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9454B1 -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9454B1
KR100829454B1 KR1020060088816A KR20060088816A KR100829454B1 KR 100829454 B1 KR100829454 B1 KR 100829454B1 KR 1020060088816 A KR1020060088816 A KR 1020060088816A KR 20060088816 A KR20060088816 A KR 20060088816A KR 100829454 B1 KR100829454 B1 KR 100829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control signals
switching control
controlled oscillator
pll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8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4567A (ko
Inventor
김용주
박근우
김종운
송희웅
오익수
김형수
황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Priority to KR1020060088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9454B1/ko
Publication of KR200800245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45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9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9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99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 H03L7/0995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concerning mainly the controlled oscillator of the loop the oscillator comprising a ring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5/00Manipulating of pulses not covered by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03K5/13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 H03K5/135Arrangements having a single output and transforming input signals into pulses delivered at desired time intervals by the use of time reference signals, e.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08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 H03L7/081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 H03L7/0812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 H03L7/0814Details of the phase-locked loop provided with an additional controlled phase shifter and where no voltage or current controlled oscillator is used the phase shifting device being digitally controlle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22Read-write [R-W] timing or clocking circuits; Read-write [R-W] control signal generators or management 
    • G11C7/222Clock generating, synchronizing or distributing circuits within memory devi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Stabilization Of Oscillater, Synchronisation, Frequency Synthes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지연기를 구비하여 제어 전압에 대응되는 출력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및 각각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에 따라 상기 클럭 생성부의 각 지연기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복수 개의 트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LL 회로, 전압 제어 발진기, 지연

Description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in PLL Circu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PLL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성도,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트리밍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위상 검출기 20 : 루프 필터
30/50 : 전압 제어 발진기 40 : 클럭 분주기
510 : 클럭 생성부 520 : 제어부
530 : 트리밍부
본 발명은 PLL(Phase Locked Loop)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출력 클럭의 주파수 제어가 가능한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장치가 점점 더 고속화 되어 가는 추세에 따라 외부 클럭의 주파수가 점점 더 높아지고 있고, 그에 따라 내부 클럭의 주파수 또한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라 DLL 회로를 사용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클럭에 동기시켜 데이터를 입출력하는 동작이 불안정해지게 된다. 특히 그래픽 메모리 등의 고속 동작을 요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클럭에 의해 생성되는 데이터 스트로빙 신호와 데이터와의 타이밍 마진이 감소하므로 데이터 입력 동작에 대한 신뢰도가 떨어진다.
따라서 고속으로 동작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에서는 PLL 회로를 사용하여 데이터 입력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데이터 입력 동작을 안정화시키고자 하는 기술이 도입되었다. 이러한 기술이 적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는 PLL 회로를 이용하여 클럭과 입력 데이터와의 타이밍을 비교하여 그 위상 차이를 판별하며, 클럭에 대해 데이터의 위상을 제어하여 클럭과 데이터를 동기시킴으로써 데이터 입력 동작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이하, 종래의 기술에 따른 PLL 회로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PLL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PLL 회로는 입력 클럭(clk_in)과 피드백 클럭(clk_fb)의 위상을 비교하여 풀업 제어 신호(plup)와 풀다운 제어 신호(pldn)를 생성하는 위상 검출기(10), 상기 풀업 제어 신호(plup)와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pldn)의 입력에 대응하여 전압을 펌핑하고 펌핑된 전압의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여 제어 전 압(Vctrl)을 출력하는 루프 필터(20), 상기 제어 전압(Vctrl)을 입력 받아 출력 클럭(clk_out)을 발진시키는 전압 제어 발진기(30) 및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주파수를 소정 비율로 나누어 상기 피드백 클럭(clk_fb)을 생성하는 클럭 분주기(40)로 구성된다.
상기 위상 검출기(10)는 상기 입력 클럭(clk_in)과 상기 피드백 클럭(clk_fb)의 위상이 같아지면 상기 풀업 제어 신호(plup)와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pldn)를 모두 인에이블 시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루프 필터(20)는 상기 풀업 제어 신호(plup)와 상기 풀다운 제어 신호(pldn)의 입력에 대응되는 레벨의 상기 제어 전압(Vctrl)을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30)는 상기 루프 필터(20)로부터 전달되는 상기 제어 전압(Vctrl)에 대응하여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을 발진시키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클럭 분주기(40)는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주파수를 소정 비율로 나누어 상기 피드백 클럭(clk_fb)을 생성한다.
