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7223B1 -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 Google Patents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7223B1
KR100557223B1 KR1020050074872A KR20050074872A KR100557223B1 KR 100557223 B1 KR100557223 B1 KR 100557223B1 KR 1020050074872 A KR1020050074872 A KR 1020050074872A KR 20050074872 A KR20050074872 A KR 20050074872A KR 100557223 B1 KR100557223 B1 KR 1005572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ndow
roasting
roller
rotar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74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오
Original Assignee
김종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오 filed Critical 김종오
Priority to KR1020050074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72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72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72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6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horizontal turntab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2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arranged on wheels or spid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4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 A47J37/043Roasting apparatus with movably-mounted food supports or with movable heating implements; Spits with food supports rotating about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0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horizontal fire box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45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motor-driven food suppo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4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with blowers providing forced air cir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59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constructed from refractory bloc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7/00Baking; Roasting; Grilling; Frying
    • A47J37/06Roasters; Grills; Sandwich grills
    • A47J37/07Roasting devices for outdoor use; Barbecues
    • A47J37/0786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훈재구이실의 외면에 방열벽을 쌓아 줌으로서, 열기가 외부로 방열 되지 않도록 하면서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연료(숯)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훈재구이실의 외주에 슬라이드창을 설치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육류를 장전 및 인출시킬 수 있으며, 각 롤러구이틀에 설치되는 고기구이창이 송풍회전관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면서 외측받침링을 따라 공전(롤링)하도록 하므로 구이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송풍회전관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송풍회전관의 상단에는 지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통을 구비하여,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훈재구이실의 연기와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므로, 배출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송풍회전관의 상단 외주에 결합되는 연통의 하단에 물받이통을 설치하여 연통의 하단이 물받이통의 물속에 수장시켜 외부로 배출된 연기 및 냄새가 훈재구이실의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훈재구이실. 방열외벽. 롤러구이틀. 고기구이창. 구이창지지브래킷.

Description

롤러식 훈제구이장치{A Roller Type Meet Smoke Roast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의 정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에서 롤러구이틀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평면도 및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에서 롤러구이틀에 설치되는 고기구이창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 및 결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에서 롤러구이틀에 설치되는 구이창지지브래킷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에서 연통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분분 확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2: 훈재구이실 3: 지붕
4: 슬라이드창 5: 방열외벽 6: 방열내벽
7: 방열지붕 10: 송풍회전관 11: 지지틀
12: 지지대 13. 14: 베어링 15: 감속모터
19: 송풍구 20: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 21: 지지관
22: 입수구 23: 퇴수관 24: 물
25: 연통 29: 연통갓 30: 롤러구이틀
31: 회전원판틀 35: 외측받침링 40: 고기구이창
46: 회전원판 50: 구이창지지브래킷 54: 안치홈
본 발명은 육류가 꽂아지는 고기구이창을 롤링 공전시키면서 구이를 실시하도록 하는 롤러식 훈제구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훈재구이실을 슬라이드창이 구비되는 원통으로 형성하여 숯불화로를 인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훈재구이실의 외면에는 방열벽을 쌓아 열기가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하며, 훈재구이실의 중앙에는 송풍회전관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하며, 훈재구이실의 내부에서 송풍회전관의 외주에는 롤러구이틀을 다층으로 설치하되, 각 롤러구이틀에는 송풍회전관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면서 외측받침링을 따라 공전하는 고기구이창을 설치하여 구이를 실시하도록 하며, 송풍회전관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장착하고 상단에는 지붕의 외측에 연통을 구비하여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훈재구이실의 연기와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식 훈제구이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숯불을 이용하여 육류를 굽는(구이) 방법은 우리 민족의 고유한 요리방법으로서, 숯불을 이용하여 굽도록(구이 하도록) 하는 장치도 많이 제안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종래의 구이장치로서는 국내 실용신안 출원번호 제20-1999-6063호와 출원번호 제20-2002-15154호, 실용신안등록 제20-166412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172236호와 실용신안등록 제20-353455호, 특허등록 제10-362635호 등이 알려져 있다.
