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8668B1 -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8668B1
KR100928668B1 KR1020080059157A KR20080059157A KR100928668B1 KR 100928668 B1 KR100928668 B1 KR 100928668B1 KR 1020080059157 A KR1020080059157 A KR 1020080059157A KR 20080059157 A KR20080059157 A KR 20080059157A KR 100928668 B1 KR100928668 B1 KR 100928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adhesive
double
extruder
insulation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91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진
Original Assignee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91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8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8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8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8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 B29C53/583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helic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with particular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15Heating or cooling
    • B29C44/3423Heating or cooling by using a heated or cooled preformed part, e.g. in the mou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5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 B29C53/566Winding and joining, e.g. winding spirally for making tubular articles followed by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00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29C53/8041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3/00Shaping by bending, folding, twisting, straightening or flattening; Apparatus therefor
    • B29C53/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53/84Heating or cooling
    • B29C53/845Heating or cooling especially adapted for winding and 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23/00Producing tubular articles
    • B29D23/001Pipes; Pipe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00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9/14Arrangements for the insulation of pipes or pip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793/00Shaping techniques involving a cutting or machining operation
    • B29C2793/0027Cutting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6PE, i.e. polyethylene
    • B29K2023/0608PE, i.e. polyethylene characterised by its density
    • B29K2023/065HDPE, i.e. high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3/00Use of EP, i.e. epoxy resin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Thermal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내관을 소정 온도로 예열시켜 주는 예열장치; 예열장치에 의해 예열된 내관의 외부에 소정의 두께로 단열 충진재를 발포하는 발포기; 단열 충진재 외부에 접착제 및 수지를 원단형상으로 각각 압출하여 권취하는 압출부; 및 압출부를 통과한 이중 보온관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를 구현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써 내관을 이송하는 제 1 단계; 예열기를 통해 이송되는 내관을 가열하는 제 2 단계; 가열된 상기 내관 외측에 단열 충진재를 발포하는 제 3 단계; 단열 충진재 외측에 T-다이 접착제 압출기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감아 접착제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접착제 외측에 T-다이 수지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감아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 5 단계; 완성된 이중 보온관을 냉각시키는 제 6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공급된 내관의 길이에 맞추어 수지를 절단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보온관을 구현한 바,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충진재와 수지를 일체로 접착 또는 점착하여 단열 충진재와 수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 충진재와 수지를 가압하는 보조롤러를 구비하여 접착성을 향상하고, 공기층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이에 따라,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이중 보온관의 단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igure R1020080059157
보온관, 이중, T-다이, 압출, 수지

Description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Pre-Insulated Pip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보온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T-다이를 이용하여 접착제 및 수지를 제공하여 이중 보온관을 제조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보온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보온관은 원자력 발전소의 폐열을 이용하는 지역난방 장치 또는 화학 산업 분야, 상하수도와 같이 고온 또는 저온 물질의 취급이라든가 단열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널리 사용된다.
