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6310B1 -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6310B1
KR100826310B1 KR1020060110198A KR20060110198A KR100826310B1 KR 100826310 B1 KR100826310 B1 KR 100826310B1 KR 1020060110198 A KR1020060110198 A KR 1020060110198A KR 20060110198 A KR20060110198 A KR 20060110198A KR 100826310 B1 KR100826310 B1 KR 10082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kin
fatty acids
nanovesicles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0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기웅
조병기
우윤택
Original Assignee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페이스샵코리아 filed Critical (주)더페이스샵코리아
Priority to KR1020060110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6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63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6Optical properties
    • A61K2800/262Transparent; Translu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Abstract

본 발명은 ω-3 및 ω-6 지방산을 함유하는 아마씨 오일, 유채씨 오일, 호두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 4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쉽게 산화되는 ω-3 및 ω-6 지방산을 나노베지클에 안정화하여 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여도 화장료 제품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피부노화 억제, 피부탄력 증가, 보습효과 및 피부의 생리활성 촉진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노베지클, ω-3 지방산, ω-6 지방산, 식물성 오일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A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ω-3 및 ω-6 지방산을 함유하는 아마씨 오일, 유채씨 오일, 호두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 4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조성물은 쉽게 산화되는 ω-3 및 ω-6 지방산을 나노베지클에 안정화하여 투명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하여도 화장료 제품의 투명성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피부노화 억제, 피부탄력 증가, 보습효과 및 피부의 생리활성 촉진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지방이라 하면 건강에 해로운 것이라 생각하기 쉽지만, 지방은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성분으로써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지방은 세포, 조직 및 기관에서 기본적인 형태를 유지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지방은 세포내에서 가수분해과정을 거치게 되면 글리세롤과 지방산이라는 기본단위로 분해가 되어 각각 체내에 에너지 공급, 호르몬, 신호전달 물질 등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지방산이란 2개 이상의 탄소를 가진 탄화수소 체인(hydrocarbon chain)과 1개의 카르복실기(carboxyl group)를 가진 물질로 포화지방산(Saturated fatty acid)과 불포화지방산(Unsaturated fatty acid)로 나누어진다. 포화지방산이란 탄화수소 체인에 C-H 단일결합만 존재하는 지방산을 말하며, 불포화지방산이란 C=H의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지방산으로, 이중결합이 한 개만 있는 경우를 단일 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라 하고, 이중결합이 두 개 이상인 경우를 다중불포화지방산(Polyunsaturated fatty acid)라 한다. 이중에서 다중불포화지방산은 우리 몸에서 생합성되지 않는 필수지방산(Essential fatty acid)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함유한 음식물을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식습관으로 자리를 잡고 있다.
대부분의 천연 지방산은 짝수의 탄소수를 가지고 있고, 그 탄소수는 14 - 22개로 다양하게 존재하며 동식물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포화지방산, 단일 불포화지방산, 다중불포화지방산으로 가는 과정을 거치며 합성이 된다. 이 지방산 중에서 등푸른 생선과 식물에서 합성은 되지만, 우리 인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섭취해야 하는 필수지방산이있다. 바로 'ω'(오메가)-3 지방산과 ω-6 지방산으로 생체내에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생체분자의 전구체 역할을 한다. 이 2가지의 지방산은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중에서 많이 알려진 아마씨 오일(Linseed oil), 유채씨 오일(Rapeseed oil), 호두 오일(Walnut oil),까막까치밥나무 오일(Blackcurrant oil),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등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ω-3 지방산은 탄화수소 체인의 3번째 탄소와 4번째 탄소에 첫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것으로 대표적인 ω-3 지방산으로는 ALA(α-Linolenic acid, C18:3)가 있으며, 체내에서 흡수되어 EPA(Eicosapentaenoic acid, C20:5), DHA(Docosahexaenoic acid, C22:6) 등의 전구 물질이 된다. ω-3 지방산의 기능으로는 프로스타글란딘 E3(Prostaglandin E3)의 중요한 부분인 에이코사노이드(Eicosanoid)로 전환되며, 이렇게 형성된 프로스타글란딘 E3가 피부에 작용하여 피부모세혈관의 형성 및 혈관 확장을 촉진하여 영양공급과 노페물 배설을 촉진하고, 또한 콜라겐과 엘라스틴 생성을 증진시켜 피부탄력 증진 및 피부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외에도 두뇌 및 망막의 구성성분으로 작용하며,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여드름 개선, 아토피 억제 그리고 항염증 효과 및 면역력 증가등의 기능이 알려져 있다. ω-6지방산은 탄화수소 체인의 6번째 탄소와 7번째 탄소사이에 첫 이중결합이 존재하는 지방산으로, ω-6지방산의 대표적인 지방산으로는 LA(Linoleic acid, C18:2), GLA(γ-Linolenic acid, C18:3)가 있다. ω-6 지방산은 ω-3 지방산과는 다른 에이코사노이드로 전환되어 프로스타글란딘 E1으로 변형되어서 아토피, 알러지 억제, 항염증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렇듯, ω-3 지방산과 ω-6 지방산은 피부세포 활성에 우수한 기능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높은 불포화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외부의 산소, 습기, 열등에 의해 쉽게 산화되고, 산패되어 이들이 화장료에 첨가되었을 경우 화장품의 안정성 감소, 변색, 변취를 유발하였다.
