼(10)은 공급라인(21a)을 따라 이동된 후, 관통라인(23a)을 따라 이동된다. 관통라인(23a)은 프리폼(10)의 돌출부(13)가 걸려질 수 있는 너비를 가진다. 즉, 프리폼(10)은 돌출부(13)가 이송프레임(23)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관통라인(23a)을 따라서 이송된다.
바람직하게, 공급부(21)와 제1 가이드휠(25) 사이의 이송프레임(23) 아래에는 스크루(22)가 설치된다. 스크루(22)는 구동원(90)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원(90)의 구동력은 기어어셈블리(22a)와 벨트(미도시)에 의하여 스크루(22)에 전달된다.
스크루(22)는,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작단에서부터 끝단으로 갈수록 산의 너비가 넓어지는데, 이것은 제1 가이드휠(25)의 홈(25a) 사이의 간격만큼 프 리폼(10) 사이의 간격을 넓히기 위해서이다. 즉, 공급부(21)에서는 프리폼(10)이 서로 밀착되어 공급되고, 스크루(21)에 의하여 프리폼(1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게 된다.
한편, 구동원(90)은 스크루(22), 중심축(82), 제1,3 가이드휠(25)(29)을 회전시킨다. 제2 가이드휠(27)은 중심축(82)에 설치되기 때문에 중심축(82)과 함께 회전된다. 스크루(22), 중심축(82), 제1,3 가이드휠(25)(29)는 각각의 구동원에 의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회전될 수도 있지만, 하나의 구동원(90)에 의하여 서로 연동되도록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휠(25)은 구동원(90)에 의하여 회전되는 원형의 평판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홈(25a)이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휠(25)은 촬영유니트(30)의 아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25a)은 프리폼(10)의 돌출부(13)를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홈(25a)은 프리폼(10) 사이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프리폼(10)이 적정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홈(25a)의 하측에는 흡입관(25b)이 설치된다. 흡입관(25b)은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된다. 흡입관(25b)은 프리폼(10)의 몸체(16)를 흡착함으로써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촬영되는 도중에 프리폼(1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제2 가이드휠(27)은 중심축(82)에 설치되어 구동원(90)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바람직하게, 제2 가이드휠(27)은 흡입유니트(40)의 아래에 설치된다. 중심축(82)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원(90)에 의하여 회전된다.
도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휠(27)의 외주면에는 홈(27a)이 형성된다. 홈(27a)은 이송 중인 프리폼(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가이드하여 승하강 부재(41)의 간격과 동일해지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이송유니트는 제2 가이드휠(27)의 후방에 설치된 제3 가이드휠(29)을 구비한다. 제3 가이드휠(29)의 외주면에는 홈(29a)이 형성되어 프리폼(10)의 이송을 가이드한다. 제3 가이드휠(29)은 구동원(90)에 의하여 회전된다.
촬영유니트(30)는 제1 가이드휠(25)의 상측에 설치되고, 관통라인(23a)과 제1 가이드휠(25)에 의하여 이송 중인 프리폼(10)의 입구(12)를 촬영한다.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중앙처리유니트(미도시)에 전달된다. 상기 영상에 의하여 프리폼(10) 입구(12)의 외관, 입구(12) 상단의 수평 여부, 나사선 결함 여부 등을 검사할 수 있다.
촬영유니트(30)는 카메라(32)와 조명부재(34)를 구비한다. 이러한 촬영유니트(30)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751266호 등에 그 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흡입유니트(40)는 제2 가이드휠(27)의 상측의 중심축(82)에 설치된다. 흡입유니트(40)는, 제2 가이드휠(27)의 상측의 중심축(82)에 설치된 지지평판(42), 지지평판(42)을 관통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봉(43), 가이드봉(43)의 하단에 설치되고 프리폼(10)의 입구(12)와 연통될 수 있는 승하강부재(41), 승하강부재(41)를 통하여 프리폼(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프리폼(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미도시) 및, 지지평판(42)의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봉(43)의 승하강 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캠부(45)를 구비한다.
지지평판(42)은 제2 가이드휠(27)의 상측의 중심축(82)에 설치된다. 지지평판(42)은 원형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평판(42)에는 일정한 각도마다 관통공과 흡착공(42a)이 형성된다. 상기 각도는 제2 가이드휠(27)의 홈(27a) 사이의 각도와 대응된다. 관통공에는 가이드봉(43)이 설치된다.
