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5617B1 -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 Google Patents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5617B1
KR101585617B1 KR1020140029129A KR20140029129A KR101585617B1 KR 101585617 B1 KR101585617 B1 KR 101585617B1 KR 1020140029129 A KR1020140029129 A KR 1020140029129A KR 20140029129 A KR20140029129 A KR 20140029129A KR 101585617 B1 KR101585617 B1 KR 101585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portion
molten resin
groove
wal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9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6714A (ko
Inventor
조재용
Original Assignee
김태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분 filed Critical 김태분
Priority to KR1020140029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56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06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6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5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5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1/00Handling, e.g. 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storage of plastics material before moulding; Automation, i.e. automated handling lines in plastics processing plants, e.g. using manipulators or robots
    • B29C31/04Feeding of the material to be moulded, e.g. into a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사출 또는 압출시 용융된 수지 내부의 저분자 불순물을 제거하는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는 중공형의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를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한 헤드; 상기 바디의 내부에 복수개로 정렬되게 삽입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로부터 저분자 물질인 가스 및 수분을 밖으로 걸러내는 벤트링; 및 상기 헤드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링에 장착되는 토피도를 포함하고, 상기 토피도는 상기 용융된 수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피도의 원주면에서 상기 토피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2홈부와, 상기 용융된 수지가 유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부의 첫단은 상기 인입부의 입구와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홈부의 끝단은 토출구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2홈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사선부에 의해 마감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NOZZLE ASSEMBLY FOR INJECTOR AND EXTRUDING MACHINE}
본 발명은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출기 또는 압출기에 결합되어 용융된 수지인 열가소성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 성형은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여 제품을 만들고, 압출 성형은 원료를 압출성형기에 공급하고 금형(金型)에서 밀어내어 일정한 모양의 단면을 가진 연속체로 변환시켜 제품을 만든다.
이러한 사출기 및 압출기에는 용융된 수지를 금형 내로 분사하기 위한 노즐이 장착되는데, 노즐은 용융된 수지를 스크류 실린더를 이용하여 압송시키면서 성형기로 공급되도록 한다.
예컨대, 사출노즐은 사출기의 실린더로부터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는 바디, 상기 바디의 용융된 수지를 사출 금형으로 공급하도록 사출구가 형성된 헤드, 상기 바디에 장착되는 포페트, 그리고 상기 포페트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용융된 수지내의 가스 성분을 제거하는 벤트링을 포함한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1에는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노즐 중 가스빼기 기능이 내장된 것으로서, 용융된 수지가 포페트의 제2수지 이동홈의 양측을 통해서 제1수지 이동홈으로 밀리듯이 넘어가도록 구성하였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즉, 종래에서는 용융된 수지가 제2수지 이동홈의 홈연장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이동함으로써, 원활한 월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1은 첫 번째 문제로서 제2수지 이동홈의 끝단에 수지가 밀려 정체하면서 마찰로 인한 발열로 수지가 탄화하는 현상이 발생하였으며, 두 번째 문제로서 좌우로 넘김에 있어 일정하지 않은 압력과 중력으로 인한 제1수지 이동홈의 첫단의 흐름이 좋지 않아 얼룩이나 갈변이 발생하였다. 또한, 특허문헌1은 세 번째 문제로서 제2수지 이동홈의 헤드 방향에 구면 형상으로 완전히 막혀져 있기 때문에 수지의 흐름성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발명의 다른 배경이 되는 특허문헌2에는 상기 제2수지 이동홈에 대응하는 유입 그루브와 상기 제1수지 이동홈에 대응하는 유출 그루브가 걸음부재에 형성되어 있고, 유입 그루브와 유출 그루부의 경계에 전체적으로 분산 배치된 복수개의 연통홈이 구비된다. 그러나, 특허문헌2의 연통홈은 유입 그루브의 수지물을 걸러지는 역할만을 수행할 뿐이므로, 위의 특허문헌1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지 못한다.
