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947B1 -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 Google Patents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947B1
KR100806947B1 KR1020070084249A KR20070084249A KR100806947B1 KR 100806947 B1 KR100806947 B1 KR 100806947B1 KR 1020070084249 A KR1020070084249 A KR 1020070084249A KR 20070084249 A KR20070084249 A KR 20070084249A KR 100806947 B1 KR100806947 B1 KR 100806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teel box
pillar
fitting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4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남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영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영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4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02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 B65D19/06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 B65D19/08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19/10Rigid pallets with side walls, e.g. box pallets with bodies formed by uni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of skeleton construction, e.g. made of wi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19/38Details or accessories
    • B65D19/385Frames, corner posts or pallet converters, e.g. for facilitating stacking of charged pa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009Materials
    • B65D2519/00014Materials for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024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9/00Pallets or like platforms, with or without side walls, for supporting loads to be lifted or lowered
    • B65D2519/00004Details relating to pallets
    • B65D2519/00258Overall construction
    • B65D2519/00283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 B65D2519/00298Overall construction of the load supporting surface skeleton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llets (AREA)

Abstract

끼워맞춤식 스틸박스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 및 상기 프레임부(20)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상면부(4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40)는 상기 프레임부(20)에 포함되는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1상면부재(41); 및 상기 제1상면부재(41) 상에 조립되는 제2상면부재(43);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틸박스를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단위 구성품을 사전에 제작하여 현장조립시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스틸박스를 일체화하지 않고 끼워맞춤식으로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스틸박스의 조립과 보관이 용이하고, 조립시 용접기 등 조립도구가 필요하지 않으며 볼트 등으로 조여주지 않아도 되어서 작업자에게 작업부담이 적게 들고, 사용현장에서 스틸박스를 조립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 들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스틸박스, 조립, 끼워맞춤, 프레임

Description

끼워맞춤식 스틸박스{Fitting type steel box}
본 발명은 스틸박스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틸박스의 조립 및 스틸박스에 의한 제품의 지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단위 구성품으로 이루어져서 스틸박스의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강판인 TWB(Tailor Welded Blanks) 제품의 운송 또는 보관에는 스틸박스를 사용한다.
이러한 스틸박스는 운송 또는 보관시 제품이 내장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여러 부재를 용접 또는 볼트 등으로 일체화시켜서 육면체 형태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용접으로 스틸박스의 여러 부재를 일체화시켜서 육면체 형태로 만드는 경우에는 여러 부재를 용접으로 일체화시켜주기 위해서 용접기를 일일이 가지고 다녀야 하고, 각 연결부위를 용접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스틸박스를 완성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서 생산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다수의 스틸 박스가 필요한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여러 부재의 연결을 용접으로 행하지 아니하고 볼트로 연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러한 방법은 용접으로 일체화시키는 방법보다는 소요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적게 들기는 하였지만, 소요되는 시간이 여전히 무시하지 못할 정도로 들며, 볼트를 체결할 때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심하여서 작업능률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틸박스를 2단 이상 적층하는 경우에 각 모서리에 형성된 스틸박스 적층용 수단을 이용하여 스틸박스를 적층시키는 것이 어렵게 되어 있어 불편하였고, 이에 따라 운송도중에 제품이 움직이면 밀리게 되어 제품의 추락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스틸박스의 기둥이 얇으면서 4각형으로 되어 있어서 하중이 증가되면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였고, 스틸박스가 여러 종류의 다수의 부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관리가 불편하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스틸박스의 조립 및 제품을 운송하고 보관할 때 스틸박스에 의한 제품의 지지에 필요한 최소한의 단위 구성품으로 이루어져서 조립이 용이하면서도 견고한 끼워맞춤식 스틸박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상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는 상기 프레임부에 포함되는 제1측면프레임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1상면부재; 및 상기 제1상면부재 상에 조립되는 제2상면부재; 를 포함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를 제공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제품이 안착되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 제품을 지지토록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프레임에 세워져 조립되는 제1측면프레임;을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과 연계하여 상기 바닥프레임에 세워져 조립되는 제2측면프레임; 을 더 포함한다.
