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2021B1 -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 Google Patents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2021B1
KR100822021B1 KR1020060105749A KR20060105749A KR100822021B1 KR 100822021 B1 KR100822021 B1 KR 100822021B1 KR 1020060105749 A KR1020060105749 A KR 1020060105749A KR 20060105749 A KR20060105749 A KR 20060105749A KR 100822021 B1 KR100822021 B1 KR 100822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xing means
roasting
smoke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봉진
Original Assignee
전봉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봉진 filed Critical 전봉진
Priority to KR10200601057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2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2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2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선, 닭, 오리, 각종 육류 등의 대상체를 굽기 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흡입 제거를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스탠드형 구이장치가 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원활한 구이작업이 가능하고, 또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선회되고, 나아가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중심축에 방사상(放射狀) 구조로 배열되어 있어 공전(公轉) 및 자전(自轉)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무거워 상기 고정수단의 일단(一端)이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 외에 상기 고정수단의 타단(他端)이 다른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필요한 경우를 위하여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구이용 열원이 켜진 상태에서도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을 구이장치의 하우징에 투입하고 빼내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는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열원;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도어 주변에 구비된 외부 흡입부와, 상기 외부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연기흡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구이, 회전, 연기, 흡입, 구동수단, 중심축,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공전, 자전, 지지부재, 캔틸레버

Description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ROASTER EQUIPPED WITH INHALATION MEANS FOR SMOKE DISCHARGED FROM DOOR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수단과 관련된 구이장치의 개략도,
도 4는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개한 개략적인 평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 구이장치 R1: 하우징
H: 열원 D: 구동수단
10: 모터 15: 고정기어
20: 중심축 20A: 케이스
30: 지지부재 31: 장착부
33: 절곡부 35: 걸림돌기
40: 고정수단 41: 종동축
41A,41B: 대응결합부 41a: 구름베어링
43A,43B: 디스크 45: 꼬챙이
50: 연기흡입수단 51A,51B: 흡입부
53: 송풍기 55A,55B: 덕트
60: 개폐수단 61: 댐퍼
본 발명은 생선, 닭, 오리, 각종 육류 등의 대상체를 굽기 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은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흡입 제거를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있어 스탠드형 구이장치가 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원활한 구이작업이 가능하고,
또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선회되고,
나아가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모터에 의하여 선회되는 중심축에 방사상(放射狀) 구조로 배열되어 있어 공전(公轉) 및 자전(自轉)이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무거워
상기 고정수단의 일단(一端)이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 외에
상기 고정수단의 타단(他端)이 다른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는 것이 필요 한 경우를 위하여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를 구현하여
구이용 열원이 켜진 상태에서도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을 구이장치의 하우징에 투입하고 빼내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생선, 닭, 오리, 각종 육류 등의 구이대상체를 굽기 위한 장치는 특허등록 제0365593호(2002.12.09) 『숯불조리기』와 같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굽는 장치 위주로 발전되어 왔으나,
굽는 시간이 오래 걸리고 하절기에는 열기로 인하여 고객이 꺼리는 경향이 있으며, 구이장치의 사용 열원에 있어서도 화학 처리된 가공 숯의 사용이 많아 소비자의 건강에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다.
또 종래의 구이장치는 구이대상체의 하부에 숯불이 위치됨에 따라 열에 의해 가열되는 구이대상체에서 발생된 육즙 등이 숯불에 낙하하여 연소됨으로써 연기와 냄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숯불이나 가스불 등의 열원에 의해 구이대상체가 타게 되어 사용자들이 기피하게 되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내재되어 있었다.
이에 고객이 착석한 상태에서 일일이 굽는 것이 아니라, 0.6m ~ 3m 정도의 높이를 갖고 작업자가 직립하거나 약간 허리를 숙인 상태에서 구이작업을 진행하 며,
주문에 따라 구이 점포에서 일괄적으로 생선이나 육류를 초벌구이하거나 완전히 구워 내놓는 방식을 취하는 형태로 사용되는 구이장치가 최근 각광받고 있으며,
이러한 형태의 구이장치를 본 명세서에서는 '스탠드형' 구이장치로 칭한다.