일반적으로 투명 가용화 화장료인 토너, 에센스 등의 화장품은 일반 유화 화장료에 비해 유성성분의 함량이 거의 포함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피부에 즉각적인 보습효과를 주는 장점이 있으나, 유화제품에 비해서는 장기적인 보습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오일 성분을 토너, 에센스 등에 첨가시킬 경우, 계면활성제 함량의 증가로 인해 피부자극이 증가하게 되며, 또 현탁도가 증가하면서 오일 성분간의 응집으로 인해서 상분리가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ω-3 지방산과 ω-6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물성 오일은 투명 화장료에서 그 사용이 한정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ω-3 지방산과 ω-6 지방산을 함유하는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인 아마씨 오일(Linseed oil) 및 유채씨 오일(Rapeseed oil)은 일본 특허공개 제1988-277604호에, 호두 오일(Walnut oil)은 일본 특허공개 제2002-229836호에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언급되어 있으며, 까막까치밥나무 오일(Blackcurrant oil)은 일본 특허공개 제2001-278775호에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언급되어 있고,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은 일본 특허공개 제2004-131500에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언급되어 있으나, 나노베지클로 사용된 예는 알려지지 않았다.
본 발명은 불포화도가 높은 식물성 오일을 투명 화장료에 사용시 나타나는 변색, 변취, 불투명화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정한 크기의 나노베지클(40 - 150nm)에 식물성 오일인 아마씨 오일, 유채씨 오일, 호두 오일, 포도씨 오일을 포집시켜 안정화하였다.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형내에서도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게 유지될 뿐만 아니라, 투명성을 유지하고, 피부 자극이 매우 적으며, 피부탄력 개선 효과와 피부 보습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ω-3 및 ω-6 지방산을 함유하는 아마씨 오일, 유채씨 오일, 호두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 4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나노베지클이란 인지질 단일막을 가진 구형의 소낭이다. 인지질은 두 개의 소수성 지방산 그룹과 친수성의 인산 그룹으로 이루어진 양친매성 성질을 가지고 있다. 수용액상에서 인지질의 친수성 그룹은 물과 접하고, 소수성 그룹은 소수성 그룹끼리 접하게 되어 하나의 소낭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성질의 인지질을 이용한 나노베지클은 그 크기와 형태에 따라 3가지로 분류가 된다. 첫 번째는 MLV(Multilamella vesicle)로 2중막이 여러겹으로 존재하는 것으로 크기는 300 - 4000nm이고, 두 번째로는 LUV(Largeunilamella vesicle)라 하여 단일막이 있으며, 크기는 100 - 1000nm이다. 마지막으로 SUV(Small unilamella vesicle)로 이 역시 단일막이며 크기는 20 - 100nm이다. 나노 베지클에서는 대두와 난황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천연인지질인 레시틴을 사용하여 생체 세포의 세포막과 비슷한 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세포내로 원하는 물질을 쉽게 전달이 되어 피부흡수의 증가를 가능하게 하였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크기는 평균 크기가 40 - 150nm이며, 상기 나노베지클의 입자 크기가 40nm 미만의 경우는 입자 크기를 제조하는데 제약이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안정성의 증진효과가 매우 미약하고, 입자 크기가 150nm 초과인 경우는 피부 흡수가 느려 제품의 효능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oil)성분은 ω-3 및 ω-6 지방산 함유 식물성 오일로 사용량은 나노베지클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 30.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0 - 2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그 사용량은 나노베지클 총 중량에 대하여 10 - 8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 - 7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일반적으 로 나노베지클 총 중량에 대하여 0.1 - 1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0.5 - 5.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로 이용된 것으로서, 천연 인지질 (예: 난황 레시친 또는 대두 레시친,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 (예: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친)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친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친 또는 포화 레시친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친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 - 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제조에 있어서, 레시친의 사용량은 나노베지클 총 중량에 대하여 0.5 - 2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 - 8.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베지클 총 중량에 대하여 5.0 - 40 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온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베지클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 (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 - 1200 bar 압력 하에서 1 - 5회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베지클을 제조한다.
