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9805B1 - 열교환형 환기 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형 환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9805B1
KR100799805B1 KR1020067016539A KR20067016539A KR100799805B1 KR 100799805 B1 KR100799805 B1 KR 100799805B1 KR 1020067016539 A KR1020067016539 A KR 1020067016539A KR 20067016539 A KR20067016539 A KR 20067016539A KR 100799805 B1 KR100799805 B1 KR 100799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exhaust
air
heat exchange
rotation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10367A (ko
Inventor
긴지 이사카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0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0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36Ducting arrangements with ducts including air distributors, e.g. air collecting boxes with at least three open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2007/001Ventilation with exhausting air ducts
    • F24F2007/002Junction box, e.g. for ducts from kitchen, toilet or bathroo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24F2110/12Temperature of the outside ai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56Heat recovery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열교환기의 빙결에 의한 막힘의 방지, 또는 콜드 드래프트감을 경감할 수 있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가 제공된다. 이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용 접속부 및 급기용 접속부를 구비하고 배기구와 급기구를 갖은 본체와, 배기용 팬 및 급기용 팬을 구동시키는 전동기와, 실내 공기와 외기 사이에서 열교환하는 열교환기와, 급기 경로에 있어서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댐퍼를 구비하며, 외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차단 댐퍼가 작동하여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동시에 배기 풍량을 감소시킨다.

Description

열교환형 환기 장치{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본 발명은 배열(排熱) 회수용의 열교환기가 탑재되어서 저온의 외기를 취입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동계 등에서 예를 들어 외기 온도가 영하 10℃ 이하로 냉각된 옥외의 공기를 열교환기에서 열교환하면, 마주 대하는, 즉 격리된 풍로를 통과하는 사이에 열회수되는 배기의 공기에 포함되는 수분이 열교환기의 배기 통풍중에 동결하여 막힘을 일으킨다. 그 막힘에 의해 배기 풍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또한, 배기 풍량이 감소함으로써, 급기되는 실외 공기에 충분한 열에너지를 공급할 수 없어, 급기되는 실외 공기가 충분히 실내 온도 근방까지 높아지지 않게 된다. 그 때문에, 토출되는 급기를 거주자가 차게 느끼는 것을 방지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방식은,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 공개 제 1990-103640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하, 종래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자형의 외곽(101)은 전면에 실내(102)와 연통 하는 실내측 흡입구(103) 및 실내측 토출구(104)와, 배면에 실외(105)와 연통하는 실외측 흡입구(106) 및 실외측 토출구(107)를 갖고 있다. 또한, 상자형의 외곽(101)의 내부에는, 실내측 흡입구(103)와 실외측 토출구(107)를 연결하는 배기용 블레이드(108)를 양 샤프트의 한쪽에 고착한 전동기(109)를 설치한 배기 통풍로(A→A')와, 실외측 흡입구(106)와 실내측 토출구(104)를 연결하는 전동기(109)의 다른쪽의 샤프트에 고착한 급기용 블레이드(110)를 배치한 급기 통풍로(B→B')가 형성되어 있다. 배기 통풍로(A→A')와 급기 통풍로(B→B')는 칸막이판(111)에 의해 일부는 교차하고, 다른 부분은 서로 구획되어 있다. 그 교차하는 부분에 열교환기(112)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0℃ 부근에 동작점을 갖고 있는 댐퍼(113)에는 축(114)과 힌지(hinge)(115)가 설치되어 있고, 축(114)과 힌지(115)를 중심으로 회동 굴절 신전(伸展)하여, 열교환기(112)의 급기 통풍로를 개방 또는 일부 폐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발명의 요약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실외와 덕트를 거쳐서 연통하여 배기류 및 급기류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측면에 접속되는 배기용 접속부 및 급기용 접속부를 구비하고, 하면 개방구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구와 실외의 신선한 외기를 실내에 취입하기 위한 급기구를 갖는 상자형의 본체를 구비하며, 본체는 그 내부에, 배기용 팬 및 급기용 팬을 구동시키는 전동기와, 배기구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로부터 취입된 신선한 외기 사이에서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와, 급기용 접속부로부터 급기구에 이르는 급기 경로에 있어서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댐퍼와, 취입된 외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을 구비하며, 급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차단 댐퍼가 작동하여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동시에, 배기용 팬에 의한 배기 풍량이 감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주택 설치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차단 댐퍼 동작시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개폐 밸브 개방시의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 8은 종래의 동일한 열교환형 환기 장치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면의 참조부호)
