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5988B1 -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5988B1
KR100815988B1 KR1020010066492A KR20010066492A KR100815988B1 KR 100815988 B1 KR100815988 B1 KR 100815988B1 KR 1020010066492 A KR1020010066492 A KR 1020010066492A KR 20010066492 A KR20010066492 A KR 20010066492A KR 100815988 B1 KR100815988 B1 KR 100815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suction
bad
processing apparatus
suck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64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4768A (ko
Inventor
이성룡
김재관
박석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100664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59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4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4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5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5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평평한 스트립 뿐만아니라 시트에서 파도형태로 굴곡된 불량 시트에 이르기까지 시트의 형태에 관계없이 확실히 흡착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불량 시트가 이송되는 콘베이어 측면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과, 주행레일을 왕복이동하는 대차, 대차에 대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 승강부재에 일정간격으로 수평설치되고 밑면에 흡착빨판이 설치되어 콘베이어 위에 놓여진 불량 시트를 집어올리기 위한 포크부재를 포함하는 불량시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빨판과 한쌍을 이루어 모든 흡착빨판이 불량 시트 표면에 모두 밀착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불량 시트의 굴곡에 따라 흡착빨판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흡착빨판, 리미트스위치, 무게추, 내측파이프, 외측파이프

Description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Device for treatmenting top and tail of strip}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선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부분 상세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에서 버큠컵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립 선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흡착빨판 20 : 리미트스위치
21 : 작동레버 22 : 와이어
23 : 무게추 30 : 외측파이프
31 : 내측파이프 32 : 탄성스프링
40 : 흡입관 50 : 연장부재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소둔산세공정 또는 냉연공장의 소둔라인에서 스트립을 소둔로 내로 장입하기 전에 미압연된 스트립의 선,후단 불량 시트를 제거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간압연된 스트립은 소둔산세라인으로 이송되어 표면처리하게 되는 데, 코일상으로 감아져 이송된 스트립은 소둔산세라인 입축의 페이오프릴에서 풀려 컨베이어를 타고 소둔라인으로 투입되게 된다.
그런데 열간 압연 또는 냉간압연시 스트립의 최초 선단과 가장 후단은 릴에 감기는 부분으로서, 압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소둔로 진입전 전처리 공정으로 스트립의 선단과 후단의 미압연된 불량부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제거 처리하게 된다.
도 4는 종래기술에 따른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로서, 불량 시트(150)가 이송되는 콘베이어(100) 측면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110)과, 주행레일(110)을 왕복이동하는 대차(111), 대차(111)에 대해 수직으로 승하강되고 밑면에 흡착빨판(112)이 설치되어 콘베이어(100) 위에 놓여진 불량 시트(150)를 집어올리기 위한 승강부재(113)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콘베이어(100)로 이송된 불량 시트(150)를 승강부재(113)의 흡착빨판(112)으로 흡착시켜 들어올린 후 주행레일(110)을 따라 대차(111)를 이동시켜 콘베이어(100) 측면에 설치된 적치대(120)로 시트를(150) 옮기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구조는 흡착빨판이 체인을 매개로 승강부재에 설치됨에 따라 불량 시트가 파도형태로 굴곡져 있는 경우 흡착빨판이 제대로 불량 시트 표면에 부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불량 시트를 이송 중 흡착빨판에 제대로 부착되지 않는 시트가 흡착빨판에서 떨어져 설비위로 낙하되는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며 이로 인해 작업지연 또는 설비사고 및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평한 스트립 뿐만아니라 시트에서 파도형태로 굴곡된 불량 시트에 이르기까지 