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8006B1 -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8006B1
KR100788006B1 KR1020060029053A KR20060029053A KR100788006B1 KR 100788006 B1 KR100788006 B1 KR 100788006B1 KR 1020060029053 A KR1020060029053 A KR 1020060029053A KR 20060029053 A KR20060029053 A KR 20060029053A KR 100788006 B1 KR100788006 B1 KR 100788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unit
printing plate
las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9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7981A (ko
Inventor
이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디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디글로벌
Priority to KR1020060029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88006B1/ko
Publication of KR20070097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7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8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80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exposing, i.e. imagewise exposure by optically projecting the original image on a photoconductive recor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43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 B41J2/4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 B41J2/471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 B41J2/473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selective application of radiation to a printing material or impression-transfer material using the combination of scanning and modulation of light using dot sequential main scanning by means of a light deflector, e.g. a rotating polygonal mirror using multiple light beams, wavelengths or colou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2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3Multibeam scanners, e.g. using multiple light sources or beam split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10Scanning systems
    • G02B26/12Scanning systems using multifaceted mirrors
    • G02B26/127Adaptive control of the scanning light beam, e.g. using the feedback from one or more det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다. 개시된 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는 외부에서 입력된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출력하는 프린트 서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광신호로 변환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를 통해 생성된 광신호를 취합하여 인쇄용 판재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조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인쇄용 판재에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용 판재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TP, 레이저, 인쇄판재, 소부, 필름

Description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High Speed Image Printing Apparatus having Multi Channel Razor Diod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의 드라이브 보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면 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10: 프린트 서버 111: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
113,115: 버퍼부 116: 엔코더
117: 동기신호출력부 120: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121a∼121d: 드라이브 보드 122: 레이저 다이오드
124: 모니터링부 125: 렌즈부
127: 광량검출부 130: 드럼구동부
131: 드럼 133: 인쇄용 판재
본 발명은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관한 것으로, 특히 전처리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전달받아 감열방식을 통해 인쇄용 판재를 제판하기 위한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쇄판 제작은 터잡기 과정에서 필름을 앉힌 다음에 실행하는 과정으로, 보통 터잡기 작업이 된 필름을 이용하여 따로 인쇄판을 만든 후 인쇄판을 인쇄기계에 걸어 인쇄를 하게 되는데, 이 인쇄판을 만드는 작업을 소부라고 한다.
인쇄판은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금속판으로 소부판이라고 부르며, 감광액이 칠해져 있는 소부판 위에 필름을 얹고 할로겐 램프로 빛을 쪼이게 되면 필름에서 투명한 부분은 빛이 통과하고, 이미지나 글자가 있는 부분은 빛이 통과하지 않은 불투명한 상태가 된다. 그 다음 PS 자동 현상기에 소부판을 넣으면 탈막액이 소부판에서 투명한 부분의 감광액은 벗겨내고, 이미지나 글자가 있는 불투명한 부분의 감광액만 남게 한다. 그 다음 물로 소부판을 헹군 후 건조시켜서 바로 인쇄기계에 걸 수 있는 상태로 만들어준다. 이와 같은 감광작업은 빛이 차단되는 암실에서 행해져 왔다. 아울러, 감광을 하기 전에 작업자는 필름을 정확하게 소부판에 밀착 고정시켜야 하는 과정이 필요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인쇄판 제작과정은 별도의 필름을 구비해야 하고, 더욱이 필름을 감광하기 위해 반드시 암실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공간적이 제약이 따랐다.
또한, 소부과정에서 농도가 떨어질 수 있어 이미지가 훼손되어 원이미지보다 부정확한 상태로 인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레이저를 이용한 감열방식을 통 해 이미지 훼손을 최소화하면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인쇄용 판재에 현상할 수 있는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과정을 간소화하여 전체적인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부에서 입력된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출력하는 프린트 서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광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를 통해 생성된 광신호를 취합하여 인쇄용 판재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렌즈부; 상기 렌즈부를 통해 조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인쇄용 판재에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용 판재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린트 서버는 상기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저장 및 출력하는 다수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부; 외부로부터 전송된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받아 상기 버퍼부로 고속 전송하는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 상기 드럼구동부의 드럼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이 1회전한 후, 시작점에 위치할 때, 상기 드럼의 1회전에 대응하는 제1 펄스값을 출력하는 엔코더; 및, 상기 제1 펄스값을 입력받아 이를 출력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펄스값으로 증폭시킨 후, 상기 제2 펄스값에 대하여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상기 버퍼부로 이미지데이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동기신호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는 상기 다수의 메모리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적재되고, 상기 버퍼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데이터를 받아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상기 인쇄용 판재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도록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보드; 및,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보드 및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냉각하기 위한 다수의 쿨러;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와 연결되어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저장 및 상기 프린트 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의 구동을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렌즈부로부터 인쇄용 판재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직전에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검출하여, 이 검출값을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광량검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의 드라이브 보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100)는 도 1과 같이, 프린트 서버(110),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20), 모니터링부(124), 렌즈부(125), 광량검출부(127) 및 드럼구동부(130)를 포함한다.
