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7279B1 -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회로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회로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7279B1
KR100827279B1 KR1020060041960A KR20060041960A KR100827279B1 KR 100827279 B1 KR100827279 B1 KR 100827279B1 KR 1020060041960 A KR1020060041960 A KR 1020060041960A KR 20060041960 A KR20060041960 A KR 20060041960A KR 100827279 B1 KR100827279 B1 KR 100827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ircuit
drain
drain voltage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1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6736A (ko
Inventor
주니치 이케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060116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7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7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40Details of LED load circuits
    • H05B45/44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 H05B45/46Details of LED load circuits with an active control inside an LED matrix having LEDs disposed in parallel lin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7Converter circuits
    • H05B45/3725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 H05B45/38Switched mode power supply [SMPS] using boost topolog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d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류를 소정의 정전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 전압(Vgs0), 및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류가 상기 정전류 값으로 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각각 출력하는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와,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 및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이 입력되고,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작은 드레인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전압 검출 회로(3)를 구비하며, 전원 공급 회로(2)는 최저 드레인 전압(Vds0)과 드레인 전압(Vdsx)이 각각 입력되고, 드레인 전압(Vdsx)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이상으로 되도록 출력 전압(Vout)을 제어한다.
Figure R1020060041960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전원 공급 회로, 전압 검출 회로,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 비례 전류 생성 회로

Description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회로의 제어 방법{A LIGHT-EMITTING DIODE DRIVE CIRCU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CIRCUIT}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전압 검출 회로(3)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종래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다른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2  전원 공급 회로
 3  전압 검출 회로
 4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
 21  비례 전류 생성 회로
 22  전압 생성 회로
 LED1~LED4  발광 다이오드
 M1~M4  드라이브 트랜지스터
 C1  바이패스(bypath) 콘덴서
본 발명은 휴대 전자 기기에 사용되는 LCD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에 이용되는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수행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고, 특히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 등 휴대 전자 기기에 이용되는 LCD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에는 복수개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가 사용되어 있다.
복수개의 백색 발광 다이오드를 휘도가 균일하게 발광시키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정전류 구동에 의한 방식이 이용되고 있었다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1-325703호 참조).
도 4는 이와 같은 정전류 구동 방식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의 회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101)의 구동 전류(iL)는 기준 전압(Vc)을 저항(R101)의 저항값 r101로 나눈 값, 즉 iL = Vc/r101로 된다.
도 4의 회로는 저항(R101)의 전압 강하가 기준 전압(Vc)과 동일하게 되도록 발광 다이오드(LED101)의 구동 전류를 제어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압(Vbat)으 로서 발광 다이오드(LED101)의 순방향 전압에 기준 전압(Vc)을 더한 전압보다 큰 전압이 필요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나아가, 사용 경과에 따라 배터리 전압(Vbat)이 저하해 가는 것을 고려하면, 배터리 전압(Vbat)은 발광 다이오드(LED101)의 순방향 전압(VF)에 기준 전압(Vc)을 더한 전압보다 아주 큰 전압이 필요하게 되므로, 발광 다이오드(LED101) 이외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많아져 전원 효율이 저하한다.
한편, 도 5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다른 종래예를 나타낸 도면이다(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공보 2004-166342호 참조). 도 5의 회로에서는 발광 다이오드(LED111)의 전원에 충전 펌프 회로(111)를 채용하여 배터리 전압(Vbat)의 전압 변동의 영향을 배제하고 있다. 또, 발광 다이오드(LED111)의 동작/비동작을 스위칭 제어 회로(113)로 제어함과 동시에, 발광 다이오드(LED111)의 동작 상태를 LED 오프 검출 회로(112)로 검출하고, 비동작 상태인 경우에는 허가(enable) 신호를 무효 상태로 하여 충전 펌프 회로(111)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써 전원 효율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도 5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도 도 4와 마찬가지로, 정전류 회로에 저항(R111)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충전 펌프 회로(111)의 출력 전압(Vout)에는 발광 다이오드(LED111)의 순방향 전압에 저항(R111)에서의 전압 강하 분을 더한 전압이 필요하므로, 발광 다이오드(LED111) 이외에서 소비하는 전력이 많아져 전원 효율이 저하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백색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에는 변동이 존재하므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전원 전압(Vout)은 이와 같은 변동 분을 포함한 크기로 설정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키는 데 방해가 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각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전압이 가변인 전원 공급 회로와,
대응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와,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소정의 정전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 전압과,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을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각각 입력했을 때,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상기 정전류 값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 드레인 전압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와,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의 전압 비교를 수행하고,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보다 작은 상기 드레인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전압 검출 회로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드레인 전압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모두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으로 되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도록 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대응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의 전압 비교를 각각 실행하는 각 비교기와,
상기 각 비교기의 전압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보다 작은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을 소정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배타적으로 출력하는 드레인 전압 출력 회로와,