1 : 실외 2 : 배기 덕트 3 : 급기 덕트
4 : 배기용 접속부 5 : 급기용 접속부 6 : 본체
7 : 하면 개방구 8 : 실내 9 : 오염된 공기
10 : 배기구 11 : 급기구 12 : 배기용 팬
13 : 급기용 팬 14 : 전동기 15 : 배기
16 : 배기 경로 17 : 급기 18 : 급기 경로
19 : 열교환기 20 : 차단 댐퍼
21, 21A, 21B : 급기 온도 검지 수단 22 : 타이머
24 : 개폐 밸브 25 : 가열 수단 26 : 회전수 검지 수단
27, 27A, 27B : 회전수 제어 수단 29 : 정압 검지 수단
30 : 풍량 검지 수단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에서는, 댐퍼의 회동 굴절 신전 운동에 의해, 열교환기의 급기 통풍로를 일부밖에 폐쇄할 수 없다. 그 때문에, 극히 저온의 외기를 급기한 상황에 있어서는, 그 일부의 폐쇄된 개소를 피하여, 열교환기에 급기가 유입되기 때문에 열교환기의 빙결에 의한 막힘을 완전히 방지할 수 없다. 또한, 배기로부터 열교환기에 의해 배열 회수가 충분히 실행되지 않기 때문에, 열 공급된 급기에 있어서도 영하의 급기가 실내로 유입되는 일도 있다. 그 때문에, 거주자에게 냉풍감을 주는 것을 완전히 제거할 수 없다는 과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과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열교환기의 빙결에 의한 막힘의 방지, 또는 콜드 드래프트(cold draft)감을 경감할 수 있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기의 빙결에 의한 막힘을 방지하고, 거주자에게 냉풍감을 주는 일이 없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극히 저온의 실외의 공기를 취입했을 때에도, 열교환기가 빙결되는 일이 없이 사용 가능하여, 온도가 낮은 급기를 실내에 제공하는 일이 없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실외(1)와 배기 덕트(2) 및 급기 덕트(3)를 통해 연통하여 배기류 및 급기류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측면에 접속되는 배기용 접속부(4) 및 급기용 접속부(5)를 구비하고 있다. 그렇게 해서, 이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하면 개방구(7)에 실내(8)의 오염된 공기(9)를 흡입하는 배기구(10)와 실외(1)의 신선한 외기를 실내(8)에 취입하기 위한 급기구(11)를 갖는 상자형의 본체(6)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6)의 내부에는, 배기용 팬(12) 및 급기용 팬(13)의 쌍방을 구동시키는 전동기(14)와, 배기구(10)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1)로부터 취입된 신선한 외기 사이에서 배열을 회수하도록 설치된 열교환기(19)와, 급기용 접속부(5)로부터 급기구(11)에 이르는 급기 경로(18)에 있어서 급기(17)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댐퍼(20)와, 취입된 외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이 구비되어 있다.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차단 댐퍼(20)가 작동하여 급기(17)의 흐름을 차단한다. 그와 함께,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배기용 팬(12)에 의한 배기 풍량이 감소된다.
상세한 구성을 이하에 도시한다. 이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실외(1)와 연통시키는 배기 덕트(2)와 급기 덕트(3)에 접속되는 배기용 접속부(4)와 급기용 접속부(5)를 측면에 갖는 상자형의 본체(6)와, 그 본체(6)의 하면 개방구(7)에 실내(8)와 연통하고, 실내(8)의 오염된 공기(9)를 배출하는 배기구(10)와, 실외(1)의 신선한 외기를 취입하여 실내(8)로 토출하는 급기구(11)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6)는 내부에 배기용 팬(12)과 급기용 팬(13)을 연결하여 회전 구동시켜서 풍량을 다량 또는 소량의 설정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전동기(14)를 내포하고 있다. 배기구(10)로부터 흡입된 오염된 공기(9)는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에 있어서 배기(15)에 포함되는 열에너지를 그대로 폐기하지 않고, 급기(17)측에 열 공급하여 회수시키는 열교환기(19)를 구비하고 있다. 이 배기 경로(16)는 배기용 팬(12)에 흡인되어, 배기용 접속부(4) 및 배기 덕트(2)를 통과하여 실외(1)로 배출되는 배기(15)의 흐름이 형성되는 경로이다. 또한, 이 급기 경로(18)는 급기 덕트(3)로부터 급기용 접속부(5)를 거쳐서 급기용 팬(13)에 의해 송풍되어서 급기구(11)로부터 토출되는 급기(17)의 경로이다. 급기 경로(18)의 급기용 접속부(5)의 내부 근방에는, 급기(17)가 열교환기(19)에 유입되기 전에 가열시킬 수 있는 가열 수단(25)이 구비되어 있다. 그 급기(17)의 흐름의 하류에 급기(17)의 흐름을 차단하고, 바람직하게는 판형상의 밸브를 개폐하는 차단 댐퍼(20)가 열교환기(19)의 송풍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급기 경로(18)내에 급기(17)의 온도를 측정하여 검지하는, 바람직하게는 바이메탈(bimetal)이나 서미스터(thermistor) 등의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이 배치되어 있다. 소정의 온도값에 대하여, 유입되는 급기 온도가 하회한 경우에,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이 신호를 발신하여 차단 댐퍼(20)를 개폐시킨다. 차단 댐퍼(20)가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으로부터 발신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폐쇄하는 시간을, 거주자 또는 설비 공사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22)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본체(6)의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를 구분하고 있는 벽부(23)에는 개방 구멍이 있다. 이 개방 구멍은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를 연통 가능하게 되어 있고, 그 개방 구멍을 피복하는 개폐 밸브(24)도 구비되어 있다.
