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8977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8977B1
KR100798977B1 KR1020070019500A KR20070019500A KR100798977B1 KR 100798977 B1 KR100798977 B1 KR 100798977B1 KR 1020070019500 A KR1020070019500 A KR 1020070019500A KR 20070019500 A KR20070019500 A KR 20070019500A KR 100798977 B1 KR100798977 B1 KR 100798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e bar
tread block
shaped tie
tread
pneumatic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9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건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19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8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8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8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69Tie bars for linking block elements and bridging the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1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isolated elements, e.g. bl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루브에 X자형 타이바를 구비하여 트레드블록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1)와; 상기 트레드(1)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2a)와, 타이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2b)로 이루어진 그루브(2)와;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2)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트레드블록(3)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는 트레드블록(3)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트레드블록(3)에 접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진 X자형 타이바(6)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X자형 타이바(6)는 횡그루브(2b)에 구비될 때, 타이어의 배수성능에 영향을 적게 주면서 트레드블록(3)의 움직임을 저지할 수 있다.
공기입 타이어, 타이바, 트레드블록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UMATIC TI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타이바가 구비된 공기입 타이어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트레드 2: 그루브
2a: 종그루브 2b: 횡그루브
3: 트레드블록 6: X자형 타이바
6x: X자형 타이바 상면 6y:X자형 타이바 측면
H1: X자형 타이바 일측단부 높이
H2: X자형 타이바 타단부 높이
H3: X자형 타이바 중심부 높이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루브에 X자형 타이바를 구비하여 트레드블록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입 타이어는, 그루브에 의하여 트레드(101)가 블록(103)의 형태로 구비된다. 타이어는 트레드블록(103)에 응력이 작용하게 되면 블록이 찌그러지게 되고 특히 비포장도로를 주행할 경우 종그루브(102a)나 횡그루브(102b)와 트레드블록(103)이 연결된 부분에 응력이 집중되어 트레드(101)가 찢어지기 쉽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인접하는 트레드블록(103)과 트레드블록(103)의 사이를 연결하는 사각형 모양의 타이바(106)를 공기입 타이어에 구비하여 트레드블록(103)의 과도한 움직임을 억제하였고, 이로 인해 트레드블록(103)의 파열과 이상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사각 형상의 타이바 구조는, 어느 일측의 블록이 심하게 변형되는 경우 그 변형되는 힘이 인접한 블록에 전달되는 과정에서 상기 타이바와 트레드 블록의 결합부위에 과도한 응력이 집중되어 연결부위에서 크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X자형 타이바를 구비함으로써 트레드블록의 이상마모와 변형을 예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와; 상기 트레드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와, 타이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로 이루어진 그루브와;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트레드블록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는 트레드블록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트레드블록에 접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진 X자형 타이바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X자형 타이바는 횡그루브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X자형 타이바의 중심부에서, 그루브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그루브 높이의 1/4~1/3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X자형 타이바 양단부에서, 그루브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X자형 타이바 상면까지의 높이는 그 중심부의 높이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X자형 타이바를 기준으로 정주행방향측에 위치한 트레드블록에 접한 상기 X자형 타이바의 일측 단부에서, 그루브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까지의 높이는, 상기 X자형 타이바의 타단부에서 그루브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까지의 높이보다 1.2배~1.5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 일 실시예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 일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1)와; 상기 트레드(1)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2a)와, 타이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2b)로 이루어진 그루브(2)와;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2)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트레드블록(3)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는 트레드블록(3)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트레드블록(3)에 접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진 X자형 타이바(6)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차량은 일반적으로 전진하며 주행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행방향을 정주행방향(定走行方向)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역주행방향(逆走行方向)이라고 한다. 차량은 이러한 정주행방향과 역주행방향에 따라 공기입 타이어를 시계방향이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도 하지만, 차량을 좌측이나 우측으로 회전해야할 때는 휠에 연결되어 타이어의 방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조향축(調向軸)을 따라 타이어가 회전하기도 한다. 