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6081B1 - 드럼 브레이크 - Google Patents

드럼 브레이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6081B1
KR100806081B1 KR1020020002781A KR20020002781A KR100806081B1 KR 100806081 B1 KR100806081 B1 KR 100806081B1 KR 1020020002781 A KR1020020002781 A KR 1020020002781A KR 20020002781 A KR20020002781 A KR 20020002781A KR 100806081 B1 KR100806081 B1 KR 10080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locating plate
drum
brake shoes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7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62537A (ko
Inventor
강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200027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6081B1/ko
Publication of KR20030062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62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8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internally-engaging brakes
    • F16D65/09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1/0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 F16D51/16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 F16D51/18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 F16D51/20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 F16D51/24Brakes with outwardly-movable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inner surface of a drum or the like shaped as brake-shoes pivoted on a fixed or nearly-fixed axis with two brake-shoes extending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ir pivots fluid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브레이크슈의 단부가 지지되는 로케이팅 플레이트 부위를 개선하여 브레이크슈의 처짐현상 및 소음 발생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의하면, 로케이팅 플레이트(60) 양측면을 감싸면서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 단부를 견실하게 지지하도록 받침부(92)가 형성된 받침부재(90)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가 아랫방향으로 쏠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것은 물론이며, 브레이크슈(30R)(30T)와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어 진동전달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이것에 의해 제동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드럼 브레이크{Drum brake}
도 1은 종래 드럼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전체적인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로케이팅 플레이트 및 받침부재 구조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로케이팅 플레이트 및 받침부재의 장착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드럼 20..백플레이트
30R,30T..브레이크슈 60..로케이팅 플레이트
70..리테이닝 플레이트 80..받침부재
81..고정부 82..받침부
본 발명은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브레이크슈 사이에 장착되어 이들의 작동을 지지하기 위한 로케이팅 플레이트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브레이크장치는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드럼 브레이크와 디스크 브레이크 등이 있다.
종래 드럼 브레이크는 디스크 대신에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을 내부에서 라이닝과 마찰시켜 제동력을 얻는 것으로,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휠측에 장착되는 원통형상의 드럼(1)과, 이 드럼(1)의 내주와 대향되도록 백플레이트(2)에 배치되며 외주에 라이닝(3a)이 부착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3R)(3T)와,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3R)(3T)를 반경방향으로 외향 작동시키도록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된 휠실린더(4)를 갖추고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슈(3R)(3T) 일단은 백플레이트(2)에 고정된 로케이팅 플레이트(6)의 양단에 접촉 지지되며, 이들의 타단은 유압을 전달받는 휠실린더(4)의 양부에 각각 접촉되어 있다. 이 때, 로케이팅 플레이트(6)는 휠실린더(4)와 대향하는 백플레이트(2)의 가장자리 측에 리벳(5)을 통해 고정된다. 또한, 로케이팅 플레이트(6)의 상면에는 각 브레이크슈(3R)(3T)의 단부를 약간씩 덮어 제동 작용 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리테이닝 플레이트(7)가 함께 조립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아 마스터실린더 어셈블리(미도시)에서 발생된 제동유압이 휠실린더(4)로 전달되면, 한 쌍의 브레이크슈(3R)(3T)가 로케이팅 플레이트(6)를 통해 지지되면서 반경방향으로 외향 작동하며 이것에 의해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1) 내주에 라이닝(3a)이 마찰하여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 때, 리테이닝 플레이트(7)가 브레이크슈(3R)(3T)의 단부를 덮고 있기 때문에, 제동 작용 시 각 브레이크슈(3R)(3T)의 들뜸 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드럼 브레이크에서는 리테이닝 플레이트(7)에 의해 각 브레이크슈(3R)(3T)의 들뜸 현상은 방지되나, 계속적인 제동작용으로 인해 각 브레이크슈(3R)(3T)의 단부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의 단부에서 아랫방향으로 쏠림이 발생된다.
