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1049B1 - 자외선 조사 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조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1049B1
KR100801049B1 KR1020070020223A KR20070020223A KR100801049B1 KR 100801049 B1 KR100801049 B1 KR 100801049B1 KR 1020070020223 A KR1020070020223 A KR 1020070020223A KR 20070020223 A KR20070020223 A KR 20070020223A KR 100801049 B1 KR100801049 B1 KR 100801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mean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separation distance
gu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20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118944A (ko
Inventor
히로시 오쿠다
히데키 미치이
유조 나카야마
Original Assignee
교토덴키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토덴키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토덴키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8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8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1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1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0Chemical, physical or physico-chemical processes in general;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9/08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 B01J19/12Processes employing the direct application of electric or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Apparatus therefor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5/00Heating, cool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sing; Apparatus therefor
    • B29C35/02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 B29C35/08Heating or curing, e.g. crosslinking or vulcanizing during moulding, e.g. in a mould by wave energy or particle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with means for compensating for changes in temperature or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thermal stabilis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Lense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사 거리에 따라 용이하게 촛점을 조절할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부 (4) 와, 헤드부 (4) 를 점등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구비한 자외선 조사 장치 (2) 를 제공한다. 헤드부 (4) 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8) 와, 발광 다이오드 (8) 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 (10) 과,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 (12) 와, 집광 렌즈 (12) 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 (14) 과, 제 1 부착 수단 (10) 및 제 2 부착 수단 (14) 을 유지하는 통 형상 외장체 (16) 와,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 (18) 을 가지며, 이간 거리 조절 수단 (18) 은 제 1 부착 수단 (10) 을 통 형상 외장체 (16) 의 내부에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자외선 조사 장치{ULTRA-VIOLET RAY IRRADIATING APPARATUS}
도 1 은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의 이간 거리 조절 수단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의 조절 링체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자외선 조사 장치 4, 4A, 4B : 헤드부
6 : 전원 제어부 8 : 발광 다이오드
10, 10A, 10B : 제 1 부착 수단 12 : 집광 렌즈
14, 14A, 14B : 제 2 부착 수단
16 : 통 형상 외장체
18, 18A, 18B : 이간 거리 조절 수단
26, 26A, 26B : 핀 44, 64 : 가이드 구멍
78 : 제 1 가이드 구멍 80 : 조절 링체
82 : 제 2 가이드 구멍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광학 렌즈 등의 부품을 접착할 때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가 이용되며, 이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경화시키기 위한 자외선 조사 장치가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99672호 참조). 이 자외선 조사 장치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헤드부와, 헤드부를 점등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헤드부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집광 렌즈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을 갖고 있다. 제 1 부착 수단 및 제 2 부착 수단은, 예를 들어 고정용 나사 등에 의해 서로 고정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집광 렌즈는, 특정 조사 거리 (즉, 집광 렌즈로부터 조사 대상물까지의 거리) 에 대응한 촛점 거리를 갖고 있으며, 이로써 이 특정 조사 거리에 대응한 위치에 있어 서 촛점이 맞게 된다. 따라서, 이 특정 조사 거리에 대응한 위치에 조사 대상물을 위치시킴으로써,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은 최적인 조사 상태로 조사 대상물에 집광 조사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특정 조사 거리 이외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사 대상물을 위치시킨 경우에는,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은 촛점이 빗나간 상태 (즉, 디 포커스된 상태) 로 조사 대상물에 조사되게 되어, 최적인 조사 상태로 조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특정 조사 거리 이외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촛점을 맞출 때에는, 이 조사 거리에 대응한 촛점 거리를 갖는 집광 렌즈로 교환해야 하며, 그 때문에 여러 가지 촛점 거리를 갖는 복수의 집광 렌즈를 준비할 필요가 있어, 자외선 조사 장치에 필요로 하는 비용이 상승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조사 거리에 따라 용이하게 촛점을 조절할 수 있는 자외선 조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조사하여 그 수 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상기 집광 렌즈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과, 상기 제 1 부착 수단 및 상기 제 2 부착 수단을 유지하는 통 형상 외장체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 또는 상기 제 2 부착 수단을 상기 통 형상 외장체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 또는 상기 제 2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상기 통 형상 외장체에 그 축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통 형상 외장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상기 집광 렌즈 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2 부착 수단은 통 형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부착 수단은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내부에 그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을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상기 