이러한 스탠드형 구이장치는 하절기에도 손님이 땀을 흘리며 고기를 굽지 않아도 되고, 고객이 직접 굽는 과정에서 기름이 튀고 냄새가 심하게 옷이나 머리카락에 배는 문제도 현저히 감소되며,
순수 장작이나 천연 숯불을 통하여 은은한 나무 향기가 고기에 배어 고기의 풍미가 향상되면서도 고온에서 빠른 굽기가 가능하여 육즙 손실이 적고
밀폐된 공간에서 두툼하게 썰린 형태로 또는 통째로 굽는 것이 가능하므로 외면만이 직화 구이와 같이 노릇노릇해지고 내부는 마치 수육처럼 익게 되므로 최근 지적되고 있는 직화구이로 인하여 육류에 발생되는 유해성분으로 인한 문제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러한 '스탠드형' 구이장치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이자 출원인인 전봉진은 2002년부터 각고의 개발과정을 거쳐, 그 결과물로써 등록 후 권리지분을 양수받은 실용신안등록 제0348805호(2004.04.14) 『숯불구이 장치』(사업상 부득이 동업자인 김동수 단독 명의로 출원)를 비롯하여, 특허등록 제0512564 호(2005.08.29) 『숯불구이장치』를 비롯한 다수의 출원을 한 바 있다.
특히 상기 특허등록 제0512564호에서는 구이대상체의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원활한 제거를 위하여 연기를 흡입하여 열원인 숯통으로 안내하여 재연소시키고, 또 연기를 수분 공급과 기름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이 채워져 있는 기름받이로 안내하여 물에 흡수되게 하는 방식으로 연기를 제거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럼에도 하우징에 구비된 도어의 틈새를 완전히 밀폐하는 것이 어렵고 도어 개폐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연기가 방출 확산되는 문제를 피할 수 없어 장작을 사용한 구이나 훈제구이시 구이작업자나 매장의 고객이 불편함을 겪는 것을 확인하게 되어,
본 발명의 연기흡입 제거 수단을 착안하기에 이르렀다.
한편, 구이장치 중 꼬챙이형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는 것과 관련된 공지 기술로
실용신안등록 제0318945호(2003.06.24) 『다중회전식 구이장치』 및 실용신안등록 제0347900호(2004.04.06) 『회전식 구이장치』가 있는데,
상기 두 등록실용신안에서는 모터와 연결되어 있고 세로로 배치된 공전축에 의하여 공전되면서 상기 공전축에 구비된 교차축 기어, 특히 베벨기어를 통하여 자전되는 꼬챙이와 관련된 구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구이장치는 기본적으로 옥수수 구이를 목적으로 한 것이어서 구이대상체가 작고 가벼우므로
꼬챙이는 일(一)단부만이 공전축(본 발명의 중심축에 대응)에 결합되어 지지되면 충분하므로 본 발명과 직접적인 대비 대상은 아니다.
또 실용신안등록 제0397588호(2005.09.27) 『다단 회전식 바비큐장치』에서는 역시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는 고기끼움봉이 중력방향과 직교하는 형태가 아니라 끼움봉 단부가 솟은 형태가 되도록 경사지게 설치되게 하여 고기 구이과정에서 발생하는 기름이 화덕에 떨어지지 않고 구동축 쪽으로 흐르도록 한 기술이 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경우 고기끼움봉에 가해지는 하중이 구동축 쪽에 쏠리므로(즉, 장착상태에서 끼움봉의 무게 중심은 구동축 쪽에 치우쳐 있다) 어느 정도 대형 구이장치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지만,
고기끼움봉(본 발명의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을 탈부착하는 작업의 원활성이 충분치 못하다.
다음으로 특허등록 제0500950호(2005.07.04) 『다단 회전식 바비큐 장치』에서는 각각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는 2층의 고기끼움봉 설치구조를 제시하되,
상기 고기끼움봉 외곽(즉, 구동 회전축의 반대쪽)에 지지 레일 역할을 하는 안내링을 구성함으로써
대량 고하중의 구이대상체를 끼움봉에 끼운 상태에서도 구이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어 대형 구이장치 구현에 적합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등록특허는 다단의 고기끼움봉 설치구조를 고려하고 있으나,
고기끼움봉을 지지하는 안내링, 특히 2층 이상의 안내링은 연속된 구조로 되어 있고 상기 끼움봉 하부에 배열된 형태여서
상기 끼움봉을 탈부착할 경우 끼움봉을 상기 안내링 위로 들어올려 넣고 빼야 되므로
구이대상체가 끼워진 상태에서 무거운 끼움봉을 탈부착하는데 많은 힘과 주의를 요하며,
특히 열원이 가동 중인 경우에는 끼움봉 탈부착 작업의 어려움은 배가된다.