즉, 제동작용 해제 시 브레이크슈(3R)(3T)가 복원되면서 자중에 의해 하측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브레이크슈의 지지구조를 개선하여 브레이크슈의 처짐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드럼 브레이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드럼과 마찰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되며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와, 브레이크슈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휠실린더와, 휠실린더와 대향되는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위에 장착되어 브레이크슈의 타단을 각각 지지하는 로케이팅 플레이트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로케이팅 플레이트에는 한 쌍의 브레이크슈 타단을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받침부재는 중심부가 로케이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단이 로케이팅 플레이트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하향 벤딩된 고정부와, 고정부의 양단부에서 각각 외향되게 연장되어 한 쌍의 브레이크슈 타단을 떠받치는 받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의 중심부에는 로케이팅 플레이트의 상면에 리벳팅 고정을 위한 고정홀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는 차량의 휠(미도시)과 함께 회전하는 원통상의 드럼(10)과, 백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를 따라 대향되게 배치되며 드럼(10) 내주와 마찰하도록 라이닝(31)이 부착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와, 제동유압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슈(30R)(30T)를 외향 작동하도록 피스톤(미도시)이 내장된 휠실린더(40)와, 제동 작용 해제 시 브레이크슈(30R)(30T)를 복원시키기 위한 리턴스프링(50)과, 휠실린더(40)와 대향되는 백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부위에 장착되어 각 브레이크슈(30R)(30T)의 외향 작동을 지지하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Locating Plate) 및 리테이닝 플레이트(70,Retaining Plate)를 포함하고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는 일단이 로케이팅 플레이트(60) 측에 지지되고 타단이 휠실린더(40)와 접하도록 배치되는데, 휠실린더(40)를 중심으로 드럼(10)의 전진회전 방향(도 2의 화살표 A 방향) 측의 것을 리딩슈(30R), 그 반대 방향 측의 것을 트레일링슈(30T)라 하여 구별한다.
이 브레이크슈(30R)(30T)는 단면이 "T" 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접착제를 통해 외주에 라이닝(31)이 부착된 반원형상의 금속재 림(32, RIM)과, 이 림(32)의 내주에 용접수단을 통해 접합되며 상단이 휠실린더(40)의 피스톤(미도시)과 접하고 하단은 로케이팅 플레이트(60) 측에 접촉 지지되는 금속판상의 웨브(33,WEB)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휠실린더(40)에 제동유압이 전달되면, 리딩슈(30R)과 트레일링슈(30T)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를 중심으로 외측을 향해 작동하게 된다.
한편, 이러한 브레이크슈(30R)(30T)의 외향 작동을 지지하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는 휠실린더(40)와 대향하는 백플레이트(20)의 가장자리 부위에 리테이닝 플레이트(70)와 함께 리벳팅 결합되며, 여기에는 반복적인 제동작용에 따라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의 단부가 미끄러져 내려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받침부재(90)가 배치되어 있는데, 이의 상세한 구조를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로케이팅 플레이트(60)는 직육면체상의 금속재 블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는 백플레이트(20)와의 리벳팅 결합을 위해 관통공(61)이 천공되어 있다. 그리고 리테이닝 플레이트(70)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앞면을 폭넓게 덮도록 결합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리테이닝 플레이트(70)에도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관통공(61)과 일치되는 홀(71)이 천공되어 있다.
따라서 리벳(80)을 홀(71)과 관통공(61)을 통해 백플레이트(20) 가조립한 후 이를 소성변형시키면, 리테이닝 플레이트(70)와 로케이팅 플레이트(60)가 백플레이트(20)에 견실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받침부재(90)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에 직접 고정되는 고정부(91)와, 이 고정부(91)에서 바깥측으로 연장되어 브레이크슈(30R)(30T)의 단부를 떠받치는 받침부(92)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금속판을 벤딩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즉, 고정부(91)는 중심부가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단이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양 측면을 감싸도록 하향 벤딩되어 있다. 또한, 고정부(91)의 중심부에는 리벳(93)을 통해 로케이팅 플레이트(60) 상면에 고정하기 위해 다수개의 고정홀(9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받침부(92)는 각 브레이크슈(30R)(30T)의 단부를 여유 있게 떠받치도록 고정부(91)의 양단에서 각각 외향되게 연장되게 일종의 금속판부로, 이는 길이방향으로 요철이 이루어져 브레이크슈(30R)(30T)의 단부가 견실하게 안착됨과 동시에 굽힘 강성이 보강되게 된다.
이에 따라 받침부재(90)의 고정부(91)를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상면 및 양측면을 덮도록 배치한 후 고정홀(91a)을 통해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상면에 리벳팅하면, 받침부재(90)의 고정부(91)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에 견실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이의 양단은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양 측면을 감싸게 된다. 그리고 받침부재(90)의 각 받침부(92)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를 중심으로 바깥측으로 연장되게 배치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를 백플레이트(20)에 조립하면, 각 브레이크슈(30R)(30T)의 단부는 받침부재(90)의 받침부(92)에 떠받쳐 지지 됨과 동시에 로케이팅 플레이트(60)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게 된다.
다음에는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의 작동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차량이 주행 중인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패달(미도시)을 밟으면, 마스터실린더 어셈블리(미도시)에서 형성된 제동유압이 휠실린더(40)로 전달되어 피스톤(미도시)이 전진한다.
따라서 로케이팅 플레이트(60)를 중심으로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가 각각 반대방향으로 외향 작동함으로써, 회전하는 드럼(10)과 라이닝(31)이 마찰하여 제동력이 발생된다. 이 때, 브레이크슈(30R)(30T)의 단부는 리테이닝 플레이트(70)를 통해 덮혀져 있기 때문에, 외향 작동 시 들뜸 현상 및 이탈이 방지된다.