제 2 부착 수단에 그 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외주부에는 조절 링체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조절 링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은,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제 2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조절 링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6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상기 집광 렌즈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착 수단은 통 형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부착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내부에 그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부착 수단을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7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상기 제 1 부착 수단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서는, 상기 핀에는, 상기 핀을 상기 가이드 구멍에 있어서 위치 결정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헤드부는,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이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제 1 부착 수단 또는 제 2 부착 수단을 통 형상 외장체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사 거리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촛점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사 대상물을 위치시킨 경우에도, 최적인 조사 상태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자외선을 조사 대상물에 집광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청구항 2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제 1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통 형상 외장체에 그 축 방향으로 설치되며 핀이 수용된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핀을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부착 수단 또는 제 2 부착 수단을 통 형상 외장체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3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헤드부는,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이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제 1 부착 수단을 제 2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사 거리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촛점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사 대상물을 위치시킨 경우에도, 최적인 조사 상태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자외선을 조사 대상물에 집광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4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제 1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제 2 부착 수단에 그 축 방향으로 형성되며 핀이 수용된 제 1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핀을 제 1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부착 수단을 제 2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5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제 2 부착 수단의 외주부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된 조절 링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고, 핀은 제 1 가이드 구멍 및 제 2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조절 링체의 외부에 돌출되어 있으므로, 조절 링체를 회전시키면, 핀은 제 2 가이드 구멍 내에서 안내되면서 제 1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되며, 조절 링체의 회전을 이용하여 핀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청구항 6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헤드부는,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이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제 2 부착 수단을 제 1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사 거리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촛점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 치에 조사 대상물을 위치시킨 경우에도, 최적인 조사 상태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자외선을 조사 대상물에 집광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청구항 7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제 2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제 1 부착 수단에 형성되며 핀이 수용되는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핀을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 2 부착 수단을 제 1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8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구멍은, 제 1 부착 수단의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으므로,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촛점을 보다 고정밀도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청구항 9 에 기재된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핀에는, 핀을 가이드 구멍에 있어서 위치 결정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했을 때 이 조절한 이간 거리를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조사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며, 도시한 자외선 조사 장치 (2) 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헤드부 (4) 와, 헤드부 (4) 를 점 등 제어하기 위한 전원 제어부 (6) 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 제어부 (6) 는, 케이싱 (54) 과, 케이싱 (54) 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회로부 (도시 생략) 를 갖고 있다. 케이싱 (54) 의 전면 패널 (56) 에는, 구동 회로부를 구동 또는 구동 정지시키기 위한 전원 스위치 (58) 와, 헤드부 (4) 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케이블 (24) 의 타단부를 구동 회로부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커넥터 (60) 와, 소정의 수치 등을 디지털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61) 가 설치되어 있다. 전원 스위치 (58) 를 온하면 구동 회로부가 구동되고, 구동 회로부로부터의 구동 전력이 전력 케이블 (24) 을 통하여 헤드부 (4) 에 급전된다. 이하, 헤드부 (4) 의 각종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먼저, 도 2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 를 참조하여, 도시된 헤드부 (4) 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 (8) 와, 발광 다이오드 (8) 가 부착되는 원통 형상 등의 제 1 부착 수단 (10) 과,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 (12) 와, 집광 렌즈 (12) 가 부착되는 원통 형상 등의 제 2 부착 수단 (14) 와, 제 1 부착 수단 (10) 및 제 2 부착 수단 (14) 을 지지하기 위한 원통 형상 등의 통 형상 외장체 (16) 와,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 (18) 을 갖고 있다.
