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6255B1 - 병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병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6255B1
KR101186255B1 KR1020120044291A KR20120044291A KR101186255B1 KR 101186255 B1 KR101186255 B1 KR 101186255B1 KR 1020120044291 A KR1020120044291 A KR 1020120044291A KR 20120044291 A KR20120044291 A KR 20120044291A KR 101186255 B1 KR101186255 B1 KR 10118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le
guide
plate
modul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원재
Original Assignee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filed Critical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Priority to KR1020120044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62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9/00Rotary conveyors, e.g. rotating discs, arms, star-wheels or c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18Dirt detection in contain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7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with illumination or detection from inside the containe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0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a container or its contents
    • G01N21/9081Inspection especially designed for plastic containers, e.g. prefor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0002Inspection of images, e.g. flaw detection
    • G06T7/0004Industrial image insp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병 검사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병 검사장치는 장치 베이스를 갖는 장치 프레임, 피더조립체, 메인 가이드조립체, 인 스타휠부, 터릿조립체, 아웃 스타휠부, 제 1, 제 2, 제 3 검사모듈, 이젝터부를 포함하여 병을 고속으로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병 검사장치{APPARATUS FOR INSPECTING BOTTLE}
본 발명은 페트 병, 공병, 음료수 병과 같은 중공 용기에 음료를 주입하기 전 제조 또는 취급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제품결함과 이물질의 잔류여부를 정밀하게 검사하는 병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병 또는 플라스크와 같은 중공 용기는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유리 등의 재질로 제조된 프리폼(preform)을 블로우 성형 장치 또는 연신-블로우 성형(stretch-blow molding)장치에 공급 및 성형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병은 그의 길이 방향의 끝단부 중 하나가 폐쇄되어 있고, 개방된 반대쪽 끝단부에 네크(neck)가 구비되어 있고, 실질적으로 네크 하부에 일체형으로 용기 형상을 갖도록 형성된 중공형 몸통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병은 반자동 또는 자동화된 병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하게 된다.
예컨대, 각종 음료, 액체 등의 내용물이 병에 주입되기 전 병의 제품결함과 이물질의 잔류여부를 검사하거나, 또는 내용물을 병에 주입하고 캡을 결합한 후의 결합상태는 검사 목적에 대응한 검사장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병 검사의 자동화를 위해서는 병 성형장치와 병 검사장치의 사이, 및 병 검사장치와 다음 공정의 자동화장치의 사이에는 검사 전 또는 후의 병을 공급하는 병 이송라인이 설치되어 있다.
병 이송라인 성형된 병을 병 검사장치쪽으로 공급하기 위한 인 레일(in rail)과, 검사가 완료된 병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아웃 레일(out rail)이 포함될 수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종래 기술로서 특허문헌 1의 병 검사장치 및 방법은 컨베이어 장치에 의해 이송되는 병을 광원, 카메라, 병 감지 센서, 비젼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로 검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1은 병 영상을 촬영하여 병의 외곽선이 오차한계보다 크면 퇴출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을 뿐, 공전하는 병을 360° 자전시키면서 병의 부위별로 네크 탑 씰 서페이스(예: 마우스 상면 크랙), 네크 내부(neck in), 네크 외부(neck out), 네크 타원형(oval), 몸통 측벽(widewall), 몸통 바닥(bottom)을 검사하여 이물질을 분별하는 기술을 포함하고 있지 않고, 단순히 복수개의 카메라 및 반사경을 이용하여 촬영 및 검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병 이송을 위한 스크류피더를 제공하되, 초기 피치 위치 조절을 위한 타이밍벨트를 갖는 수평조절부와, 스크류피더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수직조절부를 제안하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2).
그러나, 특허문헌 2는 스크류피더의 초기 피치 위치 및 스크류피더의 높낮이를 조절할 뿐, 병을 공급받는 인 레일에 인접한 곳에 배치된 유입 가이드모듈과 스크류피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고, 유입 가이드모듈의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직경 또는 높이가 상이한 병을 취급할 수 없고, 병 사이즈에 맞게 안정된 이송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가이드판과 인, 아웃 스타휠부간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없게 가이드판이 고정된 타입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다각형 펫트병의 위치제어를 가이드하는 기술을 제시하여 검사 이후 다각형 펫트병의 각도가 틀어지지 않게 하여 펫트병의 간섭으로 인한 배출의 방해를 줄이고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3).
그러나, 특허문헌 3은 회전장치의 회전판에 병 안착대를 개별적으로 마련하고 있음으로 조립 설치 및 유지 보수가 어렵고, 미리 정해진 병 사이즈에 맞는 공급라인 상의 가이드만을 제공하여, 하나의 병 검사장치로 여러 사이즈의 병을 검사할 수 없으며, 각각의 병 안착대와 결합된 자전제어풀리에 자전제어벨트를 접촉시키고, 자전제어풀리 아래의 위치제어풀리에 위치제어벨트를 접촉시켜 풀리 및 벨트 배치 구조가 매우 복잡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병 사이즈(예: 병 높이)가 상이할 경우, 해당 병 검사장치로 검사가 불가능하거나, 각각의 기능 모듈의 세팅 및 결합 상태를 수작업에 의해 수정 및 교체하거나, 검사부의 측정 거리를 재 설정하거나, 검사부의 설치 위치를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복수개의 스크류피더의 초기 피치 위치 및 스크류피더의 높낮이를 조절할 뿐, 병을 공급받는 인 레일에 인접한 곳에 배치된 유입 가이드모듈과 스크류피더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없고, 유입 가이드모듈 또는 배출 가이드모듈의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할 수 없어서, 직경 또는 높이가 상이한 병을 취급할 수 없고, 병 사이즈에 맞게 안정된 이송 성능을 발휘할 수 없는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각종 검사부를 설치하거나, 검사부의 작동(예: 미러 트랙킹)을 위해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설치 공간이 부족한 단점을 갖는다.
또한, 종래 기술에서는 각종 기능 구성이 개별적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장치 셋업 변경시 각각의 기능 구성을 개별적으로 수작업에 의해 변경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0-0031313호 등록특허공보 제10-0591678호 공개특허공보 제10-2001-0109509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이한 병 사이즈에 대응하게 각종 검사모듈 및 가이드의 높이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검사부의 설치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고속 작동을 도모하면서 검사 분별력을 높일 수 있는 병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쌍을 이루는 병 안착대와 전달풀리를 모듈판에 구비시킨 병 안착모듈을 제공하고, 각각의 병 안착모듈의 모듈판을 안착대 로테이터의 회전판에 조립 및 설치하는 것에 따라 조립 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고 유지 보수가 용이한 병 검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병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고 장치 베이스를 갖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며, 스크류피더로 병을 공급시키는 피더조립체와, 상기 피더조립체에 인접하게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병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메인 가이드조립체와, 상기 피더조립체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일측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병을 공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인 스타휠부와, 푸셔 로테이터와 안착대 로테이터간 상하 높이 간격이 상기 병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스크류잭모듈 및 병 높이측정모듈로 조절하고, 상기 인 스타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병을 회전시키는 터릿조립체와, 상기 터릿조립체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타측에 의해 가이드된 병을 공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아웃 스타휠부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더조립체는, 상기 병의 이송 간격에 대응한 피치를 갖는 스크류피더; 상기 스크류피더에 연결되고 타이밍벨트로 상기 스크류피더를 공회전시켜서 상기 스크류피더의 초기 피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 상기 스크류피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가이드베어링을 플레이트 저면에 결합시킨 이송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베어링과 접촉되는 슬라이딩부를 갖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이송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스크류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왕복 이송기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상기 스크류피더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는, 상기 피더조립체의 곡면 가이드의 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인 스타휠부에 인접한 병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판; 상기 제 1 가이드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는 탄성편; 상기 제 1 가이드판 반대쪽의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가이드판; 상기 제 2 가이드판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3 가이드판;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서 병이 빠져나가는 쪽의 상기 제 3 가이드판 끝단에 결합되고 상하로 배치되며, 쌍을 이루는 가이드판을 갖는 가이드쌍; 및 상기 제 1 가이드판과 상기 제 2 가이드판 및 상기 제 3 가이드판을 장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가이드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는, 상기 인 스타휠부 또는 상기 아웃 스타휠부 쪽으로 상기 병을 벨트 탄성력에 의해 밀착시키는 벨트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벨트가이드는, 상기 제 1 가이드판, 상기 제 2 가이드판 및 상기 제 3 가이드판의 아래쪽과, 상기 가이드 높이조절기구의 일측 플레이트의 아래쪽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풀리; 상기 가이드풀리에 설치된 가이드벨트; 상기 가이드 높이조절기구의 상기 일측 플레이트를 지지기반으로 텐션풀리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이드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대; 상기 가이드 높이조절기구의 상기 일측 플레이트 또는 타측 플레이트의 장공과 제 