상기 각 비교기의 전압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모두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정지 신호 출력 회로를 구비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는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이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을 감산한 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및 기준 게이트 전압을 각각 생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는
외부로부터 설정된 제1 정전류 및 제2 정전류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와,
상기 제1 정전류가 공급되며, 게이트와 드레인이 접속된,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와 동형의 제1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정전류가 공급된,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와 동형의 제2 MOS 트랜지스터 및 제3 MOS 트랜지스터의 직렬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는 게이트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드레인에 상기 제2 정전류가 입력되며, 상기 제3 MOS 트랜지스터는 게이트가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이 출력됨과 동시에, 제2 MOS 트랜지스터와 제3 MOS 트랜지스터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이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승압형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력 전압이 가변인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소정의 정전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 전압과,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을 상기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각각 입력했을 때,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에 의해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상기 정전류 값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 드레인 전압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의 전압 비교를 수행하고,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보다 작은 상기 드레인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드레인 전압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
아래에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1)는 전원 공급 회로(2), 전압 검출 회로(3),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 발광 다이오드(LED1~LED4), NMOS 트랜지 스터로 구성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 및 바이패스 콘덴서(C1)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 공급 회로(2)는 충전 펌프 회로 등으로 구성된 고효율의 승압형 스위칭 레귤레이터이며, 입력 전압(Vin)을 승압하여 소정의 전압으로 변환시켜 출력 전압(Vout)으로서 출력 단자(OUT)를 통하여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각 양극으로 각각 공급한다.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단과 접지 전압 사이에는 바이패스 콘덴서(C1)가 접속되고, 전원 공급 회로(2)는 전압 검출 회로(3)로부터 입력되는 동작 정지 신호(STP)가 유효 상태로 되면 스위칭 동작을 정지한다. 또한, 전원 공급 회로(2)에 충전 펌프 회로를 사용한 경우에는, 충전 펌프 회로의 캐치(catch) 콘덴서가 바이패스 콘덴서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재차 바이패스 콘덴서(C1)를 마련할 필요는 없고, 바이패스 콘덴서(C1)를 삭제하여도 좋다.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류를 소망의 정전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 전압(Vgs0)과,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Vgs0)을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게이트에 각각 입력했을 때에,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류를 상기 정전류 값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한다.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Din)에 따른 값의 기준 게이트 전압(Vgs0)과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한다. 예컨대,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임계값 전압이 각각 Vth일 때, 아래의 (1) 식을 만족시키도록 기준 게이트 전압(Vgs0) 및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한다.
Vds0 ≥ Vgs0-Vth (1)
전압 검출 회로(3)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Vds1~Vds4) 및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이 각각 입력되고, 각 드레인 전압(Vds1~Vds4) 중,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작은 드레인 전압을 순차적으로 배타적으로 출력한다. 또, 전압 검출 회로(3)는 각 드레인 전압(Vds1~Vds4)이 모두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이상이 되면, 전원 공급 회로(2)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 정지 신호(STP)를 출력하여 동작을 정지시킨다.
또, 전원 공급 회로(2)에는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로부터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이, 전압 검출 회로(3)로부터 드레인 전압(Vdsx)이 각각 입력되고, 전원 공급 회로(2)는 드레인 전압(Vdsx)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초과하는 전압이 될 때까지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키도록 동작한다.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각 음극은 대응하는 입력 단자(DIN1~DIN4)를 통하여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에 대응하여 접속되고,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소스는 각각 접지 전압에 접속되어 있다.
전압 검출 회로(3)에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Vds1~Vds4)과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로부터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이 각각 입력되고, 드레인 전압(Vds1~Vds4) 중,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작은 드레인 전압을 소정의 순서로 드레인 전압(Vdsx)으로서 배타적으로 출력한다. 또, 전압 검출 회로(3)는 드레인 전압(Vds1~Vds4)이 모두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큰 경우 에는, 동작 정지 신호(STP)를 유효 상태로 한다. 또, 전압 검출 회로(3)는 외부로부터 허가(enable) 신호(EN)가 입력되고, 허가 신호(EN)가 유효 상태로 되면 드레인 전압(Vdsx)을 출력하고, 허가 신호(EN)가 무효 상태로 되면 드레인 전압(Vdsx)의 출력을 정지한다.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에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게이트가 접속되고,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기준 게이트 전압(Vgs0)을 생성하여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게이트에 각각 출력한다.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Vgs0)은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가 포화 동작 상태일 때에 흐르는 드레인 전류를 발광 다이오드(LED1~LED4)를 구동하는 소정의 구동 전류로 설정하기 위한 전압이다. 또,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게이트에 기준 게이트 전압(Vgs0)을 인가했을 때,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가 포화 동작 상태일 때에 흐르는 상기 드레인 전류를 확보할 수 있는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전원 공급 회로(2) 및 전압 검출 회로(3)에 각각 출력한다. 또,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구동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Din0~Din3)로 이루어지는 데이터 신호(Din)가 외부로부터 입력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로부터 출력된 기준 게이트 전압(Vgs0)으로 게이트가 바이어스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는 전원 공급 회로(2)로부터 발광 다이오드(LED1~LED4)를 통하여 소정의 구동 전류와 같은 드레인 전류를 흘리고자 한다. 그러나,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이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각 순방향 전압보다 작은 경우에는, 드라이브 트랜지스 터(M1~M4)의 드레인 전류는 소정의 구동 전류보다 작은 전류 값으로 된다. 이 때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Vds1~Vds4)은 대응하는 드레인 전류가 소정의 구동 전류보다 작기 때문에,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로부터 출력되는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작게 된다.