출원번호 제20-1999-6063호(식탁을 겸한 숯불구이장치)와 출원번호 제20-2002-15154호(테이블용 숯불 꼬치구이기)는, 숯불용기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된 구이장치틀의 내부에 육류가 꽂아지는 고기구이부재(꼬치봉)을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일렬 종대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자전)시키면서 구이를 실시하고, 구이장치틀의 내부 하단에 송풍장치를 구비하여 공기를 상측으로 송풍시켜 주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166412호는, 상부가 개방형으로 되고 내주면에 숯불용기가 장전되는 본체의 내부에는 회전원판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여, 회전원판의 상면 중앙에는 숯불용기를 안치하고, 회전원판의 외주에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 지지판에 석쇠와 기름받이가 상하로 구비된 연결봉을 장전시키되 연결봉의 상단을 숯불용기가 수납되는 원통체의 클램프에 장전시키며, 각 지지판의 저면에는 스프로켓을 장착하여 체인에 걸어준 것으로서, 회전원판을 회전(공전)시키면 스프로켓과 함께 지지판이 회전(자전)하면서 직립으로 세워진 연결봉을 회전 시켜 구이를 실시하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172236호는, 몸통의 상측에는 구이원판테이블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구이원판테이블의 외주에는 꽂이창이 구비된 피동테이블을 회전가능하게 설치하며, 피동테이블의 하단에는 롤러를 일체로 형성하여 몸통의 내주에 링 형상으로 형성된 가이드레일에 연접시켜서 된 것으로서, 구이원판테이블을 회전(공전)시키면 피동테이블과 함께 직립으로 세워진 꽂이창이 회전(자전)하면서 구이를 실시하도록 된 것이다.
실용신안등록 제20-353455호는, 원통형으로 된 하우징의 상측에는 우산형으로 된 구이원판을 모터에 의해 회전시킬 수 있도록 설치하고, 구이원판의 상부 일측에는 가스연소기를 하향으로 설치하여,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구이원판의 위에 육류를 안치하고, 가스연소기를 가동시켜 안치된 육류를 구이 하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들은 구이장치틀(본체)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어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고 낭비하는 문제가 있고, 상향되는 열기와 냄새가 사용자와 취식자의 얼굴에 비산되어 구이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의복과 실내공기를 극심하게 오염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으며, 꽂이창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경우에는 육류와 열기와의 접촉면적이 좁아 용이하게 구이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362635호는, 눕혀 설치된 원통형 본체의 내부에는 한 쌍의 회전판을 이격 설치하고, 이격 설치된 회전원판상에 다수의 고기꽂이수단을 원주상으로 설치하여, 회전원판상을 회전시키며, 원주상으로 설치되는 고기꽂이수단 의 중앙에 가열수단을 설치하여 원주상으로 설치되는 고기꽂이수단의 고기를 구이하며, 원통형 본체에는 배기통을 설치하여 구이 할 때에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것이다.