이러한 이중 보온관은 단열용 배관의 일종으로 지하에 묻히게 되는 외관과, 이송시키고자 하는 유체의 통로인 유로로 쓰이는 내관과, 외관과 내관 사이에 충진되어 단열 기능을 갖는 충진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종래 이중 보온관의 제조는 외관을 별도로 제작하고 그 내주연에 충진재를 발포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즉, 별도로 내관과 외관을 제작하고, 내관에 외관을 끼운 다음 외관과 내관 사이의 양단을 각각 밀폐시킨 후, 외관에 충진 구멍을 천공하여 충진 구멍을 통해 충진재를 발포하는 방식으로 이중 보온관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이중 보온관은 수작업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충진재를 외관과 내관 사이에 발포하는 과정에서 충진재가 외관에 완전하게 부착되지 못하여 공기층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공기층은 외부 온도차 등으로 인해 결로 현상을 유발하고, 결로 현상으로 인해 이중 보온관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외관과 내관 사이의 공기층은 이중 보온관의 보온 효과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일정한 두께로 단열 충진재가 형성된 내관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수지를 압출 성형함으로써 단열 충진재와 외관 사이의 융착 및 접착력을 향상시켜 이중 보온관의 보호 및 단열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이중 보온관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내관을 소정 온도로 예열시켜 주는 예열장치; 예열장치에 의해 예열된 내관의 외부에 소정의 두께로 단열 충진재를 발포하는 발포기; 단열 충진재 외부에 접착제 및 수지를 원단형상으로 각각 압출하여 권취하는 압출부; 및 압출부를 통과한 이중 보온관을 냉각시키는 냉각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카테고리로써 내관을 이송하는 제 1 단계; 예열기를 통해 이송되는 내관을 가열하는 제 2 단계; 가열된 상기 내관 외측에 단열 충진재를 발포하는 제 3 단계; 단열 충진재 외측에 T-다이 접착제 압출기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감아 접착제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 접착제 외측에 T-다이 수지 압출기를 이용하여 수지를 감아 수지층을 형성하는 제 5 단계; 완성된 이중 보온관을 냉각시키는 제 6 단계; 및 제 1 단계에서 공급된 내관의 길이에 맞추어 수지를 절단 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이중 보온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열 충진재와 수지를 일체로 접착 또는 점착하여 단열 충진재와 수지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 충진재와 수지를 가압하는 보조롤러를 구비하여 접착성을 향상하고, 공기층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결로 현상을 방지하고, 이중 보온관의 단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조장치가 자동화되어 품질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차 보온을 위해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를 사용하기 때문에 전기적 부식이 높은 지역에서도 사용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지는 연신 및 인장 강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
또한, 누수 감지선이 단열 충진재 내부에 나선 형상으로 감아지기 때문에 수밀을 보다 정밀하게 측정하여 누수 감지가 정밀해지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제조 장치는 예 열장치(100), 발포기(200), 압출부(300) 및 냉각수단(400)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필요에 따라 쇼트기(500)를 및 이송수단(600)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쇼트기(500)는 내관 제조용 파이프(10')의 표면에 생기는 녹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 내관용 파이프(10')의 재질이 강관 또는 스테인레스인 경우에 이용된다.
이송수단(600)은 소정의 크기로 절단된 내관(10)을 예열장치(100)로 이송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컨베이어 벨트, 타이어 구동장치 등을 이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절단된 내관(10)은 운반 또는 제조가 편리한 정도의 길이로 이루어진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m로 절단되는 것이 좋다. 또한, 내관(10)의 외경은 125 내지 1400mm인 것이 좋다. 이러한 내관(10)의 재질은 철 또는 비철 금석을 사용하는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강관, 스테인레스관, 동관, 폴리에틸렌관 또는 PVC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예열장치(100)는 일정한 크기로 절단된 내관(10)을 예열시켜주는 장치이다. 예열장치(100)의 일예로는 고주파를 사용하여 예열하는 인덕션 또는 전기적으로 예열시켜주는 다이스 또는 히팅관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예열장치(100)의 예열온도는 내관(10)의 외면을 50 내지 60℃로 예열하는 것이 좋다. 하지만, 예열장치(100)의 예열온도는 단열 충진재(205)의 재질에 따라 예열온도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기(200)는 예열된 내관(10)의 외주면에 일정한 두께로 단열 충진재(205)를 발포하기 위한 것이다. 발포기(200)는 단열 충진재(205)로서 폴리우레탄 또는 분말 에폭시를 사용하는 발포기(20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때, 내관(10)에 발포되는 단열 충진재(205)의 두께는 28mm 내지 65mm로 사용 용도, 내관(10)의 재질 및 설치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발포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발포기(200)에는 누수감지선(211) 및 히팅관(212)을 공급하는 공급수단(2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누수감지선(211) 및 히팅관(212)은 단열 충진재(205)의 발포보다 선행하여 공급된다. 