일반적인 타이바는, 정주행방향이나 역주행방향을 따라 타이어가 구동될 경우, 트레드블록이 타이바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어서 트레드블록의 이상마모나 크랙발생을 억제할 수 있지만, 차량이 좌(左)로나 우(右)로 회전할 경우에는 타이바가 트레드블록을 제대로 지탱하기 어렵게 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X자형 타이바(6)를 구비하여 정,역방향주행은 물론, 좌,우로의 회전주행 때에도 X자형 타이바(6)가 트레드블록(3)을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타이바의 형상을 X자로 함으로써, 같은 양의 고무를 사용하였을 때, 일반적인 사각 형상의 타이바보다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타이바(6)가 트레드블록(3)을 지탱하는 힘이 더 강해지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인 타이바의 상면(106x)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트레드블록(103)과 상기 타이바(106)의 연결부위에 각(角)이 생겨서 응력이 집중되고 트레드블록(103)과 타이바(106)의 연결부위가 변형되거나 파열되기 쉬운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X자형 타이바(6)와 같이, 타이바의 상면(6x)이 곡면(曲面)으로 형성된 경우, 트레드블록(3)과 X자형 타이바(6)의 연결부위 역시 곡면에 가까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각진 부위가 거의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응력이 집중되지 않고 분산되며, 트레드블록(3)과 X자형 타이바(6) 사이가 쉽게 파열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응력이 분산되게 함으로써, 트레드블록(3)의 이상마모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트레드블록(3)과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연결부분의 강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X자형 타이바(6)의 상면(6x)은, 응력을 분산하기 위하여 곡면으로 형성되되,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의 높이(H3)는, 그루브(2) 높이의 1/4~1/3이고, 상기 양단부의 높이(H1, H2)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X자형 타이바(6) 각 부위의 높이는, 공기입 타이어 트레드블록(3)의 요구 강성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즉, 비포장용 도로를 주로 주행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타이어에 비해 트레드블록(3)에 쉽게 크랙이 생기고 이상마모가 발생하는 중하중용 타이어의 경우는 일반적인 승용차용 타이어에 비해 X자형 타이바(6)의 양단부 높이(H1, H2)가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X자형 타이바를 기준으로 정주행방향측에 위치한 트레드블록(3)에 접한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일측 단부(이하, 'X자형 타이바(6)의 일측단부'라 한다)에서 그루브(2)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6x)까지 이르는 높이(H1)는, 공기입 타이어에 작용하는 관성력(원심력)을 고려하여, 타이어 역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3)에 접한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타단부(이하, 'X자형 타이바(6)의 타단부'라 한다.)에서 그루브(2)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6x)까지 이르는 높이(H2)보다 1.2배~1.5배 높게 구비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정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3)이란, 차량의 주행방향에서 앞쪽에 해당하는 트레드블록(3)을 말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트레드블록(3a)과 제2트레드블록(3b) 사이에 구비된 제1X자형 타이바(6a)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타이어 정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에 접한 제1X자형 타이바(6a)의 일측 단부 높이(H1)는, 제1트레드블록(3a)과 연결되어 있는 제1X자형 타이바(6a)의 단부의 높이를 지칭한다. 다시 말해서 제1X자형 타이바(6a)의 정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은 제1트레드블록(3a)이고, 제2X자형 타이바(6b)의 정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은 제2트레드블록(3b)이며, 제3X자형 타이바(6c)의 정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은 제3트레드블록(3c)이고, 제4X자형 타이바(6d)의 정주행방향측 트레드블록은 제4트레드블록(3d)인 것이다.
이와 같이, X자형 타이바의 일측단부의 높이(H1)를 X자형 타이바(6)의 타단부의 높이(H2)의 1.2배~1.5배 정도 높게 구비하여 트레드블록(3)의 이상마모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한다. 공기입 타이어는 주행할 때, 트레드블록(3)에는 관성력(원심력)이 작용하여 역주행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상기와 같이 관성력(원심력)에 의해 트레드블록(3)이 찌그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X자형 타이바(6)의 일측단부의 높이(H1)를 타단부의 높이(H2)보다 높게 구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제2트레드블록(3b)과 제3트레드블록(3c) 사이에 제2X자형 타이바(6b)가 구비된 경우, 역주행방향의 관성력(원심력)을 받아 제2X자형 타이바(6b)가 구비된 횡그루브(2b) 쪽으로 찌그러지는 트레드블록은, 제2트레드블록(3b)이다. 물론, 제3트레드블록(3c)이 제3X자형 타이바(6c)쪽으로 찌그러지지 않도록 상기 제3트레드블록(3c)를 제2X자형 타이바(6b)의 타단부 쪽에서 당겨주는 역할을 하지만, 무엇보다 트레드블록(3)이 찌그러지지 않게 하기 위해서는 트레드블록(3)을 찌그러뜨리는 힘의 방향과 대응되는 역방향의 힘이 상기 트레드블록(3)을 지탱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X자형 타이바(6)의 일측단부의 높이(H1)를 X자형 타이바(6)의 타단부의 높이(H2)보다 1.2배~1.5배 높게 구비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X자형 타이바(6)를 상기 횡그루브(2b)에 구비함으로써, 트레드블록(3)의 찌그러짐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트레드블록(3)의 찌그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종그루브(2a)나 횡그루브(2b) 모두에 타이바를 구비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종그루브(2a)에 구비된 타이바는 타이어의 마모 정도 를 나타내는 마모표시부로 주로 쓰이고, 횡그루브(2b)에 구비된 타이바가 주로 트레드블록(3)의 찌그러짐을 방지하는데에 사용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의 횡그루브(2b)에 상기 X자형 타이바(6)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X자형 타이바(6)에 응력이 집중되어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측면(6y)을 소정의 곡률을 가진 면으로 구비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를 사용함으로써, 차량의 주행방향에 상관없이 트레드블록의 찌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X자형 타이바를 구비함으로써 같은 양의 고무를 사용할 때, 일반적인 사각 형상의 타이바에 비해 트레드블록의 이상마모나 크랙의 발생을 더욱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고, 굴곡이 있는 면으로 형성된 X자형 타이바를 사용함으로써, 타이바와 트레드블록이 접하는 부위에서 쉽게 발생하는 크랙을 예방할 수 있다.