가이드봉(43)은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지지평판(42)의 관통공에 설치된다. 가이드봉(43)의 승하강은 캠부(45)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이 점은 아래에서 설명된다.
승하강부재(41)는 가이드봉(43)의 하단에 설치되어 가이드봉(43)과 함께 승하강된다. 승하강부재(41)에는 흡입공(41a)이 형성된다. 도 5 및 도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흡입공(41a)은 승하강부재(41)가 하강한 경우에 프리폼(10)의 입구(12)에 밀착된다. 흡입공(41a)은 연결관(41b)에 의하여 흡착공(42a)과 연결된다.
진공부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지지평판(4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프레임(80)에 고정 설치되고 내부에는 중공(51)이 형성된 블록(52)과, 진공펌프(미도시) 및, 진공펌프와 중공(51)을 연결하는 진공관(53)을 구비한다.
블록(52)은 프레임(80)에 고정되고 지지평판(42)은 회전되어 흡착공(42a)이 중공(51)과 연통되면 진공펌프의 흡입력은 중공(51)과, 흡착공(42a)과, 연결관(41b), 및 흡입공(41a)을 따라 전달되어 프리폼(10)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인다.
압력센서(미도시)는 프리폼(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신호를 중앙처리유니트를 전달한다. 압력센서는 중공(51)과, 흡착공(42a)과, 연결관(41b), 흡입 공(41a)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공기압을 측정하는 통상적인 센서가 압력센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캠부(45)는 프레임(80)에 고정설치되어 가이드봉(43)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캠부(45)는, 지지평판(42)의 상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지게 베어링부재(45b)가 설치된 원통부재(45a)와, 베어링부재(45b)에 의하여 원통부재(45a)에 연결된 지지 케이스(45c)를 구비한다.
원통부재(45a)는 프레임(80)에 고정설치되고 외주면에는 베어링부재(45b)가 경사지게 형성된다. 중심축(82)의 회전에 의하여 지지평판(42)이 회전되고 지지평판(42)의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봉(43)과 지지케이스(45c)가 회전되면 지지케이스(45c)는 베어링부재(45b)를 따라 중심축(82)의 주위를 회전하기 때문에 가이드봉(43)이 승하강하게 된다.
이 때, 진공부에 의하여 프리폼(10) 내부의 공기흡입이 이루어지는 때를 포함하여 상기 공기흡입 전후에는 가이드봉(43)이 하강하여 승하강부재(41)와 프리폼(10)의 입구(12)가 밀착되도록 베어링부재(45b)가 설치된다. 이를 위해서 제1 가이드휠(25)에서 제2 가이드휠(27)로 프리폼(10)이 넘어가는 지점 부근에서 승하강부재(41)가 하강하여 프리폼(10)의 입구(12)에 밀착되고, 제2 가이드휠(27)에서 제3 가이드휠(29)로 프리폼(10)이 넘어가는 지점 부근에서 승하강부재(41)가 상승되어 프리폼(10)의 입구(12)로부터 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지 케이스(45c)에는 가이드봉(43)이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따라서, 지지 케이스(45c)가 베어링부재(45b)를 따라 승하강되면 가이드봉(43)도 동시에 승하강 된다. 바람직하게, 지지 케이스(45c)에는 보조봉(45d) 및, 보조봉(45d) 둘레의 스프링(45e)이 더 설치된다.
중앙처리유니트(미도시)는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과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압력을 이용하여 합격여부를 판정한다. 중앙처리유니트는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프리폼(10)의 내부 압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프리폼(10)의 합격여부를 판단한다.