발광 다이오드 (8) 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UVLED 로 구성되며, 이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입체각 형상으로 펼쳐진 배광을 형성한다. 제 1 부착 수단 (10) 의 일단부에는 부착벽 (20) 이 설치되고, 이 부착벽 (20) 상면의 중앙부에는, 발광 다이오드 (8) 가 실장된 배선 기판 (22) 이 부착되고, 이 배선 기판 (22) 에는, 전원 제어부 (6) 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케이블 (24) 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부착 수단 (10) 의 외주측부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핀 (26) 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핀 (26) 의 외주면에는 수나사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부착 수단 (10) 은, 열전도율이 비교적 높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등의 금속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의 열은 배선 기판 (22) 을 통하여 제 1 부착 수단 (10) 에 전달되고, 이 제 1 부착 수단 (10) 을 통하여 방열된다.
집광 렌즈 (12) 는, 볼록 형상의 제 1 렌즈부 (28) 와 볼록 형상의 제 2 렌즈부 (30) 로 구성되어 있다. 제 2 부착 수단 (14) 일단부의 내주면에는, 링 형상의 부착 오목부 (32) 가 형성되고, 또 그 타단부에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링 형상의 걸림부 (34)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렌즈부 (28) 는, 그 평면측이 걸림부 (34) 에 걸리고, 또 제 2 렌즈부 (30) 는 그 볼록면측이 제 1 렌즈부 (28) 의 볼록면측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제 2 부착 수단 (14) 의 일단부측에 부착되어 있다. 제 1 렌즈부 (28) 와 제 2 렌즈부 (30) 사이에는 원통형 스페이서 (36) 가 개재되어 있으며, 이로써 제 1 렌즈부 (28) 와 제 2 렌즈부 (30) 의 이간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부착 오목부 (32) 에는 링 형상의 누름 부 재 (38) 가 부착되며, 이로써 제 1 렌즈부 (28) 및 제 2 렌즈부 (30) 는 걸림부 (34) 및 누름 부재 (38) 에 의해 양측으로부터 협지되고, 이렇게 하여 집광 렌즈 (12) 는 제 2 부착 수단 (14) 에 부착된다.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일단부측에서의 내부에는, 제 2 부착 수단 (14) 이 예를 들어 접착제나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외측으로부터 제 2 부착 수단 (14) 에 나사식으로 장착된 나사에 의해 고정적으로 부착된다. 또 그 타단부측에서의 내부에는, 제 1 부착 수단 (10) 이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축 방향 (도 2 에 있어서 상하 방향) 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집광 렌즈 (12) 는 헤드부 (4) 의 선단부 근방에 배치 형성되며, 또한 발광 다이오드 (8) 와 제 1 렌즈부 (28) 가 대향된다.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의 자외선은,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에 의해 설정되는 촛점 위치 (F) 에 집광된다. 통 형상 외장체 (16) 의 타단부에는, 관통 구멍 (40) 을 갖는 저판 부재 (42) 가 부착되고, 배선 기판 (22) 으로부터의 전력 케이블 (24) 은 이 관통 구멍 (40) 을 통하여 헤드부 (4) 의 외부로 연장되며, 전원 제어부 (6) 의 커넥터 (60) 에 착탈 자유롭게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소정 부위에는,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구멍 (44) 이 형성되고, 이 가이드 구멍 (44) 에는, 제 1 부착 수단 (10) 에 설치된 핀 (26) 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며, 그 선단부는 가이드 구멍 (44) 을 통하여 통 형상 외장체 (16) 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간 거리 조절 수단 (18) 은, 이들 가이드 구멍 (44) 및 핀 (26) 에 의해 구성된다. 