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9834B1 -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 Google Patents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9834B1
KR101209834B1 KR1020120055193A KR20120055193A KR101209834B1 KR 101209834 B1 KR101209834 B1 KR 101209834B1 KR 1020120055193 A KR1020120055193 A KR 1020120055193A KR 20120055193 A KR20120055193 A KR 20120055193A KR 101209834 B1 KR101209834 B1 KR 101209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form
support ring
inspection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1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200551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9834B1/ko
Priority to JP2012187151A priority patent/JP5567079B2/ja
Priority to CN201210343096.2A priority patent/CN103240863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9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9834B1/ko
Priority to HK14101442.6A priority patent/HK1188184A1/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78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9/80Testing, e.g. for lea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2/00Hollow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은 프리폼을 공정 및 자전시키는 터릿조립체의 주변으로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에 탑재된 서포트링 검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서포트링 검사부는, 상기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에 세워진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부에서 촬영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조인트; 상기 프레임 조인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을 향하도록 배치된 서포트링 검사부; 및 상기 프리폼의 뒤쪽으로 상기 장착대의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폼 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상기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의 이물을 검사한다.

Description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PREFORM SUPPORT RING}
본 발명은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 또는 플라스크와 같은 중공 용기를 제조하기 위하여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제조된 프리폼(preform)이 블로우 성형 장치 또는 연신-블로우 성형(stretch-blow molding) 장치에 공급될 수 있다.
프리폼은 그의 길이 방향의 끝단부 중 하나가 폐쇄되어 있고, 개방된 반대쪽 끝단부에 네크(neck)가 구비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네크 하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관형의 몸통을 포함하고, 이 몸통은는 사출 성형 작업 후에 최종적인 용기 형상을 갖게 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 기술로서 도 1에 도시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10)는 프리폼(P)을 제 1 프리폼 이송부(3)에 공급하는 프리폼 공급부(1)와,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10)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2)과, 구동수단(2)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 1 회전판에 복수개의 푸셔(3a)(pusher)를 구비하여 푸셔(3a)의 제 1 흡착구(3b)로 프리폼(P)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는 제 1 프리폼 이송부(3)와,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프리폼(P)을 회전시키는 프리폼 회동부(4)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10)는 상기 프리폼(P)의 몸통 표면을 검사할 수 있도록 상기 프리폼 회동부(4)가 설치된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제 1 프리폼 이송부(3)와 프리폼 회동부(4)를 통해 프리폼(10)이 "α" 거리로 이동하며 2회전 할 때, 제 1, 2 반사경을 "α/2" 거리만큼 함께 이동시켜 비친 화상을 제 1, 2 카메라를 통해 촬영하여 검사한 후 원위치로 돌아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제 1 반사경회전장치가 구비된 몸통 표면검사부(5)와, 프리폼(P)의 네크 표면을 검사하는 제 2 반사경회전장치가 구비된 네크 표면검사부(6)를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10)는 복수개로서 제 2 회전판 상에 방사형 방향으로 배치된 흡입관과, 흡입관의 끝에 마련된 제 2 흡착구를 구비하여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프리폼(P)을 제 2 흡착구로 흡착하여 가져와 이송시키는 제2 프리폼 이송부(7)와, 제2 프리폼 이송부(7)가 설치된 구간에 인접하게 설치되며, 네크 내면(neck inner wall), 네크 치수, 게이트 커팅부위 및 바닥부위를 검사하는 검사부(8)와, 검사가 끝난 프리폼(P)을 외부로 방출하는 프리폼 배출부(9)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는 후술되는 바와 같은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는 스크류 타입의 프리폼 공급부(1)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프리폼 공급부(1)는 일정한 이송 피치를 가지는 스크류 타입의 피더인 스크류(1a)와 원형톱 형상의 가이드휠(1b)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스크류(1a)와 가이드휠(1b)은 특허문헌 1의 도 2에도 개시되어 있다.
프리폼 공급부(1)에서는 선행 물류 시스템으로부터 전달된 프리폼(P)이 스크류(1a)를 경유하여 가이드휠(1b)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스크류(1a)의 이송 피치는 가이드휠(1b)의 이송 피치와 일치하여야 하고, 스크류(1a)에서 이송중인 프리폼(P)이 안정적으로 가이드휠(1b)에 안정적으로 안착되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즉, 스크류(1a)를 이용한 이송 방식은 프리폼(P)과의 접촉 면적이 넓기 때문에, 프리폼(P)의 표면과 스크류(1a)의 이송면과의 상대속도가 발생할 수 있고, 프리폼(P)의 표면에 흠집 발생 등 표면 불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넓은 면적의 접촉으로 인한 표면 불량의 발생 정도도 심하다.