중앙처리유니트는 상기 영상을 이용하여 프리폼(10) 입구(12)의 외관, 입구(12) 상단의 수평여부, 입구(12) 둘레의 나사선 등을 검사한다. 이러한 검사과정은 카메라를 이용하여 PET 병의 합격여부를 판정하기 위하여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서, 공개특허 특2002-15517호 등에 그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중앙처리유니트는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프리폼(10)의 내부 압력을 이용하여 입구(12) 상단의 수평여부(즉, 입구(12) 상단과 승하강부재(41)의 밀착여부), 프리폼(10)에 미세한 균열이나 천공홀이 존재하는지 여부 등을 검사한다. 압력센서에 의하여 측정된 프리폼(10)의 내부 압력이 기준압력과 허용오차 범위 이내에 있으면 합격으로 판정되고 허용오차를 벗어나면 불합격으로 판정된다. 상기 허용오차 범위는 프리폼의 내부 용적, 진공펌프의 용량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중앙처리유니트에 의한 판정결과는 디스플레이부재(60) 또는 알람 등에 의하여 작업자에게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프리폼(10)의 내부압력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존의 카 메라를 이용하여 감지하기가 어려운 작은 균열이나 작은 천공홀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여러 각도에 카메라를 배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었지만 본 발명은 진공도를 이용하기 때문에 이러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리폼 검사장치(100)는 중앙처리유니트에 의하여 불합격으로 판정된 프리폼(10)을 합격품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유니트(70)를 구비하고, 이송프레임(23)에는 관통라인(23a)의 너비가 프리폼(10)의 돌출부(13) 직경보다 커지는 요홈부가 형성된다.
분리유니트(70)는, 도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요홈부에 설치되어 프리폼(10)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72) 및, 관통라인(23a)에 대하여 지지부재(72)를 선택적으로 왕복이동시켜 불량으로 판정된 프리폼(10)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동부재(74)를 구비한다. 이동부재(74)는 불량으로 판정된 프리폼(10)이 지지부재(72) 위로 이송되면 점선으로 나타난 부분까지 지지부재(72)를 후퇴시켜 상기 프리폼(10)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한다. 한편, 합격으로 판정된 프리폼(10)은 이송프레임(23)의 끝단까지 이송된 후 미리 준비된 수납함(미도시)에 수납된다.
이동부재(74)로는 통상의 구동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촬영유니트(30)에 의하여 촬영된 프리폼(10)이 불량인 경우에는 그 정보가 중앙처리유니트에 저장되고, 상기 프리폼(10)이 지지부재(72) 위로 이송되면 이동부재(72)가 작동한다. 촬영유니트(30)로부터 지지부재(72)까지 프리폼(10)이 이송될 수 있는 중심축(82)의 회전각도를 이용하여 이동부재(74)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중심축(82)이 회전한 각 도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통상적인 엔코더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유니트(30)로부터 지지부재(72)까지 프리폼(10)이 이송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이동부재(74)가 작동될 수도 있다.
그러면, 본 발명에 따른 프리폼 검사장치(100)가 작동되는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급부(21)를 통하여 프리폼(10)을 이송프레임(23)에 공급한다. 프리폼(10)은 공급라인(21a)과 관통라인(23a)을 통하여 이송된다. 관통라인(23a)은 제1,2,3 가이드휠(25)(27)(29)의 외주(外周)를 경유하도록 형성된다. 스크루(22)는 프리폼(10) 사이의 간격을 넓혀서 촬영유니트(30)에 의한 촬영에 적합하도록 한다.
스크루(22)를 경유한 프리폼(10)은 제1 가이드휠(25)에 의하여 가이드되면서 이동된다. 제1 가이드휠(25)의 아래에 설치된 흡입관(25b)은 프리폼(10)을 흡착하여 촬영 시에 프리폼(10)이 흔들리지 않도록 한다.
촬영유니트(30)는 제1 가이드휠(25)의 상측에서 프리폼(10)의 입구(12)를 촬영한다. 촬영된 영상은 중앙처리유니트로 전달된다.
제1 가이드휠(25)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이송된 프리폼(10)은 계속해서 제2 가이드휠(27)에 의하여 가이드 되면서 이송된다.
제1 가이드휠(25)에서 제2 가이드휠(27)로 프리폼(10)이 넘어가는 지점 부근에서 승하강부재(41)가 하강하여 프리폼(10)의 입구(12)에 밀착되고, 제2 가이드휠(27)에서 제3 가이드휠(29)로 프리폼(10)이 넘어가는 지점 부근에서 승하강부재(41)가 상승되어 프리폼(10)의 입구(12)로부터 이격된다.
지지평판(42)이 회전되어 블록(52)의 중공(51)과 흡착공(42a)이 연통되면 흡입력이 프리폼(10) 내부로 전달되어져서 프리폼(1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고, 압력센서는 프리폼(10)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여 그 신호를 중앙처리유니트로 전달한다.