즉, 누수감지선(211) 및 히팅관(212)은 발포기(200)에 공급되는 내관(10)과 소정간격 이격되도록 공급되고, 그 후에 단열 충진재(205)가 발포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압출부(300)는 접착제(315)를 공급하는 접착제 압출기(310) 및 수지(325)를 공급하는 수지 압출기(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접착제 압출기(310)는 150℃ 내지 240℃로 접착제를 용융한 후 배출 시에는 반용융 상태인 원단형상으로 단열 충진재(205)가 발포된 내관(10)의 외측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T-다이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접착제 압출기(310)에서 공급되는 접착제(315)는 단열 충진재(205)와 수지(325)를 접착시키는 접착층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PE접착제(접착성 개질 폴리에틸렌) 또는 점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접착제(315)에 의해 형성되는 접착제층은 0.1 내지 3mm로 형성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압출기(320)는 150℃ 내지 270℃,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30℃로 수지(325)를 용융한 후 배출 시에는 반용융 상태인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으로 수지(325)를 공급하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T-다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수지 압출기(320)에서 공급되는 수지(325)는 단열 충진재(205) 및 접착제(315)가 감겨진 내관(10)의 외측에 일정 피치의 나선형으로 감겨 피복된다. 이때, 수지(325)는 일정 간격 중첩되도록 피복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압출기의 수지 배출구를 나타내는 도를 도시한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325)가 중첩되는 부분(325')이 다른 부분과 비교하여 높게 층이 지기 때문에 수지 압출기(320)의 수지 배출구(32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첩되는 부분(325')과 대응되는 일측이 좁게 형성된다. 수지 배출구(321)는 전체적으로 700 내지 1200mm의 길이를 갖고, 0.3 내지 3mm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중첩되는 부분(325')과 대응되는 일측 종단 50 내지 100mm의 길이 부분은 0.4 내지 0.6mm의 높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수지 압출기(320)에 사용되는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수지 배출구(321)에서 배출되는 수지(325)의 폭은 배출되는 부분에서 감기는 부분으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좁아진다. 이렇게 배출되는 수지(325)는 수지 배출구(321)의 높이를 조절함에 따라, 단열 충진재(205)에 감기는 수지(325)의 폭을 400mm 내지 1000mm 범위로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수지 배출구(321)의 높이는 1m 범위 내에서 상하로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압출부(300)는 필요에 따라 접착제(315) 및 수지(325)가 공 급되는 일측에 구비되어 도포된 접착제(315) 및 피복되는 수지(325)를 단열 충진재(205)에 접착되도록 가압하고, 접착시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리콘 재질의 보조롤러(3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롤러(330)는 1500 내지 2500mm의 길이를 갖고, 250 내지 350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보조롤러(330) 일측에는 내관(10) 및 단열 충진재(205)의 두께에 따라 보조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간격조절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각부(400)는 압출부(300)를 통과하며 완성된 이중 보온관(20)을 냉각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냉각수(405)를 분사하여 냉각하는 수냉식 냉각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반 및 설치에 용이한 크기로 절단된 내관(10)을 이송한다(S100).
다음으로, 예열기(100)를 이용하여 이송되는 내관(10)의 표면을 50℃ 내지 60℃로 예열한다(S200). 이때, 예열 온도는 단열 충진재(205)의 종류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다음으로, 예열기(100)에서 예열된 내관(10)을 발포기(200)로 이송하여, 내관(10)의 외주면에 단열 충진재(205)를 발포한다(S300). 이때, 발포되는 단열 충진재(205)는 폴리우레탄 또는 분말 에폭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T-다이 접착제 압출기(310)를 이용하여 단열 충진재(205)의 외주면에 PE접착제(접착성 개질 폴리에틸렌) 또는 점착제와 같은 접착제(315)를 도포한다(S400). 이때, 접착제(315)는 150℃ 내지 240℃로 용융된 후, 배출 시에는 반용융상태인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으로 공급되고,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으로 공급되는 접착제(315)를 내관(10)을 회전하여 일정 피치를 갖도록 나선형으로 감아서 접착층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T-다이 수지 압출기(320)를 이용하여 접착제(315)로 형성된 접착층의 외주면에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같은 수지(325)를 도포하여 수지층을 형성한다(S500). 이때, 수지(325)는 150℃ 내지 270℃로 용융된 후, 배출 시에는 반용융상태인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으로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수지(325)는 일측이 50 내지 100mm 중첩되도록 일정 피치의 나선형으로 감으며 공급한다. 이때, 보조롤러(330)를 이용하여 접착제(315) 및 수지(325)를 가압하여 접착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단계를 거치며 완성된 이중 보온관(20)을 냉각부(400)를 통해 냉각한다(S600). 이때 냉각부(400)는 냉각수(405)를 사용하여 이중 보온관(20)을 냉각시키는 것이 좋다. 하지만, 설치환경에 따라서 냉각수(405) 대신 압축공기 등을 사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접착제(315)와 수지(325)는 공급되는 내관(10)들의 외측에 연속적으로 공급되기 때문에, 최초 공급된 내관(10)의 크기에 맞추어 수지(325)를 제거하는 관끝처리를 시행하여 최초 공급된 내관(10)의 크기와 동일한 이중 보온관(20)을 제작한다(S700).
<이중 보온관의 구성>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정면을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완성된 이중 보온관(20)은 내관(10) 외측에 일차 보온을 위한 일정 두께의 단열 충진재(205)가 형성된다. 단열 충진재(205)의 외측에는 수지(325)와 접착을 위한 접착제(315)가 도포된 접착층이 형성되고, 그 접착층 외측에는 이차 보온을 위한 수지(325)가 피복된 수지층이 형성된다.