시트의 형태에 관계없이 확실히 흡착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불량시트 처리장치에 있어서, 흡착빨판이 불량 시트 표면에 모두 밀착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불량 시트의 굴곡에 따라 흡착빨판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선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 1의 부분 상세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장치에서 흡착빨판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는, 불량 시트(150)가 이송되는 콘베이어(100) 측면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110)과, 주행레일(110)을 왕복이동하는 대차(111), 대차(111)에 대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113), 승강부재(113)에 일정간격으로 수평설치되고 밑면에 흡착빨판(10)이 설치되어 콘베이어(100) 위에 놓여진 불량 시트(150)를 집어올리기 위한 포크부재(11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콘베이어(100)로 이송된 불량 시트(150)를 승강부재(113)의 포크부재(114)에 설치된 흡착빨판(10)으로 흡착시켜 들어올린 후 주행레일(110)을 따라 대차(111)를 이동시켜 콘베이어(100) 측면에 설치된 적치대(120)로 시트를(150) 옮기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구조의 불량 시트(150)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포크부재(114)에 설치되어 각 포크부재(114)에 설치된 흡착빨판(10)이 불량 시트(150) 표면에 모두 밀착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과, 불량 시트(150)의 굴곡에 따라 흡착빨판(10)의 위치 및 각도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감지수단은 포크부재(114) 상부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20), 상기 리미트스위치(20)의 작동레버(21)에 연결되어 하부로 늘어뜨려지는 와이어(22), 와이어(22) 끝단에 연결설치되는 무게추(23)를 포함한다.
상기 와이어(22)는 포크부재(114) 측면에 설치되는 가이드홀더(24)를 관통하여 지지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리미트스위치(20)의 작동레버(21)는 무게추(23)의 자중에 의해 하강된 상태로 자중이 해제되면 위로 들어올려져 리미트스위치(20)에 온신호를 인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가변수단을 살펴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크부재(114)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외측파이프(30)와 외측파이프(30)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파이프(31)로 이루어져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흡입관과, 내측파이프(31) 하단에 볼조인트되는 흡착빨판(10), 내측파이프(31)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시트(33)와 포크부재(114) 하단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32)을 포함한다.
따라서 흡입관은 신축가능하며 흡착빨판(10)은 다양한 각도로 회동되어 불량 시트(150)의 굴곡상태에 따라 흡착빨판(10)의 흡착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흡착빨판(10)과 내측파이프(31)와의 결합상태를 좀더 살펴보면, 상기 흡착빨판(10)은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며 강성재질의 몸체(11) 하단에 부착설치되어 있는 구조이고, 상기 몸체(11)는 상부에 구형의 안착부(12)가 형성되어 내측파이프(31) 하단에 형성된 구형의 결합부(34)가 끼워져 결합된다.
또한,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흡입펌프(도시되지 않음)로 연결되는 흡입관(40)은 상기 포크부재(114)를 관통하여 외측파이프(30)로 연결되고 외측파이프(30)로부터 내측파이프(31)와 몸체(11)는 최하단의 흡착빨판(10)까지 하나로 연통되어 흡착빨판(10)으로 공기를 빨아들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구조의 흡착빨판(10)을 더욱 설치할 수 있도록 상기 포크부재(114)와 포크부재(114) 사이에 연장부재(50)를 설치하고 상기 연장부재(50) 상에 상기와 동일한 구조의 흡착빨판(10)을 설치한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시트(150) 이송전에는 대차(111)는 주행레일(110)을 따라 후진되고, 승강부 재(113)는 하강된 상태이다.
이와같은 대기상태에서 시트(150)를 이송작업을 수행하게 되면, 스위치(20) 조작에 따라 대차(111) 상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15)가 작동되어 와이어로프(116)로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재(113)를 위로 끌어올리게 된다.
그리고 대차(111) 구동용 모터(117)가 작동되어 주행레일(110)을 따라 대차(111)를 시트(150)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대차(111)가 주행레일(110)을 따라 시트(150)쪽으로 이동함에 따라 대차(111)의 승강부재(113)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부재(114)는 콘베이어 위에 놓여진 시트(150) 상부로 이동하게 되고 대차(111) 구동용 모터의 정지작동에 따라 포크부재(114)는 정확하게 시트(150) 위에 위치하게 된다.