1, 제 2, 제 3 가이드판의 체결공에 결합된 볼트 조임 레버; 및 상기 볼트 조임 레버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타측 플레이트에 설치된 눈금표시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릿조립체는, 상기 장치 베이스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고정 포스트의 고정빔에 지지되는 잭모듈플레이트; 상기 잭모듈플레이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승하강가이드; 상기 승하강가이드와 평행하게 상기 잭모듈플레이트에 설치된 스크류잭; 상기 스크류잭에 의해 승하강력을 전달받고 상기 승하강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 상기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스크류잭 하우징; 상기 스크류잭 하우징에 연결된 더블캠을 갖는 푸셔 로테이터; 상기 푸셔 로테이터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메인샤프트에 결합된 안착대 로테이터; 상기 장치 베이스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터릿조립체의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이동빔;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정반 상에 올려지는 병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결합된 높이측정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높이측정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연결된 행거하우징; 상기 행거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샤프트가이드; 상기 샤프트가이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샤프트 상부 원주면에 스토퍼 너트를 갖는 터치샤프트; 상기 터치샤프트의 상단과 상기 행거하우징의 상부 저면 사이에 결합되며, 상기 터치샤프트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터치스프링; 상기 터치샤프트의 하단에 설치된 터치홀더; 및 상기 터치홀더의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잭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셔 로테이터는, 상기 더블캠의 상부 캠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공전하는 상부 슬라이더; 상기 더블캠의 하부 캠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공전하는 하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및 터릿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 1 푸셔바; 상기 제 1 푸셔바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는 네크홀더; 상기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푸셔바의 양측에서 상기 터릿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쌍을 이루는 제 2 푸셔바; 및 상기 제 2 푸셔바의 단부에 결합된 원형 링 형상의 병홀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홀더는, 상기 병홀더의 내주면에 대응하게 설치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결합된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된 링형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착대 로테이터는, 상기 터릿조립체의 메인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병 안착모듈; 및 상기 병 안착모듈에 인접하여 몸통 측벽 검사 구간과 네크 아웃 검사 구간에 걸쳐 설치된 자전제어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병 안착모듈은, 상기 회전판에 조립되는 모듈판; 상기 모듈판의 양측 상부케이싱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병 안착대; 상기 병 안착대의 사이로 상기 모듈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샤프트; 상기 모듈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풀리샤프트에 설치된 전달풀리; 상기 전달풀리의 아래로 상기 풀리샤프트에 설치된 마찰풀리; 상기 모듈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 상기 병 안착대의 샤프트에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안착대회전풀리; 상기 안착대회전풀리의 아래로 상기 병 안착대의 샤프트의 끝단에 배치되고 좌우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자전제어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전달풀리와 상기 안착대회전풀리를 연결하는 연결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 스타휠부 또는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서 공정되는 병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병의 탑 씰 서페이스, 네크 내부, 몸통 바닥, 네크 타원형 검사를 담당하는 제 1 검사모듈;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어 병의 몸통 측벽의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2 검사모듈; 및 상기 장치 베이스의 하부로부터 미러 트랙킹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도록 볼 스플라인을 구비하고 있고 이동빔에 매달려 설치되어서 네크 아웃을 검사하는 제 3 검사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검사모듈 및 상기 제 3 검사모듈은, 상기 터릿조립체에 의해 공전하고 자전제어모듈에 의해 360° 자전하는 병의 네크 아웃 또는 몸통 측벽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미러 트랙킹 조립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 트랙킹 조립체는, 상기 제 2 검사모듈 또는 상기 제 3 검사모듈의 이미지 캡쳐부의 전방에 배치된 트랙킹미러; 상기 트랙킹미러의 하부에 각각 결합된 미러 피동축; 상기 미러 피동축의 하부에 연결되고 일측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 하부에 결합된 캠 팔로와; 상기 캠 팔로와의 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미러 캠부; 상기 캠 팔로와의 연직 상부로 상기 연장바의 끝단 상부에 세워진 미러 스프링 지지대; 상기 미러 캠부가 장착된 상기 미러 트랙킹 조립체의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 스프링 지지대; 상기 미러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 스프링 지지대의 사이에 결합된 미러 복원 스프링; 및 상기 미러 캠부에 연결된 동력전달축 또는 볼 스플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검사모듈과 상기 제 3 검사모듈은, 고정식 조명장치 또는 위치 조절식 조명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치 베이스에는, 상기 피더조립체 또는 인 레일에 인접하게 설치된 유입 가이드모듈;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배출 가이드모듈이 더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유입 가이드모듈 또는 상기 배출 가이드모듈은, 상기 병에 접촉하는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상측 가이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직 이송기구; 및 상기 상측 가이드판, 상기 하측 가이드판 및 상기 수직 이송기구 전체를 인 레일 또는 아웃 레일 쪽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인 레일에 인접한 곳에 배치된 유입 가이드모듈과 스크류피더 사이의 간격과, 유입 가이드모듈 또는 배출 가이드모듈의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병 사이즈에 맞게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병 사이즈에 대응되게 이송 영역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아웃 레일에 인접한 곳에서 배출 가이드의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병 사이즈에 맞게 조절하여 안정되게 병을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병의 네크 탑 씰 서페이스(neck top seal surface), 네크 내부(neck in), 몸통 바닥, 네크 타원형 검사를 담당하는 제 1 검사모듈을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를 기반으로 매달여 있도록 배치함에 따라, 설치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몸통 측벽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대응한 2대의 이미지 캡쳐부를 갖는 제 2 검사모듈을 제공하되, 각 이미지 캡쳐부로 이미지 영상의 외곡을 최소화하면서, 병 사이즈에 맞게 이미지 캡쳐부의 배치 위치를 개별적으로 각각 조절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과 검사 분별력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병의 네크 아웃(neck out)의 검사를 담당하는 제 3 검사모듈을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를 기반으로 매달여 있도록 배치하여 설치 공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3 검사모듈의 제 2 트랙킹미러의 구동에 필요한 동력을 볼 스플라인을 통해 전달함으로써, 동력 전달 구조를 간소화하면서 제 3 검사모듈을 승하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제 2 검사모듈의 제 1 트랙킹미러와, 제 3 검사모듈의 제 2 트랙킹미러와 각각 연결된 해당 회전구동부의 크기 및 구조를 최소화하여(예: 회전축 길이의 단축), 구동 부하를 감소 시킬 수 있고, 고속 회전 또는 복귀 성능을 갖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터릿조립체의 스크류잭모듈에 의해 승하강하는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를 제공하고, 병 높이측정모듈, 푸셔 로테이터, 제 1 검사모듈 및 제 2 검사모듈이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상이한 높이를 갖는 병에 대하여 별도의 검사장치를 구비할 필요 없이 한 대의 병 검사장비로 소품종 다량의 제품 전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쌍을 이루는 병 안착대와 전달풀리를 모듈판에 구비시킨 병 안착모듈을 제공함으로써, 병 안착모듈과 푸셔 로테이터의 베이스간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문제 발생 시 병 안착모듈을 교체하여 신속하게 유지 보수를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예에 따른 병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더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피더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인 스타휠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터릿조립체 및 병 높이측정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푸셔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안착대 로테이터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병 안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제 1 검사모듈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제 2 검사모듈과 제 3 검사모듈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배출 가이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배경 기술로 언급된 병 검사장치에도 적용 가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경 기술로 인해 이해될 수 있거나, 구성상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본 실시예의 설명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예에 따른 병 검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병 검사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 또는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장치 프레임(100), 피더조립체(200), 메인 가이드조립체(300), 인 스타휠부(400), 제 1 검사모듈(500), 제 2 검사모듈(550), 제 3 검사모듈(570), 터릿조립체(600), 조명조립체(700), 아웃 스타휠부(800), 배출 가이드모듈(900), 이젝터부(950)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은 병 이동 경로 상에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은 철재 빔, 알루미늄 프로파일, 각알루미늄프레임 등의 구조 부재로 장치 프레임(100)의 골격을 형성하고, 강판, 유리 등의 판 부재로 골격 사이의 표면을 마감하고 있을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은 장치 높이 방향을 기준으로 중간 위치에서 골격에 의해 지지되는 장치 베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장치 베이스(101)는 장치 프레임(100)으로부터 볼트 너트 결합에 의해 분해 조립 가능하게 되어 있다.