삭제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프레임은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바닥부재; 및 상기 다수의 바닥부재와 일체로 되되 상기 바닥부재를 가로질러서 위치하는 다수의 바닥연결부재; 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측면프레임은 중공인 다수의 제1프레임기둥; 및 상기 제1프레임기둥과 일체로 되되 상기 제1프레임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위치하는 제1연결부재; 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측면프레임은 중공인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프레임기둥; 및 상기 제2프레임기둥과 일체로 되되 상기 제2프레임기둥에서 양쪽으로 뻗으며 각 단부에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에 지지되는 반원형의 지지부재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 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부재에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 또는 제2측면프레임에 포함되는 제2프레임기둥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프레임기둥 또는 제2프레임기둥의 하단부가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구멍이 관통되게 형성된 기둥조립구가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프레임기둥 또는 제2프레임기둥이 상기 기둥조립구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기둥 또는 제2프레임기둥의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지며, 상기 기둥조립구의 조립구멍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1상면부재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에 포함되는 제1프레 임기둥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기둥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재가 상하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상면부재는 상기 제1상면부재 상에 조립되면서 상기 제1상면부재에 구비된 끼움부재가 끼워져서 돌출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조립부재가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조립부재는 단면이 '┏┓'형상이고 상면에 상기 끼움부재가 끼워지면서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이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제2상면부재는 상기 제2측면프레임에 포함되는 제2프레임기둥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기둥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재가 상하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부재는 원통형이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단부는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고,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부재의 상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에 구비된 기둥조립구에 형성된 조립구멍의 하단부에 끼워지게 조립되어 적층된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프레임에는 이에 올려지는 내판이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내판 스토퍼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육면체의 바닥면과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이 루는 프레임부와, 육면체의 상면을 이루는 상면부로 스틸박스를 구성하여 스틸박스를 구성하는 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단위 구성품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스틸박스를 일체화하지 않고 끼워맞춤식으로 일체화시키기 때문에 스틸박스의 조립과 보관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용접기 등 도구가 필요하지 않고 볼트 등으로 조여주지 않아도 되어서 작업자에게 작업부담이 적게 들고, 사용현장에서 스틸박스를 조립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적게 들기 때문에 생산성이 향상된다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최소한의 부분품으로도 조립시 제품을 지지할 수 있는 견고함이 이루어지며, 부분품의 갯수가 많지 않기 때문에 스틸박스를 구성하는 부분품의 관리가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조립도이고, 도4a는 도1의 A부분의 조립확대도이며, 도4b는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를 적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는 육면체의 하면과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이루도록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프레임부(20)와, 육면체의 상면을 이루도록 상기 프레임부(20)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상면부(40)를 포함한다.
프레임부(20)는 제품이 안착되는 바닥면을 이루는 바닥프레임(21)과, 제품을 지지하는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도록 바닥프레임(21)의 전면 또는 후면에 하단부가 조립되어 설치되는 제1측면프레임(27), 제품을 지지하는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이루도록 바닥프레임(2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하단부가 조립되어 설치되는 제2측면프레임(30)을 포함한다.
바닥프레임(21)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바닥부재(22)와 다수의 바닥부재(22)와 용접등으로 일체로 되되 바닥부재(22)를 가로질러서 위치되는 다수의 바닥연결부재(24)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위치하는 바닥부재(2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바닥부재(22)를 보강해주기 위해서 바닥보강부재(23)가 용접등으로 일체로 되게 위치된다.
지게차 등으로 스틸박스(1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는 바닥보강부재(23)가 구 비된 바닥부재(22)와 그렇지 않은 바닥부재(22)의 사이에 지게차의 포크가 들어가도록 하여 스틸박스(10)를 들어올린다.
이와 같은 경우에 즉, 지게차 등의 포크로 바닥연결부재(24)를 들어올려서 스틸박스(10)를 들어올리게 되면 적재된 제품의 하중이 소정 하중 이상이 되는 경우 바닥연결부재(24)가 뒤틀릴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1)의 전단부와 후단부에는 보강바아(34)가 가로로 일체로 용접 등으로 설치되어 있어서, 지게차 등으로 스틸박스(10)를 들어올리는 경우에 지게차 등의 포크가 보강바아(34)를 들어올리게 해서 스틸박스(10)를 들어올림으로써 바닥연결부재(24)가 뒤틀리지 않게 되므로 바람직하다.
