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6967B1 -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6967B1
KR100816967B1 KR1020067008705A KR20067008705A KR100816967B1 KR 100816967 B1 KR100816967 B1 KR 100816967B1 KR 1020067008705 A KR1020067008705 A KR 1020067008705A KR 20067008705 A KR20067008705 A KR 20067008705A KR 100816967 B1 KR100816967 B1 KR 100816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ype multi
image information
projection display
rear pro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08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7602A (ko
Inventor
야스나가 미야자와
히로시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7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6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6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6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투사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과,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사되는 투과형 스크린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된 투사 화상의 소정 영역을 배면쪽으로부터 촬영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의 각각에 입력하는 단위 화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와, 상기 촬상 장치의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조정 작업을 쉽게 함과 동시에 조정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REAR PROJECTION-TYPE MULTI-PROJECTION DISPLAY}
본 발명은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투사 광학 유닛)을 수평 방향 및/또는 수직 방향에 배치하고, 이들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을 스크린에 확대 투사함으로써 하나의 대화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알려져 있다(예컨대, 특허 문헌 1∼9 참조). 이러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통상의 프로젝터에 비해, 고선명 또한 고휘도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으므로, 영화관, 미술관, 박물관, 세미나장, 집회장, 미니 극장, 공공 기관, 기업 등의 업무용 분야나 오락, 안방 극장 등의 가정용 분야에서 금후 널리 보급되어 갈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스크린 상에서 원활히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취할 수 없고, 경계선이 눈에 띄어 현저히 화상 품질을 저하시켜 버린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1 및 2에 개시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스크린 상에서 서로 겹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그 이음매가 작아지도록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설치시 등에,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의 이음매를 없애거나, 이들 투사 화상끼리 모순없이 접속되도록 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3∼9에 개시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을 스크린 상에서 일부 중복시킴과 동시에 이들 중복 영역에서 투사 화상을 원활히 접속하도록 하여 상기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스크린 상에서 어떻게 표시되어 있는지 정확히 모르면, 이들 투사 화상을 스크린 상에서 원활히 접속할 수 없기 때문에, 특허 문헌 3∼6에 개시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감시 카메라나 디지털 카메라 등의 촬상 장치를 시청자쪽에 설치하여,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조정용 화상)을 촬영하여 이들 투사 화상이 스크린 상에서 어떻게 표시되고 있는 것인지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8-82854호 공보
특허 문헌 2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8-94974호 공보
특허 문헌 3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339672호 공보
특허 문헌 4 : 국제 공개 제99/31877호 팜플릿
특허 문헌 5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9-326981호 공보
특허 문헌 6 : 일본 특허 공개 제2001-251651호 공보
특허 문헌 7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6-178327호 공보
특허 문헌 8 : 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제9-211386호 공보
특허 문헌 9 : 미국 특허 제5956000호 명세서
발명의 개시
그러나, 특허 문헌 3∼6에 개시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촬상 장치를 시청자쪽에 설치하여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조정 작업이 종료되면 촬상 장치의 뒷처리(철수 작업)가 행하여진다. 이 때문에, 조정 작업을 다시 행할 때는, 다시 촬상 장치를 설치하게 되지만, 그 때는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촬상 장치를 설치해야 하고, 더욱이, 이 촬상 장치의 설치 작업은 통상 사람의 손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조정 작업이 번잡해져 조정 시간이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조정 작업을 쉽게 함과 동시에 조정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노력을 거듭한 결과,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촬상 장치를 배치하면, 상술한 문제가 해결되고, 그 결과, 조정 작업을 쉽게 함과 동시에 조정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1)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투사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과,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사되는 투과형 스크린과,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상기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된 투사 화상의 소정 영역을 배면쪽으로부터 촬영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의 각각에 입력하는 화상 정보(이하 「단위 화상 정보」라고 함)를 생성하는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와, 상기 촬상 장치의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촬상 장치를 배치하여 배면쪽으로부터 투사 화상을 촬영하도록 했기 때문에, 촬상 장치를 일단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정확하게 설치하면, 종래와 같이 조정 작업 종료 후에 촬상 장치를 뒷처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투사 화상의 촬영시에 촬상 장치의 설치를 바로잡을 필요가 없어져, 그 결과, 조정 작업이 용이해지고 조정 시간도 짧아진다.
또한,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촬상 장치를 배치했기 때문에, 투과형 스크린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촬상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용이해져, 종래보다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촬상 장치를 배치했기 때문에, 촬상 장치에 의해서 촬영한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전부 하우징 내에 수납하는 것이 용이해지고,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이동, 설치가 용이해진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는, 비교적 소형의 업무용 용도나 가정용 용도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된다.
또,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보다 정확히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하기 위해서는, 외광의 영향을 배제한 뒤에 촬영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특허 문헌 6에 개시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시청자쪽에 설치된 촬상 장치의 주위에, 사각추 형상이나 롤 형상으로 형성된 대면적의 차광 장치(도 4∼도 9)나, 촬상 장치와 동시에 이동하는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된 차광 장치(도 12)를 하우징에 대하여 간격이 없도록 설치함으로써, 외광의 영향을 배제하고 있다. 그 결과, 특허 문헌 6에 개시된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있어서는,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할 때마다 차광 장치의 설치 작업을 행하여야 되어, 조정 작업이 더욱 번잡해지고 조정 시간이 더욱 길어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촬상 장치를 배치했기 때문에, 촬상 장치에 들어가는 외광의 강도를 낮은 레벨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외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 장치를 특별히 마련하지 않더라도 종래보다 정확히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이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할 때마다 차광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조정 작업이 용이해지고 조정 시간도 짧아진다.
(2) 상기 (1)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시에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통해서 하우징 내에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하는 차광 장치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차광 장치를 마련하지 않더라도 촬상 장치에 들어가는 외광의 강도를 낮은 레벨로 할 수 있게 되지만, 투과형 스크린을 통해서 하우징 내에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하는 차광 장치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촬상 장치에 들어가는 외광의 강도를 더욱 낮은 레벨로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히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차광 장치로서는, 개폐 가능한 차광 커튼이나 도어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을 투과형 스크린의 외측에 설치해두고, 평소에는 차광 커튼이나 도어를 열어두고, 투사 화상을 촬영할 때에 차광 커튼이나 도어를 닫히도록 한다.
차광 장치로서는, 투과형 스크린의 외측에 설치한 투과율 가변의 일렉트로크로믹 유리나 액정 셔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평소에는 투과율을 최대로 해두고, 투사 화상을 촬영할 때에 투과율을 최저 레벨로 하도록 한다.
차광 장치로서, 투과형 스크린의 재료 그 자체를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평소에는 투과율을 최대로 해두고, 투사 화상을 촬영할 때에 투과율을 최저 레벨로 하도록 한다.
어느 쪽의 차광 장치의 경우에도,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시에 자동적으로 외광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서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조정 작업이 번잡해지지 않는다.