그러나, 이는 눕혀져 있는 원통형 본체에 배기통을 설치하여 구이할 때에 발생되는 연기와 냄새가 스스로 배출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연기와 냄새가 원활하게 배출되지 못하여 본체의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가 있고, 이격된 회전원판상에 고기꽂이수단을 원주상으로 설치하므로 구이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본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열기가 외부로 방출되어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사용능률도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더욱 개선된 롤러식 훈제구이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훈재구이실을 슬라이드창이 구비되는 원통으로 형성하여 숯불화로를 인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훈재구이실의 외면에는 방열벽을 쌓아 열기가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하며, 훈재구이실의 중앙에는 송풍회전관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하며, 훈재구이실의 내부에서 송풍회전관의 외주에는 롤러구이틀을 다층으로 설치하되, 각 롤러구이틀에는 송풍회전관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면서 외측받침링을 따라 공전하는 고기구이창을 설치하여 구이를 실시하도록 하며, 송풍회전관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장착하고 상단에는 지붕의 외측에 연통을 구비하여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훈재구이실의 연기와 냄새를 강 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식 훈제구이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훈재구이실의 외면에 방열벽을 쌓아 줌으로서, 열기가 외부로 방열 되지 않도록 하고,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연료(숯)의 소모를 ㅈd일 수 있으며, 훈재구이실의 외주에 슬라이드창을 설치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육류를 장전 및 인출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식 훈제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 롤러구이틀에 설치되는 고기구이창이 송풍회전관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면서 외측받침링을 따라 공전(롤링)하도록 함으로서, 구이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식 훈제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풍회전관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송풍회전관의 상단에는 지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통을 구비하여,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훈재구이실의 연기와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줌으로서, 배출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송풍회전관의 상단 외주에 결합되는 연통의 하단에 물받이통을 설치하여 연통의 하단이 물받이통의 물속에 수장시켜 외부로 배출된 연기 및 냄새가 훈재구이실의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된 롤러식 훈제구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훈재구이실(2)의 내부에 꼬치창(42)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감속모터(15)에 의해 회전시키고, 훈재구이실(2)에는 송풍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훈재구이실(2)의 상부에 지붕(3)을 덮어씌우고, 훈재구이실(2)의 측면 중간부에 슬라이드창(4)을 설치한 것과;
훈재구이실(2)과 지붕(3)의 외면에는 방열외벽(5)과 방열지붕(7)을 덮어씌워 적층시킨 것과;
방열외벽(5)의 하단에는 숯불화로투입구(8)를 형성하여 숯불화로를 투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훈재구이실(2)의 내부 중앙선상에는 송풍회전관(10)을 지지틀(11)의 지지대(12)와 베어링(13)(14)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감속모터(15)를 이용한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한 것과;
지지틀(11)의 지지대(12)와 동력장치의 외측에 방열내벽(6)을 설치하여 보호한 것과;
지지틀(11)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송풍회전관(10)의 하단에는 송풍구(19)를 연통되게 설치하고, 송풍구(19)에는 송풍팬을 설치한 것과;
송풍회전관(10)의 외주면과 훈재구이실(2)의 내주면에는 고기구이창(40)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어 자전 및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된 롤러구이틀(30)을 다층으로 설치한 것과;
송풍회전관(10)의 상측부에는 배출구(27)와 흡입공(26)이 상단과 하단에 뚫어진 연통(25)을 외측으로 끼워 설치하고, 방열지붕(7)의 상측으로 배출구(27)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단에는 연통갓(29)을 씌어 고정시킨 것과;
송풍회전관(10)의 상측부 외측에 끼워지는 연통(25)의 하단에는 연기역류방 지물받이통(20)을 설치하고,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의 중앙에 지지관(21)을 형성하여 송풍회전관(10)을 삽입하며,연통(25)의 하단이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 충진되는 물(24)에 잠기도록 하며,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는 물(24)이 공급 및 배출되는 입수구(22)와 퇴수구(23-1)를 형성하되, 퇴수구(23-1)에는 충진되는 물을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는 퇴수관(23)을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1)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과 특징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재구이장치(1)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서,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1)의 정면도 및 정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에서 롤러구이틀(30)을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와 평면도 및 정단면도이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에서 롤러구이틀(30)에 설치되는 고기구이창(40)을 발췌하여 보인 분해도 및 결합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서 롤러구이틀(30)에 설치되는 구이창지지브래킷(50)을 발췌하여 보인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서 연통부분을 발췌하여 보인 분분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재구이장치(1)는 다음과 같이 형성하였다.
훈재구이실(2)의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상부에는 지붕(3)을 덮어씌웠으며, 훈재구이실(2)의 측면 중간부에는 슬라이드창(4)을 설치하여 슬라이딩시켜 개폐시 킬 수 있도록 하였다.