전압 검출 회로(3)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Vds1~Vds4)과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의 전압 비교를 실행한다. 상기 전압 비교 방법으로서 예컨대, 우선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압(Vds1)과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비교하여 드레인 전압(Vds1)이 작은 경우에는, 드레인 전압(Vds1)을 전압 검출 회로(3)의 출력 전압(Vdsx)으로 한다. 또한, 이 때, 전압 검출 회로(3)는 다른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2~M4)의 각 드레인 전압(Vds2~Vds4)과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의 전압 비교 결과를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전원 공급 회로(2)는 전압 검출 회로(3)로부터 출력된 전압(Vdsx)이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로부터 출력된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작으면 출력 전압(Vout)의 전압을 상승시킨다. 이 때문에,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각 구동 전류가 각각 증가함과 동시에,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Vds1~Vds4)도 각각 상승한다.
한편, 전압 검출 회로(3)로부터의 출력 전압(Vdsx)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크게 되면,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류는 소정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전류에 이른 것이기 때문에, 전압 검출 회로(3)는 드레인 전압(Vds1)을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금지하고, 다음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 (M2)의 드레인 전압(Vds2)과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의 전압 비교를 실행한다.
발광 다이오드(LED2)의 순방향 전압이 발광 다이오드(LED1)의 순방향 전압보다 큰 경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압(Vds2)은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압(Vds1)보다 작기 때문에,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작다. 이 때문에, 전압 검출 회로(3)는 드레인 전압(Vds2)을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한다. 또한, 전압 검출 회로(3)는 이 때에도 다른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 M4)의 각 비교 결과는 출력하지 않도록 한다.
전원 공급 회로(2)는 드레인 전압(Vds1)의 경우와 같은 동작을 실행한다. 즉, 전원 공급 회로(2)는 드레인 전압(Vds2)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커질 때까지 출력 전압(Vout)의 전압을 더 한층 상승시킨다.
드레인 전압(Vds2)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초과하면, 발광 다이오드(LED2)의 구동 전류가 소정의 전류값에 도달한 것이므로, 전압 검출 회로(3)는 NMOS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압(Vds2)을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하는 것을 금지한다. 마찬가지로, 전압 검출 회로(3)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3, M4)의 드레인 전압(Vds3, Vds4)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최저 드레인 전압(Vds0)과의 전압 비교를 실행하고, 모든 드레인 전압(Vds1~Vds4)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커질 때까지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킨다. 또한, 순방향 전압이 작은 발광 다이오드를 부하로 하고 있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경우, 최저 드레인 전압(Vds0)과 비교했을 때에는, 이미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크게 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전압 검출 회로(3)는 상기 드레인 전압을 출력하지 않고, 다음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의 전압 비교를 실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모든 드레인 전압(Vds1~Vds4)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커지면, 전압 검출 회로(3)는 동작 정지 신호(STP)를 유효 상태로 하여 전원 공급 회로(2)의 동작을 정지시킨다.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단에는 바이패스 콘덴서(C1)가 설치되어 있어 전원 공급 회로(2)가 동작을 정지하고 나서 당분간 사이는 바이패스 콘덴서(C1)로부터 발광 다이오드(LED1~LED4)에 전류가 공급된다. 바이패스 콘덴서(C1)의 전압이 저하하여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어느 한 드레인 전압(Vds1~Vds4)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이하로 되면, 전압 검출 회로(3)는 동작 정지 신호(STP)를 무효 상태로 하여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이하로 된 드레인 전압을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하고, 전원 공급 회로(2)에 대하여 출력 전압(Vout)을 상승시킨다. 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LED1~LED4)에는 항상 소정의 구동 전류가 공급된다.
도 2는 도 1의 전압 검출 회로(3)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있어서, 전압 검출 회로(3)는 4개의 비교기(11~14), 8개의 인버터(INV11~INV18), 5개의 AND 회로(AN11~AN15) 및 4개의 아날로그 스위치(AS11~AS14)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버터(INV11~INV18), AND 회로(AN11~AN14) 및 아날로그 스위치(AS11~AS14)는 드레인 전압 출력 회로를 이루고, AND 회로(AN15)는 동작 정지 신호 출력 회로를 이룬다.
