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21650B1 -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 Google Patents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21650B1
KR100821650B1 KR1020070120947A KR20070120947A KR100821650B1 KR 100821650 B1 KR100821650 B1 KR 100821650B1 KR 1020070120947 A KR1020070120947 A KR 1020070120947A KR 20070120947 A KR20070120947 A KR 20070120947A KR 100821650 B1 KR100821650 B1 KR 100821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usion
insulation tube
fusion layer
appea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244A (ko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21650B1/ko
Publication of KR20080012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21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21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F16L59/147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the insulation being located inwardly of the outer surface of the p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중보온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관의 내주면에 융착층을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단열재의 발포시 그 열에 의해 외관과 단열층이 일체로 융착될 수 있도록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중보온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융착층은 충진재의 발포열로 녹을 수 있는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한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은, 폴리에틸렌계 수지(11)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융착층(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외관의 내주면에 융착층을 동시에 압출성형할 수 있는 장치, 방법 및 그 이중보온관을 포함한다.
외관, 융착층, PE접착제, 점착제, 이중보온관

Description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중보온관{Jacket Pipe of Pre-insulated Pipe with a fused layer, Method, Apparatus and Pre-insulated Pipe thereof}
본 발명은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중보온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열재나 내관을 성형함에 있어서 접착력 및 정전기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중보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보온관은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이용하는 지역난방 장치라든가 화학 산업 분야, 상ㆍ하수도와 같이 고온 또는 저온 물질의 취급이라든가 단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중보온관은 단열용 배관의 일종으로 지하에 묻히게 되는 외관(Jacket Pipe)과, 이송시키고자 하는 유체의 유로를 쓰이는 내관(Carrier Pipe)과, 외관과 내관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기능을 갖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이중보온관의 제조는 외관을 별도로 제작하고 그 내주연에 충진재를 발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도 1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이중보온관 의 제조는 먼저, 외관(500)을 제조하는 단계(S10)를 거친다. 특히, 이 단계(S10)에서는 외관(500)은 내관(600)과 별도로 제작하게 된다. 이어 내관(600)을 삽입하는 단계(S20)를 거친다. 통상 내관(600)은 이송시키고자 하는 유체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게 되나 통상적으로 제작된 강관을 이용한다. 이때, 내관(600)의 외경은 외관(500)과의 사이에 충진될 충진재를 고려하여 결정한다.
그 다음으로, 외관(500)의 양단부를 막아 기밀을 유지하는 단계(S30)를 거친다. 이 단계(S30)에서는 외관(500)과 내관(600) 사이를 막고 그 사이에 다음 단계(S40)에서 충진재를 충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단계이다.
이어, 충진재를 충진시키는 단계(S40)를 거친다. 이를 위해, 양단이 기밀 유지된 외관(500)에, 도 1b에서와 같이, 충진구멍(510)을 형성하고(S41), 이 충진구멍(510)을 통해 충진재를 채우게 된다. 통상 충진재로는 단열 기능이 우수한 우레탄을 많이 사용한다.
마지막으로, 충진된 충진재를 발포시키는 단계(S50)를 거친다.
그러나 종래의 이중보온관용 외관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외관과 내관 사이에 충진재를 발포하여 충진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딱딱한 외관과의 사이에 충진재가 제대로 충진되지 않고 그 사이에 공간이 생기는 경우가 발생한다.
2) 이처럼 충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그 공간에서 결로 현상이 일어나게 되고, 주변 온도와 유동 유체의 온도 변화 등에 의하여 이중보온관이 파 손될 우려가 있다.