또한, 가이드휠(1b) 이전에 스크류(1a)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시스템과 설치 공간이 필요하고, 가이드휠(1b)과 스크류(1a)간 이송 피치 및 위치를 동기화시키는 제어 시스템이 필요하고, 그 구성의 난이도가 높으며, 높은 구성 비용을 발생 시킬 수 있고, 기본 구성의 복잡성으로 고장률 및 관리 비용이 상대적으로 높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는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푸셔(3a)의 제 1 흡착구(3b)가 상하 방향으로 흡착력을 작용하면서 이송하고 있는 도중에, 제 2 프리폼 이송부(7)의 제 2 흡착구가 상하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흡착력을 작용하면서 가져오기 때문에, 제 1, 제 2 흡착구의 흡착패드 부위가 손상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흡착패드 부위의 손상은 이송 품질 불량 또는 장치 작동 오류로 작용하여 제품 생산에 차질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는 각종 검사부(5, 6, 8)의 검사 결과에 따라 불량으로 인식된 프리폼(P)을 프리폼 배출부(9)의 전 단계에서 불량 수거함으로 떨어져 폐기처분 할 때, 역시 제 2 프리폼 이송부(7)의 제 2 흡착구로부터 프리폼(P)을 분리시키기 위해 공압 분사용 모세구멍을 이용한 공압 분출 장치(도시 안됨)로 프리폼(P)에 공압을 인가함에 따라, 제 2 흡착구의 작동 하중이 가중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는 제 2 프리폼 이송부(7)로부터 프리폼(P)을 프리폼 배출부(9)에 개별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역시 제 2 흡착구의 흡입력 작동을 수행하는 도중, 프리폼 배출부(9)의 톱니형 회전판이 프리폼(P)을 낚아채듯이 가져오게 됨에 따라, 제 2 프리폼 이송부(7)의 제 2 흡착구의 흡착패드가 손상될 수 있고, 상대적으로 이송 속도가 느리고, 프리폼(P)의 이송 속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 1, 제 2 프리폼 이송부(3, 7)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프리폼(P)이 제 3 프리폼 이송부(7)에 전달되지 않는 오류를 발생시키는 단점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2의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는 도 1의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내측 상부에 배치된 어퍼 캠부(upper cam member)(특허문헌 2의 도 4 참조)를 가지고 있다.
어퍼 캠부는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게 되고, 푸셔(3a) 및 제 1 흡착구(3b)의 승하강이 어퍼 캠부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푸셔(3a) 및 제 1 흡착구(3b)는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공전에 의해 회전 이동하는 동안에 어퍼 캠부의 캠 프로파일(cam profile)의 하경사 구간에서 하향 운동을 하게 되고, 캠 프로파일의 상경사 구간에서 스프링의 복원을 이용하여 상향 운동을 하여 원래 높이로 복원된다.
이때, 푸셔(3a)의 초기 위치를 스프링력에 의하여 결정하고, 스프링력은 푸셔(3a) 및 그와 결합된 관련 구성품의 자중 등을 고려하여 충분한 세기를 가져야 하므로, 푸셔(3a)와 관련된 푸셔 시스템의 부하가 커지게 되고, 푸셔 시스템의 마모, 내구 강도 등의 불리하게 작용하고, 결과적으로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의 수명을 저하 또는 수명 부품의 교환주기가 짧아지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푸셔(3a)의 제 1 흡착구(3b)는 그 개수와 동일한 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하여 진공 흡착력을 갖게 되므로, 복수개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구성이 복잡할 수 있다. 또한, 각 솔레노이드 밸브의 마모나 성능 저하 등의 내구수명의 차이는 흡착 성능의 편차(압력 변동)를 초래할 수 있고, 솔레노이드 밸브의 기계적 작동에 따라 마모가 크다.
또한, 푸셔(3a)의 제 1 흡착구(3b)는 그의 최하단 저면에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원추형의 돌기를 설치하고, 이렇게 상대적으로 높게 돌출된 원추형 돌기 때문에 비 결정화된 프리폼(P)의 네크 부위 검사시에 측면 광을 사용할 수 없어서, 프리폼(P)의 하부에 광원을 설치하고, 원추형 돌기의 측면에 반사되어진 광을 이용하여 검사를 수행한다. 이때 원추형 돌기의 크기와 형상에 의하여 검사 영역이 설정된다. 이렇게 원추형의 형상에 의하여 검사 영역이 설정 되기 때문에 검사 영역이 한정적인 단점을 갖는다.
또한, 직접 광원을 사용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간접 광을 사용하고 이는 직접 광원에 비하여 현저히 많은 량의 광량손실을 발생시켜 캡쳐된 이미지가 어두워진다. 또한, 원추형 돌기의 반사면의 이물이나 흠집등이 검사용 이미지에 반영되어 검사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
이런 이유로 원추형 돌기의 관리가 필요하며, 관리 비용 혹은 주기적인 교체 비용을 발생시킨다.