투명 화장료 조성물 내의 나노베지클의 함량은 소망하는 현탁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화장료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5 - 40.0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1.0 - 20.0 중량%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은 투명 화장료 뿐만 아니라 일반 화장료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일반 화장료에 ??용될 경우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5 - 50.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 - 40.0 중량%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 글라이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라이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라이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시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클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을 첨가한 투명 화장료 조성물은 기존의 불투명화제를 첨가한 화장료 조성물에 비해 제품의 안정도가 우수하고, 투명도가 훨씬 우수하며, 피부에서의 보습효과와 피부 탄력증가가 뛰어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나노베지클의 제조
하기 표1의 조성으로 각각 정확하게 평량하여서 나노베지클을 제조하였다. 우선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습윤시킨 후, 상기 A, B상에 C상을 첨가하고 70 - 75℃ 까지 가열 혼합 후 교반하였다. 이 후 상기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사용해 600 - 1,200 bar의 조건으로 1 - 5회 통과시킨 후 베지클의 평균 크기가 지름 40 - 150nm의 나노베지클을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 (중량%)
제조예 1-1 제조예 1-2 제조예 1-3 제조예 1-4 대조예
A 글리세린 40.0 50.0 40.0
1,3-부틸렌글리콜 5.0 45.0 5.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5.0 45.0 5.0
B 레시틴 4.0 6.0 4.0
수첨레시틴 6.0 4.0
소듐스테아로일 락틸테이트 1.0 1.0 1.0 1.0 1.0
폴리솔베이트-80 0.5 0.5 0.5 0.5 0.5
옥틸도데세스-25 0.5 0.5 0.5 0.5 0.5
C 아마씨 오일 10.0 10.0
유채씨 오일 10.0 5.0
호두 오일 5.0 10.0
포도씨 오일 5.0 10.0 5.0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10.0 10.0 5.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25.0
수산화 칼륨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제조예 2] 나노베지클을 함유한 유연 화장수의 제조
하기 표 2의 조성비를 가지는 유연 화장수 형태로 상기 제조예1-1과 대조예에서 제조한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성 분 실시예 1 (중량%) 실시예 2 (중량%) 비교예 1 (중량%) 비교예 2 (중량%) 비교예 3 (중량%) 비교예 4 (중량%)
판토텐산 3.0 3.0 3.0 3.0 3.0 3.0
1,3-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EDTA-2Na 0.01 0.01 0.01 0.01 0.01 0.01
히아루론산액 3.0 3.0 3.0 3.0 3.0 3.0
에탄올 4.6 4.6 4.6 4.6 4.6 4.6
PEG-60 캐스터오일 1.0 1.0 1.0 1.0 1.0 1.0
제조예1-1의 나노베지클 5.0 10.0
대조예의 나노베지클 5.0 10.0
아마씨 오일 0.5 1
포도씨 오일 0.25 0.5
까막까치밥나무 오일 0.5 1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미량 미량
100 100 100 100 100 100
삭제
[실험예 1] 투명 화장료의 현탁도 측정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현탁도를 측정하였다. 현탁도란 빛이 반사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그 값이 낮을수록 빛 투과도가 높아 제품의 투명성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의 현탁도는 Spectrophotometer (CM-3500d,Minolta, Japan)에 의해 측정되었고, 명도를 나타나는 L수치로 현탁도를 판단하였다. 그 결과는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현탁도 (L값) 25.21 25.78 26.11 26.10 75.44 83.75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나노베지클이 함유된 화장료 실시예 1 - 2와 비교예 1 - 2의 경우 낮은 L값을 나타내었으며, 나노베지클로 안정화되지 않은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비교예 3 - 4에선 높은 L값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식물성 오일을 나노베지클로 안정화한 유연화장수는 투명도가 뛰어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제형의 안정성 시험
상기 본 발명의 제조예 2에서 만든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의 안정성 시험을 하기의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 2 및 비교예 1 - 4를 45℃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항온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30일 동안 보관하고 또한 4℃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완전히 차광된 냉장고 내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30일 동안 보관한 후, 제품의 변색, 변취 및 분리 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나있다. 이 때 제품의 변색, 변취 및 분리 정도를 다음의 6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다.