또한, 배기용 팬(12)의 근방에는, 가변 정상 주기의 펄스파를 발신하는 발신부와 그 펄스파를 수신하는 수신부(31)를 함께 갖는 회전수 검지 수단(26)이 구비되어 있다. 이 회전수 검지 수단(26)으로부터의 신호와 소정의 설정값을 비교하여 배기용 팬(12)의 회전수의 증감을 변경하기 위해서, 전동기(14)의 입력 주파수를 변경하여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27)이 구비되어 있다.
급기 경로(18)를 거쳐서 실내(8)로 송풍되는 영하 10℃ 이하의 극히 저온의 급기에 의해, 배기(15)내의 수증기는 그 급기(17)와의 열교환에 의해 급격하게 냉각되고, 열교환기(19)를 통과한 후에 빙결되어서 열교환기(19)의 배기 출구 부분에서 고착한다. 계속해서 냉각함으로써, 빙결은 비대화하여, 열교환기의 통풍로에 막힘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계속되면 최종적으로는 배기 경로(16)가 완전히 빙결에 의해 폐쇄되어 배기(15)가 정류(停留)하는 것이 된다. 그러나,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이 사전에 급기 온도를 검지하고, 예를 들어 소정의 온도 설정값이 영하 3℃로 한 경우에서는 유입되는 급기 온도가 영하 3℃를 하회한 경우, 바이메탈 등은 접점부가 접촉하여 접점에 전류가 흐른다. 그것을 신호로 하여 차단 댐퍼(20)에 전류가 흘러서 차단 댐퍼(20)가 구동하여 완전 폐쇄하여서 급기(17)의 흐름을 완전히 정지시킨다. 이렇게 하여, 열교환기(19)의 빙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댐퍼(20)가 구동하여 급기(17)가 차단되었을 때에, 급기(17) 차단시의 급기 경로(18)내에 있는 급기용 팬(13)은 무부하 상태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회전수가 상승해 간다. 그 급기용 팬(13)을 구동하고 있는 전동기(14)의 샤프트(28)를 통해 다른쪽의 배기용 팬(12)의 회전수도 마찬가지로 상승해 간다. 그러나, 차단 댐퍼(20)가 폐쇄된 신호가 전동기(14)에 송신되어서 전동기(14)에 의한 회전축의 회전수가 강제적으로 감소된다. 그 때문에 회전수 상승을 억제하여 배기 풍량의 급격한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과도한 흡입에 의해 거실 공간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해 오는 살바람의 증대를 방지하거나, 거실이 막대한 부압하에 있기 때문에 문이 개방되지 않는 등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그 후,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에서 검지하는 온도가 설정값을 초과했을 때에 차단 댐퍼(20)는 개방 상태로 복귀하여 통상의 운전이 된다.
또한, 실외(1)로부터 영하 10℃에서 진입해 온 급기(17)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에 의해 설정 온도보다 낮다고 검지되었을 때에, 폐쇄의 신호가 발생하여 차단 댐퍼(20)가 폐쇄된다. 그러나, 일단 차단 댐퍼(20)에 의해 폐쇄된 급기 경로(18)는 저온의 급기(17)와 실내 공기의 영향을 받는 부분으로 구별되고, 서서히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의 분위기 온도를 상승시켜 가고, 결과적으로는 설정 온도 이상으로 온도가 상승한다. 이러한 온도 검지에 의해 폐쇄 해제의 신호가 차단 댐퍼(20)에 발신된다. 그런데,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이 전동기(14) 등의 근방에 있어서 급격하게 따뜻해진 경우에는, 차단 댐퍼(20)가 폐쇄되어 몇분 후 또는 몇초 후에 다시 차단 댐퍼(20)가 개방되어 버리고, 연속적인 덜걱거림 감이 있는 불쾌음을 발생시키는 일이 있다. 그러나, 타이머(22)에서 폐쇄 시간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차단 댐퍼(20)의 폐쇄 신호와 개방 신호가 발신되는 간격이 매우 짧을 경우에도, 폐쇄 시간의 간격을 임의로 설정하여 안정하고 불쾌음이 없는 차단 댐퍼(20)의 개폐를 실현할 수 있다. 그렇게 해서, 연속적인 개폐를 강력하게 방지할 수 있으므로, 피로에 의한 고장이나 변형 등 차단 댐퍼(20)의 운전 수명을 대폭 연장할 수 있다.
