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8266B1 -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8266B1
KR102008266B1 KR1020180025906A KR20180025906A KR102008266B1 KR 102008266 B1 KR102008266 B1 KR 102008266B1 KR 1020180025906 A KR1020180025906 A KR 1020180025906A KR 20180025906 A KR20180025906 A KR 20180025906A KR 102008266 B1 KR102008266 B1 KR 10200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esterification
alpha
linolenic acid
fatty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5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동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엠플랜트
Priority to KR1020180025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82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씨유로부터 유기산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유리지방산으로 전환하여, 에스테르화의 역반응을 초래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포함하는 유리지방산의 안정화를 위해 에틸에스테르화로 전환하는 단계적 에스테르이온교환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반응 속도 및 반응 전화율을 상승시키며,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의 인지질 및 자당에스테르 기반 유화환경에서 다성분계에 대한 계면장력이 낮아 유화 속도가 빠르고,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어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 대두레시틴, 자당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물에 에탄올을 용해시키고, 감압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진공하에서 회전시켜 에탄올을 제거하고, 복합지질을 제조하는 복합지질 제조단계; 알부틴(Arbutin),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을 물에 용해시켜 약물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 및 복합지질 제조단계의 복합지질에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의 약물 수용액을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수화시켜, 다중층상소포 형태의 트랜스퍼좀을 제조하는 트랜스퍼좀 제조단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Preparation of multi-layer transfersomes containing linolenic acid and alpha-linolenic acid ester complexes using organic acid hydrolysis and fatty acid esterification from flax seeds}
본 발명은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씨유로부터 유기산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유리지방산으로 전환하여, 에스테르화의 역반응을 초래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포함하는 유리지방산의 안정화를 위해 에틸에스테르화로 전환하는 단계적 에스테르이온교환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반응 속도 및 반응 전화율을 상승시키며,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의 인지질 및 자당에스테르 기반 유화환경에서 다성분계에 대한 계면장력이 낮아 유화 속도가 빠르고,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어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물질로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이며, 인체의 피부에 존재하면서 자외선에 대항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아민, 유리기, 금속이온 등과 같은 세포독성물질에 대한 제거제로 작용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
반면에 체내, 외적인 여러 요인에 의해 멜라닌의 생성이 증가하여 다량의 멜라닌이 각질 형성세포에 전달되고 피부 상피층에 축적하여 과색소 침착 현상이 나타난다. 이런 멜라닌의 과잉생산은 인체에 기미, 주근깨를 형성하고 피부노화를 촉진하며 피부암의 유발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세포 내에서 멜라닌을 합성하는 반응은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효소와 물질들에 의해 조절되며, 그 중에서 가장 핵심적인 효소로는 속도결정단계를 조절하는 중합효소의 일종인 티로시나제(Tyrosinase)이다. 이 효소의 기능은 현재까지도 완벽하게 규명되어 있지 않고 있어 멜라닌 생합성 경로에 관해서도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 참조-티로시나제에 의한 멜라닌의 생합성 경로>
피부의 미백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화장품 소재를 찾아내기 위한 연구는 멜라닌 합성 전과 합성 중, 그리고 합성 이후 등 3단계로 나누어 진행되고 있다. 과거에는 멜라닌 합성 중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물질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지만, 최근에는 멜라닌 합성 전에 티로시나제의 당화 및 전사체의 형성을 억제하는 물질도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흑화세포에서 각질형성세포로의 멜라닌 이동을 억제할 수 있는 물질도 보고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멜라닌합성과 분비의 저해기작을 기초자료로 하여 저해 시기 및 저해 기작에 대해 미백소재를 분류한 표로, 멜라닌 합성 후 과정에서 티로시나제 분해 및 박리 촉진 등에 관여하는 리놀렌산(Linolenic acid),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은 천연 식물성 유지인 아마씨유에 다량 함유되어 있으나, 대다수 트리글리세리드 형태로 존재하여 화장품 제형 제조 시, 발림성이나 경피 흡수율이 불량하고 지방산화에 의한 과산화물 생성으로 인한 피부 자극을 유발할 수 있어, 지방산 형태로의 전환이 요구되지만, 지방산 개별 단위로의 분리 정제는 생산 수율이 낮으며, 생산 단가가 높아 소재가격의 상승으로 인해 상업적 이용이 힘든 실정이다.