3) 뿐만 아니라 이중보온관의 보온 효과를 저하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특히 외관의 내주면에 융착층을 일체로 압출성형하여, 단열재의 발포시 그 열에 의해 외관과 단열층이 일체로 융착될 수 있도록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 및 이중보온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융착층(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외관(10)은 외경이 90~1400mm이고, 두께가 2.0~29.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융착층(20)은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100~140℃에서 녹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융착층(20)의 두께는 0.5~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상기 융착층(20)은 동시 압출 성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은,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융착제(21)를 준비하는 단계(S100);
이중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상기 융착제(21)를 용융하여 각각 공급하는 단계(S200);
상기 융착제(21)의 외주연에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가 융착되게 하여 외관(10)을 형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융착제(21)는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외관 형성단계(S300)에서, 상기 이중 압출기의 압출 속도는 0.09~1.73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 융착제(21)는 동시 압출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제조된 상기 외관(10)을 냉각시켜 주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냉각단계(S400)는 상기 외관(10)을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장치는,
제1 및 제2 호퍼로부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융착제(21)를 공급받는 제1 및 제2압출유닛(100,200);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내부에 융착제(2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시켜 주는 동시압출형체(300); 및
상기 동시압출형체(300)로부터 압출된 외관(10)을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동시압출형체(30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의 본체(310);
상기 본체(310)에 일측에 삽입되어 테두리에 체결고정되며, 상기 본체(310)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1유동층(321)을 형성하는 제1압출형체(320);
상기 제1압출형체(320)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압출형체(320)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2유동층(331)을 형성시켜 주며, 상기 제2유동층(331)은 상기 제1유동층(321)과 합쳐지는 합지부(336)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제2압출형체(330);
상기 제2압출형체(330)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동층(321,331)과 각각 연통되도록 제1 및 제2공급라인(341,342)이 형성된 제3압출형체(340); 및
상기 본체(310)의 타측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2압출형체(330)과의 사이에 합지유동층(351)을 형성시켜 주는 제4압출형체(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압출유닛(100)은 용융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유동층(321) 및 상기 제2유동층(331)을 형성하는 상기 제1압출형체(320) 및 제2압출형체(330)는 각각 외주연에 헬리컬부(324,3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압출유닛(200)은 융착제(21)로서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냉각수단(400)은 수냉식 냉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이중보온관은, 외관(10) 내부에 순차적으로 단열충진층(30)과 내관(40)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10)은 폴리에틸렌계 수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외관(10)과 단열충진층(30) 사이에는 단열충진층(30)의 발포열에 의해 용융되는 융착층(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충진재 충진시 융착층이 녹으면서 충진재와 외관의 접합력을 높여주게 된다.
2) 이때, 외관과 충진재 사이에 생길 수 있는 공간부를 없애주기 때문에, 이러한 공간부로 인해 발생되는 결로 현상을 막아 주고 또한 보온 효과를 높여주게 된다.
3) 특히 융착층이 충진재의 발포열로 녹는 물질을 이용함으로써, 별도의 접착 또는 점착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된다.
4) 외관과 융착층을 일체로 성형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조장치는,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융착제(21)를 각각 공급하기 위한 제1 및 제2압출유닛(100,200),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 융착제(21)를 외관(10)으로 압출하기 위한 동시압출형체(300) 및 압출된 외관(10)을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 및 제2압출유닛(100,200)은 각각 제1 및 제2호퍼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호퍼를 통해 외관(10) 형성을 위한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 융착층(20)을 형성하기 위한 융착제(21)를 공급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강성 등을 고려하여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융착제(21)는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의 접착성 또는 점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융착층(20)은 두께를 0.5~1.5mm로 제조하고 특히 100~140℃에서 녹는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관(10) 내부에 단열재로서 충진되는 미도시된 우레탄의 발포열에 의해 융착제가 완전하게 녹아 접착/부착력을 최대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융착층(20)은 그 두께가 0.5mm 미만이면 부착력이 떨어지고, 1.5mm보다 두꺼우면 융착층(20)이 제대로 녹지 않기 때문에 1mm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시적으로, 이를 만족하는 PE 접착제로는 접착력있는 개질폴리에틸렌(예를 들어, 호남석유화학의 2M400(제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점착제는 아트릴레이트나 실리콘 등을 원료로 에스테르고무ㆍ페놀수지 등을 보조제로 사용해 피마자유ㆍ폴리이소부틸렌 등 저분자의 물질을 합쳐 끈적끈적한 점착력을 갖는 것으로, 예시적으로 3M사의 폼테이프(제품명)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의 융착층(20)의 두께와 녹는 온도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재질의 충진재 또는 단열재의 발포열이 다른 경우 이에 상당하는 것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압출유닛(100,200)은 외관(10)과 융착층(20)을 일체로 압출성형할 수 있도록 이중압출기의 압출유닛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외관(10)의 내주연에 융착층(20)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1압출유닛(100)에는 폴리에틸렌계 수지(11)를 공급하고, 제2압출유닛(200)에는 융착제(21)를 공급한다.
또한, 이중압출기는 압출하는 속도에 따라서 외관(10) 및 융착층(20)의 두께가 달라지기 때문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외관(10)의 두께가 2.0~29.0mm이고 융착층(20)의 두께가 0.5~1.5mm가 될 수 있도록 압출 속도를 0.09~1.73m/min로 제어하게 된다. 이러한 제1 및 제2압출유닛(100,200)은 공급받은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 융착제(21)를 동시압출형체(300)에 공급하게 된다.
