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3939B1 - 처리실 - Google Patents

처리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3939B1
KR100823939B1 KR1020027015785A KR20027015785A KR100823939B1 KR 100823939 B1 KR100823939 B1 KR 100823939B1 KR 1020027015785 A KR1020027015785 A KR 1020027015785A KR 20027015785 A KR20027015785 A KR 20027015785A KR 100823939 B1 KR100823939 B1 KR 1008239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delete delete
entrances
mount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5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58940A (ko
Inventor
이착 벤-어소울리
파햇 오스만
Original Assignee
진 바이오-어플리케이션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 바이오-어플리케이션 엘티디. filed Critical 진 바이오-어플리케이션 엘티디.
Publication of KR20030058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58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39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39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24Dialysis ; Membrane extraction
    • B01D61/3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5Concentrating sample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05Concentrating samples by transferring a selected component through a membrane
    • G01N2001/4016Concentrating samples by transferring a selected component through a membrane being a selective membrane, e.g. dialysis or osmosi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용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또한 투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특히 사용 후 폐기 가능한 일회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장치로 단백질과 핵산을 포함하는 고분자들을 겔{gel/교화체}로부터 적절한 용액으로 분리하거나, 또는 임의적으로 그와 같은 고분자들을 동일한 장치 내에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투석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처리실{Processing Chamber}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전기용리를 위한 장치 및 방법과, 또한 투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특히 사용 후 폐기 가능한 일회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장치로 단백질과 핵산을 포함하는 고분자들을 겔{gel/교화체}로부터 적절한 용액으로 분리하거나, 또는 임의적으로 그와 같은 고분자들을 동일한 장치 내에 있는 동안 계속적으로 투석시키기 위한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아가로스(agarose)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polyacrylamide) 겔(gel) 전기영동은 마이크로 규모의 생화학적 연구에 있어서 단백질과 핵산의 세정및 분해를 위하여 지금까지 필수불가결하고 매우 강력한 방법이 되어왔다. 그와 같은 겔 매트릭스(gel matrices) 내의 러닝(running) 고분자는 분자생물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하나의 중요한 대상 분자를 분리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역할을 허용하는 여러 가지 상이한 고분자들을 함유하는 커다란 풀(pool)로부터 거의 모든 고분자의 분리를 가능케 하도록 겔 매트릭스 혼합물을 선택할 수도 있다. 각종 물리적/화학적 특성에 따라, 상이한 크기의 고분자들을 함유하는 샘플을 특정한 속도로 전기장을 통하여 이동시킨다. 전기영동 이후에 겔을 전기영동실로부터 꺼내서, 필요시 단백질 및/또는 핵산에 특별한 시약으로 착색하고, 유기용제 혼합물로 탈색하며, 사진을 촬영한다. 고분자들의 전기영동분리는 널리 인정된 기술이지만, 한편 지금까지, 겔(교화체)로부터 고분자의 용리는 어렵고 일반적으로 비생산적인 기술방법으로서 알려져 있다. 그러한 고분자들의 수확은 과학과 의학에서 응용되기 때문에 잠재적인 상업적 가치가 있다. 그러한 고분자들을 높은 수율로 회수하거나 추출함에 있어서 주요문제는 다운스트림 프로토콜(downstream protocols)이다. 그와 같은 다운스트림 프로토콜의 예에 포함되는 것들은 다음과 같다: ⒜ 새로운 플라스미드를 구성하기 위하여 아가로스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로부터 추출된 DNA 조각의 사용, ⒝ 오염물 분자들로부터 목표 고분자, 예를 들어 PKR의 활성화에 있어서 이중사상 리보핵산(double strand RNA=dsRNA)을 사용하기 위하여 단사상 리보 핵산(RNA)으로부터 상기 dsRNA의 분리, ⒞ 예방접종에서 항원으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폴리아크릴아미드 겔로부터 단백질의 추출, ⒟ 시퀀싱(sequencing)을 위한 DNA 또는 단백질의 추출. 특히, 아가로스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로부터 고수율로 고분자 회수 또는 추출하는 것이 주요문제이다. 이 문제는 중요한 분자의 크기가 증가되고, 분리할 기질의 겔 농도율이 높아짐에 따라 더욱더 문제를 심각하게 만든다. 과거 10여년 이래 겔로부터 고분자들을 회수하는 수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여러 가지 방법을 시도하였다.
아마도 가장 단순한 고분자 용리 방법절차는 투석막을 포함할 것이다. 한 가 지 방법에 있어서는, 막피를 관상막의 형태로 만들고, 그 속에 시료를 함유하는 겔을 충전한 다음 양족 단부를 폐쇄하는 것이다. 상기 방법은 수율의 향상을 나타내지만, 시료를 취급하고, 관상용기의 한쪽 단부를 묶거나 죔쇠로 죄어 폐쇄하여 자루를 형성시킨 다음 다른 쪽 단부를 마찬가지로 폐쇄하는 특수 기술이 요구된다. 또한 누출과 기포들이 전계를 방해한다.
대부분의 연구실험실은 폴리아크릴아미드 겔로부터 DNA 또는 RNA를 회수하기 위하여 용리 프로토콜 절차를 사용하는바, 이 프로토콜은 시간이 많이 걸리는 것으로서, 낮은 수율(용리된 분자의 크기에 따라 10 내지 20%)과, 용리액 속에 디옥시리보뉴클레아제(DNase), 리보뉴클레아제(RNase) 또는 프로테아제(Protease)와 같은 저오염물질에 대한 분자의 민감성의 두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비슷한 방법을 사용하여 아가로스겔로부터 핵산을 용리하였다. 이때 아가로스겔을 65℃로 가열하여 용해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페놀로 추출하여 시료를 용리하였다. 예상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절차로서는 회수물질들이 통상 낮았다. 또한 페놀은 매우 독성이 강하며, 생물학적으로 위험한 물질이다. 디에틸아미노에틸 셀룰로오스는 디옥시리보핵산(DNA)과 결합하므로, 겔로부터 DNA를 용리하는데 사용되어 왔다. 상기 절차는 i) DNA가 겔로부터 DEAE-여과지로의 전기영동이동과, ii) 다른 방법으로서, DEAE-여과지를 각 밴드(band) 바로 밑에 슬롯 구멍에 삽입하므로 써 DNA가 전기영동이동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절차는 탁월한 회수율을 나타내지만, 이 회수율은 기술에 크게 달려있으며, 장치가 고가이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겔을 화학약품으로 분해 시킨 다음 고분자들을 글라스비 드(glass beads)들 위로 배출시키고, 염용액으로 용리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완충액의 상태와, 침지에 사용함에 있어서 심각한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어서 세척할 필요가 있는 용액에 따라 달라진다. 이 방법은 특히 DNA 또는 RNA를 폴리아크릴아미드 겔로부터가 아닌 아가로스 겔로부터 회수하며, 이 방법은 단백질의 추출을 위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몇 가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양단이 개방된 견고한 관상부재로 이루어져 시료 분자들을 함유하는 얇은 겔 조각을 충전한 다음 막피로 밀봉하는 용기를 사용하는 다른 방법이 개발되었다. 이 방법 역시 사용자의 기술이 요구되며, 이 방법은 전반적으로 난해하며 번거롭다. 또한 이 장치는 재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사용할 때마다 미리 손질을 해야 하며, 이것은 오염문제를 일으킬 수 있고, 사용의 복잡성을 증가시킨다. 다른 몇 가지 새로운 전기용리장치들이 개발되었으며, 이 장치들은 최대 여섯 가지의 시료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으나, 이 장치들은 많은 자본의 지출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새로운 전기용리장치들 대부분에 있어서는, 시료가 주위 대기에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장치들이 쉽게 오염될 수 있다. 그러한 장치들을 재사용하기 위해서는 세정규칙(cleaning protocols)을 세밀하게 준수하여 오염을 방지해야 한다.
1985년에 카르튼베히 씨가 전기용리장치를 소개하였다(미국특허 제4,552,640호). 이 장치는 상부처리실 속에 하나의 상부전극과, 완충액 및 하부전극이 설치된 하부처리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처리실은 격벽에 의하여 하부처리실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며, 양쪽 처리실들은 상기 격벽 내부의 연결통로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하부처리실의 단부에는 투석막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 속에서 전기영동으로 용리된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polypeptide)가 수집된다.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i) 하부처리실의 용적이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시료가 희석되며, ii) 투석막의 표면이 크기 때문에, 고분자들의 비특정적인 흡착을 초래하여 회수율이 매우 낮아진다는 것이다.
1985년에 월쉬 씨가 핵산을 용리하기 위한 장치를 소개하였다(미국특허 제4,545,888호). 이 장치는 트랜스퍼 쳄버(transfer chamber)와 DEAE-셀룰로오스 및 네거티브 전극을 보지할 필터디스크(filter disc)의 다중복제를 소개하는 것이 특징이다. 그다음, 필터디스크를 제거하고, 표준용리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수지로부터 DNA가 용리된다. 이 절차는 DEAE로부터 핵산액을 포함하는 추가적인 단계를 필요로 한다. 또한 단백질과 폴리펩티드를 용리하기 위한 응용은 불확실하다.