또한, 동작 중인 푸셔(3a)의 하사점에서 초기위치(상사점)로 복원하기 위한 구동력은 스프링력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된다. 이때 구동력은 스프링의 부품 공차나 각 푸셔(3a)의 자중 변화에 영향을 받거나, 푸셔(3a)용 가이드부와의 마찰 상태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이러한 영향은 제어 시차의 오차를 발생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의 몸통 표면검사부(5) 및 네크 표면검사부(6)는 구동 부하가 상대적으로 큰 단점이 있다.
부연 설명하면, 도 1의 프리폼(P)은 제 1 프리폼 이송부(3)에 의해 공전하는 도중 프리폼 회동부(4)에 의해 자전을 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반사경회전장치가 구비된 몸통 표면검사부(5)와, 제 2 반사경회전장치가 구비된 네크 표면검사부(6)가 프리폼(P)의 이미지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제 1 반사경회전장치에 의해 제 1 반사경은 프리폼(P)의 자전 주기 동안에 프리폼(P)의 공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런 다음 프리폼(P)의 몸통 표면(몸통 외표면) 영상을 캡처하기 위하여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 1 반사경의 회전축에 제 1 구동캠과 제 1 스프링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된다.
같은 방식으로 네크 표면검사부(6)의 제 2 반사경도 제 2 반사경회전장치에 의해 네크 표면(네크 외표면) 영상을 캡처하기 위해 제 2 반사경의 회전축, 제 2 구동캠, 제 2 스프링을 이용하여 동작하게 된다. 이런 제 1, 2 반사경을 회전시키는 제 1, 2 구동캠은 제 1, 2 반사경의 제 1, 2 회전축의 끝단에 연결되어 동일한 주기로 동기화될 수 있도록, 구동축, 풀리 및 벨트를 통해 하나의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이렇게 각각의 독립된 제 1, 2 반사경을 하나의 모터로 작동시키기 때문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경로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고, 구조가 복잡해지며, 구동 부하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고속 회전에 대한 대응이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또한, 특허문헌 1의 프리폼 회동부(4)는 푸셔(3a) 및 제 1 흡착구(3b)를 자전시키기 위해 프리폼 회동부(4)의 벨트를 제 1 흡착구(3b)에 직접 접촉하여 마찰에 의해 자전력을 발생시킨다.
이때, 벨트의 이물질이 근접한 곳의 제 1 흡착구(3b) 또는 프리폼(P)의 표면에 유입될 수 있어, 검사 오류가 발생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몸통 표면검사부(5) 및 네크 표면검사부(6)를 비롯하여, 네크 내면, 네크 치수, 게이트 커팅부위와 바닥부위를 검사하는 검사부(8)는 단일 색상의 광원으로 다양한 프리폼(P)의 빛 투과능의 변화와 이물에 대한 변별력을 최적화 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특히, 프리폼(P)은 네크가 투명으로 형성된 타입이 있고, 주스 페트병과 같이 네크가 불투명(예: 흰색)으로 형성된 타입이 있으며, 사이즈 별로 몸통의 길이가 긴 것과 짧은 것이 있을 수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검사부(8)는 네크 내면만을 검사할 수 있기 때문에, 네크가 투명으로 형성된 타입의 프리폼(P)을 검사할 때, 네크 내면과 외면 사이의 중간 위치에 이물이 존재하는 경우, 변별력이 떨어져서 네크 내부를 검사하기 어려운 단점을 갖는다.
한편, 도 1의 게이트 커팅부(11)는 제 1 프리폼 이송부(3)의 공전 경로 상에 위치하여 프리폼(P)의 하부의 게이트(돌기)를 절단하되, 이때, 프리폼(P)의 상부만이 푸셔(3a)의 제 1 흡착구(3b)에 의해 매달린 채로 이동하다가 프리폼(P)의 상부의 게이트가 게이트 커팅부(11)에 접촉하면서 미세하게 각도가 틀어지듯이 흔들림이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절단면이 수평하게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2의 검사장치는 몸통 또는 네크의 표면만을 검사하는 기술만 언급되어 있을 뿐, 네크의 아래쪽에서 네크의 직경보다 크게 돌출된 프리폼 서포트링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을 검사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즉, 몸통과 접경한 영역에 해당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영역은 음영이 발생하는 영역으로서 서포트링 상면과 네크의 원주면이 접한 영역을 포함하거나, 서포트링 상면의 방향이 기존 특허문헌 1,2의 검사장치의 촬영 각도와 유사하기 때문에 서포트링에 대하여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기 어려운 상황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51266호 등록특허공보 제10-0831368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프리폼의 서포트링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 서포트링 검사부를 포함하여, 서포트링에 대한 검사 분별력을 높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프리폼을 공정 및 자전시키는 터릿조립체의 주변으로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에 탑재된 서포트링 검사부를 포함한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링 검사부는, 상기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에 세워진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부에서 촬영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조인트; 상기 프레임 조인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을 향하도록 배치된 서포트링 검사부; 및 상기 프리폼의 뒤쪽으로 상기 장착대의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폼 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상기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의 이물을 검사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링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에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 내부에 결합된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링 트랙킹미러; 상기 서포트링 트랙킹미러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트랙킹모터; 및 상기 서포트링 트랙킹미러의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모터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 조인트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클램프부; 상기 제 1 클램프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어 촬영각도 조절의 중심축이 되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2 클램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프리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인 레일; 상기 인 레일의 완만한 곡선의 접경 부위를 통해 상기 프리폼을 전달 받고, 상기 프리폼을 회전이송판의 포켓에 각각 안착시켜 회전시키는 인 스타휠부; 상기 인 스타휠부의 상기 프리폼을 푸셔의 흡착 마우스로 흡착하여 공전시키면서, 가이드부와 터릿 캠부에 의해 상기 푸셔 및 상기 프리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터릿조립체; 상기 터릿조립체에 의해 공전하는 상기 프리폼의 하부를 홀컵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게이트를 