비교기(11~14)의 각 반전 입력단에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압(Vds1~Vds4)이 대응하여 입력된다. 또, 비교기(11~14)의 각 비반전 입력 단은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에는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로부터의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이 입력된다. 비교기(11~14)의 각 출력단은 대응하는 AND 회로(AN11~AD14)의 한 쪽 입력단에 접속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인버터(INV11~INV14)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AND 회로(AN11~AN14)에 있어서, 비교기(11)와 쌍을 이루는 AND 회로(AN11)에 2개의 입력이 있고, 비교기(12)와 쌍을 이루는 AND 회로(AN12)에 3개의 입력이 있으며, 비교기(13)와 쌍을 이루는 AND 회로(AN13)에 4개의 입력이 있고, 비교기(14)와 쌍을 이루는 AND 회로(AN14)에 5개의 입력이 있으며, AND 회로(AN15)에 4개의 입력이 있다. AND 회로(AN11~AN14)의 각 출력단은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AS11~AS14)의 제어 입력단에 각각 접속됨과 동시에, 대응하는 인버터(INV15~INV18)를 통하여 대응하는 아날로그 스위치(AS11~AS14)의 반전 제어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인버터(INV11)의 출력단은 AND 회로(AN12~AN15)의 대응하는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인버터(INV12)의 출력단은 AND 회로(AN13~AN15)의 대응하는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또, 인버터(INV13)의 출력단은 AND 회로(AN14, AN15)의 대응하는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AND 회로(AN15)의 출력단은 동작 정지 신호(STP)의 출력단을 이루고 있다. 또, AND 회로(AN11~AN14)의 각 나머지 입력단에는 외부로부터의 허가 신호(EN)가 각각 입력되어 있다. 아날로그 스위치(AS11~AS14)에 있어서, 각 입력단에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드레인 전압(Vds1~Vds4)이 대응하여 입력되고, 각 출력단은 각각 접속되며, 이 접속부는 출력 전압(Vdsx)을 출 력하는 전압 검출 회로(3)의 출력단을 이루고 있다.
허가 신호(EN)가 저레벨일 때에는 AND 회로(AN11~AN14)의 각 출력단이 각각 저레벨로 되므로, 아날로그 스위치(AS11~AS14)는 각각 오프하여 차단 상태로 되고, 출력 전압(Vdsx)을 출력하는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high impedance) 상태로 된다.
다음에, 허가 신호(EN)가 고레벨인 경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비교기(11)는 최저 드레인 전압(Vds0)과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의 드레인 전압(Vds1)을 비교하고, 드레인 전압(Vds1)이 작은 경우에는, 비교기(11)의 출력단이 고레벨로 된다.
그러면, AND 회로(AN11)의 출력단도 고레벨로 되어 아날로그 스위치(AS11)가 온 하고, 아날로그 스위치(AS11)의 입력단에 입력되어 있는 드레인 전압(Vds1)이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이 때, 비교기(11)의 출력 신호는 인버터(INV11)로 신호 레벨이 반전되어 AND 회로(AN12~AN15)의 대응하는 입력단에 각각 입력된다. 이로부터, AND 회로(AN12~AN15)의 각 출력단은 저레벨로 됨으로써, 다른 아날로그 스위치(AS12~AS14)는 각각 오프 하여 차단 상태로 되므로, 출력 전압(Vdsx)을 출력하는 출력단에 2개 이상의 드레인 전압이 출력되지 않으며, 동작 정지 신호(STP)는 저레벨로 되어 무효 상태로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하여 드레인 전압(Vds1)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이상이 되면, 비교기(11)의 출력단은 저레벨로 된다. 이 때문에, AND 회로(AN11)의 출력단도 저레벨이 됨으로써, 아날로그 스위치(AS11)가 오프 하여 출력 전압(Vdsx)으로서의 드레인 전압(Vds1)의 출력이 정지한다. 또, 비교기(11)의 출력단이 저레벨로 되면, 인버터(INV11)의 출력단은 고레벨로 되어 AND 회로(AN12)의 게이트가 열린다. 비교기(12)는 최저 드레인 전압(Vds0)과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2)의 드레인 전압(Vds2)을 전압 비교하고, 드레인 전압(Vds2)이 작은 경우에는, 비교기(12)의 출력단은 고레벨로 된다.
그러면, AND 회로(AN12)의 출력단도 고레벨로 되어 아날로그 스위치(AS12)가 온 함으로써, 아날로그 스위치(AS12)의 입력단에 입력되어 있는 드레인 전압(Vds2)이 아날로그 스위치(AS12)로부터 출력되고 상기 전압이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된다. 또한, 비교기(12)의 출력 신호는 인버터(INV12)로 신호 레벨이 반전되고 상기 신호가 AND 회로(AN13~AN15)에 각각 입력된다. 이 때문에, AND 회로(AN13~AN15)의 각 출력단은 저레벨이 됨으로써, 아날로그 스위치(AS13, AS14)는 각각 오프 하여 차단 상태로 되므로, 출력 전압(Vdsx)으로서 드레인 전압(Vds2)만 출력된다.
다음에,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이 상승하여 드레인 전압(Vds2)이 최저 드레인 전압(Vds0) 이상으로 되면, 비교기(12)의 출력 신호의 신호 레벨이 반전하여 저레벨로 된다. 그러면, AND 회로(AN12)의 출력단도 저레벨이 됨으로써, 아날로그 스위치(AS12)가 오프 하여 출력 전압(Vdsx)으로서의 드레인 전압(Vds2)의 출력이 정지된다.