바닥프레임(21)에 포함되는 바닥부재(22)와 바닥보강부재(23)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4각형으로 된 각 파이프로 되는 것이 제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면에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품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또한, 바닥부재(22)를 가로로 가로질러 설치되는 바닥연결부재(24)도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게차로 운반하는 것을 감안하여 고하중에도 견딜 수 있도록 상면을 골판지 모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품의 하중을 잘 견딜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바닥부재(22)와 바닥보강부재(23)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3개의 제1프레임기둥(28)과 각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되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가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는 조립구멍(26)이 관통되게 형성된 기둥조립구(25)가 구비되어 있다.
기둥조립구(25)의 조립구멍(26)이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틸박스보다 넓게 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바닥프레임(21)의 바닥부재(22) 및 바닥보강부재(23)의 높이보다 높게 되어 있어서,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를 조립구멍(26)에 보다 용이하게 끼워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기둥조립구(25)의 조립구멍(26)은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가 용이하게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다.
바닥프레임(21)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바닥면을 이루면서 제1측면프레임(27)이나 제2측면프레임(30)이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1측면프레임(27)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인 3개의 제1프레임기둥(28)과, 3개의 제1프레임기둥(28)과 일체로 되도록 제1프레임기둥(28)의 사이에 가로로 용접 등으로 설치되는 제1연결부재(29)를 포함한다.
제1프레임기둥(28)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을 원형으로 하는 것이 하중 증가에 따른 기둥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재되는 제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기둥(28)의 하단부는 바닥프레임(21)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에 끼워져서 조립된다.
제1프레임기둥(28)의 하단부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구멍(26)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져 있다.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각 제1프레임기둥(28)의 하단부가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프레임(21)의 바닥부재(22) 및 바닥보강부재(23)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에 끼워져서 조립됨으로써 스틸박스(10)의 전면과 후면을 이루게 된다.
제1측면프레임(27)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틸박스(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도록 바닥프레임(21)의 전면 또는 후면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측면프레임(30)은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인 제2프레임기둥(31)과, 제2프레임기둥(31)과 일체로 되되 제2프레임기둥(31)에서 전후방향으로 각각 뻗어서 제2프레임기둥(31)과 함께 십자형을 이루며 단부에는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28)에 지지되는 반원형의 지지부재(33)가 형성되어 있는 제2연결부재(32)를 포함한다.
제2프레임기둥(31)도 제1프레임기둥(28)과 같이 단면을 원형으로 하는 것이 하중 증가에 따른 기둥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서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재되는 제품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도 제1프레임기둥(28)의 하단부와 같이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부재(22)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에 끼워져서 조립되고,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도 조립구멍(26)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다.
각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28)의 하단부가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프레임(21)의 바닥부재(22)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에 끼워져서 조립됨으로써 스틸박스(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이루게 된다.
제2측면프레임(30)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스틸박스(10)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을 이루도록 바닥프레임(21)의 좌측면 또는 우측면에 조립되어 고정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상면부(40)는 스틸박스(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는 각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가로로 조립되는 2개의 제1상면부재(41)와, 일측은 전면을 이루는 제1측면프레임(27)에 조립된 제1상면부재(41)에 조립되고 다른 측은 후면을 이루는 제1측면프레임(27)에 조립된 제1상면부재(41)에 조립되어 제1상면부재(41) 사이에 세로로 위치되는 3개의 제2상면부재(43)를 포함한다.
제1상면부재(41)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프레임(27)에 포 함되는 각 제1프레임기둥(28)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각 제1프레임기둥(28)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재(42)가 상하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다.
따라서, 제1상면부재(41)에 구비된 각 끼움부재(42)의 하단부가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중공인 각 제1프레임기둥(28)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조립되어 제1상면부재(41)가 전면 또는 후면을 이루는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가로로 조립되어 고정된다.
제1상면부재(41)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면을 4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1상면부재(41)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가로로 조립되어 고정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상면부재(43)는 도1과 도2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상면부재(41)에 조립되면서 제1상면부재(41)에 구비된 끼움부재(42)에 끼워질 수 있도록 전단부와 후단부에 조립부재(44)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부재(44)는 단면이 '┏┓'형상이고 끼움부재(42)가 끼워져서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상면에 관통구멍(4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되는 제2프레임기둥(31)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제2프레임기둥(31)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재(42)가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상단에 설치된 제1상면부재(41)에 구비된 끼움부재(42)가 제2상면부재(43)의 전단부에 구비된 조립부재(44)에 형성된 관통구멍(45)에 돌출되게 끼워지게 되어 제2상면부재(43)의 전단부에 구비된 조립부재(44)가 전면에 있는 제1상면부재(41)에 조립되고, 후면 상단에 설치된 제1상면부재(41)에 구비된 끼움부재(42)가 제2상면부재(43)의 후단부에 구비된 조립부재(44)에 형성된 관통구멍(45)에 돌출되게 끼워지게 되어 제2상면부재(43)의 후단부에 구비된 조립부재(44)가 후면에 있는 제1상면부재(41)에 조립되어서, 제2상면부재(43)가 전면과 후면에 각각 조립된 제1상면부재(41)에 세로로 조립되어 고정된다.