커터로 절단하는 게이트 커팅부; 상기 푸셔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풀리를 벨트 마찰로 회전시켜, 공전중인 상기 프리폼을 자전시키는 프리폼 회동부; 상기 터릿조립체에서 자전 중인 상기 프리폼의 네크 및 몸통을 검사하는 제 1 검사모듈; 상기 터릿조립체로부터 상기 프리폼을 흡착하여 회전 이송시키는 아웃 스타휠부; 상기 아웃 스타휠부의 프리폼의 네크 내부, 네크 탑 씰 서페이스, 게이트 커팅부위와 바닥부위 또는 네크 내면을 검사하는 제 2 검사모듈;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여 상기 장치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프리폼을 이송시키는 아웃 레일 및;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상기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의 이물을 검사하는 서포트링 검사부를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와 컴퓨터를 구비한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을 이용한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프리폼 서포트링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와 아이마크 영역간 가로 방향 거리, 세로 방향 거리 및 좌, 우 방향을 포함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프리폼 정보 입력 처리단계; 상기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부터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를 검출하는 프리폼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검출단계; 상기 검출단계에 의해 검출된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와 상기 입력 처리단계에 의해 입력 처리된 상기 입력값을 기준으로 아이마크 영역을 탐색하는 아이마크 영역 탐색단계; 및 상기 아이마크 영역 안에서 검출되는 이물의 덩어리 크기, 픽셀의 개수가 컴퓨터에 미리 설정해 둔 기준값을 넘어서는 경우 해당 서포트링을 불량으로 판정하는 아이마크 안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마크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상기 프리폼의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에서, 이물의 덩어리 크기 및 픽셀의 개수를 포함한 기준값을 넘어서는 이물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서포트링을 불량으로 판정하는 아이마크 바깥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리폼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검출단계는, 정규화된 그레이 스케일(normalized gray scale) 원형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부터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를 검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인 레일, 인 스타휠부, 터릿조립체, 게이트 커팅부, 프리폼 회동부, 제 1 검사모듈, 아웃 스타휠부, 제 2 검사모듈, 아웃 레일을 갖는 프리폼 검사장치에 서포트링 검사부를 더 구비하여, 고속으로 프리폼 검사를 수행하는 도중에 프리폼 서포트링에 대하여 정밀한 검사 분별력을 발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프리폼 서포트링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아이마크(eye-mark)와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를 이용하여 서포트링의 이물을 정밀하게 인식 및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는 서포트링의 이물을 고속으로 정밀하게 검출함에 따라 프리폼 검사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포트링 검사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링 검사부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링 검사부에 의해 촬영된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을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배경 기술로 언급된 프리폼 검사장치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경 기술로 인해 이해될 수 있거나, 구성상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장치 프레임(100), 인 스타휠부(200)(in star wheel), 터릿조립체(300)(turret assembly), 게이트 커팅부(400), 프리폼 회동부(500), 제 1 검사모듈(600), 자전 감쇄부(690), 아웃 스타휠부(700)(out star wheel), 제 2 검사모듈(800), 이젝터부(900) 및 서포트링 검사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또는 각알루미늄프레임의 구조 부재로 장치 프레임(100)의 골격을 형성하고, 강판, 유리 등의 판 부재로 골격 사이의 표면을 마감하고 있을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은 장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위치에서 골격에 의해 지지되는 장착대(10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착대(101)는 장치 프레임(100)으로부터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분해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착대(101) 상부의 공간에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의 주요 장치 구성이 탑재되고, 장착대(101) 하부의 공간에는 모터 및 동력 전달 기구 등의 장치구동수단(102)이 탑재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의 어느 한 코너 위치에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전반에 걸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전장패널(103)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장패널(103)은 프리폼 검사방법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104)와 작동패널(105)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선행 물류 시스템(도시 안됨)으로부터 프리폼을 전달 받는 경로가 되도록 장치 프레임(100)의 일측에 설치된 인 레일(106)(in rail)과, 검사가 완료된 프리폼을 이송시키도록 장치 프레임(100)의 타측으로 아웃 스타휠부(700)(out star wheel)에 인접한 곳에 설치된 아웃 레일(107)(out rail)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인 레일(106)은 프리폼의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인 레일(106)은 장치 프레임(100)의 일측 외부에서 인 스타휠부(200)의 접경 부위에 도달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인 레일(106)의 완만한 곡선의 접경 부위는 인 스타휠부(2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프리폼은 경사지게 설치된 인 레일(106)을 따라 자중에 의해 하향 이동 한 후, 인 레일(106)의 완만한 곡선의 접경 부위를 통해 인 스타휠부(200)쪽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인 스타휠부(200)(in star wheel), 터릿조립체(300)(turret assembly), 게이트 커팅부(400), 프리폼 회동부(500), 제 1 검사모듈(600), 자전 감쇄부(690), 아웃 스타휠부(700)(out star wheel), 제 2 검사모듈(800), 이젝터부(900) 및 서포트링 검사부(1000)는 장착대(101)를 기반으로 장치 프레임(100)의 내부에 탑재될 수 있다.