또한, 차단 댐퍼(20)가 폐쇄되었을 때, 개폐 밸브(24)를 개방하여, 벽부(23)에 있는 개방 구멍을 거쳐서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를 연통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기(15)의 일부를 급기로서, 다시 열교환기(19)를 통과시키므로, 지금까지 급기(17)에 의해 저온까지 냉각된 열교환기(19)의 소자를 예열하여, 다소 빙결된 수증기를 조기에 해동시킬 수 있다. 그와 함께, 급기 경로(18)에 배기(15)를 재유입시키므로,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의 압력차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압력차가 작아지므로 급기(17)가 폐쇄됨으로써 상승한 배기용 팬(12)의 회전수를 낮게 억제할 수 있어,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가열 수단(25)에 의해 급기(17)에 열 공급시켜서 영하 10℃ 등의 설정 온도 이상까지 예열을 실시하여, 급기(17)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열교환기(19)의 빙결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와 함께, 급기(17)에 예열을 실시하기 때문에,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에서 설정한 온도보다 흡입되는 옥외의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므로, 차단 댐퍼(20)를 작동시키는 일이 없이 연속 운전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주거자가 신선한 실외(1)의 공기의 유입량을 감소시키지 않고 충분히 얻을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19)에 의해 배기(15)의 열을 급기(17)에 공급된 것으로 하여도, 그 급기(17)의 온도가 차다고 느꼈을 때에는 가열 수단(25)에 의해 거주자가 요구하는 바람직한 온도까지 급기(17)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쾌적한 실내(8)의 공기 환경을 창조할 수 있다.
또한, 전동기(14)는 직류 모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구성되고, 쌍방으로부터 돌출한 샤프트에 배기용 팬(12)과 급기용 팬(13)이 접속 고정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널리 범용되고 있는 회전수 제어 기능을 직류 모터에 용이하게 접속 및 운전할 수 있고, 회전수의 제어를 예를 들어 입력되는 전류값의 검출 등에 의해 매우 정밀도가 높은 제어로 할 수 있어, 배기 풍량의 억제가 간단하게 실행된다. 그와 함께, 직류 모터는 소비 전력이 매우 작으므로 에너지 절약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급기 경로(18)를 통과하는 급기(17)가 차단 댐퍼(20)에 의해 폐쇄 차단되었을 때에는, 전동기(14)의 구동을 풍량 소량 영역으로 변경하고, 배기용 팬(12)의 회전수를 억제하여 실내 정압의 과잉 부압화를 방지한다. 그러나, 접속되는 배기 덕트(2) 및 급기 덕트(3)가 매우 짧아서 기기내 저항이 낮아 배기(15)가 용이하게 배출되기 쉬운 경우나 방이 좁은 장소 등에서는 설정 이상으로 배출되어 버린다.
그러나, 회전수 검지 수단(26)의 발신부로부터 발신된 가변 정상 주기, 예를 들어 50ms의 주기에서는 200 사이클의 주기에서 펄스파를 송신하지만, 그 정상적인 주기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는 신호를 수신부(31)가 판독하여서, 실제의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산출하여 회전수 제어 수단(27)에 신호를 송신한다. 그 신호와 소정값의 대소에 의해, 배기용 팬(12)을 구동시키는 전동기(14)로의 입력 주파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배관의 상태나 실내 공간의 넓이에 의해 회전수가 상승하여 배기 풍량이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고, 과도한 흡입에 의해 거실 공간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해 오는 살바람의 증대를 막거나, 거실이 막대한 부압하에 있으므로 문이 개방되지 않는 등의 장해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의 압력차를 판독하는 정압 검지 수단(29)이 배기 경로(16)내에 구비되어 있다.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의 압력차가 정압 검지 수단(29)에 설정된 압력차를 초과할 경우에는, 그 정압 검지 수단(29)의 신호에 의해 배기용 팬(12)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27A)이 구비되어 있다. 예를 들면, 차단 댐퍼(20)의 폐쇄시에는, 급기 경로(18)의 급기구(11)측은 0㎜ 수두이고, 배기 경로(16)의 배기구(10)측은 정압 7㎜ 수두이므로 압력차 7㎜ 수두가 된다. 이것을 전술한 설정값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를 덕트 길이가 긴 조건이나 넓은 방에 설치했을 때, 배기 경로(16)와 급기 경로(18)의 압력차는 설치 조건에 따라서 수치가 예를 들면 8㎜ 내지 9㎜ 수두로 변이한다. 그러나, 정압 검지 수단(29)이 압력차를 검지하고, 설정값의 압력차에 합치시키도록 회전수를 변경시키는 회전수 제어 수단(27A)에 신호를 송신하여 회전수를 변경시킬 수 있다. 그 결과, 과도한 배기를 억제하여 실내 과부압 상태를 방지하여 회전수 상승에 의한 소음을 억제시키거나, 반대로 필요 풍량이 감소했을 경우에 회전수를 상승시켜 풍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17)의 온도를 검지하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A)의 검지하는 설정 온도를 거주자 또는 설비 공사자가 임의로 설정하는 구성이다.