[특허문헌]
(특허문헌1)한국등록특허 제10-0822479호(2008.04.08)
(특허문헌2)등록실용신안 제20-0382609호(2005.04.14)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융된 수지를 제1홈부에서 제2홈부쪽으로 단방향으로 넘기게 하고, 제1홈부의 끝단을 제1사선부로 마감 처리함에 따라서, 용융된 수지가 정체 없이 원활하게 헤드의 토출구로 배출될 수 있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출 또는 압출시 용융된 수지 내부의 저분자 불순물을 제거하는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는 중공형의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를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한 헤드; 상기 바디의 내부에 복수개로 정렬되게 삽입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로부터 저분자 물질인 가스 및 수분을 밖으로 걸러내는 벤트링; 및 상기 헤드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링에 장착되는 토피도를 포함하고, 상기 토피도는 상기 용융된 수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피도의 원주면에서 상기 토피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2홈부와, 상기 용융된 수지가 유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부의 첫단은 상기 인입부의 입구와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홈부의 끝단은 토출구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2홈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사선부에 의해 마감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가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홈부의 첫단은 상기 인입부의 입구 옆의 벽에 의해 막혀있는 제2사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부의 끝단은 상기 제1홈부로부터 넘어온 상기 용융된 수지를 상기 헤드의 토출구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토출구와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1홈부는 상기 제2홈부의 첫단의 원주면에 대등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제1홈부의 일측을 따라 형성된 막힘벽; 및 상기 막힘벽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제1홈부의 타측을 따라 형성된 월류벽을 포함하고, 상기 월류벽의 코너에는 상기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에서 제2홈부로 원활하게 넘어가도록, 제2홈부로부터 제1홈부쪽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월류벽의 끝단에는 상기 제1사선부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월류벽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파인 제3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월류벽은 상기 월류벽의 첫단이 상기 월류벽의 끝단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월류벽의 상면이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는 넘버링이 삽입되어 있고,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에 의하면, 제1사선부 또는 제2사선부로 각각 마감 처리된 제1홈부와 제2홈부를 구비한 토피도를 제공하되,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로부터 경사지게 제2홈부로 원활하게 넘어가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수지 정체 현상에 따른 마찰로 인한 발열 및 수지 탄화 현상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용융된 수지를 단방향으로 넘김에 따라 압력 및 중력을 일정하게 받을 수 있게 하여서, 수지에서 얼룩이나 갈변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피도는 제1홈부는 일측의 막힘벽과 타측의 월류벽을 구비하되, 제1홈부와 제2홈부에 해당하는 월류벽의 코너에 만곡면을 형성하여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에서 제2홈부로 더욱 원활하게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토피도의 월류벽의 끝단에는 제1홈부의 제1사선부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월류벽의 저부보다 더 깊게 형성된 제3홈부를 더 구비함으로써,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의 제1사선부에서 제3홈부를 통해 곧바로 제2홈부로 이동할 수 있게 하여 수지 정체 현상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토피도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헤드쪽이 높고 헤드의 반대쪽이 낮게 되도록, 월류벽의 상부에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용융된 수지에 과도한 압력이 제1홈부의 첫단 위치에서 인가되지 않게 하고, 그 결과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의 첫단 위치에서 제2홈부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되고, 이처럼, 제1홈부의 첫단의 흐름을 개선시킴에 따라 얼룩이나 갈변이 용융된 수지에서 더욱 효율적으로 발생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노즐 조립체를 작업 용도, 노즐 등을 식별하기 위한 넘버링을 헤드에 탈부착 가능하게 더 구비함으로써, 사용 및 유지 관리가 용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의 분해 조립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피도의 정면도로서 주요 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피도의 우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로서 주요 부위를 확대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 B-B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압출기에 적용되었을 때의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이 사출기용 노즐 조립체로서 적용되었을 때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고, 도 7은 본 발명이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로서 적용되었을 때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먼저,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의 분해 조립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노즐 조립체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는 바디(100), 헤드(200), 벤트링(300), 토피도(400), 넘버링(500)을 포함한다.
바디(100)와 헤드(200)는 나사 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된다. 예컨대, 헤드(200)의 결합 부위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상기 수나사에 나사결합가능하도록, 바디(100)의 결합 부위의 내주면에는 암나사 결합될 수 있다.
바디(100)는 사출 또는 압출시 용융된 수지 내부의 저분자 불순물을 제거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바디(100)는 노즐 조립체를 연결하기 위한 사출기 또는 압출기의 해당 부위에 관통하게 결합될 수 있는 나사장착부(101)를 구비하고 있고, 나사장착부(101)의 반대쪽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중공형의 튜브부(102)를 구비한다. 바디(200)의 내부 형상은 토피도(400) 및 벤트링(300)을 삽입시킬 수 있고, 미세틈을 이용하여 용융된 수지로부터 저분자 물질 또는 불순물인 가스 및 수분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헤드(200)는 바디(100)에 결합되고, 더욱 상세하게 상기 튜브부(102)의 내주면의 암나사에 결합된다. 이런 헤드(200)는 용융된 수지를 배출시키는 토출구(201)를 구비한다.