1987년에 버드 씨가 전기용리법과 장치(미국특허 제4,699,706호)를 소개하였다. 이 장치는 전지용리된 시료가 유리용융물질을 통과하여, 하부처리실 바닥의 반투막에서 수집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 장치에 있어서, 투석막은 장치 내부에 내장 내지 형성된 리테이너링(retainer ring), 개스킷(gasket) 및 내측견부에 의하여 제자리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 장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의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즉, i) 이 장치는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장치의 성공적 효과는 사용된 기술에 따라 달라지며, ii) 투석막은 유리용융혼합물의 직경보다 작기 때문에, 회수율이 낮아지고, iii) 투석막의 사용은 고분자들의 비특정성 흡착현상을 초래하여, 이 또한 낮은 회수율의 원인이 되며, 투석막에 수집된 시료를 회수 하기 위하여 투석기둥(dialyzing columns)들을 뚜껑으로 덮을 수 있는 방법이 없으며, v) 시료 컵(cup)을 빼낼 때, 수집된 시료가 필터디스크 및/또는 시료 컵을 파지하고 있는 슬리브 속에 있는 액체를 통하여 누출되기 때문에 시료의 파괴를 초래하게 된다.
1986년에 클래드 씨가 겔로부터 고분자들을 전기용리 하기 위한 장치(미국특허 제4,608,147호)를 발표하였다. 이 장치는 고분자들이 통과하여 하류장치로 이동할 수 있는 투과막(입도 약 0.2 ㎛)이 설치된 상부처리실을 포함하고 있다. 시료는 하부처리실에서 분자량이 1000 이상에 대한 비투과성 막 위에서 수집된다. 용리작용 다음에 전계의 극성을 10 내지 15초 동안 반전시키므로 써, 외부막의 내측면에 흡착된 고분자들이 투과막으로부터 배출부로 방출된다.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i) 하부처리실에서 비투과성 막피를 사용하는 것은 시료의 희석을 초래하므로, 따라서 계속 농축을 필요로 하게 되며, ii) 시료가 전기영동 완충액으로 오염되기 때문에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처리단계(예를 들어 투석)를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1990년에 브라우티감 및 고어만 씨들이 전기용기장치(미국특허 제4,964,961호)를 발표하였다. 이 장치는 경사관을 다공성 디스크로 분할하여 한쪽은 개방된 상부구간과, 다른 쪽은 착탈식 뚜껑(cap)으로 폐쇄할 수 있는 하부구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장치는 탈착식 뚜껑의 직경과 동일한 투석막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뚜껑은 상기 투석막에 부착되어 하부구간을 폐쇄하여 준다. 전기용리 다음에는 상부구간이 폐쇄된다. 시료는 시료 컵과 투석막을 통하여 관의 하단부에서 수집된다. 이 장치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i) 시료가 전기영동 완충액 오염되고 희석된다. 따라서 투석과 농축이 필요하므로 그러한 처리를 위한 시간이 추가되며, ii) 투석막에 대한 시료의 비특정성 흡착은 회수량의 손실을 초래한다.
투석은 분자량을 기초로 하여 분자들을 반투막을 통하여 분리하는 방법이다. 상기 막피는 그 구조와 다공성 때문에 특정한 분자량과 같거나 보다 작은 분자들을 상기 막을 통과시킨다. 특수 분자량을 차단하는 막피를 사용하므로 써, 차단 분자량 보다 높은 고분자들을 보지하게 된다. 한편, 막피의 차단 분자량과 같거나 보다 낮은 분자량을 갖는 분자들의 통과를 허용하게 된다. 상기 투석막 양쪽면 사이의 농도경사가 처리공정의 구동력 역할을 한다. 실험실에서 연구자들에 의하여 가장 빈번히 사용되는 투석막의 공통적인 4개의 응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즉, 1) 시료의 농축, 2) 시료의 탈염, 3) 분자의 분리, 4) 교환완충등이다.
투성의 특수응용에 있어서, 겔 시료로부터 회수된 고분자들을 분자량에 따라 계속 여과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고분자들에 대하여 가장 널리 사용되는 투석방법에서 투석막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전기용리를 위하여 사용된 장치들과 유사하게 겔 시료를 충전한 다음 양쪽 단부를 폐쇄한 관상막형태로 사용된다. 상기 시료 용액을 투석막 용기의 내부에 첨가하고, 그 다음 용기를 잡아매고, 다른 쪽 단부는 개방하여 놓는다. 평행 전기용리법과 같이, 시료를 취급하고, 동시에 상기 관상막의 한쪽 단부를 잡아매거나 죄어서 자루를 형성하고, 그다음 다른 쪽 단부를 잡아매는 것은 특별한 기술을 필요로 한다. 더욱이, 누출과 기포의 존재는 투석처리를 방해한다. 또한 상기 자루는 견고하지 않기 때문에, 자루로부터 시료를 꺼내고, 그 속으로 충전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아이디어의 여러 가지 변형을 시도하였으나, 거의 개선되지 않았다.
미국특허 제5,503,741호는 각각 양측에 설치된 투석막을 갖고 있는 개스킷으로 형성되고, 상기 개스킷과 막피 사이에 지지구조물이 없이 기밀하게 밀봉된 진공실로 구성된 액체시료 투석장치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막피들은 창구멍들이 형성된 외부 케이싱의 내측면을 이용하여 개스킷 위로 제자리에 착설된다. 상기 개스킷은 분석될 시료에 대하여는 비투과성이고, 주입구가 없다. 그 대신, 상기 개스킷은 바늘과 같은 날카로운 물건으로 침투 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그 뽀족한 물건을 개스킷을 통과시켜 강제로 삽입하여 처리실 안으로 액체시료를 주입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는 처리실로 통하는 입구가 없기 때문에 오직 액체 시료만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겔 속에 포함된 시료에는 사용될 수 없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장치들은 대상물질을 함유하는 겔 속에 포함된 시료의 투석을 위해서는 전혀 사용될 수 없다는 것이 추정된다. 상기 처리실의 밀봉성은 사실상 특징적인 점이라고 할 수 있으나, 이것은 투석할 액체를 주입하기 전에 처리실로부터 공기를 빼내야 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처리실내의 압력을 형성시켜 시료 일부를 강제로 배출시키거나, 또는 막피를 파열시킬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처리실은 기밀하게 밀봉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를 빼내기 위해서는 특별 수단에 의하여, 예를 들어 주사바늘을 이용하여 철리실 안으로 침투시켜야 하는 것이다.
상기 참조문헌에서 처리실의 밀봉 양태는 공기 중의 물질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바늘은 개스킷을 통하여 처리실 속으로 뚫고 들어가야 하기 때문에 상기 개스킷의 외부에 묻어있는 오염물질들은 바늘과 함께 처리실 속으로 들어가게 될 것이다.
상기 장치는 다른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장치의 구조는 한쪽 면에는 개스킷과 막피를 정밀하게 중첩시키고, 그다음 서로 일치하는 2개의 외피들을 막피와 개스킷 위로 폐쇄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상기 막피와 개스킷은 본질적으로 비견고성 구성부품이기 때문에, 장치의 제조공정의 복잡성을 추가하게 된다. 상기 장치들은 비표준 형상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다른 실험실 장비와의 호환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것이다.