인 스타휠부(200)는 검사대상인 프리폼을 인 레일(106)로부터 전달 또는 반입 받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 스타휠부(200)는 받입 받은 프리폼을 개별적으로 안착시켜 이송하는 포켓(pocket)을 갖는 회전이송판(210)과, 회전이송판(210)의 포켓으로부터 이격되어 장착대(101)에 설치된 이송가이드(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인 스타휠부(200)는 종전의 스크류 타입의 프리폼 공급부에 비해 간소화된 구성을 가질 수 있고, 장치 제작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고, 스크류를 사용할 때에 비해 프리폼의 표면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런 인 스타휠부(200)는 인 레일(106)로부터 반입 받는 프리폼을 안정적으로 회전이송판(210)의 포켓에 각각 안착시켜 터릿조립체(300) 쪽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터릿조립체(300)는 진공압으로 인 스타휠부(200)의 프리폼을 흡착하는 흡착 마우스를 포함한 복수개의 푸셔(350)(pusher)를 공전시키면서, 공전 방향에 수직한 승하강방향을 따라 푸셔(350) 및 프리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푸셔(350)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을 위해, 터릿조립체(300)는 가이드부와 터릿 캠부(turret cam)를 구비할 수 있다.
게이트 커팅부(400)는 터릿조립체(300)에 의해 공전하는 프리폼의 하부를 홀컵(hole cup)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프리폼의 하부에 형성된 게이트를 커터로 절단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프리폼 회동부(500)는 푸셔(350)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풀리를 벨트 마찰로 회전시켜, 공전중인 프리폼을 자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프리폼 회동부(500)의 구동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26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프리폼 회동부(500)의 특징은 제 1 벨트 텐셔너(510)를 더 구비하되, 프리폼 회동부(500)의 마찰 벨트(501)의 장력을 프리폼 자전에 적합하게 조절하거나 최적화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 1 벨트 텐셔너(510)는 장치 프레임(100)의 장착대(101)에 세워진 중공형 서포트(110)에 결합된 텐셔너 브래킷(511)과, 프리폼 회동부(500)의 마찰 벨트(501) 안쪽에 배치된 텐셔너 풀리(512)와, 텐셔너 풀리(512)의 풀리샤프트에 텐셔너 로드(513)의 일측 끝단을 연결하고 텐셔너 로드(513)의 타측 끝단을 텐셔너 브래킷(511)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 텐셔너 로드(513)와, 텐셔너 풀리(512)의 연직 상방으로 텐셔너 로드(513)의 일측 끝단 상부의 스프링 지지구와 텐셔너 브래킷(511)의 스프링 지지구 사이에 결합된 인장스프링(514)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검사모듈(600)은 프리폼 회동부(500)에 의해 자전 중인 프리폼을 트랙킹하면서 프리폼의 360도 전면을 촬영하되, 독립된 이미지 캡쳐부에 공용의 전신트랙킹미러 하나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전신트랙킹미러는 일종의 반사경에 해당할 수 있고, 제 1 검사모듈(600)의 전신트랙킹미러의 구동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266호 등에 개시되어 있는 반사경의 트랙킹 원리와 동일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동일한 내용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제 1 검사모듈(600)은 전신트랙킹미러와 연결된 회전구동부의 크기를 최소화하여(예: 회전축 길이의 단축), 구동 부하를 감소 시킬 수 있고, 고속 회전 또는 복귀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아웃 스타휠부(700)는 원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터릿조립체(300)로부터 프리폼을 흡착하여 가져온 후 아웃 레일(107)까지 이송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아웃 스타휠부(700)의 흡착 및 이송 원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1266호 등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웃 스타휠부(700)의 감압스위치는 흡착 상태의 프리폼을 일정 지점에서 정확한 시점에 배출하도록, 진공을 순간으로 파괴하지 않고 진공 압력을 저하시키는 스위칭 동작을 행함에 따라, 진공 압력을 최소한의 흡착이 가능한 상태로 임시 유지할 수 있어서, 진공 흡착부의 흡착패드 부위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제 2 검사모듈(800)은 아웃 스타휠부(700)에 의해 공전하고 있는 프리폼의 네크 내부와 네크 탑 씰 서페이스와 게이트 커팅부위와 바닥부위 또는 네크 내면을 검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젝터부(900)는 불량으로 판단된 프리폼을 아웃 스타휠부(700)로부터 에어 블로우 방식으로 불어내어 수거함(920)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서포트링 검사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서포트링 검사부(1000)는 터릿조립체(300)에 의해 공전 및 자전하는 프리폼(P)의 서포트링(PS)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Z1)(도 4 참조)과, 서포트링(PS) 상면과 네크(N)가 접하는 제 2 영역(Z2)(도 4 참조)의 이물을 고속으로 정밀하게 검출 또는 검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서포트링 검사부(1000)는 프리폼을 공전 및 자전시키는 터릿조립체(300)(도 2 참조)의 주변으로 장치 프레임(100)의 장착대(101)에 탑재될 수 있다.