핀 (26) 의 선단부에는, 핀 (26) 의 수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 (도시 생략) 가 형성된 고정용 손잡이 (48 ; 위치 결정 고정 수단을 구성함) 가 자유롭게 진퇴할 수 있도록 나사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핀 (26) 을 가이드 구멍 (44) 을 따라 도 2 중 화살표 50 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부착 수단 (10) 이 제 2 부착 수단 (14) 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또한 핀 (26) 을 가이드 구멍 (44) 을 따라 도 2 중 화살표 52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1 부착 수단 (10) 이 제 2 부착 수단 (14) 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제 1 부착 수단 (10) 은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전력 케이블 (24) 이 제 1 부착 수단 (10) 의 이동에 의해 꼬이는 일이 없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조절한 후에, 고정용 손잡이 (48) 를 고정 방향으로 회전 진행시키면, 고정용 손잡이 (48) 가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외주면에 맞닿고, 이로써 통 형상 외장체 (16) 가 고정용 손잡이 (48) 와 제 1 부착 수단 (10) 사이에 협지되고 핀 (26) 이 그 위치에서 고정된다. 한편 고정용 손잡이 (48) 를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 퇴행 시키면, 고정용 손잡이 (48) 는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외주면에서 이격되고, 이로써 핀 (26) 의 고정이 해제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구성한 자외선 조사 장치 (2) 에 의한 자외선의 조사 방법 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임의로 설정하고, 그 상태로 고정용 손잡이 (48) 에 의해 핀 (26) 을 고정시킨다. 다음에, 통 형상 외장체 (16) 를, 예를 들어 클램프 유지용 지그 (도시 생략) 등을 이용하여 클램프 유지시키고, 헤드부 (4) 의 선단부로부터 조사 대상물 (62 ; 자외선 경화형 수지) 까지의 조사 거리를 D1 (예를 들어 15㎜ 정도) 로 설정한다. 그리고 전원 제어부 (6) 의 전원 스위치 (58) 를 온한다. 그렇게 하면, 발광 다이오드 (8) 가 점등하고,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의 입체각 형상으로 펼쳐진 자외선은 제 1 렌즈부 (28) 의 평면측에 입사되며, 이 제 1 렌즈부 (28) 에 의해 집광 렌즈의 광축 (C) 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된다. 제 1 렌즈부 (28) 의 볼록면측으로부터 출사된 자외선은 제 2 렌즈부 (30) 의 볼록면측에 입사되고, 이 제 2 렌즈부 (30) 에 의해 광축 (C) 에 더욱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굴곡되어 제 2 렌즈부 (30) 의 평면측으로부터 출사되며,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에 의해 설정되는 광축 (C) 상에 위치하는 촛점 위치 (F) 에 집광된다.
이 촛점 위치 (F) 가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 D1 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고정용 손잡이 (48) 에 의해 핀 (26) 의 고정을 해제하고, 가이드 구멍 (44) 을 따라 도 2 중 화살표 50 또는 화살표 52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L1 로 조절하고, 그 후 고정용 손잡이 (48) 에 의해 핀 (26) 을 고정시킴으로써, 촛점 위치 (F) 를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 D1 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절한다. 이로써,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 D1 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촛점이 맞게 되고, 헤드부 (4) 로부터의 자외선은 조사 대상물 (62) 에 집광 조사되며, 최적인 조사 상태로 조사된다.
예를 들어, 조사 거리를 D1 로부터 D2 (예를 들어 12㎜ 정도) 로 설정 변경하는 경우에는, 핀 (26) 을 가이드 구멍 (44) 을 따라 도 2 중 화살표 50 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L1 로부터 L2 로 커지는 방향으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이간 거리를 조절하면, 도 2 중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촛점 위치 (F) 가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 D2 에 대응하는 위치로 조절되고, 이 위치에 있어서 촛점이 맞게 된다.
또 예를 들어, 조사 거리를 D1 로부터 D3 (예를 들어 18㎜ 정도) 로 설정 변경하는 경우에는, 핀 (26) 을 가이드 구멍 (44) 을 따라 도 2 중 화살표 52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L1 로부터 L3 로 작아지는 방향으로 조절한다. 이와 같이 이간 거리를 조절하면, 도 2 중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촛점 위치 (F) 가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 D3 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절되고, 이 위치에 있어서 촛점이 맞게 된다.