같은 동작을 반복하여 드레인 전압(Vds1~Vds4)이 모두 최저 드레인 전압(Vds0)보다 커지면, 출력 전압(Vdsx)으로서 출력되는 드레인 전압은 없어진다. 그 대신, AND 회로(AN15)의 출력단이 고레벨로 되어 동작 정지 신호(STP)가 유효 상태로 되어 상기 동작 정지 신호(STP)가 전원 공급 회로(2)에 입력되면, 전원 공급 회로(2)는 동작을 정지하여 전원 공급을 정지한다.
다음에, 도 3은 도 1의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의 회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있어서,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4)는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각 구동 전류에 비례한 전류를 생성하는 비례 전류 생성 회로(21)와 기준 게이트 전압(Vgs0) 및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생성하는 전압 생성 회로(22)로 구성되어 있다.
비례 전류 생성 회로(21)는 D/A 컨버터(25), 연산 증폭 회로(26), PMOS 트랜지스터(M21~M23), NMOS 트랜지스터(M24), 저항(R21)으로 구성되고, 전압 생성 회로(22)는 NMOS 트랜지스터(M25~M27)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비례 전류 생성 회로(21)는 정전류 회로를 이루고, NMOS 트랜지스터(M25)는 제1 MOS 트랜지스터를, NMOS 트랜지스터(M26)는 제2 MOS 트랜지스터를, NMOS 트랜지스터(M27)는 제3 MOS 트랜지스터를 각각 이룬다.
D/A 컨버터(25)에는 외부의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로부터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각 구동 전류를 설정하기 위한 데이터(Din0~Din3)가 입력되어 있다. D/A 컨버터(25)의 출력 전압(Dout)은 연산 증폭 회로(26)의 비반전 입력단에 입력되어 있다. 연산 증폭 회로(26)의 출력단은 NMOS 트랜지스터(M24)의 게이트에 접속되고 연산 증폭 회로(26)의 반전 입력단은 NMOS 트랜지스터(M24)의 소스에 접속됨 과 동시에, 저항(R21)을 통하여 접지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M24)의 드레인은 PMOS 트랜지스터(M21)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PMOS 트랜지스터(M21)의 게이트와 드레인이 접속되어 있다. 또, PMOS 트랜지스터(M21, M22, M23)는 전류 미러 회로를 형성하고, 각 소스는 입력 전압(Vin)에 접속되고 각 게이트는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M22)의 드레인에는 NMOS 트랜지스터(M25)의 드레인이 접속되고, NMOS 트랜지스터(M25)의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NMOS 트랜지스터(M25)의 게이트는 NMOS 트랜지스터(M25)의 드레인과 NMOS 트랜지스터(M26)의 게이트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PMOS 트랜지스터(M23)의 드레인은 NMOS 트랜지스터(M26)의 드레인과 NMOS 트랜지스터(M27)의 게이트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기준 게이트 전압(Vgs0)이 출력된다. NMOS 트랜지스터(M26)의 소스는 NMOS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이 출력되고, NMOS 트랜지스터(M27)의 소스는 접지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데이터(Din0~Din3)에 의해 설정된 D/A 컨버터(25)의 출력 전압(Dout)을 저항(R21)의 저항값으로 나눈 전류가 NMOS 트랜지스터(M24)의 드레인 전류로 되고, 상기 드레인 전류는 발광 다이오드(LED1~LED4)의 구동 전류에 비례한 전류로 된다. 상기 비례 전류는 PMOS 트랜지스터(M21~M23)로 이루어지는 전류 미러 회로에 의해 PMOS 트랜지스터(M22, M23)의 각 드레인으로부터 출력된다. 또, NMOS 트랜지스터(M27)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와 함께 전류 미러 회로를 형성하고 있다. NMOS 트랜지스터(M27)의 소자 사이즈와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소자 사이즈는 소정의 비례 관계, 예컨대 1:500이 되도록 형 성되고,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각 드레인 전류는 NMOS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 전류의 비례 배, 예컨대 500배로 된다.
또, NMOS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 전류와의 비례 관계를 유지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최저 드레인 전압은 NMOS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 전압인 최저 드레인 전압(Vds0)과 같다.