장치 베이스(101) 상부의 공간에는 병 검사장치의 주요 기능 모듈 또는 장치 구성이 장치 베이스(101)를 기반으로 탑재될 수 있다.
아울러, 병 검사장치의 주요 기능 모듈 또는 장치 구성은 장치 베이스(101)에 세워진 고정 포스트(105) 또는 고정 포스트(105)의 상단에서 수평하게 연장된 고정빔(106) 또는 고정빔(106)의 끝단을 서로 연결하는 잭모듈플레이트(611)에 지지되어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병 검사장치의 주요 기능 모듈 또는 장치 구성은 장치 베이스(101)의 가이드 포스트(107)와 터릿조립체(600)의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 사이에 연결된 이동빔(108, 109)에 매달려서 설치될 수 있다.
장치 베이스(101) 하부의 공간에는 모터 및 동력 전달 기구 등의 장치구동수단이 탑재될 수 있다.
장치 프레임(100)의 어느 한 코너 위치에는 병 검사장치 전반에 걸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제어신호를 처리하는 전장패널(102)이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장패널(102)은 병 검사방법용 소프트웨어를 탑재한 컴퓨터(103) 및 작동패널(104)과 전기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피더조립체(200)는 도 3 또는 도 4를 통해 상세히 설명할 장치 베이스(101)에 설치되어 스크류피더(210)로 병 또는 페트병을 병 검사장치에 균일한 간격으로 공급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피더조립체(200)는 인 레일(10)에 인접하고 스크류피더(210)의 반대쪽에 배치된 유입 가이드모듈(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입 가이드모듈(290)은 도 15를 통해 상세히 설명할 배출 가이드모듈(900)과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측 가이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직 이송기구와, 상측 가이드판, 하측 가이드판 및 수직 이송기구 전체를 스크류피더(210)가 있는 인 레일(10) 쪽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수평 이송기구를 가질 수 있다.
메인 가이드조립체(300)는 피더조립체(200)에 인접한 장치 베이스(101)에 설치되어 병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 스타휠부(400)는 피더조립체(200)로부터 배출되고 메인 가이드조립체(300)의 일측(예: 좌측)에 의해 가이드된 병을 공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1 검사모듈(500)은 병의 탑 씰 서페이스, 네크 내부, 몸통 바닥, 네크 타원형 검사를 담당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1 검사모듈(500)은 인 스타휠부(400) 또는 아웃 스타휠부(800)에서 공전되는 병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도록, 병 검사장치 상부의 공간에 배치된 이동빔(108)과, 이동빔(108) 저면에 결합된 판 형상의 검사부플랫폼(50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검사모듈(500)은 검사부플랫폼(501)의 저면에 매달려 있는 탑 씰 서페이스 검사부(510), 네크 내부 검사부(520), 몸통 바닥 검사부(530) 및 네크 타원형 검사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탑 씰 서페이스 검사부(510)는 이미지 캡쳐부, 하프 미러, 탑 씰 서페이스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네크 탑 씰 서페이스에 크랙 또는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하는 기능 구성을 갖는다.
네크 내부 검사부(520)는 이미지 캡쳐부, 렌즈, 병의 하부에서 상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네크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검사하는 기능 구성을 갖는다.
몸통 바닥 검사부(530)는 이미지 캡쳐부, 렌즈, 병의 바닥면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병의 몸통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검사하는 기능 구성을 갖는다.
네크 타원형 검사부(540)는 이미지 캡쳐부, 텔레센트릭 렌즈(telecentric lense), 탑 씰 서페이스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광원을 구비하여 네크 탑 씰 서페이스의 원 형상이 타원형 또는 찌그러진 원형인지를 검사하는 기능 구성을 갖는다.
텔레센트릭 렌즈는 대물 거리가 변함에 따라 병 이미지 배율이 변하지 않게 하여, 동일한 원근 각도에서 병의 평면 대상을 관찰, 표시할 수 있기 때문에, 표준 렌즈에서와 같이, 3차원 특성이 원근 왜곡이나 이미지 위치 에러 등으로 나타나지 않으므로, 탑 씰 서페이스의 네크 내부에 존재 가능한 이물질의 변별력을 높이면서도 타원형 체크를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제 2 검사모듈(550)은 장치 베이스(101)에 설치되어 병의 몸통 측벽의 이물질을 검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제 2 검사모듈(550)은 공전하는 병을 360° 자전시키면서 병의 몸통 측벽을 검사하도록, 병의 자전에 따라 미터를 유한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시키는 제 2 검사모듈(550)용 미러 트랙킹(mirror tracking)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 3 검사모듈(570)은 장치 베이스(101)의 하부로부터 제 3 검사모듈(570)용 미러 트랙킹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도록 볼 스플라인(ball spline)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이동빔(109)에 매달려 설치되어서 네크 아웃의 이물질 또는 나사선의 형상을 검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터릿조립체(600)는 병의 사이즈(예: 높이)에 대응하게 푸셔 로테이터(630)와 안착대 로테이터(660)간 상하 높이 간격(H)을 스크류잭모듈(610) 및 병 높이측정모듈(690)로 조절하고, 인 스타휠부(400)로부터 전달받은 병을 공전 또는 회전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조명조립체(700)는 제 2 검사모듈(550) 또는 제 3 검사모듈(570)에 광원을 제공하기 위해 터릿조립체(600)의 안쪽에서 병을 향하여 빛을 조사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특히, 제 3 검사모듈(570)의 검사 대상인 네크 아웃 부위가 병 사이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제 3 검사모듈(570)은 광원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웃 스타휠부(800)는 터릿조립체(600)로부터 배출되고 메인 가이드조립체(300)의 타측(예: 우측)에 의해 가이드된 병을 공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모듈(900)은 아웃 레일(20)에 인접하고 아웃 스타휠부(800)로부터 배출된 병을 아웃 레일(20) 쪽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배출 가이드모듈(900)의 구성은 유입 가이드모듈(290)과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도 15를 통해 설명될 수 있다.
이젝터부(950)는 불량으로 판단된 병을 아웃 레일(20)로부터 에어 블로우 방식으로 불어내거나 공압 액추에이터에 의해 타격하는 방식으로 밀어내어서 수거함(951)쪽으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 레일(10)과 아웃 레일(20)은 병 검사장치를 사이에 두고 병 이동 라인을 따라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인 레일(10)과 아웃 레일(20)은 경사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거나, 컨베이어벨트를 이용한 반송 장치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피더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피더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3 또는 도 4를 참조하면, 피더조립체(200)는 장치 베이스(10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피더조립체(200)에서 수평조절부(220) 및 수직조절부(250)에 대한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63556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고, 다만, 병 사이즈(예: 병의 직경)에 대응하게 스크류피더(2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는 피더조립체(200)의 기능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할 수 있다.
즉, 피더조립체(200)는 병의 이송 간격에 대응한 피치를 갖는 스크류피더(210)와, 스크류피더(210)에 연결되고 타이밍벨트로 스크류피더(210)를 공회전시켜서 스크류피더(210)의 초기 피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220)와, 스크류피더(2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가이드베어링(236, 237)을 플레이트 저면에 결합시킨 이송플레이트(260)와, 가이드베어링(236, 237)과 접촉되는 슬라이딩부(235)를 갖는 받침플레이트(230)와, 슬라이딩부(235)와 이송플레이트(260) 사이에 설치되어서, 스크류 핸들의 회전에 의해 이송플레이트(260)를 직선 이동시키는 왕복 이송기구(270)와, 받침플레이트(23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받침플레이트(230)를 승강시켜 결과적으로 스크류피더(210)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딩부(235)의 상면과 이송플레이트(260)의 저면 사이에는 상호 미끄럼 접촉이 이루어지거나, 윤활제 등이 개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이송플레이트(260)와 슬라이딩부(235)는 상호간의 록킹 또는 릴리스를 위한 볼트 조임 레버(예: 손잡이 달린 볼트) 및 장공을 이용하여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작업자는 왕복 이송기구(270)를 조작하여 슬라이딩플레이트(235) 상에서 이송플레이트(260)를 이동시킴에 따라, 결과적으로 이송플레이트(260)의 스크류피더(210)를 도 2에 도시된 유입 가이드모듈(290) 또는 인 레일(10) 쪽으로 근접되거나 반대로 이격시켜서, 유입 가이드모듈(290)과 스크류피더(210) 사이의 상하 높이 간격을 병 사이즈에 대응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피더조립체(200)는 스크류피더(210)에 의해 이송되는 병을 하기에서 설명할 메인 가이드조립체 쪽으로 가이드하는 곡면 가이드(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메인 가이드조립체(300)는 장치 베이스(101) 위에 설치될 수 있다.