본 발명은 종래 스탠드형 구이장치, 특히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한 특허등록 제0512564호에서 제시된 제연수단의 미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구이장치의 하우징에 장착된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나, 상기 도어의 개방시 방출되는 연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 흡입부를 갖고, 상기 외부 흡입부와 연통된 덕트에 구비된 송풍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통하여 외부 연기를 연통, 열원 또는 기름받이 역할을 하는 수조로 유도하여 제거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기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연기흡입수단을 이루는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되는 연기가 연통을 통하여 방출될 경우, 열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연통을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개폐하는 수단을 도입한 스탠드형 구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선회되고,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고,
더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의 지지구조가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 자체가 무겁고 대량의 구이대상체가 끼워져 가중되더라도
상기 고정수단의 양단이 중심축의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장착부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장착부에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종래 구이장치에서처럼 고정수단(꼬챙이) 지지구조물에 의한 간섭이 배제되므로 편리하고
이러한 고정수단 탈부착 과정의 편리성은 특히 다단 고정수단 설치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를 구현할 경우 더욱 돋보이게 되는 스탠드형 구이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착이 용이한 고정수단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장착부와 상기 고정수단의 대응결합부를 암부재와 수부재 형태로 구성하고,
상기 고정수단 자전의 원활성을 위하여 구름베어링을 도입한 스탠드형 구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는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열원;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도어 주변에 구비된 외부 흡입부와, 상기 외부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연기흡입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는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의 선회를 위한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어 있고,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선회되고 결합부를 구비한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선회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선회에 따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공전(公轉)을 하고,
상기 고정수단의 자전(自轉)을 위하여 상기 구동수단은 고정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 또는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고정기어와 맞물리는 피니언을 구비하고 있어 상기 고정기어와 상기 피니언이 상호 교차축기어를 형성하고,
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중심축 결합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의 타단을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심축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축과 함께 선회되며, 타단(他端)에는 장착부를 구비한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R)를 설명함에 있어 설명의 편의를 위하 여 방향기준을 도 1(골격을 위주로 도시하고 도어 생략)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직립되어 있는 중심축(20)을 중심으로 상하를 정하고,
상기 중심축(20)에 교차하는 형태로 고정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40)들은 방사상(放射狀)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R)의 하우징(R1)은 전래의 팔각정(八角亭)을 모방한 형상이고 지붕(R2)은 기와(미(未)도시 됨)를 형상화한 형태이며,
대략 직경이 2~5m이고, 지붕을 제외한 높이가 1.5~2.5m 정도의 대형 구이장치로 제작할 수 있고,
고객 유치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실내 또는 실외의 통행이 많은 장소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외벽은 구이과정의 관찰이 가능하도록 유리, 특히 내열 강화유리에 의하여 둘러싸여 있고,
적절한 방식(예: 상호 이격된 이중 강화유리, 유리섬유 등의 단열재 도입)으로 단열이 구현되어 열손실 방지 구조가 구비될 수 있으며,
단열재는 열원의 열이 하우징의 벽을 통하여 전도되어 외부로 열을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그 소재가 황토, 게르마늄, 맥반석, 옥, 또는 이들을 혼합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것일 경우 원적외선 방사 등의 기능을 통하여 구이대상체의 구이 풍미 향상에 도움이 되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외벽에는 1개소 이상에 도어(R1a)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붕의 상부 중앙에는 연통(R3)이 구비되어 있어 지속적으로, 또는 개폐수단(60)에 의하여 간헐적으로 구이과정에서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하여 냄새에 의한 관심집중 효과를 노릴 수 있고,