Claims (5)

  1. 노면에 접지되는 트레드(1)와; 상기 트레드(1)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종그루브(2a)와, 타이어 폭방향으로 형성된 횡그루브(2b)로 이루어진 그루브(2)와;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2)에 의해 분할형성되는 트레드블록(3)을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그루브에는 트레드블록(3)의 움직임을 저지하기 위해, 인접하는 트레드블록(3)에 접하는 양단부와, 상기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심부로 이루어진 X자형 타이바(6)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X자형 타이바(6)는 횡그루브(2b)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중심부에서 그루브(2)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상면까지의 높이(H3)는 그루브(2) 높이의 1/4~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타이바(6) 양단부에서, 그루브(2)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X자형 타이바 상면까지의 높이(H1, H2)는 그 중심부의 높이(H3)보다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X자형 타이바를 기준으로 정주행방향측에 위치한 트레드블록(3)에 접한 상기 X자형 타이바(6)의 일측 단부에서 그루브(2)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까지의 높이(H1)는, 상기 X자형 타이바의 타단부에서 그루브(2) 바닥면으로부터 X자형 타이바의 상면까지의 높이(H2)보다 1.2배~1.5배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KR1020070019500A 2007-02-27 2007-02-27 공기입 타이어 KR100798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500A KR100798977B1 (ko) 2007-02-27 2007-02-27 공기입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19500A KR100798977B1 (ko) 2007-02-27 2007-02-27 공기입 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8977B1 true KR100798977B1 (ko) 2008-01-28

Family

ID=3921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9500A KR100798977B1 (ko) 2007-02-27 2007-02-27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897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54Y1 (ko) * 1993-02-23 1995-08-08 한국타이어제조 주식회사 승용차용 타이어
KR0140333Y1 (ko) * 1993-12-23 1999-04-01 윤양중 내구력을 향상한 러그형 타이어
JP2004106747A (ja) 2002-09-19 2004-04-08 Sumitomo Rubber Ind Ltd 重荷重用タイヤ
KR200375120Y1 (ko) 2004-11-17 2005-0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소음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KR100540576B1 (ko) 2004-07-30 2006-01-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타이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54Y1 (ko) * 1993-02-23 1995-08-08 한국타이어제조 주식회사 승용차용 타이어
KR0140333Y1 (ko) * 1993-12-23 1999-04-01 윤양중 내구력을 향상한 러그형 타이어
JP2004106747A (ja) 2002-09-19 2004-04-08 Sumitomo Rubber Ind Ltd 重荷重用タイヤ
KR100540576B1 (ko) 2004-07-30 2006-01-10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중하중용 타이어
KR200375120Y1 (ko) 2004-11-17 2005-02-07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소음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78668B1 (en) Pneumatic tire
EP2179868B1 (en) Pneumatic tire
KR101596523B1 (ko) 공기 타이어
JP604712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8006729B2 (en) Pneumatic tire with tread having fine grooves
JP2017144763A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80117040A (ko) 타이어
JP2014177238A (ja) 空気入りタイヤ
JP3809173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6823912B2 (en) Pneumatic tire having asymmetric block pattern
JP6423739B2 (ja) 空気入りタイヤ
RU2717113C2 (ru) Протектор шины для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JP200822211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798977B1 (ko) 공기입 타이어
JP491925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S63154407A (ja)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4275372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601102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8213636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808295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의 패턴구조
US11623479B2 (en) Tire
JP2012106585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1010750B1 (ko)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JP4270369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970560B1 (ko) 러그패턴의 중하중용 공기입 래디얼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