(3)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외광 상태 평가부를 더 갖고,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외광이 강한 상태일 때에는, 그에 따라 광원의 발광 광량을 강하게 하여, 촬영할 때의 외광의 영향을 약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4) 상기 (3)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는, 상기 광원에서의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발광 광량을 근거로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외광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은 비선형이기 때문에, 광원에서의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발광 광량을 근거로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촬영할 때의 외광의 영향을 더욱 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5)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함으로써, 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미광의 상태에 따라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촬영할 때의 외광 및 미광의 영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미광의 상태에 따라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함으로써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6) 상기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촬상 장치는 촬영 범위의 변경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고배율의 촬영이나 광범위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여러가지 촬영 모드에서의 투사 화상의 촬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촬영 범위의 변경은, 촬상 장치의 위치나 자세를 변화시키거나, 촬상 장치에서의 렌즈 등의 광학계의 구성을 변화시키거나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촬상 장치는, 줌 기능과 오토 포커스 기능을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의 경우에는, 촬영 범위나 배율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의 자유도나 유연성이 향상된다. 후자의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포커스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7) 상기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촬상 장치는 복수의 촬상 소자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촬영하는 대상에 따라 촬영에 이용하는 촬상 소자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 결과 조정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촬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조정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8)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투과형 스크린 전체를 촬영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화면 전체의 색 밸런스나 휘도 밸런스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된 조정용 단위 화상을 촬영한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통상의 화상을 촬영한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도 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이 조정용 단위 화상을 촬영한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정확한 보정을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조정용 단위 화상으로서는, 백색 또는 단색의 고체 화상, 단색의 격자 모양을 비롯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데 바람직한 여러가지 단위 화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미리 조정용 화상 정보를 기억시켜 놓고, 조정 작업시에는 이 조정용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에 조정용 단위 화상을 생성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미리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기억시켜 놓고, 조정 작업시에는 이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는 조정 작업을 행할 때에(DVD 등에 의해) 조정용 화상 정보를 입력하고, 이 조정용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에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생성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는 조정 작업을 행할 때에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9) 상기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의 형상, 위치 및/또는 경사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의 형상, 위치 및/또는 경사를 적정화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0)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의 휘도 및/또는 색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의 휘도 및/또는 색을 적정화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11) 상기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각 화소마다 휘도 및/또는 색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원 화상 정보에 지극히 충실한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되는 복수의 조정용 단위 화상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체로서의 조정용 화상과, 본래의 조정용 화상을 비교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각 화소마다 휘도 및/또는 색에 대하여 단위 화상의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12) 상기 (1)∼(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된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일단 보정 파라미터가 결정된 후에는, 이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상 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13) 상기 (12)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촬영 결과 그 자체를 기억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화상 정보를 보정할 때의 계산량도 줄일 수 있다.
(14) 상기 (12) 또는 (13)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소정의 경우에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여 상기 보정 파라미터의 취득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보정 파라미터의 재결정(재취득)이 필요한 시기가 되면(예컨대, 재취득 후 3개월 경과하면)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재취득하도록 하거나, 매일 결정된 시간이 되면(예컨대, 오전 4시가 되면)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재취득하도록 하거나 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매끄러운 화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광원이나 전기 광학 변조 장치의 특성이 시간 경과 변화에 의해서 변화되었다고 해도, 이 특성 변화에 대응한 보정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으므로, 시간 경과 변화에 의해서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항상 억제할 수 있게 된다.
(15) 상기 (1)∼(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광학 보정 장치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일단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이 행하여진 후에는 매끄러운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 보정은 광학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조정 작업에 의해서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는다.
광학 요소로서는, 프로젝터 유닛 그 자체, 프로젝터 유닛의 투사 렌즈,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광을 투과형 스크린에 향해서 반사하는 반사판 등이 있다.
이 경우,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광학적인 보정을 우선 행하고, 그 후, 다시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을 행하여, 그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우선 큰 보정을 광학적으로 행하고, 그 후, 미세한 보정을 순 전자적으로 행하도록 할 수 있어, 단위 화상 정보 보정 부가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화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16) 상기 (15)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소정의 경우에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여 상기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광학 요소 자동 보정 장치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예컨대, 광학 요소의 보정이 필요한 시기(예컨대, 재취득 후 3개월 경과시)가 되거나, 매일 결정된 시간(예컨대, 오전 4시)이 되거나 하면, 광학 요소 자동 보정 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매끄러운 화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17) 상기 (3) 또는 (4)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는, 소정의 경우에 상기 투과형 스크린의 촬영을 행하여 외광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소정의 경우란,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전원을 넣었을 때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전원이 들어가 있을 때의 30분마다 등이 예시된다.
(18) 상기 (1)∼(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광원은 고체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점등하자마자 안정된 발광 상태를 얻을 수 있는 고체 광원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프로젝터 유닛마다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되는 투사 화상을 촬영하기까지의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각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한 조정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고체 광원을 자유롭게 점등 상태로 하거나 비점등 상태로 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기구를 복잡하게 하는 셔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고체 광원은 점등하면 순간적으로 안정된 점등 상태가 되기 때문에, 즉시 촬영을 개시할 수 있고, 또한,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간이 불필요해져, 조정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외광의 강도에 따라 고체 광원의 출력을 가변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광의 강도에 비해 항상 적절한 강도의 광으로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항상 정확한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고체 광원의 출력을 높게 하거나 낮게 해도, 그 색 온도(color temperature)는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촬영 결과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상기 (18)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고체 광원이, LED 광원, 반도체 레이저 광원, 고체 레이저 광원 또는 EL 광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즉시 안정된 점등 상태를 얻을 수 있어 조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충분한 휘도와 연색성을 갖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를 얻을 수 있다.
(19) 상기 (18)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상기 프로젝터 유닛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광원이나 전기 광학 변조 장치에서의 특성의 격차에 의해서, 프로젝터 유닛마다 휘도 특성이나 색 특성이 다른 것이 현 상태이다. 이 때문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이들 휘도 특성이나 색 특성의 차이를, 각 프로젝터 유닛마다 전기 광학 변조 장치에 인가하는 전압을 조정함으로써 흡수하고 있다. 그 결과, 이들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이 조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전기 광학 변조 장치에서의 계조 자원을 사용해야 되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본래 갖고 있는 실효 계조수가 저하되거나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이들 휘도 특성이나 색 특성의 차이를,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프로젝터 유닛마다 제어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전기 광학 변조 장치에서의 계조 자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본래 갖고 있는 실효 계조수가 저하되거나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아지지 않는다.
이 경우, 프로젝터 유닛마다의 휘도 특성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가장 휘도 레벨이 낮은 프로젝터 유닛 이외의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이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휘도 레벨이, 가장 휘도 레벨이 낮은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휘도 레벨에 맞춰지게, 저하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프로젝터 유닛마다의 색 특성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정을 색광마다 행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광원으로서 고압 수은 램프나 메탈 할라이드(metal halide) 램프를 이용한 경우와는 달리, 전압을 낮추거나 높여도 발광 광량이 작아지거나 커질뿐, 그 색 온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그로 인한 화질 열화도 없다.