헤드(200)의 내부 형상은 토피도(400)를 삽입시킬 수 있고, 토피도(400)와의 간극을 통해 이동된 수지를 토출구(201)쪽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벤트링(300)은 앞서 언급한 특허문헌들에 개시된 것과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특히 벤트링(300)의 외주면 또는 측면에는 복수개의 홈이 형성되어서 가스 및 수분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벤트링(300)은 바디(100)의 내부에 복수개로 정렬되게 삽입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로부터 저분자 물질인 가스 및 수분을 밖으로 걸러내는 역할을 담당한다.
토피도(400)는 헤드(200)와 바디(100)의 내부에서 벤트링(300)에 장착된다. 즉, 토피도(400)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에 사용되는 일종의 포페트로서, 용융된 수지를 정체 없이 원활하게 헤드(200)의 토출구(201)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를 위해서, 토피도(400)는 용융된 수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토피도(400)의 원주면에서 상기 토피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홈부(410)와, 상기 제1홈부(410)의 사이에 형성된 제2홈부(420)와, 상기 용융된 수지가 유입되는 인입부(430)를 포함한다.
또한, 토피도(400)는 헤드(200)를 향하는 방향으로 다단 형태의 제1콘부(440)를 형성하고 있고, 바디(100)의 나사장착부(101)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콘부(450)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제1콘부(440)는 제2콘부(45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돌출된 것으로서, 제1콘부(440)의 콘표면에는 토피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웨이브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콘부(440)는 제1콘부(440)의 직경이 감소되다가 일정하게 연장된 후 다시 부분적으로 증가된 후, 최종적으로 토피도(400)의 중심선 쪽으로 수렴하는 양태의 직경 변화를 통해서 다단 형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넘버링(500)은 헤드(200)의 외주면에는 삽입되고,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넘버링(500)의 외주면에는 노즐 조립체를 작업 용도, 노즐 등을 식별하기 위한 표식, 요철, 숫자 등이 더 구비되어 있을 수 있고, 식별력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넘버링(500) 자체의 색상이 노즐 조립체별로 서로 다르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바디(100)의 튜브부(102)에는 저분자 물질인 가스 및 수분을 노즐 조립체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배관(미도시)을 결합시키기 위한 복수개의 연결구멍(103)이 더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피도의 정면도로서 주요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피도의 우측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홈부(410)와 제2홈부(420)는 복수개로서 토피도(40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반복 배치되어 있고, 그 결과, 2개의 제1홈부(410)의 사이에 제2홈부(420)가 위치하거나, 2개의 제2홈부(420)의 사이에 제1홈부(410)가 놓일 수 있게 된다.
이때, 노즐 조립체 내에서 용융된 수지의 흐름(F)을 살펴보면, 상기 용융된 수지는 제2콘부(450)의 표면을 따라 토피도(4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르다가, 인입부(430)의 입구(431)를 지나서 제1홈부(410)로 유입되고, 이후 단방향으로 수지의 흐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홈부(410)의 월류벽(411)을 경사지게 넘어서 제2홈부(420)로 유입된 후, 제2홈부(420)를 따라 제1콘부(440)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토피도(400)의 제1홈부(410)의 첫단(412)은 상기 인입부(430)의 입구(431)와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홈부(410)의 끝단(413)은 토출구 방향, 즉 토피도(400)의 길이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2홈부쪽(420)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사선부(414)에 의해 마감되어 있다. 제1사선부(414)는 용융된 수지가 정체되는 것을 최소화시켜서 수지의 원활한 흐름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제2홈부(420)의 첫단(421)은 상기 인입부(430)의 입구(431) 옆의 벽(432)에 의해 막혀있는 제2사선부(42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부(420)의 끝단(423)은 상기 제1홈부(410)로부터 경사지게 넘어온 상기 용융된 수지를 도 2에 보이는 헤드(200)의 토출구(201)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토출구(201)와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다.
