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479B1 -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479B1
KR100822479B1 KR1020060103096A KR20060103096A KR100822479B1 KR 100822479 B1 KR100822479 B1 KR 100822479B1 KR 1020060103096 A KR1020060103096 A KR 1020060103096A KR 20060103096 A KR20060103096 A KR 20060103096A KR 100822479 B1 KR100822479 B1 KR 1008224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resin
resin
gas
protrusion
circumferenti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3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수
Original Assignee
김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060103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479B1/ko
Application filed by 김종수 filed Critical 김종수
Priority to AU2007309872A priority patent/AU2007309872B2/en
Priority to EP07833450A priority patent/EP2083986B1/en
Priority to ES07833450T priority patent/ES2388108T3/es
Priority to CA2667298A priority patent/CA2667298C/en
Priority to US12/311,789 priority patent/US7896644B2/en
Priority to PCT/KR2007/005141 priority patent/WO2008050972A1/en
Priority to PL07833450T priority patent/PL2083986T3/pl
Priority to JP2009532303A priority patent/JP4750208B2/ja
Priority to MYPI20091420A priority patent/MY144451A/en
Priority to CN2007800395841A priority patent/CN10158890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사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에 끼워지며, 상기 추출된 가스를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벤트링;을 포함하되,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Figure R1020060103096
사출, 포페트, 용융 수지

Description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NOZZLE ASSEMBLY FOR INJECTO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포페트의 하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포페트의 다른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제1벤트링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벤트링 부 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지지통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종래의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바디 110: 용융 수지 통로
120: 제1가스 배기 구멍 200: 헤드
210: 사출구 220: 제2가스 배기 구멍
300: 포페트 (poppet) 310: 제1수지 이동홈
320: 제2수지 이동홈 330: 벤트링 받침
340: 연결 구멍 350, 360: 콘
370: 축 380: 제2 벤트링
400, 410, 420: 제1 벤트링 405: 가스 수집 공간
430: 제1돌출부 440: 제2돌출부
450: 가스 이동 홈 460: 가스 이동 구멍
본 발명은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시킴으로써 고품질의 사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사출 성형은 열가소성수지를 성형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사출 성형은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여 제품을 만든다. 따라서, 사출기에는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된다.
사출기 노즐은 용융된 수지를 스크류 실린더를 이용하여 압송시키면서 사출 금형으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러한 사출기 노즐에 대해서는 실용신안공고번호 제1990-4225호(이하, "인용고안"이라고 한다.)를 통해 제안된 바 있다.
상기 인용고안에 의하면, 사출기 노즐은,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0), 헤드(20), 포페트(30), 그리고 벤트링(4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0)는 그 일단이 사출기의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용융된 수지가 실린더로부터 바디(10)로 공급된다. 상기 바디(10)의 타단에는 헤드(2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10)의 내부에는 용융 수지 통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용융 수지 통로(12)에는 포페트(30)와 벤트링(40)이 삽치된다.
상기 포페트(30)에는 상기 벤트링(40)이 끼워지며, 상기 벤트링(40)의 일측면에는 방사상으로 복수의 돌조(42)가 미세하게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가 상기 포페트(30)의 외주면을 지나갈 때,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은 상기 벤트링(40) 사이의 공간을 통하여 추출된다.
또한, 가스 배기 구멍(14)은 상기 바디(1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 형성되 어 있어, 상기 추출된 가스 성분은 상기 가스 배기 구멍(14)을 통하여 상기 바디(10)의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헤드(20)의 일단에는 사출구(2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12)로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포페트(30)의 외주면을 지나 상기 헤드(20)의 사출구(22)를 통해 금형(도시하지 않음)으로 공급된다.
그러나, 인용고안에 의하면,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는 상기 용융된 수지가 상기 포페트(30)의 외주면을 지나갈 때 배출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용융된 수지로부터 가스를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구성은 없었다. 따라서, 사출구(22)를 통해 분사되는 용융 수지에는 다량의 가스 성분들이 포함되어 있고, 이들 가스 성분들에 의하여 제품 불량이 발생되기도 하였다.