이상과 같이, 이 제 1 실시형태의 헤드부 (4) 에서는,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조사 거리에 따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촛점을 맞추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술한 촛점의 조절은,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서의 조사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하면서 행하도록 해도 되고, 혹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즉,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외주면에서의 가이드 구멍 (44) 근방에 예를 들어 「18㎜」, 「15㎜」 및 「12㎜」 등의 조사 거리를 나타내는 눈금 (도시 생략) 을 마련해 두고, 조사 거리를 예를 들어 15㎜ 로 설정하는 경우, 핀 (26) 을 「15㎜」라고 표시된 눈금의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되며, 이 경우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는 L1 로 조절되고, 광축 (C) 상의 조사 거리 (D1) 에 대응하는 위치에 촛점 위치 (F) 가 조절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촛점의 조절을 용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통 형상 외장체 (16) 를 클램프 유지용 지그에 의해 클램프 유지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작업자들이 통 형상 외장체 (16) 를 손으로 잡고 유지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촛점 위치 (F) 에 조사 대상물 (62) 을 위치시키도록 하였지만, 조사 대상물 (62) 을 촛점 위치 (F) 보다 약간 어긋난 위치에 위치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로써 조사 대상물 (62) 에 발광 다이오드 (8) 의 이미지가 비치는 것이 방지된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에, 도 3 및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 에 대해 설명한다. 도 3 은 그 헤드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4 는 도 3 의 이간 거리 조절 수단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와 실질상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실시형태의 헤드부 (4A) 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통 형상 외장체는 설치되지 않고, 제 1 부착 수단 (10A) 은 통 형상체로 구성되며, 그 축 방향 중간부의 내부에는 부착벽 (20A) 이 설치되어 있고, 이 부착벽 (20A) 의 편면의 중앙부에는 발광 다이오드 (8) 가 실장된 배선 기판 (22) 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일단부 둘레측에는 가이드 구멍 (64) 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이드 구멍 (64) 은 제 1 부착 수단 (10A) 의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도 4 참조).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일단부측에서의 내부에는, 제 2 부착 수단 (14A) 이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또한 둘레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발광 다이오드 (8) 는 제 1 렌즈부 (28) 에 대향된다. 제 2 부착 수단 (14A) 의 외측부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핀 (26A) 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핀 (26A) 은 제 1 부착 수단 (10A) 의 가이드 구멍 (64) 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며, 그 선단부는 이 가이드 구멍 (64) 을 통하여 제 1 부착 수단 (10A) 의 바깥쪽에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핀 (26A) 을 가이드 구멍 (64) 을 따라 도 4 중 화살표 66 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부착 수단 (14A) 은, 도 3 중 화살표 68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3 중 화살표 70 으로 나타내는 방향 (즉, 발광 다이오드 (8) 에 근접하는 방향) 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또, 핀 (26A) 을 가이드 구멍 (64) 을 따라 도 4 중 화살표 72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제 2 부착 수단 (14A) 은, 도 3 중 화살표 74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도 3 중 화살표 76 으로 나타내는 방향 (즉, 발광 다이오드 (8) 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달성된다.