* 제품 변색, 변취 및 분리 평가 기준
0 : 변화없음 1 : 극히 조금 변색, 변취, 분리
2 : 조금 변색, 변취, 분리 3 : 조금 심하게 변색, 변취, 분리
4 : 심하게 변색, 변취, 분리 5 : 극히 심하게 변색, 변취, 분리
구 분 제품의 안정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45℃ 4℃ 45℃ 4℃ 45℃ 4℃ 45℃ 4℃ 45℃ 4℃ 45℃ 4℃
변색 0 0 0 0 0 0 0 0 2 1 3 1
변취 0 0 0 0 0 0 0 0 4 1 5 1
분리 0 0 0 0 0 0 0 0 3 1 5 1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이 함유된 제품의 경우는 안정성이 나노베지클의 농도에 큰 영향없이 제형내에서 안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나노베지클로 안정화되지 않은 식물성 오일만 함유된 비교예 3 - 4에서는 변색, 변취, 분리등이 심하게 발생하여 나노베지클을 통해 식물성 오일이 안정되게 유지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피부 주름 개선 효과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인체에 적용한 다음, 피부 주름 개선을 평가하였다. 30 - 40대의 건강한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노베지클이 함유된 실시예 2와 비교예 2,4를 10명씩 3조로 나누어 매일 2회씩 2달간 도포하게 하였다. 그 후 실리콘을 이용해서 레플리카를 뜬 다음, 주름의 상태를 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이미지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는 표 5 및 표 6에 나타내었고 표 5는 사용전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고 표 6은 2달 후 주름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이다. 그리고 그 결과의 값은 10명의 평균에 대한 값이다.
0 day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4
HR1 3.003 3.025 3.012
HR2 2.984 3.005 2.994
HR3 1.142 1.134 1.127
HR4 0.245 0.244 0.242
HR5 0.379 0.374 0.364
60 day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4
HR1 2.974 3.023 3.007
HR2 2.476 3.001 2.884
HR3 1.002 1.027 1.112
HR4 0.237 0.243 0.234
HR5 0.346 0.372 0.351
상기 표 5와 표 6에서 보여주듯이 식물성 오일이 아닌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로을 함유한 비교예 2에서는 피부주름 개선효과가 나타나지 않았고, 나노베지클로 안정화 하지 않은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비교예 4에 비해서 식물성 오일을 안정화한 나노베지클이 함유된 실시예 2에서 가장 우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는 나노베지클로 안정화된 경우에 피부로의 흡수가 증가하였기 때문에 그 효과가 증진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4] 피부 탄력 개선 및 보습력 효과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2,4에 대하여 피부 탄력 회복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서, 30 - 40대의 건강한 직장여성 30명을 대상으로 10명을 한 1개군으로 하여 3개군으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각각 안면 우측 및 좌측에 매일 아침, 저녁으로 2회 6주간 도포하게 한 후, 매주 피부탄력과 보습력을 측정하였다. 피부탄력 측정에는 cutometer(MPA 580, Courage+Khazaka GmbH, Germany)를 사용하였으며 보습력의 측정을 위해서는 coneometer (CM825, Courage+Khazaka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여, 도포 전과 도포 후의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결과는 하기 표7에 나타나 있으며 그 값은 평균 값이다.
실험 기간 피부탄력개선(%) 보습력개선(%)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4 실시예 2 비교예 2 비교예 4
0주
1주 4 2 3 6 2 4
2주 7 4 6 8 4 7
3주 15 6 10 15 5 10
4주 19 8 12 19 6 13
5주 23 9 15 21 9 16
6주 30 10 18 25 10 18
삭제
상기 표 7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 2에서 화장료가 피부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력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비교예 4에서도 피부 탄력과 피부 보스습력 개선에 효과가 있었지만 나노베지클에 의해 피부 흡수가 증가된 실시예 2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실험예 5] 인체 피부 첩포시험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인체 피부 첩포시험을 통하여 자극 완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피부 자극 물질인 락틱산 5.0%를 본 발명의 실시예1 - 2 및 비교예1 - 2에 첨가하여 사용하였다. 우선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15㎍씩 핀챔버 (Finn chamber, 100x10, EPITEST, 핀란드) 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대상자의 전박 (forearm) 안쪽 부위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펜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였다. 표시 후 각각 1시간 및 24시간 후에 확대경 (8MC-150, DAZOR, 미합중국)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를 관찰하여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itis Research Group)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고, 수학식 1에 따라 평균피부반응도(mean response rate)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8에 제시된다.