또한, 상기 벤트링(40)이 가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하므로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들을 건조시키기 위하여는 별도의 건조기가 필요하였다. 따라서, 설비가 복잡하고 제작 비용이 과대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효과적으로 추출하여 고품질의 사출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에 끼워지며, 상기 추출된 가스를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벤트링;을 포함하되,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페트는, 축; 상기 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된 벤트링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콘; 그리고 상기 축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2수지 이동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벤트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벤트링은,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서 상기 제1벤트링의 첫번째 실시예는 방사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조각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벤트링의 두번째 실시예는 상기 제1돌출부에 방사상으로 가스 이동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벤트링의 세번째 실시예는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가스 이동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의한 제1벤트링에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헤드 내부에 상기 제1벤트링이 삽입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헤드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제2가스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있다.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은 진공 펌프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그 내주면에 복수개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통; 상기 지지통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복수 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있는 벤트링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을 수 있다.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홈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통 돌출턱은 상기 제1,2수지 이동홈 사이에 형성된 포페트 돌출턱과 교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벤트링 부재는,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을 수 있다.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은 진공 펌프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지지홈에는 제3가스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바디(100), 헤드(200), 포페트(300), 그리고 제1벤트링(400, 410, 420)을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이다. 상기 바디(100)는 그 일단이 사출기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으며, 그 타단은 상기 헤드(20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는 용융 수지 통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바디(100)의 일단을 통해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를 통해 상기 헤드(200)에 공급된다.
또한, 상기 바디(100)의 후단부에는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벤트링(420)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100)에는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은 상기 바디(100)의 내주면에서 외주면까지 연통되어 있다.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은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상기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헤드(200)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100)와 결합하고 그 타단에는 사출구(210)가 형성되어 있어, 용융된 수지를 금형(도시하지 않음)으로 분출한다.
상기 바디(100)와 헤드(200)의 결합은 나사결합일 수 있다. 즉, 상기 헤드(200)의 일측 외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바디(100)의 일측 내주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상기 바디(100)와 헤드(200)를 나사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0)는 필요로 하는 직경을 가진 용융된 수지를 분출시키기 위해 상기 바디(100)측 단부로부터 상기 사출구(210)로 점차 내경이 축소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200)에는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배출하기 위한 제1벤트링(410)이 삽입될 수 있으며, 내주면으로부터 외주면까지 제2가스 배기 구멍(220)이 형성되어 상기 가스 성분을 상기 헤드(200) 외부로 배출한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에서 가스 성분을 더 많이 제거할 수 있어 사출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하게 된다.
상기 포페트(300)는 양 단부에 콘(350, 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페트(3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을 참조로, 상기 포페트의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포페트의 하나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포페트(300)는 양단에 콘들(350, 36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포페트(300)의 일측부에 벤트링 받침(33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벤트링 받침(330)에는 복수개의 연결 구멍(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페트(3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이동되어 있으며, 상기 제1수지 이동홈(31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막혀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멍(340)은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로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통하여 헤드(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용융된 수지는 막혀있는 제2수지 이동홈(320)에 의해 그 이동을 제한 받게 되고, 주위에 형성된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는 얇고 고르게 펴지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제1수지 이동홈(310)을 따라 헤드(20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사출구(210)를 통해 금형으로 분출되게 된다.
도 4를 참조로, 상기 포페트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포페트의 다른 구조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포페트(300)는 축(370), 콘들(350, 360), 복수개의 제2벤트링(380)을 포함한다.
콘들(350, 360)은 상기 축(370)의 양단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콘들(350, 360)은 상기 축(370)에 나사결합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콘(360)에는 벤트링 받침대(33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330)에는 연결 구멍(340)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벤트링(380)은 통상적인 벤트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제2벤트링(380)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제2벤트링(380)은 상기 축(370)에 끼워진다.
또한, 상기 제2벤트링(380) 중 헤드(200)쪽에 가장 가까운 제2벤트링(380)에는 제1수지 이동홈(310)만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각각의 제2벤트링(380)에 형성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 전체로서 용융된 수지가 이동할 수 있는 이동 통로를 각각 형성하게 되고, 그 중 제2수지 이동홈(320)이 형성하는 이동 통로는 헤드(200) 방향으로 막혀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연결구멍(340)은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용융된 수지는 제2수지 이동홈(320)을 통해 이동하다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가며 가스 성분을 추출하게 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헤드(200)의 사출구(210)를 통해 금형으로 분출되게 된다.