제2상면부재(43)는 제1상면부재(41)와 같이 단면을 4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는다.
제2상면부재(43)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제1상면부재(41) 사이에 세로로 조립되어 고정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제2상면부재(43) 또는 제1상면부재(41)에 상하로 돌출되게 형성된 끼움부재(42)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단부는 스틸박스(10)를 적층하는 경우에 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의 하단부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다.
또한, 끼움부재(42)의 하단부는 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제1프레 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져 있다.
끼움부재(42)의 형상은 본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의 위치에 대응되는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이나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상단부에 용이하게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가능하다.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먼저, 도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프레임(21)을 원하는 장소에 위치시키고,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된 각 제1프레임기둥(28)의 하단부를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프레임(21)의 바닥부재(22)와 바닥보강부재(23)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의 조립구멍(26)에 끼워서 조립하면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박스(10)의 전면과 후면을 이루게 된다.
이후,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된 제2연결부재(32)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된 지지부재(33)를 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된 각 제1프레임기둥(28)에 지지되도록 하면서,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된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를 이에 대응되는 위치의 바닥프레임(21)의 바닥부재(22)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의 조립구멍(26)에 끼워서 조립하면 스틸박스(10)의 좌측면과 우측면을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틸박스(10)의 바닥면과 전후면 및 좌우측면을 이루면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된 각 제1프레임기둥(28)에 이의 위치에 해당되는 제1상면부재(41)의 위치에 구비된 끼움부재(42)의 하단부를 끼워서 제1상면부재(41)를 각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조립하여 고정시킨다.
각 제1상면부재(41)를 각각의 제1측면프레임(27)에 조립하여 고정시킨 후, 도3e 및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상면부재(43)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형성된 조립부재(44)의 상면에 형성된 관통구멍(45)에 각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조립되어 고정된 제1상면부재(41)에 구비된 끼움부재(42)가 끼워져서 돌출되도록 하면서 제1상면부재(41)의 사이에 제2상면부재(43)를 세로로 위치시키고,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된 제2프레임기둥(31)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2상면부재(43)의 위치에 구비된 끼움부재(42)의 하단부가 제2프레임기둥(31)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하여, 제2상면부재(43)를 제1상면부재(41) 사이에 세로로 조립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1상면부재(41) 사이의 중앙에 세로로 설치되는 제2상면부재(43)에는 조립될 기둥이 없기 때문에 도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조립되는 끼움부재(42)가 없게 된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틸박스의 일실시예를 적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품을 스틸박스(10)의 바닥프레임(21)에 적재한 상태에서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틸박스(10)의 제1측면프레임(27)과 제2측면프레임(30)을 각각 조립하고 스 틸박스(10)의 상면을 구성하는 제1상면부재(41)와 제2상면부재(43)를 조립하여서 스틸박스(10)를 사용하게 된다.
하나의 스틸박스(10)를 각각 사용하여도 되지만,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틸박스(10)의 상면을 이루는 제1상면부재(41)와 제2상면부재(43)에 각각 구비되어 돌출된 끼움부재(42)의 상단부를 다른 스틸박스(10)의 하면을 이루는 바닥프레임(21)에 포함되는 바닥부재(22)와 바닥보강부재(23)에 각각 구비된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의 하단부에 끼워서 조립하면 2개 이상의 스틸박스(10)를 적층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로서, 바닥프레임(21)에 이에 올려지는 내판(50)을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내판 스토퍼(35)가 형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내판 스토퍼(35)는 제품을 지지하도록 바닥프레임(21)에 올려지는 내판(50)이 이동되지 않도록 내판(50)의 하단부에 대응되는 소정의 위치에 즉, 바닥프레임(21)을 구성하는 바닥부재(22)와 바닥연결부재(24)의 소정의 위치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내판 스토퍼(35)는 각파이프를 육면체의 형태로 잘라서 만들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내판 스토퍼(35)의 바닥프레임(21)에서의 위치는 본 실시예에서의 위치에 한정되지 않고 내판(50)을 지지할 수 있는 위치하면 어떠한 위치라도 가능하 다.