더욱 상세하게, 제1홈부(410)는 상기 제2홈부(420)의 첫단(421)의 원주면에 대등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제1홈부(41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된 막힘벽(415)을 갖는다. 여기서, 막힘벽(415)은 인접하는 제2홈부(420)와의 경계가 되고, 벤트링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있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는 막힘벽(415)을 통해서 월류되지 않고, 제1사선부(414)에 의해 가이드를 받아서 경사지게 유동 방향이 정해진 후, 반대쪽 월류벽(411)을 통해서 제2홈부(420) 쪽으로 경사지게 넘어갈 수 있다.
즉, 제1홈부(410)는 막힘벽(415)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제1홈부(410)의 타측을 따라 형성된 월류벽(411)을 포함한다. 여기서 막힘벽(415) 및 월류벽(411)은 제1홈부(410)의 폭 간격을 유지하면서 평행을 이룰 수 있다. 또한, 제1홈부(410), 막힘벽(415), 월류벽(411) 및 제2홈부(420)는 직선 형태로 토피도(400)의 외표면에 형성되거나,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용융된 수지의 원활한 흐름을 제공할 수 있도록 나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1사선부(414) 및 제2사선부(422)는 제1홈부(410) 또는 제2홈부(420)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상기 막힘벽(415)과 동일한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용융된 수지는 제1홈부(410)로부터 상기 월류벽(411)을 통해서만 제2홈부(420) 쪽으로 넘어갈 수 있다. 즉, 단방향으로만 월류가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토피도(400)는 용융된 수지에 의한 압력 및 중력을 일정하게 받을 수 있게 되어 품질 유지가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월류벽(411)의 끝단에는 상기 제1사선부(414)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월류벽(411)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파인 제3홈부(46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홈부(460)는 제1홈부(410)의 제1사선부(414)에 도착한 용융된 수지를 곧바로 제2홈부(420)로 이동시킬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하여 수지 정체 현상을 해소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선 A-A의 단면도로서 주요 부위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월류벽(411)의 코너에는 제2홈부(420)로부터 제1홈부(410)쪽으로 경사진 만곡면(411a)을 형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용융된 수지는 만곡면(411a)을 통해 원활하게 제1홈부(410)에서 제2홈부(420)로 넘어갈 수 있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선 B-B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월류벽(411)은 경사각(Q)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월류벽(411)은 월류벽(411)의 첫단(411b)이 상기 월류벽(411)의 끝단(411c)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월류벽(411)의 상면이 테이퍼면(411d)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테이퍼면(411d)에 의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융된 수지에 과도한 압력이 제1홈부(410)의 첫단(412) 위치에서 인가되지 않게 하고, 그 결과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의 첫단(412) 위치에서 제2홈부(420) 쪽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서, 제1홈부(410)의 첫단(412)의 흐름을 개선시킴에 따라 얼룩이나 갈변이 용융된 수지에서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는 수지가 용융될 시 발생되는 저분자 불순물을 제거하여 고품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압출기에 적용되었을 때의 노즐 조립체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앞서 상세히 설명한 본 실시예의 토피도(400)는 사출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온도계(610)를 압출기(600)의 바디의 장착구멍에 더 구비하고 있는 것으로서, 압력이 낮은 압출기(600)에도 적용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토피도(400)는 용융된 수지의 흐름을 기존의 구조에 비해 개선시킴에 따라서, 압출기(600)용 노즐 조립체에 적용시 압출 성능이 저하되지 않으면서, 저분자 불순물을 용융된 수지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100 : 바디 200 : 헤드
300 : 벤트링 400 : 토피도
410 : 제1홈부 411 : 월류벽
414 : 제1사선부 415 : 막힘벽
420 : 제2홈부 422 : 제2사선부
430 : 인입부 440 : 제1콘부
450 : 제2콘부 500 : 넘버링
600 : 압출기 610 : 온도계

Claims (6)

  1. 사출 또는 압출시 용융된 수지 내부의 저분자 불순물을 제거하는 노즐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용융된 수지를 공급받는 중공형의 바디;
    상기 바디에 결합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를 배출시키는 토출구를 구비한 헤드;
    상기 바디의 내부에 복수개로 정렬되게 삽입되고, 상기 용융된 수지로부터 저분자 물질인 가스 및 수분을 밖으로 걸러내는 벤트링; 및
    상기 헤드와 상기 바디의 내부에서 상기 벤트링에 장착되는 토피도를 포함하고,