제1벤트링(400)은 상기 포페트(300)에 끼워지며, 추출된 가스를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5를 참고로, 제1벤트링의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제1벤트링의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벤트링(400)은 제1돌출부(430), 제2돌출부(440), 그리고 가스 수집 공간(40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430)는 상기 제1벤트링(400)의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제2돌출부(440)는 상기 제1벤트링(400)의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가스 수집 공간(405)은 상기 제1돌출부(430)와 상기 제2돌출부(4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430)는 상기 제2돌출부(440)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0.01~0.1mm일 수 있다.
제1벤트링(400)들이 밀착된 경우, 그 내주면에는 미세한 틈이 형성되지만 그 외주면은 밀착되게 된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로부터 추출된 가스는 상기 미세한 틈을 통하여 상기 가스 수집 공간(405) 내로 수집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예에 따른 제1벤트링(400)은 방사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조각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조각 사이에는 미세한 틈이 존재하게 되고, 이 틈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상기 조각들의 개수는 당업자가 바람직하 다고 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예에 따른 제1벤트링(400)에서 상기 제1돌출부(430)에는 방사상으로 가스 이동 홈(45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이동 홈(450)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예에 따른 제1벤트링(400)은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가스 이동 구멍(4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이동 구멍(460)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작용을 설명한다.
용융 수지 통로(110)로 공급된 용융 수지는 연결 구멍(340)을 통하여 제2수지 이동홈(320)으로 공급되고,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따라 이동한다. 그러나,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은 그 끝이 막혀 있으므로 상기 용융 수지는 이동을 제한받게 되어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간 후 제1수지 이동홈(310)을 따라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는 얇고 고르게 펴지게 되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또한, 추출된 가스 성분은 제1벤트링(400)들 사이에 형성된 틈을 통하여 가스 수집 공간(405)에 수집된다. 또한, 상기 제1벤트링(400)을 구성하는 각 조각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도 가스 수집 공간(405)에 수집된다. 그 후, 수집된 가스는 제1벤트링(400)을 구성하는 각 조각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 바디(100)의 내주면으로 이동되고, 상기 바디(100)에 형성된 제1가스 배기 구멍(120)을 통하여 바디(1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구성과 동일한 것은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분해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A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바디(100), 헤드(200), 지지통(500), 포페트(300), 그리고 벤트링 부재(47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100)는 그 일단이 사출기 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은 상기 헤드(20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는 용융 수지 통로(1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200)는 그 일단이 상기 바디(100)와 결합하고, 타단에는 사출구(210)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통(500)은 내부가 관통된 원통 형상이며, 상기 바디(100)의 내부에 삽치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500)의 내주면은 복수개의 지지홈(51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510)들 사이에는 지지통 돌출턱(53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홈(510)에는 제3가스 배기 구멍(520)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지지홈(510)으로 이동한 가스를 배출한다.
상기 포페트(300)는 양 단부에 콘(350, 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포페트(300)의 외주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페트(300)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33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330)에는 복수개의 연결 구멍(34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 구멍(340)은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연결한다. 또한, 상기 제1수지 이동홈(31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은 상기 헤드(200) 방향으로 막혀 있다.
또한, 상기 제1,2수지 이동 홈(310, 320) 사이에는 포페트 돌출턱(39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포페트 돌출턱(390)은 교대로 상기 지지통 돌출턱(530)과 설정된 거리(d)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설정된 거리(d)는 0.1~0.3mm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110)로 공급된 용융된 수지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320)을 통하여 헤드(200)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 후, 상기 용융된 수지는 막혀 있는 제2수지 이동홈(320)에 의해 그 이동을 제한 받게 된다. 따라서, 상기 용융된 수지는 이격되어 있는 상기 포페트 돌출턱(390)과 상기 지지통 돌출턱(53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제1수지 이동홈(310)으로 넘어가게 된다. 이 과정에서 용융된 수지는 얇고 고르게 펴지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이 효과적으로 추출되게 된다.
그 후, 용융된 수지는 제1수지 이동홈(310)을 따라 헤드(200)로 이동하게 되고, 상기 사출구(210)를 통해 금형으로 분출되게 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벤트링 부재(470)는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은 상기 지지홈(510)에 삽입된다.