[피부반응의 평가 기준 및 점수]
기 호 점수 평가 기준
- 0 무반응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평균피부반응도=(점수 x 반응 수 x 100 x 1/2) / [3(최대 점수) x 총피검자수(n)]
시험물질 1 시간 후 24 시간 후 반응도 (%) (n=20)
+ ++ + ++
실시예 1 7 1 - 3 1 - 5.83
실시예 2 5 1 - 3 - - 4.17
비교예 1 13 3 - 5 3 - 12.50
비교예 2 12 3 - 4 2 - 10.83
상기 표 8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내에 안정화된 식물성 오일을 가진 실시예 1 - 2가 비교예 1 - 2에 비하여 피부자극 완화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화장료 제형예로서 본 발명의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 에센스, 팩, 샴푸 및 보디 클린저를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화장료의 제형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스킨로션
상기에서 제조한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스킨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1,3-부틸렌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로션
상기에서 제조한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로션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1.0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0.8
소르비탄모노스테아레이트 0.3
포로필파라벤 0.1
폴리솔베이트 60 1.0
미네랄오일 5.0
사이크로메치콘 3.0
디메치콘 0.5
알란토인 0.1
글리세린 5.0
알코올 2
프로필렌글리콜 3.0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삭제
[제형예 3] 에센스
제조예 1-1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에센스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1,3-부틸렌글리콜 4.0
글리세린 3.0
알란토인 0.5
판테놀 0.1
EDTA-2Na 0.01
에탄올 5.0
트리에탄올아민 1.5
스쿠알란 2.0
밀납 2.5
폴리솔베이트60 3.5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팩
제조예 1-1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에틸알코올 3.0
EDTA-2Na 0.05
프로필렌 글리콜 5.0
글리셀린 4.5
카보폴 1.5
폴리옥사이드 0.2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맛사지크림
제조예 1-1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맛사지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글리세린 4.0
바세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5
유동파라핀 24.0
스쿠알란 3.0
밀납 2.1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폴리솔베이트 60 2.4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3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6] 샴퓨
제조예 1-1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샴퓨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알킬황산염 (30%) 25.0
알킬에텔황산염 (30%) 20.0
알킬아미도베타인 (30%) 5.0
프로필렌글리콜 3.0
라우라미드이에이 4.0
EDTA-2Na 0.1
폴리쿼터늄-10 0.05
NaCl 0.1
구연산 2.4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7] 바디 클렌저
제조예 1-1 나노베지클을 함유하는 바디 클렌저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 (중량%)
제조예 1-1 나노베지클 5.0
알킬에텔당산염 (30%) 30.0
알킬에텔설포석신산염 (30%) 20.0
알킬아미도베타인 (30%) 5.0
프로필렌글리콜 5.0
베타인 5.0
라우라미드디이에이 4.0
셀룰로스검 0.05
가수분해단백질 0.1
구연산 미량
NaCl 미량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이 함유된 나노베지클을 안정화하여 이를 투명 화장료에 함유시키는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는 외부인자 에도 안정성이 우수하게 유지되며, 현탁도가 낮아 투명함을 제공하고, 피부 주름 개선, 보습 효과, 피부자극 완화등의 효과가 뛰어남을 보인다.