훈재구이실(2)과 지붕(3)의 외면에는 방열외벽(5)과 방열지붕(7)을 덮어씌워 적층시키되, 통상의 내화벽돌을 적층시켜 열기가 외부로 방출(누출)되지 않도록 하였으며, 방열외벽(5)의 하단에는 숯불화로투입구(8)를 형성하여 숯불화로를 투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훈재구이실(2)의 내부 중앙선상에는 송풍회전관(10)을 지지틀(11)의 지지대(12)와 상/하측의 베어링(13)(14)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하였고, 송풍회전관(10)의 하단에는 웜휠(17)을 장착하고 받침대(18)에 의해 받쳐지지 되는 감속모터(15)의 회전축에는 웜(16)을 장착하여 웜휠(17)과 웜(16)을 치합시켜 감속모터(15)에 의해 송풍회전관(1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지지틀(11)의 지지대(12)와 동력장치의 외측에 방열내벽(6)으로서 내화벽돌을 적층시켜 이들을 보호하도록 하였다.
지지틀(11)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송풍회전관(10)의 하단에는 송풍구(19)를 연통되게 설치하고, 송풍구(19)에는 송풍팬(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을 설치하였다.
송풍회전관(10)의 외주면과 훈재구이실(2)의 내주면에는 고기구이창(40)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어 자전 및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된 롤러구이틀(30)을 다층으로 설치하였다.
상기 롤러구이틀(30)은 도 2 내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형성하였다.
송풍회전관(10)의 외주에는 지지원판(32)과 받침원판(33)이 상하 이단으로 된 회전원판틀(31)을 고정 장착하였고, 동일 수평선상에서 훈재구이실(2)의 내주면에는 외측받침링(35)을 복수 개의 고정블럭(36)에 의해 받쳐 고정 설치하였다.
지지원판(34)의 외주에는 삽입공(34)을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였고, 받침원판(33)에는 삽입공(34)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시키면서 구이창지지브래킷(50)을 각각 장착하였다.
상기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삽입공(34)과 고기구이창(40)은 도 4a 및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일정한 길이로 재단된 사각지지관(41)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꼬치창(42)을 고정편(43)에 의해 고정시켰고, 사각지지봉(41)에는 손잡이(45)가 일체로 된 지지봉(44)을 삽입시키되, 지지봉(44)과 손잡이(45)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억류편(47)이 지지봉(44)측으로 돌출된 회전원판(46)을 일치로 설치하여 회전원판(46)이 외측받침링(35)의 상면을 따라 롤링하도록 하였다.
받침원판(33)에는 삽입공(34)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는 구이창지지브래킷(50)은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으로 된 지지판(51)의 선단에 상측편(52)과 하측편(53)을 일체로 형성하였고, 상측편(52)과 하측편(53)의 중간에는 안치홈(54)을 외부 상측으로 경사지게 개방되도록 형성하였으며, 상측편(52)과 하측편(53)에는 롤러(55)(56)를 각각 축(55-1)(56-1)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하여 고기구이창(40)의 지지봉(44)의 외면을 지지하도록 하였다.
송풍회전관(10)의 상측부에는 배출구(27)와 흡입공(26)이 상단과 하단에 뚫어진 연통(25)을 외측으로 끼워 설치하였고, 방열지붕(7)의 상측으로 배출구(27)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단에는 연통갓(29)을 씌어 고정시켰다.
송풍회전관(10)의 상측부 외측에 끼워지는 연통(25)의 하단에는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을 지지구(28)에 의해 지지하여 설치하였는데,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의 중앙에 지지관(21)을 형성하여 송풍회전관(10)을 삽입하였으며, 연통(25)의 하단이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 충진되는 물(24)에 잠기도록 하였다.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는 물(24)이 공급 및 배출되는 입수구(22)와 퇴수구(23-1)를 형성하여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입수구(22)에는 급수관을 연결하였고, 퇴수구(23-1)에는 배수관을 연결하였으며, 퇴수구(23-1)의 내측에는 충진되는 물을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줄 수 있도록 퇴수관(23)을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설치하였다.