중앙처리유니트는 상기 영상을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상기 압력을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프리폼(10)의 합격여부를 판정한다. 중앙처리장치는 불합격인 프리폼(10)이 지지부재(72)의 위로 이동되면 이동부재(74)를 작동시켜 상기 프리폼(10)이 아래로 떨어지게 하여 불합격품을 합격품으로부터 분리한다. 합격품인 프리폼(10)은 이송프레임(23)의 끝단까지 이송된 후 미리 준비된 수납함(미도시)으로 떨어진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리폼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검사장치를 보여주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프리폼 검사장치의 정면도.
도 4는 도 2의 프리폼 검사장치의 좌측면도.
도 5는 도 3의 A 부분의 확대도.
도 6은 도 2의 프리폼 검사장치의 이송유니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4의 B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2의 프리폼 검사장치의 진공부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2의 프리폼 검사장치의 분리유니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리폼 30 : 촬영유니트
40 : 흡입유니트 60 : 디스플레이부재
70 : 분리유니트 80 : 프레임
100 : 프리폼 검사장치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프리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이송유니트에 의하여 프리폼이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프리폼을 촬영하는 촬영유니트;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프리폼의 입구에 밀착된 후 프리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니트; 및
    촬영유니트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흡입유니트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 프리폼의 내부 압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프리폼의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유니트;를 구비하고,
    흡입유니트는,
    상기 이송경로의 상측에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지지평판;
    지지평판을 관통하여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봉;
    가이드 봉의 하단에 설치되어 프리폼의 입구를 향하여 승하강이 가능하고, 하강시에는 프리폼의 입구에 밀착되어 프리폼의 입구와 연통되는 흡입공이 형성된 승하강 부재;
    흡입공을 통하여 프리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진공부;
    프리폼 내부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 및,
    지지평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가이드봉의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캠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검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캠부는,
    지지평판의 상측에 설치되고 외주면에는 경사진 베어링부재가 설치된 원통부재를 구비하고,
    가이드봉은 베어링부재에 설치되어 베어링부재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승하강 운동을 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검사장치.
  6. 프리폼을 이송시키는 이송유니트;
    이송유니트에 의하여 프리폼이 이송되는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어 이송 중인 프리폼을 촬영하는 촬영유니트;
    상기 이송경로 상에 설치되고, 프리폼의 입구에 밀착된 후 프리폼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유니트;
    촬영유니트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하고 흡입유니트에 의하여 내부의 공기가 흡입된 프리폼의 내부 압력을 미리 저장된 기준압력과 비교하여 프리폼의 합격여부를 판단하는 중앙처리유니트; 및
    중앙처리유니트에 의하여 불합격으로 판정된 프리폼을 분리하는 분리유니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검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이송유니트는 상기 이송경로에 상응하는 관통라인이 형성된 이송프레임을 구비하고, 프리폼은 관통라인을 따라 이송되며,
    이송프레임의 후단에는 관통라인의 너비가 프리폼의 돌출부보다 커지는 요홈부가 형성되고,
    분리유니트는,
    요홈부에 설치되어 프리폼의 이동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관통라인에 대하여 지지부재를 선택적으로 왕복이동시켜 불량으로 판정된 프리폼이 아래로 떨어지도록 하는 이동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검사장치.
KR1020070116687A 2007-11-15 2007-11-15 프리폼 검사장치 KR1008313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87A KR100831368B1 (ko) 2007-11-15 2007-11-15 프리폼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6687A KR100831368B1 (ko) 2007-11-15 2007-11-15 프리폼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31368B1 true KR100831368B1 (ko) 2008-05-22

Family

ID=39664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6687A KR100831368B1 (ko) 2007-11-15 2007-11-15 프리폼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3136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6268A2 (de) 2009-04-02 2010-10-06 Krones AG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zu Kunststoffbehältnissen mit Formaterkennung, Blasform und Verfahren zum Formaterkennung
KR101186255B1 (ko) 2012-04-27 2012-09-27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검사장치