서포트링 검사부(1000)는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101)에 세워진 서포트 프레임(1100)과, 서포트 프레임(1100)의 단부에서 촬영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조인트(1200)와, 프레임 조인트(1200)의 베이스 플레이트(1240)에 설치되어 프리폼(P)의 서포트링(PS)을 향하도록 배치된 서포트링 검사부(1300)와, 프리폼(P)의 뒤쪽으로 상기 장착대(101)의 거치대(1400)에 설치되어 프리폼(P) 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1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 조인트(1200)는 서포트 프레임(1100)에 설치된 제 1 클램프부(1210)와, 제 1 클램프부(1210)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어 촬영각도 조절의 중심축이 되는 연결파이프(1220)와, 연결파이프(1220)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고 베이스 플레이트(1240)에 설치된 제 2 클램프부(1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클램프부(1210, 1230)는 클램핑 볼트 등을 조이거나 풀어서 촬영각도 조절 이후 연결파이프(1220)에 고정될 수 있는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역할을 구현할 수 있는 경우 어떠한 수단이 될 수 있으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링 검사부의 개략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포트링 검사부(1000)를 위한 서포트링 검사부(1300)는 베이스 플레이트(1240)의 위에 설치된 케이싱(1310)과, 케이싱(1310)의 일측 내부에 결합된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1320)와, 케이싱(1310)의 타측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링 트랙킹미러(1330)와, 서포트링 트랙킹미러(1330)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케이싱(1310)에 설치된 트랙킹모터(1340)와, 서포트링 트랙킹미러(1330)의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케이싱(1310)에 설치된 모터엔코더(1350)를 포함한다.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132)는 라인스캔 카메라로 구성될 수 있다.
서포트링 트랙킹미러(1330)는 앞서 언급한 전신트랙킹미러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있고, 트랙킹모터(1340)와 모터엔코더(1350)에 의해 전동으로 작동되는 장치일 수 있다.
서포트링 트랙킹모터(1340)는 모터엔코더(1350)의 회전 감지 신호를 이용하여 프리폼(P)의 자전에 대응하게 서포트링 트랙킹미러(1330)를 회전시킨 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동작을 반복할 수 있다.
또한, 광원부(1500)는 프리폼(P) 쪽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1320)는 서포트링 트랙킹모터(1340)에 의해 동작되는 서포트링 트랙킹미러(1330)를 통해서 프리폼(P)의 서포트링(PS)의 360도 전면을 촬영하여 펼쳐진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포트링(PS)은 서포트링(PS)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Z1)과, 서포트링(PS) 상면과 네크(N)가 접하는 제 2 영역(Z2)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 2 영역(Z2)은 서포트링(PS) 상면과 네크(N)의 접경 영역으로서 음영이 발생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에 의한 프리폼 검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서포트링 검사부에 의해 촬영된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을 보인 도면 대용 사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은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와 컴퓨터를 구비한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에 의해 촬영된 후 이미지는 컴퓨터에 입력되어서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에는 프리폼의 제작시에 미리 마련되는 아이마크(K)(eye-mark)가 포함될 수 있다.
아이마크(K)는 프리폼(P)이 블로우 성형 장치 또는 연신-블로우 성형(stretch-blow molding) 장치용 몰드에 의해 성형될 때 프리폼에 만들어지며,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시 이물로 인식되지 않아야 하는 영역이다.
여기서, 아이마크(K) 영역과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K)는 일정 각도 범위(X) 내에 있음을 알 수 있고, 프리폼(P)의 설계치에 대응하게 아이마크(K) 또는 아이마크(K) 영역은 그 크기가 일정함을 알 수 있다.