별도의 야간 조리용 조명이나 장식조명을 하우징 내외부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성을 높이기 위하여 하우징 하부에는 방향조절이 자유로운 캐스터(caster) 타입의 바퀴들이 설치되며(미(未)도시 됨), 상기 바퀴에는 공지된 록킹부재가 구비되어 있어 이동 후 고정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생선, 닭, 오리, 돼지고기, 소고기 등 각종 구이대상체를 익히는 열원(H)은 하우징(R1) 내 구이실(R1s)(도 3 참조)에 구비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열원으로 도 3 및 도 4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숯통(H1)에 담긴 숯(또는 장작)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숯통(H1) 하부에는 재받이(H2)가 구비되며, 청소를 위하여 상기 재받이는 하우징(R1) 하부의 재받이 삽입홈(H2a)(도 1 참조)을 통하여 장착되고 분리될 수 있으며,
별도로 최초 착화 용도나 필요한 온도 유지를 위하여 LPG 또는 LNG용 화구(火具)와 점화수단으로 이루어진 보조열원이 구비될 수 있으며,
완전연소(단순 구이용도) 또는 불완전연소(이때는 주로 훈제용도나 훈제맛 가미를 위한 것) 선택이 가능하도록 급기용 송풍기가 상기 하우징(R1) 하부, 특히 숯통(H1) 하부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구이장치(R)의 하우징 내 습도유지를 위하여 도 4(대략 도 3의 A-A 선을 따라 절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조(R5)와 배수관(R5a)(별도의 급수관 구비 가능)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수조(R5)는 수분 공급 외에 기름받이의 기능을 하여 물이 없을 경우 기름이나 육즙이 연소되어 연기가 발생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 연어, 오리, 닭, 돼지고기 등의 훈제를 위하여 하우징 내부 또는 외부에 훈제연기 공급수단이 구비되어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하우징 내에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이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신호는 외부에 구비된 제어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구이대상체인 어류 또는 육류 종류 및 크기, 부위 등에 따라 온도, 습도, 조리시간 등과 관련된 최적의 조리법을 매뉴얼로 만들거나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디스플레이에서 지시 되는대로 버튼만 누르면 초보자도 쉽게 평균적인, 그러나 뛰어난 맛의 구이요리를 만들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별도로 구이대상체에 따라 해당 점포만의 조리 노하우(시간, 온도, 습도 등)를 입력하고, 필요에 따라 암호화할 수 있도록 한다면 항상 동일한 품질의 구이요리를 제공하면서도, 요식업 특유의 조리 노하우 공개에 대한 거부감을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며,
제어패널은 보조열원의 점화수단 작동 및 가스불의 세기 조절, 연통의 자동개폐(일정 시간 단위로 개폐되도록 입력) 또는 수동개폐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R)에서 직립하는 형태로 배열된 중심축(20)은 원활한 회전을 보장하고, 열로부터 부품(특히 구름베어링과 고정수단(40)의 자전을 위한 피니언(23))을 보호하기 위하여 외피(20A)에 감싸여 있으며,
도면에서는 총 2층의 구이대상체 고정수단(40) 결합부(21A)(21B) 세트가 구비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 하우징(R1) 하부에 배열된 열원(H)의 위치와 중심축의 배열 각도 및 위치 등은 변형될 수 있으며, 도시된 열원과 중심축의 배열형태에 의하여 본 발명의 핵심인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와 관련된 보호범위가 제한되거나 임의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음으로 상기 중심축(20)의 선회, 보다 본질적으로는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40)의 선회를 위한 구동수단(D)은 전동모터(10), 상기 중심축(20), 그리고 이하에서 상술하는 지지부재(30)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모터(10)의 동력은 체인(11), 적절한 감속을 위한 기어비를 갖는 체인기어(11a)(11b),
상기 체인(11)에 선회되는 피니언(13b)과 상기 중심축(20) 하부에 구비된 웜 휠(13a)로 이루어진 웜기어(13)를 거쳐 상기 중심축(20)으로 전달되고,
상기 열원(H)으로부터의 보호를 위하여 상기 전동모터(10)는 하우징(R1) 외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상기 모터의 동력이 비교적 멀리 떨어진 중심축으로 전달되는 점을 고려하면 체인에 의한 동력전달이 적절하겠으나,
다양한 동력전달구조 구현이 가능하다.
이어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40)은 꼬챙이(spit)나 석쇠(grill) 등의 형태일 수 있는데, 도시된 것은 기본적인 꼬챙이 형태를 변형한 것으로,
종동축(41)의 양단에는 디스크(43A)(43B)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디스크(43A)(43B)에는 등간격으로 복수의 꼬챙이(45)가 배열되어 있는데,
구이대상체가 작거나 두툼하게 썰린 고기여서 소형이고 소중량의 것이라면 상기 꼬챙이(45)에 꽂혀 배열될 것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꼬챙이(45)는 쉽게 탈착되면서도 장착된 상태에서는 임의로 분리되지 않는 결합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만약 구이대상체가 통돼지와 같이 대형이고 대중량인 경우에는 상기 종동축(41)에 주된 하중이 미치도록 고정되고, 상기 꼬챙이(45) 보조적으로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상기 고정수단(40)의 종동축(41) 일단부, 특히 상기 디스크(43B) 외측 단부에는 삽입돌기(41B)가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돌기(41B)가 상기 중심축(20)의 결합부(21A)(21B)에 대한 대응결합 부를 구성하는 형태이다.
도시된 상기 중심축(20)의 결합부(21A)(21B)의 구조는
상기 중심축에 대하여 방사상을 이루도록 복수 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20)의 외피에 고정된 고정기어(15)(베벨기어 타입)와 함께
상기 고정수단(40)을 위한 자전(自轉)시스템을 이루는 피니언(23)
외측 단부의 돌기(23a)에 형성된 삽입홈 형태로,
상기 삽입홈 타입의 결합부(21A)(21B)는 상기 고정수단(40)의 삽입돌기(41B)가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공회전(空回轉)이 방지되도록
각 홈과 돌기의 단면이 원을 이루지 않는 형태(도면에서는 육각형)(그 외 삼각형이나 사각형 등의 다각형, 타원형, 반원형 등 가능)로 되어 있어
상기 고정수단(40)의 자전을 가능하게 하는 형태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R)에서 핵심 중 하나인 지지부재, 특히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30)는 도면에서
상기 중심축(20) 상부에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25)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있고,
타단(他端)에는 상기 고정수단(40)을 위한 장착부(31)가 구비되어 있는 형태인데,
상기 지지부재(30)는 하우징(R1)의 천장에 치우친 배열위치를 갖는다.