포크부재(114)가 완전히 시트(150) 상부로 진입하게 되면 대차(111) 측면의 감지편(118)이 주행레일(110)의 전방감지센서(119)에 감지되면서 대차(111)는 현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방감지센서(119)의 감지신호에 따라 대차(111) 위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모터(115)가 작동되어 스프로켓휠과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을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축이 회전됨에 따라 와이어드럼으로부터 와이어로프(116)가 풀리면서 와이어로프(116)에 연결되어 있는 승강부재(113)를 하강시키게 된다.
따라서 승강부재(113)에 설치되어 있는 포크부재(114)는 시트(150)를 향해 하강하게 되고 포크부재(114)에 설치되어 있는 흡착빨판(10)과 무게추(23) 또한 시트(150) 윗면으로 내려오게 된다.
포크부재(114)가 어느정도 하강하게 되면, 시트(150)의 표면 굴곡정도에 따라 일측에 위치한 무게추(23)가 시트(150) 표면에 닿게 되고, 무게추(23)가 시트(150)에 의해 하강되지 못함에 따라 와이어(22)에 걸리는 무게추(23)의 자중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와이어(22)에 연결된 작동레버(21)가 위로 들려올려지면서 리미트스위치(20)를 온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작용과정으로 포크부재(114)나 연장부재(50)에 설치된 전체 리미트스위치(20)의 신호가 온 상태가 되면, 이 신호에 따라 구동모터는 정지되어 승강부재(113)의 하강을 멈추게 된다.
이와 동시에 흡입펌프가 작동되어 흡착빨판(10)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게 되고, 흡착빨판(10)의 흡입작용에 의해 시트(150)는 흡착빨판(10)에 달라붙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흡착빨판(10)은 무게추(23)와 마찬가지로 포크부재(114) 하강에 따라 시트(150)를 향해 하강하게 되는 데, 일측 흡착빨판(10)이 먼저 시트(150)표면에 닿았다 하더라도 전체 리미트스위치(20)가 온될때까지 승강부재(113)는 하강을 계속 하게 되므로 흡착빨판(10) 또한 외측파이프(30)내로 내측파이프(31)가 삽입되어 승강부재(113)의 하강을 방해하지 않게 된다.
또한, 흡착빨판(10)은 내측파이프(31)에 대해 자유롭게 굽어질 수 있게 되어 시트(150) 표면의 굴곡에 따라 각도를 달리하여 시트(150) 표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와 같이 공기가 흡입되면 전체 흡착빨판(10)은 시트(150) 표면에 완전히 부착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흡착빨판(10)을 시트(150)에 부착시킨 후에는 다시 구동모터를 역회전하여 승강부재(113)를 상승시킴으로써 흡착빨판(10)에 흡착된 시트(150)를 콘베이어에서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
들어올려진 시트(150)는 레일(110)부재를 따라 후진하는 대차(111)에 의해 이동되어 콘베이어 측면에 설치된 적치대(120)로 안전하게 옮길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에 의하면, 불량 시트의 표면 굴곡 정도에 관계없이 시트를 안전하게 옮길 수 있게 되어 시트 이송중 시트가 낙하되어 발생되는 설비사고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불량 시트가 이송되는 콘베이어 측면 상부에 폭방향으로 설치되는 주행레일과, 주행레일을 왕복이동하는 대차, 대차에 대해 수직으로 승하강되는 승강부재, 승강부재에 일정간격으로 수평설치되고 밑면에 흡착빨판이 설치되어 콘베이어 위에 놓여진 불량 시트를 집어올리기 위한 포크부재를 포함하는 불량시트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착빨판과 한쌍을 이루어 모든 흡착빨판이 불량 시트 표면에 모두 밀착됨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수단, 및
    상기 불량 시트의 굴곡에 따라 흡착빨판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가변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수단은
    포크부재 상부에 설치되는 리미트스위치;
    상기 리미트스위치의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하부로 늘어뜨려지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 끝단에 연결설치되는 무게추
    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에 걸리는 무게추의 자중이 해제되면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온'작동되는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은
    상기 포크부재 하단에 고정설치되는 외측파이프와 상기 외측파이프 내부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설치되는 내측파이프로 이루어져 텔레스코픽 구조를 이루는 흡입관;
    상기 내측파이프 하단에 볼조인트되는 흡착빨판, 및
    상기 내측파이프 하단에 설치된 스프링시트와 포크부재 하단 사이에 탄력설치되는 탄성스프링