상기 (19)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고체 광원 제어부는, 상기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전체적으로 어두운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예컨대, 영화의 밤의 장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전기 광학 변조 장치의 광 투과율을 낮추는 대신에 또는 거기에 더하여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줄임으로써, 화면 전체를 어둡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체적으로 밝은 화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예컨대, 영화의 낮의 옥외 장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전기 광학 변조 장치의 광 투과율을 높이는 대신에 또는 거기에 더하여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키우는 것에 의해, 화면 전체를 밝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실효 계조수나 다이나믹 레인지를 크게 취할 수 있어, 흑 레벨이 우수한 고화질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된다.
이 경우, 고체 광원 제어부가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이 동적인 제어를 프로젝터 유닛마다 행하도록 하면, 밝은 화면과 어두운 화면이 일 화면 중에 존재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본래 갖고 있는 실효 계조수나 다이나믹 레인지를 넘는 표현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고화질의 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19)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고체 광원 제어부는, 상기 고체 광원에 공급하는 전압을 상기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는 상기 전기 광학 변조 장치마다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는 전기 광학 변조 장치마다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용이하게 줄이거나 키울 수 있게 된다.
상기 (19)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고체 광원 제어부는 고체 광원의 발광 기간을 상기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는 상기 전기 광학 변조 장치마다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도,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는 전기 광학 변조 장치마다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용이하게 줄이거나 키울 수 있게 된다.
상기 (19)에 기재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변조 장치는 하나의 단위 화면 정보에 대하여 2회 이상의 기록을 행하는 액정 장치로서, 상기 고체 광원 제어부는 1 프레임 중에서의 고체 광원의 발광을 상기 액정 장치의 적어도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기 광학 변조 장치로서 액정 장치를 이용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액정 장치가 홀드형의 표시 장치이기 때문에, 임 펄스형의 표시 장치인 CRT의 경우와는 달리, 이른바 꼬리끌기 현상(tailing phenomenon) 때문에 매끄러운 동화상 표시를 얻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이 꼬리 끌기 현상에 대해서는, 「홀드형 디스플레이에서의 동화상 표시의 화질」(전자 정보 통신 학회 기보, EID99-10, 제55∼60 페이지(1999-06) 참조).
이에 대하여, 상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하나의 단위 화면 정보에 대하여 2회 이상의 기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플리커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이른바 n 배속 구동(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액정 장치를 이용함과 동시에, 이 액정 장치의 적어도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고체 광원의 발광을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투사 화상을 간헐적으로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홀드형의 결점인 꼬리 끌기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원활하고 양질의 동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고체 광원의 발광을, 액정 분자가 아직 충분히 응답하지 않은 상태에 있는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계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상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는, 상기 전기 광학 변조 장치는, 복수의 화면 영역마다 순차적으로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액정 장치로서, 상기 고체 광원 제어부는, 1 프레임 중에서의 고체 광원의 발광을, 상기 액정 장치의 화상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상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1 프레임 내 등에 있어서 복수의 화면 영역마다 순차적으로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것에 의해 플리커를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는 액정 장치를 이용함과 동시에, 이 액정 장치의 화상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고체 광원의 발광을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투사 화상을 간헐적으로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홀드형의 결점인 꼬리 끌기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원활하고 양질의 동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의하면, 고체 광원의 발광을 액정 장치의 화상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계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프로젝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4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6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별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실시예 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17은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실시예 4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실시예 4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실시예 5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1은 실시예 5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2는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23은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26은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28은 실시예 10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
도 29는 실시예 1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록도,
도 30은 실시예 1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1)
도 1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a)는 측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며, 도 1(b)는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프로젝터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도 5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2) 내에 배치된 4개의 프로젝터 유닛(130)(도 1(a) 내 에서는 2개만 표시되어 있음)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반사판(104)에서 반사되어 투과형 스크린(108)에 투사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이다.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체 광원으로서의 LED(132R, 132G, 132B), 전기 광학 변조 장치로서의 3장의 액정 장치(134R, 134G, 134B), 크로스 다이클로익 프리즘(136) 및 투사 렌즈(138)를 갖고, LED 광원(132R, 132G, 132B)으로부터의 조명광을 단위 화상 정보 A1∼An(도 3 참조) 또는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 1∼Bn(도 4 참조)에 근거해 액정 장치(134R, 134G, 134B)에 의해 변조하여 투사 렌즈(138)에 의해 투사하는 것을 이용하고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는, 도 3∼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 화상 처리부(146) 및 광학 보정 장치(154)를 갖는 제어부(110)와, 4개의 프로젝터 유닛(130, 130, 130, 130)과, 촬상 장치(140)와, 영상 신호 수신부(160)와, 조정용 화상 정보 기억부(122)와,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152)를 구비하고 있다.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는, 원 화상 정보 A에 근거하여 복수의 단위 화상 정보 A1∼An을 생성하는 기능(도 3 참조) 및 조정용 화상 정보 B에 근거하여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1∼Bn을 생성하는 기능(도 4 참조)을 갖고 있다.
촬상 장치(140)는,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 투사된 조정용 화상의 소정 영역을 촬영하는 촬상 소자(142)와, 촬상 소자(142)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 소자(144)를 갖고 있다.
화상 처리부(146)는, 촬상 장치(140)의 촬영 결과에 대한 화상 처리를 행하 여 얻어진 결과와 조정용 화상 정보 B 등과의 비교를 행하여, 그 결과를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에 출력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촬상 장치(140)의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130) 중 인접하는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 사이에서의 경계선이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서 눈에 띄지 않도록,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보정된 단위 화상 정보 A1*∼An*가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 출력되게 된다(도 5 참조).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152)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로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보정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조정용 화상 정보 기억부(122)는, 촬상 장치(140)에서 촬영 대상으로 되는 조정용 화상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촬상 장치(140)는 도 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의 하우징(102) 내에 배치되어, 투과형 스크린(108)의 배면쪽으로부터 투사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소자(142)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촬상 장치(140)를 일단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의 하우징(102) 내에 정확하게 설치하면, 종래와 같이 조정 작업 종료 후에 촬상 장치를 뒷처리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투사 화상의 촬영시에 촬상 장치(140)의 설치를 바로잡을 필요가 없어져, 그 결과, 조정 작업이 용이해지고 조정 시간도 짧아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투과형 스크린(108)에 대하여 정확한 위치에 촬상 장치(140)를 설치하기 용이해져, 종래보다 정확하고 또한 용이하게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된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촬상 장치(140)에 의해서 촬영한 결과를 처리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전부 하우징(102) 내에 수납하는 것이 용이해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이동, 설치가 용이해진다는 효과도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는, 비교적 소형의 업무용 용도나 가정용 용도에도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의 하우징(102) 내에 촬상 장치(140)를 배치했기 때문에, 촬상 장치(140)에 들어가는 외광의 강도를 낮은 레벨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외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 장치를 특별히 마련하지 않더라도 종래보다 정확히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종래와 같이 투사 화상의 촬영을 행할 때마다 차광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져, 조정 작업이 용이해지고 조정 시간도 짧아진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프로젝터 유닛(130)의 광원으로서, 점등하자마자 안정된 발광 상태를 얻을 수 있는 LED 광원(132R, 132G, 132B)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각 프로젝터 유닛(130)마다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 투사되는 조정용 화상의 소정 영역을 촬상 장치(140)로 촬영하기까지의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취하기 위한 조정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LED 광원(132R, 132G, 132B)을 자유롭게 점등 상태로 하거나 비점등 상태로 할 수 있으므로, 상기 특허 문헌 3에서 이용하고 있던 셔터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게다가, LED 광원(132R, 132G, 132B)은, 점등하면 순간적으로 안정된 점등 상태가 되기 때문에, 즉시 촬영을 개시할 수 있고, 또한, 셔터를 동작시키기 위한 시간이 불필요해져, 조정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고체 광원으로서, LED 광원(132R, 132G, 132B)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점등 상태가 안정한 데 더하여, 충분한 휘도와 연색성을 갖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촬상 장치(140)는 촬영 범위 S(도 1(a) 참조)의 변경이 가능하다. 이 때문에, 고배율의 촬영이나 광범위의 촬영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여러가지 촬영 모드에서의 투사 화상의 촬영을 효율적으로 행할 수 있게 된다.