특히, 본 발명은 식물성 오일로서 아마씨 오일, 유채씨 오일, 호두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1종 이상을 선택하며, 이를 나노베지클 내에 포집하여 안정화하고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laims (12)

  1. ω-3 및 ω-6 지방산을 함유하는 아마씨 오일, 유채씨 오일, 호두 오일 및 포도씨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식물성 오일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서 0.1 - 4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60110198A 2006-11-08 2006-11-08 화장료 조성물 KR10082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98A KR100826310B1 (ko) 2006-11-08 2006-11-08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0198A KR100826310B1 (ko) 2006-11-08 2006-11-08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6310B1 true KR100826310B1 (ko) 2008-04-30

Family

ID=39572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0198A KR100826310B1 (ko) 2006-11-08 2006-11-08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63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5956A (zh) * 2014-09-16 2015-01-07 丽江永胜边屯食尚养生园有限公司 一种核桃油的制备方法
KR20160014306A (ko) * 2014-07-29 2016-02-11 아인코스 주식회사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4321A (ko) * 2014-07-29 2016-02-11 주식회사 퓨어스킨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996041A (zh) * 2016-05-20 2016-10-12 安庆市孝柱食品科技有限公司 低糖核桃油乳剂
KR102008266B1 (ko) * 2018-03-05 2019-08-07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KR102091937B1 (ko) * 2018-09-21 2020-03-20 (재)남해마늘연구소 유채 오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오일 조성물
KR20210041432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에스알파트너스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818A (ko) * 1997-08-27 1999-03-25 조세 몬테이로 항염증 조성물에 사용되는 지질 베지클을 기재로 한 수성 분산액
KR20030007990A (ko) * 2001-06-26 2003-01-2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20040101587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신규한 불투명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3818A (ko) * 1997-08-27 1999-03-25 조세 몬테이로 항염증 조성물에 사용되는 지질 베지클을 기재로 한 수성 분산액
KR20030007990A (ko) * 2001-06-26 2003-01-24 나드리화장품주식회사 액정좀으로 안정화된 약용 식물 복합 추출액 함유 화장료조성물
KR20040101587A (ko) * 2003-05-23 2004-12-03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신규한 불투명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4306A (ko) * 2014-07-29 2016-02-11 아인코스 주식회사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4321A (ko) * 2014-07-29 2016-02-11 주식회사 퓨어스킨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74014B1 (ko) * 2014-07-29 2016-11-22 아인코스 주식회사 호두 및 밤 복합 발효추출물의 나노 에멀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화장료 조성물
KR101702042B1 (ko) * 2014-07-29 2017-02-02 주식회사 퓨어스킨 호두 및 밤의 복합 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의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255956A (zh) * 2014-09-16 2015-01-07 丽江永胜边屯食尚养生园有限公司 一种核桃油的制备方法
CN105996041A (zh) * 2016-05-20 2016-10-12 安庆市孝柱食品科技有限公司 低糖核桃油乳剂
KR102008266B1 (ko) * 2018-03-05 2019-08-07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KR102091937B1 (ko) * 2018-09-21 2020-03-20 (재)남해마늘연구소 유채 오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클렌징 오일 조성물
KR20210041432A (ko) * 2019-10-07 2021-04-15 주식회사 에스알파트너스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7533B1 (ko) * 2019-10-07 2021-07-15 주식회사 에스알파트너스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09672B2 (ja) 化粧品及び化粧品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KR100826310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934208B1 (ko) 식물 태지 성분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9502A (ko) 인조 오일 바디
KR101473198B1 (ko) 투명 세라마이드 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S2501268T3 (es) Tratamiento de la sequedad queratínica por glicéridos
JP5399701B2 (ja) 美白用皮膚外用剤及び皮膚の美白方法
KR20140053850A (ko) 향상된 모이스처라이저 블렌드
JPWO2014017145A1 (ja) 組成物
ITMI20072081A1 (it) Esteri di glicerolo e loro impieghi in ambito cosmetico e farmaceutico
KR101325553B1 (ko) 아미노 레불리닉산을 배합시킨 액정 유화 베이스를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291A (ko) 식물성오일 유래의 유사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9624B1 (ko) 온도감응성 화장료 조성물
CA2683746A1 (en) Naturally-derived emulsifier system
KR100754749B1 (ko) 유성성분을 함유한 안정화된 나노베지클 및 이를 포함하는투명 화장료 조성물
KR20200066420A (ko) 소듐 디엔에이와 아스타잔틴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577747B1 (ko) 남극 메켈 빙어 추출물 또는 남극 대리석무늬 암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1B1 (ko)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42252A (ko) 세드롤 및 콜라겐 유래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652122B1 (ko) 실크아미노산과 비타민류를 함유하는 나노베지클 조성물
ITTO20070815A1 (it) Uso di alchilossazolidinone come agente cosmetico idratante e procedimento di idratazione della pelle
JP6411050B2 (ja) リポソーム及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JP4488933B2 (ja) シワ改善剤及び皮膚外用組成物
JP2019507780A (ja) パパイヤ樹液の水不溶性フラクションにより活性化された脂肪および/またはワックス
KR101993324B1 (ko) 피부 장벽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