실내(8) 온도에 대하여 공급되는 급기(17)의 온도의 냉풍감을 감수성이 예민한 화장실(sanitary)이나 목욕탕 등의 환경이나 동계 등 실내외의 온도차가 매우 클 때에 있어서는, 검지 온도의 설정을, 예를 들어 영하 10℃로부터 0℃로 변경함으로써,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A)으로부터 차단 댐퍼(20)로의 신호 송신이 보다 조기에 발신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A)으로서 서미스터를 사용하고, 서미스터가 설치되는 분위기에 따라 변화되는 저항값을 신호로서 판독하여, 거주자가 희망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온도를 임계값으로서 차단 댐퍼(20)로의 신호를 송신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차단 댐퍼(20)가 통상보다도 조기에 폐쇄되어, 냉풍감을 억제하고자 하는 환경하 또는 기간에 맞추어 급기(17)를 차단하여, 거주자에 대한 불쾌감을 크게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중,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구성요소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3)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B)은 착탈 가능하고, 클램프에 의해 급기 경로(18)내의 임의의 개소에 설치, 고정할 수 있다.
본체(6)가 설치되는 장소의 근방에 실내의 공기 조화로서 냉난방기가 구비되어 있어서,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B) 주위의 분위기에 영향을 미치기 쉬운 경우나 배관 시공의 불완전에 의해 공기의 누설이 생기고 있는 경우 등은, 급기(17)의 온도가 불안정해지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서는, 설정된 온도를 검지할 수 없는 것을 수많이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안정한 실외(1)의 온도를 검지할 수 있는 장소에 나사 등으로 장착되어 있는 클램프를 재고정하고, 이 클램프에 급기 온도 검지 수단(21B)을 끼워 장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정확하고, 설치 개소에 좌우되는 일이 없는 차단 댐퍼(20)의 작동을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중,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구성요소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4)
본 실시형태에서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기 풍량을 검지하는 풍량 검지 수단(30)이 본체(6)에 구비되고, 이 풍량 검지 수단(30)의 신호에 의해 배기용 팬(12)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27B)도 구비되어 있다. 이 풍량 검지 수단(30)은, 통상은 통풍 저항이 적은 망상의 풍속 검지 장치에 의해 구성되고, 우선 풍속을 검출하여, 유효 검지 면적을 곱해서 풍량을 산출한다.
차단 댐퍼(20)가 작동하여 급기(17)가 정지하고 있는 사이, 배기가 거주자의 요망 이상으로 배출되어, 살바람의 발생이나 실내의 문이 개방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예를 들어 풍량 검지 수단(30)을 배기구(10)의 근방에 배치함으로써, 필요 이상의 배기를 하지 않도록 회전수 제어 수단(27B)을 이용하여 회전수를 변경시켜서, 요망되는 풍량으로 안정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중, 실시형태 1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동일한 부호의 것은 동일 구성요소이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의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의해 급기의 온도를 검지하고, 차단 댐퍼를 작동시켜 급기의 흐름을 차단함으로써, 열교환기에 냉풍이 도달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열교환기의 배기 경로측의 빙결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저온의 급기의 흐름을 방지하므로, 거주자에게 냉풍감을 주는 일이 없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진입해 오는 저온의 급기의 온도에 반응하여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댐퍼의 작동 온도를 해당 장치의 설치 장소나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거주자의 요망에 의해 간단하게 변경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차단 댐퍼에 의해 차단된 급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간격을 변경시켜서, 열교환기의 빙결을 방지하고, 또한 차단 댐퍼의 개폐 시간의 간격을 유지함으로써, 급격하고 단시간에 의한 차단 댐퍼의 개폐 운동[소위 채터링(chattering)]을 방지하여, 소음 방지와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팬에 의해 실외로 배기되어야 할 실내 공기를 급기 경로측에 개폐 밸브를 거쳐서 연통시켜서, 급기 경로를 통과시키므로, 열교환기의 급기측에 배열 공급을 실시하여 열교환기의 온도를 실온에 가깝게 하여, 열교환기의 빙결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열교환기를 통과하는 급기를 빙결에 이르지 않는 온도까지 과열하여, 열교환기의 빙결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온도 검지에 영향을 받기 쉬운 경우나, 배기 덕트의 보다 실외측에 설치하여 급기 온도를 엄밀하게 측정하는 등의 요망에 의해, 설치 조건에 의지하는 일이 없는 온도 검지 환경을 만들어내서, 급기 온도 검지 수단에 이르기까지의 온도 검지의 정밀도를 크게 향상시킨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차단 댐퍼에 의해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여서 배기 풍량이 급격하게 증대한 경우에도, 직류 모터에 입력되는 전류량을 검지함으로써, 회전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어서, 용이하게 회전수를 감소시켜, 필요 이상의 배기 풍량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차단 댐퍼에 의해 급기의 흐름을 차단한 환경에서, 배기와 급기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배기 팬의 회전수를 감소시켜서 배기 풍량을 저하시킴으로써, 불쾌한 실내의 살바람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차단 댐퍼에 의해 급기의 흐름을 차단한 환경에서, 본체내의 배기와 급기의 차압을 판독하여, 배기 경로의 정압과 급기 경로의 정압이 필요 이상으로 고양되지 않도록 제어하여서,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배기 풍량을 저하시킴으로써, 불쾌한 실내의 살바람의 증대를 방지할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배기 경로의 풍량을 검지하고, 차단 댐퍼에 의해 급기의 흐름을 차단한 환경에서, 배기 풍량이 증대하여 불쾌한 실내의 살바람의 증대하지 않도록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배기 풍량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작용을 갖는다.