또한, 제동 작용 시 드럼(10)과 라이닝(31)의 마찰로 인해 발생되는 진동은 드럼 브레이크를 이루는 각 부품들로 전달되려 하는데, 특히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 양단이 지지되는 로케이팅 플레이트(60) 측으로 집중되려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받침부재(90)의 양단이 로케이팅 플레이트(60)를 양측면을 감싸고 있기 때문에, 로케이팅 플레이트(60)와 브레이크슈(30R)(30T)와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진동전달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에 따라 제동 마찰력에 의해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가 진동을 하더라도 로케이팅 플레이트(60)측에서 서로 일치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것에 의해 공진에 의한 제동 소음이 억제된다.
또한, 제동작용이 해제되면서,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는 리턴스프링(50)을 통해 복원된다. 이 때,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 단부는 항상 받침부재(90)의 받침부(92)가 떠받쳐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복원과정에서 브레이크슈(30R)(30T)의 처짐 현상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브레이크슈(30R)(30T)가 정확하게 복원되며 이것에 의해 브레이크슈(30R)(30T)의 외향 작동(제동작용 시)은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드럼 브레이크에 의하면, 로케이팅 플레이트 양 측면을 감싸면서 한 쌍의 브레이크슈 단부를 견실하게 지지하도록 받침부가 형성된 받침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브레이크슈가 아랫방향으로 쏠리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는 것은 물론이며, 브레이크슈와 로케이팅 플레이트의 직접적인 접촉이 방지되어 진동전달이 효과적으로 억제되고 이것에 의해 제동소음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Claims (3)

  1. 삭제
  2. 휠과 함께 회전하는 드럼과, 상기 드럼과 마찰하도록 라이닝이 부착되며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향되게 설치된 한 쌍의 브레이크슈와, 상기 브레이크슈의 일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이를 작동시키는 휠실린더와, 상기 휠실린더와 대향되는 상기 백플레이트의 가장자리 부위에 장착되어 상기 브레이크슈의 타단을 각각 지지하는 로케이팅 플레이트를 갖춘 드럼 브레이크에 있어서,
    상기 로케이팅 플레이트(60)에는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 타단을 떠받쳐 지지하기 위한 받침부재(90)가 배치되며, 상기 받침부재(90)는, 중심부가 상기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상면에 고정되며 양단이 상기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양측면을 감싸도록 하향 벤딩된 고정부(91)와, 상기 고정부(91)의 양단부에서 각각 외향되게 연장되어 상기 한 쌍의 브레이크슈(30R)(30T) 타단을 떠받치는 받침부(9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91)의 중심부에는 상기 로케이팅 플레이트(60)의 상면에 리벳팅 고정을 위한 고정홀(91a)이 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럼 브레이크.
KR1020020002781A 2002-01-17 2002-01-17 드럼 브레이크 KR10080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781A KR100806081B1 (ko) 2002-01-17 2002-01-17 드럼 브레이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2781A KR100806081B1 (ko) 2002-01-17 2002-01-17 드럼 브레이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537A KR20030062537A (ko) 2003-07-28
KR100806081B1 true KR100806081B1 (ko) 2008-02-21

Family

ID=32218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781A KR100806081B1 (ko) 2002-01-17 2002-01-17 드럼 브레이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60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88124B (zh) * 2016-07-06 2023-11-24 泰州市扬帆车件有限公司 一种低磨耗的涨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60U (ko) * 1996-11-15 1998-08-17 김관용 제동력이 증대된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1960U (ko) * 1996-11-15 1998-08-17 김관용 제동력이 증대된 자동차용 드럼식 브레이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62537A (ko) 2003-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6081B1 (ko) 드럼 브레이크
KR100437207B1 (ko)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마모감지장치
KR20030031607A (ko) 드럼 브레이크
JP4319046B2 (ja) 自動二輪車のブレーキ装置
KR20050045754A (ko) 드럼 브레이크
JP2766169B2 (ja) ドラムブレーキ用ブレーキシューおよびドラムブレーキ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594612B1 (ko) 드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슈
KR20030017678A (ko) 드럼 브레이크
KR100566565B1 (ko) 디스크 브레이크
JPS6330825Y2 (ko)
AU648666B2 (en) Disk brake
KR20050046235A (ko) 드럼 브레이크
KR20030006156A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210098645A (ko) 차량용 브레이크
JP2006038025A (ja) ディスクロータ取付構造および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KR0140276B1 (ko) 브레이크슈의 댐퍼장치
KR10076084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0140388Y1 (ko) 차량용 드럼브레이크
KR0147694B1 (ko) 드럼브레이크
KR100217674B1 (ko) 브레이크 슈
KR200158321Y1 (ko) 차량용 리어브레이크어세이의 노이즈 감소구조
JPH027310Y2 (ko)
JP200203117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
JPH08320037A (ja) ディスクブレーキ用パッド保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