프린트 서버(110)는 출력소 또는 인쇄소에서 고객이 요청한 인쇄내용을 디지털 데이터로 받아 이를 인쇄내용에 대응하는 출력용 서체를 맵핑처리 및 판앉히기 작업을 실시한 후 생성된 이미지 데이터를 소정의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받아,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20)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프린트 서버(110)는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111), 한쌍의 버퍼부(113, 115), 엔코더(116) 및 동기신호출력부(117)을 포함한다.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111)는 외부로부터 전송된 대용량의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받아 버퍼부(113,115)로 직접 고속 전송한다.
한쌍의 버퍼부(113,115)는 FIFO 타입의 메모리를 각각 16채널 씩 갖으며, 마스터(113)와 슬래이브(115)로 나누어진다. 또한, 한쌍의 버퍼부(113,115)는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111)로부터 입력된 순서대로 저장 및 출력한다.
엔코더(116)는 드럼구동부(130)의 드럼(131)과 함께 회전하면서 드럼(131)이 1회전하게 되면 드럼(131)의 1회전에 대응하는 제1 펄스값을 출력한다.
동기신호출력부(117)는 제1 펄스값을 입력받아 이를 출력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펄스값으로 증폭시킨 후, 제2 펄스값에 대하여 버퍼부(113,115)에 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동기화시킴과 동시에 버퍼부(113,115)로 출력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동기화 과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펄스값을 5000 pluse이고 드럼(131)의 외주둘레가 1250㎜ 일때 인쇄용 판재(133)에 100ppm(2540dpi)의 해상도를 갖는 이미지를 출력할 경우, 125000pluse가 필요하다. 따라서, 동기신호출력부(117)는 이미지 데이터와 펄스값을 동기화 시키기 위해, 엔코더(116)로부터 입력된 5000 pluse에 25배를 하여 드럼(131)의 1회전당 125000 pluse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동기신호출력부(117)는 펄스값과 이미지 데이터를 동기화시킨 상태에서 한쌍의 버퍼부(113,115)로 이미지 데이터 출력신호를 전송하고, 한쌍의 버퍼부(113,115)는 각각 16채널의 총 32채널을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20)로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20)는 한쌍의 버퍼부(113,115)의 32채널에 대응하도록 각각 8채널을 갖는 4개의 드라이브 보드(121a∼121d)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버퍼부(113,115)의 개수, 드라이브 보드(121a∼121d) 개수 및 각각의 채널수를 총 32채널로 한정한 것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버퍼부와 드라이브 보드의 채널수를 서로 동일하게 설정한다면, 장치의 데이터 처리속도 등의 효율을 고려하여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드라이브 보드(121a∼121d)의 구성은 동일하며, 여기서는 도 3과 같이, 4개의 보드 중 하나(121a)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드라이브 보드(121a)는 버퍼부(113,115)의 채널에 대응하도록 8개의 레이저 다이오드(122)가 적재되어 있으며, 드라이브 보드(121a)의 후면에는 드라이브 보드(121a) 자체 및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22)를 냉각하기 위한 한쌍의 쿨러(123a,123b)가 방열판(미도시)과 함께 설치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브 보드(121a∼121d)는 버퍼부(113,115)로부터 디지털 신호인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받아,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22)를 통해 광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한다.
렌즈부(125)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22)를 통해 생성된 광신호를 광섬유(129)를 통해 취합하여 인쇄용 판재(133)에 레이저 빔을 조사함으로써, 인쇄용 판재(133)에 고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드럼구동부(130)는 드럼(131)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렌즈부(125)에서 조사되는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인쇄용 판재(133)에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인쇄용 판재(133)를 착탈 가능하게 파지함과 동시에, 인쇄용 판재(133)를 회전시킨다.