이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착 수단 (14A) 은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축 방향으로 이동되므로, 제 1 부착 수단 (10A) 을 보다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핀 (26A) 을 제 1 부착 수단 (10A) 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킨 경우에는, 핀 (26A) 의 이동거리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핀 (26) 을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이동시킨 경우의 이동거리보다 길어지고,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촛점을 보다 정밀도 좋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고정용 손잡이 (48) 에 의한 핀 (26A) 의 고정·해제 기능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또한 제 2 부착 수단 (14A) 의 외주면에 제 1 헬리코이드 나사부 (도시 생략) 를 형성함과 함께,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일단부측에서의 내주면에 제 1 헬리코이드 나사부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헬리코이드 나사부 (도시 생략)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헬리코이드 나사부가 서로 나사 결합되면서, 제 2 부착 수단 (14A) 이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 1 부착 수단 (10A) 의 축 방향에 의해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된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에, 도 5 및 도 6 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헤드부 에 대해 설명한다. 도 5 는 그 헤드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며, 도 6 은 도 5 의 조절 링체 및 그 주변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제 3 실시형태의 헤드부 (4B) 에서는, 제 2 부착 수단 (14B) 은 통 형상체로 구성되며, 그 일단부측의 내부에는 집광 렌즈 (12) 가 부착되어 있다. 제 2 부착 수단 (14B) 의 타단부에는 저판부재 (98) 가 부착되며, 제 2 부착 수단 (14B) 의 타단부측에서의 내부에는, 제 1 부착 수단 (10B) 이 제 2 부착 수단 (14B) 의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제 1 부착 수단 (10B) 의 외측부에는, 직경 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핀 (26B) 이 설치되며, 또한 제 2 부착 수단 (14B) 에는 제 2 부착 수단 (14B) 의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구멍 (78) 이 형성되어 있으며, 핀 (26B) 은 제 1 가이드 구멍 (78) 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또 헤드부 (4B) 는 조절 링체 (80) 를 추가로 갖고 있으며, 이 조절 링체 (80) 는 제 2 부착 수단 (14B) 의 외주부에 설치된 링 형상의 장착용 오목부 (81) 에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다. 조절 링체 (80) 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구멍 (82) 이 형성되어 있고 (도 6 참조), 핀 (26B) 은 제 1 가이드 구멍 (78) 을 통하여 제 2 가이드 구멍 (82) 에 삽입되고, 그 선단부는 제 1 가이드 구멍 (78) 및 제 2 가이드 구멍 (82) 을 통하여 제 2 부착 수단 (14B) 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조절 링체 (80) 를 도 6 중 화살표 84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26B) 은 제 2 가이드 구멍 (82) 내에서 안내됨으로써, 제 1 가이드 구멍 (78) 을 따라 도 6 중 화살표 86 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핀 (26B) 이 이동되면, 제 1 부착 수단 (10B) 이 제 2 부착 수단 (14B) 에 대해 도 5 중 화살표 88 로 나타내는 방향 (즉, 집광 렌즈 (12) 에 근접하는 방향) 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가 작아지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또, 조절 링체 (80) 를 도 6 중 화살표 90 으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핀 (26B) 은 제 2 가이드 구멍 (82) 내에서 안내됨으로써, 제 1 가이드 구멍 (78) 을 따라 도 6 중 화살표 92 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핀 (26B) 이 이동되면, 제 1 부착 수단 (10B) 이 제 2 부착 수단 (14B) 에 대해 도 5 중 화살표 94 로 나타내는 방향 (즉, 집광 렌즈 (12) 로부터 이격되는 방향) 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 (8) 와 집광 렌즈 (12) 의 이간 거리가 커지는 방향으로 조절된다. 이상과 같이, 조절 링체 (80) 의 회전 조작에 의해 핀 (26B) 이 이동되므로, 제 1 부착 수단 (10B) 을 광축 (C) 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의 헤드부 (4B) 에서는, 조사 거리를 설정한 후에 이 설정한 조사 거리에 대응한 촛점의 조절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부착 수단 (10B) 은 제 2 부착 수단 (14B) 의 축 방향으로 직선상으로 이동되므로, 전력 케이블 (24) 을 꼬지 않고 제 2 부착 수단 (14B) 을 순조롭게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의 자외선 조사 장치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 명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각종의 변형 내지 수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부착 수단 (14B) 의 외주부에 조절 링체 (80) 가 부착되도록 구성했지만, 이 조절 링체 (80) 를 생략해도 된다. 혹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통 형상 외장체 (16) 의 외주부에 조절 링체 (80) 가 부착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예를 들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착 수단 (10) 을 통 형상 외장체 (16) 의 내부에 있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했지만, 제 2 부착 수단 (14) 을 통 형상 외장체 (16) 의 내부에 있어서 이동시키도록 구성해도 되고, 이러한 경우에는, 핀 (26) 은 제 2 부착 수단 (14) 의 외측부에 부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외선 조사 장치에 의하면, 조사 거리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어서 용이하게 촛점을 맞출 수 있다. 따라서 임의의 조사 거리에 대응하는 위치에 조사 대상물을 위치시킨 경우에도, 최적인 조사 상태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의 자외선을 조사 대상물에 집광 조사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핀을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부착 수단 또는 제 2 부착 수단을 통 형상 외장체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조절 링체를 회전시키면, 핀은 제 2 가이드 구멍 내에서 안내되면서 제 1 가이드 구멍을 따라 이동되며, 조절 링체의 회전을 이용하여 핀을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발광 다이오드와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촛점을 보다 고정밀도로 조절할 수 있다.