본 발명의 열교환형 환기 장치는, 열교환기의 빙결을 방지하고, 극히 저온의 외기를 취입할 때의 거주자에게의 냉풍감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의 용도로서 유용하다.

Claims (10)

  1. 실외와 덕트를 거쳐서 연통하여 배기류 및 급기류의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측면에 접속되는 배기용 접속부 및 급기용 접속부를 구비하고, 하면 개방구에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배기구와 실외의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취입하기 위한 급기구를 갖는 상자형의 본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는 그 내부에,
    배기용 팬 및 급기용 팬을 구동시키는 전동기와,
    상기 배기구로부터 흡입되는 실내 공기와 실외로부터 취입된 신선한 외기 사이에서 배열을 회수하는 열교환기와,
    상기 급기용 접속부로부터 상기 급기구에 이르는 급기 경로에 있어서의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차단 댐퍼와,
    취입된 상기 외기의 온도를 검지하는 급기 온도 검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급기 온도 검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차단 댐퍼가 작동하여 급기의 흐름을 차단하는 동시에, 상기 배기용 팬에 의한 배기 풍량이 감소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온도 검지 수단의 검지 온도를 임의로 설정 또는 변경할 수 있는 검지 온도 설정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댐퍼의 폐쇄 시간을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타이머를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접속부로부터 배기구에 이르는 배기 경로의 일부와 급기 경로의 일부를 연통 가능하게 하는 개폐 밸브를 상기 본체내에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용 접속부로부터 흡입된 급기에,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하기 직전에 예열을 가하는 가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기 온도 검지 수단은 착탈 가능하여, 임의의 급기 경로에 장착 가능한
    열교환형 환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팬 및 상기 급기용 팬은 직류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수 검지 수단과,
    상기 회전수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경로내의 정압(靜壓)을 검지하는 정압 검지 수단과,
    상기 정압 검지 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 풍량을 검지하는 풍량 검지 수단과,
    상기 풍량 검지 수단의 신호에 의해 상기 배기용 팬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회전수 제어 수단을 더 구비하는
    열교환형 환기 장치.
KR1020067016539A 2004-02-19 2005-02-18 열교환형 환기 장치 KR100799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42430 2004-02-19
JP2004042430A JP2005233494A (ja) 2004-02-19 2004-02-19 熱交換形換気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0367A KR20060110367A (ko) 2006-10-24
KR100799805B1 true KR100799805B1 (ko) 2008-01-31

Family

ID=34879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539A KR100799805B1 (ko) 2004-02-19 2005-02-18 열교환형 환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94539B2 (ko)
JP (1) JP2005233494A (ko)
KR (1) KR100799805B1 (ko)
CN (1) CN100455928C (ko)
CA (1) CA2557394C (ko)
WO (1) WO2005080882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3651B1 (ko) * 2015-01-22 2015-04-21 은성화학(주) 댐퍼로 제어성능을 향상시킨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1606922B1 (ko) * 2014-10-21 2016-03-29 은성화학(주) 프리히터 박스를 구비한 바이패스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2059727B1 (ko) * 2017-11-02 2019-12-26 주식회사 옴니벤트 다기능 환기 유닛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6955B2 (ja) * 2005-10-05 2011-08-10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排熱回収装置および排熱回収方法
JP4893025B2 (ja) * 2006-02-28 2012-03-0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ES2324365T3 (es) 2005-10-11 2009-08-05 Fujitsu General Limited Aparato de aire acondicionado.