모니터링부(124)는 다수의 드라이브 보드(121a∼121d)와 컨트롤라인(124a)으로 연결되어 있어,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22)의 상태를 모니터링한다. 아울러, 모니터링부(124)는 상기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린트 서버(110)로 전송한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모니터링부(124)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22)의 공급되는 전력량, 전압, 전류 등을 검출하고 저장하며, 쿨러(123a,123b)의 동작상태 와, 드라이브 보드(121a∼121d)의 온도, 공급 전력량 및 설치된 드라이브 보드(121a∼121d)의 개수를 모니터링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모니터링된 데이터를 입력받은 프린터 서버(110)는 입력된 데이터와 미리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20)를 제어하며, 또한 별도의 모니터(미도시)를 통해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120)의 상태를 작업자에게 실시간으로 알려준다. 따라서 작업자는 장치의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장치가 오동작을 하는 경우,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치의 오동작 발생 시 프린트 서버(110)에 의해 전원을 차단하는 등의 자동제어도 물론 가능하다.
광량검출부(127)는 렌즈부(125)로부터 인쇄용 판재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직전에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122)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광량을 검출하고, 이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한다. 이와 같은 광량검출부(127)에 의한 광량검출과정은 인쇄용 판재(133)에 출력되는 이미지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모니터링하여 미리 설정된 광량의 오차범위를 넘어서는 경우를 사전에 파악하여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과정에 하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를 통해 인쇄용 제판에 이미지를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부로부터 전처리 과정을 거쳐 미리 제작된 대용량의 이미지 데이터를 프린트 서버(110)의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111)로 전송되면,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111)는 한쌍의 버퍼부(113,115)로 상기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쌍의 버퍼부(113,115)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는 한쌍의 버퍼부(113,115)에 저장되고, 동기신호출력부(117)는 드럼(133) 회전 시 엔코더(116)에 의해 검출된 펄스값과 드럼의 시작위치값을 전송받아 버퍼부(113,115)에 일정시간 저장되어 있던 이미지 데이터와 동기화시켜 출력신호를 보낸다. 이와 동시에 버퍼부(113,115)에서는 이미지 데이터를 각각 8채널로 이루어진 4개의 드라이브 보드(121a∼121d)로 전송한다.
이어서, 드라이브 보드(121a∼121d)로 전송된 이미지 데이터는 광섬유(129)를 통해 렌즈부(125)로 전송되며, 렌즈부(125)로부터 인쇄용 판재(133)를 향해 레이저 빔을 조사한다. 그리고 이미지 데이터 출력전에는 항상 광량검출부(127)를 통해 각 채널의 광량을 모니터링부(124)로 전송하여 광량을 체크한다.
각 채널의 광량에 이상이 없으면 렌즈부(12)를 통해 드럼(131)에 의해 회전하는 인쇄용 판재(133)에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고해상도의 선명한 이미지가 출력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레이저를 이용한 감열방식을 통해 인쇄용 판재를 제작함에 따라 종래의 암실에서 감열방식으로 제작된 판재에 비해 이미지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별도의 필름을 준비하고 판재에 부착하는 과정이 생략됨으로써 전체적인 작업과정이 간소화되어 작업속도 및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 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5)

  1. 외부에서 입력된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상기 이미지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출력하는 프린트 서버; 상기 프린트 서버로부터 출력된 이미지데이터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광신호를 생성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를 통해 생성된 광신호를 취합하여 인쇄용 판재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는 렌즈부; 및, 상기 렌즈부를 통해 조사된 레이저 빔에 의해 상기 인쇄용 판재에 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상기 인쇄용 판재를 파지한 상태로 회전하는 드럼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서버는, 상기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입력된 순서대로 저장 및 출력하는 다수의 메모리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버퍼부; 외부로부터 전송된 대용량의 이미지데이터를 받아 상기 버퍼부로 고속 전송하는 이미지데이터고속전송부; 상기 드럼구동부의 드럼과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드럼이 1회전한 후, 시작점에 위치할 때, 상기 드럼의 1회전에 대응하는 제1 펄스값을 출력하는 엔코더; 및, 상기 제1 펄스값을 입력받아 이를 출력 해상도에 대응하는 제2 펄스값으로 증폭시킨 후, 상기 제2 펄스값에 대하여 상기 버퍼부에 저장된 이미지데이터를 동기화시켜 상기 버퍼부로 이미지데이터 출력신호를 전송하는 동기신호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는