이때, 단열 충진재(205)의 내부 일측에는 내관(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누수 감지선(211) 및 히팅관(21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압출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압출기의 수지 배출구를 나타내는 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 보온관의 정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내관 10' : 내관 제조용 파이프
20 : 이중 보온관 100 : 예열장치
200 : 발포기 205 : 단열 충진재
210 : 공급수단 211 : 누수 감지선
212 : 히팅관 300 : 압출부
310 : 접착제 압출기 315 : 접착제
320 : 수지 압출기 321 : 수지 배출구
325 : 수지 325' : 중첩되는 부분
330 : 보조롤러 400 : 냉각부
405 : 냉각수 500 : 쇼트기
600 : 이송수단

Claims (21)

  1. 일정한 크기로 절단되어 이송되는 내관(10)을 소정 온도로 예열시켜 주는 예열장치(100);
    상기 예열장치(100)에 의해 예열된 상기 내관(10)의 외부에 소정의 두께로 단열 충진재(205)를 발포하는 발포기(200);
    상기 단열 충진재(205) 외부에 접착제(315) 및 수지(325)를 원단형상으로 각각 압출하여 권취하고, 상기 접착제(315) 및 수지(325)를 상기 단열 충진재(205)에 밀착시키기 위한 보조롤러(330) 및 상기 보조롤러(330) 일측에는 상기 보조롤러(330)와 상기 내관(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 조절수단을 구비한 압출부(300); 및
    상기 압출부(300)를 통과한 이중 보온관(20)을 냉각시키는 냉각부(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예열장치(100)는 고주파로 예열하는 인덕션, 전기적으로 예열시켜 주는 다이스 또는 히팅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 충진재(205)는 폴리우레탄 또는 분말 에폭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기(200)는 단열 충진재(205)의 내부에 누수 감지선(211) 및 히팅 관(212)을 공급해 주는 공급수단(21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300)는 접착제(315)를 공급하는 접착제 압출기(310) 및 수지(325)를 공급하는 수지 압출기(3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300)는 상기 접착제 압출기(310)에서 공급되는 접착제(315)를 권취하고 그 다음 수지 압출기(320)에서 공급되는 수지(325)를 권취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부(300)에서 공급되는 상기 접착제(315) 및 수지(325)는 단열 충진재(205)의 외측에 일정 피치의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롤러(330)는 실리콘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10. 삭제
  11.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압출기(320)에서 공급되는 수지(325)는 상기 단열 충진재(205)에 소정간격 중첩되도록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압출기(320)의 수지 배출구(321)는 단열 충진재(205)에 중첩되도록 감기는 부분(325')과 대응되는 일측이 중첩되지 않는 부분과 대응되는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13.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압출기(320)에서 공급되는 수지(325)는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400)는 수냉식 냉각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장치.
  15. 내관(10)을 이송하는 제 1 단계(S100);
    예열기(100)를 통해 이송되는 내관(10)을 가열하는 제 2 단계(S200);
    가열된 상기 내관(10) 외측에 단열 충진재(205)를 발포하는 제 3 단계(S300);
    상기 단열 충진재(205) 외측에 T-다이 접착제 압출기(310)를 이용하여 반용융된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접착제(315)를 감아 접착제 층을 형성하는 제 4 단계(S400);
    상기 접착제(315) 외측에 T-다이 수지 압출기(320)를 이용하여 반용융된 원단형상 또는 필름형상의 수지(325)를 일측이 50 내지 100mm 중첩되도록 감아 수지층을 형성하고, 간격조절수단으로 보조롤러(330)를 상기 내관(10) 및 상기 단열 충진재(205)의 두께에 맞추어 조절한 후, 상기 보조롤러(330)를 이용하여 상기 접착제(315) 및 상기 수지(325)를 가압하여 접착시 기포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는 제 5 단계(S500);
    완성된 이중 보온관(20)을 냉각시키는 제 6 단계(S600); 및
    상기 제 1 단계(S100)에서 공급된 내관(10)의 길이에 맞추어 수지(325)를 절단하는 제 7 단계(S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S200)에서 상기 내관(10)을 50℃ 내지 60℃로 예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단계(S400)에서 상기 접착제(315)는 150℃ 내지 240℃에서 녹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단계(S500)에서 상기 수지(325)는 150℃ 내지 270℃에서 녹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제조방법.
  19. 삭제
  20. 삭제
  21. 제 15항 내지 제 18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보온관.