이 때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30)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은 상기 제어 전압(Vctrl)의 전위에 따라 설정된 범위 내에서 안정적인 주파수를 가져야만 한다. 그러나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30) 내부에 노이즈(Noise)가 발생하기 때문에 기 설정된 안정적인 주파수의 출력 클럭(clk_out)을 얻기는 쉽지 않다. 반도체 집적 회로의 공정의 특성상 이와 같은 부작용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기술적 한계로 인해 전압 제어 발진기에서 출력되는 클럭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부작용을 해결하지 못하였고, 이에 따라 PLL 회로의 동작의 안정성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 개의 지연기의 사이에 스위치와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각 지연기의 지연량을 제어함으로써 출력 클럭의 주파수를 인위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는,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지연기를 구비하여 제어 전압에 대응되는 출력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및 각각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에 따라 상기 클럭 생성부의 각 지연기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복수 개의 트리밍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은, a) 지연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여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제어 전압의 전위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지연기 각각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출력 클럭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50)는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지연기(DLY)를 구비하여 제어 전압(Vctrl)에 대응되는 출력 클럭(clk_out)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510), 복수 개의 지연 제어 신호(dlc<1:n>)에 대응되는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1:m>)를 생성하는 제어부(520) 및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1:m>)의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생성부(510)의 각 지연기(DLY)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미세 조정하는 복수 개의 트리밍부(530)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지연기(DLY)는 차동 증폭기 및 인버터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상기 클럭 생성부(510)는 상기 제어 전압(Vctrl)과 피드백 되는 상기 클럭 생성부(510)의 출력 신호, 즉,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전위에 따라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파형을 제어하며,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주파수는 상기 제어 전압(Vctrl)의 전위에 대응된다.
그리고 상기 복수 개의 지연 제어 신호(dlc<1:n>)는 퓨즈 회로 및 레지스터 회로 등의 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로서, 인위적으로 제어 가능한 신호이다. 상기 제어부(520)는 일반적인 디코더의 구성으로 구현 가능하며, 이와 같이 생성되는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swc<1:m>)의 개수는 상기 지연 제어 신호(dlc<1:n>)의 개수보다 더 많다.
상기 트리밍부(530)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1:m>) 중 인에이블 된 스위칭 제어 신호(swc<1:n>)의 개수만큼 상기 클럭 생성부(510)의 각 지연기(DLY)의 출력 신호를 추가적으로 지연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트리밍부(530)는 상기 클럭 생성부(510)의 각 지연기(DLY)의 개수만큼 구비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한 트리밍부의 상세 구성도로서, 복수 개의 트리밍부는 모두 같은 형태로 구성되므로, 하나의 트리밍부만을 나타낸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트리밍부(530)는 접지단과 연결되는 복수 개의 캐패시터(CAP) 및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1:m>)가 각각 입력되며 인에이블 된 스위칭 제어 신호(swc<1:m>)에 대응하여 상기 클럭 생성부(510)의 임의의 지연기(DLY)의 출력단과 상기 복수 개의 캐패시터(CAP)를 각각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 소자는 게이트 단에 하나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i>)가 입력되는 NMOS 트랜지스터(NTR)로 구현 가능하다.
설계자가 상기 복수 개의 지연 제어 신호(dlc<1:n>)를 인위적으로 입력하면, 상기 제어부(520)는 기 설정된 대로 상기 복수 개의 지연 제어 신호(dlc<1:n>)를 디코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1:m>)를 생성한다. 이 때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swc<1:m>) 중 하이 레벨(High Level)로 인에이블 된 스위칭 제어 신호(swc<1:m>)는 상기 스위칭 소자, 즉, 상기 NMOS 트랜지스터(NTR)를 턴 온(Turn On) 시키고, 이에 따라 상기 지연기(DLY)의 출력단과 상기 캐패시터(CAP)가 연결되어 상기 지연기(DLY)의 출력 신호에 미세한 지연 시간이 추가적으로 부여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설계자는 PLL 회로에 대한 테스트 결과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주파수가 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게 되면, 상기 복수 개의 지연 제어 신호(dlc<1:n>)를 입력하여 상기 지연기(DLY)의 각 지연 시간을 미세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출력 클럭(clk_out)의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압 제어 발진기(30) 내부에 노이즈 및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오동작이 발생하여도 인위적으로 출력 클럭의 주파수를 제어하여 PLL 회로의 클럭의 위상 고정 동작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은, 복수 개의 지연기의 사이에 스위치와 캐패시터를 구비하여 각 지연기의 지연량을 제어함으로써 출력 클럭의 주파수를 인위적으로 제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직렬 연결된 복수 개의 지연기를 구비하여 제어 전압에 대응되는 출력 클럭을 생성하는 클럭 생성부; 및