동시압출형체(300)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으로 제조된 본체(310)와, 본체(310) 내부에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제1~제4압출형체(320~3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미도시되었으나, 외부에는 다수의 히터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310)의 내경은 외관(10)의 외경을 결정짓게 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체(310)의 내경 즉, 외관(10)의 외경이 90~1400mm가 될 수 있도록 본체(310)의 내경을 제작한다.
제1압출형체(320)는 일측에 제1플랜지(322)를 갖는 중공 실린더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외주면에는 헬리컬부(324)가 가공되어 있다.
이러한 제1압출형체(320)는 본체(310)에 삽입되어 제1플랜지(322)가 본체(310)의 일측에 체결고정된다. 이때, 본체(310)의 내주연과 제1압출형체(320)의 외주면 사이에는 제1유동층(321)이 형성된다. 특히, 제1압출형체(320)에는 내주연에 제1유동층(321)과 연통될 수 있도록 제1압출구멍(323)이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2개의 제1압출구멍(323)이 형성된 예를 보여준다.
여기서, 제1압출구멍(323)을 통해 폴리에틸렌계 수지(11)가 제1유동층(321)에 공급되게 되는데, 이때 공급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후술하게 될 합지부(336)를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유동층(321)의 단부는 합지부(336)로 빠져나가는 폴리에틸렌계 수지(11)의 두께가 2.0~29.0mm가 될 수 있도록 내경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압출형체(330)는 일측에 제2플랜지(332)를 갖는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외주면에는 제1압출형체(320)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제2유동층(331)을 형 성할 수 있도록 헬리컬부(337)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압출형체(330)에는 제2플랜지(332)가 형성된 면의 중앙에 길이방향을 따라 원통 형상의 2단으로 단차진 공간부(334)가 형성되어 있다. 특히, 공간부(334)의 대경부에는 안쪽단에 제1압출구멍(323)과 연통되도록 제2압출구멍(3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간부(334)의 소경부에는 제2유동층(331)과 연통되는 제3압출구멍(33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2압출형체(330)는 제2플랜지(332)가 제1플랜지(322)와 맞닿도록 제1압출형체(320)에 압입되어 볼트체결된다. 이때, 제2압출형체(330)는 굴곡지게 형성된 헬리컬부(337)가 제1압출형체(320)의 타단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제1압출형체(320)의 단부 부분에서 제1유동층(321)과 제2유동층(331)이 합지되는 합지부(336)가 형성된다.
제3압출형체(340)는 중앙에 제3압출구멍(335)과 연통되도록 제2공급라인(342)과, 일측에 제2압출구멍(333)과 연통되도록 제1공급라인(34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공급라인(341)에는 제1압출유닛(100)이 연결되고, 제2공급라인(342)에는 제2압출유닛(200)이 연결된다.
따라서, 제3압출형체(340)는 제1공급라인(341)을 통해 공급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를 제1유동층(321)으로 공급가능케 하고, 제2공급라인(342)를 통해 공급된 융착제(21)를 제2유동층(331)까지 공급가능하게 된다.
제4압출형체(350)는 본체(310)의 타단에 체결고정된다. 이때, 본체(310) 외부로 돌출되는 제2압출형체(330)를 감싸는 형태가 되도록 설치된다. 특히, 제4압출형체(350)는 압출이 용이하도록 바깥쪽으로 갈수록 일정 구간 점차 직경이 작아지고 나머지 구간은 내경이 동일한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제4압출형체(350)는 내주면과 제2압출형체(330)와의 사이에 합지유동층(351)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이 합지유동층(351)은 최종적으로 생성되는 외관(10)의 칫수를 정확하게 성형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합지유동층(351)의 단부 즉, 내경이 동일한 구간은 본 발명에 따른 외관(10)의 외경에 해당하게 되는데, 이 구간에서의 내경은 90~1400mm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냉각수단(400)은 제4압출수단(350)의 단부에 장착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수냉식 냉각기를 이용하여 제4압출수단(350)으로부터 토출되는 외관(10)을 냉각시켜 줄 수 있도록 구성한다. 수냉식 냉각기에 관한 구성은 압출 성형에서 통상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제조장치를 이용한 본 발명에 따른 외관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관의 제조방법은 크게 3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재료를 준비하는 단계(S100)이다. 여기서, 재료는 각각 외관(10) 및 융착층(20)을 이루는 것으로,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 융착제(21)를 준비하게 된다. 또한, 융착제(21)로는 PE접착제 또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어, 이들 재료의 공급단계(S200)를 거친다. 이때,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제1압출유닛(100)에 공급하고, 융착제(21)는 제2압출유닛(200)에 공급한다. 이때, 이들 재료의 성형 두께는 각각의 압출유닛(100,200)의 압출 속도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데,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대략 2.5mm~29mm 두께로 그리고 융착제(21)는 0.5mm~1.5mm 두께가 될 수 있도록 압출 속도를 1.73~0.09m/min로 제어한다.