메인 가이드조립체(300)는 피더조립체의 곡면 가이드(280)의 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인 스타휠부(400)에 인접한 병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판(310)과, 제 1 가이드판(310)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는 탄성편(320)과, 제 1 가이드판(310) 반대쪽의 아웃 스타휠부(8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가이드판(330)과, 제 2 가이드판(330)으로부터 이격되고 아웃 스타휠부(800)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3 가이드판(340)과, 아웃 스타휠부(800)에서 병이 빠져나가는 쪽의 제 3 가이드판(340) 끝단에 결합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가이드판을 갖는 가이드쌍(350)(guide couple)과, 제 1 가이드판(310)과 제 2 가이드판(330) 및 제 3 가이드판(340)을 장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가이드 높이조절기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메인 가이드조립체(300)는 인 스타휠부(400)의 공전 방향(예: 반 시계 방향)과 아웃 스타휠부(800)의 공전 방향(예: 반 시계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병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메인 가이드조립체(300)는 벨트 탄성력에 의해 병을 인 스타휠부(400) 또는 아웃 스타휠부(800) 쪽으로 밀착시키는 벨트가이드(3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벨트가이드(370)는 제 1 가이드판(310), 제 2 가이드판(330) 및 제 3 가이드판(340)의 아래쪽과, 가이드 높이조절기구(360)의 일측 플레이트(365)의 아래쪽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풀리(371, 372); 가이드풀리(371, 372)에 설치된 가이드벨트(373); 가이드 높이조절기구(360)의 일측 플레이트(365)를 지지기반으로 텐션풀리(374)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이드벨트(373)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대(375); 가이드 높이조절기구(360)의 일측 플레이트(365) 또는 타측 플레이트(366)의 장공과 제 1, 제 2, 제 3 가이드판(310, 330, 340)의 체결공에 결합된 볼트 조임 레버(380); 및 볼트 조임 레버(380)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플레이트(365) 및 상기 타측 플레이트(366)에 설치된 눈금표시자(3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자는 볼트 조임 레버(380)를 풀어서 제 1, 제 2, 제 3 가이드판(310, 330, 340)을 가이드 높이조절기구(360)의 일측 플레이트(365) 또는 타측 플레이트(366)에서 이동 가능하게 릴리스 한 후, 눈금표시자(390)를 이용하여 제 1, 제 2, 제 3 가이드판(310, 330, 340)의 위치를 조절하고, 다시 볼트 조임 레버(380)를 잠그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작업자는 제 1 가이드판(310)과 인 스타휠부(400)간 사이 간격, 또는 제 2, 제 3 가이드판(330, 340)과 아웃 스타휠부(800)간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인 스타휠부의 단면도이다.
인 스타휠부(400)는 아웃 스타휠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므로, 설명의 용이성을 위하여 인 스타휠부(400)를 기준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인 스타휠부(400)는 앞서 설명한 피더조립체와 연동되는 것으로서, 장치 베이스(101)에 탑재된 장치구동수단(미 도시)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피동기어(410)와, 피동기어(410)의 기어허브(411)에 연결된 스핀들(420)과, 스핀들(420)용 구동베어링(431)을 장착하고 장치 베이스(101)에 설치되어 있는 스핀들 하우징(43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기어허브(411)는 일종의 기어 클러치와 같은 기구적 구성을 갖는 것으로서, 스핀들(420)의 하부와 접촉하는 기어허브(411)의 내주면 사이에 결합된 클러치베어링(412)과, 기어허브(411)의 저면과 허브지지디스크(422) 사이의 복수개의 볼(423)을 장착하고 있는 볼 리테이너(424)와, 볼 리테이너(424)의 하부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도록 록킹너트(425)로 체결된 클러치스프링(426)을 포함할 수 있다.
기어허브(411)는 정상 작동시 피동기어(410)의 회전력을 스핀들(420) 쪽으로 전부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유사시, 스핀들(420)과 피동기어(410)간 회전 속도 차이가 발생되는 상황에서도 피동기어(410) 또는 스핀들(420)을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인 스타휠부(400)는 스핀들(420)의 상부에 결합된 원형의 하부 로터리판(440)과, 하부 로터리판(440)의 상면에 세워진 복수개의 지지기둥부(450)와, 지지기둥부(450)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결합되고 하부 로터리판(440)과 평행을 유지하는 원형의 상부 로터리링(460)과, 하부 로터리판(440) 및 상부 로터리링(460) 각각의 테두리에서 등간격으로 상호 일치되어 원주방향을 따라 배열된 병 안착홈(441, 461)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기둥부(450)의 길이는 병의 높이 또는 사이즈에 대응하게 교체 조립될 수 있다.
상부 로터리링(460)의 병 안착홈(461)은 단턱을 형성하여 병의 넥크 부위를 걸어 안착시키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하부 로터리판(440)의 병 안착홈(441)은 병의 몸통 외측면과 접촉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이때, 병은 앞서 도 5를 통해 설명한 설명한 메인 가이드조립체(300)의 가이드벨트(373)의 벨트 탄성력에 의해 병 안착홈(441)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터릿조립체 및 병 높이측정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터릿조립체(600)의 구성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61050호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여기서 유사 또는 동일한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다만, 터릿조립체(600)는 검사하려는 병의 높이가 서로 상이할 때, 병의 높이에 대응하게 푸셔 로테이터(630)와 안착대 로테이터(660)간 상하 높이 간격을 스크류잭모듈(610) 및 병 높이측정모듈(690)로 조절하는 기능 구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터릿조립체(600)는 장치 베이스(101)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고정 포스트(105)의 고정빔(106)에 지지되는 잭모듈플레이트(611)와, 잭모듈플레이트(611)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승하강가이드(612)와, 승하강가이드(612)와 평행하게 잭모듈플레이트(611)에 설치된 스크류잭(613)과, 스크류잭(613)에 의해 승하강력을 전달받고 승하강가이드(612)에 의해 가이드되는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와,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스크류잭 하우징(632)과, 스크류잭 하우징(632)에 연결된 더블캠(633)을 갖는 푸셔 로테이터(630)와, 푸셔 로테이터(630)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메인샤프트(601)에 결합된 안착대 로테이터(660)와,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와 가이드 포스트(107)의 슬라이딩블록(691) 사이에 연결된 이동빔(108)과, 상기 가이드 포스트(107)의 정반(692) 상에 올려지는 병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상기 슬라이딩블록(691)에 결합된 높이측정모듈(69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높이측정모듈(690)은 제 1 검사모듈이 있는 이동빔(108)을 기반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로부터 연장된 별도의 이동빔을 기반으로 매달려 있을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잭(613)은 모터 및 기어박스의 구동력을 스크류샤프트 및 이송블록(614)에 전달하여 상승 또는 하강 이송력을 발생시키는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즉, 스크류잭(613)은 고정상태의 잭모듈플레이트(611)을 기반으로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고, 또한 그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에 설치된 각종 구성품을 역시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높이측정모듈(690)은 슬라이딩블록(691)에 연결된 행거하우징(693)과, 행거하우징(693)의 측면에 설치된 샤프트가이드(694)와, 샤프트가이드(694)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샤프트 상부 원주면에 스토퍼 너트(695)를 갖는 터치샤프트(696)와, 터치샤프트(696)의 상단과 행거하우징(693)의 상부 저면 사이에 결합되어 터치샤프트(696)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터치스프링(697)과, 터치샤프트(696)의 하단에 설치된 터치홀더(698)와, 터치홀더(698)의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여 스크류잭(613)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센서(69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 너트(695)는 샤프트가이드(694)에 대한 터치샤프트(696)의 정지턱 역할을 담당한다.
작업자는 측정 또는 검사하려는 병의 샘플을 정반(692) 위에 올려놓고, 스크류잭(613)을 가동시킨다.
이런 경우, 스크류잭(613)에 의해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가 하강하고, 이와 함께, 푸셔 로테이터(630) 및 병 높이측정모듈(690)이 하강한다.