선행기술문헌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590588호(2016.2.2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아마씨유로부터 미백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복합물 제조 시,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하여 에스테르화 반응속도 및 전화율을 향상시키고,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을 포함하는 복합물의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은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 대두레시틴, 자당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물에 에탄올을 용해시키고, 감압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진공하에서 회전시켜 에탄올을 제거하고, 복합지질을 제조하는 복합지질 제조단계; 알부틴(Arbutin),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을 물에 용해시켜 약물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 및 복합지질 제조단계의 복합지질에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의 약물 수용액을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수화시켜, 다중층상소포 형태의 트랜스퍼좀을 제조하는 트랜스퍼좀 제조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은 아마인유에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를 수행한 가수분해물의 하층에 생성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상층의 유리지방산을 회수하는 글리세린 제거 단계; 글리세린 제거 단계에서 회수된 유리지방산에 구연산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를 수행한 반응물을 진공 감압하에서 탈기하여 미반응 잔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생성된 구연산을 여과하여 제거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을 수득하는 탈기 및 여과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는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아마씨유로부터 유기산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유리지방산으로 전환하여, 에스테르화의 역반응을 초래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포함하는 유리지방산의 안정화를 위해 에틸에스테르화로 전환하는 단계적 에스테르이온교환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반응 속도 및 반응 전화율을 상승시키며,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의 인지질 및 자당에스테르 기반 유화환경에서 다성분계에 대한 계면장력이 낮아 유화 속도가 빠르고,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어 경피흡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데 그 효과가 있다.
도 1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한 멜라닌의 생합성 경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멜라닌합성과 분비의 저해기작을 기초자료로 하여 저해 시기 및 저해 기작에 대해 미백소재를 분류한 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의 순서도,
도 4는 종래의 에스테르화 반응 메커니즘을 나타낸 화학식,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복합물이 제조되기 위한 단계적 에스테르화 반응을 나타낸 화학식, 및
도 6은 종래의 리포좀과 트랜스퍼좀(Transfersome)의 경피침투 방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티로시나제(Tyrosinase)에 의한 멜라닌의 생합성 경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멜라닌합성과 분비의 저해기작을 기초자료로 하여 저해 시기 및 저해 기작에 대해 미백소재를 분류한 표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S100)의 순서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에스테르화 반응 메커니즘을 나타낸 화학식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에스테르 복합물이 제조되기 위한 단계적 에스테르화 반응을 나타낸 화학식이고, 도 6은 종래의 리포좀과 트랜스퍼좀(Transfersome)의 경피침투 방식을 나타낸 그림이다.
본 발명은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S100)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아마씨유로부터 유기산 가수분해를 이용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유리지방산으로 전환하여, 에스테르화의 역반응을 초래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를 포함하는 유리지방산의 안정화를 위해 에틸에스테르화로 전환하는 단계적 에스테르이온교환반응을 수행함으로써 반응 속도 및 반응 전화율을 상승시키며,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의 인지질 및 자당에스테르 기반 유화환경에서 다성분계에 대한 계면장력이 낮아 유화 속도가 빠르고,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어 경피흡수율을 향상 시킬수 있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S100)에 관한 것이다.
상기, 트랜스퍼솜(Transfersome)은 "경피 전달용 지질 소포체"로, 특수한 지질 소포, 즉 나노미터 영역에 있는 폐쇄되고 속이 빈 구(sphere)이며, 하나 이상의 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지고, 구형(spherical) 막의 기본 구성 요소 또는 근간을 형성하는 인지질로서의 고도로 순화된 레시틴이다. 그들의 구조적으로 연관된 리포솜과 비교하여, 트랜스퍼솜(Transfersome)은 막의 유연성이 높아 강한 리포솜 변형성을 갖고, 이것은 자신보다 훨씬 작은 구멍마저 관통하게 한다. 구형 트랜스퍼솜(Transfersome)의 내부 및 막자체의 내부는 모두 의약용 원료로 채워질 수 있으므로, "셔틀"의 일종으로서의 트랜스퍼솜(Transfersome)은 피부 또는 경피 수송로에 대한 흥미있는 약학 표현 형식을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S100)은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 글리세린 제거 단계(S20),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S30), 탈기 및 여과 단계(S40), 복합지질 제조단계(S50),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S60),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 트랜스퍼좀 미세 입자화 단계(S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부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는 아마인유에, 아마인유 중량 대비 0.5% 이상 10% 미만의 구연산을 포함하는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80℃ 이상 190℃ 이하의 온도에서 1시간 이상 2시간 이하로 교반시켜 가수분해를 수행한다.