또한, 상기 벤트링 부재(470)의 각 조각들은 내주면이 볼록하게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된 부분은 상기 제1,2수지 이동홈(310, 320)에 일정 부분 삽입되어 용융된 수지가 고르게 퍼져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의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벤트링 부재(470)는 제1돌출부(430), 제2돌출부(440), 그리고 가스 수집 공간(405)를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430)은 상기 벤트링 부재(470)의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제2돌출부(440)는 상기 벤트링 부재(470)의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가스 수집 공간(405)는 상기 제1돌출부(430)와 상기 제2돌출부(44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430)는 상기 제2돌출부(440)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당업자가 바람직하다고 판단하는 값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길이는 0.01~0.1mm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는 가스의 배출을 효과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진공 펌프(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 기 진공 펌프는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12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진공 펌프는 바디(100)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디(100)와 일체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으로 이동하는 용융 수지를 제2수지 이동홈에서 제1수지 이동홈으로 넘어간 후 분출하도록 하여 용융 수지를 얇고 고르게 펴며, 용융 수지에 포함되어 있는 가스 성분을 효과적으로 추출한다.
또한, 추출된 가스를 제1벤트링 사이의 틈 뿐만 아니라 제1벤트링을 구성하는 각 조각들 사이의 틈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하므로 효과적으로 용융 수지에 포함된 가스 성분을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 제품의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용융된 수지가 제2수지 이동홈에서 제1수지 이동홈으로 넘어가므로 연료 혼합률을 높여 플라스틱 제품의 색깔 성형에 유리하다.
또한, 가스와 타르를 수지로부터 분리하므로 금형의 내구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진공 펌프를 사용하여 보디 내 가스를 강제로 배출시키므로 가스를 보다 완벽하게 배출할 수 있다.

Claims (23)

  1.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에 끼워지며, 상기 추출된 가스를 상기 바디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1벤트링;
    을 포함하되,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포페트는,
    축;
    상기 축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연결하는 연결 구멍이 형성된 벤트링 받침대가 구비되어 있는 콘; 그리고
    상기 축에 끼워지며, 외주면에 상기 제1,2수지 이동홈이 형성된 복수개의 제2벤트링;
    을 포함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링은,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
    을 포함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링은 방사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조각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링은 상기 제1돌출부에 방사상으로 가스 이동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벤트링은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가스 이동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9. 제 5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0.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내부에 상기 제1벤트링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제2가스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은 진공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4. 내부에 용융된 수지가 지나가는 용융 수지 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바디;
    일단은 상기 바디에 결합되며, 타단에는 용융된 수지를 분사하는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 내부에 삽치되어 있는 복수개의 지지홈이 형성된 지지통;
    상기 지지통 내부에 삽치되어 있으며, 용융된 수지가 이동하며 상기 용융된 수지에 포함된 가스를 추출하는 제1,2수지 이동홈이 외주면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포페트; 그리고
    복수개의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으며, 각 조각들은 상기 지지홈에 삽입되어 있는 벤트링 부재;
    를 포함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 수지 통로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뚫려 있으며,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은 상기 헤드 방향으로 막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포페트의 일측부에는 벤트링 받침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벤트링 받침대에는 상기 용융 수지 통로와 상기 제2수지 이동홈을 연결하는 연결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8.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 사이에 형성된 복수개의 지지통 돌출턱은 상기 제1,2수지 이동홈 사이에 형성된 포페트 돌출턱과 교대로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19.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링 부재는,
    일측면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1돌출부;
    일측면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제2돌출부; 그리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 사이에 형성된 가스 수집 공간;
