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1432A -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1432A
KR20210041432A KR1020190124159A KR20190124159A KR20210041432A KR 20210041432 A KR20210041432 A KR 20210041432A KR 1020190124159 A KR1020190124159 A KR 1020190124159A KR 20190124159 A KR20190124159 A KR 20190124159A KR 20210041432 A KR20210041432 A KR 20210041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mega
cosmetic composition
nanoparticles
present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7533B1 (ko
Inventor
김한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알파트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알파트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알파트너스
Priority to KR1020190124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753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1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14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7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7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1Carboxylic acids having more than seven carbon atoms in an unbroken chain;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41Containing particulates characterized by their shape and/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재생능력이 증진된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신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olubilized nanoparticles containing omega-3 fatty acid}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나노 수용화 오메가-3 지방산을 포함하는 피부재생효과가 증진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오메가-3 지방산은 몸에 좋은 지방산인 불포화 지방산에 속하며, 이중 다중 불포화 지방산인 EPA(Eicosapentaenoic acid) 와 DHA(Docosa hexaenoic acid), 그리고 알파 리놀렌산을 함께 일컫는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 오메가 3의 효능에는 세포막구성, 세포막 유지 세포 간 신호전달 등의 기능 등이 있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국민건강지식센터). 이러한 이유로, 오메가-3를 화장품 원료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212899호는 피부 진피층의 치밀도를 증진시킴으로써 피부주름을 예방 및 개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 오메가-3를 함유한 지용성 나노입자를 제공하고 있는데 불과하며, 오메가-3의 피부주름 개선 효과에 대하여는 세포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입증하고 있으나, 오메가-3를 포함하는 제형이 실제 피부를 통과하여 흡수가 되는지에 대한 실험결과는 제시하지 않고 있고, 오메가-3는 경투투여에 의해서는 그 효과가 입증되었으나, 피부를 통해 흡수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화장품 형태로 제형화되었을 때, 제대로 효과를 나타내기 위해서는 피부흡수율이 향상된 새로운 제형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경피흡수율이 향상된 수용화 오메가-3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 3-7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 및 86 내지 94 중량부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화장료 내에 포함된 오메가-3의 경피흡수율이 증진됨으로써, 오메가-3에 의한 피부주름 개선 및 알로에 베라의 피부 진정 효가가 극대화된 화장료 특히 수딩젤의 제공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들기름을 이용하여 경피투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G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경피투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GC 크로마토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딩젤을 이용하여 경피투과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나타내는 GC 크로마토그램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오메가-3 지방산 3-7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 및 86 내지 94 중량부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 내지 7 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수딩젤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는 수중유(W/O) 나노 유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용화 지질 나노입자는 고전단 균질화 방법, 고압 균질화 방법, 고온 균질화 방법, 초음파 및 고속 균질화 방법, 수중유(W/O) 나노 유화 방법, 초임계법 또는 스프레이 건조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컨대, 에멀젼, 화장수, 에센스,수딩젤, 크림 등의 일반 화장료 조성물 외에도 노화 기능성 화장료, 미백 기능성 화장료 등 다양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에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형에 특별한 제한은 없고 예컨대, 크림, 화장수, 에멀젼, 에센스 등, 더욱 구체적으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에센스, 영양에멀젼, 영양크림, 아이크림, 마사지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파우더, 팩, 모발용 화장품류, 바디에멀젼, 슈딩젤, 바디크림, 바디오일, 바디에센스, 바디클렌저 등과 같은 제형으로 제조 가능하다. 