상기 지지부재(30)의 장착부(31)는 상기 중심축 외곽에 형성된 하향 절곡 부(33)와, 상기 절곡부 하단의 걸림돌기(35)를 포함하고,
이에 대한 상기 고정수단(40)의 대응결합부(41A)는 상기 걸림돌기(35)에 결합되는 갈고리(41A) 형태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고정수단(40)의 디스크(43A) 외측에 배열되어 대응결합부를 이루는 갈고리(41A)와 상기 지지부재(30)의 장착부(31)를 이루는 걸림돌기(35)를 보다 일반화시켜 표현하면,
상기 갈고리(41A)는 암부재에 해당하고, 상기 걸림돌기(35)는 수부재에 해당된다 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결합형태에서 암부재와 수부재의 위치는 상호 뒤바뀐 형태도 도입될 수 있고, 돌기와 갈고리 형태 외에 다양한 암수부재가 구현될 수 있다.
또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40) 보다 열원(H)에서 원거리에 위치,
즉, 상기 고정수단이 상기 지지부재 보다 열원에서 근접된 위치에 배열되어 있는 형태여서,
상기 지지부재가 열원에 더 가까운 경우에 상기 고정수단에 구비된 구이대상체가 열원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가려 조리를 방해할 우려가 없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의 공전시스템과 자전시스템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상기 고정수단(40)의 공전(公轉)시스템과 관련해서는,
상기 구동수단(D)의 모터(10) 작동으로 체인(11)과 체인기어(11a)(11b)를 거쳐 웜기어(13)를 이루는 피니언(13b)이 회전되고, 이어서 웜휠(13a)이 회전되면
상기 중심축(20)은 상기 외피(20A)와의 사이에 구름베어링이 개재된 상태이므로 마찰저항이 최소화된 상태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상기 중심축(20)에서 방사상으로 배열된 삽입홈 형태의 결합부(21A)(21B)에
대응결합부인 삽입돌기(41B)가 끼워진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40)은 회전되는데,
제1층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고정수단(40)들은 상기 삽입돌기(41B) 반대쪽인 디스크(43A) 외측에 롤러(141A)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R1) 내벽에서 상기 제1층 고정수단(40)과 수평을 이루는 위치에는 지지레일(30A)이 구비되어 있어,
결국 상기 제1층의 고정수단(40)은 일단부의 삽입돌기(41B)가 상기 중심축(20)의 1층 결합부(21A)에 끼워져 지지되고,
타단부의 롤러(141A)가 상기 지지레일(30A)에 의하여 지지되는 형태로
공전이 이루어지고,
다음으로 제2층에 방사상으로 배열된 상기 고정수단(40)들은 상기 삽입돌기(41B) 반대쪽인 디스크(43A) 외측에 구비된 갈고리(41A)가 상기 지지부재(30)의 장착부(31) 걸림돌기(35)에 걸쳐 있는 형태로 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중심축(20)의 회전에 따라 상단 디스크(25)가 회전되고 상기 지지부재(30) 역시 연동되므로
결국 상기 제2층의 고정수단(40)은 일단부의 삽입돌기(41B)가 상기 중심축(20) 2층 결합부(21B)에 결합되고,
타단부의 갈고리(41A)가 상기 지지부재(30)의 장착부(31) 걸림돌기(35)에 걸쳐져 지지되는 형태로
공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중심축(20)의 삽입홈 타입 1층 및 2층 결합부(21A)(21B)와 상기 고정수단(40)의 수는 같고, 2층에 배열된 상기 고정수단(40)과 상기 지지부재(30)의 수는 동일하며,
필요에 따라 1층에 배열되는 고정수단과 2층에 배열되는 고정수단의 개수와 크기, 구조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또 상기 중심축(20)의 고정상태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축의 외피,
특히 상기 1층과 2층 결합부(21A)(21B) 사이의 외피 연결부(20C)와 상기 하우징(R1)의 골격을 이루는 기둥은 90도 간격으로 배열된 네 지지봉(27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나아가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지지부재(30)는 상기 디스크(25) 반대쪽 외곽,
특히 상기 절곡부(33) 부근 상부에 별도로 롤러를 갖는 보조지지부재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의 천장에 상기 보조지지구의 롤러가 안착되어 안내되는 레일이 배열된 경우
상기 고정수단(40)의 하중이 증가되더라도
상기 지지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중심축(20) 상부의 디스크에서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보조지지부재의 롤러가 레일의 얹혀져 지지되는 형태가 되므로
보다 완벽한 지탱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의 자전(自轉)시스템을 설명하면,
상기 고정수단(40)의 일단부 삽입돌기(41B)가 끼워지는 상기 중심축(20)의 삽입홈형 결합부(21A)(21B)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니언(23)의 외측에 돌출된 돌기(23a)에 형성된 것이고,
상기 피니언(23)이 실질적으로 상기 중심축(20)에 고정된 형태이며,
상기 피니언(23)은 내부에 구름베어링을 개재한 상태로 축설되어 있어,
상기 피니언이 상기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공전되는 것 외에도 자전이 가능한 형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피니언의 축설구조 및 자전구조는 앞서 설명한 실용신안등록 제 0318945호 등에서 이미 공지되어 있다).
