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2827B1 -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2827B1
KR100802827B1 KR1020060100865A KR20060100865A KR100802827B1 KR 100802827 B1 KR100802827 B1 KR 100802827B1 KR 1020060100865 A KR1020060100865 A KR 1020060100865A KR 20060100865 A KR20060100865 A KR 20060100865A KR 100802827 B1 KR100802827 B1 KR 100802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console
shaft
rotating body
center con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0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08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028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2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2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축 결합부가 형성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에 마련된 콘솔부와; 상기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스위블링 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축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는 회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암레스트가 스위블링(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운전자가 수용공간으로부터 물품을 꺼내거나 수용공간으로 물품을 보관할 때 팔의 각도가 지나치게 꺾이지 않으므로 사용상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CENTER CONSOLE ARM REST FOR VEHICL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단계적으로 30도, 60도, 90도 회전되는 과정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종래의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암레스트 10a : 수용공간
15 : 축 결합부 20 : 콘솔부
23 : 결합홈 30 : 회전체
31, 32, 33 : 위치 결정 돌기 35 : 회전축
36 : 축 지지부 40 : 레일부
41 : 제1 레일부 42 : 제2 레일부
43 : 안내홈
본 발명은,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레스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수용공간에 물건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용공간(110a)이 형성된 콘솔박스(110)가 마련되어 있고, 콘솔박스(110)의 상부에는 수용공간(110a)을 개폐하며 통상의 경우 운전자가 팔을 안착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120)가 장착되어 있다. 이 때, 콘솔박스(110)와 암레스트(120)의 사이에는 암레스트(120)를 콘솔박스(110)에 대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암레스트(120)에 의해 수용공간(110a)이 폐쇄될 경우에는 운전자는 암레스트(120)에 팔을 올려놓음으로써 피로감을 덜 수 있고, 암레스트(120)에 의해 수용공간(110a)이 개방될 경우에는 탑승자는 소정의 물품을 콘솔박 스(110)에 보관할 수 있어 물품이 분실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있어서는, 암레스트의 개폐 방향(후방 힌지부를 중심으로 전방에서 개폐)이 항상 일정하여 콘솔박스에 물품을 보관 및 이용할 때 팔의 각도가 꺾여 콘솔박스 내의 물품을 쉽게 꺼내거나 넣지 못하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암레스트가 회전 가능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여 수용공간에 물건을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는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축 결합부가 형성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에 마련된 콘솔부와; 상기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스위블링(swiveling) 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축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는 회전체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축의 원주면에는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된 후 상기 축 결합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회전축 중심에 대해 대칭되도록 한 쌍이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결정 돌기는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체가 상기 콘솔부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안내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레일부는 상기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제1 레일부과, 상기 축 지지부가 수용 가능하게 상기 제1레일부와 결합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에 있어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축 결합부가 형성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에 마련된 콘솔부와; 상기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부 사이에 마련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스위블링(swiveling) 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축 결합부에 결합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가 상기 콘솔부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안내하는 레일부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회전축의 원주면에는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된 후 상기 축 결합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가 회전축 중심에 대해 대칭되도록 한 쌍이 돌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 결정 돌기는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제1 레일부과, 상기 축 지지부가 수용 가능하게 상기 제1레일부와 결합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는 소형의 물품을 보관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으로서, 내부에 수용공간(10a)이 형성되고 저면에 축 결합부(15)가 형성된 암레스트(10)와; 암레스트(10)의 하부에 마련된 콘솔부(20)와; 암레스트(10)와 콘솔부(20) 사이에 마련되며, 암레스트(10)가 스위블링(swiveling) 가능하게 일단이 축 결합부(15)에 결합되는 회전축(35)과, 회전축(35)의 타단이 결합되어 암레스트(10)가 회전 가능하게 회전축(35)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36)를 갖는 회전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암레스트(10)는 수용공간(10a)이 형성된 암레스트 본체(11)와, 암레스트 본체(11)의 후방에 마련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회동 되어 암레스트 본체(11)를 개폐하는 덮개(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덮개(12)가 폐쇄된 상태에서 암레스트(10)에 팔을 안착함으로써 탑승자의 피로감이 덜어질 수 있다.