촬영 범위 S의 변경은, 촬상 장치(140)의 위치나 자세를 변화시키거나, 촬상 장치(140)에서의 렌즈 등의 광학계의 구성을 변화시키거나 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촬상 장치(140)는 줌 기능과 오토 포커스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촬영 범위 S나 배율을 적절히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촬영의 자유도나 유연성이 향상되어, 자동적으로 포커스 조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편리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촬상 장치(140)는 투과형 스크린(108)의 전체를 촬영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화면 전체의 색 밸런스나 휘도 밸런스를 용이하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각 프로젝터 유닛(130)에 의해 투사된 조정용 단위 화상을 촬영한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한다.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통상의 화상을 촬영한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할 수도 있지만, 이와 같이 조정용 단위 화상을 촬영한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보다 정확한 보정을 신속히 행할 수 있게 된다.
조정용 단위 화상으로서는, 백색 또는 단색의 고체 화상, 단색의 격자 모양을 비롯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데 바람직한 여러가지 단위 화상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미리 조정용 화상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조정 작업시에는 이 조정용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화 상 정보 생성부(120)에 조정용 단위 화상을 생성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미리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기억시켜 두고, 조정 작업시에는 이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그대로 이용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는 조정 작업을 행할 때에(DVD 등에 의해) 조정용 화상 정보를 입력하고, 이 조정용 화상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생성시키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는 조정 작업을 행할 때에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를 직접 입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프로젝터 유닛(130)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의 형상, 위치 및/또는 경사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의 형상, 위치 및/또는 경사를 적정화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프로젝터 유닛(130)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의 휘도 및/또는 색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의 휘도 및/또는 색을 적정화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130, 130, 130, 130)에서의 각 화소마다 휘도 및/또는 색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에서의 정합성을 더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원 화상 정보에 지극히 충실한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108)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130, 130, 130, 130)에 의해 투사되는 복수의 조정용 단위 화상에 의해서 형성되는 전체로서의 조정용 화상과, 본래의 조정용 화상을 비교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에서의 각 화소마다 휘도 및/또는 색에 대하여 단위 화상의 보정을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는,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된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 때문에,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일단 보정 파라미터가 결정된 후에는, 이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단위 화상 정보를 용이하게 보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보정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152)를 더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촬영 결과 그 자체를 기억하는 경우에 비해 필요로 하는 기억 용량을 보다 줄일 수 있다. 또한, 단위 화상 정보를 보정할 때의 계산량도 줄일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소정의 경우에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여 보정 파라미터의 취득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보정 파라미터의 재결정(재취득)이 필요한 시기가 되면(예컨대, 재취득 후 3개월 경과하면)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재취득하도록 하거나, 매일 결정된 시간이 되면(예컨대, 오전 4시가 되면)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재취득하도록 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매끄러운 화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LED 광원(132R, 132G, 132B)나 액정 장치(134R, 134G, 134B)의 특성이 시간 경과 변화에 의해서 변화되었다고 해도, 이 특성 변화에 대응한 보정 파라미터를 자동적으로 취득할 수 있으므로, 시간 경과 변화에 의해서 화질이 열화되는 것을 항상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포함되는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광학 보정 장치(154)를 더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일단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이 행하여진 후에는 매끄러운 화상 품질을 얻을 수 있다. 이 보정은 광학적으로 행하여지기 때문에, 조정 작업에 의해서 화질을 열화시키지 않는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광학적인 보정을 우선 행하고, 그 후, 다시 촬상 장치(140)에 의한 촬영을 행하여, 그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우선 큰 보정을 광학적으로 행하고, 그 후, 미세한 보정을 순 전자적으로 행하도록 할 수 있어,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가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할 때에 발생하는 화질의 열화를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소정의 경우에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여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광학 요소 자동 보정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더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예컨대, 광학 요소의 보정이 필요한 시기(예컨대, 재취득 후 3개월 경과시)가 되거나, 매일 결정된 시간(예컨대, 오전 4시)이 되면, 광학 요소 자동 보정 장치가 자동적으로 동작하여 광학 요소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이용자를 번거롭게 하지 않고 매끄러운 화상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이 향상된다.
도 6∼도 12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도 12를 이용하여,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가, 어떻게 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의 형상, 위치 및/또는 경사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인지를 설명한다. 또한, 어떻게 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 사이의 휘도 및/또는 색을 보정할 수 있는 것인지를 설명한다.
(조정 전의 표시 상태)
조정 전의 표시 상태를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영상 신호 수신부(160)로부터의 원 화상 정보 A가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입력되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가 원 화상 정보 A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 A1∼An을 생성한다.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이 단위 화상 정보 A1∼A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 투사한다. 따라서,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는,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단위 화상에 관한 투사 화상이 투사되게 된다.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는 조정 전의 단계이기 때문에, 도 6(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왜곡된 투사 화상(Ia0, Ib0, Ic0, Id0)이 투사되게 된다.
(조정 작업 1(광학 보정 장치(154)에 의한, 단위 화상의 형상, 위치 및 경사에 대한 조정 작업))
조정 작업 1을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여, 조정용 화상 정보 기억부(122)로부터의 조정용 화상 정보 B가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입력되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가 조정용 화상 정보 B에 근거하여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1∼Bn을 생성한다.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1∼B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 투사한다. 따라서,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는 조정 전의 단계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도 6(i)에 나타내는 바와 같 은 왜곡된 투사 화상(Ia0, Ib0, Ic0, Id0)이 투사되게 된다.