WO2007069349A1 (ja) * 2005-12-14 2007-06-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7170712A (ja) * 2005-12-20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JP2007170713A (ja) * 2005-12-20 2007-07-0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熱交換形換気装置
JP4720475B2 (ja) * 2005-12-14 2011-07-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JP5055944B2 (ja) * 2006-10-18 2012-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除加湿装置
JP4978303B2 (ja) * 2007-05-15 2012-07-1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KR20090017004A (ko) * 2007-08-13 2009-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열교환기용 온도보상히터 보호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5076745B2 (ja) * 2007-08-31 2012-11-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換気空調装置
JP2009121793A (ja) * 2007-11-19 2009-06-04 Panasonic Corp 浴室換気空調装置
JP5286903B2 (ja) * 2008-04-11 2013-09-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BE1018155A5 (nl) * 2008-05-21 2010-06-01 Renson Ventilation Nv Centraal ventilatiesysteem.
JP5434202B2 (ja) * 2009-04-02 2014-03-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ES2662074T3 (es) * 2009-07-08 2018-04-05 Daikin Industries, Ltd. Sistema de ventilación
JP5099095B2 (ja) * 2009-09-25 2012-12-12 マックス株式会社 送風装置
WO2012016213A1 (en) * 2010-07-29 2012-02-02 Zivota Nikolic Fresh air recovery system
KR101236170B1 (ko) * 2011-03-09 2013-02-22 대림산업 주식회사 실별 바닥복사 및 공조 통합 제어 시스템
US8939826B2 (en) * 2011-07-15 2015-01-27 Unilux V.F.C. Corp. HVAC apparatus with HRV/ERV unit and vertical fan coil unit
SE537165C2 (sv) * 2011-09-30 2015-02-24 Voltair Systems Ab Metod och system för att styra avfrostning av en värmeväxlare
CN103225869B (zh) * 2012-01-31 2017-02-22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寒冷地热交换装置
WO2013116197A1 (en) * 2012-02-02 2013-08-08 Carrier Corporation Energy recovery ventilator and method of recovering energy
JP6035509B2 (ja) * 2012-04-16 2016-11-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NL2008944C2 (nl) * 2012-06-06 2013-12-09 Vero Duco Nv Ventilatie-installatie met debietregelaars.
JP2014119204A (ja) * 2012-12-18 2014-06-30 Daikin Ind Ltd 温調システム
US9074789B2 (en) * 2013-03-04 2015-07-07 John P. Hanus Method and apparatus to provide ventilation for a building
KR101462151B1 (ko) * 2014-03-13 2014-11-20 주식회사 안성에이치이산업 동파방지형 공기조화장치
KR101717773B1 (ko) * 2014-09-12 2017-03-20 은성화학(주) 메인터넌스가 용이한 바이패스형 열회수 환기장치
CN105444956B (zh) * 2014-12-06 2018-05-22 湖北博士隆科技股份有限公司 铆塞密封性集成式检测装置的降温换气机构
NL2014612B1 (nl) * 2015-04-10 2017-01-19 Vero Duco Nv Gebouw met vraaggestuurd warmtewisselingssysteem voor ventilatie, alsmede warmtewisselingssysteem.
CN105258272A (zh) * 2015-11-30 2016-01-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全热交换型新风机
JP2017198356A (ja) * 2016-04-25 2017-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装置の結露凍結防止装置、換気装置、換気装置の結露凍結防止方法
JP6732672B2 (ja) * 2017-02-03 2020-07-29 株式会社ガスター 浴湯熱暖房システム
JP6838983B2 (ja) * 2017-02-03 2021-03-03 株式会社ガスター 放熱ユニット 暖房システム
US10502445B2 (en) * 2017-05-22 2019-12-10 Airxcel, Inc. Wall-mount air conditioner and method involving same
JP7200497B2 (ja) * 2018-04-04 2023-01-10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粉体処理装置
US11073301B2 (en) * 2018-04-13 2021-07-27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Heat pump with integrated energy recovery ventilator (ERV)
JP2020122599A (ja) * 2019-01-29 2020-08-13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形換気装置
RU2727286C1 (ru) * 2019-02-22 2020-07-21 Част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Вентиляционные системы" Вентиляционная установка с рекуперацией тепла и энергии
JP7336629B2 (ja) * 2019-03-28 2023-09-0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熱交換換気装置
US11913460B2 (en) 2020-03-20 2024-02-27 Greenheck Fan Corporation Exhaust fan
FR3113941B1 (fr) * 2020-09-04 2023-06-09 Aereco Echangeur thermique amélioré pour ventilation double flux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333A (ja) * 1991-03-13 1992-10-08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JPH05141737A (ja) * 1991-05-24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JP2003148780A (ja) * 2001-11-14 2003-05-21 Daikin Ind Ltd 熱交換器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527A (ja) 1981-06-26 1983-01-08 Yokogawa Hokushin Electric Corp 微粉炭流量制御装置
JPS582527U (ja) * 1981-06-29 1983-01-08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JPS6219631A (ja) 1985-07-18 1987-01-28 Mitsubishi Electric Corp 熱交換形換気装置
JPS63190837A (ja) 1987-02-04 1988-08-08 Agency Of Ind Science & Technol アルコ−ルの同族体化法
JPS63190837U (ko) * 1987-05-27 1988-12-08
FI83134C (fi) * 1987-12-18 1991-05-27 Ilmatera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reglering av luftstroemmar och tryck i luftkonditionering.