또, NMOS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 전압은 PMOS 트랜지스터(M22, M23)의 각 드레인 전류값, 및 NMOS 트랜지스터(M25, M26)의 사이즈 비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NMOS 트랜지스터(M27)의 드레인 전압을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에 대하여 비례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최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의 소스ㆍ드레인 전압은 매우 작은 전압으로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 이상으로 승압시킬 필요가 없어 저소비 전력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PMOS 트랜지스터(M22, M23)의 각 사이즈를 같게 하여 PMOS 트랜지스터(M22, M23)의 각 드레인 전류가 같게 되도록 한 경우에, NMOS 트랜지스터(M25, M26)의 사이즈 비를 1:4로 하면,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은 NMOS 트랜지스터(M27)가 정전류원으로서 동작할 수 있는 최저 전압으로 설정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기판 바이어스 효과나 제조 시의 오차를 고려하여 NMOS 트랜지스터(M25, M26)의 사이즈 비는 이론상의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부여하는 것에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프로세스에서 정전류 값을 확보할 수 있는 것도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은 발 광 다이오드(LED1~LED4) 중에서 가장 큰 순방향 전압에 대응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을 더한 정도의 전압이면 되고, 최저 드레인 전압(Vds0)은 발광 다이오드의 순방향 전압에 비하여 매우 작은 전압이므로,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제1 실시예에 따른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는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류 설정을 위한 저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에 상당하는 분만큼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은 가장 순방향 전압이 큰 발광 다이오드에 소정의 구동 전류를 공급할 정도의 전압이면 되어, 출력 전압(Vout)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드라이브 트랜지스터(M1~M4)가 포화 동작 상태에서 소정의 구동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최저 드레인 전압(Vds0)으로 되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전원 공급 회로(2)의 출력 전압(Vout)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어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매우 높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경우를 예로써 설명했지만, 이것은 일례이며,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에 모두 적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에 의하면,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전류 설정을 위한 저항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에 상당하 는 분만큼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전압을 저하시킬 수 있다. 또,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전압은 가장 순방향 전압이 큰 발광 다이오드에 소정의 구동 전류를 공급할 정도의 전압이면 되므로, 상기 출력 전압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포화 동작 상태에서 소정의 구동 전류를 흘릴 수 있는 최저 드레인 전압으로 되도록 하고 있음으로써, 전원 공급 회로의 출력 전압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어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출력 전압이 가변인 전원 공급 회로와,
    대응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와,
    상기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 각각의 드레인 전류를 소정의 정전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 전압과,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을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각각 입력했을 때,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상기 정전류 값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 드레인 전압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와,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의 전압 비교를 수행하고,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보다 작은 상기 드레인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전압 검출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드레인 전압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모두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으로 되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검출 회로는,
    대응하는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의 전압 비교를 각각 실행하는 복수개의 비교기와,
    상기 복수개의 비교기의 각각의 전압 비교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보다 작은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을 소정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드레인 전압 출력 회로로서, 상기 복수개의 비교기 중 어느 하나의 비교 결과의 출력시 바른 비교기의 비교 결과는 출력하지 않는 것인 드레인 전압 출력 회로와,
    상기 복수개의 비교기의 각각의 전압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이 모두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인 것을 검출하면,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대하여 소정의 동작 정지 신호를 출력하여 동작을 정지시키는 동작 정지 신호 출력 회로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는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이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으로부터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을 감산한 값 이상이 되도록,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및 기준 게이트 전압을 각각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는,
    외부로부터 설정된 제1 정전류 및 제2 정전류를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정전류 회로와,
    상기 제1 정전류가 공급되며, 게이트와 드레인이 접속된,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와 동형의 제1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2 정전류가 공급된, 상기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와 동형의 제2 MOS 트랜지스터 및 제3 MOS 트랜지스터의 직렬 회로
    를 구비하고,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는 게이트가 상기 제1 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접속됨과 동시에, 드레인에 상기 제2 정전류가 입력되며, 상기 제3 MOS 트랜지스터는 게이트가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에 접속되고, 상기 접속부로부터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이 출력됨과 동시에, 상기 제2 MOS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3 MOS 트랜지스터의 접속부로부터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이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회로는 승압형의 스위칭 레귤레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7.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출력 전압이 가변인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발광 다이오드에 각각 전력을 공급하는 단계와,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에 의해 대응하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을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소정의 정전류 값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준 게이트 전압과, 상기 기준 게이트 전압을 상기 복수개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에 각각 입력했을 때,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에 의해 상기 각각의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류를 상기 정전류 값으로 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저 드레인 전압을 각각 생성하여 출력하는 단계와,
    전압 검출 회로에 의해 상기 각 드라이브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압과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의 전압 비교를 수행하고,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보다 작은 상기 드레인 전압을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 공급 회로에 의해 상기 전압 검출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드레인 전압이 상기 바이어스 전압 설정 회로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최저 드레인 전압 이상으로 되도록 상기 출력 전압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의 제어 방법.