또한,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에서 반응 온도 범위를 80℃ 이상 190℃ 이하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80℃ 미만일 경우 물과 유지 간의 높은 계면장력으로 인한 반응표면적이 작아 가수분해 반응속도가 감소되고, 190℃ 초과일 경우에는 물의 수성치환반응에 의한 Syn-gas가 발생되어 가수분해된 유리 지방산의 부가반응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에서 반응 시간은 1시간 이상 2시간 이하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시간 미만일 경우 가수분해 진행도가 낮아 가수분해 수율이 저감될 수 있고, 2시간 초과일 경우 원료의 장시간 가열 노출에 의한 과산화 반응 및 탄화반응이 진행되어 과산화물 또는 탄화물의 발생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에서 아마인유 중량 대비 유기산 첨가량은 0.5% 이상 10% 미만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원료량 대비 유기산 첨가량이 0.5% 미만일 경우, 유지 내 존재하는 검화물의 수소화 반응에 대다수 소비되어 트리글리세리드 아실그룹의 이온교환능이 낮아 유지의 가수분해 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고, 원료량 대비 유기산 첨가량이 10% 초과일 경우, 유의적 효과가 없기 때문이다.
글리세린 제거 단계(S20)는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를 수행한 가수분해물에 하층에 생성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상층의 유리지방산을 회수하는 단계로, 원심분리기나 유동층 분리기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S30)는 글리세린 제거 단계(S20)에서 회수된 유리지방산에 구연산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교반시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한다.
또한,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S30)는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40℃ 미만일 경우에는 유기산 촉매의 이온 교환능이 낮아 반응속도가 느리고, 80℃ 초과일 경우에는 반응용매인 에탄올의 증발속도가 높아 소비되는 에탄올량이 많아지며 유전상수 또한 감소하여 촉매 반응에 의한 에스테르화 반응속도가 현저히 느려지기 때문이다.
또한, 도 4(종래의 에스테르화 반응)를 참조하면, 종래의 에스테르화 반응 메커니즘은 가역 반응으로써 반응환경(미량의 수분 함량에도 영향을 받으며, 반응용매 몰비가 낮을 경우)에 따라 에스테르화 반응속도 및 전화율이 낮지만,
도 5(본 발명의 단계적 에스테르화 반응을 나타낸 화학식)를 참조하면, 단계적 에스테르화 반응인, 가수분해 반응(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 수행)으로 생성되는 글리세린을 제거한 후(글리세린 제거 단계(S20) 수행)의 에스테르화 반응(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S30) 수행)은 글리세린 축합반응에 대하여 비가역반응으로써 에스테르화 반응 속도 및 전화율이 높다.
탈기 및 여과 단계(S40)는 진공 감압하에서 탈기하여 미반응 잔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생성된 구연산을 여과하여 제거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을 수득한다.
복합지질 제조단계(S50)는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 에스테르 복합물 중량 대비 10% 이상 200% 이하의 대두레시틴(인지질), 대두레시틴(인지질) 중량 대비 20% 이상 80% 이하의 자당에스테르 스판 80(SPAN 80)이 혼합된 혼합물에 에탄올을 용해시키고, 감압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진공하에서 회전시켜 에탄올을 제거하고, 복합지질을 제조한다.
