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4450B1 -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 Google Patents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4450B1
KR100804450B1 KR1020070118200A KR20070118200A KR100804450B1 KR 100804450 B1 KR100804450 B1 KR 100804450B1 KR 1020070118200 A KR1020070118200 A KR 1020070118200A KR 20070118200 A KR20070118200 A KR 20070118200A KR 100804450 B1 KR100804450 B1 KR 100804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support
rotation lever
pin
rotat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철
Original Assignee
이석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석철 filed Critical 이석철
Priority to KR102007011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44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23P19/06Screw or nut setting or loosening machin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서트부품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의 공급홀의 아래에 위치하여 수직 배치되며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되 서로 마주하게 좌우 배치되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레버 및 상기 회동레버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레버의 회동을 방지하기 위한 회동방지실린더와; 상기 회동레버 및 고정부재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상하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게 좌우 위치되고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동시에 위치 이동하는 한쌍구조의 핀지지블록 및 부품견인블록과; 상기 부품견인블록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와; 상기 부품견인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품배출덕트와; 상기 부품배출덕트의 부품유입구측의 아래에서 상측방향으로 관통되어 돌출 배치되고 실린더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핀받침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관통중공 내에 상측단부가 내재되고 하측단이 상기 핀받침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 배치되며 하측단부에 직경확대부를 갖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안내되어 하측 이동되는 인서트부품의 적재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이 개시된다.
인서트부품, 내경, 확개(擴開), 가이드핀, 직경확대부, 센서, 견인

Description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APPARATUS FOR SPREADING INSIDE DIAMETER OF INSERT PARTS}
본 발명은 너트타입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 제조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에 대하여 이미 형성된 내경을 확개하면서 내경의 정확한 규격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인서트부품의 내경에 형성되어지는 버 등을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자동화시스템의 구축에 의한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형성 및 버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은 아주 작은 크기의 초소형 부품으로 휴대폰의 본체 내에 인서트되는 나사볼트 등에 대응하여 체결수단으로 사용되는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은 통상 절삭가공 또는 사출성형으로 제조되고, 제조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의 내경이 원하는 치수대로 형성되었는지 테스트 한 후 포장하여 납품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 절삭가공 및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는 내경을 갖는 인서트부품은 내경이 원하는 치수로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 제조를 위한 절삭 가공시에는 내경에 나사 탭을 형성시킴에 따라 버(burr) 등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절삭가공 및 사출성형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을 정확하게 규격화하기 위하여 내경을 확개(擴開)시키는 작업이 시도되고 있으나 수작업의 진행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짐은 물론 인건비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므로 경제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 제조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에 대하여 이미 형성된 내경을 확개하면서 내경의 정확한 규격화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인서트부품의 제조시 내경에 형성되어지는 버 등을 자동 제거할 수 있도록 하며 인서트부품의 내경 형성 및 확개에 따른 정밀성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화시스템의 구축에 의한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인건비는 물론 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내경을 갖는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공급피더와; 상기 공급피더의 공급홀의 아래에 위치하여 수직 배치되며 관통중공을 갖는 가이드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되 서로 마주하게 좌우 배치되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레버 및 상기 회동레버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회동레버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레버를 밀어 회동을 방지되게 하는 회동방지실린더와; 상기 회동레버 및 고정부재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상하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게 