KR1020060041960A 2005-05-11 2006-05-10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회로의 제어 방법 KR1008272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38788A JP4657799B2 (ja) 2005-05-11 2005-05-11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
JPJP-P-2005-00138788 2005-05-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736A KR20060116736A (ko) 2006-11-15
KR100827279B1 true KR100827279B1 (ko) 2008-05-07

Family

ID=37418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1960A KR100827279B1 (ko) 2005-05-11 2006-05-10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회로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724219B2 (ko)
JP (1) JP4657799B2 (ko)
KR (1) KR1008272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29B1 (ko) 2008-05-07 2010-08-11 김재민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정전류 제어회로
KR101028860B1 (ko) * 2009-11-19 2011-04-12 주식회사 그린씨앤씨텍 병렬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KR101033972B1 (ko) 2009-11-09 2011-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288160B1 (ko) * 2011-10-17 2013-07-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백라이트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05319C (zh) * 2004-12-25 2008-07-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计算机状态指示灯
US7081722B1 (en) * 2005-02-04 2006-07-25 Kimlong Huynh Light emitting diode multiphase driver circuit and method
JP5080799B2 (ja) * 2006-12-25 2012-11-21 エルジー ディスプレ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Ledバックライトシステム
TW200829082A (en) 2006-12-29 2008-07-01 Macroblock Inc LED driving circuit
US8049708B2 (en) 2007-01-12 2011-11-01 Atmel Corporation Hybrid analog and digital architecture for controlling backlight light emitting diodes of an electronic display
TWI362639B (en) * 2007-01-31 2012-04-21 Richtek Technology Corp Backlight control circuit with flexible configuration
KR101297401B1 (ko) * 2007-03-30 2013-08-19 서울반도체 주식회사 조명 장치
JP5007811B2 (ja) * 2007-05-31 2012-08-22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JP4577525B2 (ja) 2007-05-31 2010-11-1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照明装置
JP5121318B2 (ja) * 2007-06-12 2013-01-16 三菱電機株式会社 電源装置及び発光ダイオード点灯装置及び誘導灯装置
JP2009008783A (ja) * 2007-06-27 2009-01-15 Seiko Epson Corp 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9038747A (ja) * 2007-08-03 2009-02-19 Sharp Corp 駆動回路
US8169387B2 (en) * 2007-09-14 2012-05-01 Ixys Corporation Programmable LED driver
GB2453373A (en) * 2007-10-05 2009-04-08 Cambridge Display Tech Ltd Voltage controlled display driver for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TW200917220A (en) * 2007-10-15 2009-04-16 Young Lighting Technology Corp Light source driving circuit for back light module
JP2009124027A (ja) 2007-11-16 2009-06-04 Sanyo Electric Co Ltd 発光素子駆動回路及び携帯電話
JP4380761B2 (ja) 2007-12-10 2009-12-09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0063332A (ja) * 2008-09-08 2010-03-18 Panasonic Corp 負荷駆動装置
JP2010161264A (ja) * 2009-01-09 2010-07-22 Renesas Technology Corp Led駆動回路および半導体素子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4788781B2 (ja) * 2009-01-29 2011-10-05 株式会社デンソー 通信装置
JP4918929B2 (ja) * 2009-01-30 2012-04-18 日本テキサス・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制御装置
JP4985669B2 (ja) * 2009-02-05 2012-07-25 株式会社デンソー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
JP5519182B2 (ja) * 2009-05-15 2014-06-11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US9860946B2 (en) * 2009-06-15 2018-01-02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Circuit topology for driving high-voltage LED series connected strings
KR20110051062A (ko) 2009-11-09 2011-05-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 구동회로, 발광 다이오드 구동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 시스템
JP5785557B2 (ja) * 2009-12-11 2015-09-30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 照明回路用の駆動モード
TWI434611B (zh) * 2010-02-25 2014-04-11 Richtek Technology Corp 具有電壓調整功能之led陣列控制電路及其驅動電路與方法
KR101394759B1 (ko) * 2010-04-28 2014-05-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led등의 텔-테일 회로
JP2011254147A (ja) 2010-05-31 2011-12-15 Panasonic Corp 多入力差動増幅器及び発光素子駆動装置
JP5603160B2 (ja) * 2010-07-23 2014-10-0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半導体光源点灯回路および制御方法
KR101741742B1 (ko) 2010-09-14 2017-05-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원 구동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광원 장치 및 이 광원 장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2083182A2 (en) * 2010-12-16 2012-06-21 Cooper Technologies Company Controlling current flowing through leds in a led light fixture
JP5783751B2 (ja) * 2011-02-15 2015-09-24 ミネベア株式会社 Led駆動装置
KR101815068B1 (ko) * 2011-02-25 2018-0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CN102802298B (zh) * 2011-05-24 2016-01-20 瑞昱半导体股份有限公司 应用于背光源的操作电路及其相关方法
KR101451744B1 (ko) * 2011-10-12 2014-10-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표시장치
JP5408281B2 (ja) * 2012-04-18 2014-02-05 ミツミ電機株式会社 電源制御用半導体集積回路