Claims (9)

  1.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상기 집광 렌즈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과, 상기 제 1 부착 수단 및 상기 제 2 부착 수단을 유지하는 통 형상 외장체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 또는 상기 제 2 부착 수단을 상기 통 형상 외장체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 또는 상기 제 2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상기 통 형상 외장체에 그 축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통 형상 외장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3.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상기 집광 렌즈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2 부착 수단은 통 형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1 부착 수단은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내부에 그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을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상기 제 2 부착 수단에 그 축 방향으로 형성된 제 1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착 수단의 외주부에는 조절 링체가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부착되고, 상기 조절 링체에는 그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제 2 가이드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핀은, 상기 제 1 가이드 구멍 및 상기 제 2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조절 링체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6. 자외선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 제어하는 전원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헤드부로부터의 자외선을 자외선 경화형 수지에 조사하여 그 수지를 경화시키는 자외선 조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가 부착되는 제 1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집광하기 위한 집광 렌즈와, 상기 집광 렌즈가 부착되는 제 2 부착 수단과,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상기 집광 렌즈의 이간 거리를 조절하기 위한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 1 부착 수단은 통 형상체로 구성되며, 상기 제 2 부착 수단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내부에 그 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부착 수단을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내부에 있어서 그 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간 거리 조절 수단은, 상기 제 2 부착 수단에 설치된 핀과, 상기 제 1 부착 수단에 형성된 제 1 가이드 구멍으로 구성되고, 상기 핀은, 상기 가이드 구멍을 통하여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구멍은, 상기 제 1 부착 수단의 둘레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9.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제 7 항 또는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핀에는, 상기 핀을 상기 가이드 구멍에 있어서 위치 결정 고정시키기 위한 위치 결정 고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조사 장치.
