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91560B1 -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91560B1
KR100791560B1 KR1020060058252A KR20060058252A KR100791560B1 KR 100791560 B1 KR100791560 B1 KR 100791560B1 KR 1020060058252 A KR1020060058252 A KR 1020060058252A KR 20060058252 A KR20060058252 A KR 20060058252A KR 100791560 B1 KR100791560 B1 KR 100791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p
powder
weight
cubic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82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00437A (ko
Inventor
최현우
송인상
김해경
유홍훈
김종식
노용철
Original Assignee
태경농산주식회사
노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경농산주식회사, 노용철 filed Critical 태경농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582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1560B1/ko
Publication of KR2008000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1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1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70Fixation, conservation, or encapsulation of flavouring agents
    • A23L27/72Encaps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3/10Soup concentrates, e.g. powders or cak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A23L27/14Dried sp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둘 이상의 양념 재료를 분말화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분말에 스프 전체 중량에 대하여 식물성유지 5 내지 10중량%, 마늘수박건조분말 0.2 내지 0.5중량% 및 요리 술 3 내지 10중량%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삽입하고 압착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별도의 부형제 없이 분말상 스프의 큐빅화를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보관 및 사용이 간편하고 조리시 정량 사용이 용이한 스프블럭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스프블럭, 찌개, 분말스프

Description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A method of manufacturing cubical instant soup blocks}
도 1은 본 발명의 큐빅화된 스프블럭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본 발명은 큐빅화된 스프블럭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프블럭은 찌개, 국, 라면 스프, 양식 스프 또는 각종 국물 요리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우리나라 전통 음식 중의 하나인 찌개는 오늘날에도 일상 식단 메뉴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찌개의 조리과정에서 다양한 재료의 준비를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흔히 말하는 맛있는 찌개를 조리하기 위해서는 각종 재료의 양을 정확히 맞추는 것이 중요한데 이것은 결코 용이한 작업이 아니다.
따라서, 표준화된 맛을 간편하게 재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완제품의 찌개 또는 찌개 양념의 가공품이 개발되었다. 즉, 농축된 페이스트 상의 양념 재료 또는 완제품 찌개를 레토르트 파우치 내에 진공포장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 한 농축 페이스트 상의 찌개 양념류 및 완제품 찌개는 유통 시 많은 부피 및 무게를 차지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에 있어서도 양념 재료나 국물이 흐르고, 내용물을 꺼낸 후에도 파우치 내에 남아 있는 재료에 의해 음식물의 낭비가 있게 되고, 사용 후 파우치의 처리에도 불편함이 있다.
찌개 가공품의 또 다른 형태는 양념 재료를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 스프로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분말은 보관 및 사용시 흩어진다는 불편함이 있다. 더구나 개별 포장이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적정량으로 사용하는데 곤란함이 있다.
따라서, 유통 및 사용이 간편하며 개별 포장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정량을 사용하는데 곤란함이 없는 새로운 형태의 찌개 가공품 또는 스프에 대한 필요성이 있어왔다.
이러한 요구에서 새롭게 제시된 것이 분말상의 스프를 각설탕과 같은 형태로 큐빅화하여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분말상 스프는 별도의 부형제를 사용하지 않고 일정한 형태와 크기로 성형하는 것 자체가 곤란하다. 또한 성형 후에도 쉽게 부서져 버려 유통 및 보관상 곤란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별도의 부형제의 사용 없이 분말상 재료를 블럭상으로 성형하여 제공하므로써 유통이 용이하고 정량 및 간편한 조리가 가능한 큐빅화된 스프블럭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각종 양념 재료 분말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식물성유지, 마늘수박건조분말 및 요리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성형 틀에 삽입하고 일정 압력하에서 압착 성형한 다음 적정 온도에서 건조과정을 거치는 과정을 포함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큐빅화된 스프블럭은 1인분에 해당되는 정량의 분말상 스프를 포함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각설탕과 같은 정육면체의 형태로 제공된다.
도1은 본 발명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 과정을 나타낸 공정도로서, 이하 이를 참조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서술한다.
우선 분말상의 스프를 제조하기 위해 각종 양념 재료를 분말화하여 혼합하는 과정을 거친다.
양념 재료 분말을 위한 재료로는 채소류, 해조류, 어류, 육류 등 각종 식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특정 재료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식재료들 중에서 제조하고자 하는 찌개 또는 스프에 따라 선택된 재료들을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므로써 분말화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양념 재료 분말을 30 내지 60℃로 가온한 후 식물성유지 및 마늘수박건조분말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양념 재료 분말을 가온하는 것은 분말 표면을 식물성유지로 코팅하는데 있어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다음으로 요리 술을 첨가하여 혼합한다.