아이마크(K) 영역은 아이마크(K)가 포함되도록 미리 정한 크기의 면적 크기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에는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K)가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W는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K)와 아이마크(K) 영역의 가로 방향 거리를 지칭하고, 도면부호 H는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K)와 아이마크(K) 영역의 세로 방향 거리를 지칭하고, 도면부호 X는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K)와 아이마크(K) 영역에 관련된 각도 범위를 지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이마크(K)와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K)를 이용하여 프리폼의 이물을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이물 검출 방법은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의 컴퓨터(도 2의 도면부호 104 참조)가 프리폼 정보 입력 처리단계(S310), 프리폼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검출단계(S320), 아이마크 영역 탐색단계(S330), 아이마크 안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S340), 아이마크 바깥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S350)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프리폼 정보 입력 처리단계(S310)는 프리폼 서포트링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T) 좌표와 아이마크(K) 영역간 가로 방향 거리(W), 세로 방향 거리(H) 및 좌, 우 방향을 포함한 입력값을 입력받아 컴퓨터가 인식할 수 있는 정보로 처리하는 단계를 의미할 수 있다(도 5 참조).
여기서, 사용자는 상기 입력값을 컴퓨터용 입력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입력시킬 수 있다.
프리폼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검출단계(S320)는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부터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를 자동으로 검출하는 과정일 수 있다.
즉, 컴퓨터가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자동 검출은 정규화된 그레이 스케일(normalized gray scale) 원형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부터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를 검출하는 과정일 수 있다.
이후, 아이마크 영역 탐색단계(S330)는 상기 검출단계(S320)에 의해 검출된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와 상기 입력 처리단계(S310)에 의해 입력 처리된 입력값(예: 프리폼 서포트링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와 아이마크 영역간 가로 방향 거리, 세로 방향 거리 및 좌, 우 방향)을 기준으로 아이마크 영역을 탐색하는 과정일 수 있다.
아이마크 안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S340)에서는 컴퓨터가 아이마크 영역 안에서 검출되는 이물의 덩어리 크기, 픽셀의 개수가 컴퓨터에 미리 설정해 둔 기준값을 넘어서는 경우 해당 서포트링을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또한, 아이마크 바깥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S350)에서는 컴퓨터가 아이마크 영역 이외의 각각의 영역[예컨대, 도 4의 제 1 영역(Z1), 제 2 영역(Z2)]에서 기준값(예: 덩어리 크기, 픽셀의 개수)를 넘어서는 이물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서포트링을 역시 불량으로 판정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장치 프레임 101 : 장착대
106 : 인 레일 107 : 아웃 레일
200 : 인 스타휠부 300 : 터릿조립체
350 : 푸셔 400 : 게이트 커팅부
500 : 프리폼 회동부 600 : 제 1 검사모듈
650 : 자전 감쇄부 700 : 아웃 스타휠부
800 : 제 2 검사모듈 900 : 이젝터부
1000 : 서포트링 검사부

Claims (7)

  1. 프리폼을 공정 및 자전시키는 터릿조립체의 주변으로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에 탑재된 서포트링 검사부를 포함한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링 검사부는,
    상기 장치 프레임의 장착대에 세워진 서포트 프레임;
    상기 서포트 프레임의 단부에서 촬영각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 프레임 조인트;
    상기 프레임 조인트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을 향하도록 배치된 서포트링 검사부; 및
    상기 프리폼의 뒤쪽으로 상기 장착대의 거치대에 설치되어 상기 프리폼 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부를 포함하여,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의 이물을 검사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링 검사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위에 설치된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일측 내부에 결합된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
    상기 케이싱의 타측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서포트링 트랙킹미러;
    상기 서포트링 트랙킹미러의 회전축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트랙킹모터; 및
    상기 서포트링 트랙킹미러의 회전축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케이싱에 설치된 모터엔코더를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조인트는,
    상기 서포트 프레임에 설치된 제 1 클램프부;
    상기 제 1 클램프부에 일측 끝단이 결합되어 촬영각도 조절의 중심축이 되는 연결파이프; 및
    상기 연결파이프의 타측 끝단과 결합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설치된 제 2 클램프부를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4. 프리폼의 이동 경로를 따라 장치 프레임의 일측에 설치된 인 레일;
    상기 인 레일의 완만한 곡선의 접경 부위를 통해 상기 프리폼을 전달 받고, 상기 프리폼을 회전이송판의 포켓에 각각 안착시켜 회전시키는 인 스타휠부;
    상기 인 스타휠부의 상기 프리폼을 푸셔의 흡착 마우스로 흡착하여 공전시키면서, 가이드부와 터릿 캠부에 의해 상기 푸셔 및 상기 프리폼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터릿조립체;
    상기 터릿조립체에 의해 공전하는 상기 프리폼의 하부를 홀컵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폼의 게이트를 커터로 절단하는 게이트 커팅부;
    상기 푸셔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풀리를 벨트 마찰로 회전시켜, 공전중인 상기 프리폼을 자전시키는 프리폼 회동부;
    상기 터릿조립체에서 자전 중인 상기 프리폼의 네크 및 몸통을 검사하는 제 1 검사모듈;
    상기 터릿조립체로부터 상기 프리폼을 흡착하여 회전 이송시키는 아웃 스타휠부;