좌우 위치되고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동시에 위치 이동하는 한쌍구조의 핀지지블록 및 부품견인블록과; 상기 부품견인블록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와; 상기 부품견인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품배출덕트와; 상기 부품배출덕트의 부품유입구측의 아래에서 상측방향으로 관통되어 돌출 배치되고 실린더 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핀받침부재와; 상기 가이드부재의 관통중공 내에 상측단부가 내재되고 하측단이 상기 핀받침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 배치되며 하측단부에 직경확대부를 갖는 가이드핀과; 상기 가이드핀에 의해 안내되어 하측 이동되는 인서트부품의 적재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 제조된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에 대하여 이미 형성된 내경을 확개하면서 내경의 정확한 규격화를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이와 더불어 인서트부품의 제조시 내경부분에 형성되어지는 버 등을 자동 제거할 수 있으며 인서트부 품의 내경 형성 및 확개에 따른 정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자동화시스템의 구축으로 작업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인건비와 작업시간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는 이동 가능하게 한 작업대(101)가 구비되고 상기 작업대(101)에 사출 성형되는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1)의 내경을 자동 확개시키고 규격화하기 위한 구성이 구비되는데, 내경을 갖는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1)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공급피더(110)와, 상기 공급피더(110)의 공급홀의 아래에 위치하여 수직 배치되며 관통중공을 갖는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아래에 위치하여 서로 마주하도록 좌우측에 배치되며 일측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레버(131) 및 상기 회동레버(13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32)와, 상기 회동레버(131)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레버(131)를 밀어 회동을 방지되게 하는 회동방지실린더(133)와, 상기 회동레버(131) 및 고정부재(132)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상하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좌우 위치되어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동시에 위치 이동하는 한쌍구조의 핀지지블록(140) 및 부품견인블록(151)과, 상기 부품견인블록(151)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152)와, 상기 부품견인블록(151)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품배출덕트(161)와, 상기 부품배출덕트(161)의 부품유입구측의 아래에서 상측방향으로 관통되어 돌출 배치되고 핀받침이동실린더(163)의 승강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핀받침부재(162)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관통중공 내에 상부가 내재된 상태에서 상측단이 공급피더(110)의 공급홀 상에 위치되고 하측단이 상기 핀받침부재(162)의 상단면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 배치되며 하측단부에 상부에 비해 직경이 넓혀진 직경확대부(171)를 갖는 가이드핀(170)과, 상기 가이드핀(170)에 의해 안내되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서트부품(1)의 적재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181)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동방지실린더(133)와, 한쌍구조를 가지며 위아래에 상하 배치되는 핀지지블록(140) 및 부품견인블록(151), 승강실린더(152) 및, 핀받침부재(162)를 승강시키는 핀받침이동실린더(163)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동작된다.
상기 부품견인블록(151)의 하강에 따른 위치이동을 감지하는 제2센서(182)를 구비하여 본 발명의 장치 및 인서트부품(1)을 보호하기 위한 동작제어를 수행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부연하면, 상기 제2센서(182)는 핀지지블록(140)이 가이드핀(170)의 측부를 지지하는 지지압력보다 가이드핀(170)에 삽입된 인서트부품(1)을 밀착 지지하고 인서트부품을 강제로 끌어내리기 위한 부품견인블록(151)의 하강견인압력이 더 크게 형성되는 경우를 감지하여 장치의 동작정지를 위한 신호를 제공하게 된다.
여기서, 미설명부호 191은 장치의 동작을 프로그래밍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 및 장치의 조작을 위한 조작패널이 구비된 컨트롤패널부의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의 작 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측단부에 직경확대부(171)를 갖는 가이드핀(170)을 장치 상에 배치하되 상측단부를 가이드부재(120)에 내재시키고 공급피더(110)의 공급홀의 아래에 상측단이 위치되게 하며 가이드핀(170)의 하측단은 부품배출덕트(161)의 유입구 상에서 관통되어 돌출 위치된 상태의 핀받침부재(162)의 상면에 의해 지지되게 하여 장치 상에 수직 배치한다.
장치 상에 직경확대부(171)를 갖는 가이드핀(170)의 설치가 완료되면, 가이드핀(170)을 잡고 가이드부재(120) 내 중심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급피더(110)를 작동시켜 공급홀을 통하여 내경을 갖는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1)을 공급하며, 공급홀을 통해 떨어지는 인서트부품은 가이드핀(170)에 삽입되어 하강되고 회동레버(131) 및 고정부재(132)에 의해 걸림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재(120) 내의 가이드핀(170) 상에 몇 개의 인서트부품(1)이 적재되면서 가이드핀(170)은 가이드부재(120)의 관통중공 내에서 자동으로 중심이 잡히게 된다.
공급피더(110)의 공급홀을 통해 낱개씩 공급되는 인서트부품(1)은 가이드핀(170)으로 연속적으로 순차 삽입되고, 가이드부재(120) 내에서 적재되는 인서트부품의 무게에 의해 회동레버(131)가 밀리게 되는데, 이에 의해 인서트부품(1)은 가이드핀(170)을 타고 하측으로 하강하게 되며 핀받침부재(162)에 의해 지지된 상태의 가이드핀(170)의 직경확대부(171)에 걸림되면서 가이드핀(170)의 하부에서부터 상측으로 인서트부품(1)이 쌓이게 된다.