기술적 배경에 관한 기타 참고문헌들은 WO 94/01763, WO 96/26291, US 5,200,073 and US 4,576,702 등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기술의 전기용리/투석 장치 및 방법의 제한사항들을 극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반투막 시스템, 즉 DNase, RNase 및 Protinase를 함유하지 않는 시스템을 통하여 분자들을 분리하기 위한 간단하고, 효율적인 최신 투석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회용 마이크로관 전기영동 시스템에서 아가로스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기초물질로부터 핵산과 단백질 분자들을 효율적으로 용리할 수 있는 일회용 마이크로관 전기용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반투막을 통하여 분자들을 분리할 수 있는 일회용 마이크로관 투석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하기에 간단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계적으로 비교적 간단하고, 따라서 경제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한쪽 단부는 폐쇄되어 있고, 다른 쪽 단부의 입구는 충분히 크기 때문에 시료, 특히 겔 속에 포함된 시료, 또한 투석 또는 전기용리를 필요로 하는 기타 어떠한 형태의 시료도 충전 가능한 전기용리/투석용 처리실을 제공하므로 써 상기 목적들을 달성할 수 있다. 이 장치는 임의적으로 폐쇄할 수 있으며, 필요시에는 뚜껑을 사용하여 기밀하게 밀봉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또한 상기 폐쇄식 입구에 대하여 측방으로 위치하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출입구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출입구들은 적절한 막피로 차폐시켜 케이싱의 외부면에 밀봉 고정하여 적절한 장치로 상기 출입구들의 외주부분에 보지된다. 이 장치는 높은 회수율을 나타내며, 시간을 절약하고, 특히 투석할 작은 량의 시료를 넣거나 빼낼 때, 또는 고분자 시료를 함유하는 겔 조각을 장전할 때 비교적 취급이 용이하다. 또한 이 장치에는 그 어떤 에펜도르프형 스탠드 (eppendorf-type stand)와의 호환을 가능케 하는 적절히 형성된 연장부를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도 있다. 이 장치는 또한 사용 후 폐기 가능할 만큼 충분한 경제성을 갖는 적절한 생물학적 적합성의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져서 취급의 복잡성을 최소화하고, 상호오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장치는 투명한 재료로 제조되어 내용물에 대한 비침투 검사가 가능하며, 따라서 사용자로 하여금 수시로 용리공정을 체크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장치는 또한 양쪽 기초물질 (아가로스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로부터 모든 고분자들에 대한 용리 및/또는 소량의 시료에 대한 투석을 가능케 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적어도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 중에 외부액체환경에 대하여 전형적으로 겔 속에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을 수용하도록 되어있는 처리실을 이루는 하나의 비투과성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처리실과 상기 장치의 외부와의 사이에 개방된 소통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 1개 이상의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구는 상기 처리실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이 선택적으로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게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은 또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입구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있는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은 또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 및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와 연합된 반투막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반투막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에 밀봉 고정되므로 써, 각각 최소 1개 이상의 제1 및 제2 출입구들을 통하여 상기 처리실과 상기 외부액체환경 사이의 액체소통이 상기 막피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최소 1개의 제1입구와 상기 최소 1개의 제2입구는 본 장치의 종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케이싱은 본질적으로 원통형으로서 제1 및 제2의 길이방향으로 대향하는 단부들과, 본질적으로 원통형 측벽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최소 1개의 제1입구 및 상기 최소 1개의 제2입구는 상기 원통형 측벽에 포함되어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최소 1개의 제1입구 및 상기 최소 1개의 제2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종축방향에 대하여 서로 약 180도 위치한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제1종방향 단부에 포함되어 있고, 상기 주입구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싱의 제2종단부는 폐쇄되며, 상기 폐쇄단부로부터 종방향으로 처리실 안으로 하나의 스파이크(spike)가 뻗어있고,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이 고체 또는 겔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에, 상기 스파이크는 특히 최소 1개의 물질을 처리실 내에서 보지하도록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도, 상기 장치는 상기 주입구를 개방/폐쇄할 수 있는 뚜껑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치는 개방단부 속으로 삽입하도록 되어있는 하나의 플러그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플러그는 상기 케이싱 내에서 보조 요부와 밀봉 결합하도록 되어있는 하나의 리브(rib)를 가지고 있다. 상기 뚜껑에는 또한 상기 플러그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도, 상기 뚜껑의 외부 표면에는 "+" 및 "-" 표시가 있으며, 이 표시들은 각각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입구 및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입구와 대략 측방으로 정렬되어 있다.
상기 뚜껑의 제2실시예는 상기 개방단부에 대하여 가역나사로 죄어 밀봉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있는 플러그부/삽입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부에는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케이싱 안에서 상보적 암나사와 나선식 밀봉결합을 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뚜껑에는 또한 삽입부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뚜껑의 원통형 표면에 깔쭉이 손잡이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막피장치는 반투막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1 및 제2 종단부들이 형성된 관상 슬리브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상기 슬리브의 제1 및 제2 종단부들을 적절하게 밀봉하여, 상기 최소 1개의 제1입구와 상기 최소 1개의 제2입구의 각 종단부의 최소한 제1 및 제2 밀봉부에 적절한 클램핑(clamping) 장치로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리브가 케이싱 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그 슬리브 위로 슬라이딩 하도록 되어있는 본질적으로 관상의 클램핑멤버(clamping member)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리브를 밀봉부위에 밀봉하여 고정시키는 밀봉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클램핑멤버는 또한 상기 최소한 1개 이상의 제1출입구 및 상기 최소한 1개 이상의 제2출입구와 각각 상보적으로 정렬되도록 되어있는 최소한 1개 이상의 제3출입구 및 최소한 1개 이상의 제4출입구를 포함한다. 상기 밀봉장치는 상기 각 밀봉부위(72, 74)에서 상기 클램핑멤버(80)의 내측면에 제1원주리브(86)와,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 위에 형성된 제2 및 제3 원주리브(76, 77)로 구성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원주리브(76, 77)들 사이는 하나의 계곡부를 형성하므로 써, 상기 슬리브(66)의 일부분이 상기 제1원주리브(86)와 상기 제2/제3원주리브(76, 77)들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리브를 상기 계곡부 속에 결합되도록 되어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케이싱 또는 클램핑멤버는 또한 상기 제2단부로부터 처리 실의 반대쪽으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각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각부는 원추형 또는 기타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케이싱의 종축을 따라 길게 다수의 플랜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특히 케이싱, 뚜껑 및 클램핑 멤버는 각각 생물학적 거부반응을 일으키지 않는 물질, 특히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기타 적절한 열가소성 불질로부터 선택된 재료로 만들어진다. 마찬가지로 상기 슬리브는 생물학적 적합성 물질, 특히 코튼린터(cotton linter) 또는 셀룰로오스, 세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불화비닐리덴으로부터 선택된 물질로 제조된다.
상기 장치는 DNA, RNA 또는 단백질을 위한 런닝버퍼(running buffer)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액, 특히 TBE, TAE 또는 단백질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된 용액을 포함하는 외부액체환경과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장치는 최소한 1개의 관심대상 고분자 종류를 함유하는 겔 조각을 포함하는 전기용리공정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는 투석 공정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소 1개의 물질은 아지드나트륨(sodium azide)을 갖는 항체용액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아지드나트륨을 포함하지 않은 적절한 완충액을 포함한다. 또는 상기 최소 1개의 물질은 낮은 또는 높은 pH 완충액을 갖는 DNA 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약 7.0 내지 약 8.0 사이의 pH를 갖는 적절한 용액을 포함하거나, 또는 상기 최소 1개의 물질은 약 20%의 글리 세린(glycerol)을 갖는 단백질 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글리세린을 포함하지 않는 적절한 완충액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수의 상기 장치들을 탑재할 장착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들을 지지할 기초판과 다수의 스탠드(stands)들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각 스탠드에는 기초판으로부터 캔티레버식(cantilevered)으로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탄성 클램핑멤버들을 형성하여, 이 클램핑멤버들을 탄력적으로 비틀어 놓아서 클램핑멤버들 사이에 해당 장치를 끼워 위치시킬 때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장착대는 아제탈(Azetal)을 포함하는 적절한 임의의 재료로 제조된다. 선택적으로, 또한 상기 장착대는 그 위에 장착된 각 장치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대략 장착대의 길이를 연하여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직립부들을 포함한다. 임의 선택적으로, 또한 상기 장착대는 최소 1개 이상의 구멍이 상기 기초판에 형성하여 상기 장착대와 연결된 처리실 안에서 물 또는 이온 용액의 흐름을 촉진시킨다.
상기 장착대는 또한 임의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대를 제2장착대에 부착하기 위한 적절한 부속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부속장치는 상기 한쪽 장착대의 직립부에 한 세트의 융기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들은 다른 쪽 장착대의 대응 직립부에 형성된 대응 착설부와 정렬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도면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주요구성요소들에 대한 분해사시 단면 도이다.
제2⒜, 2⒝ 및 2⒞도들은 각각 제1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내측관의 정면도, 측면도 및 평면도이다.
제3도는 제2⒞도의 C-C선을 연하는 측단면도이다.
제4⒜ 및 4⒝도는 각각 제1도에 도시된 클램핑멤버의 측면도 및 상면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D-D선을 연하는 측단면도이다.
제6⒜, 6⒝ 및 6⒞도들은 각각 제1도 실시예의 뚜껑을 보여주는 측면도, 정면도 및 배면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E-E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제8도는 제1도에 도시된 주요 구성요소들이 부분 조립된 측단면도이다.