바람직한 양태로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에멀젼, 슈딩젤 또는 에센스의 제형일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담체 또는 첨가제는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외에 일반적으로 크림, 에멀젼, 에센스 등과 같은 화장료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 예를 들어,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방부제 및 용제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선호도에 따라 향료를 더욱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수용성 나노입자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하기 표 1과 같은 다양한 조성으로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나노입자의 제조에는 수중유(oil-in-water) 유화 방법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유성분인 오메가-3 또는 오메가-3 및 모노스테아레이트를 먼저 혼합하고 75℃까지 가온한 후, 수상성분인 글레세린을 역시 75℃까지 가온하였다. 그런 다음 유상성분을 상기 수상성분에 교반 투입하고, 증점제인 가티검을 첨가한 후 균질기를 이요하여 3,000 rpm으로 5분간 교반하여 O/P(oil-in-polyol)형 반투명 젤을 형성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반투명 젤에 정제수를 투입하고 2,500 rpm으로 균질기를 이용하여 3분간 교반하였다. 이후, 천천히 냉각 및 탈기를 함으로써 수중유(O/W)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나노입자 조성
실시예 오메가-3 글리세린 모노스테아레이트 가티검 정제수 에탄올
1 10 wt% 20 wt% 2 wt% 0.01 wt% 잔량 -
2 10 wt% 40 wt% 4 wt% 0.03 wt% 잔량 -
3 10 wt% 10 wt% - 3 wt% 잔량 -
4 30 wt% 30 wt% - 4 wt% 잔량 -
5 5 wt% 5 wt% - - - 잔량
우선 실시예 1 및 2와 같이 오메가-3 함유 나노입자를 제조한 후 물성을 조사한 결과, 글리세린이 과다 포함되어, 층분리가 일어남을 확인하였으며, 이에 글리세린 함량을 오메가-3와 동량으로 낮추고 모노스테아레이트를 제거함으로써, 실시예 3 및 4의 조성으로 나노입자를 제조하였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문제가 되었던 잔존하는 지방성분이 없어지고 100% 나노화된 성상의 오메가-3 함유 나노에멀젼이 제조가 되었다. 그러나, 실시예 3 및 4의 오메가-3 함유 나노에멀전의 경우 실험예 1의 인조피부 침투실험 결과, 침투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어, 본 발명자들은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의 조성을 다양하게 변경하였고, 그 결과 실시예 5와 같이 오메가-3 5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그리고 증점제인 가티검 없이 용매로 에탄올 90 중량%를 혼합한 후 나노에멀젼을 제조한 결과, 인조피부 침투가 용이하게 됨을 확인하고 최종 제형을 실시예 5로 정하였다.
실시예 6: 오메가-3 함유 나노입자를 포함한 수딩젤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오메가-3 함유 나노입자를 이용하여 하기 표 2의 조성대로 수딩젤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딩젤 조성
성분 함량(%(w/w))
정제수 87.790
실시예 5의 오메가-3 함유 나노입자(5% 수용액) 5.000
에탄올 2.850
부틸렌글라이콜 2.040
글리세린 0.500
트레할로오스 0.500
페녹시에탄올 0.500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350
클로페네신 0.200
카보머 0.120
알지닌 0.120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20
스페인감초뿌리추출물 0.001
라케모사승마뿌리추출물 0.001
하수오뿌리추출물 0.001
검은깨추출물 0.001
진흙버섯추출물 0.001
참당귀뿌리추출물 0.001
뽕나무껍질추출물 0.001
작약뿌리추출물 0.001
고삼뿌리추출물 0.001
황금추출물 0.001
합계 100
실험예 1: 피부 침투 증진 시험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5에서 제조된 오메가-3 함유 나노입자 및 상기 오메가-3 함유 나노입자가 포함된 실시예 6의 수딩젤을 인조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침투도를 조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나노입자화 되지 않은 오메가-3 함유 오일인 들기름을 사용하였다.
이를 위해 구체적으로, 경피투과 장치(Logan Instrument Corp, USA)를 멸균 증류수로 세척한 후, 인공경피 Strat-M membrane(영화과학, SKBM02560)을 시료 적재용 챔버와 수집관 사이에 놓고 시료 적재용 챔버와 수집관을 채운 후, 챔버 아래 투과된 시료를 받는 수집관 용기에 증류수를 채웠다. 그런 다음, 시료 적재용 챔버에 시료를 각각 1 ml씩 적재하였다. 인경경피를 투과한 료를 수집하는 수집관의 마그네틱 바로 작동시키면서 시료가 투과되면, 투과량을 기록하고 수집된 시료들을 동결건조한 후 이에 대한 지방산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시료의 투과성을 비교하였다. 지방산 분석은 가스크로마토그래피로 수행하였으며, 기기 및 칼럼 조건은 하기 표 3과 같다.