이와 같이 다수의 내판 스토퍼(35)를 바닥프레임(21)에 형성하면 제품을 지지하는 내판(50)이 바닥프레임(21) 내에서 이동되지 않아서 바람직하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분해사시도이다.
도3a 내지 도3e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의 조립순서를 나타내는 조립도이다.
도4a는 도1의 A부분의 조립확대도이다.
도4b는 도1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일실시예를 적층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워맞춤식 스틸박스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스틸박스 20 : 프레임부
21 : 바닥프레임 22 : 바닥부재
23 : 바닥보강부재 24 : 바닥연결부재
25 : 기둥조립구 26 : 조립구멍
27 : 제1측면프레임 28 : 제1프레임기둥
29 : 제1연결부재 30 : 제2측면프레임
31 : 제2프레임기둥 32 : 제2연결부재
33 : 지지부재 34 : 보강바아
35 : 내판 스토퍼 40 : 상면부
41 : 제1상면부재 42 : 끼움부재
43 : 제2상면부재 44 : 조립부재
45 : 관통구멍 50 : 내판

Claims (16)

  1. 복수의 프레임이 서로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프레임부(20); 및
    상기 프레임부(20)에 끼워맞춤식으로 조립되는 상면부(40);
    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40)는 상기 프레임부(20)에 포함되는 제1측면프레임(27)의 상단에 조립되는 제1상면부재(41); 및 상기 제1상면부재(41) 상에 조립되는 제2상면부재(43); 를 포함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는
    제품이 안착되는 바닥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21);
    제품을 지지토록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프레임(21)에 세워져 조립되는 제1측면프레임(27);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20)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27)과 연계하여 상기 바닥프레임(21)에 세워져 조립되는 제2측면프레임(3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21)은
    바닥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바닥부재(22); 및
    상기 다수의 바닥부재(22)와 일체로 되되 상기 바닥부재(22)를 가로질러서 위치하는 다수의 바닥연결부재(2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프레임(27)은
    중공인 다수의 제1프레임기둥(28); 및
    상기 제1프레임기둥(28)과 일체로 되되 상기 제1프레임기둥(28) 사이를 연결하도록 위치하는 제1연결부재(2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측면프레임(30)은
    중공인 적어도 1개 이상의 제2프레임기둥(31); 및
    상기 제2프레임기둥(31)과 일체로 되되 상기 제2프레임기둥(31)에서 양쪽으로 뻗으며 각 단부에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28)에 지지되는 반원형의 지지부재(33)가 형성된 제2연결부재(3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22)에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되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가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조립구멍(26)이 관통되게 형성된 기둥조립구(25)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이 상기 기둥조립구(25)에 용이하게 조립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제1프레임기둥(28) 또는 제2프레임기둥(31)의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퍼지며,
    상기 기둥조립구(25)의 조립구멍(26)은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게 테이 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면부재(41)는 상기 제1측면프레임(27)에 포함되는 제1프레임기둥(28)의 상단부에 끼워져서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프레임기둥(28)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재(42)가 상하로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부재(43)는 상기 제1상면부재(41) 상에 조립되면서 상기 제1상면부재(41)에 구비된 끼움부재(42)가 끼워져서 돌출될 수 있도록 양 단부에 조립부재(4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부재(44)는 단면이 '┏┓'형상이고 상면에 상기 끼움부재(42)가 끼워지면서 관통되어 돌출될 수 있도록 관통구멍(45)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면부재(43)는 상기 제2측면프레임(30)에 포함되 는 제2프레임기둥(31)에 끼워져서 조립되도록 상기 제2프레임기둥(31)의 상단부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끼움부재(42)가 상하로 돌출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4.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42)는 원통형이고 조립이 용이하도록 상단부는 위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고, 하단부는 아래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테이퍼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5. 