다음에, 촬상 장치(140)의 촬상 소자(142)를 이용하여 도 6(i)에 나타낸 조정용 화상에 관한 각 투사 화상(Ia0, Ib0, Ic0, Id0)의 소정 영역을 촬영한다. 그 후, 광학 보정 장치(154)가, 그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의 하우징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광학적인 보정을 행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프로젝터 유닛(130)의 하우징 대신에, 프로젝터 유닛(130)의 투사 렌즈(138)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하여 광학적인 보정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반사판(104)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하여 광학적인 보정을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3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별도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a) 내의 액츄에이터(156)는, 반사판(104)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광학적인 보정을 행하는 광학 보정 장치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다.
조정용 화상 정보 기억부(122)로부터의 조정용 화상 정보 B를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다시 입력하면,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이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1∼B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 투사하지만,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전회의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의 하우징의 위치 및/또는 자세에 대한 보정이 행하여져 있기 때문에,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는, 도 6(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왜곡의 경감된 투사 화상(Ia1, Ib1, Ic1, Id1)이 투사되게 된다.
(조정 작업 2(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에 의한, 단위 화상의 형상, 위치 및 경사에 대한 조정 작업))
조정 작업 2를 설명한다.
다음에, 촬상 장치(140)의 촬상 소자(142)를 이용하여 도 6(ii)에 나타낸 조정용 화상에 관한 각 투사 화상(Ia1, Ib1, Ic1, Id1)을 촬영한다. 그 후,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가, 그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보정 파라미터는,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152)에 기억되고, 이후, 이 보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원 화상 정보로부터 복수의 단위 화상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 신호 수신부(160)로부터의 원 화상 정보 A가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입력되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가 원 화상 정보 A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를 생성하게 되지만, 이때, 단위 화상 정보는 보정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되기 때문에, 단위 화상 정보 A1*∼An*를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단위 화상 정보 A1*∼A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 투사한다.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는 이미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6(i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Ia2, Ib2, Ic2, Id2)은 정밀도 좋게 위치 정렬된다.
또, 이들 조정 작업 1 및 2에서는, 예컨대 도 7(투사된 각 단위 화상 사이에서 경사가 있는 경우) 또는 도 8(투사된 각 단위 화상 사이에서 경사가 없는 경우)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130, 130)에서의 조정용 화상 의 기준선을 일치시키기 위한 보정을 행하거나, 하나의 프로젝터 유닛(130)에서의 조정용 화상의 기준선을 촬영하는 작업을 행한다.
이들 경우에 있어서는,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130, 130)에서의 광원만을 점등시키거나, 하나의 프로젝터 유닛(130)에서의 광원만을 점등시키거나 해야 한다.
그러나,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 의하면, 각 프로젝터 유닛(130)의 광원으로서, 점등하자마자 안정된 발광 상태를 얻을 수 있는 LED 광원(132R, 132G, 132B)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은 조정 작업에 이러한 시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조정 작업 3(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에 의한, 단위 화상의 휘도 및 색에 대한 조정 작업))
조정 작업 3을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가령, PJUa, PJUb로 함)에서의 중첩 영역에서의 조정에 집중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Ia2, Ib2)이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그 중첩 영역에서 가중치 함수를 단위 화상 정보의 화소값으로 적산한다. 이 때, 가중치 함수로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γ 보정을 고려한 가중치 함수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원활 하게 접속되게 된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양호하게 합성되어 원활하게 접속되게 된다.
즉,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는, 원 화상(도 12(a))에 관한 원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2개의 단위 화상 정보가 생성될 때에, 이들 단위 화상(도 12(b))이 투과형 스크린(108) 상에서 원활하게 접속되도록(도 12(c)), 이들 단위 화상이 생성되기 때문에,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양호하게 합성되어 원활하게 접속된다.
(실시예 2)
도 14는 실시예 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실시예 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 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200)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광속의 광축이 투과형 스크린(208)의 스크린면에 수직하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단위 화상은 사다리꼴 왜곡을 갖고 있지 않다. 그 결과, 실시예 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200)에서의 작용 효과를 도시한 도면은,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 나타낸 도 6과는 달리, 도 15와 같이 된다.
그러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200)에서는, 촬상 장치(140)(도시하지 않음)가, 하우징(202) 내에 배치되어 투과형 스크린(208)의 배면쪽으로부터 투사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140)이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3)
도 16은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7은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a)는 단위 화상이 사다리꼴 왜곡을 갖는 경우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b)는 단위 화상이 사다리꼴 왜곡을 갖지 않는 경우의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는,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와는 제어부의 구성이 다르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에서의 제어부(112)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의 제어부(110)의 구성으로부터 광학 보정 장치(154)를 제외한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에 의하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어, 투과형 스크린의 배면쪽으로부터 투사 화상을 촬영하는 촬상 장치(140)를 갖고 있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의 경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는, 광학 보정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 단위 화상의 보정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략화할 수 있게 되어, 비용 저감 및 신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이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는, 하우징 내에 프로젝터 유닛의 배치가 고정되어 있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로서 특히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에서는, 광학 보정 장치를 이용하지 않고서, 오로지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의 동작에 의해서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기 때문에, 그 조정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조정 전의 표시 상태)
도 16을 참조하여, 영상 신호 수신부(160)로부터의 원 화상 정보 A가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입력되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가 원 화상 정보 A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 A1∼An을 생성한다.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이 단위 화상 정보 A1∼A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 따라서, 투과형 스크린 상에는,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각 단위 화상에 관한 투사 화상이 투사되게 된다.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는 조정 전의 단계이기 때문에, 도 17(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왜곡된 투사 화 상(Ia0, Ib0, Ic0, Id0)이 투사되게 된다.
(조정 작업 1(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에 의한, 단위 화상의 형상, 위치 및 경사에 대한 조정 작업))
조정 작업 1을 설명한다.
조정용 화상 정보 기억부(122)로부터의 조정용 화상 정보 B가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입력되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가 조정용 화상 정보 B에 근거하여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1∼Bn(도시하지 않음)을 생성한다.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조정용 단위 화상 정보 B1∼B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 따라서,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는 조정 전의 단계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도 17(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왜곡된 투사 화상(Ia0, Ib0, Ic0, Id0)이 투사되게 된다.
다음에, 촬상 장치(140)의 촬상 소자(142)를 이용하여 도 17(i)에 나타낸 조정용 화상에 관한 각 투사 화상(Ia0, Ib0, Ic0, Id0)을 촬영한다. 그 후,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가, 그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할 때에 이용하는 보정 파라미터를 결정한다. 그리고, 결정된 보정 파라미터는,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152)에 기억되고, 이후, 이 보정 파라미터에 근거하여 원 화상 정보로부터 복수의 단위 화상 정보가 생성되게 된다.