    을 포함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20. 제 19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는 상기 제2돌출부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더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21. 제 14항에 있어서,
    추출된 가스를 상기 보디 외부로 배출하는 제1가스 배기 구멍이 상기 보디의 내주면에서 외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22. 제 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스 배기 구멍은 진공 펌프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23.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홈에는 제3가스 배기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1020060103096A 2006-10-23 2006-10-23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100822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096A KR100822479B1 (ko) 2006-10-23 2006-10-23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EP07833450A EP2083986B1 (en) 2006-10-23 2007-10-19 Nozzle assembly for injector
ES07833450T ES2388108T3 (es) 2006-10-23 2007-10-19 Conjunto de boquilla para inyector
CA2667298A CA2667298C (en) 2006-10-23 2007-10-19 Nozzle assembly for injector
AU2007309872A AU2007309872B2 (en) 2006-10-23 2007-10-19 Nozzle assembly for injector
US12/311,789 US7896644B2 (en) 2006-10-23 2007-10-19 Nozzle assembly for an injector
PCT/KR2007/005141 WO2008050972A1 (en) 2006-10-23 2007-10-19 Nozzle assembly for injector
PL07833450T PL2083986T3 (pl) 2006-10-23 2007-10-19 Zespół dyszy do wtryskiwacza
JP2009532303A JP4750208B2 (ja) 2006-10-23 2007-10-19 射出機用ノズルアセンブリー
MYPI20091420A MY144451A (en) 2006-10-23 2007-10-19 Nozzle assembly for injector
CN2007800395841A CN101588908B (zh) 2006-10-23 2007-10-19 用于注射器的喷嘴组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3096A KR100822479B1 (ko) 2006-10-23 2006-10-23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479B1 true KR100822479B1 (ko) 2008-04-16

Family

ID=39324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3096A KR100822479B1 (ko) 2006-10-23 2006-10-23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896644B2 (ko)
EP (1) EP2083986B1 (ko)
JP (1) JP4750208B2 (ko)
KR (1) KR100822479B1 (ko)
CN (1) CN101588908B (ko)
AU (1) AU2007309872B2 (ko)
CA (1) CA2667298C (ko)
ES (1) ES2388108T3 (ko)
MY (1) MY144451A (ko)
PL (1) PL2083986T3 (ko)
WO (1) WO2008050972A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810B1 (ko) 2009-11-20 2010-07-28 이점석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WO2010087610A2 (ko) * 2009-01-30 2010-08-05 한도철강 주식회사 벤트링, 이를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생산 방법
KR101292498B1 (ko) 2011-07-29 2013-08-01 이준현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KR101585617B1 (ko) * 2014-03-12 2016-01-14 김태분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KR20160089729A (ko) 2015-01-20 2016-07-28 조성희 플라스틱 원료에 혼재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플라스틱 사출용 노즐
KR20160131672A (ko) 2015-05-08 2016-11-16 (주)벤트코리아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101690313B1 (ko) * 2016-06-24 2016-12-27 김용범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KR101970926B1 (ko) * 2018-10-10 2019-08-13 김상봉 복합소재 제조를 위한 압출기 및 사출기용 가스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91611A (zh) * 2014-07-24 2014-12-10 合肥斯科尔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排气喷射的立体打印机
CN104354264B (zh) * 2014-11-11 2017-09-26 积康螺杆制造(上海)股份有限公司 一种排气射咀
KR101635616B1 (ko) * 2015-10-06 2016-07-04 주식회사 디씨티테크놀로지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CN105345986B (zh) * 2015-11-11 2018-01-09 范焱林 聚氨酯鞋材的注塑送料机构
CN106626239A (zh) * 2017-01-12 2017-05-10 柳州开宇塑胶机械有限公司 一种注塑机快速喷嘴
KR102298636B1 (ko) * 2021-06-08 2021-09-07 양창준 하이 엔드 가스벤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17Y1 (ko) * 2005-06-01 2005-08-17 김종수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79667U (ko) * 1972-11-06 1974-07-10
JPS59156725A (ja) * 1983-02-25 1984-09-06 Yamashiro Seiki Seisakusho:Kk 射出成形機のノズル装置
JPS6372518A (ja) * 1986-09-16 1988-04-02 Teraoka Seisakusho:Kk 射出用ヘリカル溝部材をもつたノズル装置
KR900000328B1 (ko) 1986-09-24 1990-01-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선국 제어에 의한 텔레비젼의 시력 보호방법