가이드핀(170)에 적재되는 인서트부품(1)이 제1센서(181)의 위치까지 쌓이게 되면, 제1센서(181)에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회동방지실린더(133)가 작동하여 회동레버(131)를 가압하게 되고 공급피더(110)를 통해 가이드핀(170)측으로 공급되는 인서트부품(1)을 가이드부재(120)의 아래에서 차단하게 된다.
이때, 회동방지실린더(133)의 작동과 함께 한쌍의 핀지지블록(140)이 내측으로 위치 이동하여 가이드핀(170)의 양측부를 지지하여 잡아주게 되고, 또한 한쌍구조의 부품견인블록(151)이 내측으로 위치 이동되어 가이드핀(170)에 적재된 상태의 인서트부품(1)의 양측부를 밀착 지지하도록 동작되며, 이와 더불어 핀받침이동실린더(163)의 하강 동작을 수행함에 따라 핀받침부재(162) 또한 하측방향으로 위치 이동되게 한다.
상기한 핀지지블록(140)과 부품견인블록(151) 및 핀받침부재(162)의 동작이 완료되면, 이후 부품견인블록(151)에 연결된 승강실린더(152)가 동작하여 인서트부품(1)을 밀착 지지하고 있던 부품견인블록(151)을 하측으로 강제 하강시키게 되고, 강제 하강되는 부품견인블록(151)이 가이드핀(170)에 적재되어 있던 인서트부품(1)을 강제 견인하여 하측방향으로 끌어내리게 된다.
이렇게 부품견인블록(151)을 통하여 강제 견인되는 인서트부품(1)은 가이드핀(170)의 하측단부에 형성된 직경확대부(171)를 경유하게 되고 부품배출덕트(161)로 유입되어 배출된다.
이에 따라, 인서트부품(1)은 가이드핀(170)의 직경확대부(171)에 의해 확개압력을 받아 직경확대부(171)에 대응되는 크기로 내경이 확개되며, 원하는 치수 및 정확한 치수로 규격화된 내경을 갖는 인서트부품(1)을 형성시킬 수 있게 됨과 아울러 인서트부품(1)의 제조과정 중에 내경에 형성되어지는 버 등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후, 핀받침부재(162)와 부품견인블록(151), 핀지지블록(140), 회동방지실린더(133)가 역동작에 의한 위치 이동에 의해 원래상태로 복귀되고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나타낸 전체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나타낸 상부측 요부 상세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나타낸 하부측 요부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를 동작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공급피더 120: 가이드부재
131: 회동레버 132: 고정부재
133: 회동방지실린더 140: 핀지지블록
151: 부품견인블록 152: 승강실린더
161: 부품배출덕트 162: 핀받침부재
163: 핀받침이동실린더 170: 가이드핀
171: 직경확대부 181: 센서

Claims (1)

  1. 내경을 갖는 너트타입의 인서트부품을 자동 공급하기 위한 공급피더(110)와;
    상기 공급피더(110)의 공급홀의 아래에 위치하여 수직 배치되며 관통중공을 갖는 가이드부재(120)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아래에 위치하되 서로 마주하게 좌우 배치되며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된 회동레버(131) 및 상기 회동레버(131)의 반대편에 배치되는 고정부재(132)와;
    상기 회동레버(131)의 후측에 위치하며 상기 회동레버(131)를 밀어 회동을 방지되게 하는 회동방지실린더(133)와;
    상기 회동레버(131) 및 고정부재(132)의 아래에 순차적으로 상하 배치되며 서로 마주하게 좌우 위치되고 내측방향 또는 외측방향으로 동시에 위치 이동하는 한쌍구조의 핀지지블록(140) 및 부품견인블록(151)과;
    상기 부품견인블록(151)을 상하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실린더(152)와;
    상기 부품견인블록(151)의 하측에 배치되는 부품배출덕트(161)와;
    상기 부품배출덕트(161)의 부품유입구측의 아래에서 상측방향으로 관통되어 돌출 배치되고 핀받침이동실린더(163)의 승강동작에 의해 승강되는 핀받침부재(162)와;
    상기 가이드부재(120)의 관통중공 내에 상측단부가 내재되고 하측단이 상기 핀받침부재(162)에 의해 지지되어 수직 배치되며 하측단부에 직경확대부(171)를 갖는 가이드핀(170)과;
    상기 가이드핀(170)에 의해 안내되어 하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인서트부품(1)의 적재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제1센서(18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KR1020070118200A 2007-11-20 2007-11-20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KR1008044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00A KR100804450B1 (ko) 2007-11-20 2007-11-20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200A KR100804450B1 (ko) 2007-11-20 2007-11-20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4450B1 true KR100804450B1 (ko) 2008-02-20