상기 피니언(23)과 맞물리는 베벨기어 형태의 고정기어(15)가 상기 중심축(20)의 외피(20A)에 고정된 형태로 되어 있어,
상기 중심축(2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피니언(23)이 공전을 하면,
상기 고정기어(15)는 움직이지 않고, 상기 피니언(23)은 치합되어 있으므로 결국 상기 피니언(23)의 자전이 일어나게 된다.
상기 피니언(23)의 자전에 따라 상기 결합부(21A)(21B)에 공회전(空回轉)이 방지된 구조로 결합된 삽입돌기(41B)를 구비한 고정수단(40) 역시 자전을 하게 되며,
제1층에 배열된 고정수단(40)은 타단부에 구비된 롤러(141A)의 작용으로 마찰저항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자전을 하게 되며,
제2층에 배열된 고정수단(40)은 상기 갈고리(41A) 하부에 별도로 상기 종동축(41) 타단부에 축설된 구름베어링(41a)을 구비하고 있어 역시 마찰저항이 최소화된 상태에서 자전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피니언(23)과 상기 고정기어(15)는 별도의 케이스(20B)에 의하여 감싸여 있고, 상기 결합부(21A)(21B)만이 노출될 형태여서 상기 열원(H)의 열이나 먼지, 재 등으로부터 베벨기어가 보호되는 형태이다.
상기 고정수단(40)의 자전을 위한 피니언(23)과 상기 베벨기어형 고정기어(15)는 공지된 다양한 교차축기어로 변형될 수 있으며,
또 상기 피니언(23)은 상기 중심축(20)에 방사상으로 축설된 형태 외에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피니언이 상기 고정수단(40)의 종동축(41)에 공회전이 가능하도록 축설되어 있고,
상기 피니언과 이에 치합되는 베벨기어는 상호 맞물리는 위치에 배열되어 있어,
상기 중심축에는 단순히 상기 고정수단의 삽입돌기가 결합되는 삽입홈만이 배열된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제1층에 배열된 고정수단들을 위한 상기 지지레일(30A)이 베벨기어 형태로 변형되고,
상기 피니언은 상기 베벨기어와 맞물리는 고정수단 종동축의 해당 위치에 배열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고정수단(40)은 2층의 세트를 이루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동수단(D)의 고정기어(15), 상기 중심축(20)의 결합부(21A)(21B), 상기 피니언(23), 상기 지지레일(30A), 상기 지지부재(30) 등의 모든 관련부재들도 이에 상응하게 구성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 상기 고정수단(40)이 이루는 세트 층은 3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때 상기 캔틸레버형 지지부재(30)는 가장 상부 층의 고정수단(40) 세트만을 위하여 배열되거나,
모든 층의 지지부재 세트를 위하여 구성되거나, 두 층 이상의 지지부재 세트를 위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상기 고정수단(40)의 일단부 삽입돌기(41B)를 상기 중심축(20)의 결합부(21A)(21B)에 끼우거나 빼 냄과 아울러
타단부 갈고리(41A) 또는 롤러(141A) 각각을 상기 지지부재(30)의 장착부(31) 걸립돌기(35) 또는 지지레일(30A)에 안착시키고 떼어내어
상기 고정수단을 착탈시키는 과정의 편리성을 고려하고
구동수단 모터 등의 재원과 제조비용 등을 고려할 때
상기 고정수단은 1~4층 정도로 배열되는 것이 적합할 것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핵심을 이루는 연기 흡입수단(50)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이장치(R)의 하우징(R1)에 구비된 도어(R1a)는 하우징의 측면에 구비된 힌지를 축으로 회동되어 하우징 내부 수용공간을 개폐하는 여닫이문 형태로 되어 있으나,
힌지가 하우징의 상부 또는 하부에 구비된 형태로 변형되거나, 심지어 미닫이문 등 다양한 개폐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도어는 전체적으로 강화유리가 구비되어 있어 하우징 내부 투시가 가능한데,
이는 구이 과정에 대한 관찰을 가능하게 하여 고객 유치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또 열원(H)인 숯이나 장작불의 교환 여부를 확인하거나, 수조(R5) 내부의 기름 또는 육즙 등의 축적 정도나 물의 소진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기흡입수단(50)은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R1a) 주변, 상세하게는 상기 도어 상부,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R4)를 이루는 패널에서 상기 도어 배열 위치에 천공된 구멍인 외부 흡입부(51A)와,
송풍기(53), 그리고 상기 흡입부(51A)와 상기 송풍기(53)를 연결하는 덕트(55A)를 포함한다.