제9⒜ 및 9⒝도들은 각각 제2실시예의 뚜껑을 보여주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X-X선을 따라 절취된 단면도로서 뚜껑이 결합되도록 되어있는 내측관의 단면도를 포함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장착대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제11⒝도는 복수의 장치들이 장치된 제11⒜의 장착대 어셈블리의 반쪽 부분만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발명의 설명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의되며, 상기 특허청구범위 내용은 본 명세서의 기술 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첨부도면을 참조 하에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적어도 미리 정한 공정 중에 외부액체환경에 대하여 적어도 1개 이상의 물질을 - 특히 관심의 고분자를 - 수용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공정은 DNA, RNA 및 단백질과 같은 적어도 1개의 물질을 아가로스 또는 폴리아크릴아미드 겔과 같은 반건성 기초물질로의 전기용리공정일 수 있다. 그와 같은 공정에서, 장치 내에 있는 액체는 외부액체환경과 연통되어 있으며,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전계를 설정할 수 있고, 겔로부터 고분자를 용리하기 위한 동력원으로서 사용된다. 추가적적으로 또는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공정은 또한 상기 외부액체체에 대하여 상기 장치 속에 함유된 물질의 투석을 포함할 수도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반적으로, 그러나 비독점적으로 겔 속에 포함되는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을 수용하도록 되어있는 처리실을 이루는 비투과성 케이싱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처리실과 장치의 외부와의 사이에 개방된 교통(왕래)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1개 이상의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입구는 상기 물질이 처리실로 선택적으로 삽입되고, 처리실로부터 제거할 수 있도록 충분한 크기를 가지고 있고, 상기 케이싱은 또한 적어도 1개 이상의 제1출입구(portal)과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출입구들은 각각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입구로부터 떨어져 있다. 상기 케이싱은 또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 및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와 연합된 반투 막 장치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를 거쳐 상기 처리실과 외부액체환경 사이의 액체소통이 상기 반투막 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상기 반투막 장치가 상기 케이싱의 외부표면 위에 밀봉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장치는 되도록이면 폐기 가능하게, 그러나 많은 응용분야를 위해서는 또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본 특허출원에 있어서, 상기 "폐기 가능한"이란 용어는 한번 사용한 후에 단순히 무시할 정도의 경제적 손실로 폐기 또는 달리 처리할 수 있도록 상기 장치들을 설계(해당 실시형태 있어서)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무시할 정도의 경제적 손실은 예를 들어 반투막과 표준 에펜도르프형의 튜브와 연관된 단위비용 범위와 같은 장치 당 경제적 손실을 의미한다.
첨부도면에서 제1 내지 10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장치는 참조번호 1번으로 표시되어 있고, 전형적으로 하나의 케이싱 또는 내측관(20), 하나의 막피장치(60) 및 선택적으로 하나의 뚜껑(1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제1, 2⒜, 2⒝, 3 및 8도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또는 내측관(20)은 비투과성이며, 즉 비투과성 재료로 제작되거나, 또는 비투과성 피복 등으로 피복되므로 써, 상기 케이싱 또는 내측관(20)의 벽 자체는 비투과성인 것은 물론, 상기 케이싱의 각종 구멍들도 비투과성으로 제작된다. 상기 케이싱 또는 내측관(20)은 개방된 제1단부(28)와 제2단부(21) 및 단부벽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상기 내측관(20)은 단부벽(24)과 원통형 측벽(26)에 의하여 둘러싸인 내측처리실(22)을 형성 한다.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는 폐쇄된 단부벽(24)을 가지고 있는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내측관(20)이 측벽으로부터 형성된 상기 단부벽(24)과 상응하는 폐쇄단부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폐쇄단부는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의 원통형 구성부분 보다는 예를 들어 정점을 갖는 원추형 내측처리실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개방단부(28)는 측벽(26)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은 환상플랜지(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환상플랜지(30)에는 하나의 요부가 외주부분에 대략 폭 전체에 걸쳐 활 모양으로 만입하여 형성된 궁형요부를 가지고 있다(제2a도). 상기 궁형요부(32)의 용도는 후술한다. 상기 원통형 측벽(26)에는 본질적으로 서로 반대편에서 대향하는 구멍(34, 36)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때 내측관(20) 한쪽 편의 외부로부터 내부처리실(22)을 통하여 내측관(20)의 다른 쪽 출입구로 횡방향 액체소통을 가능케 한다.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출입구(34, 36)들은 크기가 본질적으로 동일하며, 서로 반대편에, 즉, 상기 내측관(20)의 종축(100)을 중심으로 대략 180도 대향하여 위치한다. 또한 상기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34, 36)들은 상기 원통형 측벽(26)의 원주면에서 본 윤곽은 본질적으로 4각형을 이루고 있으며, 각 출입구(34, 36)들은 길이 방향으로 서로 떨어져서 대향하고 있는 아치형 단부벽(41, 42)들과, 본질적으로 직선형 종벽(43, 44)을 형성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액체가 상기 출입구(34, 36)들을 거쳐 내측관(20)을 통하여 적절한 횡방향 액체소통이 보장되는 한, 상기 출입구(34, 36)들은 크기가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고, 길이 방향으로 서로 반대로 엇갈려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중심축(100)에 대하여 서로 180도 아닌 다른 각도로 위치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치(1)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단일 출입구(34) 및/또는 (36)들을 세공, 슬릿구멍, 망상구조와 같은 적절한 형상을 갖는 다수의 출입구들로 바꿀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내부처리실(22) 안에는 상기 단부벽(24)으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뻗은 하나의 돌기부(29)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기(29)는 상기 출입구(34, 36)들에 대하여 겔 조각을 적절하게 위치시키고 배열시키기 위하여 특히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출입구(34, 36)들은 각각 적절한 막피장치(60)로 밀봉 폐쇄되어 있다. 상기 막피장치(60)는 상기 내부처리실(22) 내에 있는 시료에 대하여 실시될 제2물질로부터 제1물질의 분리를 가능케 하는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그와 같은 분리는 특히 제1분자량 범위 내의 분자량을 갖는 분자들이 제2분자량 범위 내의 분자량을 갖는 분자들로부터 분리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그와 같은 제어분리는 투석 및 전기용리와 같은 프로세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용리 프로세스를 위해서는 상기 막피장치(60)의 어느 한쪽 면이 적절한 완충액과 접촉할 때, 막피장치(60)의 한쪽 면과 다른 쪽 면 사이에 이온 및 분자의 유동을 가능케 하는 임의의 적절한 반투막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반투막은 오직 미리 결정된 일정한 크기의 분자들만을 통과시키고, 보다 큰 분자들은 상기 막피에 의하여 저지된다. 따라서 전기용리와 관련하여, 상기 막피장치(60)는 목적하는 고분자들 보다 작은 분자들이 상기 막피를 통과시켜, 내부처리실(22)로부터 제거하도록 선택되며, 이때 목표 고분자들은 상기 겔 조각으로부터 회수하고자하는 고분자들인 것이다. 따라서 어떠한 크기의 이중사상 또는 단사상 DNA 또는 RNA 단편 또는 단백질의 전기용리에 적합한 컷오프(cut-off)를 갖고 있는 막피가 선태 된다. 유사한 방법으로 투석용을 위하여, 상기 막피장치(60)는 또한 특별한 임계치 보다 낮은 분자량의 분자들로 하여금 막피장치(60)를 통과시키고, 또한 고삼투성 용액으로부터 저삼투성 용액으로 이온이 흐르게 하여 상기 내부처리실(22) 내에서 필요로 하는 긴장상태를 유지시키며, 한편 목적하는 고분자들을 내부처리실(22) 안에 잔류시키는 반투막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막피장치(60)는 대응하는 출입구(34, 36)들 위에 밀봉 고정된 한 쌍의 막피조각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리고 선호되는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막피장치(60)는 막피재료로 만들어 길이방향에서 양단의 반대쪽 개방단부(62, 64)들을 갖는 대체적으로 원통형의 기다란 슬리브(66) 모양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슬리브(66)는 내측관(20)의 외경 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내측관(20) 위로 씌워서 상기 출입구(34, 36)들이 완전히 덮이도록 되어있다. 통상 이 작업은 단부벽(24)을 포함하는 내측관(20)의 종단부로부터 행하여진다. 그다음 상기 슬리브(66)는 상기 출입구(34, 36)들의 길이방향으로 양쪽 단부에 위치한 밀봉부위(72, 74)에서 상기 내측관(20) 위에 밀봉 고정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호되는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측벽(26)의 양끝에 형성된 밀봉부위(72, 74)는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 각각 한 쌍씩의 원주리브(circumferential ribs)(76, 77 및 78, 79)들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슬리브(66)의 내측 직경은 상기 원주리브(76, 77 및 78, 79)들과 공칭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크거나 또는 약간 작게 형성된다. 상기 슬리브(66)의 고정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내측관(20)의 외측 직경보다 약간 작은 비응력 내경을 갖는 적절한 고무밴드가 개별 탄력적으로 신장되어 상기 슬리브(66)와 내측관(20) 위로 둘레를 두른 다음, 상기 밀봉부위(72, 74)에서 해제되므로 써, 테두리가 수축하여 상기 슬리브(66)를 내측관(20)에 대하여 제자리에 파지된다. 다른 방법으로서, 노끈, 실, 또는 그와 같은 적절한 물건으로 상기 슬리브(66) 및 내측관(20)의 주위를 빙 둘러 밀봉부위(72, 74)에 각각 묶거나 기타 방법으로 단단히 고정시킨다. 하지만 상기 각각의 경우, 상기 출입구(34, 36)들 위에 겹쳐있는 상기 슬리브(66)의 각 부분의 일부는 여전히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적절한 치수로 제작되어 궁형결착면을 형성한 적절한 클램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슬리브(66)는 상기 밀봉부위(72, 74)의 직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갖는 탄성연신재료로 이루어져 있고, 비응력상태 하에 상기 밀봉부위(72, 74) 위에 테두리로 두를 때 상기 슬리브(66)에 발생하는 장력에 의하여 슬리브(66)를 밀봉부위(72, 74)에 밀봉하여 고정시킨다. 상기 선호되는 실시태양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66)는 관상 클램핑멤버(80)를 이용하여 상기 내측관(20) 위에 밀봉되어 고정된다.