KR900004225B1 (ko) 1987-02-04 1990-06-18 금성전선 주식회사 자기 융착 절연 바니쉬 조성물
KR900003287B1 (ko) * 1987-03-26 1990-05-14 윤기창 합성수지 사출기의 가스 배출장치
KR900004225Y1 (ko) * 1987-04-10 1990-05-12 이재웅 사출기의 노즐
JPH0633079B2 (ja) * 1989-06-12 1994-05-02 ジャパン・ハムワージ株式会社 船舶用舵の組立方法
JPH04189518A (ja) * 1990-11-26 1992-07-08 Sekisui Chem Co Ltd 射出成形用ノズル装置
US5273417A (en) 1992-03-12 1993-12-28 Automotive Plastic Technologies, Inc. Nozzle for gas-assisted injection molding
JP2871988B2 (ja) * 1993-02-04 1999-03-17 住友重機械プラスチックマシナリー株式会社 射出成形機
US5955120A (en) * 1994-03-01 1999-09-21 Dme Normalien Gmbh Heating device, in particular for use in injection molds for the processing of thermoplastic materials
CN2217500Y (zh) * 1994-11-10 1996-01-17 林宜功 一种塑胶射出成型机用射头
JP3014793U (ja) * 1995-02-15 1995-08-15 株式会社名機製作所 熱硬化性射出成形機の加熱筒
US5783234A (en) * 1996-07-25 1998-07-21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Hot runner valve gate for eliminating unidirectional molecular orientation and weld lines from solidified resin used for forming molded articles
KR200183608Y1 (ko) * 1998-02-26 2000-06-01 유영희 완충링을 가지는 주입노즐
GB2350814A (en) 1999-06-07 2000-12-13 Cinpres Ltd A nozzle for supplying or relieving pressurized gas in gas assisted injection moulding
JP2003136558A (ja) * 2001-10-31 2003-05-14 Canon Electronics Inc 射出成形機の射出ノズル
KR100631267B1 (ko) 2005-06-01 2006-10-09 (주) 한텍코리아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3017Y1 (ko) * 2005-06-01 2005-08-17 김종수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87610A2 (ko) * 2009-01-30 2010-08-05 한도철강 주식회사 벤트링, 이를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생산 방법
WO2010087610A3 (ko) * 2009-01-30 2011-01-27 한도철강 주식회사 벤트링, 이를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생산 방법
KR100972810B1 (ko) 2009-11-20 2010-07-28 이점석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KR101292498B1 (ko) 2011-07-29 2013-08-01 이준현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KR101585617B1 (ko) * 2014-03-12 2016-01-14 김태분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KR20160089729A (ko) 2015-01-20 2016-07-28 조성희 플라스틱 원료에 혼재된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플라스틱 사출용 노즐
KR20160131672A (ko) 2015-05-08 2016-11-16 (주)벤트코리아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101690313B1 (ko) * 2016-06-24 2016-12-27 김용범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및 이를 포함하는 타르 배출 컨트롤 시스템
KR101970926B1 (ko) * 2018-10-10 2019-08-13 김상봉 복합소재 제조를 위한 압출기 및 사출기용 가스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44451A (en) 2011-09-30
EP2083986B1 (en) 2012-06-27
AU2007309872A1 (en) 2008-05-02
JP2010505673A (ja) 2010-02-25
CN101588908B (zh) 2012-10-03
US7896644B2 (en) 2011-03-01
AU2007309872B2 (en) 2010-11-11
WO2008050972A1 (en) 2008-05-02
CA2667298A1 (en) 2008-05-02
CN101588908A (zh) 2009-11-25
PL2083986T3 (pl) 2012-11-30
JP4750208B2 (ja) 2011-08-17
ES2388108T3 (es) 2012-10-09
EP2083986A1 (en) 2009-08-05
CA2667298C (en) 2012-02-28
EP2083986A4 (en) 2011-04-20
US20100001102A1 (en) 201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479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KR100971999B1 (ko) 사출기
JP4705016B2 (ja) 噴霧器に関するプッシュボタン
CA1318095C (en) Injection molding machine
JPH0834028A (ja) ガス支援射出成形機械及びそのガス噴射装置
KR20100088383A (ko) 벤트링, 이를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및 그 생산 방법
KR101687681B1 (ko) 사출금형의 가스제거노즐
KR20150106714A (ko)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CN210415399U (zh) 一种注塑机的顶出杆快接结构
KR200393017Y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N212603262U (zh) 一种可拆卸的螺杆挤出机的热嘴喷头
KR100972810B1 (ko)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KR100631267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N100427216C (zh) 流体制品喷雾头
CN1263852A (zh) 可拆卸尖端的分配封闭件及其制造方法
CN210415395U (zh) 司筒顶出装置
CN105397982B (zh) 一种拆卸方便的注塑机用过滤型喷嘴
CN218736895U (zh) 一种食品加工模具脱模油喷枪
KR100879480B1 (ko) 이물질 제거기능을 가지는 사출성형기용 노즐.
KR20100055371A (ko) 사출기
CN205310680U (zh) 一种拆卸方便的注塑机用过滤型喷嘴
KR20100079051A (ko) 플라스틱 성형시 노즐에서의 가스 배기장치
KR102221674B1 (ko) 가스 배출수단을 구비한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N212707779U (zh) 一种能够走运水过顶针的司筒针组件
CN209832422U (zh) 一种搅拌式注塑机射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