KR1020070020223A 2006-06-13 2007-02-28 자외선 조사 장치 KR100801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63523 2006-06-13
JP2006163523A JP4193947B2 (ja) 2006-06-13 2006-06-13 紫外線照射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8944A KR20070118944A (ko) 2007-12-18
KR100801049B1 true KR100801049B1 (ko) 2008-02-04

Family

ID=389334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20223A KR100801049B1 (ko) 2006-06-13 2007-02-28 자외선 조사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193947B2 (ko)
KR (1) KR100801049B1 (ko)
CN (1) CN100555471C (ko)
TW (1) TW20080054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19Y1 (ko) 2010-09-16 2012-09-13 한솔테크닉스(주) 엘이디 조명 기구
KR101183212B1 (ko) * 2010-05-06 2012-09-14 주식회사 엠비젼 네일아트용 자외선 경화기의 광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03B1 (ko) * 2010-09-02 2012-06-13 (주) 금호에스코 가변 포커싱 반도체 광원 램프
WO2012112376A1 (en) 2011-02-14 2012-08-23 Tosoh Smd, Inc. Diffusion-bonded sputtering target assembl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N103869609B (zh) * 2014-03-18 2018-04-06 青岛理工大学 滚对平面光刻压印中紫外灯光源结构
US9960023B2 (en) 2014-12-31 2018-05-01 Applied Material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nodule control in a titanium-tungsten target
JP6500804B2 (ja) * 2016-02-24 2019-04-17 三菱電機株式会社 照明装置
CN109143726A (zh) * 2018-09-28 2019-01-04 深圳市科诺恩科技有限公司 一种可变焦的补光仪
KR102326899B1 (ko) * 2021-01-05 2021-11-17 주식회사 바이더엠 스탠드 조명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932A (ko) * 2003-06-04 2004-12-13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50063741A (ko) * 2003-12-22 2005-06-28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자외선 조사 장치, 자외선 조사 조건의 설정 방법 및자외선 조사 방법
KR20050063740A (ko) * 2003-12-22 2005-06-28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60049399A (ko) * 2004-06-18 2006-05-1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표시셀 기판의 기판면 밀봉 방법 및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70009389A (ko) * 2005-07-14 2007-01-18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조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4932A (ko) * 2003-06-04 2004-12-13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50063741A (ko) * 2003-12-22 2005-06-28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자외선 조사 장치, 자외선 조사 조건의 설정 방법 및자외선 조사 방법
KR20050063740A (ko) * 2003-12-22 2005-06-28 가부시키가이샤 키엔스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60049399A (ko) * 2004-06-18 2006-05-18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액정 표시셀 기판의 기판면 밀봉 방법 및 자외선 조사 장치
KR20070009389A (ko) * 2005-07-14 2007-01-18 우시오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자외선 조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3212B1 (ko) * 2010-05-06 2012-09-14 주식회사 엠비젼 네일아트용 자외선 경화기의 광학 장치
KR200462519Y1 (ko) 2010-09-16 2012-09-13 한솔테크닉스(주) 엘이디 조명 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49609B (ko) 2011-10-01
JP4193947B2 (ja) 2008-12-10
JP2007333869A (ja) 2007-12-27
CN100555471C (zh) 2009-10-28
TW200800546A (en) 2008-01-01
CN101090009A (zh) 2007-12-19
KR20070118944A (ko) 2007-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1049B1 (ko) 자외선 조사 장치
CN109690887B (zh) 光输出模块和lidar
KR101405868B1 (ko) 레이저 장치의 제조 방법
US7040030B2 (en) Laser centering device
KR102512573B1 (ko) 렌즈 구동 장치, 발광 모듈, 라이다
JP4869645B2 (ja) 内視鏡
JP2006350048A (ja) 導波路素子の光結合モジュール調芯固定冶具
JP2010243924A (ja) 顕微鏡
KR20130018515A (ko) 광섬유 조사 장치
JP2008107130A (ja) レーザー墨出し器用レーザーヘッド
JP5538467B2 (ja) レンズユニット、光照射ユニット及び光照射装置
JP4820651B2 (ja) Ledの取付構造及び取付方法
JP2018128457A (ja) 一体型照明システムを有する結合部試験装置及び結合部試験カートリッジ
JP3129506U (ja) レーザー装置
JP5497531B2 (ja) 光学装置の製造方法及び光学装置
JP2007229682A (ja) 紫外線照射装置
JP6832006B2 (ja) 照射ガイド付き手動式レーザー溶着装置
JP2003324633A (ja) 撮像ユニット組立装置
JP2005150202A (ja) 発光ダイオードの集光装置および紫外線照射装置
US7052162B2 (en) Illuminating unit
US20240116137A1 (en) Laser processing apparatus
JP2008058295A (ja) レーザラインジェネレータ、レーザモジュール及びレーザ墨出し装置
JPH01250907A (ja) ライトガイドファイバユニット及びそれを利用した光照射装置
JP2011243846A (ja) レーザ光源装置及びレーザ光源固定部材の取付け方法
JPH05337128A (ja) レーザ治療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