또한, 복합지질 제조단계(S50)에서 에스테르 복합물 대비 대두레시틴(인지질) 함량은 10% 이상 200% 이하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미만일 경우에는 재구성 복합지질의 물에 대한 수화도가 낮아 W/O상의 크림 유화가 형성되지 않고, 에스테르 복합물에 대한 자당에스테르의 용해도가 낮아져 재구성 복합지질의 제조에 있어 자당에스테르의 함유량이 감소하며, 200% 이상일 경우에는 재구성 복합지질의 물에 대한 수화도가 매우 높아져 O/W상의 반전유화가 발생하여 크림 형성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복합지질 제조단계(S50)에서 인지질 대비 자당에스테르 함량은 20% 이상 80% 이하의 범위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 미만일 경우에는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에서 트랜스퍼좀으로써 주요기능인 소포체의 유연성이 크게 감소하여 경피 침투가 용이하지 못하고, 80% 이상일 경우에는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에서 소포체의 유연성은 크게 증대되지만 트랜스퍼좀 간의 클러스레이트 형성 사이즈 또한 크게 증가하여 경피 제형 분산성이 불량해지기 때문이다.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S60)는 알부틴(Arbutin),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을 물에 용해시켜 약물의 수용액을 제조한다.
알부틴(Arbutin)은 유기화합물로서, 월귤나무에서 증류하여 얻은 히드로퀴논(hydroquinone)에 글리커실기를 반응시켜 얻은 배당체(配糖體)이고, 흰색 파우더로 존재하며, 멜라민(melanin) 색소 변환 반응의 촉매제 격인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의 화학반응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주로 미백 개선의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된다.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수용성 비타민의 하나로 비타민 C라고도 한다. 괴혈병에 특효가 있는 물질로 발견되었으며, 현재는 공업적으로 합성되고 있다. 타이로신·페닐알라닌 등의 대사작용에도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고, 타이로신으로부터 생성되는 흑갈색 색소인 멜라닌의 형성도 아스코르브산이 있는 곳에서는 억제되는 특징이 있어 미백 개선의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은 수용성 비타민 B3의 구성요소로, 니아신(niacin)에 아마이드기가 붙어있는 구조이다. 비타민 B3을 구성을 구성하는 요소로 이스트, 고기, 생선, 우유, 달걀, 푸른 채소, 콩 등의 많은 음식에서 존재한다. 체내 유입 후 니아신(niacin)으로 변하여 존재하기도 한다. 또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에 미백 성분으로 등록된 물질이다.
상기의 기재와 같이, 알부틴, 아스코르브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본 발명에서 미백 개선의 기능성 원료로 사용되며,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S60)는 미백활성 물질을 물에 용해하여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는 복합지질 제조단계(S50)의 복합지질에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S60)의 약물 수용액을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40℃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20rpm 이상 100rpm 이하의 회전수로 교반하면서 수화시켜, W/O/W형 다중층상소포(multi-lamellar vesicle) 형태의 트랜스퍼좀을 제조한다.
다중층상소포(multi-lamellar vesicle)는 친수성 물질을 세포막과 가장 유사한 형태의 지질-이중막(Lipid bilayer)으로 싸서 액정화 하고, 이 지질로 이뤄진 액정이 다시 친수성 액에 콜로이드 상태로 유지되는 안정화된 제형을 말한다.
또한,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의 약물 수용액과 복합지질 혼합물의 반응 온도는 40℃ 이상 80℃ 이하로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반응온도가 40℃ 미만일 경우에는 복합지질 내 존재하는 인지질에 대한 물의 수화도가 낮아져 소포체 내에 장입되는 수용액의 함량이 감소할 수 있고, 80℃ 초과일 경우에는 복합지질 내 존재하는 인지질의 경화 및 자당에스테르의 계면장력이 약화되어 트랜스퍼좀이 형성되지 아니하고 상분리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트랜스퍼좀 미세 입자화 단계(S80)는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에서 제조된 트랜스퍼좀을 회전 교반시켜 입자가 작아지도록 하는 단계로, 호모믹서, 균질화기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트랜스퍼좀(Transfersome)이 막의 유연성이 높아 강한 리포솜 변형성을 갖고, 이것은 자신보다 훨씬 작은 구멍마저 관통하게 함으로써 경피 침투 시 종래의 리포좀 보다 흡수율이 높다.
- 실시 예 -
1>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 : 아마인유 100g에 10% 농도의 구연산 수용액 20g(w/w)을 첨가하고 80℃에서 60rpm으로 교반시켜 2시간 가수분해하였다.