    상기 아웃 스타휠부의 프리폼의 네크 내부, 네크 탑 씰 서페이스, 게이트 커팅부위와 바닥부위 또는 네크 내면을 검사하는 제 2 검사모듈;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여 상기 장치 프레임의 타측에 설치되어 검사가 완료된 프리폼을 이송시키는 아웃 레일 및;
    상기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상기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의 이물을 검사하는 서포트링 검사부를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5. 서포트링 이미지 캡쳐부와 컴퓨터를 구비한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을 이용한 검사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가,
    상기 프리폼 서포트링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와 아이마크 영역간 가로 방향 거리, 세로 방향 거리 및 좌, 우 방향을 포함한 입력값을 입력받는 프리폼 정보 입력 처리단계;
    상기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부터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를 검출하는 프리폼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검출단계;
    상기 검출단계에 의해 검출된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와 상기 입력 처리단계에 의해 입력 처리된 상기 입력값을 기준으로 아이마크 영역을 탐색하는 아이마크 영역 탐색단계; 및
    상기 아이마크 영역 안에서 검출되는 이물의 덩어리 크기, 픽셀의 개수가 컴퓨터에 미리 설정해 둔 기준값을 넘어서는 경우 해당 서포트링을 불량으로 판정하는 아이마크 안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를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마크 영역 이외의 영역으로서, 프리폼의 서포트링 상면에 해당하는 제 1 영역과, 상기 서포트링 상면과 상기 프리폼의 네크가 접하는 제 2 영역에서, 이물의 덩어리 크기 및 픽셀의 개수를 포함한 기준값을 넘어서는 이물이 검출되는 경우, 해당 서포트링을 불량으로 판정하는 아이마크 바깥쪽 영역의 이물 검출단계를 더 포함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폼의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검출단계는,
    정규화된 그레이 스케일(normalized gray scale) 원형정합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상기 펼쳐진 프리폼 서포트링의 영상으로부터 스크류 나사선 엔드 포인트 좌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방법.
KR1020120055193A 2012-02-08 2012-05-24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1209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93A KR101209834B1 (ko) 2012-05-24 2012-05-24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12187151A JP5567079B2 (ja) 2012-02-08 2012-08-28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201210343096.2A CN103240863B (zh) 2012-02-08 2012-09-14 预塑形坯检查装置及检查方法
HK14101442.6A HK1188184A1 (zh) 2012-02-08 2014-02-14 預塑形坯檢查裝置及檢查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93A KR101209834B1 (ko) 2012-05-24 2012-05-24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9834B1 true KR101209834B1 (ko) 2012-12-07

Family

ID=479071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193A KR101209834B1 (ko) 2012-02-08 2012-05-24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98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093B1 (ko) * 2013-05-30 2014-04-10 주식회사 서울금속 원통형 제품 검사장치
KR101421926B1 (ko) 2014-01-28 2014-07-23 진영식 렌즈 모듈용 링부재 선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93A (ja) 1997-07-10 1999-02-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H11100119A (ja) 1997-09-29 1999-04-13 Kirin Techno System:Kk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593A (ja) 1997-07-10 1999-02-02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H11100119A (ja) 1997-09-29 1999-04-13 Kirin Techno System:Kk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4093B1 (ko) * 2013-05-30 2014-04-10 주식회사 서울금속 원통형 제품 검사장치
KR101421926B1 (ko) 2014-01-28 2014-07-23 진영식 렌즈 모듈용 링부재 선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67079B2 (ja)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KR101211926B1 (ko) 프리폼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7414716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CN101988906B (zh) 用于检测灌装容器中的异物的检查装置和检查方法
CA1176340A (en) Glass container sidewall defect detection system
US9329135B2 (en) Means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for defects
KR101186255B1 (ko) 병 검사장치
US8058607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at an inspection station using an addition of a plurality of illuminations of reflected light
JP6778754B2 (ja) ガラス容器の焼傷検査装置
CN109092701B (zh) 电池铝壳检测装置
JP7344322B2 (ja) プリフォームの光学検査のための装置
CN109158337A (zh) 镜头缺陷自动化检测设备
KR100831368B1 (ko) 프리폼 검사장치
CN109975318A (zh) 一种塑料瓶外观缺陷检测方法及设备
KR101209834B1 (ko) 프리폼 서포트링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7541572B2 (en) Machine for inspecting rotating glass containers with light source triggered multiple times during camera exposure time
US5422476A (en) Glass container inspection machine
EP2037256B1 (en) Inspection machine
US7876951B2 (en) Machine for inspecting glass containers
JP2012137396A (ja) 異物検出装置
CN107148631B (zh) 用于容器侧壁上的浮凸部的光学读取的方法、装置和检验线
JP5718044B2 (ja) 異物検出装置
KR20160104361A (ko) 광 투과 부재 검사 장치
KR100430132B1 (ko) 용기의 측면 검사장치
JP2008107347A (ja) ガラス容器を検査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