    상기 토피도는 상기 용융된 수지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토피도의 원주면에서 상기 토피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제1홈부와, 상기 제1홈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2홈부와, 상기 용융된 수지가 유입되는 인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홈부의 첫단은 상기 인입부의 입구와 관통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홈부의 끝단은 토출구 방향을 향하면서 상기 제2홈부쪽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1사선부에 의해 마감되어 있으며,
    상기 제2홈부의 첫단은 상기 인입부의 입구 옆의 벽에 의해 막혀있는 제2사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홈부의 끝단은 상기 제1홈부로부터 넘어온 상기 용융된 수지를 상기 헤드의 토출구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토출구와 관통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1홈부는 상기 제2홈부의 첫단의 원주면에 대등한 높이를 갖도록 상기 제1홈부의 일측을 따라 형성된 막힘벽; 및 상기 막힘벽보다 낮은 높이를 갖도록 상기 제1홈부의 타측을 따라 형성된 월류벽을 포함하며,
    상기 월류벽의 코너에는 상기 용융된 수지가 제1홈부에서 제2홈부로 원활하게 넘어가도록, 제2홈부로부터 제1홈부쪽으로 경사진 만곡면을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벽의 끝단에는 상기 제1사선부의 경사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월류벽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깊게 파인 제3홈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월류벽은 상기 월류벽의 첫단이 상기 월류벽의 끝단에 비해 낮게 형성되도록, 상기 월류벽의 상면이 테이퍼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의 외주면에는 넘버링이 삽입되어 있고, 볼트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KR1020140029129A 2014-03-12 2014-03-12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KR101585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29A KR101585617B1 (ko) 2014-03-12 2014-03-12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9129A KR101585617B1 (ko) 2014-03-12 2014-03-12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14A KR20150106714A (ko) 2015-09-22
KR101585617B1 true KR101585617B1 (ko) 2016-01-14

Family

ID=54245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9129A KR101585617B1 (ko) 2014-03-12 2014-03-12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5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956A1 (ko) * 2018-05-24 2019-11-28 주식회사 제이비전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404B1 (ko) * 2015-05-20 2016-10-19 문광필 사출기용 가스배출 어댑터 노즐기
KR101970926B1 (ko) * 2018-10-10 2019-08-13 김상봉 복합소재 제조를 위한 압출기 및 사출기용 가스제거장치
KR102234468B1 (ko) * 2020-04-17 2021-04-01 주식회사 넥스젠그래핀폴리머스 그래핀 또는 탄소 소재-고분자 수지 복합체의 제조시설
CN114801053B (zh) * 2022-05-11 2024-04-12 如皋市华荣运动用品有限公司 一种健身器材生产用注塑机排料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9B1 (ko) * 2006-10-23 2008-04-16 김종수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2479B1 (ko) * 2006-10-23 2008-04-16 김종수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225956A1 (ko) * 2018-05-24 2019-11-28 주식회사 제이비전 사출성형기용 노즐 유니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6714A (ko)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5617B1 (ko) 사출기 및 압출기용 노즐 조립체
CN103407088B (zh) 边缘浇口注射成型设备
US20190389100A1 (en) Injection molding device and injection method thereof
KR100822479B1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
US7413431B2 (en) Injection molding nozzle tip having finned inner insert
KR101292498B1 (ko) 벤트봉을 구비한 노즐
CN203899800U (zh) 混合气体喷射器
CN105773944A (zh) 一种塑料异型材全包覆共挤模具
US20210245402A1 (en) Mold and method for forming a molded part
KR100744596B1 (ko) 이중 노즐바디로 길이조절이 가능한 플라스틱스 성형용핫런너 밸브 노즐
KR20160114843A (ko) 사출기용 노즐 어셈블리의 포펫트
KR100972810B1 (ko) 가스배출이 용이한 사출기용 노즐
CN215619702U (zh) 橡胶模具的流道结构
CN205674458U (zh) 挤出机用四柱四通道滤筒过滤器
CN101108527B (zh) 具有过滤装置的注塑喷头
TWI652160B (zh) Feed nozzle for low pressure injection molding
TW201141680A (en) Injection mold
KR101306592B1 (ko) 대형 도광판 사출 금형 장치
CN217434909U (zh) 一种分体式八射嘴整体流道
CN211640871U (zh) 一种内设冷却水流道的模具镶件及注塑模具
KR101082041B1 (ko) 툴 조립체
JP6898295B2 (ja) 成形機の樹脂溶融用加熱シリンダ
CN211218572U (zh) 一种电机端盖用模具
US20210138708A1 (en) Mol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ld
JP2018087393A (ja) 中空繊維成形体の抄造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