    상기 다수의 메모리에 대응하는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가 적재되고, 상기 버퍼부로부터 전송된 이미지데이터를 받아,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통해 광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보드; 및,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는 적어도 하나의 드라이브 보드 및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를 냉각하기 위한 다수의 쿨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와 연결되어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이 모니터링한 데이터를 저장 및 상기 프린트 서버로 전송하는 모니터링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프린트 서버는 상기 모니터링부로부터 전송된 데이터를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데이터를 근거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의 구동을 실시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로부터 인쇄용 판재로 레이저 빔을 조사하기 직전에 다수의 레이저 다이오드로부터 출력되는 광량을 검출하여, 이 검출값을 상기 모니터링부로 전송하는 광량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KR1020060029053A 2006-03-30 2006-03-30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KR100788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053A KR100788006B1 (ko) 2006-03-30 2006-03-30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9053A KR100788006B1 (ko) 2006-03-30 2006-03-30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981A KR20070097981A (ko) 2007-10-05
KR100788006B1 true KR100788006B1 (ko) 2007-12-21

Family

ID=38804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9053A KR100788006B1 (ko) 2006-03-30 2006-03-30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8800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34998B (zh) * 2021-11-11 2022-08-30 清华大学 聚合物三维电树枝和局部放电多通道联合测量方法及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067A (ja) * 1995-12-01 1997-06-17 Toray Eng Co Ltd 印刷用版の製造装置
JPH11165430A (ja) 1997-12-04 1999-06-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JP2002370465A (ja) 2001-06-14 2002-12-24 Konica Corp 印刷版材料、印刷版材料の画像形成方法及び印刷方法
JP2004351938A (ja) 2004-07-20 2004-12-16 Mitsubishi Heavy Ind Ltd 製版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6067A (ja) * 1995-12-01 1997-06-17 Toray Eng Co Ltd 印刷用版の製造装置
JPH11165430A (ja) 1997-12-04 1999-06-22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記録装置
JP2002370465A (ja) 2001-06-14 2002-12-24 Konica Corp 印刷版材料、印刷版材料の画像形成方法及び印刷方法
JP2004351938A (ja) 2004-07-20 2004-12-16 Mitsubishi Heavy Ind Ltd 製版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7981A (ko) 2007-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01691B1 (fr) Procédé et dispositif de détection des marques de réperage de l'impression dans une presse à imprimer à plusieurs couleurs
EP0452769B1 (fr) Contrôle de qualité de l'impression et du découpage dans une installation de production d'emballages
JP6738269B2 (ja) 画像検査システムをチェックするための方法
EP158447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nsepecting a substrate on a printing press
WO2009110173A1 (ja) 見当マーク検出装置
EP154335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 substrate on a printing press
KR100788006B1 (ko) 다채널 레이저 다이오드를 구비한고속이미지데이터출력장치
JP5180511B2 (ja) 高速データ処理を伴うレーザ走査型顕微鏡
CN113406110A (zh) 一种印刷品质量检测方法、装置、设备和计算机介质
JP2009530670A (ja) 内面ドラム・イメージセッタ
JPS58219543A (ja) サイドプリント方法及び装置
JP2011158421A (ja) 印刷物検査装置
CN202057308U (zh) 外鼓式计算机直接制版机上版用版长自动检测装置
CN114878585A (zh) 一种大幅面丝网缺陷检测装置
JP2516606B2 (ja) 印刷品質検査装置
JP2006095911A (ja) マルチビーム露光装置及びマルチビーム露光方法
JPH05338121A (ja) 印刷物検査装置
JP4340168B2 (ja) 光走査装置の水平同期信号状態診断方法
JPS59128418A (ja) 印刷物検査装置
JP2003254728A (ja) 表面形状測定装置
JP2006276805A (ja) 画像記録装置
JP2010067659A (ja) 半導体レーザ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JP2912320B1 (ja) 白紙印刷検出装置及び白紙印刷検出方法
JPS59109365A (ja) 印刷物検査装置
JP2002365569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