하강 도중, 병 높이측정모듈(690)의 터치홀더(698)가 병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고, 이러한 접촉에 따른 터치홀더(698)의 미세 움직임을 정지센서(699)가 감지하여, 스크류잭(613)의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푸셔 로테이터(630) 및 병 높이측정모듈(690)의 하강이 정지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푸셔 로테이터(630)와 안착대 로테이터(660)간 상하 높이 간격이 상기 병의 높이에 대응하게 조절될 수 있고, 아울러,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의 이동빔(108)을 기반으로 설치된 각종 검사부의 높이도 병의 높이에 대응하게 조절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부의 측정 거리 또는 설치 위치가 해당 병의 높이에 맞게 일괄적으로 변경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도 8의 선 A-A를 따라 절단한 푸셔의 단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푸셔 로테이터(630)는 더블캠(633)의 상부 캠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공전하는 상부 슬라이더(634)와, 더블캠(633)의 하부 캠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공전하는 하부 슬라이더(635)와, 상부 슬라이더(634)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슬라이더(635) 및 터릿플레이트(602)를 관통하는 제 1 푸셔바(636)와, 제 1 푸셔바(636)의 단부에 회전되게 결합되어 있는 네크홀더(637)와, 하부 슬라이더(635)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제 1 푸셔바(636)의 양측에서 터릿플레이트(602)를 관통하고 쌍을 이루는 제 2 푸셔바(638)와, 제 2 푸셔바(638)의 단부에 결합된 원형 링 형상의 병홀더(639)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병홀더(639)는 회전 구조를 제공하도록 병홀더(639)의 내주면에 대응하게 설치된 베어링(639a)과, 베어링(639a)의 내륜에 결합된 회전링(639b), 및 회전링(639b)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된 링형 그립(639c)을 포함할 수 있다.
푸셔 로테이터(630)는 더블캠(633)과 상부 슬라이더(634) 및 하부 슬라이더(635)에 의해 네크홀더(637)와 병홀더(639) 중 어느 하나를 하강 또는 상승시킬 때, 네크홀더(637)와 병홀더(639) 중 다른 하나를 반대로 이동(예: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예컨대, 네크홀더(637)는 하강하여 병의 네크를 누를 때, 병홀더(639)가 상승하여 병의 어깨 및 몸통을 개방시키고, 이때, 도 2에 도시된 제 2 검사모듈(550)이 몸통 측벽을 검사하게 된다.
반대로, 병홀더(639)는 하강하여 병의 어깨를 누를 때, 네크홀더(637)가 상승하여 병의 네크를 개방시키고, 이때, 도 2에 도시된 제 3 검사모듈(570)이 네크 아웃을 검사하게 된다.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안착대 로테이터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선 B-B를 따라 절단한 병 안착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0 또는 도 11을 참조하면, 안착대 로테이터(660)는 터릿조립체의 메인샤프트(601)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661)(도 8 병행 참조)과, 회전판(661)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병 안착모듈(670)과, 병 안착모듈(670)에 인접하여 몸통 측벽 검사 구간과 네크 아웃 검사 구간에 걸쳐 설치된 자전제어모듈(680)을 포함할 수 있다.
병 안착모듈(670)은 안착대 로테이터(660)의 회전판(661)에 조립되는 모듈판(671)과, 모듈판(671)의 양측 상부케이싱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병 안착대(672)와, 병 안착대(672)의 사이로 모듈판(671)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샤프트(673)와, 모듈판(671)의 하부에 배치되어 풀리샤프트(673)에 설치된 전달풀리(674)와, 전달풀리(674)의 아래로 풀리샤프트(673)에 설치된 마찰풀리(675)와, 모듈판(671)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의 병 안착대(672)의 샤프트에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안착대회전풀리(676)와, 안착대회전풀리(676)의 아래로 병 안착대(672)의 샤프트의 끝단에 배치되고 좌우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자전제어 가이드롤러(677)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달풀리(674)와 안착대회전풀리(676)는 연결벨트(678)에 의해 동시에 회전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자전제어모듈(680)은 마찰벨트(681)를 통해 병의 자전에 필요한 회전력을 마찰풀리(675)에 전달한다.
이를 위해서, 자전제어모듈(680)은 몸통 측벽 검사 구간과 네크 아웃 검사 구간에 걸쳐 배치된 복수개의 풀리(682)와, 풀리(682)들을 경유하여 상기 검사 구간에 위치한 해당 마찰풀리(675)와 접촉하여 마찰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된 마찰벨트(681)을 포함할 수 있다.
자전제어모듈(680)은 스프링(688)과 결합되어 마찰벨트(681)에 장력을 작용시키는 접이식 롤러 조립체(68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력을 전달받은 마찰풀리(675)는 전달풀리(676)와 함께 회전하고, 연결벨트(678)에 의해 연결되고 쌍을 이루는 안착대회전풀리(676)를 회전시킴으로써, 결국 병 안착대(672)를 동시에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병이 사각형 페트병과 같이 위치 제어가 필요할 경우, 좌우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자전제어 가이드롤러(677)는 도 8에 도시된 자전제어가이드(199)에 의해 접촉되어, 다각형 펫트병의 각도가 틀어지지 않게 병 안착대(672)의 자전을 제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펫트병이 별다른 간섭 없이 아웃 스타휠부를 통해 병 검사장치의 아웃 레일 쪽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병 검사장치의 조립 및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자는 병 안착모듈(670)의 모듈판(671)을 안착대 로테이터(660)의 회전판(661)에 한번 조립하는 것만으로 2개의 병 안착대를 동시에 조립할 수 있고, 유지 보수가 필요한 병 안착모듈(670)만을 새로운 병 안착모듈로 교체할 수 있어, 신속한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도 2에 도시된 제 1 검사모듈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2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검사모듈(500)은 이동빔(108)의 저면에 결합된 검사부플랫폼(501)을 갖는다.
도 12를 참조하면, 검사부플랫폼(501)은 탑 씰 서페이스 검사부(510), 네크 내부 검사부(520), 몸통 바닥 검사부(530) 및 네크 타원형 검사부(540)를 장착하기 위한 복수개의 행거부(502)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행거부(502)에 개별적으로 검사부(510, 520, 530, 540)를 탑재할 수 있다.
이때, 행거부(502)는 하중 또는 규격을 고려하게 상이한 형상 및 구조를 갖는 행거브래킷과, 검사부(510, 520, 530, 540)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행거부(502)는 구조적 안전성과 흔들림 방지를 위해 크로스바(503)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3은 도 2에 도시된 제 2 검사모듈과 제 3 검사모듈의 결합관계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병의 몸통 측벽 검사용 제 2 검사모듈(550)과 네크 아웃 검사용 제 3 검사모듈(570)은 각각 터릿조립체에 의해 공전하고 자전제어모듈에 의해 360° 자전하는 병의 네크 아웃 또는 몸통 측벽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제 1,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51, 571)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 2 검사모듈(550)은 2대의 이미지 캡쳐부(552, 553)의 높이를 각각 조절하기 위해 검사하우징(554)의 외부에 배치되고 쌍을 이루는 높이조절 핸들(555)과, 각 높이조절 핸들(555)에 연결되고 검사하우징(554)의 내부에 배치된 승하강 이송기구(556)와, 승하강 이송기구(556)에서 서로 간섭되지 않게 탑재되고 쌍을 이루는 이미지 캡쳐부(552, 553)를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 이송기구(556)는 볼스크류와 같은 LM가이드 모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 3 검사모듈(570)은 1대의 이미지 캡쳐부(572)(예: 라인스캔 카메라)를 매달아 배치하기 위하여, 이동빔(109)의 하부에 설치된 메인 홀더바(573)와, 메인 홀더바(573)의 하단에서 분기되고 쌍을 이루는 서브 홀더바(574)와, 서브 홀더바(574)의 하단에 설치되고 이미지 캡쳐부(572)가 장착된 캡쳐부 하우징(575)을 포함할 수 있다.