특히,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의 내부에는 부구를 설치하여 입수구(22)의 입구에 설치되는 밸브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하면 물(24)을 자동으로 공급하고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작동관계(사용상태)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재구이장치(1)는 슬라이드창(4)을 슬라이딩하여 개방시키고, 숯불화로투입구(8)를 통하여 숯불화로(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훈재구이실(2)의 내부로 투입시켜 준다.
각 꼬치창(42)에 육류(고기)를 끼워주고, 육류가 꼬치창(42)에 끼워진 사각지지관(41)에는 손잡이(45)를 파지한 상태에서 지지봉(44)을 삽입시켜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억류편(47)이 사각지지관(41)의 단부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삽입시 켜 주며, 각 고기구이창(40)에는 상기와 같이 실시하여 고기를 끼워준다.
꼬치창(42)에 육류(고기)가 끼워진 고기구이창(40)의 손잡이(45)를 파지한 상태에서, 고기구이창(40)를 다층으로 설치된 롤러구이틀(30)에 장착시켜 준다.
고기구이창(40)의 손잡이(45)를 파지한 상태에서,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지봉(44)의 선단을 지지원판(32)의 삽입공(34)에 삽입 장전시키고, 받침원판(33)에 설치된 동일선상에 위치하는 구이창지지브래킷(50)의 안치홈(54)에 지지봉(44)을 장전시켜 주면, 지지봉(44)은 상측롤러(55)와 하측롤러(56)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원판(46)은 외측받침링(35)에 안치된다.
이와 같이 실시하여 각 롤러구이틀(30)에는 고기구이창(40)을 적정하게 장전시킨 후에 개방시킨 슬라이드창(4)을 닫아 훈재구이실(2)을 폐쇄시킨다.
상기와 같이 각 롤러구이틀(30)에는 고기구이창(40)을 적정하게 장전시키고, 슬라이드창(4)을 닫아 훈재구이실(2)을 폐쇄시킨 상태에서 스위치(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아니함)를 ON시키면 감속모터(15)와 송풍팬이 작동하게 된다.
감속모터(15)가 작동하게 되면 웜(16)과 웜휠(17)에 의해 송풍회전관(10)이 회전하게되고, 송풍회전관(10)이 회전하게 되면 각 롤러구이틀(30)의 회전원판틀(31)도 회전하게 된다.
각 롤러구이틀(30)의 회전원판틀(31)이 회전하게 되면, 지지원판(32)의 삽입공(34)에 삽입 장전되고 받침원판(33)의 구이창지지브래킷(50)에 지지 된 고기구이창(40)이 함께 이동(공전)하게 되고, 지지원판(32) 및 받침원판(33)과 함께 이동(공전)하는 각 고기구이창(40)은 회전원판(46)이 외측받침링(35)에 받쳐 있으므로 회전원판(46)은 외측받침링(35)을 이동할 때에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삽입공(34)에 삽입되고 구이창지지브래킷(50)에 지지되는 각 고기구이창(40)은 외측받침링(35)을 따라 이동(공전)하면서 동시에 회전자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 롤러구이틀(30)에 장전된 고기구이창(40)이 지속적으로 회전(자전)하면서 이동(공전)하게 되면, 숯불화로에서 발생된 숯불의 열기에 의해 고기구이창(40)의 꼬치창(42)에 끼워진 육류는 구이가 실시된다.
상기와 같이 구이되고 있는 상태에서, 송풍구(19)에 설치된 송풍팬이 작동하게 되면, 송풍팬에서 발생하는 강한 바람이 송풍구(19)를 통하여 회전하는 송풍회전관(10)을 통과하게 되고, 송풍회전관(10)을 통과한 강한 바람은 연통(25)을 순간적으로 강력하게 통과하면서 배출구(27)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송풍회전관(10)으로 강력하게 배출되는 바람이 연통(25)을 순간적으로 통과할 때에 송풍회전관(10)의 상단부 외측과 연통(25)과 사이에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하게 되고, 따라서 훈재구이실(2)에 있는 연기와 냄새가 강한 흡입력에 의해 흡입공(26)으로 흡입되며, 흡입공(26)으로 흡입되는 연기와 냄새는 연통(25)의 배출구(27)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된다.