이에 따라, 영상 신호 수신부(160)로부터의 원 화상 정보 A가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에 입력되면,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120)가 원 화상 정보 A에 근거 하여 단위 화상 정보를 생성하게 되지만, 이때, 단위 화상 정보는 보정 파라미터에 의해 보정되어, 단위 화상 정보 A1*∼An*(도시하지 않음)을 생성한다. 따라서, 각 프로젝터 유닛(130)은, 단위 화상 정보 A1*∼An*에 따른 단위 화상을 투과형 스크린 상에 투사한다. 이 때,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는 이미 조정되어 있기 때문에, 도 17(ii)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프로젝터 유닛(130)으로부터의 투사 화상(Ia2, Ib2, Ic2, Id2)은 정밀도 좋게 위치 정렬된다.
(조정 작업 2(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150)에 의한, 단위 화상의 휘도 및 색에 대한 조정 작업))
조정 작업 2를 설명한다.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서,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가령, PJUa, PJUb로 함)에서의 중첩 영역에서의 조정으로 집중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Ia2, Ib2)이 원활하게 접속되도록, 그 중첩 영역에서 가중치 함수를 단위 화상 정보의 화소값에 적산한다. 이 때, 가중치 함수로서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γ 보정을 고려한 가중치 함수로 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원활하게 접속되게 된다.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접하는 2개의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양호하게 합성되어 원활하게 접속되게 된다.
즉, 실시예 3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300)에서는, 원 화상(도 12(a))에 관한 원 화상 정보에 근거하여 2개의 단위 화상 정보가 생성될 때에, 이들 단위 화상(도 12(b))이 투과형 스크린 상에서 원활하게 접속되도록(도 12(c)), 이들 단위 화상이 생성되기 때문에, 2개의 프로젝터 유닛 PJUa, PJUb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양호하게 합성되어 원활하게 접속된다.
(실시예 4)
도 18은 실시예 4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예 4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4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400)는,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40)는, 복수의 촬상 소자(142)를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가 갖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촬영하는 대상에 따라 촬영에 이용하는 촬상 소자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므로, 촬영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그 결과 조정 시간을 더욱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촬영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고, 그 결과 조정의 정밀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실시예 5)
도 20은 실시예 5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실시예 5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5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500)는,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촬상 장치(140)에 의한 촬영시에 투과형 스크린(508)을 통해서 하우징(502) 내에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 커튼(178)을 갖는 차광 장치(172)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에서 얻어지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차광 커튼(178)은, 평소에는 수납부(176)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투과형 스크린(508)을 가리지 않는 한편, 조정 작업을 행할 때는 차광 커튼(178)은 레일(174)을 따라 왼쪽으로 이동하여 투과형 스크린(508)을 가리게 된다. 이 때문에, 조정 작업을 행할 때는 투과형 스크린(508)을 거쳐서 외광이 하우징 내에 들어오지 않기 때문에, 촬상 소자(142)에 들어가는 외광의 강도를 더욱 낮은 레벨로 할 수 있게 되어, 보다 정확히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차광 장치로서는, 차광 커튼(178) 외에, 개폐 가능한 도어나 투과율 가변의 일렉트로크로믹 유리, 액정 셔터를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차광 장치로서, 투과형 스크린의 재료 그 자체를 일렉트로크로믹 재료로 구성할 수도 있다.
실시예 5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500)에 있어서는, 촬상 장치(140)에 의한 촬영시에 자동적으로 외광을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람 손을 거치지 않고서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조정 작업이 번잡해지지 않는다.
(실시예 6)
도 22는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3 및 도 24은,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a)는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에서 최대 휘도의 백 표시를 시키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23(b)는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전체 화면에서 최대 휘도의 백 표시를 시키는 경우를 나타낸다. 도 24(a)는 가장 휘도 레벨이 높은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액정 장치에 의한 휘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4(b)는 가장 휘도 레벨이 높은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고체 광원 제어부에 의한 휘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는,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의 구성에 더하여, 각 프로젝터 유닛(130)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170)를 더 갖고 있다. 이 고체 광원 제어부(170)는 각 액정 장치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에 의하면, 실시예 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가 갖는 효과 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에 의하면,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프로젝터 유닛(130)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프로젝터 유닛(130)마다의 휘도 특성이나 색 특성의 차이를,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 장치에서의 계조 자원을 사용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본래 갖고 있는 실효 계조수가 저하되거나 다이나믹 레인지가 좁아지지 않는다.
또한,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에 의하면,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액정 장치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프로젝터 유닛(130)마다의 색 특성의 차이를,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함으로써 흡수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에서는, 도 2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프로젝터 유닛(130)마다의 휘도 특성의 차이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가장 휘도 레벨이 낮은 프로젝터 유닛(단위 투사 화상 Ic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유닛)이외의 프로젝터 유닛(단위 투사 화상 Ia, Ib, Id를 투사하는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이들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휘도 레벨이 가장 휘도 레벨이 낮은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휘도 레벨에 맞춰지게, 저하시키고 있다.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에서는, 이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각 색광마다 제어하고 있다.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에서는, 고체 광원 제어부(170)는 프로젝터 유닛(130)마다 및/또는 액정 장치마다, LED 광원에 공급하는 전압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더라도 좋고, LED 광원의 발광 기간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것이라도 좋다. 어느 쪽의 경우에도,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용이하게 줄이거나 키울 수 있게 된다.
(실시예 7)
도 25는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a)는 전체적으로 밝은 화상을 표시하는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투사 광량을 나타내고, 도 25(b)는 전체적으로 어두운 화상을 투사하는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투사 광량을 나타낸다.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700)(도시하지 않음)는,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의 경우와 같이, 각 프로젝터 유닛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172)(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또한, 고체 광원 제어부(172)는,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의 경우와 같이, 각 액정 장치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700)에서는, 고체 광원 제어부(172)가 상기 기능에 더하여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동적으로 제어하 는 기능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700)에 의하면, 실시예 6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600)가 갖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도 2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어두운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예컨대, 영화의 밤의 장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액정 장치의 광 투과율을 낮게 하는 대신에 또는 거기에 더하여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줄임으로써, 화면 전체를 어둡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5(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밝은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예컨대, 영화의 낮의 옥외의 장면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에는, 액정 장치의 광 투과율을 높이는 대신에 또는 거기에 더하여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키우는 것에 의해, 화면 전체를 밝게 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종래보다 실효 계조수나 다이나믹 레인지를 크게 취할 수 있어, 흑 레벨이 우수한 고화질의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된다.
(실시예 8)
도 26은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800)(도시하지 않음)는,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700)의 경우와 같 이, 각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한, 액정 장치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174)(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다. 또한, 고체 광원 제어부(174)는,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700)의 경우와 같이,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도 갖고 있다.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800)에서는, 고체 광원 제어부(174)가 상기 기능에 더하여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이 동적인 제어를 프로젝터 유닛마다 행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800)에 의하면, 실시예 7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700)가 갖는 효과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를 갖는다.