    을 포함하는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20010066492A 2001-10-26 2001-10-26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0815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92A KR100815988B1 (ko) 2001-10-26 2001-10-26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6492A KR100815988B1 (ko) 2001-10-26 2001-10-26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68A KR20030034768A (ko) 2003-05-09
KR100815988B1 true KR100815988B1 (ko) 2008-03-21

Family

ID=2956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6492A KR100815988B1 (ko) 2001-10-26 2001-10-26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5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13B1 (ko) * 2003-08-12 2011-01-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1257472B1 (ko) * 2010-09-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993B1 (ko) * 2017-10-12 2019-06-20 주식회사 포스코 미압연 강판 재활용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37A (ja) * 1991-02-27 1992-09-28 Mitsubishi Materials Corp 物品取上装置
JPH0558485A (ja) * 1991-09-03 1993-03-09 Tsutsunaka Plast Ind Co Ltd 板材の吸引移替え装置
KR200204804Y1 (ko) *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KR20010064199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72037A (ja) * 1991-02-27 1992-09-28 Mitsubishi Materials Corp 物品取上装置
JPH0558485A (ja) * 1991-09-03 1993-03-09 Tsutsunaka Plast Ind Co Ltd 板材の吸引移替え装置
KR20010064199A (ko) * 1999-12-24 2001-07-09 이구택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200204804Y1 (ko) * 2000-06-28 2000-12-01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013B1 (ko) * 2003-08-12 2011-01-17 주식회사 포스코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101257472B1 (ko) * 2010-09-29 2013-04-23 현대제철 주식회사 슬래그 측정장치 및 그 측정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4768A (ko) 2003-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2228B (zh) 一种木料板材自动打磨机
JP2008162733A (ja) 物品移載装置
CN109719048B (zh) 一种银亮钢棒自动探伤智能下料系统
KR100785285B1 (ko) 코일 선단부 위치 조정장치
KR100815988B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TWM529346U (zh) 撕膜機器
KR100829966B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KR200204804Y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시트 처리장치
CN114538101B (zh) 一种钢化玻璃生产线
CN211945280U (zh) 一种可自检的盒胚输送系统
US2299690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ransferring sheet material
JP3788001B2 (ja) コイル搬送用吊具及びその使用方法
KR101009013B1 (ko)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CN108792679A (zh) 基于真空吸纸的进纸装置、进纸方法及批量盖章机
JP4110759B2 (ja) ウォーキングビーム式連続式加熱炉内の被処理材の位置検出装置
KR100868500B1 (ko) 스트립 톱부 오일 제거장치
CN112897082A (zh) 一种玻璃上下料装置
JPH0230979B2 (ko)
KR200177639Y1 (ko) 스크랩 밴드의 자동 그립퍼 장치
KR101022443B1 (ko) 스테인레스 강판 용접용 중간 용접재 공급장치
JPH07215502A (ja) 金属板の吸引移替え装置
KR20010064199A (ko) 소둔산세라인의 스트립 선,후단 불량 시트 처리장치
CN220722750U (zh) 一种应用于自动化产线的送料机构
KR100952643B1 (ko) 용접기 클램프의 스크랫치 방지장치
JP2001353522A (ja) コイルリフターのコイルエッジ損傷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