특히, 흡입공(26)으로 흡입되는 연기와 냄새가 연통(25)의 배출구(27)를 통하여 실외로 배출될 때에, 실외로 배출된 연기와 냄새는 연통(25)의 하단이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 충진된 물(24)에 수장되어 차단되어 있으므로 연통(25)으로 역류하여 훈재구이실(2)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이를 실시하면서 구이를 실시할 때에 육류의 구이가 완료되면 슬라이드창(30)을 개방하여 고기구이창(40)을 인출하고 새로운 고기구이창(40)을 장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이가 완료된 고기구이창(40)을 인출하고 새로운 고기구이창(40)을 장전시키기 위하여 슬라이드창(4)을 개방시키더라도 연통(25)에서는 강한 흡입력이 발생하므로 훈재구이실(2)에서 발생하는 연기와 냄새는 훈재구이실(2)의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연통(25)으로 흡입되어 실외로 배출되므로 실내는 항상 쾌적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구이가 완료되면 전원을 OFF하여 감속모터(15)와 송풍팬의 작동을 정지시킴으로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하여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식 훈제구이장치는, 훈재구이실을 슬라이드창이 구비되는 원통으로 형성하여 숯불화로를 인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고, 훈재구이실의 외면에는 방열벽을 쌓아 열기가 외부로 방열되지 않도록 하며, 훈재구이실의 중앙에는 송풍회전관을 수직으로 설치하여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하며, 훈재구이실의 내부에서 송풍회전관의 외주에는 롤러구이틀을 다층으로 설치하되, 각 롤러구이틀에는 송풍회전관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면서 외측받침링을 따라 공전하는 고 기구이창을 설치하여 구이를 실시하도록 하며, 송풍회전관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장착하고 상단에는 지붕의 외측에 연통을 구비하여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훈재구이실의 연기와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으로서, 훈재구이실의 외면에 방열벽을 쌓아 줌으로서, 열기가 외부로 방열 되지 않도록 하면서 열기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연료(숯)의 소모를 줄일 수 있고, 훈재구이실의 외주에 슬라이드창을 설치하여 어느 위치에서도 육류를 장전 및 인출시킬 수 있으며, 각 롤러구이틀에 설치되는 고기구이창이 송풍회전관의 회전력에 의해 자전하면서 외측받침링을 따라 공전(롤링)하도록 하므로 구이 능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송풍회전관의 하단에는 송풍기를 설치하고, 송풍회전관의 상단에는 지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연통을 구비하여, 송풍기에서 발생되는 풍력에 의해 훈재구이실의 연기와 냄새를 강제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 주므로, 배출력을 크게 향상시키고 연기와 냄새가 실내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며, 송풍회전관의 상단 외주에 결합되는 연통의 하단에 물받이통을 설치하여 연통의 하단이 물받이통의 물속에 수장시켜 외부로 배출된 연기 및 냄새가 훈재구이실의 내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하여,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훈재구이실(2)의 내부에 꼬치창(42)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여 감속모터(15)에 의해 회전시키고, 훈재구이실(2)에는 송풍장치를 설치한 것에 있어서,
    훈재구이실(2)의 상부에 지붕(3)을 덮어씌우고, 훈재구이실(2)의 측면 중간부에 슬라이드창(4)을 설치한 것과;