즉,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밝은 화면과 어두운 화면이 일 화면 내에 존재하기 위한 화상을 표시시키기 위한 경우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가 본래 갖고 있는 실효 계조수나 다이나믹 레인지를 넘는 표현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고, 또한 고화질의 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9)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900)(도시하지 않음)는,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800)의 경우와 같이, 각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한, 액정 장치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176)(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고, 이 고체 광원 제어부(176)는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프로젝터 유닛마다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900)는, 액정 장치로서, 하나의 단위 화면 정보에 대하여 2회 이상의 기록을 행하는 액정 장치를 갖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900)에서는, 고체 광원 제어부(176)는, 1 프레임 중에서의 고체 광원의 발광을, 액정 장치의 적어도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도 27은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a)는 액정 장치가 2배속 구동의 액정 장치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27(b)는 액정 장치가 3배속 구동의 액정 장치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27(c)는 액정 장치가 4배속 구동의 액정 장치인 경우를 나타낸다.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900)에 의하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화면 정보에 대하여 2회 이상의 기록을 행하는, 이른바 n 배속 구동(단, n은 2 이상의 자연수)의 액정 장치를 이용함과 동시에, 고체 광원의 발광을 액정 장치의 적어도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투사 화상을 간헐적으로 스크린에 투사할 수 있게 된다. 이 때문에, 홀드형의 결점인 꼬리 끌기 현상을 완화시킬 수 있어, 원활하고 양질의 동화상 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1회째의 기입 기간에서는 액정 분자가 아직 충분히 응답하지 않는 상태에 있기 때문에, 액정 장치의 계조를 높이는 것은 용이하지 않지만, 실시예 9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900)에 의하면, 이러한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고체 광원의 발광을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액정 장치 나아가서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계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 10)
도 28은 실시예 10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실시예 10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0)(도시하지 않음)는, 실시예 8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800)와 같이, 각 프로젝터 유닛마다, 또한, 액정 장치(134R, 134G, 134B) 마다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178)(도시하지 않음)를 갖고 있고, 이 고체 광원 제어부(178)는,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프로젝터 유닛마다 동적으로 제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실시예 10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0)는, 액정 장치로서, 1 프레임 중에서 복수의 화면 영역마다 순차적으로 화상의 기록을 행하는 액정 장치(134R, 134G, 134B)를 갖고 있다. 그리고, 실시예 10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0)에 있어서는, 고체 광원 제어부(178)는, 1 프레임 중에서의 LED 광원의 발광을, 액정 장치(134R, 134G, 134B)의 화상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 때문에, 실시예 10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000)에 의하면, LED 광원의 발광을 액정 장치(134R, 134G, 134B)의 화상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도록 했기 때문에,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계조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있다.
(실시예 11)
도 29는 실시예 1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1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100)에 있어서는, LED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발광시킨 상태에서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외광 상태 평가부(190)를 더 갖고 있다.
그리고, 고체 광원 제어부(178)는, 외광 상태 평가부(190)에 의한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실시예 1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100)에 의하면, 외광이 강한 상태일 때에는, 그에 따라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강하게 하여, 촬영할 때의 외광의 영향을 약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실시예 1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100)에 있어서는, 외광 상태 평가부(190)는, LED 광원에서의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발광 광량을 근거로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능도 갖는다.
이 때문에, 실시예 11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100)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외광이 화질에 미치는 영향은 비선형이기 때문에, LED 광원에서의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발광 광량을 근거로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함으로써, 촬영할 때의 외광의 영향을 더욱 약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12)
도 30은 실시예 1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개요를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실시예 1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200)에 있어서는, 외광 상태 평가부(192)가,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130, …, 130)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유닛(130)에서의 LED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발광시킨 상태에서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함으로써, 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이밖에 광 상태 평가부(192)에 의한 미광의 상태에 관한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 때문에, 실시예 12에 따른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1200)에 의하면, 미광의 상태에 따라 LED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촬영할 때의 외광 및 미광의 영향을 약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미광의 상태에 따라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함으로써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서의 색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얻어진다.

Claims (22)

  1. 광원을 구비하고, 그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화상 정보에 따라 변조하여 투사하는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과,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으로부터의 투사 화상이 투사되는 투과형 스크린과,
    상기 투과형 스크린에 투사된 투사 화상의 소정 영역을 배면쪽으로부터 촬영하는 촬상 장치와,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의 각각에 입력하는 화상 정보(이하「단위 화상 정보」라고 함)를 생성하는 단위 화상 정보 생성부와,
    상기 촬상 장치의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
    를 갖되,
    상기 촬상 장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의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에 의한 촬영시에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통해서 하우징 내에 입사하는 외광을 차단하는 차광 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외광 상태 평가부를 더 갖고,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에 의한 평가 결과를 고려하여, 광원의 발광 광량을 제어하는 광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는, 상기 광원에서의 적어도 2단계 이상의 발광 광량을 근거로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하여 외광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 중 적어도 하나의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광원을 발광시키지 않거나 또는 약하게 발광시킨 상태에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을 촬영함으로써, 미광(迷光)의 상태를 평가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촬영 범위의 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복수의 촬상 소자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투과형 스크린의 전체를 촬영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9.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의 형상, 위치 및 경사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0.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에 의해 투사되는 단위 화상의 휘도 및 색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의 조합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1.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에서의 각 화소마다 휘도 및 색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2.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화상 정보 보정부는, 상기 촬영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된 보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화상 정보의 보정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파라미터를 기억하는 보정 파라미터 기억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여 상기 보정 파라미터의 취득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보정 파라미터 자동 취득 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5.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에 포함되는 광학 요소의 위치 및 자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한 보정을 행하는 광학 보정 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6. 제 15 항에 있어서,