마지막으로, 외관(10)을 압출하는 형성단계(S300)를 거친다. 여기서,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제1공급라인(341)-제2압출구멍(333)-제1압출구멍(323)을 통해 제1유동층(321)에 공급된다. 또한, 융착제(21)는 제2공급라인(342)-제3압출구멍(335)을 통해 제2유동층(331)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압출유닛에 의해 압출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1유동층(321)으로부터 폴리에틸렌계 수지(11)가 외관(10)을 형성함과 동시에, 외관(10)의 내면에 융착제(21)가 융착층(20)을 형성하며 일체로 압출성형이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는 이와 같이 일체로 압출되는 외관(10)을 냉각시켜 주는 단계(S40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의 냉각 방식은 물의 분사하는 수냉식 냉각을 하게 된다. 수냉식 냉각 방법은 이미 잘 알려져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냉각 단계(S400) 이후에는 생산된 외관(10)에 로고나 상표 등을 프린트하는 인쇄단계와 외관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절단공정등이 뒤따른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르는 이중보온관(5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는 본 발명의 요지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도 1a는 종래 이중보온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1b는 종래 이중보온관의 제조방법에서 단열재의 충진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을 나타내는 단면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0 : 외관
11 : 폴리에틸렌계 수지
20 : 융착층
21 : 융착제
30 : 단열충진층
40 : 내관
100, 200 : 제1 및 제2압출유닛
300 : 동시압출형체
310 : 본체
320~350 : 제1~제4압출형체
321 : 제1유동층
322 : 제1플랜지
323 : 제1압출구멍
324, 337 : 헬리컬부
331 : 제2유동층
332 : 제2플랜지
333 : 제2압출구멍
334 : 공간부
335 : 제3압출구멍
336 : 합지부
341, 342 : 제1 및 제2공급라인
351 : 합지유동층
400 : 냉각수단
510 : 충진구멍
600 : 내관

Claims (20)

  1. 폴리에틸렌계 수지(11)로 이루어지고, 내면에는 융착층(2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10)은 외경이 90~14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10)은 두께가 2.0~29.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20)은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20)은 100~140℃에서 녹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층(20)은 두께가 0.5~1.5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상기 융착층(20)은 동시 압출 성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9.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융착제(21)를 준비하는 단계(S100);
    이중 압출기를 이용하여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상기 융착제(21)를 용융하여 각각 공급하는 단계(S200);
    공급된 상기 융착제(21)의 외주연에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가 융착되어 외관(10)을 형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단계(S100)에서,
    상기 융착제(21)는 PE 접착제 또는 점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형성단계(S300)에서,
    상기 이중 압출기의 압출 속도는 0.09~1.73m/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 형성단계(S300)에서,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와 융착제(21)는 동시 압출로 일체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제조된 상기 외관(10)을 냉각시켜 주는 단계(S400)를 더 포 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단계(S400)는 상기 외관(10)을 수냉식으로 냉각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방법.
  16. 제1 및 제2 호퍼로부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및 융착제(21)를 공급받는 제1 및 제2압출유닛(100,200);
    상기 폴리에틸렌계 수지(11) 내부에 융착제(21)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압출시켜 주는 동시압출형체(300); 및
    상기 동시압출형체(300)로부터 압출된 외관(10)을 냉각시켜 주는 냉각수단(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동시압출형체(300)는,
    중공의 실린더 형상의 본체(310);
    상기 본체(310)에 일측에 삽입되어 테두리에 체결고정되며, 상기 본체(310)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1유동층(321)을 형성하는 제1압출형체(320);
    상기 제1압출형체(320)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압출형체(320)의 내벽과의 사이에 제2유동층(331)을 형성시켜 주며, 상기 제2유동층(331)은 상기 제1유동층(321)과 합쳐지는 합지부(336)를 구성하도록 이루어진 제2압출형체(330);
    상기 제2압출형체(330)에 삽입되어 체결 고정되고, 상기 제1 및 제2유동층(321,331)과 각각 연통되도록 제1 및 제2공급라인(341,342)이 형성된 제3압출형체(340); 및
    상기 본체(310)의 타측에 체결 고정되며, 상기 제2압출형체(330)과의 사이에 합지유동층(351)을 형성시켜 주는 제4압출형체(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동층(321) 및 상기 제2유동층(331)을 형성하는 상기 제1압출형체(320) 및 제2압출형체(330)는 각각 외주연에 헬리컬부(324,33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장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400)은 수냉식 냉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의 제조장치.