    훈재구이실(2)과 지붕(3)의 외면에는 방열외벽(5)과 방열지붕(7)을 덮어씌워 적층시킨 것과;
    방열외벽(5)의 하단에는 숯불화로투입구(8)를 형성하여 숯불화로를 투입/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훈재구이실(2)의 내부 중앙선상에는 송풍회전관(10)을 지지틀(11)의 지지대(12)와 베어링(13)(14)에 의해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감속모터(15)를 이용한 동력장치에 의해 회전시키도록 한 것과;
    지지틀(11)의 지지대(12)와 동력장치의 외측에 방열내벽(6)을 설치하여 보호한 것과;
    지지틀(11)에 의해 지지 설치되는 송풍회전관(10)의 하단에는 송풍구(19)를 연통되게 설치하고, 송풍구(19)에는 송풍팬을 설치한 것과;
    송풍회전관(10)의 외주면과 훈재구이실(2)의 내주면에는 고기구이창(40)이 동일한 각도를 유지하면서 설치되어 자전 및 공정을 동시에 실시하도록 된 롤러구이틀(30)을 다층으로 설치한 것과;
    송풍회전관(10)의 상측부에는 배출구(27)와 흡입공(26)이 상단과 하단에 뚫어진 연통(25)을 외측으로 끼워 설치하고, 방열지붕(7)의 상측으로 배출구(27)가 노출되도록 하여 상단에는 연통갓(29)을 씌어 고정시킨 것과;
    송풍회전관(10)의 상측부 외측에 끼워지는 연통(25)의 하단에는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을 설치하고,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의 중앙에 지지관(21)을 형성하여 송풍회전관(10)을 삽입하며,연통(25)의 하단이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 충진되는 물(24)에 잠기도록 하며, 연기역류방지물받이통(20)에는 물(24)이 공급 및 배출되는 입수구(22)와 퇴수구(23-1)를 형성하되, 퇴수구(23-1)에는 충진되는 물을 항상 일정한 높이로 유지시켜 주는 퇴수관(23)을 설치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방열외벽(5)과 방열지붕(7) 및 방열내벽(6)은;
    내화벽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풍회전관(10)을 회전시키는 감속모터(15)를 이용한 동력장치는;
    송풍회전관(10)의 하단과 감속모터(15)의 회전축에는 웜휠(17)과 웜(16)을 각각 장착하여 치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송풍회전관(10)의 외주면과 훈재구이실(2)의 내주면에 다층으로 설치되는 롤러구이틀(30)은;
    송풍회전관(10)의 외주에는 지지원판(32)과 받침원판(33)이 상하 이단으로 된 회전원판틀(31)을 고정 장착한 것과;
    동일 수평선상에서 훈재구이실(2)의 내주면에는 외측받침링(35)을 복수 개의 고정블럭(36)에 의해 받쳐 고정 설치한 것과;
    지지원판(34)의 외주에는 삽입공(34)을 동일한 각도로 형성하고, 받침원판(33)에는 삽입공(34)과 동일한 각도로 유지되는 구이창지지브래킷(50)을 장착한 것과;
    동일선상의 삽입공(34)과 구이창지지브래킷(50)에는 고기구이창(40)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받침원판(33)에 각도로 장착 고정되는 구이창지지브래킷(50)은;
    절곡형으로 된 지지판(51)의 선단에 상측편(52)과 하측편(53)을 일체로 형성하여, 롤러(55)(56)를 각각 축(55-1)(56-1)으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설치하여 고기구이창(40)의 지지봉(44)을 지지하도록 한 것과;
    상측편(52)과 하측편(53)의 중간에는 안치홈(54)을 외부 상측으로 경사지게 개방되도록 형성하여 고기구이창(40)의 지지봉(44)을 안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동일선상의 삽입공(34)과 구이창지지브래킷(50)에 착탈되는 고기구이창(40)은;
    일정한 길이로 재단된 사각지지관(41)의 외측에는 복수 개의 꼬치창(42)을 고정편(43)에 의해 고정시킨 것과;
    사각지지봉(41)에는 손잡이(45)가 일체로 된 지지봉(44)을 삽탈시키도록 한 것과;
    지지봉(44)과 손잡이(45)와의 사이에는 한 쌍의 억류편(47)이 지지봉(44)측으로 돌출된 회전원판(46)을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식 훈재구이장치.