특히 제4⒜, 4⒝도, 제5도 및 제8도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멤버(80)는 슬리브(66)를 내측관(20) 위로 위치시킨 다음, 슬리브(66) 위로 씌우고, 슬리브(66)를 밀봉부위(72, 74)에 밀봉 고정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클램핑멤버(80)는 일반적으로 관상형태로 형성되고, 따라서 내측원통면(94)을 갖는 원통벽(92)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원통벽(92)의, 즉, 내측원통면(94)의 내측직경은 밀봉부위(72, 74)에서 슬리브(66) 직경의 공칭치와 동일하거나, 또는 약간 크게, 즉, 대응하는 원주리브(76, 77 및 78, 79)들의 직경을 슬리브(66) 두께의 2배 만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클램핑멤버(80)는 또한 상기 내측원통면(94) 위에 형성된 한 쌍의 리브(86, 88)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클램핑멤버(80)가 슬리브(66)와 내측관(20) 위에 씌워져서 슬라이딩하여 적절히 위치할 때, 상기 리브(86, 88)들이 각각 밀봉부위(72, 74)에 배치되어, 특히 원주리브(76, 77 및 78, 79)들의 각 쌍 사이의 간격(96, 98)들 속에 각각 배치되도록 상기 리브(86, 88)들이 길이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상기 슬리브(66)가 대응하는 각조의 리브들 사이에 삽입되어 위치할 때, 각조의 리브들이 서로 대응하는 리브들, 즉, (86) 과 (76, 77) 사이에, 그리고 (88) 과 (78, 79) 사이에 스냅결합을 이루므로 써, 상기 슬리브(66)를 밀봉부위(72, 74)에서 정확하게 밀봉하도록 내측관의 원주리브(76, 77 및 78, 79)들과 클램핑멤버 리브(86, 88)들의 치수를 정밀하게 결정한다. 상기 내측관의 원주리브(78, 79)들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98)은 상기 원주리브(76, 77)들 사이의 길이방향 간격(96)보다 크게(또는 그 반대로) 설정하므로 써, 상기 장치(1)를 조립할 때, 클램핑멤버 리브(86, 88)들이 각각 간격(96, 98)들과 항상 일치하도록 보장한다. 그렇게 하므로 써, 예를 들어 제조상의 오류로 인한 상기 클램핑멤버 리브(86, 88)의 길이방향 간격에 일어날 수 있는 적절한 치수편차를 고려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클램핑멤버(80)는 또한 각각 외부로부터 클램핑멤버(80)의 내부로 횡방향 액체소통을 가능케 하는 한 쌍의 2차출입구(93, 95)들을 가지고 있다. 상기 2차출입구(93, 95)들은 상기 클램핑멤버(80)가 슬리브(66)와 내측관(20) 위에 밀봉 결착될 때 내측관(20)의 출입구(34, 36)들과 나란히 놓이도록 크기를 정하여 배치된다. 상기 선호되는 실시태양에 있어서, 2차출입구(93, 95)들의 형상과 치수가 내측관(20)의 출입구(34, 36)와 유사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장치(1)는 또한 상기 개방단부(28)를 밀봉 폐쇄하는 뚜컹(10)을 가지고 있다. 제1, 6⒜, 6⒝, 6⒞, 7 및 8도에 있어서, 상기 뚜껑(10)의 제1실시예인 뚜껑(10')은 상기 개방단부(28) 속으로 삽입되도록 되어있는 관상삽입부(11)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원통형 측벽(26) 내부에 형성된 상보형요부(27)와 결합하도록 되어있는 외부리브(13)가 형성되어 있어서 본질적으로 비투과성 스냅결합장치를 구성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삽입부(11)는 제1종단부(12)에서 폐쇄되어 있으며, 그 반대쪽 종단부에서 상기 삽입부(1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플랜지(14)는 상기 내측관(20)의 플랜지(30)의 직경과 대략 근사한 단경과, 그 단경보다 약 20-40% 더 큰 장경을 갖고 있는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랜지(14)는 상기 뚜껑(10')이 내측관(20)에 밀봉 결합될 때 상기 궁형요부(32) 속에 결합하도록 되어있는 대략 아치형으로 형성된 궁형돌기부(16)를 가지고 있다. 상기 내측관(20)의 플랜지(30)와 대향하는 상기 플랜지(14)의 상기 궁형돌기부(16)와, 그 반대편의 약간 짧은 횡축은 뚜껑을 열고자 할 때 상기 내측관(20)으로부터 뚜껑(10')의 제거를 매우 용이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14)의 장축은 상기 출입구(34, 36)들과 일직선으로 정렬된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뚜껑(10')의 외부면(19)에는 "+" 및 "-"라 는 표시(17)를 하며, 이 표시들은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식각 또는 인쇄하거나 기타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17)들은 사용자로 하여금 전기용리 처리실 안에 상기 장치(1)를 정확한 방향으로 쉽게 정렬할 수 있게 하며, 이때 상기 "-" 와 "+" 표시들은 각각 캐소드(cathode)와 애노드(anode) 방향을 나타낸다. 이것은 특히 중요한 것으로서, 만약 상기 장치(1)를 일시적으로 상기 전기용리 처리실로부터 제거하고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할 때 필요한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제9⒜, 9⒝도 및 제10⒜, 10⒝도에 있어서, 제2의 선호되는 뚜껑(10")은 본질적으로 나선형 나사로 죄어서 상기 개방단부(28)를 밀봉 폐쇄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2실시태양의 뚜껑(10")에는 상기 개방단부(28) 속으로 삽입되는 관상삽입부(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측벽(26) 안에 상보형 내부나사줄(27")과 나선 결합하도록 되어있는 외부 나사줄(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부(11")는 그의 제1종단부(12")에서 폐쇄되어 있으며, 그의 반대편 종단부에는 상기 삽입부(11")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플랜지(14")가 형성되어 있다 (제9⒜, 9⒝도). 상기 플랜지(14")는 바람직하게 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또한 바람직하게도 상기 뚜껑(10")을 열고자할 경우에 내측관(20)으로부터 본 실시예의 뚜껑(10")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플랜지(14")에 깔쭉 손잡이 원통면(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뚜껑(10")을 선택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비틀어주므로 써, 각각 상기 뚜껑(10")을 내측관(20)에 대하여 밀봉폐쇄하거나 개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제1실시태양의 뚜껑(10')에 있어서와 같이, 선택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실시예의 뚜껑(10")의 외부면(19")에는 "+" 및 "-"의 표시가 되어있다 (첨부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 이 표시들은 상기 뚜껑(10")이 축방향 행정종점에 도달하여 내측관(20) 속으로 더 이상 돌아가지 않을 때, 이 표시들이 전형적으로 상기 출입구(34, 36)들과 정렬되어 반복순환위치에 위치하도록 양각, 식각, 또는 인쇄, 기타 방법으로 표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표시들은 상기 장치(1)를 전기용리 처리실 안에서 상기 "-" 및 "+" 표시가 각각 캐소드 및 애노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쉽게 정렬시킬 수 있게 하여준다. 이것은 특히 중요한 것으로서, 만약 상기 장치(1)를 일시적으로 상기 전기용리 처리실로부터 제거하고 다시 동일한 방향으로 결합할 경우에 필요한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제1 또는 제2 실시형태의 뚜껑(10' 및 10")들 중 한쪽의 뚜껑을 위하여, 상기 클램핑멤버(80)의 외부면 및/또는 내측관(20)의 외부면에 선택적으로 "+" 및 "-"의 표시들(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음)을 하며, 이 표시들은 또한 양각, 식각, 인쇄, 또는 기타 방법으로 표시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 표시들은 상기 장치(1)를 전기용리 처리실 안에서 상기 "-" 및 "+" 표시가 각각 캐소드 및 애노드 방향으로 위치하도록 쉽게 정렬시킬 수 있게 하여준다.