도면에서 상기 도어(R1a)와 하우징(R1) 사이의 틈새, 또는 도어 개방시 배출되는 연기는 대기보다 높은 온도를 가져 상승하는 연기의 특성을 고려하여 도어 상부 천정(R4) 패널에 형성된 흡입부(51B)를 통하여
상기 송풍기(53)의 흡입력에 의하여 흡입된 후 다른 덕트(55b)를 거쳐 연통(R3)으로 배출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특허등록 제0512564호에서와 같이 구이대상체의 구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의 원활한 제거를 위하여 흡입된 연기를 열원(H)인 숯통으로 안내하여 재연소시키거나, 대안적으로 또는 병행하여 연기를 수분 공급과 기름 연소를 방지하기 위하여 물이 채워져 있는 수조(R5)로 안내하여 물에 흡수되게 하는 방식으로 연기를 제거하도록 덕트가 형성될 수 있고,
나아가 밸브를 통하여 연기의 소통 경로를 연통, 열원 또는 수조로 향하도록 선택할 수 있게 배관을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R1) 내부, 상세하게는 도어(R1a) 주변,
보다 상세하게는 천정(R4)를 이루는 패널에서 상기 도어 배열 위치에 천공된 구멍인 내부 흡입부(51B)가 더 구비되어 있고,
송풍기(53)와는 상기 외부 흡입부(51A)를 위한 덕트(55A)를 공유하는 형태로 되어 있어
보다 확실하게 상기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흡입 제거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내외부 흡입부(51B)(51A)는 상기 송풍기(53)의 흡입력이 상기 도어 상부 전체에 미치면서도 흡입력이 집중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도어 폭에 해당하는 길이를 갖고 좁은 슬릿 형태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R)에서 상기 연통(R3)을 여닫는 개폐수단(60)은
상기 연기흡입수단(50)을 이루는 송풍기(53)에 의하여 흡입되는 연기가 연통(R3)을 통하여 방출될 경우,
하우징 내부의 열손실을 최소화하여 원활한 구이조건을 보장하기 위하여 연통(R3)을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연통 개폐수단(60)은 상기 연통(R3) 내부에 축핀(61a)에 의하여 선회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댐퍼(61)와,
상기 댐퍼(61)의 무게중심이 편중되도록 하는 무게추(61A)(weight)와,
상기 댐퍼(61)의 개폐를 위하여 상기 무게추(61A) 반대편에서 와이어(65a)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는 권양기(63)를 포함한다.
상기 권양기(63)에 와이어(63a)가 감길 경우에는 상기 무게추(61A)의 작용에도 불구하고 상기 댐퍼(61)에 의하여 상기 연통(R3)이 폐쇄되고,
상기 권양기에서 와이어가 풀릴 경우에는 상기 무게추에 의하여 상기 댐퍼가 상기 축핀(61a)을 중심으로 선회 하강하여 상기 연통을 개방하게 되며,
이때 상기 와이어(65a)는 지붕(R2)에 고정된 롤러(65b)에 의하여 부드럽게 상기 권양기(63)에 감기고 풀릴 수 있다.