가스크로마토그래피 조건
항목 기기 조건
기기 Perkin Elmer Clarus 600
컬럼 HP-INNOWax column
30 m, 0.53 mm I.D., 1.00 μm film thickness
검출기 Flame Ionization Detector
개시온도 140℃ (5 min)
승온속도 4℃/min
최종온도 220℃ (10 min)
주입기 온도 250℃
검출기 온도 250℃
운반 기체 Helium
분할비 20:1
유속 3 mL/min
상기 가스크로마토그래피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다.
경피투과후 수집된 시료 내의 투과된 지방산 함량
시료명 수용화 나노입자 여부 경피투과 후
투과된 시료량 (μg)
피부침투 증진 결과판정 GC
분석결과크로마토그램
오메가 3 함유물
(들기름)
No 미검출 대조군 투과율 0% 도 1
실시예 5의 나노입자 Yes 64 대조군 대비 투과율
50% 이상 증진
도 2
실시예 6의 수딩젤 Yes 20 대조군 대비 투과율
50% 이상 증진
도 3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는 오메가-3 함유 지질과 달리 경피전달이 50% 이상 증진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는 기능성 화장품은 물론 창상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오메가-3 지방산 3-7 중량부, 글리세린 3 내지 7 중량부 및 86 내지 94 중량부의 에탄올을 포함하는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3 내지 7 중량%로 첨가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수딩젤의 제형으로 제공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메가-3 함유 수용성 나노입자는 수중유(W/O) 나노 유화 방법으로 제조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24159A 2019-10-07 2019-10-07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77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59A KR102277533B1 (ko) 2019-10-07 2019-10-07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159A KR102277533B1 (ko) 2019-10-07 2019-10-07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1432A true KR20210041432A (ko) 2021-04-15
KR102277533B1 KR102277533B1 (ko) 2021-07-15

Family

ID=75440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159A KR102277533B1 (ko) 2019-10-07 2019-10-07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753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973A (ko) * 2006-09-01 2008-03-06 (주)아모레퍼시픽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26310B1 (ko) * 2006-11-08 2008-04-30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화장료 조성물
KR20130019397A (ko) * 2010-03-23 2013-02-26 버런, 아이엔씨.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전
KR101665733B1 (ko) * 2008-09-30 2016-10-1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20973A (ko) * 2006-09-01 2008-03-06 (주)아모레퍼시픽 오메가-3 지방산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26310B1 (ko) * 2006-11-08 2008-04-30 (주)더페이스샵코리아 화장료 조성물
KR101665733B1 (ko) * 2008-09-30 2016-10-12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수성 화장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19397A (ko) * 2010-03-23 2013-02-26 버런, 아이엔씨.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나노에멀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7533B1 (ko) 2021-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ng et al. Encapsulating plant ingredients for dermocosmetic application: An updated review of delivery systems and characterization techniques
WO2021068401A1 (zh) 一种双剂型精华及其制备方法
CN106413676B (zh) 烷基多糖苷作为香料增溶剂的用途和包含烷基多糖苷的香料组合物
JP3583108B2 (ja) 皮膚外用剤
KR101259452B1 (ko) 나노에멀젼 유화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130273123A1 (en) Colloidal Carrier System with Penetration Properties for Encapsulating Lipophilic Active Agents and Oils for Topical Use
JP2021042241A (ja) 外用組成物
CN104873437A (zh) 一种金樱子护肤霜及其制备方法
CN108113924A (zh) 一种复合植物舒敏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20160056842A (ko) 점증제 없이 점도 및 경도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17481984A (zh) 一种超分子红没药醇低共熔溶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KR102277533B1 (ko) 오메가-3 지방산 함유 수용화 나노입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875215B2 (ja) 皮脂溶解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20190023153A (ko) 고함량 오일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마스크
KR101346792B1 (ko)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리포좀의 내상에 폴리에톡실레이티드 레틴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7203A (ko)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 효과가 있는 화장품 조성물
KR20210001045A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05705129B (zh) 乳化液及其制造方法
JP6112498B2 (ja) 防腐剤・界面活性剤フリーの化粧品原料液、化粧品及び化粧品原料液の調製法
JP2011162518A (ja) 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594005B1 (ko) 대마 리포좀을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JP7158152B2 (ja) 自己乳化型浴用剤組成物
KR102333145B1 (ko) 스피큘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도 개선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5329489B2 (ja) 外用剤組成物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