암레스트 본체(11)의 전방에는 덮개(12)를 개방할 때 작동하기 위한 버튼(13)이 마련되어 있다.
암레스트(10)는 회전체(30)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데, 이에 따라 운전자가 편리한 각도로 회전시켜 물품 등을 수용공간(10a)에 보관하거나 수용공간(10a)에서 꺼낼 때 편리하다. 즉, 암레스트(10)를 회전시키면, 버튼(13)이 운전자 방향으로 향해 있으므로 버튼(13)을 누르기 쉽게 된다.
회전체(3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10)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스위블링(swiveling)) 가능하도록 일단이 축 결합부(15)에 끼워지는 회전축(35)과, 회전축(35)의 타단이 결합되어 암레스트(10) 회전시 회전축(35)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회전축(35)과 축 지지부(36)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고,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회전축(35)은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져 Z축 방향으로 마련되며, 일단이 축 결합부(15)에 끼워지고 타단이 축 지지부(36)에 의해 지지된다. 이에, 암레스트(10)는 회전축(35)의 일단 원주면을 따라 회전되며, 이 때 축 지지부(36)는 회전축(35)이 암레스트(10)와 함께 회전 되지 않도록 회전축(35)을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회전축(35)의 원주면에는 암레스트(10)가 회전축(35)을 따라 회전된 후 축 결합부(15)의 결합홈(23)에 끼워져 암레스트(10)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33)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이에, 암레스트(10)가 도 3과 같이 일정 각도 만큼 회전된 후 더 회전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운전자는 암레스트(10)가 회전된 그 위치에서 물품 등을 꺼내거나 보관하기에 편리하다.
위치 결정 돌기(33)는 회전축(35)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도록 콘솔부(20)의 전후방향에 한 쌍이 돌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도 3과 같이 암레스트(10)가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회전되면 위치 결정 돌기(33)가 결합홈(23)에 끼워짐으로써, 암레스트(10)의 자유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암레스트(10)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레일부(4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암레스트(10)의 위치가 종래처럼 고정되어 있을 경우에는 탑승자의 팔 길이에 따라 불편함을 느낄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이 암레스트(10)의 위치를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사용이 편리할 수 있다.
레일부(40)에는 암레스트(10)를 스위블링시키는 회전체(30)가 조립되는데, 이 때 레일부(40)에 회전체(30)가 조립 가능하도록 레일부(40)는 제1 레일부(41) 및 제2 레일부(42)로 분리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레일부(41)의 판면에는 회전축(35)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43)이 형성되어 있다.
제2 레일부(42)는 축 지지부(36)가 수용 가능하도록 제1 레일부(41)와 결합되어 있다. 이에, 작업자는 제1 레일부(41)의 저부에서 안내홈(43)을 향해 회전체(30)를 삽입한 후, 제2 레일부(42)를 제1 레일부(41)에 결합시킴으로써 회전 체(30)가 레일부(40)에 조립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10)의 작동 원리를 간단히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10)가 위치된 초기 상태는 도 1과 같다.
그 후, 운전자가 자신의 팔 길이에 맞게 암레스트(10)를 앞쪽으로 위치시키고 싶으면, 도 2와 같이 암레스트(10)를 전방으로 민다. 그러면, 도 4에 도시된 회전체(30)가 안내홈(43)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암레스트(10)가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된다.