제 3 검사모듈(570)은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71)의 제 2 트랙킹미러(576)의 작동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장치 베이스(101)의 하부의 동력전달장치(577)와 트랙킹 조립체(571)의 사이에 결합된 볼 스플라인(578)과, 볼 스플라인(578)의 옆에서 평행하게 이격되어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71)와 장치 베이스(101) 사이에 결합된 이동가이드(57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가이드(579)는 장치 베이스(101)에 결합된 가이드샤프트와, 그 가이드샤프트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가이드블록과, 가이드블록을 하단에 장착하고 상단이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71)의 저면에 고정된 중공가이드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51, 571)는 해당 이미지 캡쳐부(552, 553, 572)의 전방에 배치된 제 2, 제 3 트랙킹미러(557, 576)와, 제 2, 제 3 트랙킹미러(557, 576)의 하부에 각각 결합된 미러 피동축(558, 580)과, 미러 피동축(558, 580)의 하부에 연결되고 일측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바(590)와, 연장바(590)의 끝단 하부에 결합된 캠 팔로와(591)와, 캠 팔로와(591)의 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미러 캠부(592)와, 캠 팔로와(592)의 연직 상부로 상기 연장바(590)의 끝단 상부에 세워진 미러 스프링 지지대(593)와, 미러 캠부(592)가 장착된 제 1,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51, 571)의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 스프링 지지대(594)와, 미러 스프링 지지대(593) 및 프레임 스프링 지지대(594)의 사이에 결합된 미러 복원 스프링(595)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미러 캠부(592)는 동력전달축(559) 또는 볼 스플라인(57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동력전달축(559) 또는 볼 스플라인(578)은 장치 베이스(101)의 하부의 해당 동력전달장치(577, 557)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51, 571)는 미러 캠부(592)와 제 캠 팔로와(591)가 미러 피동축(558, 580)의 하부에 상대적으로 근접되게 각각 설치되어 있으므로, 각 미러 캠부(592)와 캠 팔로와(591)의 캠 작동에 따라 각 미러 캠부(592)를 고속 회전 시킬 수 있고, 이후 미러 복원 스프링(595)에 의한 미러 캠부(592)의 복귀 작동을 고속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런 제 1, 제 2 미러 트랙킹 조립체(551, 571)는 그 구조를 단순화 할 수 있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조립 및 가공의 난이도를 낮출 수 있고, 고장 발생의 빈도를 현저히 낮게 할 수 있다.
도 14는 도 2에 도시된 조명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병의 몸통 측벽 검사용 제 2 검사모듈(550)과 네크 아웃 검사용 제 3 검사모듈(570)의 조명조립체(700)는 고정식 조명장치(710) 또는 위치 조절식 조명장치(72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식 조명장치(710)는 터릿조립체의 메인샤프트(601)의 주변에 배치되는 브래킷(711)과, 브래킷(711)에 고정되어 제 2 검사모듈 쪽으로 빛을 조사하는 조명기구(712)를 포함할 수 있다.
위치 조절식 조명장치(720)는 고정식 조명장치(710)와 간섭이 되지 않는 상기 터릿조립체의 메인샤프트(601)의 주변에 배치되는 설치판(721)과, 설치판(721)의 상부에 설치된 볼스크류 이송기구(722)와, 핸들(724)의 회전력을 볼스크류 이송기구(722)에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 전달기구(723)과, 볼스크류 이송기구(722)의 이송블록(725)에 탑재된 조명기구(725)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기구(712, 725)는 적색 광원 소자, 적외선(IR) 계열의 광원 소자, 녹색(green) 계열의 광원 소자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적색 광원 또는 적외선(IR) 계열의 광원 소자는 병의 네크 내부 또는 몸통 내부를 투과하여 이미지 캡쳐부에 생성된 이미지를 밝게 하는 반면, 병의 네크 내부에 포함된 이물질이 밝은 이미지로서 캡쳐될 경우, 그 분별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녹색 계열의 광원 소자를 적색 광원 소자에 조합하여 사용하거나, 녹색 계열의 광원 소자를 적외선 계열의 광원 소자에 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이물질에 대한 투과 광량의 차이를 발생시킴으로써, 이물질에 대한 변별력을 높일 수 있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배출 가이드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배출 가이드모듈(900)은 아웃 스타휠(800)에서 병이 이송되어 나오는 쪽을 기준으로 아웃 레일(20)을 따라 설치될 수 있다.
배출 가이드모듈(900)은 병에 접촉되는 상측 가이드판(910)과 하측 가이드판(920)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측 가이드판(910)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직 이송기구(930)와, 상측 가이드판(910), 하측 가이드판(920) 및 수직 이송기구(930) 전체를 아웃 레일(20) 쪽으로 근접 또는 이격시키는 수평 이송기구(940)를 가질 수 있다.
수평 이송기구(940)는 지지구조물(950)에 의해 장치 베이스(101)의 상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아웃 레일(20)의 레벨에 대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실시예에 따른 병 검사장치의 작용을 도 2를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측정 또는 검사하려는 병의 샘플은 병 높이측정모듈(690)의 정반(692) 위에 놓여지고, 이후 스크류잭모듈(610)의 스크류잭이 가동된다.
이런 스크류잭의 가동에 의해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는 하강하고, 이와 함께,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를 기반으로 설치된 모든 구성품[예: 터릿조립체(600)의 푸셔 로테이터 및 병 높이측정모듈(690), 제 1 검사모듈(500), 제 3 검사모듈(570) 등]이 하강한다.
하강 도중, 병 높이측정모듈(690)의 터치홀더가 병의 상부에 접촉하게 되는 시점에서, 정지센서가 터치홀더의 미세 움직임을 감지한다.
정지센서는 스크류잭의 모터를 정지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631)를 기반으로 설치된 모든 구성품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이런 경우, 푸셔 로테이터와 안착대 로테이터간 상하 높이 간격이 상기 병의 높이에 대응하게 조절될 수 있고, 제 1 검사모듈(500) 또는 제 3 검사모듈(570)의 각종 검사부의 높이도 병의 높이에 대응하게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 2 검사모듈(550)의 이미지 캡쳐부의 높이는 병 검사장치에서 검사할 수 있는 가장 큰 병의 몸통 전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세팅되어 있을 수 있고, 필요한 경우, 제 2 검사모듈(550)의 높이조절 핸들로 이미지 캡쳐부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인 레일(10)을 따라서 상기 샘플과 동일한 다른 병이 피더조립체(200) 쪽으로 유입된다.
피더조립체(200)는 스크류피더(210)의 피치에 대응하게 병 간격을 유지시키면서 병을 이송한다.
이렇게 이송된 병은 메인 가이드조립체(3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인 스타휠부(400)의 상부 로터리링 및 하부 로터리판에 파지되고, 상부 로터리링 및 하부 로터리판의 회전에 의해 인 스타휠부(400)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공전될 수 있다.
이때, 공전 경로 선상의 상부에 매달려 있는 제 1 검사모듈(500)의 탑 씰 서페이스 검사부(510)는 네크 탑 씰 서페이스에 크랙 또는 이물질의 유무를 검사한다.
아울러, 탑 씰 서페이스 검사부(510) 옆에 있는 네크 내부 검사부(520)는 네크 내부에 있는 이물질을 검사한다.
이후, 병은 인 스타휠부(400)로부터 터릿조립체(600)의 안착대 로테이터의 병 안착대 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터릿조립체(600)는 메인샤프트를 회전시켜서, 안착대 로테이터와 푸셔 로테이터를 동일한 속도와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터릿조립체(600)의 병은 시계 방향으로 공전될 수 있다.
또한, 터릿조립체(600)는 상부 슬라이더, 하부 슬라이더 및 더블캠의 상호 작용에 따라 병의 네크 또는 어깨 부위를 선택적으로 지지한다.
또한, 자전제어모듈(680)은 제 2 검사모듈(550) 및 제 3 검사모듈(570)의 검사를 위하여 병을 자전시킨다.
또한, 터릿조립체(600)의 푸셔 로테이터의 네크홀더가 병의 네크를 누를 때, 병홀더가 상승하여 병의 어깨 및 몸통을 개방시키고, 제 2 검사모듈(550)이 몸통 측벽을 검사한다.
반대로, 병홀더가 하강하여 병의 어깨를 누를 때, 네크홀더가 상승하여 병의 네크를 개방시키고, 제 3 검사모듈(570)이 네크 아웃을 검사한다.
이후, 네크 아웃 검사가 끝난 병은 터릿조립체(600)로부터 아웃 스타휠부(800) 쪽으로 이송된다.
이때, 병은 메인 가이드조립체(300)에 의해 가이드되어 아웃 스타휠부(800)의 상부 로터리링 및 하부 로터리판에 파지될 수 있고, 상부 로터리링 및 하부 로터리판의 회전에 의해 병은 아웃 스타휠부(800)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공전될 수 있다.
이때, 공전 경로 선상의 상부에 매달려 있는 제 1 검사모듈(500)의 몸통 바닥 검사부(530)는 병의 몸통 바닥에 있는 이물질을 검사한다.
또한, 몸통 바닥 검사부(530) 옆에 있는 네크 타원형 검사용(540)는 네크 탑 씰 서페이스의 원 형상이 타원형 또는 찌그러진 원형인지를 검사한다.
이후, 검사 결과에 따라 병이 불량인지 정상인지 판단될 수 있다.