    각각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입력 받고,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에 따라 상기 클럭 생성부의 각 지연기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단계적으로 조정하는 복수 개의 트리밍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지연기의 출력 신호의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밍부는,
    접지단과 연결되는 캐패시터; 및
    상기 스위칭 제어 신호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지연기의 출력단과 상기 캐패시터를 각각 연결하는 스위칭 소자;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연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여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6. a) 지연 제어 신호를 디코딩하여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b) 제어 전압의 전위와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 개의 지연기 각각의 출력 신호의 지연량을 단계적으로 제어하여 출력 클럭을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 신호는 퓨즈 회로 또는 레지스터 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의 인에이블 개수가 증가할수록 상기 지연기의 출력 신호의 지연 시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 개의 스위칭 제어 신호 중 어느 하나가 인에이블 되면 상기 지연기의 출력단과 어느 하나의 캐패시터를 연결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의 제어 방법.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 제어 신호는 퓨즈 회로 또는 레지스터 회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KR1020060088816A 2006-09-14 2006-09-14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29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16A KR100829454B1 (ko) 2006-09-14 2006-09-14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8816A KR100829454B1 (ko) 2006-09-14 2006-09-14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567A KR20080024567A (ko) 2008-03-19
KR100829454B1 true KR100829454B1 (ko) 2008-05-15

Family

ID=39412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8816A KR100829454B1 (ko) 2006-09-14 2006-09-14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94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6195A (ja) * 1995-07-26 1997-02-14 Advantest Corp 可変遅延回路
KR970013723A (ko) * 1995-08-18 1997-03-29 제프리 엘. 포먼 타임 스탠다드 회로
KR0149261B1 (ko) * 1995-06-09 1998-12-15 김광호 주파수 조절 가능한 링 발진기
KR19990069093A (ko) * 1998-02-04 1999-09-06 윤종용 미세한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링 발진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9261B1 (ko) * 1995-06-09 1998-12-15 김광호 주파수 조절 가능한 링 발진기
JPH0946195A (ja) * 1995-07-26 1997-02-14 Advantest Corp 可変遅延回路
KR970013723A (ko) * 1995-08-18 1997-03-29 제프리 엘. 포먼 타임 스탠다드 회로
KR19990069093A (ko) * 1998-02-04 1999-09-06 윤종용 미세한 주파수 조절이 가능한 링 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4567A (ko) 2008-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47617A (en) Variable-path-length voltage-controlled oscillator circuit
JP4043024B2 (ja) 遅延同期ループ
JP3822461B2 (ja) デューティサイクル補正機能を有する遅延同期ループ回路及び遅延同期方法
US5781048A (en) Synchronous circuit capable of properly removing in-phase noise
KR100937994B1 (ko) 인젝션 락킹 클럭 생성 회로와 이를 이용한 클럭 동기화회로
KR100429127B1 (ko) 클럭 동기 장치
JP7417718B2 (ja) 制御信号パルス幅抽出に基づくフェーズロック加速回路及びフェーズロックループシステム
US20070069780A1 (en) Delay cell of voltage controlled delay line using digital and analog control scheme
US6882196B2 (en) Duty cycle corrector
KR20070121951A (ko) 전압제어 발진기, 이를 구비한 위상동기루프 회로, 및위상동기루프 회로의 제어방법
US6066988A (en) Phase locked loop circuit with high stability having a reset signal generating circuit
JP2009303276A (ja) 適応ループ帯域を有する位相同期ループ
US6944833B2 (en) Delay model circuit for use in delay locked loop
KR19980080333A (ko) 위상 동기 회로
KR101046722B1 (ko) 반도체 장치
US6320424B1 (en) Method of providing and circuit for providing phase lock loop frequency overshoot control
KR100839499B1 (ko) 딜레이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711103B1 (ko) 적응형 3상태 위상 주파수 검출기 및 검출방법과 이를이용한 위상동기루프
US20020041214A1 (en) PLL circuit
KR100672033B1 (ko) 두 개의 입력 기준 클럭을 가지는 지연동기루프회로, 이를포함하는 클럭 신호 발생 회로 및 클럭 신호 발생 방법
KR100829454B1 (ko) Pll 회로의 전압 제어 발진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03361B1 (ko) Pll 회로의 루프 필터 및 그 제어 방법
KR100842727B1 (ko) 전압 제어 발진기 및 이를 구비한 위상고정루프회로
KR100845775B1 (ko) Pll 회로
KR100803360B1 (ko) Pll 회로 및 그 제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