아울러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R)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내에는 온도센서 및 습도센서가 구비되고, 이 센서에 의하여 감 지된 신호는 외부에 구비된 제어패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며,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일정 시간 간격, 온도조건, 또는 연기량을 감지할 수 있는 광센서의 신호에 따라 기준값(일정 시간, 일정 온도, 일정 연기량(즉, 하우징 내부의 탁도(濁度))을 넘어서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권양기(63)를 정역회전시켜 상기 댐퍼(61)를 움직이는 방식으로 자동화된 연통개폐를 구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탠드형 구이장치는 하우징에 장착된 도어와 하우징 사이의 틈새나, 상기 도어의 개방시 방출되는 연기를 제거하기 위하여 외부 흡입부를 갖고, 상기 외부 흡입부와 연통된 덕트에 구비된 송풍기에 의하여 발생되는 흡입력을 통하여 외부 연기를 연통, 열원 또는 수조로 유도하여 제거하고, 아울러 상기 연기흡입수단을 이루는 송풍기에 의하여 흡입되는 연기가 연통을 통하여 방출될 경우, 열손실을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연통을 정기 또는 부정기적으로 개폐하는 수단을 도입하여 연기가 방출 확산될 경우 구이작업자나 매장의 고객이 불편함을 겪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이 구동수단에 의하여 선회되고,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이 공전과 자전을 병행하고, 더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의 지지구조가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고정수단 자체가 무겁고 대량의 구이대상체가 끼워져 가중되더라도 상기 고정수단의 양단이 중 심축의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장착부에 의하여 지지되므로 문제가 없을 뿐 아니라,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와 상기 지지부재의 장착부에 탈부착하는 과정에서 종래 구이장치에서처럼 고정수단(꼬챙이) 지지구조물에 의한 간섭이 배제되므로 편리하고 이러한 고정수단 탈부착 과정의 편리성은 특히 다단 고정수단 설치 구조를 갖는 구이장치를 구현할 경우 더욱 돋보이게 되며, 또한 탈착이 용이한 고정수단의 구현을 위하여 상기 지지부재의 장착부와 상기 고정수단의 대응결합부를 암부재와 수부재 형태로 구성하고, 나아가 상기 고정수단 자전의 원활성을 위하여 구름베어링을 도입하여 결국, 구이용 열원이 켜진 상태에서도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을 구이장치의 하우징에 투입하고 빼내는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자전과 공전을 병행하는 구이대상체의 고정수단과 스탠드형 구이장치에 대한 통상의 공지된 기술을 생략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이를 당연히 추측 및 추론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도어를 구비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열원;
    상기 하우징에 내장되는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및
    상기 하우징의 도어 주변에 구비된 외부 흡입부와, 상기 외부 흡입부와 연결되어 있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연기흡입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연기흡입수단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구비된 내부 흡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내부에는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의 선회를 위한 구동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와, 상기 모터에 의하여 선회되고 결합부를 구비한 중심축을 포함하며,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은 상기 중심축의 결합부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어 상기 중심축과 함께 선회하며,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중심축 결합부에 일단이 고정된 상기 구이대상체 고정수단의 타단을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중심축에 일단(一端)이 고정되어 방사상(放射狀)으로 배열되고, 상기 중심축과 함께 선회되며, 타단(他端)에는 장착부를 구비한 캔틸레버(cantilever)형 지지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60105749A 2006-10-30 2006-10-30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822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49A KR100822021B1 (ko) 2006-10-30 2006-10-30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749A KR100822021B1 (ko) 2006-10-30 2006-10-30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22021B1 true KR100822021B1 (ko) 2008-04-15

Family

ID=39534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749A KR100822021B1 (ko) 2006-10-30 2006-10-30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20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957A (ko) * 2021-04-20 2022-11-01 우창제 훈제구이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45Y1 (ko) * 2000-04-24 2000-09-15 이채덕 숯불구이장치
KR20040063041A (ko) * 2003-01-04 2004-07-12 김종목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200370324Y1 (ko) * 2004-10-01 2004-12-10 권태균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KR100557223B1 (ko) 2005-08-16 2006-03-10 김종오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6845Y1 (ko) * 2000-04-24 2000-09-15 이채덕 숯불구이장치
KR20040063041A (ko) * 2003-01-04 2004-07-12 김종목 공기순환식 고기구이기
KR200370324Y1 (ko) * 2004-10-01 2004-12-10 권태균 다단 회전식 바베큐장치
KR100557223B1 (ko) 2005-08-16 2006-03-10 김종오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957A (ko) * 2021-04-20 2022-11-01 우창제 훈제구이기
KR102489688B1 (ko) * 2021-04-20 2023-01-18 우창제 훈제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72199A (en) Rotary skewer cooker
US4366750A (en) Rotary skewer cooker
US7044050B1 (en) Indoor barbecue system
KR20020061116A (ko) 바비큐 그릴 스핏 어셈블리
CN205612315U (zh) 无烟尘自旋转烧烤装置
KR100847807B1 (ko) 제연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KR20140003929A (ko) 회전식 구이기
KR100817498B1 (ko) 탈착이 용이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스탠드형 구이장치
US9833108B2 (en) Barbecue grill with rotating fire receptacle
KR100733122B1 (ko) 회전식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1136198B1 (ko) 고기 구이용 가마
KR100822021B1 (ko)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KR20100090673A (ko) 야외 구이기용 꽂이 회전장치
KR100808529B1 (ko) 트롤리형 지지수단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20130077420A (ko) 자동 숯불구이장치
KR20080054925A (ko) 회전식 바베큐 장치
US7540233B1 (en) Multi-use cooker
KR20130030850A (ko) 바베큐장치
KR20120009813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구이 장치
KR101689089B1 (ko) 가마형 구이장치
KR200432413Y1 (ko) 참숯 바비큐 오븐
US20130139706A1 (en) Mobile smoker oven
KR20080006045U (ko) 훈제 바베큐 제조장치
KR200434509Y1 (ko) 야외용 고기구이기
CN211093524U (zh) 一种无烟烧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