이젝터부(950)는 불량으로 판단된 병을 아웃 레일(20)로부터 에어 블로우 방식으로 불어내어 수거함(951)쪽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그리고, 불량으로 판단되지 않은 병은 배출 가이드모듈(900)에 의해 가이드되어서 아웃 스타휠부(800)로부터 아웃 레일(20)을 따라 다음 공정으로 반송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하거나,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명확하게 개시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으로 한정적인 것으로 이해해서는 안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장치 프레임 200 : 피더조립체
300 : 메인 가이드조립체 400 : 인 스타휠부
500 : 제 1 검사모듈 550 : 제 2 검사모듈
570 : 제 3 검사모듈 600 : 터릿조립체
700 : 조명조립체 800 : 아웃 스타휠부
900 : 배출 가이드모듈 950 : 이젝터부

Claims (17)

  1. 병 이동 경로상에 설치되고 장치 베이스를 갖는 장치 프레임과,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며, 스크류피더로 병을 공급시키는 피더조립체와,
    상기 피더조립체에 인접하게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며, 상기 병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메인 가이드조립체와,
    상기 피더조립체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일측에 의해 가이드된 상기 병을 공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인 스타휠부와,
    푸셔 로테이터와 안착대 로테이터간 상하 높이 간격이 상기 병의 사이즈에 대응되도록 스크류잭모듈 및 병 높이측정모듈로 조절하고, 상기 인 스타휠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병을 회전시키는 터릿조립체와,
    상기 터릿조립체로부터 배출되고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의 타측에 의해 가이드된 병을 공전에 의해 이동시키는 아웃 스타휠부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더조립체는,
    상기 병의 이송 간격에 대응한 피치를 갖는 스크류피더;
    상기 스크류피더에 연결되고 타이밍벨트로 상기 스크류피더를 공회전시켜서 상기 스크류피더의 초기 피치 위치를 수평방향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평조절부;
    상기 스크류피더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가이드베어링을 플레이트 저면에 결합시킨 이송플레이트;
    상기 가이드베어링과 접촉되는 슬라이딩부를 갖는 받침플레이트;
    상기 슬라이딩부와 상기 이송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며, 스크류 핸들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플레이트를 직선 이동시키는 왕복 이송기구; 및
    상기 받침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플레이트를 승강시켜 상기 스크류피더의 높이를 조절하는 수직조절부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는,
    상기 피더조립체의 곡면 가이드의 곡면 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상기 인 스타휠부에 인접한 병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판;
    상기 제 1 가이드판의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을 받도록 지지되는 탄성편;
    상기 제 1 가이드판 반대쪽의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2 가이드판;
    상기 제 2 가이드판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게 배치된 제 3 가이드판;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서 병이 빠져나가는 쪽의 상기 제 3 가이드판 끝단에 결합되고 상하로 배치되어 쌍을 이루는 가이드판을 갖는 가이드쌍; 및
    상기 제 1 가이드판과 상기 제 2 가이드판 및 상기 제 3 가이드판을 장치 높이 방향을 따라 왕복이송시키는 가이드 높이조절기구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가이드조립체는,
    상기 인 스타휠부 또는 상기 아웃 스타휠부 쪽으로 상기 병을 벨트 탄성력에 의해 밀착시키는 벨트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가이드는,
    상기 제 1 가이드판, 상기 제 2 가이드판 및 상기 제 3 가이드판의 아래쪽과, 상기 가이드 높이조절기구의 일측 플레이트의 아래쪽에 배치된 복수개의 가이드풀리;
    상기 가이드풀리에 설치된 가이드벨트;
    상기 가이드 높이조절기구의 상기 일측 플레이트를 지지기반으로 텐션풀리의 위치를 변경하여 가이드벨트의 장력을 조절하는 텐션조절대;
    상기 가이드 높이조절기구의 상기 일측 플레이트 또는 타측 플레이트의 장공과 제 1, 제 2, 제 3 가이드판의 체결공에 결합된 볼트 조임 레버; 및
    상기 볼트 조임 레버에 인접하여 상기 일측 플레이트 및 상기 타측 플레이트에 설치된 눈금표시자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릿조립체는,
    상기 장치 베이스를 기반으로 복수개의 고정 포스트의 고정빔에 지지되는 잭모듈플레이트;
    상기 잭모듈플레이트에서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복수개의 승하강가이드;
    상기 승하강가이드와 평행하게 상기 잭모듈플레이트에 설치된 스크류잭;
    상기 스크류잭에 의해 승하강력을 전달받고 상기 승하강가이드에 의해 가이드되는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
    상기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의 중앙 저면에 형성된 스크류잭 하우징;
    상기 스크류잭 하우징에 연결된 더블캠을 갖는 푸셔 로테이터;
    상기 푸셔 로테이터의 회전과 동일하게 회전되도록 메인샤프트에 결합된 안착대 로테이터;
    상기 장치 베이스의 가이드 포스트와 상기 터릿조립체의 터릿 업다운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된 이동빔; 및
    상기 가이드 포스트의 정반 상에 올려지는 병의 높이를 측정하도록, 슬라이딩블록에 결합된 높이측정모듈을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측정모듈은,
    상기 슬라이딩블록에 연결된 행거하우징;
    상기 행거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샤프트가이드;
    상기 샤프트가이드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샤프트 상부 원주면에 스토퍼 너트를 갖는 터치샤프트;
    상기 터치샤프트의 상단과 상기 행거하우징의 상부 저면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터치샤프트를 탄성력으로 지지하는 터치스프링;
    상기 터치샤프트의 하단에 설치된 터치홀더; 및
    상기 터치홀더의 미세 움직임을 감지하여 상기 스크류잭의 모터를 정지시키는 정지센서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로테이터는,
    상기 더블캠의 상부 캠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공전하는 상부 슬라이더;
    상기 더블캠의 하부 캠 프로파일에 대응하게 상승 또는 하강하면서 공전하는 하부 슬라이더;
    상기 상부 슬라이더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 슬라이더 및 터릿플레이트를 관통하는 제 1 푸셔바;
    상기 제 1 푸셔바의 단부에 회전되는 네크홀더;
    상기 하부 슬라이더로부터 하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 1 푸셔바의 양측에서 상기 터릿플레이트를 관통하고 쌍을 이루는 제 2 푸셔바; 및
    상기 제 2 푸셔바의 단부에 결합된 원형 링 형상의 병홀더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병홀더는,
    상기 병홀더의 내주면에 대응하게 설치된 베어링;
    상기 베어링의 내륜에 결합된 회전링; 및
    상기 회전링의 내주면을 따라 결합된 링형 그립을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 로테이터는,
    상기 터릿조립체의 메인샤프트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병 안착모듈; 및
    상기 병 안착모듈에 인접하여 몸통 측벽 검사 구간과 네크 아웃 검사 구간에 걸쳐 설치된 자전제어모듈을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병 안착모듈은,
    상기 회전판에 조립되는 모듈판;
    상기 모듈판의 양측 상부케이싱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병 안착대;
    상기 병 안착대의 사이로 상기 모듈판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풀리샤프트;
    상기 모듈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풀리샤프트에 설치된 전달풀리;
    상기 전달풀리의 아래로 상기 풀리샤프트에 설치된 마찰풀리;
    상기 모듈판의 하부에 배치되어 각각 상기 병 안착대의 샤프트에 설치되고 쌍을 이루는 안착대회전풀리;
    상기 안착대회전풀리의 아래로 상기 병 안착대의 샤프트의 끝단에 배치되고 좌우 이격되어 쌍을 이루는 자전제어 가이드롤러; 및
    상기 전달풀리와 상기 안착대회전풀리를 연결하는 연결벨트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 스타휠부 또는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서 공정되는 병의 상부 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병의 탑 씰 서페이스, 네크 내부, 몸통 바닥, 네크 타원형 검사를 담당하는 제 1 검사모듈;
    상기 장치 베이스에 설치되어 병의 몸통 측벽의 이물질을 검사하는 제 2 검사모듈; 및
    상기 장치 베이스의 하부로부터 미러 트랙킹에 필요한 동력을 전달받도록 볼 스플라인을 구비하고 있고 이동빔에 매달려 설치되어서 네크 아웃을 검사하는 제 3 검사모듈을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사모듈 및 상기 제 3 검사모듈은,
    상기 터릿조립체에 의해 공전하고 자전제어모듈에 의해 360° 자전하는 병의 네크 아웃 또는 몸통 측벽을 각각 촬영하기 위한 미러 트랙킹 조립체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트랙킹 조립체는,
    상기 제 2 검사모듈 또는 상기 제 3 검사모듈의 이미지 캡쳐부의 전방에 배치된 트랙킹미러;
    상기 트랙킹미러의 하부에 각각 결합된 미러 피동축;
    상기 미러 피동축의 하부에 연결되고 일측으로 각각 연장된 연장바;
    상기 연장바의 끝단 하부에 결합된 캠 팔로와;
    상기 캠 팔로와의 측면에 밀착되게 배치된 미러 캠부;
    상기 캠 팔로와의 연직 상부로 상기 연장바의 끝단 상부에 세워진 미러 스프링 지지대;
    상기 미러 캠부가 장착된 상기 미러 트랙킹 조립체의 프레임에 결합된 프레임 스프링 지지대;
    상기 미러 스프링 지지대 및 상기 프레임 스프링 지지대의 사이에 결합된 미러 복원 스프링; 및
    상기 미러 캠부에 연결된 동력전달축 또는 볼 스플라인을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검사모듈과 상기 제 3 검사모듈은,
    고정식 조명장치 또는 위치 조절식 조명장치를 더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베이스에는,
    상기 피더조립체 또는 인 레일에 인접하게 설치된 유입 가이드모듈;
    상기 아웃 스타휠부에 인접하게 설치된 배출 가이드모듈이 더 설치되어 있는
    병 검사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 가이드모듈 또는 상기 배출 가이드모듈은,
    상기 병에 접촉하는 상측 가이드판과 하측 가이드판 사이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상측 가이드판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수직 이송기구; 및
    상기 상측 가이드판, 상기 하측 가이드판 및 상기 수직 이송기구 전체를 인 레일 또는 아웃 레일 쪽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이송기구를 포함하는
    병 검사장치.