    소정의 경우에 조정용 화상의 촬영을 행하여 상기 광학 요소의 위치 및 자세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에 대한 보정을 자동적으로 행하는 광학 요소 자동 보정 장치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외광 상태 평가부는, 소정의 경우에 상기 투과형 스크린의 촬영을 행하여 외광의 상태를 자동적으로 평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8.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고체 광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상기 프로젝터 유닛마다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광원의 발광 광량을, 상기 복수의 프로젝터 유닛마다 독립하여, 화상의 밝기에 따라 크게 또는 작게 제어하는 고체 광원 제어부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21. 제 18 항에 있어서,
    하나의 단위 화상 정보에 대하여 2회 이상의 기록을 행하는 전기 광학 변조 장치와,
    1 프레임 중에서의 상기 고체 광원의 발광을, 상기 전기 광학 변조 장치의 적어도 1회째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고체 광원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22. 제 18 항에 있어서,
    1 프레임 중에서 복수의 화면 영역마다 순차적으로 화상의 기록을 향하는 전기 광학 변조 장치와,
    1 프레임 중에서의 상기 고체 광원의 발광을, 상기 전기 광학 변조 장치의 기입 기간을 피하여 행하게 하는 기능을 갖는 고체 광원 제어부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KR1020067008705A 2003-11-06 2004-11-05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KR1008169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77177 2003-11-06
JP2003377177 2003-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602A KR20060087602A (ko) 2006-08-02
KR100816967B1 true KR100816967B1 (ko) 2008-03-25

Family

ID=3456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8705A KR100816967B1 (ko) 2003-11-06 2004-11-05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10263B2 (ko)
EP (1) EP1681861A4 (ko)
JP (1) JP4670641B2 (ko)
KR (1) KR100816967B1 (ko)
CN (1) CN1875621B (ko)
WO (1) WO20050462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38175B2 (en) * 2003-12-01 2008-03-04 Seiko Epson Corporation Front projection type multi-projection display
WO2006116536A1 (en) 2005-04-26 2006-11-02 Imax Corporation Electronic projection systems and methods
JP4661576B2 (ja) * 2005-12-16 2011-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画像の位置調整方法
DE102006002602A1 (de) * 2006-01-13 2007-07-19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Kalibrierungsverfahren und Kalibrierungssystem
WO2007126429A2 (en) * 2006-01-18 2007-11-08 Capso Vision, Inc. In vivo sensor with panoramic camera
US8773500B2 (en) * 2006-01-18 2014-07-08 Capso Vision, Inc. In vivo image capturing system including capsule enclosing a camera
US20080024674A1 (en) * 2006-02-06 2008-01-31 Toshiba America Consumer Products, Llc. Brightness control system and method
JP4661651B2 (ja) * 2006-03-24 2011-03-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画像の位置調整方法
JP4258540B2 (ja) * 2006-09-01 2009-04-3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US8636653B2 (en) 2008-06-09 2014-01-28 Capso Vision, Inc. In vivo camera with multiple sources to illuminate tissue at different distances
US8902372B2 (en) * 2009-03-20 2014-12-02 Superlumenary Modular pico projection wall
US8567961B2 (en) 2009-05-04 2013-10-29 Kenneth J. Huebner Light array projection and sensing system
US8100540B2 (en) 2009-05-04 2012-01-24 Huebner Kenneth J Light array projection and sensing system
EP2614650A1 (en) 2010-09-10 2013-07-17 Lemoptix SA A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EP2614649A1 (en) * 2010-09-10 2013-07-17 Lemoptix SA A method and device for projecting an image
JP5924020B2 (ja) * 2012-02-16 2016-05-2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プロジェクターの制御方法
JP6609098B2 (ja) * 2014-10-30 2019-11-20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525570B2 (ja) * 2014-12-04 2019-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59129B2 (ja) * 2015-12-03 2020-03-04 キヤノン株式会社 投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投影システム
CN111866384B (zh) * 2020-07-16 2022-02-01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拍摄控制方法、移动终端及计算机存储介质
CN114827564A (zh) * 2022-05-27 2022-07-29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投影设备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以及投影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080A (ko) * 1996-09-17 2001-03-26 어로니 메이르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166377A (ja) * 1999-12-09 2001-06-22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投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6003B2 (ja) 1992-08-27 2001-02-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投射形表示装置
JP3534785B2 (ja) 1992-12-08 2004-06-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高臨場映像表示方法とその装置
JPH0882854A (ja) 1994-09-14 1996-03-26 Hitachi Ltd マルチビジョンのスクリーン装置
JPH0894974A (ja) 1994-09-28 1996-04-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装置
US5589985A (en) * 1995-06-09 1996-12-31 Heller; Philip Computer monitor hood
JPH09200662A (ja) 1996-01-17 1997-07-31 Mitsubishi Electric Corp 投射型液晶表示装置
EP0786687A1 (en) 1996-01-29 1997-07-30 Hughes-Jvc Technology Corporation Projected image blending for multiple images
JP3735158B2 (ja) 1996-06-06 2006-01-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処理装置
US5956000A (en) 1997-05-12 1999-09-21 Scitex Corporation Ltd. Digital image display system and method
US5847784A (en) 1997-07-29 1998-12-08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Self adjusting tiled projector using test pattern and sensor
CA2303128A1 (en) 1997-09-17 1999-03-25 Comview Graphics Ltd. Electro-optical display apparatus
US6695451B1 (en) 1997-12-12 2004-02-24 Hitachi, Ltd. Multi-projection image display device
US6050690A (en) * 1998-01-08 2000-04-18 Siemen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focusing a projected image
US6310650B1 (en) 1998-09-23 2001-10-30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librating a tiled display
JP2000275605A (ja) * 1999-03-25 2000-10-06 Toshiba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0350230A (ja) 1999-06-07 2000-12-15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投影システム
JP3904350B2 (ja) * 1999-08-16 2007-04-11 富士通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JP2001147667A (ja) 1999-11-18 2001-05-29 Hitachi Ltd 液晶モニタ装置
JP4776055B2 (ja) 2000-03-06 2011-09-21 ガリストロフ ソフトウェア エルエルシー 映像調整システム装置
JP2001339672A (ja) 2000-03-24 2001-12-07 Olympus Optical Co Ltd マルチビジョン装置
JP3497805B2 (ja) * 2000-08-29 2004-02-1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投影表示装置
US6648475B1 (en) * 2002-05-20 2003-11-18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color gamut of a display
JP4027747B2 (ja) * 2002-08-07 2007-12-26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照明装置及び投影表示装置
US6834965B2 (en) * 2003-03-21 2004-12-28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Self-configurable ad-hoc projector cluster
US6886943B1 (en) * 2003-10-24 2005-05-03 Jds Uniphase Corporation High-resolution projection display system
US7338175B2 (en) 2003-12-01 2008-03-04 Seiko Epson Corporation Front projection type multi-projection displa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4080A (ko) * 1996-09-17 2001-03-26 어로니 메이르 전기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
JP2001166377A (ja) * 1999-12-09 2001-06-22 Olympus Optical Co Ltd 画像投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1861A1 (en) 2006-07-19
WO2005046226A1 (ja) 2005-05-19
CN1875621B (zh) 2010-09-29
US7410263B2 (en) 2008-08-12
JPWO2005046226A1 (ja) 2007-05-24
JP4670641B2 (ja) 2011-04-13
US20050146644A1 (en) 2005-07-07
EP1681861A4 (en) 2006-11-22
KR20060087602A (ko) 2006-08-02
CN1875621A (zh) 2006-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6967B1 (ko) 배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KR100860186B1 (ko)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장치
KR100846031B1 (ko) 전면 투사형 멀티 프로젝션 디스플레이
US886089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effective contrast ratio and brightness yields for digital light valve image projectors
US8123363B2 (en) Projector device, portable telephone and camera
JP4059271B2 (ja) 投射型表示装置
JP2005227480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2006047531A (ja) 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ディスプレイ及びプロジェクタユニット
JP4202555B2 (ja) 光量評価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光供給制御方法
JP2010237633A (ja) プロジェクタ
JP4595961B2 (ja) 投射型表示装置
CN116895217A (zh) 背景显示设备
JP2015126462A (ja) 投影装置
JP2012124794A (ja) カメラの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