KR101588695B1 (ko) 2013-10-31 2016-01-28 주식회사 솔루엠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US20150382414A1 (en) * 2014-06-27 2015-12-31 Microchip Technology Inc. Sequential Linear LED System With Low Output Ripple
US20170100057A1 (en) * 2015-10-12 2017-04-13 Oriental System Technology Inc. Portable ndir breath acetone measurement apparatus with sub-ppm accuracy
JP6917566B2 (ja) * 2018-04-27 2021-08-11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処理装置
CN209070956U (zh) * 2019-01-02 2019-07-0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背光驱动电路、背光源及显示装置
CN110223632A (zh) * 2019-07-26 2019-09-10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显示屏校正电路及显示屏
CN112731834B (zh) * 2020-12-22 2022-07-01 重庆德科电子仪表有限公司 一种全段码仪表指示灯低功耗驱动的系统及方法
CN114390751B (zh) * 2021-12-27 2024-05-10 深圳市共进电子股份有限公司 Led驱动电路及led组件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405A (ja) 2001-05-30 2002-12-06 Casio Comput Co Ltd 発光素子駆動制御装置及び発光素子駆動制御方法
KR20030083893A (ko) * 2002-04-23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
KR20050003970A (ko) * 2002-05-07 2005-01-12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발광소자 구동장치 및 발광소자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5093566A (ja) 2003-09-12 2005-04-07 Rohm Co Ltd 発光制御回路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91208A (en) * 1992-04-30 1994-03-01 Rabun Labs, Inc. Incipient lightning detection and device protection
JP3165983B2 (ja) * 1992-06-15 2001-05-14 日本光電工業株式会社 パルスオキシメータ用発光素子駆動装置
JP4404998B2 (ja) * 1999-08-05 2010-01-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1326703A (ja) 2000-05-17 2001-11-22 Kyocera Corp 携帯用端末におけるバックライト用発光ダイオードの駆動回路
JP4337339B2 (ja) * 2001-12-18 2009-09-30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発光ダイオード駆動回路
US6870328B2 (en) * 2001-12-19 2005-03-22 Toyoda Gosei Co., Ltd. LED lamp apparatus for vehicles
JP3685134B2 (ja) * 2002-01-23 2005-08-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ディスプレイのバックライト制御装置および液晶ディスプレイ
JP4177022B2 (ja) * 2002-05-07 2008-11-05 ローム株式会社 発光素子駆動装置、及び発光素子を備えた電子機器
US6690146B2 (en) * 2002-06-20 2004-02-10 Fairchild Semiconductor Corporation High efficiency LED driver
JP2004166342A (ja) 2002-11-11 2004-06-10 Arueido Kk 電源制御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TWI298472B (en) * 2003-12-15 2008-07-01 Hannstar Display Corp Pixel driving circuit and method thereof
JP2008283033A (ja) * 2007-05-11 2008-11-20 Ricoh Co Ltd 駆動回路及びその駆動回路を有する電子機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51405A (ja) 2001-05-30 2002-12-06 Casio Comput Co Ltd 発光素子駆動制御装置及び発光素子駆動制御方法
KR20030083893A (ko) * 2002-04-23 2003-11-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버터를 이용한 led 구동회로
KR20050003970A (ko) * 2002-05-07 2005-01-12 로무 가부시키가이샤 발광소자 구동장치 및 발광소자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5093566A (ja) 2003-09-12 2005-04-07 Rohm Co Ltd 発光制御回路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5229B1 (ko) 2008-05-07 2010-08-11 김재민 고출력 발광다이오드 정전류 제어회로
KR101033972B1 (ko) 2009-11-09 2011-05-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발광 다이오드용 전원 공급 장치
KR101028860B1 (ko) * 2009-11-19 2011-04-12 주식회사 그린씨앤씨텍 병렬 발광다이오드 구동 회로
KR101288160B1 (ko) * 2011-10-17 2013-07-1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Led 백라이트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736A (ko) 2006-11-15
US7724219B2 (en) 2010-05-25
US20060256050A1 (en) 2006-11-16
JP2006319057A (ja) 2006-11-24
JP4657799B2 (ja)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7279B1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이 회로의 제어 방법
US7307614B2 (en) Light emitting diode driver circuit
US8669934B2 (en) Driving circuit for light emitting device with overcurrent protection
US7710049B2 (en) Driver and method for driving LEDS on multiple branch circuits
US6690146B2 (en) High efficiency LED driver
JP5525451B2 (ja) 複数の直列接続された発光ダイオード列を駆動するための電子回路
US20090295775A1 (en) Driving circuit of light emitting device
JP5004700B2 (ja) 発光素子駆動装置
JP2006261682A (ja) 発光ダイオードを駆動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回路構成
WO2007018089A1 (ja) 電源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機器
US10004117B2 (en) Amplifier for a constant-current LED driver circuit and constant-current LED driver IC device
US8400075B2 (en) Illumination circuit having bypass circuit controllable according to voltage change of series circuit thereof
KR101087749B1 (ko) 전류 감지기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구동 장치
JP5812814B2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およびそれを用いた発光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9232598B2 (en) Operating circuit applied to backlight and associated method
JP2010067673A (ja) Led駆動装置
US8084961B2 (en) Backlight module control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0958743B (zh) 一种开路和对地短路保护的电路和方法
JP4899081B2 (ja) 駆動回路
JP2008148501A (ja) チャージポンプ回路の制御回路、方法、およびそれらを用いたチャージポンプ回路ならびに電子機器
JP2011114131A (ja) Ledドライバ回路
GB2465187A (en) Binary switched current sink
JP2009276219A (ja) 光リレー回路
KR101557913B1 (ko) 발광소자의 발광전력 크기를 제어하는 장치 및 그를 위한 발광전력 기준신호 발생장치
US9433052B1 (en) LED control system suitable for different types of power sour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