제10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재(42)의 상단부가 상기 바닥프레임(21)에 구비된 기둥조립구(25)에 형성된 조립구멍(26)의 하단부에 끼워지게 조립되어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프레임(21)에는 이에 올려지는 내판(50)이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내판 스토퍼(35)가 다수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KR1020070084249A 2007-08-22 2007-08-22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KR100806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249A KR100806947B1 (ko) 2007-08-22 2007-08-22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4249A KR100806947B1 (ko) 2007-08-22 2007-08-22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6947B1 true KR100806947B1 (ko) 2008-02-22

Family

ID=39383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4249A KR100806947B1 (ko) 2007-08-22 2007-08-22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94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55Y1 (ko) * 2008-09-29 2011-04-12 주식회사 미륭이메탈 스틸박스
KR20160069695A (ko) * 2014-12-09 2016-06-17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130U (ko) * 1989-10-09 1991-06-05
KR950030293U (ko) * 1994-04-06 1995-11-2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합성고무보관 및 운반회수용 철제팔레트
JPH09121688A (ja) * 1995-10-27 1997-05-13 Igarashi Kikai Kogyo Kk 苗のコンテナ
JPH11105872A (ja) 1997-10-09 1999-04-20 Toshiba Logistics Corp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0149859Y1 (ko) 1997-04-30 1999-06-15 이문희 팰릿
JP2000190967A (ja) 1998-12-31 2000-07-11 Tenryu Sangyo:Kk 荷積みパレットの積み重ね枠
JP2002068186A (ja) 2000-08-24 2002-03-08 Sanden Corp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0260351Y1 (ko) 1998-03-03 2002-08-22 쾌 호 차 팰릿적재용지지구
KR20040077619A (ko) * 2004-08-02 2004-09-04 박혜경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58130U (ko) * 1989-10-09 1991-06-05
KR950030293U (ko) * 1994-04-06 1995-11-20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합성고무보관 및 운반회수용 철제팔레트
JPH09121688A (ja) * 1995-10-27 1997-05-13 Igarashi Kikai Kogyo Kk 苗のコンテナ
KR200149859Y1 (ko) 1997-04-30 1999-06-15 이문희 팰릿
JPH11105872A (ja) 1997-10-09 1999-04-20 Toshiba Logistics Corp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0260351Y1 (ko) 1998-03-03 2002-08-22 쾌 호 차 팰릿적재용지지구
JP2000190967A (ja) 1998-12-31 2000-07-11 Tenryu Sangyo:Kk 荷積みパレットの積み重ね枠
JP2002068186A (ja) 2000-08-24 2002-03-08 Sanden Corp ボックスパレット
KR20040077619A (ko) * 2004-08-02 2004-09-04 박혜경 자동차 부품용 접철식 파렛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3055Y1 (ko) * 2008-09-29 2011-04-12 주식회사 미륭이메탈 스틸박스
KR20160069695A (ko) * 2014-12-09 2016-06-17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KR101672981B1 (ko) 2014-12-09 2016-11-04 금강기계공업(주) 운송용 포장박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3765B2 (ja) 集合電池用架台
KR101611095B1 (ko) 접철식 파레트의 적층 연결유닛
KR100806947B1 (ko) 끼워맞춤식 스틸박스
JP4012555B2 (ja) 積み重ね可能な棚構造
US9415896B2 (en) Reinforced pallet
EP2853173B1 (en) Storage and transport module for workpieces in assembly lines
KR200453055Y1 (ko) 스틸박스
JP2005035650A (ja) 輸送用パレット
JP5060379B2 (ja) パレット用支持棚
KR20200016022A (ko) 팔레트랙 연결용 체결프레임
JP5596988B2 (ja) 貨物車両用荷台ラック
JP2001002072A (ja) コイル搬送用パレット
CN101460366A (zh) 用于储存和运输货物的货盘
KR20130006528U (ko) 우든 박스 측판 제작용 지그
JP2012056766A (ja) 連結ラック用の連結棚
JP6101301B2 (ja) 角柱パイプを用いた支持棚
JP2006117373A (ja) ラック
JP2016511643A (ja) フック部材
JP3125092U (ja) 吊下げ可能な段積み式パレット
CN209366739U (zh) 一种变速箱总成转运工装
JP5468357B2 (ja) パネル部材の積載ラック
KR200191408Y1 (ko) 팔레트 박스
JP3407787B2 (ja) 物品収納棚
KR20240029819A (ko) 조립식 파레트
JP6342348B2 (ja) 輸送用パ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