한편, 운전자가 수용공간(10a)에 보관된 물품을 꺼내거나 수용공간(10a)에 물품을 보관시키기 편리한 각도로 암레스트(10)를 회전시키고 싶으면, 도 3과 같이 암레스트(10)를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 회전시킨다. 그러면, 암레스트(10)는 도 4에 도시된 회전축(35)을 중심으로 회전된 후, 회전체(30)의 원주면에 형성된 위치 결정 돌기(33)가 결합홈(23)에 끼워진다. 즉, 위치 결정 돌기(33)가 결합홈(23)에 끼워져 결합됨으로써, 암레스트(10)가 자유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후, 암레스트(10)를 도 1과 같은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작동시키면 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의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에 따르면 암레스트(10)가 스위블링(swiveling) 및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여, 암레스트(10)를 운전자가 원하는 각도 및 전후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상 편의성을 증 대시킬 수 있다. 특히, 암레스트(10)가 도 3과 같이 스위블링되면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가 암레스트(10)에 팔을 얹혀 놓을 수 있는 면적이 되므로 운전자와 동승자 모두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단계적으로 회전되는 과정을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의 요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암레스트(10)가 스위블링될 때 단계적으로 각도가 변화될 수 있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점이 있다. 즉, 도 5의 (a), (b),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의 암레스트(10)는 대략 30도, 60도, 90도 마다 멈춰지도록 구성되어 운전자의 회전 선택의 기회가 더 넓혀짐으로써, 다양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목적 및 효과를 위해, 제2 실시예에서는 회전축(35)의 원주면에 각 각도(30도, 60도, 90도)마다 암레스트(10)의 회전 위치를 결정해주는 위치 결정 돌기(31, 32, 33)를 마련하고 있다. 제1 실시예에 비해 제2 실시예에서는 30도 부분에 제1 위치 결정 돌기(31)를 마련하고, 60도 부분에 제2 위치 결정 돌기(32)를 더 마련하고 있다.
따라서, 암레스트(10)가 도 1의 초기 상태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대략 30도 만큼 스위블링되면 제1 위치 결정 돌기(31)가 결합홈(23, 도 4 참조)에 끼워지게 되고, 여기서 반시계방향으로 30도 만큼 더 스위블링되면 제2 위치 결정 돌기(32)가 결합홈(23)에 끼워지게 되며, 마지막으로 반시계방향으로 30도 만큼 더 스위블링되면 제3 위치 결정 돌기(33)가 결합홈(23)에 끼워지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암레스트가 반시계 방향(운전석 방향)으만 회전되는 경우만을 설명하였으나, 시계 방향(조수석 방향)으로도 회전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 암레스트가 조수석 방향으로 회전된 후 자유 회전이 저지되기 위해서는 제2실시예와 같은 위치 결정 돌기가 시계 방향을 따라 더 형성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전술한 제2실시예에서, 암레스트가 30도, 60도, 90도로 회전된 후 위치 결정 돌기에 의해 그 위치가 지지되고 있으나, 위치 결정 돌기를 이보다 적게 또는 많게 형성함으로써 다양하게 구현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가 스위블링(Z축 방향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현됨으로써, 운전자가 수용공간으로부터 물품을 꺼내거나 수용공간으로 물품을 보관할 때 팔의 각도가 지나치게 꺾이지 않으므로 사용상 편리한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가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운전자의 신체 조건(특히, 팔 길이)에 맞게 암레스트의 위치를 변화시킬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피로감을 덜어줄 수 있다.