2> 글리세린 제거 단계(S20) :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S10)를 수행한 가수분해물 하층부에 생성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상층액인 유리지방산 90g을 회수하였다.
3>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S30) : 글리세린 제거 단계(S20)의 유리지방산 90g에 10% 농도의 구연산 에탄올 용액 30g을 첨가하고 72℃에서 60rpm으로 교반시켜 5시간 동안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였다. 이때, 반응용액의 증발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하여 수행하였다.
4> 탈기 및 여과 단계(S40) : 50℃ 온도의 진공 감압하에서 30분간 탈기하여 미반응 잔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생성된 구연산을 여과하여 제거하였다. 이때, 수득한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은 98g이었다.
5> 복합지질 제조단계(S50) : 탈기 및 여과 단계(S40)를 수행한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 10g, 대두레시틴(인지질 중의 포스파티딜 콜린) 10g, 자당에스테르 SPAN 80 2.5g을 상온에서 에탄올 20g에 용해시키고, 이 혼합 용해액을 감압수기용 둥근플라스크에 장입후 60℃, 진공하에서 100rpm속도로 회전시켜 에탄올을 제거하고 재구성된 복합지질을 제조하였다.
6>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S60) : 알부틴(Arbutin) 0.8g,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0.2g,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0.4g을 상온에서 정제수 30g에 용해시켜 미백 기능성 약물의 수용액 31.4g을 제조하였다.
7>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 : 복합지질 제조단계(S50)로 제조된 재구성 복합지질에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S60)로 제조된 미백 기능성 약물의 수용액을 소량씩 첨가하면서 40℃의 온도에 60rpm으로 회전 교반하면서 수화시켜 다중층상소포(multi-lamellar vesicle) 형태의 트랜스퍼좀을 제조하였다.
8> 트랜스퍼좀 미세 입자화 단계(S80) :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에서 제조된 트랜스퍼좀(유화크림)을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rpm에서 10분간 유화시켜 트랜스퍼좀 제조단계(S70)에서 제조된 트랜스퍼좀보다 작은 입자의 다중층상소포(multi-lamellar vesicle) 형태의 트랜스퍼좀을 제조하였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S10 -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
S20 - 글리세린 제거 단계
S30 -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
S40 - 탈기 및 여과 단계
S50 - 복합지질 제조단계
S60 -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
S70 - 트랜스퍼좀 제조단계
S80 - 트랜스퍼좀 미세 입자화 단계
S100 -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Claims (3)

  1.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 대두레시틴, 자당에스테르가 혼합된 혼합물에 에탄올을 용해시키고, 감압 플라스크에 투입하여 진공하에서 회전시켜 에탄올을 제거하고, 복합지질을 제조하는 복합지질 제조단계;
    알부틴(Arbutin),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을 물에 용해시켜 약물의 수용액을 제조하는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 및
    복합지질 제조단계의 복합지질에 약물 수용액 제조단계의 약물 수용액을 점차적으로 첨가하여 교반하면서 수화시켜, 다중층상소포 형태의 트랜스퍼좀을 제조하는 트랜스퍼좀 제조단계
    를 포함하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은
    아마인유에 구연산 수용액을 첨가하고, 가수분해를 수행하는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
    유기산 가수분해 단계를 수행한 가수분해물의 하층에 생성되는 글리세린을 제거하고, 상층의 유리지방산을 회수하는 글리세린 제거 단계;
    글리세린 제거 단계에서 회수된 유리지방산에 구연산 에탄올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시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를 수행한 반응물을 진공 감압하에서 탈기하여 미반응 잔여 에탄올을 제거하고 하층부에 생성된 구연산을 여과하여 제거하여 리놀렌산(Linoleic acid) 및 알파-리놀렌산(alpha-Linolenic acid) 에스테르 복합물을 수득하는 탈기 및 여과 단계
    를 포함하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지방산 에스테르화 단계는
    4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에스테르화 반응을 수행하는 것
    을 포함하는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KR1020180025906A 2018-03-05 2018-03-05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KR102008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06A KR102008266B1 (ko) 2018-03-05 2018-03-05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5906A KR102008266B1 (ko) 2018-03-05 2018-03-05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8266B1 true KR102008266B1 (ko) 2019-08-07

Family

ID=67621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5906A KR102008266B1 (ko) 2018-03-05 2018-03-05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826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7876A (zh) * 2019-12-04 2020-04-28 宁夏大学 一种α-亚麻酸双层片及其制备方法