선택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장치(1)는 또한 상기 내측관(20)의 제2단부(21)에 일체로 선호하여 형성된 각부(200)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각부(200)는, 선호되는 실시태양에 있어서, 2개, 3개, 4개 이상의 많은 플랜지(210)들이 축선(100)을 중심으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축선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서로 인접되어 있으며, 그 단면은 십자형 횡단면을 이룬다. 다른 방법으로서, 예를 들 어, 상기 각부(200)는 원추형, 원추대 모양의, 피라미드 모양의, 또는 표준 에펜도르프형 튜브의 폐쇄단부에 유사한 모양을 하거나, 또는 기타 적절한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장치(1)로 하여금 상기 슬리브(66)와 2차출입구(93, 95) 또는 뚜껑(10)의 방해를 받지 않고 원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적절한 클램프, 스탠드, 또는 에펜도르프형 스탠드에 의하여) 보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것은 상기 장치(10)가 전기용리에 사용될 때 전계에 대하여 특별한 방향으로 지향되어야 하므로 특히 중요하다. 선택적으로 각 플랜지(210)는 표준 에펜도르프형 튜브의 외형과 유사한 횡단면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장치(1)에 대하여 에펜도르프 튜브(Eppendorftube)들과 공동으로 사용되는 실험실 스탠드 및 장비의 호스트(host)와의 호환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상기 장치(1)는 표준 스탠드에서 상기 개방단부(28)를 맨 위로하는 단부 위에 위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각부(200)는 장치(1)의 편리한 조작을, 특히 겔 단편들의 장입/제거 및 소량의 투석용액의 공급/제거를 가능케 한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1)에는 서로 결합될 때 상기 내측관(20)의 단부벽(24)에 가장 가까이 접근되어 상기 클램핑멤버(80)의 단부에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된 각부(도시되지 않았음)가 형성된다. 그와 같은 클램핑멤버(80)의 각부를 필요한 변경을 가하여 상기 내측관(20)에 관하여 기술한 바와 같은 각부(200)와 유사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뚜껑(10), 내측관(20) 및 클램핑멤버(80)들은 각각 의학적으로 적합한 재료, 특히 플라스틱 재료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각각 일체로, 선택적으로 몰드부품으로서 제작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뚜껑(10), 내측관(20) 및 클램핑멤버(80)는 각각 일회용이지만, 시간의 경과와 더불어 열화되지 않는 안정된 재료로 제작되며, 따라서 상기 장치(1)를 독성 또는 기타 위험한 물질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할 경우에 적합하다. 그러나 상기 장치(1)를 비독성 또는 기타 비위험성 물질에 대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환경친화적 재료, 가능하다면 생물분해성 물질, 특히 상기 장치(1)에서 처리될 물질이 마찬가지로 생물분해성 이거나 또는 재활용이 가능할 경우에는 재활용 가능한 재료도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뚜껑(10), 내측관(20) 및 클램핑멤버(80)는 각각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그 어떤 적절한 열가소성 재료로부터 제조된다.
특정한 용도에 따라서, 상기 막피 슬리브(66)는 코튼린터로부터 얻어진다. 면과 셀룰로오스는 용제 속에 용해되어 평판으로 신장되거나 또는 튜브로 압출된다. 그다음 평판들은 세공들의 붕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글리세린으로 처리되고, 공기 중에서 일정한 온도와 압력 하에 건조하여 단단한 막피를 형성시킨다. 사용 시 필요한 경우, 막피를 유연하게 하는 종래의 기술에서 공지된 특수 용액 속에서 상기 단단한 막피를 처리한다. 상기 막피는 재생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불화비닐리덴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절한 자연 또는 합성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도 있다.
셀룰로오스막의 기공구조는 대칭적이며, 작은 분자들을 어느 쪽 방향으로든 이동을 가능케 한다. 재생 셀룰로오스막은 기공구조를 최적화하여 실험목적을 위하 여 이상적으로 하여주는 수정된 셀룰로오스이다.
제11도에 있어서, 다수의 장치(1)들이 동시에 하나의 장착대(300) 위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대(300)는 하나의 기초판(310), 상기 장치(1)들을 보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탠드(320)들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탠드(320)들은 각각 상기 기초판(310)으로부터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탄성 클램핑멤버(322)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 클램핑멤버(322)들은 탄력적으로 비틀려 서로 떨어져 있어서 상기 장치(1)를 클램핑멤버(322)들 사이에 끼워 장착할 때 장치(1)에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만들 수 있다. 상기 장치(1)는 출입구(34, 36)들을 상기 처리실의 애노드 및 캐소드와 일렬로 정렬하도록 출입구(34, 36)들과 함께 화살표(A, B) 방향으로 상기 장착대(300) 속에 고정된다. 상기 장착대(300)는 아제탈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반들 수도 있으며, 상기 아지탈은 물 보다 농도가 높으며, 따라서 상기 장착대(300)를 처리실의 완충액 속에 액침을 용이하게 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장착대(300)에는 화살표(A, B)들과 평행하게 장착대(300)의 길이를 따라 형성된 직립부(340, 350)들이 형성된다. 유리하게는, 상기 처리실 내에 물 또는 이온용액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초판(310)에 구멍(370)들이 형성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장착대(300)와 본질적으로 유사한 제2장착대(300')를 적절한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장착대(300)에 부착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부착장치의 형태들 중 하나는 상기 제1장착대(300)의 1개 직립부(350) 위에 형성된 1조의 융기부(330)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융기부(330)들은 제2장착대(300')의 대응하는 직립부(350') 내에 형성된 대응하는 착설부(360)들과 일렬로 정렬되어 서로 결합하도록 되어있다.
상기 장치(1)는 뚜껑(10)과 함께 또는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만약 뚜껑(10) 없이 사용될 경우에는, 상기 장치(1)는 대상액체매질 속에서 오직 부분적으로 액침되므로 써, 상기 개방단부(28)가 액체의 표면 위로 나오고, 따라서 상기 처리실(22)과 외부액체매질 사이의 액체이동은 오직 상기 막피장치(60)와 출입구(34, 36)를 통해서만 이루어진다. 이것은 상기 각부(200)에 의하여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각부(200)는 상기 장치(1)로 하여금 하나의 스탠드, 즉, 전형적으로 에펜도르프형 튜브 호환성 스탠드 위에 개방단부(28)를 맨 위로하여 직립위치로 장착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으로서, 상기 장치(1)는 상기 뚜껑(10)과 결합하여 개방단부(28)를 기밀 밀봉한다. 그와 같은 경우에는, 상기 창치(1)는 대상액체매질 속에 완전히 액침되고, 또한 상기 처리실(22)과 외부액체매질 사이의 액체이동은 오직 막피장치(60)와 출입구(34, 36)들만을 통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상기 장치(1)는 2개의 외부 이온 교환실에 연결되거나, 또는 교환완충액 속에 침지되며, 상기 내부처리실(22)은 대상 고분자들을 포함하는 겔 단편에 대한 전기용리 또는 투석을 실시할 환경을 제공한다. 상기 내부처리실(22)은 뚜껑(10)으로 폐쇄하고, 그다음 장치를 외부전원에 연결하여 전기용리를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외부 이온 교환실 속에 상기 장치(1)를 침지시킨다. 대안으로서는, 상기 장치(1)를 교환완충액 속에 침지시켜 농도경사에 의하여 고분자들을 분리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상기 장치를 투석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최소한 1개 이상의 물질은 아지드나트륨과 함께 항체용액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외부용액환경은 아지드나트륨을 함유하지 않는 적절한 완충액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은 저 또는 고 pH의 완충액을 갖는 DNA 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약 7.0 내지 약 8.0의 pH를 갖는 적절한 용액을 포함하고, 또는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은 약 20%의 글리세린을 갖는 단백질용액을 포함하며,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글리세린을 함유하지 않는 적절한 완충액을 포함한다.
상기 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예리한 칼 또는 면도칼을 사용하여 대상밴드(band of interest)를 함유하는 아가로스 또는 아크릴아미드 단편을 교화체로부터 절단하여, 상기 내부처리실(22) 내의 돌기부(29)에 탑재한다. 상기 내부처리실(22)을 물(예를 들면 약 0.8㎖)로 충전하거나, 또는 원하는 완충액을 충전한 다음, 뚜껑(10)으로 폐쇄한다. 그다음, 상기 장치(1)를 전기영동조의 lxTAE 속에 침지한다. 그다음 상기 장치(10)를 통하여 전류를 통한다(전형적으로 약 10-30분 동안 80V). 이 기간 동안 상기 내부처리실(22) 내에서 DNA, RNA 또는 단백질이 겔로부터 물 속으로 용리된다. 이 공정은 자외선램프로 편리하게 감시할 수 있다. 그다음 전류의 극성을 역전시켜 상기 투석 슬리브(66)의 벽으로부터 DNA, RNA 또는 단백질을 방출시킨다. 그 다음 전기영동실로부터, 그리고 축적된 DNA, RNA 또는 단백질을 피펫(pippete)으로 천천히 받아내어 상기 분자들을 슬리브 관벽으로부터 제거하는 내측관(22)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장치(1)를 회수한다. 그 다음 상기 장치(1)를 뚜껑(10)을 통하여 개방되고, 그 속에 들어 있는 물을 조심스럽게 깨끗한 1.5㎖ 마이크로퓨지 튜브(microfuge tube)로 옮겨서 DNA, RNA 또는 단백질을 침전시킨다. 예를 들어, 염농도를 초산나트륨(0.3 M, pH 5.2, 최종농도) 또는 초산암모늄(2.0-2.5 M, 최종농도)으로 조정한다. 그다음, 실내온도를 갖는 약 0.7-1.0의 이소프로파놀(isopropanol)량을 물에 첨가하여 잘 혼합한다. 그다음 상기 시료를 즉시 약 10000-15000x g로 15-30 분간 온도 4℃하에서 원심분리를 한다. 그다음 펠릿(pellet)을 교란시키지 않고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따라낸다. 그다음 실내온도 하에 70%의 에타놀 1 ㎖를 첨가하여 상기 펠릿을 세척한 다음 4℃에서 5-15 분간 10000-15000x g로 원심분리한다. 상기 펠릿을 교란시키지 않고 상기 상층액을 조심스럽게 따른 다음 약 5-20 분간 공기로 건조시킨다. 그다음 DNA 또는 RNA를 적절한 완충액 속에 다시 용해시킨다.