Family

ID=39382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200A KR100804450B1 (ko) 2007-11-20 2007-11-20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44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5439A (zh) * 2016-11-23 2017-02-22 合肥智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进料传动机构及设有该机构的转盘式锁螺丝机
CN109759811A (zh) * 2018-12-25 2019-05-17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补给装置、转子压接系统及自动补给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29A (ja) * 1990-05-02 1992-01-17 Nkk Corp 管継手の拡径設備
KR20010015574A (ko) * 1998-07-09 2001-02-26 다다시 이우라 금속축재료의 직경확대장치
KR20010092246A (ko) * 1999-01-20 2001-10-24 추후제출 금속 축재의 직경을 확대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154820A (ja) 2002-11-06 2004-06-03 Sango Co Ltd 管部材の拡径方法及び拡径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429A (ja) * 1990-05-02 1992-01-17 Nkk Corp 管継手の拡径設備
KR20010015574A (ko) * 1998-07-09 2001-02-26 다다시 이우라 금속축재료의 직경확대장치
KR20010092246A (ko) * 1999-01-20 2001-10-24 추후제출 금속 축재의 직경을 확대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4154820A (ja) 2002-11-06 2004-06-03 Sango Co Ltd 管部材の拡径方法及び拡径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25439A (zh) * 2016-11-23 2017-02-22 合肥智博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进料传动机构及设有该机构的转盘式锁螺丝机
CN109759811A (zh) * 2018-12-25 2019-05-17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补给装置、转子压接系统及自动补给方法
CN109759811B (zh) * 2018-12-25 2020-03-24 珠海凯邦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自动补给装置、转子压接系统及自动补给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26832B1 (ko) 자동 나사 체결장치
KR100804450B1 (ko) 인서트부품의 내경 확개장치
KR100804449B1 (ko) 인서트부품의 자동 스트링장치
KR100870049B1 (ko) Cnc선반용 소재 자동공급 및 배출장치
KR20220170560A (ko) 자동 볼트 압입기
JP5598982B2 (ja) 成形機の金型位置決め装置
KR20020049848A (ko) 수평식 핸들러의 픽커 간격조절장치
KR20170119444A (ko) 팔레트 셋업 장치
KR200434946Y1 (ko) 연료압력 레귤레이터의 유량 압력셋팅장치
KR101755415B1 (ko) 구리스 도포장치 및 그 방법
JP4417971B2 (ja) 樹脂封止装置及び吸引孔詰まり検出方法
KR100716228B1 (ko) 타이어 트레드 색선 마킹장치
KR20100111111A (ko) 타이어 펑크 확인장치
KR20170104808A (ko) 중량측정기능이 구비된 트리밍 장치
KR20090051440A (ko) 오링볼트 제조를 위한 오링 핸들러 및 오링볼트 조립장치
KR100522554B1 (ko) 버어링 겸용 탭핑장치
CN219403510U (zh) 一种具有调节间距功能的数控机床罩壳
CN220283451U (zh) 升车装置
KR20100061880A (ko) 다각형 소재의 공급대
KR102622217B1 (ko) 널링공정이 가능한 인서트 삽입장치
KR200407738Y1 (ko) 소재 공급용 스토커
CN209792964U (zh) 一种快速换模的行走装置
KR100534752B1 (ko) 블랭킹 프레스용 블랭크 안내장치
KR102595029B1 (ko) 베어링의 고체 윤활제 자동 압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체 윤활제 압입방법
JP2000094199A (ja) 塑性加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