KR101211926B1 (ko) 2012-02-08 2012-12-1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617623B1 (ko) * 2014-10-29 2016-05-03 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균열검사장치와 시약투입장치가 구비된 진공채혈관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KR101760120B1 (ko) * 2015-04-29 2017-07-20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JP2018009944A (ja) * 2016-07-15 2018-01-18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容器の検査装置
US10006869B1 (en) 2011-08-26 2018-06-26 P&S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surface of cylindrical body
KR20210030517A (ko) * 2019-09-02 2021-03-18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성형 검사장치 및 성형 검사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322A (ja) * 1988-07-25 1990-02-05 Toyo Seikan Kaisha Ltd プリフォーム首部の直径,上端面および高さ検査装置
JPH1130593A (ja) 1997-07-10 1999-02-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H11100119A (ja) * 1997-09-29 1999-04-13 Kirin Techno System:Kk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2000171413A (ja) 1998-12-09 2000-06-2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検査装置
JP2001088207A (ja) 1999-09-22 2001-04-03 Yamakyuu Automatics Kk 中空成形品の検査装置
KR20040110120A (ko) * 2003-06-18 2004-12-31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의 입구 및 나사산 부위의 치수 및 이물질결함검사장치
KR100751266B1 (ko) 2006-08-10 2007-08-2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34322A (ja) * 1988-07-25 1990-02-05 Toyo Seikan Kaisha Ltd プリフォーム首部の直径,上端面および高さ検査装置
JPH1130593A (ja) 1997-07-10 1999-02-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H11100119A (ja) * 1997-09-29 1999-04-13 Kirin Techno System:Kk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2000171413A (ja) 1998-12-09 2000-06-23 Mitsubishi Plastics Ind Ltd 検査装置
JP2001088207A (ja) 1999-09-22 2001-04-03 Yamakyuu Automatics Kk 中空成形品の検査装置
KR20040110120A (ko) * 2003-06-18 2004-12-31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의 입구 및 나사산 부위의 치수 및 이물질결함검사장치
KR100751266B1 (ko) 2006-08-10 2007-08-2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검사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36268A2 (de) 2009-04-02 2010-10-06 Krones AG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zu Kunststoffbehältnissen mit Formaterkennung, Blasform und Verfahren zum Formaterkennung
EP2236268A3 (de) * 2009-04-02 2011-09-07 Krones AG Vorrichtung zum Umformen von Kunststoffvorformlingen zu Kunststoffbehältnissen mit Formaterkennung, Blasform und Verfahren zum Formaterkennung
US10006869B1 (en) 2011-08-26 2018-06-26 P&S Technology Co., Ltd. Apparatus for inspecting surface of cylindrical body
KR101211926B1 (ko) 2012-02-08 2012-12-1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186255B1 (ko) 2012-04-27 2012-09-27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검사장치
KR101617623B1 (ko) * 2014-10-29 2016-05-03 비에스메디칼 주식회사 균열검사장치와 시약투입장치가 구비된 진공채혈관의 제조설비 및 제조방법
KR101760120B1 (ko) * 2015-04-29 2017-07-20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JP2018009944A (ja) * 2016-07-15 2018-01-18 キリンテクノシステム株式会社 容器の検査装置
KR20210030517A (ko) * 2019-09-02 2021-03-18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성형 검사장치 및 성형 검사방법
KR102253036B1 (ko) 2019-09-02 2021-05-17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성형 검사장치 및 성형 검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368B1 (ko) 프리폼 검사장치
KR101264510B1 (ko) 캡슐 취급 장치 및 캡슐 취급 장치를 포함하는 캡슐 처리 장비
KR101463430B1 (ko) 피검사물의 반송 장치 및 외관 검사 장치
KR101453933B1 (ko) 외관 검사 장치
JP5567079B2 (ja)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09844505B (zh) 玻璃容器的烧伤检查装置
US8123024B2 (en) Vibrating feeder, carrying device and inspection device
KR101211926B1 (ko) 프리폼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08389808A (zh) 硅片分选机
CN108855962A (zh) 一种用于压入电陶瓷微粒电容的治具板的检测机
CN107777351A (zh) 贴片式电阻上下料系统及包含该上下料系统的生产设备
KR20200045070A (ko) 공기흡입력을 이용한 패트병 검사장치
KR100836832B1 (ko) 전자부품의 외관 검사장치
CN208157366U (zh) 硅片分选机
JP2001091472A (ja) Petプリフォームの検査装置
CN216262125U (zh) 一种奶酪棒次品检测筛选机构
JP2012137396A (ja) 異物検出装置
JP3161942U (ja) 電子部品の分類装置
KR101061050B1 (ko) 용기의 입구부 결함검사장치
KR101209834B1 (ko)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15041417A (zh) 一种瓶胚ccd缺陷检测方法
CN210965935U (zh) 一种光学产品自动检测设备
JP7007753B2 (ja) 容器検査装置
KR20220136994A (ko) 캡슐의 외관검사장치
KR102018955B1 (ko) 히든라벨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4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