투석을 위해서는, 시료를 상기 장치(1) 속에 넣은 다음, 뚜껑(10)으로 폐쇄한다. 그다음 상기 장치(1)를 특수 다량의 완충액 속에 1.5 내지 3시간 동안 침지한다. 그다음 상기 시료를 청정 튜브로 이송한다.
전술한 설명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몇 가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당업자들은 본 발명이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와 정신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형태와 세부내용의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장치(1) 뚜껑(10)
뚜껑(10') 뚜껑(10")
삽입부(관상삽입부)(11) 삽입부(관상삽입부)(11")
제1종단부(12) 제1종단부(12")
외부리브(13) 외부나사줄(13")
플랜지(14) 플랜지(14")
궁형돌기부(16) 깔쭉 손잡이 원통면(16")
표시(17) 외부면(19)
내측관(케이싱)(20) 제2단부(폐쇄단부)(21)
내부처리실(22) 단부벽(24)
원통형 측벽(26) 요부(27)
내부나사줄(27") 제1단부(개방단부)(28)
돌기부(29) 플랜지(환상플랜지)(30)
궁형요부(32) 출입구(34, 36)
단부벽(41, 42) 종벽(43, 44)
박막장치(60) 개방단부(62, 64)
슬리브(66) 밀봉부위(72, 74)
내측관 원주리브(76,77 및 78,79) 클램핑멤버(80)
클램핑멤버 리브(86, 88) 원통벽(92)
2차출입구(93, 95) 내측원통면(94)
간격(96, 98) 종축(중심축)(100)
각부(200) 플랜지(210)
제1장착대(300) 제2장착대(300')
기초판(310) 스탠드(320)
융기부(330) 직립부(340, 350)
직립부(350') 착설부(360)
구멍(370)

Claims (44)

  1. 미리 정해진 프로세스 중에 외부액체환경에 대하여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을 수용하도록 되어있는 처리실을 구성하는 하나의 비투과성 케이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싱은 상기 처리실과 상기 장치의 외부와의 사이에 개방된 소통을 제공하기 위한 최소 1개 이상의 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그것안의 상기입구는 캡에 의해 밀봉되어져 있으며, 상기 입구는 상기 처리실로부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이 선택적으로 삽입 및 제거될 수 있게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싱은 또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입구로부터 각각 분리되어 있는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케이싱은 또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 및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와 연합된 반투막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반투막장치는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에 밀봉고정 되므로 써, 각각 최소 1개 이상의 제1 및 제2 출입구들을 통하여 상기 처리실과 상기 외부액체환경 사이의 액체소통이 상기 막피장치를 통하여 이루어지도록 되어있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들은 상기 장치의 종축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서로 반대방향에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있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종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서 대향하고 있는 제1 및 제2 단부들과 원통형 측벽을 갖고 있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가 상기 원통형 측벽에 형성되어 있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종축에 대하여 180도 서로 반대방향으로 위치하는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는 상기 케이싱의 제1종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의 제2종단부는 폐쇄되어 있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단부로부터 상기 처리실 안으로 길게 뻗은 스파이크를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파이크는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이 고체 또는 겔 형태로 되어있을 때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물질을 상기 처리실 내에 보지하도록 되어있는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를 개방/폐쇄할 수 있는 뚜껑을 가지고 있는 장치.
  10.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피장치는 반투막 재료로 제작되어 제1 및 제2 종단부들이 형성된 하나의 관상 슬리브를 포함하며, 이때 상기 슬리브의 제1 및 제2 종단부들은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에 클램핑 장치에 의하여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1출입구와 상기 최소 1개 이상의 제2출입구의 각 종단부의 제1 및 제2 밀봉부위에 적절하게 밀봉하여 고정되는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장치는 상기 슬리브가 케이싱 위에 위치하고 있을 때 그 슬리브 위로 슬라이딩 하도록 되어있는 관상의 클램핑멤버(clamping member)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슬리브를 밀봉부위에 밀봉하여 고정시키는 밀봉장치를 가지고 있고, 상기 클램핑멤버는 또한 상기 최소한 1개 이상의 제1출입구 및 상기 최소한 1개 이상의 제2출입구와 각각 상보적으로 정렬되도록 되어있는 최소한 1개 이상의 제3출입구 및 최소한 1개 이상의 제4출입구를 포함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장치는 상기 각 밀봉부위에서 상기 클램핑멤버의 내측면에 제1원주리브와, 상기 케이싱의 외부면 위에 형성된 제2 및 제3 원주리브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제2 및 제3 원주리브들 사이는 하나의 계곡부를 형성하므로 써, 상기 슬리브의 일부분이 상기 제1원주리브와 상기 제2/제3원주리브들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제1리브가 상기 계곡부 속에 결합하도록 되어있는 장치.
  13.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에는 또한 상기 제2폐쇄단부로부터 상기 처리실 쪽과는 반대로 축방향으로 연장된 각부가 형성되어 있는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는 원추형으로 형성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가 클램핑멤버로부터 축방향으로 상기 처리실 반대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각부는 원추형으로 형성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선택된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장치.
  1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선택된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장치.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멤버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또는 열가소성 재료 중에서 선택된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장치.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는 코튼린터 또는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폴리설폰,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틸렌, 폴리올레핀,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 불화(弗化) 비닐리덴으로부터 선택된 생체적합성 재료로 제조되는 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액체환경은 DNA, RNA 또는 단백질을 위한 TBE, TAE 또는 단백질 완충액으로부터 선택된 런닝버퍼(running buffer)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용액을 포함하는 장치.
  22. 제1 내지 21항 중 하나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한 프로세스는 전기용리 프로세스 및 투석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장치.
  23. 삭제
  24. 하나의 기초판 및 제1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장치들을 보지하기 위한 다수의 스탠드들을 포함하는, 제1 내지 21항 중 어느 한 항의 다수의 장치들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각 스탠드에는 기초판으로부터 캔티레버식으로 고정되어 서로 대향하고 있는 한 쌍의 탄성 클램핑멤버들을 형성하여, 이 클램핑멤버들을 탄력적으로 비틀어 놓아서 클램핑멤버들 사이에 해당 장치를 끼워 위치시킬 때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장착대.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는 또한 그 위에 장착된 각 장치의 종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장착대의 길이를 연하여 형성된 서로 대향하는 직립부들을 더 포함하는 장착대.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와 연결된 처리실 안에서 물 또는 이온 용액의 흐름을 촉진시키기 위하여 상기 기초판에 형성되는 최소 1개 이상의 구멍을 더 포함하는 장착대.