양념 재료 분말과 식물성유지, 마늘수박건조분말 및 요리 술의 혼합과정에서 분말의 표면이 식물성유지로 코팅된다. 상기 유지 성분은 분말 표면에 약간의 끈적임을 주어 이후 큐빅화 과정에서 분말간의 밀착력을 향상시킨다. 따라서, 이후 압 축 성형과정에서 분말간에 단단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식물성유지, 마늘수박건조분말 및 요리 술의 첨가 및 혼합으로 분말상 스프의 큐빅화 특성을 개선하므로써 별도의 부형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분말 스프의 큐빅화를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이하 이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서술한다.
식물성유지는 식물의 씨나 열매 따위에서 짜낸 기름으로 제과 제빵에 사용되어 제품성과 식감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팜유나 면실유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양념 재료의 혼합 분말에 식물성유지를 넣고 혼합하므로써 분말 표면이 코팅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되는 식물성유지의 양은 분말을 코팅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분말상 스프 전체 중량의 5 내지 10%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5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충분한 표면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아 큐빅화 특성이 바람직한 수준으로 개선되지 못하며, 10중량%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큐빅화 후에 완제품 스프 표면에 유지 성분이 남아돌아 오히려 제품성을 떨어뜨리고, 또한 조리 후 스프의 맛 및 영양에도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마늘수박건조분말은 마늘과 수박을 혼합하여 고압에서 증숙한 후 건조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품화된 것을 사용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술한 재료 및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면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마늘수박건조분말은 스프의 보관상 미생물적 보존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즉, 큐빅화 후 스프 블럭 내에 발생될 수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항균력 있는 성분 을 사용함으로써 방지하는 것이다. 적당한 항균력을 위해서 분말상 스프 전체 중량의 0.2 내지 0.5%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중량% 이하로 포함되면 바람직한 보존성을 달성할 수 없고, 0.5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하면 완제품 스프에 지나친 마늘향을 부가하게 되어 풍미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요리술은 주로 음식 조리 시 잡내를 제거하고 재료의 풍미를 더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도 요리술은 각종 양념 재료로부터 잡내를 제거하며, 일종의 소독 작용의 역할을 하므로 스프의 보존력을 향상시킨다. 뿐만 아니라, 식물성 유지에 의한 분말의 코팅과정에서 분말과 유지간의 접착제 역할을 하여 최소한의 유지로써 분말이 코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효과를 위해 요리술은 분말상 스프 전체 중량의 3 내지 10%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식물성유지로 표면 코팅된 분말상 스프를 고압으로 성형하는 장비를 사용하여 큐빅화된 스프블럭을 제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분말 표면의 얼마간의 끈적임은 고압 성형으로 뭉쳐진 후에도 쉽게 부서지지 않고 큐빅 형상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고압 성형 후 건조과정은 큐빅화된 스프블럭으로부터 여분의 수분을 제거하므로써 분말간 밀착력을 향상시켜 단단한 블럭화를 완성하게 한다.
이하 구체적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판단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1
김치찌개 스프블럭의 제조
김치찌개 분말 스프로서 태경농산㈜의 분말김치국물, 포크본분말, 김치양념분말 및 김치베이스티케이의 혼합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 김치찌개 분말스프를 혼합기에 넣고 40℃로 가온한 다음, ㈜롯데삼강에서 제조한 정제가공유지를 6중량%, ㈜자생식품의 마늘수박건조분말을 0.2중량%, ㈜대상의 미림을 5중량%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혼합물을 호퍼를 통하여 사각으로 구멍이 뚫린 요형의 평면 성형틀에 사입하고, 철형의 성형틀로 3kg/m2으로 압착 성형하였다. 상기 성형물을 35~45℃에서 2~3분 간 건조함으로써 김치찌개용 스프 블럭을 완성하였다.
실시예2
큐빅화된 된장찌개 스프의 제조
된장찌개 분말 스프로서 태경농산㈜의 해물된장찌게베이스, 복합해물분말 및 소맥조미분말ADD의 혼합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 된장찌개 분말스프를 혼합기에 넣고 40℃로 가온한 다음, ㈜롯데삼강의 정제가공유지를 6중량%, ㈜자생식품의 마늘수박건조분말을 0.4중량%, ㈜대상의 미림을 5중량%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의 성형압착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된장찌개용 스프 블럭을 완성하였다.
실시예3
큐빅화된 부대찌개 스프의 제조
부대찌개 분말스프로서 태경농산㈜의 부대찌게베이스분말, 김치양념분말 및 햄건조분말의 혼합분말을 사용하였다.
상기 부대찌개 분말스프를 혼합기에 넣고 40℃로 가온한 다음, ㈜롯데삼강의 정제가공유지를 4중량%, ㈜자생식품의 마늘수박건조분말을 0.2중량%, ㈜대상의 미림을 8중량% 넣고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분말의 성형압착 및 건조과정을 통하여 부대찌개용 스프 블럭을 완성하였다.