Claims (9)

  1. 삭제
  2.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저면에 축 결합부가 형성된 암레스트와;
    상기 암레스트의 하부에 마련된 콘솔부와;
    상기 암레스트와 상기 콘솔부 사이에 마련되며,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스위블링(swiveling) 가능하게 원주면이 상기 축 결합부에 끼워지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의 하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 가능하게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축 지지부를 갖는 회전체와;
    상기 회전축의 원주면에 상기 회전축의 중심에 대해 대칭되도록 한 쌍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회전된 후 상기 축 결합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는 위치 결정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 돌기는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의 회전 위치를 결정하도록 상기 회전체의 원주면을 따라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가 상기 콘솔부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회전체를 안내하는 레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회전축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안내하는 안내홈이 형성된 제1 레일부과, 상기 축 지지부가 수용 가능하게 상기 제1레일부와 결합되는 제2 레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060100865A 2006-10-17 2006-10-17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KR100802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65A KR100802827B1 (ko) 2006-10-17 2006-10-17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0865A KR100802827B1 (ko) 2006-10-17 2006-10-17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02827B1 true KR100802827B1 (ko) 2008-02-12

Family

ID=3934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0865A KR100802827B1 (ko) 2006-10-17 2006-10-17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02827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072A (ko) * 2014-03-17 2015-09-2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KR101856519B1 (ko) 2016-11-29 2018-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박스
CN112208443A (zh) * 2019-07-12 2021-01-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移动式多功能控制台
CN114475444A (zh) * 2021-12-10 2022-05-13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多功能扶手箱
KR102670499B1 (ko) 2021-11-24 2024-05-30 신준혁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1946A (en) 1981-01-21 1982-07-29 Nissan Motor Co Ltd Console box structure for vehicles
US4997054A (en) 1989-04-14 1991-03-05 J. I. Case Company Adjustable wrist rest
KR19980086060A (ko) * 1997-05-30 1998-12-05 토니헬샴 운전자의 보조암레스트
KR20060072706A (ko) * 2004-12-23 2006-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 및 회전 가능한 자동차의 콘솔박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21946A (en) 1981-01-21 1982-07-29 Nissan Motor Co Ltd Console box structure for vehicles
US4997054A (en) 1989-04-14 1991-03-05 J. I. Case Company Adjustable wrist rest
KR19980086060A (ko) * 1997-05-30 1998-12-05 토니헬샴 운전자의 보조암레스트
KR20060072706A (ko) * 2004-12-23 2006-06-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이동 및 회전 가능한 자동차의 콘솔박스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08072A (ko) * 2014-03-17 2015-09-25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KR102143996B1 (ko) 2014-03-17 2020-08-13 현대트랜시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KR101856519B1 (ko) 2016-11-29 2018-05-11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콘솔박스
CN112208443A (zh) * 2019-07-12 2021-01-12 现代自动车株式会社 用于车辆的移动式多功能控制台
KR20210007597A (ko) * 2019-07-12 2021-01-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무빙 콘솔
KR102644578B1 (ko) 2019-07-12 2024-03-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멀티 무빙 콘솔
KR102670499B1 (ko) 2021-11-24 2024-05-30 신준혁 차량용 팔 거치대 장치
CN114475444A (zh) * 2021-12-10 2022-05-13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多功能扶手箱
CN114475444B (zh) * 2021-12-10 2023-06-09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多功能扶手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31202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6250729B1 (en) Dual opening sliding console for use with a vehicle
US6547326B1 (en) Automotive seat flip-out cupholder
KR100802827B1 (ko) 차량용 센터 콘솔 암레스트
US20180222363A1 (en) Center console with dual rotating covers
JP2009119960A (ja) 車両のセンターコンソール
JP4973090B2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JP4376271B2 (ja) オーバーヘッドコンソール装置
JPH0648237A (ja) 多目的機能を備えた回転式カップホルダ
JP5916076B2 (ja) 可動装置
JP2006199156A (ja)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00135950A (ja) 車両用物入れ装置
KR101500410B1 (ko) 차량용 암레스트 모듈
KR101937238B1 (ko) 후열 시트용 암레스트
JP2009184498A (ja) 車内用物入れ
JP4542697B2 (ja) 物品類の保持装置
JP2569749Y2 (ja) 自動車用アームレスト
JP2983006B2 (ja) 蓋装置および収納装置
KR101126903B1 (ko) 차량 내 수납 공간
JP2008155766A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構造
JP3925577B2 (ja) カップホルダー
JP2015003558A (ja) 車両における小物収納、保持装置
JP4332381B2 (ja) 車両における収容装置
JP2006151107A (ja) 建設機械の運転席のカップホルダ付きアームレスト
JP4803772B2 (ja) スクーターのニーグリップバー及びニーグリップバー付スク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