  28.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대를 제2장착대에 부착하기 위한 부속장치를 더 포함하는 장착대.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부속장치에는 상기 한쪽 장착대의 직립부에 한 세트의 융기부들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융기부들은 다른 쪽 장착대의 대응 직립부에 형성된 대응 착설부와 정렬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장착대.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KR1020027015785A 2000-05-25 2001-05-22 처리실 KR1008239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L13637900A IL136379A0 (en) 2000-05-25 2000-05-25 Processing chamber
IL136379 2000-05-25
PCT/IL2001/000465 WO2001090731A2 (en) 2000-05-25 2001-05-22 Processing chamber with apertures for pipette acces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58940A KR20030058940A (ko) 2003-07-07
KR100823939B1 true KR100823939B1 (ko) 2008-04-22

Family

ID=11074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5785A KR100823939B1 (ko) 2000-05-25 2001-05-22 처리실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074313B2 (ko)
EP (1) EP1285257B1 (ko)
JP (1) JP5014552B2 (ko)
KR (1) KR100823939B1 (ko)
AT (1) ATE300732T1 (ko)
AU (2) AU6261201A (ko)
CA (1) CA2410322C (ko)
DE (1) DE60112284T2 (ko)
ES (1) ES2249440T3 (ko)
IL (2) IL136379A0 (ko)
WO (1) WO200109073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010058T2 (de) * 1999-02-26 2005-04-28 Exact Sciences Corp., Marlborough Biochemische reinigungsgeräte mit immobilisierten fangsonden und ihre anwendungen
US7943393B2 (en) * 2003-07-14 2011-05-17 Phynexus, Inc. Method and device for extracting an analyte
CA2566762C (en) * 2004-03-09 2010-01-19 Pierce Biotechnology, Inc. Dialysis device with air chamber
US8007668B2 (en) * 2008-02-08 2011-08-30 Pierce Biotechnology, Inc. Dialysis device with access port
US20090250345A1 (en) * 2008-04-03 2009-10-08 Protea Biosciences, Inc. Microfluidic electroelution devices & processes
US20090250347A1 (en) * 2008-04-03 2009-10-08 Protea Biosciences, Inc. Microfluidic devices & processes for electrokinetic transport
US8012350B1 (en) * 2008-11-14 2011-09-06 Aftab Alam Dialysis device
CN102702309A (zh) * 2012-05-24 2012-10-03 张力 蛋白质微量透析装置及使用方法
US9248407B2 (en) 2012-09-14 2016-02-02 Pierce Biotechnology, Inc. Dialysis device
DE102012025254A1 (de) 2012-12-21 2014-06-26 Helmholtz Zentrum München Deutsches Forschungszentrum Für Gesundheit Und Umwelt (Gmbh) Schraubröhrchen und Schraubdeckel für Biomaterial
US9999856B2 (en) * 2013-07-26 2018-06-19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s for electroelution of biomolecules
EP3168290B1 (en) * 2014-07-07 2021-12-08 Logos Biosystems, Inc. Apparatus for clearing tissue using electrophoresis
DE102018102383B4 (de) 2018-02-02 2019-08-29 Scienova Gmbh System zur Durchführung biologischer oder chemischer Verfahren
CN112312996A (zh) 2018-06-29 2021-02-02 皮尔斯生物科技有限公司 透析装置和传感器帽盖以及结合了所述透析装置和传感器帽盖的系统和方法
CN110699464A (zh) * 2019-11-14 2020-01-17 湖南文理学院 一种基于分子遗传标记技术的品种筛查方法
CN113941384B (zh) * 2021-11-21 2022-11-01 洛阳职业技术学院 一种可应用于快速无损分析的胶囊式二次离心管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6702A (en) 1984-11-05 1986-03-18 International Biotechnologies, Inc. Analytical electroelution device
US5200073A (en) 1991-02-22 1993-04-06 Gelman Sciences Inc. Polymeric film filter assembly
WO1994001763A1 (en) * 1992-07-10 1994-01-20 Macconnell William P Nucleic aci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5503741A (en) 1993-09-22 1996-04-02 Pierce Chemical Company Dialysis device with hermetically sealed vacant chamber
WO1996026291A1 (en) * 1995-02-24 1996-08-29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Mutation detection using solid phase pcr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87077A (fr) * 1924-10-09 1925-04-10 Procédé de fabrication des membranes ultrafiltres
JPS4821679B1 (ko) * 1969-05-06 1973-06-30
FR2301282A1 (fr) * 1975-02-18 1976-09-17 Bristol Myers Co Procede et appareil de dialyse a ecoulement laminaire
DE3147611A1 (de) * 1981-12-02 1983-06-09 Deutsches Krebsforschungszentrum, 6900 Heidelberg Vorrichtung zur quantitativen elution von proteinen oder polypeptioden aus einem gel.
DE3337669C2 (de) * 1983-10-17 1989-09-21 Carl Schleicher & Schuell Gmbh & Co Kg, 3352 Einbeck Gerät zur Elektroelution elektrisch geladener Makromoleküle
US4545888A (en) * 1984-04-06 1985-10-08 Walsh J William Apparatus for electrophoretic recovery of nucleic acids and other substances
JPS62115353A (ja) * 1985-11-14 1987-05-27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気泳動チユ−ブ
JPS62106155U (ko) * 1985-12-23 1987-07-07
US4699706A (en) * 1986-05-30 1987-10-13 Bio-Rad Laborator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on of species from electrophoresis media
JPS6315148A (ja) * 1986-07-07 1988-01-22 Hitachi Ltd ゲル中の微量成分の回収法
US4865813A (en) * 1986-07-07 1989-09-12 Leon Luis P Disposable analytical device
US4685813A (en) * 1986-07-28 1987-08-11 Moog Inc. Hydrostatic bearing
US4711365A (en) * 1987-02-09 1987-12-08 Fomby Kenneth A Container and closure assembly with folding sealing ribs
JPS63222254A (ja) * 1987-03-12 1988-09-16 Kusano Hiroshi 電気泳動装置用回収セル
US4809871A (en) * 1988-05-02 1989-03-07 Angelchik Jean P Closure for sealing an aperture
US5102518A (en) * 1989-01-27 1992-04-07 Whitehead Institute For Biomedical Research Electr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eluting desired molecules for further processing
US4964961A (en) * 1989-08-02 1990-10-23 E-C Apparatus Corporation Elution method and device
JPH06308082A (ja) * 1990-12-14 1994-11-04 Joko:Kk 蛋白回収器
JPH04358527A (ja) * 1991-06-04 1992-12-11 Fujitsu Ltd 微量溶液の透析方法および装置
US5109997A (en) * 1991-06-21 1992-05-05 Phillips Edwin D Expandable stopper
GB9319323D0 (en) * 1993-09-17 1993-11-03 British Gas Plc An electrical power generating arrangement
US5538614A (en) * 1994-08-17 1996-07-23 Han; Dawn D. Macromolecule recovery cassette
DE9417714U1 (de) * 1994-10-28 1994-12-22 Steckelbach Wilhelm Dipl Ing F Filterkerze
IL113211A0 (en) * 1995-03-31 1995-06-29 Yeda Res & Dev Colloids analysis method and device
US5733449A (en) * 1995-12-08 1998-03-31 Orbital Biosciences, Llc Microconcentrator device
AU6707496A (en) * 1996-08-12 1998-03-06 Hampshire Advisory And Technical Services Limited Diagnostic test container
SE9604441D0 (sv) * 1996-12-02 1996-12-02 Vincenzo Vassarotti Method, device and apparatus for concentrating and/or purifying macromolecules in a solution
JPH10282056A (ja) * 1997-04-04 1998-10-23 Atoo Kk 電気泳動ゲルの分離成分を回収する方法及びその装置
GB9808460D0 (en) * 1997-07-07 1998-06-17 Univ Bristol Porous container,and apparatus for use with the porous container
US6574746B1 (en) * 1999-07-02 2003-06-03 Sun Microsystems, Inc.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ulti-bit error protection in computer memory systems
US6395233B1 (en) * 2000-01-03 2002-05-28 Quest Diagnostics Investments, Inc. Rapid dialysis cell and method for automated instrumentation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6702A (en) 1984-11-05 1986-03-18 International Biotechnologies, Inc. Analytical electroelution device
US5200073A (en) 1991-02-22 1993-04-06 Gelman Sciences Inc. Polymeric film filter assembly
WO1994001763A1 (en) * 1992-07-10 1994-01-20 Macconnell William P Nucleic acid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5503741A (en) 1993-09-22 1996-04-02 Pierce Chemical Company Dialysis device with hermetically sealed vacant chamber
WO1996026291A1 (en) * 1995-02-24 1996-08-29 The University Of Nottingham Mutation detection using solid phase pc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36379A0 (en) 2001-06-14
AU6261201A (en) 2001-12-03
CA2410322C (en) 2010-07-20
WO2001090731A2 (en) 2001-11-29
IL152986A (en) 2006-10-31
DE60112284D1 (de) 2005-09-01
DE60112284T2 (de) 2006-06-01
EP1285257A2 (en) 2003-02-26
US20030133846A1 (en) 2003-07-17
US7074313B2 (en) 2006-07-11
ATE300732T1 (de) 2005-08-15
ES2249440T3 (es) 2006-04-01
JP5014552B2 (ja) 2012-08-29
JP2003534547A (ja) 2003-11-18
CA2410322A1 (en) 2001-11-29
KR20030058940A (ko) 2003-07-07
WO2001090731A3 (en) 2002-03-14
EP1285257B1 (en) 2005-07-27
AU2001262612B2 (en) 2005-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3939B1 (ko) 처리실
US5340449A (en) Apparatus for electroelution
ES2418831T3 (es) Dispositivo y procedimiento de cromatografía de afinidad bajo vacío
EP0651675B1 (en) Centrifugal method for concentrating macromolecules from a solution and device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GB2148326A (en) Electro-elution apparatus
RU2722075C2 (ru) Картридж для очистки нуклеиновой кислоты
EP1388005B1 (en) Hollow fiber membrane sample preparation devices
US4614576A (en) Microliter scale electrodialysis apparatus
AU2001262612A1 (en) Processing Chamber
JP2000515066A (ja) 試料調製のための注型膜構造物
CA2704771A1 (en) Sample preparation device
JP2003533212A (ja) 分離装置
CA2068220A1 (en) Combined centrifuge tube and porous selection means for separation and recovery of biological materials
US20040245163A1 (en) Purification device for ribonucleic acid in large volumes, and method
KR101955708B1 (ko) 핵산 추출튜브 및 이를 이용한 핵산 추출방법
CN101925396A (zh) 多孔滤筒
EP1268065B1 (en) Surface coated housing for sample preparation
US6531061B1 (en) Disposable dialysis cassette
WO2008066859A1 (en) Device for nucleic acid preparation
EP3750994A1 (en) Method for purifying and concentrating dna in forensic samples using selective filtration column
US5789243A (en) Cartridge for preparing purified nucleic acids
EP1217367A1 (en) Radial electrophoresis apparatus and method
US6713299B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biological materials
CN203803213U (zh) 过滤器保持桶、过滤器保持桶组件及旋转柱组件
JP2004317179A (ja) 精製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