상기 실시예1 내지 3에서 제조된 스프 블럭은 각설탕과 같은 단단함을 가지는 것으로 손으로 힘을 주어도 잘 부서지지 않았다. 반면, 물에 넣으면 일반 분말상의 스프와 같이 잘 용해되어 찌개 등의 국물을 만드는데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별도의 부형제 없이 원래 스프에 첨가되는 재료만으로도 분말 스프를 성형하여 각설탕과 같은 큐빅화된 스프블럭을 제조할 수 있다. 따라서, 양념류의 고유한 맛을 살리고 찌개 등의 국물 맛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통과정 및 조리과정의 편의성도 달성할 수 있는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6)

  1. 둘 이상의 양념 재료를 분말화하고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분말에 스프 전체 중량에 대하여 식물성유지 5 내지 10중량%, 마늘수박건조분말 0.2 내지 0.5중량% 및 요리 술 3 내지 10중량%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을 성형틀에 삽입하고 압착 성형하는 단계; 및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
  2. 제 1 항에서,
    상기 양념 재료는 채소, 육류, 어패류 및 해조류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재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
  3. 제 1 항에서,
    상기 양념 재료를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여 분말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
  4. 제 1 항에서,
    상기 압착 성형 단계는 혼합물을 성형틀에서 2~3kg/m2의 압력을 가하는 것으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
  5. 제 1 항에서.
    상기 성형물을 건조하는 단계는 35~40℃ 의 온도로 2~3분 간 열풍 건조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
  6. 제 1 항에서,
    양념 재료 분말에 식물성 유지, 마늘수박건조분말 및 요리 술을 첨가하여 혼합하기 전에 상기 양념 재료 분말을 30 내지 60℃으로 가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빅화된 스프블럭 제조방법.
KR1020060058252A 2006-06-27 2006-06-27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KR100791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252A KR100791560B1 (ko) 2006-06-27 2006-06-27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8252A KR100791560B1 (ko) 2006-06-27 2006-06-27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37A KR20080000437A (ko) 2008-01-02
KR100791560B1 true KR100791560B1 (ko) 2008-01-03

Family

ID=3921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8252A KR100791560B1 (ko) 2006-06-27 2006-06-27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15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4293B1 (ko) * 2019-03-18 2019-07-26 장형주 양념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양념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55A (ko) * 1991-05-07 1992-12-18 장기하 배추를 주재로한 즉석국류 및 그 제조방법
KR920021059A (ko) * 1991-05-15 1992-12-18 김정순 즉석미역국 조성물
KR950028641A (ko) * 1994-04-07 1995-11-22 손종업 즉석 콩비지찌게의 제조방법
KR960020802A (ko) * 1994-12-29 1996-07-18 이영길 즉석 압축 시금치 된장국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1055A (ko) * 1991-05-07 1992-12-18 장기하 배추를 주재로한 즉석국류 및 그 제조방법
KR920021059A (ko) * 1991-05-15 1992-12-18 김정순 즉석미역국 조성물
KR950028641A (ko) * 1994-04-07 1995-11-22 손종업 즉석 콩비지찌게의 제조방법
KR960020802A (ko) * 1994-12-29 1996-07-18 이영길 즉석 압축 시금치 된장국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437A (ko) 2008-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9825B1 (ko) 기능성 순대의 제조방법
CN101828677A (zh) 一种米饭类方便食品及其制作方法
CN105146360A (zh) 猪血豆腐丸及制作方法
CN104172225A (zh) 一种红烧牛肉调理包及其加工工艺
CN104489705A (zh) 一种脱骨香肘的制作方法
CN101720802A (zh) 海鲜饼的制作方法
CN100391364C (zh) 调味香辛料
CN105918892A (zh) 一种真空低温加工红烧肉的生产方法
CN103609949A (zh) 风味方便米肠的制备方法
KR101760756B1 (ko) 소고기를 이용한 꼬치구이 및 그 제조방법
CN1586283A (zh) 一种泡饭、粥类食品的制造方法及其产品
KR100791561B1 (ko) 큐빅화된 스프블럭
CN1159991C (zh) 即食馄饨或即食饺子的制作方法
CN103952283A (zh) 一种风味型香醋
KR100791560B1 (ko) 큐빅화된 스프블럭의 제조방법
CN100496295C (zh) 原味葱酱调料的制作方法
JP2015223080A (ja) うなぎ蒲焼風味食品
CN103976197A (zh) 一种即食营养饭团的制作方法
CN105595194A (zh) 一种羊肉粉的制作方法
CN111000156A (zh) 一种冷冻糯米莲藕猪肉丸及其制作方法
CN104738212A (zh) 一种利用茶油制作风味豆腐干的方法及制品
CN104172051A (zh) 一种风味酸汤蘸水及其制作方法
KR102050164B1 (ko) 톳 함유 즉석 영양 보조식품, 이의 제조방법 및 톳 함유 즉석 식품 키트
KR100452058B1 (ko) 야채가 내장된 티백과 기름 성분이 없고 향이 훈증된 면을포함하는 라면
KR102558058B1 (ko) 강황과 쿠민이 함유된 카라멜라이징 양파 페이스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를 위한 양파 카라멜라이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1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