KR1020050074872A 2005-08-16 2005-08-16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KR1005572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72A KR100557223B1 (ko) 2005-08-16 2005-08-16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74872A KR100557223B1 (ko) 2005-08-16 2005-08-16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7223B1 true KR100557223B1 (ko) 2006-03-10

Family

ID=37179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74872A KR100557223B1 (ko) 2005-08-16 2005-08-16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7223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372B1 (ko) * 2006-11-09 2007-11-05 민지현 직화구이장치
KR100778018B1 (ko) 2006-05-10 2007-11-28 이승아 자전식 숯불구이장치
KR100808529B1 (ko) 2006-11-27 2008-02-29 전봉진 트롤리형 지지수단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817498B1 (ko) 2006-11-10 2008-03-27 전봉진 탈착이 용이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822021B1 (ko) 2006-10-30 2008-04-15 전봉진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821927B1 (ko) 2006-10-27 2008-04-15 김영환 바비큐 구이기용 쇠꼬치 공자전 장치
KR100828035B1 (ko) 2006-08-02 2008-05-08 김영환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CN104322643A (zh) * 2014-11-27 2015-02-04 涂兴家 一种烧烤箱
KR20210074738A (ko) * 2019-12-12 2021-06-22 주귀덕 꼬치 전기 구이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8018B1 (ko) 2006-05-10 2007-11-28 이승아 자전식 숯불구이장치
KR100828035B1 (ko) 2006-08-02 2008-05-08 김영환 균질조리 바베큐 장치 및 방법
KR100821927B1 (ko) 2006-10-27 2008-04-15 김영환 바비큐 구이기용 쇠꼬치 공자전 장치
KR100822021B1 (ko) 2006-10-30 2008-04-15 전봉진 연기의 흡입수단을 구비한 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773372B1 (ko) * 2006-11-09 2007-11-05 민지현 직화구이장치
KR100817498B1 (ko) 2006-11-10 2008-03-27 전봉진 탈착이 용이한 구이대상체 고정수단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스탠드형 구이장치
KR100808529B1 (ko) 2006-11-27 2008-02-29 전봉진 트롤리형 지지수단를 갖는 스탠드형 구이장치
CN104322643A (zh) * 2014-11-27 2015-02-04 涂兴家 一种烧烤箱
KR20210074738A (ko) * 2019-12-12 2021-06-22 주귀덕 꼬치 전기 구이기
KR102300154B1 (ko) 2019-12-12 2021-09-09 오종찬 꼬치 전기 구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7223B1 (ko) 롤러식 훈제구이장치
KR101121242B1 (ko) 숯불구이기
KR100914173B1 (ko) 회전 구이기
KR200487625Y1 (ko) 휴대용 흡기장치
KR102153416B1 (ko) 유증기 및 연기 정화 순환 가이드 플레이트를 구비한 전기구이기
KR100881495B1 (ko) 이동식 구이용 황토 가마
CN214804231U (zh) 一种使用生物质颗粒的蒸汽烧烤炉
CN105725834B (zh) 一种防滴油型自动炭火烤羊腿羊排机
KR100808533B1 (ko) 도어를 통하여 방출되는 연기의 제거수단을 갖는 스탠드형구이장치
KR200436816Y1 (ko) 숯불구이기
CN112716318A (zh) 一种使用生物质颗粒的蒸汽烧烤炉
KR102358113B1 (ko) 하향식 로스터가 구비되는 테이블의 연기 정화시스템
KR102467135B1 (ko) 고기 구이장치
CN207575040U (zh) 加热均匀的无烟烧烤炉
KR20010008819A (ko) 회전식 꼬치구이 장치
KR102300154B1 (ko) 꼬치 전기 구이기
KR100459268B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19990064783A (ko) 육류 구이기
CN207590538U (zh) 新型全自动烧烤炉
KR100850532B1 (ko) 회전식 바비큐장치
CN204950617U (zh) 高效节能烧烤机
KR200353455Y1 (ko) 육류구이장치
KR200273836Y1 (ko) 숯불 바베큐장치
KR20090069463A (ko) 조립 분리형 이동식 회전 황토 가마 구이기
KR200192544Y1 (ko) 상하 승강되는 덕트 및 후드를 구비하는 숯불 및가스겸용 원형그릴로스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