KR20230021820A (ko) * 2021-08-06 2023-02-14 문외숙 피부보호막을 형성하는 햄프씨드 오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햄프씨드 오일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467B2 (ja) * 1995-05-04 2006-07-19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高度不飽和脂肪酸の酵素分画方法
KR100826310B1 (ko) * 2006-11-08 2008-04-30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화장료 조성물
KR101308871B1 (ko) * 2006-03-14 2013-09-16 코세 코퍼레이션 미백용 피부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방법
KR101642054B1 (ko) * 2016-02-29 2016-07-22 주식회사 매그니프 경피 전달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1810160B1 (ko) * 2017-06-30 2018-01-25 주식회사 셀리제코스메틱 생리활성물질이 봉입된 에토좀 제조 방법, 에토좀 조성물 및 에토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98467B2 (ja) * 1995-05-04 2006-07-19 ソシエテ デ プロデユイ ネツスル ソシエテ アノニム 高度不飽和脂肪酸の酵素分画方法
KR101308871B1 (ko) * 2006-03-14 2013-09-16 코세 코퍼레이션 미백용 피부외용제 및 피부의 미백방법
KR100826310B1 (ko) * 2006-11-08 2008-04-30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화장료 조성물
KR101642054B1 (ko) * 2016-02-29 2016-07-22 주식회사 매그니프 경피 전달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품
KR101810160B1 (ko) * 2017-06-30 2018-01-25 주식회사 셀리제코스메틱 생리활성물질이 봉입된 에토좀 제조 방법, 에토좀 조성물 및 에토좀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67876A (zh) * 2019-12-04 2020-04-28 宁夏大学 一种α-亚麻酸双层片及其制备方法
CN111067876B (zh) * 2019-12-04 2022-08-16 宁夏大学 一种α-亚麻酸双层片及其制备方法
KR20230021820A (ko) * 2021-08-06 2023-02-14 문외숙 피부보호막을 형성하는 햄프씨드 오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햄프씨드 오일 조성물
KR102611676B1 (ko) 2021-08-06 2023-12-07 문외숙 피부보호막을 형성하는 햄프씨드 오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햄프씨드 오일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9616B1 (ko) 레티닐 팔미테이트를 안정화시키는 혼합미셀,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97055B1 (ko) 고밀도 지질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색상과 펄감을 구현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89002B1 (ko) 톱니모자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266B1 (ko) 아마씨유 유래 유기산 가수분해 및 지방산 에스테르화를 이용한 리놀렌산 및 알파-리놀렌산 에스테르 복합물이 포함된 다중층 트랜스퍼좀 제조방법
KR20080026956A (ko) 피부유사막을 갖는 비수계 액정상 캡슐기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ZA200602277B (en) Natural lycopene concentrat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KR101572155B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7469B1 (ko) 이데베논 또는 코엔자임q10을 함유하는 니오좀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4112220A1 (ja) 皮膚外用剤
KR101577874B1 (ko) 당세라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유사 지질 조성을 갖는 액정상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131567A (ja) リポソーム懸濁液の製造方法及びリポソームを用いた用途
KR20190050394A (ko) 병풀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이크로 리포좀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79313A (ja) 皮膚化粧料用基剤の製造方法および皮膚化粧料
KR20100104144A (ko) 마유 및 말태반 추출물이 내포된 수용성 나노리포좀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592307B1 (ko)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6195142A1 (ko) 모링가 추출물을 포함하는 나노에멀젼 천연 미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858449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팬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0768151B1 (ko) 에스터화 레시딘을 이용한 나노리포좀
KR101839069B1 (ko)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67802A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033388B2 (ja) 組成物
KR101633539B1 (ko) 아젤릭산을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90103897A (ko) 토목향 추출물의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50078137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02846B1 (ko) 글라브리딘-제인 복합체 나노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