  19. 외관(10) 내부에 순차적으로 단열충진층(30)과 내관(40)이 일체로 이루어진 이중보온관에 있어서,
    상기 외관(10)과 단열충진층(30) 사이에는 단열충진층(30)의 발포열에 의해 용융되는 융착층(20)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 관.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관(10)은 폴리에틸렌계 수지(11)로 이루어지고,
    상기 내관(40)은 금속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
KR1020070120947A 2007-11-26 2007-11-26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KR100821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47A KR100821650B1 (ko) 2007-11-26 2007-11-26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47A KR100821650B1 (ko) 2007-11-26 2007-11-26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244A KR20080012244A (ko) 2008-02-11
KR100821650B1 true KR100821650B1 (ko) 2008-04-16

Family

ID=39340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47A KR100821650B1 (ko) 2007-11-26 2007-11-26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216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628B1 (ko) 2013-06-12 2014-01-03 김채홍 규격 표시부가 마킹된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 제조방법
KR102015246B1 (ko) 2019-03-28 2019-08-27 방관수 직선형 이중보온관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직선형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1355B1 (ko) * 2021-04-08 2023-03-17 은종하 배관용 단열커버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80B1 (ko) * 1991-12-31 1995-01-11 금성전선 주식회사 튜브를 압축하면서 튜브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튜브압출 성형기
JPH07117094A (ja) * 1993-10-22 1995-05-09 Nkk Corp 発泡ポリスチレン共重合体被覆断熱管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0180B1 (ko) * 1991-12-31 1995-01-11 금성전선 주식회사 튜브를 압축하면서 튜브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튜브압출 성형기
JPH07117094A (ja) * 1993-10-22 1995-05-09 Nkk Corp 発泡ポリスチレン共重合体被覆断熱管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7628B1 (ko) 2013-06-12 2014-01-03 김채홍 규격 표시부가 마킹된 보온재 및 상기 보온재 제조방법
KR102015246B1 (ko) 2019-03-28 2019-08-27 방관수 직선형 이중보온관 제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직선형 이중보온관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244A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341B1 (ko)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JP2009138929A5 (ko)
KR20000068990A (ko) 가열 수축 가능한 부재
KR100821650B1 (ko)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FI65729B (fi) Saett och anordning foer sammanfoerande av plastroer genom vaermefogning
KR101887912B1 (ko) 기밀성 향상과 보온을 위한 이중보온관 케이싱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이중보온관 케이싱
JP6411700B1 (ja) 発泡樹脂チューブの製造装置及び発泡樹脂チューブ
US10054252B2 (en) Double-wall pipe with a heat insulating layer and a plastic outer pipe thereof
US7708321B2 (en) Pipe-connector molded part for pre-insulated pipe conduits
KR100928668B1 (ko)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S2657634T3 (es) Procedimiento para fabricar una pieza cilíndrica en forma alargada
KR101404011B1 (ko) 보온관과 그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이를 이용한 배관의 시공방법과 보수방법 및 단열 시공방법, 이중 보온관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K1147003T3 (da) Anlæg til fremstilling af flerlagede kompositrør
CN103075612A (zh) 组合式保温管连接用管件
EP1520675B1 (en) A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foam insulated pipes
CN104358959B (zh) 一种双壁波纹管及其生产工艺
KR100914913B1 (ko) 냉난방 및/또는 공기조화기용 배관의 제조 장치 및 방법
JP2003322287A (ja) プラスチック管端部の鍔部形成方法及び金型
CN215258323U (zh) 一种电磁感应逐级导热式管接头
CN108468876B (zh) 双层中空加强壁的螺旋管及其制造方法
KR101089621B1 (ko) 상하수용 이음관 제조용 금형, 이것을 이용하여 제조된 이음관 및 이의 제조방법
EP2816274A1 (en) Preinsulated pipe jacket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reinsulated pipe jacket
CN209534106U (zh) 聚氨酯保温弯管的聚乙烯外护管一次挤出成型模具
JP2000249291A (ja) 断熱構造
KR200365601Y1 (ko) 나사 연결방식의 이중벽 관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