KR1020120044291A 2012-04-27 2012-04-27 병 검사장치 KR10118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291A KR101186255B1 (ko) 2012-04-27 2012-04-27 병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291A KR101186255B1 (ko) 2012-04-27 2012-04-27 병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6255B1 true KR101186255B1 (ko) 2012-09-27

Family

ID=47114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291A KR101186255B1 (ko) 2012-04-27 2012-04-27 병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6255B1 (ko)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75383A1 (ko) * 2015-04-29 2016-11-0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WO2016175382A1 (ko) * 2015-04-29 2016-11-0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
WO2016175384A1 (ko) * 2015-04-29 2016-11-0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CN108190446A (zh) * 2017-12-06 2018-06-22 广州华研制药设备有限公司 硬瓶输入机构
CN108760636A (zh) * 2018-07-11 2018-11-06 浙江乌程酒业有限公司 一种白酒加工用酒瓶灯箱检测装置
CN108802055A (zh) * 2018-08-22 2018-11-13 苏州西斯派克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半透明或不透明空瓶外壁检测机构
CN108871282A (zh) * 2017-05-08 2018-11-23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工件检测组件
CN112697709A (zh) * 2020-12-31 2021-04-23 成都泓睿科技有限责任公司 转盘托压式灯检机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KR20220125556A (ko) * 2021-03-05 2022-09-14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용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64530B1 (ko) * 2022-03-16 2022-11-09 (주)유티아 페트병 검사장치
KR102617118B1 (ko) * 2015-04-21 2023-12-27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패리슨의 광학 검사 장치 및 방법
CN117804392A (zh) * 2024-02-26 2024-04-02 天津市职业大学 一种注塑模具尺寸检测设备
CN118237957A (zh) * 2024-05-30 2024-06-25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阀块钻孔用输送定位装置
CN118419494A (zh) * 2024-07-03 2024-08-02 深圳市华维诺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检测用自动上料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119A (ja) 1997-09-29 1999-04-13 Kirin Techno System:Kk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2003098107A (ja) 2001-09-21 2003-04-03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検査装置および容器
KR100831368B1 (ko) 2007-11-15 2008-05-22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검사장치
KR100959940B1 (ko) 2008-11-05 2010-05-26 (주)도형아이엠 프리폼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0119A (ja) 1997-09-29 1999-04-13 Kirin Techno System:Kk プリフォーム検査装置
JP2003098107A (ja) 2001-09-21 2003-04-03 Kirin Techno-System Corp 容器検査装置および容器
KR100831368B1 (ko) 2007-11-15 2008-05-22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프리폼 검사장치
KR100959940B1 (ko) 2008-11-05 2010-05-26 (주)도형아이엠 프리폼 검사장치

Cited B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118B1 (ko) * 2015-04-21 2023-12-27 사크미 코오퍼레이티바 메카니치 이몰라 쏘시에타 코오퍼레이티바 패리슨의 광학 검사 장치 및 방법
KR101760120B1 (ko) * 2015-04-29 2017-07-20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WO2016175384A1 (ko) * 2015-04-29 2016-11-0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KR20160128602A (ko) * 2015-04-29 2016-11-08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KR101701370B1 (ko) * 2015-04-29 2017-02-01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WO2016175383A1 (ko) * 2015-04-29 2016-11-0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병 충진액 검사장치
WO2016175382A1 (ko) * 2015-04-29 2016-11-03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더블 스크류유닛 및 병 충진액 검사장치
CN108871282A (zh) * 2017-05-08 2018-11-23 迈得医疗工业设备股份有限公司 工件检测组件
CN108190446A (zh) * 2017-12-06 2018-06-22 广州华研制药设备有限公司 硬瓶输入机构
CN108760636A (zh) * 2018-07-11 2018-11-06 浙江乌程酒业有限公司 一种白酒加工用酒瓶灯箱检测装置
CN108802055A (zh) * 2018-08-22 2018-11-13 苏州西斯派克检测科技有限公司 一种半透明或不透明空瓶外壁检测机构
CN112697709A (zh) * 2020-12-31 2021-04-23 成都泓睿科技有限责任公司 转盘托压式灯检机
KR102561488B1 (ko) * 2021-03-05 2023-08-01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용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25556A (ko) * 2021-03-05 2022-09-14 피엔에스테크놀러지(주) 용기 검사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4348659B (zh) * 2021-12-15 2024-06-11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CN114348659A (zh) * 2021-12-15 2022-04-15 安徽精菱玻璃机械有限公司 一种大型件输送用导向组件及大型件中转装置
KR102464530B1 (ko) * 2022-03-16 2022-11-09 (주)유티아 페트병 검사장치
CN117804392A (zh) * 2024-02-26 2024-04-02 天津市职业大学 一种注塑模具尺寸检测设备
CN117804392B (zh) * 2024-02-26 2024-04-26 天津市职业大学 一种注塑模具尺寸检测设备
CN118237957A (zh) * 2024-05-30 2024-06-25 四川省卓辰精密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阀块钻孔用输送定位装置
CN118419494A (zh) * 2024-07-03 2024-08-02 深圳市华维诺电子有限公司 一种手机摄像头检测用自动上料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6255B1 (ko) 병 검사장치
EP2969288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 metallic bottle
CN209117604U (zh) 一种活塞销检测机
CN109396051A (zh) 一种活塞销检测机和检测方法
CN106596564B (zh) 全自动视觉检测装置
CN112642731A (zh) 联合检测装置及硅片智能分选机
CN108593677A (zh) 一种异形零件全自动视觉检测设备
CN103512897A (zh) 一种用于冻干西林瓶的无底座式灯检机
CN113189120A (zh) 一种玻璃口服液瓶缺陷检测系统
KR101211926B1 (ko) 프리폼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JP2010101691A (ja) 樹脂成型品の外観検査装置及びその外観検査方法
CN111069085A (zh) 一种圆柱玻璃表面质量视觉检测系统与方法
WO1997042480A1 (en) Noncontact inspection apparatus
CN116046795A (zh) 一种瓶内粉末中异物在线视觉检测方法
CN102687684A (zh) 一种蛋类分选用拍照平台
US9352361B2 (en) Elevator for caps
CN111413351A (zh) 一种雾化产品智能检测设备
CN102207468B (zh) 玻璃瓶缺陷检测平台
KR101246149B1 (ko) 캡 검사장치
CN113351507A (zh) 包装盒检测设备、制造设备及包装盒检测方法
US20090158865A1 (en) Module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rticle, and apparatus for regulating this module
CN110712969A (zh) 一种可线上调整物品朝向的输送设备
EP2037256B1 (en) Inspection machine
CN112623768A (zh) 连续翻转上料装置及硅片智能分选机
CN112827856A (zh) 一种全方位瓶盖外观检测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