JP2917275B2 (ja) 1988-10-11 1999-07-12 日本電気株式会社 Cpuを有する装置の試験システム
JPH062038U (ja) * 1992-06-11 1994-01-14 松下精工株式会社 空調換気扇
JP2687067B2 (ja) 1992-06-17 1997-12-0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優れたクリープ強度と良好な加工性を有する高Crフェライト鋼板の製造方法
US5257736A (en) * 1992-08-06 1993-11-02 Donald Roy Self-regulating air ventilation apparatus
CA2134168C (en) * 1994-10-24 2002-06-11 Frederic Lagace Ventilation system
CA2140232C (en) * 1995-01-13 2004-04-13 Peter Karl Grinbergs Heat recovery ventilator
JPH10281523A (ja) * 1997-04-04 1998-10-23 Shinwa Seisakusho:Kk 全熱交換型換気装置
JPH11304206A (ja) * 1998-04-27 1999-11-05 Daikin Ind Ltd 空気調和装置
US6176305B1 (en) * 1998-11-09 2001-01-23 Building Performance Equipment Inc. Ventilator system and method
JP2002010609A (ja) * 2000-06-23 2002-01-11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cファン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576149B2 (ja) * 2002-04-25 2004-10-13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調和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83333A (ja) * 1991-03-13 1992-10-08 Daikin Ind Ltd 熱交換換気装置
JPH05141737A (ja) * 1991-05-24 1993-06-08 Mitsubishi Electric Corp 換気装置
JP2003148780A (ja) * 2001-11-14 2003-05-21 Daikin Ind Ltd 熱交換器ユニッ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6922B1 (ko) * 2014-10-21 2016-03-29 은성화학(주) 프리히터 박스를 구비한 바이패스형 열회수 환기장치
KR101513651B1 (ko) * 2015-01-22 2015-04-21 은성화학(주) 댐퍼로 제어성능을 향상시킨 공조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2059727B1 (ko) * 2017-11-02 2019-12-26 주식회사 옴니벤트 다기능 환기 유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33494A (ja) 2005-09-02
CA2557394C (en) 2010-04-06
CA2557394A1 (en) 2005-09-01
WO2005080882A1 (ja) 2005-09-01
KR20060110367A (ko) 2006-10-24
US20070169927A1 (en) 2007-07-26
US7594539B2 (en) 2009-09-29
CN100455928C (zh) 2009-01-28
CN1922444A (zh) 2007-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805B1 (ko) 열교환형 환기 장치
EP1962030B1 (en) Heat exchange type ventilator
US20110039490A1 (en) Window Fan
CN101317041B (zh) 热交换形换气装置
US8155797B2 (en) Window fan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a fan unit
CN107314452B (zh) 壁挂式室内机及空调器
CN100594339C (zh) 在空调的睡眠操作模式下控制吹风方向的方法
CN110553360A (zh) 空调器的送风控制方法与空调器
KR200461855Y1 (ko) 환기 시스템
KR100667230B1 (ko) 제상 댐퍼를 갖는 폐열회수 장치 및 제상 제어 방법
WO2024045901A1 (zh) 挂壁式空调器室内机的控制方法及挂壁式空调器室内机
KR20080023556A (ko) 히터 블로워를 이용한 엔진룸 냉각 시스템 및 방법
JP4391125B2 (ja) 熱交換換気装置
CN103884080A (zh) 在空调的制冷操作模式下控制吹风方向的方法
JP2000111110A (ja) 窓枠サッシ用換気扇
JP2003161500A (ja) 室内空調システム
KR101243227B1 (ko) 환기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0321779Y1 (ko) 환기유니트 제어장치
KR20060121052A (ko)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190071585A (ko) 급기 시스템 및 급기 방법
KR100484929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JPH08152176A (ja) 空気調和機
JP2004019590A (ja) 車両用ヒーター制御機構
KR100244316B1 (ko) 공기조화기의온도제어장치및그방법
CN112984640A (zh) 空调室内柜机和空调室内柜机的控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