KR1020080059157A 2008-06-23 2008-06-23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928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57A KR100928668B1 (ko) 2008-06-23 2008-06-23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9157A KR100928668B1 (ko) 2008-06-23 2008-06-23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28668B1 true KR100928668B1 (ko) 2009-11-27

Family

ID=41605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9157A KR100928668B1 (ko) 2008-06-23 2008-06-23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86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5467A (zh) * 2013-09-11 2013-12-25 青岛普天汽车配件有限公司 Lng车用瓶绝热材料缠绕加热一体装置
CN104472048A (zh) * 2014-12-16 2015-04-01 康莱德国际环保植被(北京)有限公司 盐碱地渗漏管及其制造方法
KR101544281B1 (ko) 2013-11-19 2015-08-12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이중 보온관의 제조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KR101574531B1 (ko) * 2015-08-18 2015-12-04 주식회사 에스피 이중 보온관용 폴리에틸렌 외피 파이프의 수축 및 절단면 변형 방지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837A (ja) * 2005-10-04 2007-04-19 Kanaflex Corporation 耐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7746B1 (ko) * 2006-03-15 2007-08-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튜브 제조장치
KR20080012246A (ko) * 2007-12-05 2008-02-11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00837A (ja) * 2005-10-04 2007-04-19 Kanaflex Corporation 耐圧ホース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47746B1 (ko) * 2006-03-15 2007-08-17 현대본드에스티에스 주식회사 튜브 제조장치
KR20080012246A (ko) * 2007-12-05 2008-02-11 에스이피엔씨 주식회사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65467A (zh) * 2013-09-11 2013-12-25 青岛普天汽车配件有限公司 Lng车用瓶绝热材料缠绕加热一体装置
CN103465467B (zh) * 2013-09-11 2015-05-20 青岛普天汽车配件有限公司 Lng车用瓶绝热材料缠绕加热一体装置
KR101544281B1 (ko) 2013-11-19 2015-08-12 대주이엔티 주식회사 이중 보온관의 제조방법 및 이중 보온관용 폴리우레탄 발포체 조성물
CN104472048A (zh) * 2014-12-16 2015-04-01 康莱德国际环保植被(北京)有限公司 盐碱地渗漏管及其制造方法
KR101574531B1 (ko) * 2015-08-18 2015-12-04 주식회사 에스피 이중 보온관용 폴리에틸렌 외피 파이프의 수축 및 절단면 변형 방지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3341B1 (ko)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 그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100928668B1 (ko) 이중 보온관,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TWI727139B (zh) 樹脂包覆鋼管之製造方法
US20210229335A1 (en) Method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a thermally insulated pipe
KR100916680B1 (ko) 보온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5538756A (zh) 钢带增强中空双平壁聚乙烯缠绕排水管的生产方法
US10220551B2 (en) Thermally insulated corrugated conduit
CN110576619A (zh) 一种提高hdpe双壁波纹管生产效益的新工艺方法
RU226551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изоляционной трубы
CN101139719A (zh) 一种用于钢质管外层防腐的复合缠绕带及其生产方法与使用方法
CN107379575B (zh) 玻纤缠绕结构壁管材加工设备及其加工方法
KR100821650B1 (ko) 융착층을 갖는 이중보온관용 외관, 그 제조방법, 제조장치및 이중보온관
US10293528B2 (en) Continuous method for producing pre-insulated piping
PL200360B1 (pl) Sposób wytwarzania zestawu składającego się z rury termoizolacyjnej, zespół do wytwarzania zestawu składającego się z rury termoizolacyjnej oraz zwój ze zmontowaną rurką
AU2007293923B2 (en)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a cylindrical, strand-shaped part
CN104358959B (zh) 一种双壁波纹管及其生产工艺
CA1143117A (en) Method and an arrangement for the manufacture of a material web of foamed thermoplastics
KR20150008751A (ko) 연속 진공 몰드 성형을 통한 냉난방 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제조장치 및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냉난방 시스템용 일체형 다중배관
EP1520675B1 (en) A procedure for the manufacture of foam insulated pipes
KR100701211B1 (ko) 나선형 고강도 합성수지관의 제조방법
DK201500143U3 (da) Isoleret rør med et indre rør
KR101260269B1 (ko) 띠 보강부가 형성된 플라스틱폐자재 이용 파이프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그의 파이프관
KR980008374A (ko) 단열 도관의 제조 방법
KR20010005436A (ko) 폐플라스틱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플라스틱 흄관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9990068655A (ko) 폐플라스틱을이용한다층구조의플라스틱흄관및그제조방법과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